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1116Y1 - 욕실 벽 배관 보호용 슬리브의 개선구조 - Google Patents

욕실 벽 배관 보호용 슬리브의 개선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1116Y1
KR200391116Y1 KR20-2005-0011495U KR20050011495U KR200391116Y1 KR 200391116 Y1 KR200391116 Y1 KR 200391116Y1 KR 20050011495 U KR20050011495 U KR 20050011495U KR 200391116 Y1 KR200391116 Y1 KR 2003911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ve
sleeve body
pipe
sealing ring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14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점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효성케미칼
전추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효성케미칼, 전추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효성케미칼
Priority to KR20-2005-00114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111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11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1116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F16L5/08Sealing by means of axial screws compressing a ring or sleev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4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for making damp-proof; Protection against corro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욕실 벽 배관 보호용 슬리브의 개선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욕실 벽을 통과하는 수도관, 보일러관, 가스관, 전기 및 통신케이블 등의 각종배관을 더욱 안전하고 견고하게 고정하면서 보온과 방수 기능을 부여 하므로서 기초공사시의 작업시간을 최소화하고, 슬리브 시공시 욕실 벽면의 두께에 따른 길이조절과 욕실과 다른 실내의 바닥면 높낮이에 따라 높이조절을 간편하고도 손쉽게 할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공의 편리성을 향상시킬수 있도록 하며, 욕실벽체에 매립된 슬리브 몸체의 전면측에서 연결슬리브와 밀폐링 및 조임링 조립체를 조립시공케 함으로서 시공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 욕실 벽 배관 보호용 슬리브의 개선구조에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욕실 벽 배관 보호용 슬리브의 개선구조{Improvement structure of bathroom wall piping protection sleeve}
본 고안은 욕실 벽 배관 보호용 슬리브의 개선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욕실 벽을 통과하는 수도관, 보일러관, 가스관, 전기 및 통신케이블 등의 각종배관을 더욱 안전하고 견고하게 고정하면서 보온과 방수 기능을 부여 하므로서 기초공사시의 작업시간을 최소화하고, 슬리브 시공시 욕실 벽면의 두께에 따른 길이조절과 욕실과 다른 실내의 바닥면 높낮이에 따라 높이조절을 간편하고도 손쉽게 할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공의 편리성을 향상시킬수 있도록 하며, 욕실벽체에 매립된 슬리브 몸체의 전면측에서 연결슬리브와 밀폐링 및 조임링 조립체를 조립시공케 함으로서 시공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 욕실 벽 배관 보호용 슬리브의 개선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단독주택 및 빌딩 등에는 난방과 연료공급및 급수를 위하여 여러 종류의 배관이 건축물의 벽을 관통하여 설치되게 된다.
이와같은 통상적인 슬리브는 기초 작업 시 벽체를 위한 거푸집의 상부에 지지다리를 이용하여 슬리브를 고정한 다음 뚜껑체로 양단을 밀폐하고 양측면에 거푸집을 고정하여 상부에서 콘크리트 몰탈을 쳐 일정 양생기간을 경과한후 거푸집을 제거하고 그 내부에 배관이 삽입되면서 밀폐링과 압착링을 끼우고 조임링으로 조여 고정함으로서 내부에 위치되는 배관을 고정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것은 구조가 간단한 장점이 있는 반면, 밀폐링이 오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배관을 파지하는 힘이 떨어져 상기 배관을 안전하고 견고하게 고정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슬리브몸체 내면 중간부에는 밀폐링의 스토퍼 역할을 하는 밀폐환부가 형성되어 있어 슬리브몸체의 제작에 어렴움이 있고, 조임링을 과도하게 조이면 상기의 밀폐 환부가 파손되어 사용을 하지 못하고 교체해 주어야만 하는 문제도 남아 있다.
그리하여 최근에는 슬리브 몸체의 일 측에는 그 슬리브 몸체의 내, 외경보다 큰 내, 외경을 갖는 결합부가 슬리브 몸체와 일체로 연장 형성되고, 슬리브 몸체의 타측에는 연결부재를 연결 할수 있는 연결부가 형성되며, 슬리브 몸체의 외주면에는 길이방향 및 원주방향을 따라 보가 형성되고,
상기 슬리브몸체의 내면에 끼워지는 밀폐링은 외부가 경사면을 갖으며, 중앙에 배관이 관통되는 관통공을 형성시켜서 압착링을 끼우고 조임링으로 조여 고정함으로서 슬리브몸체의 내면에 형성된 경사면을 따라 밀폐링의 경사면이 조임링의 조임력으로 조여 고정되면서 배관의 견고한 고정을 시도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기술은 일면이 경사 형성된 밀폐링이 슬리브몸체의 내면에 형성된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변형되어 그 내부에 위치한 배관을 더욱 견고하게 파지할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압착링의 단부가 경사면이 시작되는 슬리브 몸체의 내면에 맞닿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조임력에 한계가 있고, 일측의 경사면에 의한 조임 파지작동이 불안정하며, 금속재로 된 압착링이 반드시 있어야만 그 조립이 가능해 지는등의 문제가 남아 있다.
