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1464B1 - 난방배관슬리브 - Google Patents

난방배관슬리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1464B1
KR102231464B1 KR1020190076860A KR20190076860A KR102231464B1 KR 102231464 B1 KR102231464 B1 KR 102231464B1 KR 1020190076860 A KR1020190076860 A KR 1020190076860A KR 20190076860 A KR20190076860 A KR 20190076860A KR 102231464 B1 KR102231464 B1 KR 1022314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pipe
sleeve
sleeve body
room
bathro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68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1184A (ko
Inventor
김명애
Original Assignee
(주)경동하이테크판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경동하이테크판매 filed Critical (주)경동하이테크판매
Priority to KR10201900768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1464B1/ko
Publication of KR202100011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11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14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14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2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 F24D3/14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incorporated in a ceiling, wall or floor
    • F24D3/141Tube mounting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48Special adaptations of floors for incorporating ducts, e.g. for heating or ventil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F16L5/10Sealing by using sealing rings or sleeves on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02Arrangement of mountings or supports for radia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2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 E04F2290/023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for hea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rchitectur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 Steam Or 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직육면체 형상을 가짐에 따라 별도의 콘크리트 타설없이도 상부에 조적벽이 용이하게 적층형성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부면에 곡면이 아닌 평면만 형성되어 방수층의 형성이 용이하면서도 완벽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난방배관슬리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난방배관슬리브는, 거실 또는 방을 통해 욕실로 인입되는 난방배관이 거실 또는 방과 욕실 사이의 단차에 대응되게 배열되도록 하는 난방배관슬리브에 있어서, 직육면체로 형성되는 슬리브본체와, 거실 또는 방 측에 대면되는 상기 슬리브본체의 일측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난방배관의 일측이 관통지지되는 제 1 파공부와, 욕실 측에 대면되는 상기 슬리브본체의 타측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난방배관의 타측이 관통지지되는 제 2 파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난방배관슬리브{Sleeve for heating pipe}
본 발명은 거실 또는 방을 통해 욕실로 인입되는 난방배관이 거실 또는 방과 욕실 사이의 단차에 상응하게 구배가 형성되게 배열되도록 하는 난방배관슬리브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직육면체 형상을 가짐에 따라 별도의 콘크리트 타설없이도 상부에 조적벽이 용이하게 적층형성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부면에 곡면이 아닌 평면만 형성되어 방수층의 형성이 용이하면서도 완벽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난방배관슬리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단독주택,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 및 빌딩 등에는 난방과 급수 등을 등에 사용되는 여러 종류의 배관이 건물의 벽을 관통하여 설치되고, 건축물의 벽을 관통하여 설치된 배관의 주위는 시멘트몰탈 등에 의해 기밀적으로 폐쇄된다.
이와 같이 건축물의 벽을 관통하며 설치되는 난방배관은 그 내부를 관류하는유체의 온도변화에 따라 수축 및 팽창이 반복적으로 일어나면서 피로파괴에 의한 균열이 유발되고, 이렇게 유발된 균열은 바로 난방배관을 관류하는 유체의 누수로 이어지면서 건물의 벽이 약해짐은 물론 난방배관이 용이하게 부식됨에 따라 사용수명이 단축되는 주된 요인이 되었다.
벽을 통과하는 난방배관의 누수없는 배열을 위해,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386846호(2005.06.16. 공고)에는 배관이 관통되고 내부에 나사가 형성된 파이프 형의 슬리브몸체와, 상기 슬리브몸체의 일측에 나사결합되는 조임링과, 그 조임링의 선단에 위치하여 배관과 압착 밀폐되는 밀폐링으로 이루어진 통상의 건축물 벽 배관 보호용 슬리브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몸체의 일측 내면에 형성되는 나사부의 후단에는 축관되어 일정길이를 갖고 그 끝단에 경사면이 형성된 밀폐링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슬리브몸체의 타측에는 선단에 역경사면이 형성된 끼움부와 그 외면에 지지링이 일정간극을 유지한 채 플랜지에 의해 연장형성되며, 상기 끼움부에는 일측내면에 끼움홈이 형성되고, 그 외면과 타측단 외면부에 각각 후렌지부가 다수개의 보강살과 일체로 된 연결슬리브가 끼워져 이루어지되, 상기 연결 슬리브는 벽체의 두께에 따라 그 길이가 일치되는 것으로 교체 설치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벽 배관 보호용 슬리브의 개선구조가 개시된다.
