KR102237343B1 - 하수 및 오수관용 내화충전 가변형 슬리브 - Google Patents

하수 및 오수관용 내화충전 가변형 슬리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7343B1
KR102237343B1 KR1020200135749A KR20200135749A KR102237343B1 KR 102237343 B1 KR102237343 B1 KR 102237343B1 KR 1020200135749 A KR1020200135749 A KR 1020200135749A KR 20200135749 A KR20200135749 A KR 20200135749A KR 102237343 B1 KR102237343 B1 KR 1022373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height
variable
sewage
fl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57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상언
Original Assignee
(주)세이프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세이프코리아 filed Critical (주)세이프코리아
Priority to KR10202001357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73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73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73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F16L5/04Sealing to form a firebreak devic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5/00Forms or shutterings for making openings, cavities, slits, or channels
    • E04G15/06Forms or shutterings for making openings, cavities, slits, or channels for cavities or channels in walls of floors, e.g. for making chimneys
    • E04G15/061Non-reusable for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F16L5/10Sealing by using sealing rings or sleeves only

Abstract

본 발명은 하수 및 오수관용 내화충전 가변형 슬리브에 관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는 투피스(two-piece)로 분할된 내화충전 가변형 슬리브의 연결지주관과 높이조절 가변관이 서로 나사체결되면서 조임과 풀림에 따라 높낮이가 미세 조절되도록 하는 바, 이는 하수 및 오수관에 대한 설치 시공시 종전 단위식 적층형 연결구(특정 사이즈가 픽스된 연결관의 조합) 사용 대비 간격(공차) 발생에 대한 보완 대응력(미세 조정 가능)이 우수함은 물론 PVC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제작되어 제조원가가 절감되도록 형성되고, 특히 연결지주관과 높이조절 가변관 사이에는 밴드형 내장식 내화충전재가 더 구비되어 화재 발생시 층간 화재 번짐(연기, 열기, 화염의 층간 이동을 차단 또는 폐쇄)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바, 이는 신속하고 확실한 내화 구조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주거 안전성이 향상됨은 물론 건축물의 소방방재 성능이 크게 개선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하수 및 오수관용 내화충전 가변형 슬리브{Variable sleeve with Refractory filler for drainpipe}
본 발명은 PVC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된 하수 및 오수관용 내화충전 가변형 슬리브에 관한 것으로, 투피스(two-piece)로 분할된 연결지주관과 높이조절 가변관이 서로 나사체결되면서 조임과 풀림에 따라 높낮이가 미세 조절되도록 하는 바, 이는 종전 단위식 적층형 연결구(특정 사이즈가 픽스된 연결관의 조합) 사용 대비 간격(공차) 발생에 대한 보완 대응력(미세 조정 가능)이 우수하도록 형성되고, 특히 연결지주관과 높이조절 가변관 사이에는 밴드형 내장식 내화충전재가 더 구비되어 화재 발생시 층간 화재 번짐(연기, 열기, 화염의 층간 이동을 차단 또는 폐쇄)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바, 이는 신속하고 확실한 내화 구조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주거 안전성이 향상됨은 물론 건축물의 소방방재 성능이 크게 개선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 및 오수관용 내화충전 가변형 슬리브에 관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선택적인 실시예로서, 가변형 잠금 플렌지가 높이조절 가변관 일측에 더 구비되어 하수 및 오수관과의 설치 시공 후 높이조절 가변관의 세팅 높이 위치가 정해지면 그 상태가 변함없이 유지될 수 있도록 고정하되, 각 세대에서 발생된 음식냄새나 기타 악취 등이 위로 올라와 타세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실링)할 수 있도록 하는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또 다른 실시예로서, 높이조절 가변관의 상단측 플렌지에 파이널용 로크 플렌지가 더 장착되도록 형성되어 하수 및 오수관과의 설치 시공이 완료되면 그 상태에서 조립된 하수 및 오수관의 축선 유동(흔들림)이 방지되도록 고정하되, 각 세대에서 발생된 음식냄새나 기타 악취 등이 위로 올라와 타세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실링)할 수 있도록 하는 특징이 있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층간 슬래브(Slab/ 천정층이거나 바닥층에 해당)에는 다양한 배관들의 수직 관통 및 연결 이음을 위해 슬리브(Sleeve)가 형성된다.