또한 그 타측에 위치되는 벽체의 두께변화에 따른 슬리브의 가변작동은 연결슬리브가 슬리브 몸체의 끝단에 단순히 끼워지는 형태를 취하고 있으므로 작업 현장에서 쉽게 잃어 버리게되는 폐단도 있으며, 부품의 수가 많아 작업이 번거롭고 그에비해 견고하지 못하다는 문제가 여전히 남아있다.
또한 종래의 그것은 슬리브 몸체와 연결 슬리브를 몰탈타설을 위한 기초작업시 벽두께를 미리 설정하여 정밀하게 조립한후, 거푸집 사이에 고정하는 방식을 택하고 있어 기초공사의 지연을 초래하는 문제도 함께 내재하고 있었다.
본 고안자는 상기한 종래의 벽 배관보호용 슬리브가 갖는 제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벽체에 매립된 슬리브 몸체의 전면에서 연결슬리브와 밀폐링 및 조임링 조립체를 조립시공케 하는 기술을 개발하여 국내실용신안등록 출원제 제2005-7866호로 출원개시 함으로서 그 시공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하였고,
또한 슬리브몸체의 선단에 물끊기 턱을 형성시키고 타일링을 결합하여 마감작업의 용이함과 수분유입을 차단 할수 있는 건축물 벽 배관 보호용 슬리브를 제공한바 있다.
그러나, 상기한 본고안자의 선 출원고안에서는 벽체에 매립된 슬리브 몸체의 전면에서 연결슬리브와 밀폐링 및 조임링 조립체를 조립시공케 함으로서 작업성의 향상과 타일링의 채택 결합으로 인한 마감작업의 용이함과 수분유입의 차단효과를 얻게되는등의 이점은 충분히 얻을수 있었나, 이는 욕실과 거실 또는 욕실과방 등을 구획하는 욕실 벽면에 설치시에는 그 구조적인 특성상 적용하기가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야기되었다.
즉, 욕실의 바닥면은 그 구조적인 특성상 거실 또는 방과는 달리 콘크리트 슬라브에 방수층, 그 위에 타일몰탈층, 그리고 타일이 시공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음과 동시에 상기 타일몰탈층에 난방배관이 설치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음에 반하여, 상기 거실과 방 등은 슬라브 위에 기포콘크리트층이 시공됨과 동시에 그 위에 난방배관이 배열되고, 이어서 마감층으로 미장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욕실과 다른 실내와의 바닥면은 서로 차이가 나기 때문에 즉, 다른 실내의 바닥보다는 욕실 바닥이 50-70mm 정도 낮기 때문에 난방배관을 설치시 상기 단턱때문에 직선형으로 이루어지는 선출원 발명의 슬리브 구조를 적용하기는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욕실의 벽면은 내부의 방수처리 때문에 다른 벽면보다는 두께가 두껍게 구성되는 것이나, 이를 감안하지 않은 다른 벽면에 사용되는 슬리브를 그대로 사용할 수가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본 고안자의 선출원 고안이 갖는 한계를 극복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 된 것으로,
이를 제공하는 목적은 슬리브 몸체를 욕실과 다른 실내와의 단턱에서 오는 차이를 감안하여 일정 각도만큼 만곡되게 구성하면서 욕실측 전면에서 마감작업을 행할수 있게하여 더욱 안전하고 견고하면서 보온과 방수 기능을 부여함과 동시에 벽체의 두께에 따라 길이가 다른 슬리브몸체를 채택하여 매립, 사용하도록 하므로서 기초공사시의 작업시간을 최소화하고 그에 따른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하려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슬리브몸체의 선단에 물끊기 턱을 형성시키고 타일링을 결합하여 마감작업의 용이함과 수분유입을 차단 할수 있는 욕실 벽 배관 보호용 슬리브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더욱 명백 해질것이다.