한편, 욕실의 바닥면은 그 구조적인 특성상 거실 또는 방과는 달리 콘크리트슬래브 상에 방수층, 몰탈층 및 타일이 차례로 적층시공되고 몰탈층에 난방배관이 설치되는 구조를 가지는 반면에, 거실과 방 등의 바닥면은 콘크리트슬래브 상에 몰탈층을 적층하고 난방배관을 배열된 다음 다시 몰탕층에 의해 마감되는 구조를 가진다.
특히 욕실의 바닥면은 거실 또는 방의 바닥면에 비해 50 내지 70mm 정도 낮게 형성되어 일종의 단턱이 형성됨에 따라, 난방배관의 설치시에 욕실과 거실 또는 방의 바닥면의 높이차로 인한 단턱으로 인해 전술한 직선형 슬리브는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직선형 슬리브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04-0105893호(2004.12.17. 공개)에는 건축물의 벽면에 관통되게 설치되어 배관을 보호토록 하는 슬리브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는 경사지게 절곡구비되면서 내부가 관통되는 파이프형으로 형성되고 양측단부의 외주연상에는 외향 돌출되는 결합돌기가 각각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안내관과; 상기 안내관의 일측에 결합되고 전단의 외주연에 보강플랜지 및 일측은 좁고 타측은 넓은 간격의 면을 가지는 지지턱이 일체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패킹, 압착링 및 밀폐부재가 나사결합되어 기밀을 유지토록 하는 경사면이 형성되며, 후면의 내경에는 양측으로 결합홈이 형성되면서 안내관이 삽입체결되는 결합소켓과; 상기 안내관의 타측에 결합되고 약간 절곡되는 파이프형으로 형성되면서 전단에는 안내관과 결합되는 결합플랜지가 형성됨과 동시에 그 내경에는 안내관의 결합돌기와 억지끼움식으로 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되는 연결소켓과; 상기 결합소켓 및 연결소켓에 각각 억지끼움식으로 개폐가능토록 체결되고 소정위치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유통공이 천공되는 마개와; 상기 안내관과 결합소켓 및 연결소켓의 사이에 선택적으로 체결되고, 욕실벽면의 두께와 바닥면의 높낮이에 따라 길이와 높이를 조절토록 하는 길이조절관을 갖추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 벽 통과용 배관보호 슬리브가 개시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난방배관슬리브의 경우에는 원형링 형태의 횡딘면을 가지는 관 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욕실과 거실 또는 방 사이에 통상 조적벽을 적층형성함에 있어서 별도의 콘크리트 타설 과정이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외부 곡면으로 인해 벽을 관통하여 설치된 난방배관의 주위에 방수층을 형성하기 어려움 문제점이 있었다.
1.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386846호(2005.06.16. 공고) 2.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04-0105893호(2004.12.17. 공개)
따라서 본 발명은 직육면체 형상을 가짐에 따라 별도의 콘크리트 타설없이도 상부에 조적벽이 용이하게 적층형성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부면에 곡면이 아닌 평면만 형성되어 방수층의 형성이 용이하면서도 완벽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난방배관슬리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거실 또는 방을 통해 욕실로 인입되는 난방배관이 거실 또는 방과 욕실 사이의 단차에 대응되게 배열되도록 하는 난방배관슬리브에 있어서, 직육면체로 형성되는 슬리브본체와, 거실 또는 방 측에 대면되는 상기 슬리브본체의 일측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난방배관의 일측이 관통지지되는 제 1 파공부와, 욕실 측에 대면되는 상기 슬리브본체의 타측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난방배관의 타측이 관통지지되는 제 2 파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배관슬리브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슬리브본체는, 일측에는 상기 제 1 파공부가 형성되고 타측은 개방형성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타측에 일체로 결합되면서 상기 본체부를 폐쇄하고 상기 제 2 파공부가 형성되는 커버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슬리브본체 상에는 조적벽이 적층되고, 상기 본체부 내에는 조적벽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격벽이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 1 파공부는 상기 슬리브본체의 일측 상부로부터 내측으로 함입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슬리브본체의 일측 상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 1 파공부에는 상기 난방배관의 일측을 상기 제 1 파공부에 수밀적으로 관통결합시키는 배관고정유닛이 결합되고, 상기 배관고정유닛은 상기 난방배관의 일측 둘레에 끼워지고 상기 제 1 파공부 내에 지지되는 패킹링과, 상기 난방배관의 일측 둘레에 끼워지고 상기 패킹링에 밀착되는 와셔와, 상기 난방배관의 일측 둘레에 끼워지고 상기 제 1 파공부에 체결고정되면서 상기 와셔를 통해 상기 패킹링을 가압하는 연결링을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 1 파공부의 내주면에는 가이드홈이 일정각도 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링의 외주면에는 가압 및 일정각도의 회전에 의해 상기 가이드홈에 맞물려지는 걸림돌기가 일정각도 간격으로 돌출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 1 파공부의 내주면에는 암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링의 외주면에는 나사결합에 의해 상기 암나사산에 맞물려지는 수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난방배관슬리브는, 슬리브본체가 직육면체 형상을 가짐에 따라 별도의 콘크리트 타설없이도 상부에 조적벽이 용이하게 적층형성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는 슬리브본체의 외부면에는 곡면이 아닌 평면만 형성됨에 따라, 수직평면으로 형성되는 양측면에 방수층이 용이하면서도 완벽하게 형성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는 슬리브본체의 내측에는 지지격벽이 형성됨에 따라 슬리브본체의 상부면에 적층되는 조적벽의 하중이 용이하게 지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방배관슬리브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방배관슬리브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방배관슬리브의 또 다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방배관슬리브의 사용상태도.