이러한 슬리브(Sleeve)는 결합되는 배관의 일 실시예로서 상하측 단부에 하수 및 오수관이 수직방향으로 연결된다.
한편, 상기 하수 및 오수관은 상하로 길게 세워진 수직관 형태로서 건축물의 설계 조건에 따라 현장마다 서로 상이한 높낮이 차를 가질 수 있게 되는데, 이때의 하수 및 오수관과 슬리브(Sleeve) 간의 조립시에는 발생된 간격 공차를 감안하여 별도로 연결소켓이 삽입 부가되어 모자란 구간을 채우면서 연결 이음하도록 형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연결소켓은 단위식 적층 구조로 형성된 마디 형태로 된 것으로서, 각각 밀리미터 또는 센티미터로 정해진 확정높이(두께)를 갖게 되는 바, 이러한 확정높이(두께)는 높낮이에 대한 미세 조절이 어려워 사용이 곤란한 현장에서는 적용 자체가 불가능한 문제가 있어 왔다.
또한, 종래의 하수 및 오수관용 슬리브(Sleeve)는 내화구조가 전무한 것으로, 화재가 발생하면 연기, 열기, 열화 등과 같은 층간 번짐시에 그에 대한 대책이 전무한 실정이다.
그리고, 종래의 하수 및 오수관용 슬리브(Sleeve)는 연결 이음부를 통해 새어 나온 상향 유입식 음식냄새나 악취 등에 대한 대책 방안이 전무한 것으로, 이에 대한 개선 방안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1. 대한만국 특허등록 제10-1690021호(2016.12.21. 등록)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기술적 요지는 투피스(two-piece)로 분할된 연결지주관과 높이조절 가변관이 서로 나사체결되면서 조임과 풀림시 높낮이가 미세하게 조절되도록 하는 바, 이는 종전 단위식 적층형 연결구(특정 사이즈가 픽스된 연결관의 조합) 사용 대비 간격(공차) 발생에 대한 보완 대응력(미세 조정 가능)이 우수한 것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연결지주관과 높이조절 가변관 사이에 밴드형 내장식 내화충전재가 더 구비되어 화재 발생시 층간 화재 번짐(연기, 열기, 화염의 층간 이동을 차단 또는 폐쇄)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바, 이는 신속하고 확실한 내화 구조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주거 안전성이 향상됨은 물론 건축물의 소방방재 성능이 크게 개선되도록 하는 것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수 및 오수관 연결용 슬리브가 PVC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된 것으로서, 원가가 절감되고 제작이 용이함은 물론 취급성과 작업성이 향상되는 것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선택적인 실시예로서, 가변형 잠금 플렌지가 높이조절 가변관 일측에 더 구비되어 하수 및 오수관과의 설치 시공 후 높이조절 가변관의 세팅 높이위치가 정해지면 그 상태가 변함없이 유지될 수 있도록 고정하되, 각 세대에서 발생된 음식냄새나 기타 악취 등이 위로 올라와 타세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실링)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또 다른 실시예로서, 높이조절 가변관의 바깥측 플렌지에 파이널용 로크 플렌지가 더 구비되도록 형성되어 하수 및 오수관과의 설치 시공이 완료되면 그 상태에서 조립된 하수 및 오수관의 축선 유동(흔들림)이 방지되도록 고정하되, 각 세대에서 발생된 음식냄새나 기타 악취 등이 위로 올라와 타세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실링)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높이조절 가변관의 플렌지 또는 가변형 잠금 플렌지 또는 파이널용 로크 플렌지의 외주면에 기어치차 형태의 너어링을 부가하여 조임 풀림시 치공구를 통해 쉽고 편리하게 나사체결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연결지주관과 높이조절 가변관 간의 암나사산과 숫나사부의 나사산이 2중 또는 3중 구조의 다중 나사산 구조를 이루도록 하는 바, 이는 조임 풀림시 신속하고 간편하게 체결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관체의 일측 개구부에 암나사부(110)가 형성되어 높낮이 조절 구간이 형성되고, 관체의 타측 개구부에는 하수 및 오수관(10)의 길이방향 상단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장착홈(120)이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장착홈(120)은 관체의 축선을 향해 내측으로 돌출된 안착턱(130)과 내벽판(140)에 의해 형성되도록 하는 연결지주관(100)과; 상기 연결지주관의 암나사부(110)에 대응되면서 나사체결되도록 숫나사관(210)이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숫나사관(210)의 외측 단부에는 플렌지(220)가 형성되고, 상기 플렌지(220)와 대향되는 반대측 단부에는 