즉,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4 에 도시된 바와같이,
배관(100)이 관통되고 내부에 나사(11)가 형성된 파이프 형의 슬리브몸체(1)와, 상기 슬리브몸체(1)의 일측에 나사결합되는 조임링(2)과, 그 조임링(2)의 선단에 위치하여 배관(100)과 압착 밀폐되는 밀폐링(3)으로 이루어진 통상의 건축물 벽 배관 보호용 슬리브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몸체(1)의 일측 선단은 확관 돌출된 물끊기턱(12)이 형성되고 그 내면측에 형성되는 나사부(11)의 후단에는 축관되어 걸림환턱(13)이 형성되며,
상기 슬리브몸체(1)의 외면 일측부에는 물끊기 기능을 갖는 후렌지(14)가 다수의 보강살(15)에 의해 지지되는 상태로 일체로 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후렌지부(14)를 시작으로 그 후방측이 상부를 향해 일정 각도로 완만하게 절곡되며, 그 후단은 수평상태로 연장형성 되고,
상기 슬리브몸체(1)의 내면에 형성된 나사부(11)에는 일측단에 후렌지(21)가 형성되고 내,외면부에 각각 나사부(22),(23)가 형성되며, 상기 내면측에 형성된 나사부(22)의 내측단에는 경사면(24)을 갖는 밀폐링수용부(25)가 외면측에 경사부(26)를 갖는채로 형성된 연결 슬리브(2)가 나사결합되되,
상기 연결 슬리브(2)의 타측에는 역경사면(27)을 갖는 끼움부(28)가 상기 경사부(26)와 일체로 되어 상기 끼움부(28)가 상기 슬리브몸체(1)의 내면에 끼워지면서 상기 경사부(26)의 외면 한단이 상기 슬리브몸체(1)의 일측 내면부에 형성된 걸림환턱(13)에 걸려 지지되고,
상기 연결슬리브(2)의 밀폐링수용부(25)에 형성된 경사면(24)에는 양측에 동일한 경사면(31),(32)이 형성된 밀폐링(3)의 한단이 당접되고,
상기 밀폐링(3)의 타측에 형성된 경사면(32)에는 선단에 경사면(41)이 형성된 조임링(4)이 연결슬리브(2)의 내면측 나사부(22)에 나사결합 되면서 지지 압착되어 이루어진다.
미설명 부호, 42는 조임링(4)의 선단에 형성된 다각형 조임용 돌턱, 5 는 뚜껑체, 6 은 보온단열재, 7 은 타일, 8 은 타일링, 34는 압지살, 200은 벽체, 201 은 기포콘크리트층, 202는 마감층, 203은 방수층, 204는 타일몰탈층, 205는 욕실바닥에 시공되는 타일을 각각 나타낸다.
이와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고안의 슬리브 몸체(1)는 규격화 되어 기 설정되어 있는 벽체(200)의 두께에 따라 다양하게 구비되어 있는 것중 하나를 채택하여 각 양단에는 뚜껑체(5)를 끼워 내부를 임시 밀폐시킨다.
이는 몰탈작업시 슬리브 몸체(1)의 내측으로 이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슬리브몸체(1)의 양단측에 벽체를 위한 거푸집을 설치하고, 상부에서 콘크리트 몰탈을 쳐 일정 양생기간을 경과한후 거푸집을 제거하면 되는데,
이때에는 완만하게 절곡된 슬리브 몸체(1)의 내부를 통과 할 배관의 종류나 높낮이를 감안하여 그 위치를 정확하게 고정하여 주어야만 한다.
거푸집을 제거하고 나면 임시 고정되어 있는 뚜껑체(5)를 용이하게 제거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뚜껑체(5)가 제거된 슬리브몸체(1)의 일측에 형성된 나사부(11)에 연결 슬리브(2)의 외측에 형성된 나사부(23)를 결합하여 조립하면 그 끼움부(28)가 슬리브 몸체(1)의 축관된 내면으로 끼워지면서 경사부(26)가 걸림환턱(13)에 걸려 더 이상 진입하지 못하는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연결 슬리브(2)의 끼움부(28) 내면에 형성된 역경사면(27)측으로부터 배관(100)을 인입시키게 되는데, 끼움부(28)의 선단에 형성된 역경사면(27)이 배관(100)의 원할한 통과를 위해 가이드 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거실과 욕실의 바닥차이가 나는 상태이므로 거실측으로부터 유입되는 배관(100)은 일정 각도로 만곡되어 있는 슬리브 몸체(1)를 역방향에서 진입시켜야만 함으로서 끼움부(28) 선단의 역경사면(27)이 지대한 가이드 역할을 하게 되어 그 인입작업이 매우 간편해지게 된다.