도 5는 도 4의 A부분의 확대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방배관슬리브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방배관슬리브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방배관슬리브의 또 다른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방배관슬리브의 사용상태도이고, 도 5는 도 4의 A부분의 확대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방배관슬리브는 거실 또는 방을 통해 욕실로 인입되는 난방배관이 거실 또는 방과 욕실 사이의 단차에 대응되게 배열되도록 하는 난방배관슬리브에 있어서, 직육면체로 형성되는 슬리브본체와, 거실 또는 방 측에 대면되는 상기 슬리브본체의 일측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난방배관의 일측이 관통지지되는 제 1 파공부와, 욕실 측에 대면되는 상기 슬리브본체의 타측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난방배관의 타측이 관통지지되는 제 2 파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부터는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방배관슬리브(1)의 구성요소들과 그 구성요소 간의 관계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방배관슬리브(1)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거실 또는 방을 통해 욕실로 인입되는 난방배관(2)이 거실 또는 방과 욕실 사이의 단차에 대응되게 배열되도록 하는 것으로, 크게 직육면체로 형성되는 슬리브본체(10)와, 슬리브본체(10)의 일측 상부에 형성되는 제 1 파공부(20)와, 슬리브본체(10)의 타측 하부에 형성되는 제 2 파공부(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슬리브본체(10)는 난방배관(2)이 거실 또는 방과 욕실 사이의 단차에 대응되게 배열되도록 유도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방배관슬리브(1)의 하우징을 형성하는 것으로, 전체적으로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전면, 후면, 양 측면, 상부면 및 하부면이 모두 평면으로 형성되는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거실 또는 방과 욕실 사이에 설치되고 그 상부면에는 조적벽(3)이 적층된다.
특히 슬리브본체(10)는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일측에는 제 1 파공부(20)가 형성되고 타측은 개방형성되는 본체부(11)와, 본체부(11)의 타측에 일체로 결합되면서 본체부(11)를 폐쇄하고 제 2 파공부(30)가 형성되는 커버부(12)를 포함하는 구조를 가진다.
또한 본체부(11) 내에는 지지격벽(13)이 형성된다. 지지격벽(13)은 슬리브본체(10)의 상부면에 적층되는 조적벽(3)의 하중에도 불구하고 슬리브본체(10)의 강성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하단이 슬리브본체(10)의 내측 상하부면에 고정되는 수직판의 형태로 형성 가능하다.
거실 또는 방 측에 대면되는 슬리브본체(10)의 일측 상부에는 제 1 파공부(20)가 형성된다. 제 1 파공부(20)는 욕실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바닥면을 가지는 거실 또는 방 측에서 유입되는 난방배관(2)의 일측이 수밀적으로 관통지지되는 부분으로, 슬리브본체(10)의 일측 상부에 동일 높이로 다수개, 특히 2개가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파공부(2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슬리브본체(10)의 일측 상부로부터 내측으로 함입형성되거나 또는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슬리브본체(10)의 일측 상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욕실 측에 대면되는 슬리브본체(10)의 타측, 다시 말해서 커버부(12)의 하부에는 제 2 파공부(30)가 형성된다. 제 2 파공부(30)는 거실 또는 방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바닥면을 가지는 욕실 측으로 빠져나가는 난방배관(2)의 타측이 관통지지되는 부분으로, 슬리브본체(10)의 타측 하부에 동일 높이로 다수개, 특히 2개가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파공부(30)에는 난방배관(2)의 타측이 관통된 상태로 연결고정되도록 하는 별도의 마감구가 결합될 수 있으며, 이러한 마감구는 난방배관(2)의 타측에 대해 외부 양측에서 결합되도록 반분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제 1 파공부(20)에는 난방배관(2)의 일측을 제 1 파공부(20)에 수밀적으로 관통결합시키는 배관고정유닛(40)이 결합된다.