내화충전재(30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수납홈(230)이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수납홈(230)은 관체의 축선을 향해 내측으로 돌출된 단턱부(240)와 내벽체(250)에 의해 형성되도록 하는 높이조절 가변관(200)과; 상기 높이조절 가변관의 수납홈(230)에 대응되면서 삽입되도록 직사각형 단면이 세로로 배치되면서 수납 및 내장되도록 하는 원형밴드 형태의 내화충전재(300)가;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이에, 상기 연결지주관의 암나사부(110)와 높이조절 가변관의 숫나사관(210)은 나사산의 형태가 2중 나사 또는 3중 나사 구조의 다중 나사산 구조로 형성되어 조임과 풀림 성능(속도)이 배가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높이조절 가변관의 숫나사관(210) 선상 중 어느 일측에는 원형 링 형태의 가변형 잠금 플렌지(400)의 관통나사홈(410)이 대응되면서 나사체결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상기 높이조절 가변관의 플렌지(220)는 테두리 외주면에 나사부(221)가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나사부(221)에는 파이널용 로크 플렌지(500)의 고정나사홈(510)이 대응되면서 나사체결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파이널용 로크 플렌지(500)는 지지판 면상 중앙에 하수 및 오수관의 직경과 대응되는 관통가이드공(520)이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고정나사홈(510)은 관통가이드공(520)이 마련된 지지판을 기준으로 하향 꺽여진 끼움턱 안쪽에 가공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PVC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된 하수 및 오수관용 내화충전 가변형 슬리브에 관한 것으로, 투피스(two-piece)로 분할된 연결지주관과 높이조절 가변관이 서로 나사체결되면서 조임과 풀림시 높낮이가 미세 조절되도록 하는 바, 이는 종전 단위식 적층형 연결구(특정 사이즈가 픽스된 연결관의 조합) 사용 대비 간격(공차) 발생에 대한 보완 대응력(미세 조정 가능)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연결지주관과 높이조절 가변관 사이에 밴드형 내장식 내화충전재가 더 구비되어 화재 발생시 층간 화재 번짐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바, 이는 신속하고 확실한 내화 구조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주거 안전성이 향상됨은 물론 건축물의 소방방재 성능이 크게 개선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연결지주관과 높이조절 가변관 간의 암나사산과 숫나사부의 나사산이 2중 또는 3중 구조의 다중 나사산 구조를 이루도록 하는 바, 이는 조임 풀림시 신속하고 간편하게 체결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때, 본 발명은 선택적인 실시예로서, 가변형 잠금 플렌지가 높이조절 가변관 일측에 더 구비되어 하수 및 오수관과의 설치 시공 후 높이조절 가변관의 세팅 높이위치가 정해지면 그 상태가 변함없이 유지될 수 있도록 고정하되, 각 세대에서 발생된 음식냄새나 기타 악취 등이 위로 올라와 타세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실링)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또 다른 실시예로서, 높이조절 가변관의 바깥측 플렌지에 파이널용 로크 플렌지가 더 구비되도록 형성되어 하수 및 오수관과의 설치 시공이 완료되면 그 상태에서 조립된 하수 및 오수관의 축선 유동(흔들림)이 방지되도록 고정하되, 각 세대에서 발생된 음식냄새나 기타 악취 등이 위로 올라와 타세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실링)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높이조절 가변관의 플렌지 또는 가변형 잠금 플렌지 또는 파이널용 로크 플렌지의 외주면에 기어치차 형태의 너어링을 부가하여 조임 풀림시 치공구를 통해 쉽고 편리하게 나사체결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내화충전 가변형 슬리브의 분해 사시도,
도 2 내지 3은 도 1의 조립상태 및 내화충전재의 팽창 상태를 나타낸 일측 단면도,
도 4는 도 2에서 높이가 가변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가변형 잠금 플렌지와 파이널용 로크 플렌지가 부가된 것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다음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며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겠다.