배관(100)이 내부에 인입되고 나면 그 타측의 슬리브몸체(1) 측으로 밀폐링(3)을 끼워 배관(100)의 외면에 당접시키고, 조임링(4)을 나사 결합하여 조여 주면 되는데,
이때 배관(100)의 외면에 끼워진 밀폐링(3)의 일측에 형성된 경사면(31)이 연결슬리브(2)의 내면에 형성된 밀폐링수용부(25)의 경사면(24)과 맞닿게 되고, 상기 밀폐링(3)의 타측에 형성된 경사면(32)은 조임링(4)의 끝단에 형성된 경사면(41)에 당접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조임링(4)을 더욱 조여주면 조임링(4)의 경사면(41)에 의해 밀폐링(3)이 변형되면서 내부로 밀려 들어가 연결슬리브(2) 내에 형성된 경사면(24)을 따라 더욱 조여지게 되고, 이와 동시에 밀폐링(3)이 길이방향으로 수축되고 상하방향으로 팽창되면서 배관(100)의 외면을 단단히 고정하게 된다.
또한 이때 상기 밀폐링(3)의 내면에 일체로 형성된 압지살(34)은 배관(100)의 외면에 직접 맞닿아 조임면적을 넓혀 줌으로서 그 파지력은 더욱 상승하게 되어 배관(100)이 전혀 유동되지 않고 단단한 조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조임링(4)의 내면과 슬리브몸체(1)의 내면측에 통상의 단열재(6)를 충진하여 그 작업을 마무리 하면 된다.
또한 상기의 단열재(6)의 충진작업이 마무리되고 나면 상기 슬리브몸체(1)의 일측 선단이 계단식으로 확관되어 그 외면 끝단에 물끊기턱(12)이 돌출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를 경계로 타일(7)을 부착하여 마감작업 하거나 혹은 타일링(8)을 끼워 마감함으로서 욕실 및 발코니등에 설치되는 경우, 수분이 이를 타고 흘러들어 슬리브의 내면으로 수분을 유입 시킬 우려를 없애줌으로서 마감작업의 용이함과 함께 타일(7)과 벽체 사이에 발생되었던 결로수등의 수분유입을 차단하는 이점이 있다.
이와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슬리브 몸체를 욕실과 다른 실내와의 단턱에서 오는 차이를 감안하여 일정 각도만큼 만곡되게 구성하면서 욕실측 전면에서 마감작업을 행할수 있게하여 더욱 안전하고 견고하면서 보온과 방수 기능을 부여함과 동시에 벽체의 두께에 따라 길이가 다른 슬리브몸체를 채택하여 매립, 사용하도록 하므로서 기초공사시의 작업시간을 최소화하고 그에 따른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었으며, 슬리브몸체의 선단에 물끊기 턱을 형성시키고 타일링을 결합하여 마감작업의 용이함과 수분유입을 차단 할수 있게 되는등의 여러 유용한 효과를 동시에 거둘수 있는 매우 유익한 고안임이 명백하다.
도 1 은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도 2 는 도 1 의 배면 분해사시도,
도 3 및 도 4 는 본 고안의 벽 배관 보호용 슬리브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5 는 본 고안의 설치 상태를 예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슬리브몸체,
2 : 연결슬리브,
3 : 밀폐링,
4 : 조임링,
11, 22, 23 : 나사부,
12 : 물끊기턱,
13 : 걸림환턱,
14, 21 : 후렌지,
15 : 보강살,
24, 31, 32, 41 : 경사면,
25 : 밀폐링 수용부,
26 : 경사부,
27 : 역경사면,
28 : 끼움부,

Claims (1)

  1. 배관(100)이 관통되고 내부에 나사(11)가 형성된 파이프 형의 슬리브몸체(1)와, 상기 슬리브몸체(1)의 일측에 나사결합되는 조임링(2)과, 그 조임링(2)의 선단에 위치하여 배관(100)과 압착 밀폐되는 밀폐링(3)으로 이루어진 통상의 건축물 벽 배관 보호용 슬리브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몸체(1)의 일측 선단은 확관 돌출된 물끊기턱(12)이 형성되고 그 내면측에 형성되는 나사부(11)의 후단에는 축관되어 걸림환턱(13)이 형성되며,
    상기 슬리브몸체(1)의 외면 일측부에는 물끊기 기능을 갖는 후렌지(14)가 다수의 보강살(15)에 의해 지지되는 상태로 일체로 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후렌지(14)부를 시작으로 그 후방측이 상부를 향해 일정 각도로 완만하게 절곡되며 그 후단은 수평상태로 연장형성 되고,
    상기 슬리브몸체(1)의 내면에 형성된 나사부(11)에는 일측단에 후렌지(21)가 형성되고 내,외면부에 각각 나사부(22),(23)가 형성되며, 상기 내면측에 형성된 나사부(22)의 내측단에는 경사면(24)을 갖는 밀폐링수용부(25)가 외면측에 경사부(26)를 갖는채로 형성된 연결 슬리브(2)가 나사결합되되,
    상기 연결 슬리브(2)의 타측에는 역경사면(27)을 갖는 끼움부(28)가 상기 경사부(26)와 일체로 되어 상기 끼움부(28)가 상기 슬리브몸체(1)의 내면에 끼워지면서 상기 경사부(26)의 외면 한단이 상기 슬리브몸체(1)의 일측 내면부에 형성된 걸림환턱(13)에 걸려 지지되고,
    상기 연결슬리브(2)의 밀폐링수용부(25)에 형성된 경사면(24)에는 양측에 동일한 경사면(31),(32)이 형성된 밀폐링(3)의 한단이 당접되고,
    상기 밀폐링(3)의 타측에 형성된 경사면(32)에는 선단에 경사면(41)이 형성된 조임링(4)이 연결슬리브(2)의 내면측 나사부(22)에 나사결합 되면서 지지 압착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 벽 배관 보호용 슬리브의 개선구조.