이러한 배관고정유닛(40)은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난방배관(2)의 일측 둘레에 끼워지고 제 1 파공부(20) 내에 지지되면서 난방배관(2)의 일측과 제 1 파공부(20) 사이의 틈을 수밀적으로 폐쇄하는 패킹링(41)과, 난방배관(2)의 일측 둘레에 끼워지고 패킹링(41)에 밀착되는 와셔(42)와, 난방배관(2)의 일측 둘레에 끼워지고 제 1 파공부(20)에 체결고정되면서 와셔(42)를 통해 패킹링(41)을 가압하는 연결링(43)을 포함한다.
이 때 패킹링(41)과 와셔(42)는 난방배관(2)의 일측 둘레에 끼워질 수 있도록 완전한 원을 형성하지 않고 원의 일지점이 절단된 형상을 가지고, 연결링(43)은 난방배관(2)의 일측에 대해 외부 양측에서 결합되도록 반분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1 파공부(20)에 대한 연결링(43)의 삽입결합을 위해,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 1 파공부(20)의 내주면에는 가이드홈(21)이 일정각도 간격으로 형성되고, 제 1 파공부(20)에 삽입결합되는 연결링(43)의 외주면에는 가압 및 일정각도의 회전에 의해 가이드홈(21)에 맞물려지는 걸림돌기(44)가 일정각도 간격으로 돌출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1 파공부(20)에 대한 연결링(43)의 삽입결합을 위해,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 1 파공부(20)의 내주면에는 암나사산(22)이 형성되고, 제 1 파공부(20)에 삽입결합되는 연결링(43)의 외주면에는 나사결합에 의해 암나사산(22)에 맞물려지는 수나사산(45)이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방배관슬리브(1)의 설치 순서와 전체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통상적으로 거실 또는 방 등의 바닥면은 콘크리트슬래브(6) 상에 몰탈층(8)이 적층된 후 난방배관(2)이 배열된 다음 다시 몰탈층(8)에 의해 마감되는 반면에, 욕실의 바닥면은 거실 또는 방의 바닥면과는 달리 콘크리트슬래브(6) 상에 방수층(4), 몰탈층(8)이 차례로 적층된 후 난방배관(2)이 배열된 다음 다시 몰탈층(8)으로 덮여진 후 최종적으로 타일로 마감되는 구조를 가진다. 이 때 욕실의 바닥면은 거실 또는 방의 바닥면에 비해 50 내지 70mm 정도 낮게 형성되어 일종의 단턱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방배관슬리브(1)는 난방배관(2)의 배열을 위해 전술한 구조적 차이에 의해 형성되는 거실 또는 방과 욕실 사이의 단턱에 설치된다.
이 경우에 우선 절단지점을 이용하여 패킹링(41)과 와셔(42)를 강제적으로 벌려 난방배관(2)의 일측 외주면에 끼워넣고 반분할된 연결링(43)을 난방배관(2)의 일측에 대해 외측에서 결합한 상태에서, 난방배관(2)을 슬리브본체(10)의 본체부(11)에 형성된 제 1 파공부(20) 내로 관통시킨 후, 슬리브본체(10)의 커버부(12)에 형성된 제 2 파공부(30)를 관통시킨 다음, 슬리브본체(10)의 본체부(11)에 커버부(12)를 고정시킨다.
그 다음에 연결링(43)을 가압하여 일정각도로 회전시킴으로써 연결링(43)에 형성된 걸림돌기(44)가 제 1 파공부(20)의 가이드홈(21)에 걸려지도록 하거나 또는 연결링(43)을 수회 회전시킴으로써 연결링(43)에 형성된 수나사산(45)이 제 1 파공부(20)에 형성된 암나사산(22)에 나사결합되도록 한 다음, 난방배관(2)의 타측에 끼워지는 별도의 마감구(미도시)를 이용하여 난방배관(2)의 타측을 제 2 파공부(30)에 관통고정시킨다. 이 때 슬리브본체(10) 내에는 별도의 난방배관이 제 1 파공부(20)와 제 2 파공부(30) 사이에 연결된다.
그 다음에는 슬리브본체(10)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방수층(4)을 각각 형성한 후, 몰탈층(8)으로 난방배관(2)을 매립고정하고, 슬리브본체(10)의 상부면에 조적벽(3)을 적층하면 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방배관슬리브(1)의 경우에는, 슬리브본체(10)가 6개의 평면만 가지는 직육면체 형상을 가짐에 따라 별도의 콘크리트 타설없이도 상부에 조적벽(3)이 용이하게 적층형성될 수 있고, 특히 수직평면으로 형성되는 슬리브본체(10)의 양측면에 방수층(4)이 용이하면서도 완벽하게 형성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는 슬리브본체(10)의 내측에는 지지격벽(15)이 형성됨에 따라 슬리브본체(10)의 상부면에 적층되는 조적벽(3)의 하중이 용이하게 지지될 수 있다.