먼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연결지주관(100)과 높이조절 가변관(200) 및 내화충전재(300)로 크게 구성된다.
이에, 상기 연결지주관(100)은 PVC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서, 관체의 일측 개구부에 암나사부(110)가 형성되어 높낮이 조절 구간이 형성되고, 관체의 타측 개구부에는 하수 및 오수관(10)의 길이방향 상단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장착홈(120)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장착홈(120)은 관체의 축선을 향해 내측으로 돌출된 안착턱(130)과 내벽판(140)에 의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안착턱과 내벽판은 상광하협의 깔대기형 경사각이 형성되어 위에서 아래로 흐르는 물의 배수가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에, 상기 안착턱은 일종의 스토퍼로서 설정된 높이에 형성되어 높이조절 가변관(200)의 수납홈(230) 하단부 즉, 내벽체(250)의 하단부가 맞닿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암나사부와 대향되는 반대측 단부에는 플렌지판(150)이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플렌지판의 면상에는 조립공이 형성되어 볼트 너트로 하여금 알폼 등에 대하여 고정 결합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연결지주관은 건축물 시공시 현장 콘트리트 타설에 의해 각 층간 마다 그 외주면이 매립(현장 콘크리트 타설시에는 내부 관경이 막히지 않도록 위판에 덮개를 붙여 콘크리트가 관경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보호하도록 함)되면서 관통 구간을 조성하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높이조절 가변관(200)은 PVC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서, 상기 연결지주관(100)의 암나사부(110)에 대응되면서 나사체결되도록 숫나사관(210)이 형성된다.
참고로 이러한 높이조절 가변관과 연결지주관은 소재가 합성수지재로 형성되어 취급이 간편하고 제작이 용이함은 물론 제조원가가 절감되는 특징이 있다.
이에, 상기 숫나사관(210)의 외측 단부에는 플렌지(220)가 형성되고, 상기 플렌지(220)와 대향되는 반대측 단부에는 내화충전재(300: 화재 발생시 열에 의해 발포 팽창하면서 연기, 열기, 화염의 층간 이동을 차단 또는 폐쇄)가 삽입될 수 있도록 수납홈(230)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수납홈(230)은 관체의 축선을 향해 내측으로 돌출된 단턱부(240: 하수 및 오수관의 길이방향 하단부가 걸침될 수 있도록 함)와 내벽체(250)에 의해 형성되도록 한다.
이에, 상기 연결지주관의 암나사부(110)와 높이조절 가변관의 숫나사관(210)은 나사산의 형태가 2중 나사 또는 3중 나사 구조의 다중 나사산 구조로 형성되어 조임과 풀림 성능(속도)이 배가되도록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내화충전재(300)는 상기 높이조절 가변관의 수납홈(230)에 대응되면서 삽입되도록 직사각형 단면이 세로로 배치되면서 수납 및 내장되도록 원형밴드 형태로 형성된다.
이는 일체(하나의)로 된 두꺼운 링체형 내화 충진재 대비 불에 대한 발포성과 확장성이 빠르고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두꺼운 단면의 뭉치로 된 내화 충진재를 내장하게 되면 발포 팽창되는데 시간이 오래 걸림)
한편,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선택적인 실시예로서, 상기 높이조절 가변관의 숫나사관(210) 선상 중 어느 일측에는 원형 링 형태의 가변형 잠금 플렌지(400)의 관통나사홈(410)이 대응되면서 나사체결되도록 형성된다.
즉, 가변형 잠금 플렌지가 높이조절 가변관의 숫나사관에 대응되면서 나사 체결되도록 형성되어 하수 및 오수관과의 설치 시공 후 높이조절 가변관의 세팅 높이 위치가 정해지면 그 상태가 변함없이 높이가 계속 유지될 수 있도록 고정하게 된다.