KR20-2005-0011495U 2005-04-25 2005-04-25 욕실 벽 배관 보호용 슬리브의 개선구조 KR2003911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1495U KR200391116Y1 (ko) 2005-04-25 2005-04-25 욕실 벽 배관 보호용 슬리브의 개선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1495U KR200391116Y1 (ko) 2005-04-25 2005-04-25 욕실 벽 배관 보호용 슬리브의 개선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1116Y1 true KR200391116Y1 (ko) 2005-08-01

Family

ID=43692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1495U KR200391116Y1 (ko) 2005-04-25 2005-04-25 욕실 벽 배관 보호용 슬리브의 개선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111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3346Y1 (ko) 2008-06-20 2011-04-22 정대영 벽체용 루프 드레인
KR102457234B1 (ko) * 2022-02-23 2022-10-20 주식회사 미래인더스트리 방수어셈블리가 구비된 수도계량기 보호통의 하부 방수구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3346Y1 (ko) 2008-06-20 2011-04-22 정대영 벽체용 루프 드레인
KR102457234B1 (ko) * 2022-02-23 2022-10-20 주식회사 미래인더스트리 방수어셈블리가 구비된 수도계량기 보호통의 하부 방수구조
KR102552139B1 (ko) 2022-02-23 2023-07-06 주식회사 미래인더스트리 방수어셈블리가 구비된 수도계량기 보호통의 하부 방수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98345A (ko) 급수배관용 엘보우 결합용 수압/고정플러그와마감보호부재의 구조 및 시공방법
KR200391116Y1 (ko) 욕실 벽 배관 보호용 슬리브의 개선구조
KR200396618Y1 (ko) 배관용 방수 슬리브
KR200421451Y1 (ko) 욕실 벽 배관 보호용 슬리브
EP1953439A2 (en) An assembly for terminating a flexible water pipe
KR100628805B1 (ko) 배관용 방수 슬리브
KR200396587Y1 (ko) 건축물 벽 배관 보호용 슬리브의 개선구조
KR200386846Y1 (ko) 건출물 벽배관 보호용 슬리브의 개선구조
KR200387063Y1 (ko) 건출물 벽배관 보호용 슬리브의 개선구조
KR200386857Y1 (ko) 건출물 벽배관 보호용 슬리브의 개선구조
KR200377943Y1 (ko) 욕실 벽 통과용 배관보호 슬리브
KR200386845Y1 (ko) 건출물 벽배관 보호용 슬리브의 개선구조
KR102231464B1 (ko) 난방배관슬리브
US1022155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stalling a floor drain
KR100516787B1 (ko) 욕실 벽 통과용 배관보호 슬리브 시공방법 및 그 슬리브
KR200390240Y1 (ko) 건축물 벽 배관 보호용 슬리브의 개선구조
KR100742403B1 (ko) 배수가 용이한 분배기
KR200396441Y1 (ko) 건축물 벽배관 보호용 슬리브의 개선구조
KR200325930Y1 (ko) 욕실 벽 통과용 배관보호 슬리브
KR102310064B1 (ko) 경사형 방수 슬리브
KR200383150Y1 (ko) 오수관 겸용 세면기 수전고정대
KR200427623Y1 (ko) 수전구 고정대
KR200495356Y1 (ko) 배관고정용 마감구를 갖는 관통슬리브
KR102209778B1 (ko) 하수 및 오수관용 내화충전 가변형 슬리브
KR100863982B1 (ko) 수전 연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51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