이는 각 세대에서 발생된 음식냄새나 기타 악취 등이 위로 올라와 타세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실링)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참고로, 가변형 잠금 플렌지 하면은 연결지주관의 상단부(각 층 최외측 단부에 해당하는 면)과 맞닿게 됨으로서 고정을 지지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그 사이에는 실리콘 패킹이 삽입되어 기밀(냄새, 악취 차단)을 더욱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높이조절 가변관의 플렌지(220) 중 테두리 외주면에 나사부(221)가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나사부(221)에는 파이널용 로크 플렌지(500)의 고정나사홈(510)이 대응되면서 나사체결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파이널용 로크 플렌지(500)는 지지판 면상 중앙에 하수 및 오수관의 직경과 대응되는 관통가이드공(520)이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고정나사홈(510)은 관통가이드공(520)이 마련된 지지판을 기준으로 하향 꺽여진 끼움턱 안쪽에 가공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높이조절 가변관의 상단측 플렌지에는 파이널용 로크 플렌지가 더 장착되도록 형성되어 하수 및 오수관과의 설치 시공이 완료되면 그 상태에서 조립된 하수 및 오수관의 축선 유동(흔들림)이 방지되도록 고정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파이널용 로크 플렌지 역시 각 세대에서 발생된 음식냄새나 기타 악취 등이 위로 올라와 타세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실링)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참고로, 파이널용 로크 플렌지의 지지판 하면과 높이조절 가변관의 플렌지(220)의 상면이 맞닿는 사이에 실리콘 패드를 삽입할 수도 있고 하수 및 오수관과 맞닿는 관통가이드공 사이에는 오링 또는 패킹 패드를 삽입하여 냄새가 새어 나오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 연결지구관 110 ... 암나사부
120 ... 장착홈 130 ... 안착턱
140 ... 내벽판 200 ... 높이조절 가변관
210 ... 숫나사관 220 ... 플렌지
230 ... 수납홈 240 ... 단턱부
250 ... 내벽체 300 ... 내화충전재
400 ... 가변형 잠금 플렌지 500 ... 파이널 로크 플렌지

Claims (3)

  1. 관체의 일측 개구부에 암나사부(110)가 형성되어 높낮이 조절 구간이 형성되고, 관체의 타측 개구부에는 하수 및 오수관(10)의 길이방향 상단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장착홈(120)이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장착홈(120)은 관체의 축선을 향해 내측으로 돌출된 안착턱(130)과 내벽판(140)에 의해 형성되도록 하는 연결지주관(100)과; 상기 연결지주관의 암나사부(110)에 대응되면서 나사체결되도록 숫나사관(210)이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숫나사관(210)의 외측 단부에는 플렌지(220)가 형성되고, 상기 플렌지(220)와 대향되는 반대측 단부에는 내화충전재(30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수납홈(230)이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수납홈(230)은 관체의 축선을 향해 내측으로 돌출된 단턱부(240)와 내벽체(250)에 의해 형성되도록 하는 높이조절 가변관(200)과; 상기 높이조절 가변관의 수납홈(230)에 대응되면서 삽입되도록 직사각형 단면이 세로로 배치되면서 수납 및 내장되도록 하는 원형밴드 형태의 내화충전재(300)가; 구성되어 이루어진 하수 및 오수관용 내화충전 가변형 슬리브에 있어서,
    상기 연결지주관의 암나사부(110)와 높이조절 가변관의 숫나사관(210)은 나사산의 형태가 2중 나사 또는 3중 나사 구조의 다중 나사산 구조로 형성되어 조임과 풀림 성능 및 속도가 배가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높이조절 가변관의 숫나사관(210) 선상 중 어느 일측에는 원형 링 형태의 가변형 잠금 플렌지(400)의 관통나사홈(410)이 대응되면서 나사체결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높이조절 가변관의 플렌지(220)는 테두리 외주면에 나사부(221)가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나사부(221)에는 파이널용 로크 플렌지(500)의 고정나사홈(510)이 대응되면서 나사체결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파이널용 로크 플렌지(500)는 지지판 면상 중앙에 하수 및 오수관의 직경과 대응되는 관통가이드공(520)이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고정나사홈(510)은 관통가이드공(520)이 마련된 지지판을 기준으로 하향 꺽여진 끼움턱 안쪽에 가공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 및 오수관용 내화충전 가변형 슬리브.
  2. 삭제
  3. 삭제
KR1020200135749A 2020-10-20 2020-10-20 하수 및 오수관용 내화충전 가변형 슬리브 KR1022373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5749A KR102237343B1 (ko) 2020-10-20 2020-10-20 하수 및 오수관용 내화충전 가변형 슬리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5749A KR102237343B1 (ko) 2020-10-20 2020-10-20 하수 및 오수관용 내화충전 가변형 슬리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7343B1 true KR102237343B1 (ko) 2021-04-07

Family

ID=754692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5749A KR102237343B1 (ko) 2020-10-20 2020-10-20 하수 및 오수관용 내화충전 가변형 슬리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734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2234Y1 (ko) * 2002-10-24 2003-02-05 박창영 배수관용 슬리브
KR101690021B1 (ko) 2016-01-19 2016-12-27 주식회사 메이크순 슬리브형 배관연결구
KR102061496B1 (ko) * 2019-07-02 2020-01-02 오병준 내화충전재의 흘러내림 방지구조를 갖는 배관용 입상슬리브
KR20200118973A (ko) * 2019-04-09 2020-10-19 윤재식 입상배관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2234Y1 (ko) * 2002-10-24 2003-02-05 박창영 배수관용 슬리브
KR101690021B1 (ko) 2016-01-19 2016-12-27 주식회사 메이크순 슬리브형 배관연결구
KR20200118973A (ko) * 2019-04-09 2020-10-19 윤재식 입상배관 고정장치
KR102061496B1 (ko) * 2019-07-02 2020-01-02 오병준 내화충전재의 흘러내림 방지구조를 갖는 배관용 입상슬리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1868B1 (ko) 배관 연결장치
KR101404871B1 (ko) 당해층 벽체 배수 시스템
KR20200016446A (ko) 내화충전재가 구비된 편심조정 슬리브 구조체
KR102237343B1 (ko) 하수 및 오수관용 내화충전 가변형 슬리브
US5076309A (en) Firestop stub-out assembly
US5183070A (en) Firestop device for flammable floor construction
KR101509645B1 (ko) 수전 연결기구 및 이를 갖는 수전 연결기구 어셈블리
JP2010255348A (ja) 排水管継手及びこの排水管継手を用いた排水構造
KR102209778B1 (ko) 하수 및 오수관용 내화충전 가변형 슬리브
KR200494819Y1 (ko) 입상관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연결구
JP6822775B2 (ja) 排水システムおよび建物
KR200396618Y1 (ko) 배관용 방수 슬리브
JP5965032B2 (ja) 通気一体型継手と継手
KR20230001691A (ko) 배수접속관
KR100855304B1 (ko) 결합 및 회전이 용이한 벽체매립형 수전함의 수전 결합구조
KR200391116Y1 (ko) 욕실 벽 배관 보호용 슬리브의 개선구조
KR100886361B1 (ko) 벽체 매립형 수전함
KR102390489B1 (ko) 관경 단차 갭에 대하여 실링구조를 갖는 오수 하수관용 조인트 어댑터 및 상기 조인트 어댑터를 이용한 오수 하수관 시공방법
JP4547303B2 (ja) 耐火二層管継手
KR100516787B1 (ko) 욕실 벽 통과용 배관보호 슬리브 시공방법 및 그 슬리브
KR101915437B1 (ko) 매립형 섹스티아
KR200429469Y1 (ko) 결합 및 회전이 용이한 벽체매립형 수전함의 수전 결합구조
KR102224528B1 (ko) 입상배관 연결 설치형 슬리브
KR200496747Y1 (ko) 입상배관용 고정장치
KR102624609B1 (ko) 소방 배관 설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