위에서 몇몇의 실시예가 예시적으로 설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이 이의 취지 및 범주에서 벗어남 없이 다른 여러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따라서 상술 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닌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며, 첨부된 청구항 및 이의 동등 범위 내의 모든 실시에는 본 발명의 범주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 ; 난방배관슬리브
2 : 난방배관
3 : 조적벽
4 : 방수층
6 : 콘크리트슬래브
8 : 몰탈층
10 : 슬리브본체
11 : 본체부
12 : 커버부
13 : 지지격벽
20 : 제 1 파공부
21 : 가이드홈
22 : 암나사산
30 : 제 2 파공부
40 : 배관고정유닛
41 : 패킹링
42 : 와셔
43 : 연결링
44 : 걸림돌기
45 : 수나사산

Claims (7)

  1. 거실 또는 방을 통해 욕실로 인입되는 난방배관(2)이 거실 또는 방과 욕실 사이의 단차에 대응되게 배열되도록 하는 난방배관슬리브에 있어서,
    직육면체로 형성되는 슬리브본체(10);
    거실 또는 방 측에 대면되는 상기 슬리브본체(10)의 일측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난방배관(2)의 일측이 관통지지되는 제 1 파공부(20); 및
    욕실 측에 대면되는 상기 슬리브본체(10)의 타측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난방배관(2)의 타측이 관통지지되는 제 2 파공부(30)를 포함하고,
    상기 슬리브본체(10)는 일측에는 상기 제 1 파공부(20)가 형성되고 타측은 개방형성되는 본체부(11)와, 상기 본체부(11)의 타측에 일체로 결합되면서 상기 본체부(11)를 폐쇄하고 상기 제 2 파공부(30)가 형성되는 커버부(12)를 포함하되,
    슬리브본체(10) 상에는 조적벽(3)이 적층되고, 슬리브본체(10)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방수층(4)을 각각 형성하며, 상기 본체부(11) 내에는 조적벽(3)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격벽(13)이 형성되며,
    상기 제 1 파공부(20)에는 상기 난방배관(2)의 일측을 상기 제 1 파공부(20)에 수밀적으로 관통결합시키는 배관고정유닛(40)이 결합되고,
    상기 배관고정유닛(40)은 상기 난방배관(2)의 일측 둘레에 끼워지고 상기 제 1 파공부(20) 내에 지지되는 패킹링(41)과, 상기 난방배관(2)의 일측 둘레에 끼워지고 상기 패킹링(41)에 밀착되는 와셔(42)와, 상기 난방배관(2)의 일측 둘레에 끼워지고 상기 제 1 파공부(20)에 체결고정되면서 상기 와셔(42)를 통해 상기 패킹링(41)을 가압하는 연결링(4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배관슬리브.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파공부(20)는 상기 슬리브본체(10)의 일측 상부로부터 내측으로 함입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슬리브본체(10)의 일측 상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배관슬리브.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파공부(20)의 내주면에는 가이드홈(21)이 일정각도 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링(43)의 외주면에는 가압 및 일정각도의 회전에 의해 상기 가이드홈(21)에 맞물려지는 걸림돌기(44)가 일정각도 간격으로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배관슬리브.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파공부(20)의 내주면에는 암나사산(22)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링(43)의 외주면에는 나사결합에 의해 상기 암나사산(22)에 맞물려지는 수나사산(45)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배관슬리브.
KR1020190076860A 2019-06-27 2019-06-27 난방배관슬리브 KR1022314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6860A KR102231464B1 (ko) 2019-06-27 2019-06-27 난방배관슬리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6860A KR102231464B1 (ko) 2019-06-27 2019-06-27 난방배관슬리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1184A KR20210001184A (ko) 2021-01-06
KR102231464B1 true KR102231464B1 (ko) 2021-03-24

Family

ID=741286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6860A KR102231464B1 (ko) 2019-06-27 2019-06-27 난방배관슬리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146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5950B1 (ko) * 2021-01-18 2023-01-09 (주)우성에스케이에스 급수관 벽체 고정장치 및 그 시공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5434Y1 (ko) 2002-11-19 2003-02-26 해성공영주식회사 에어컨 배관용 바닥형 슬리브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9176B1 (ko) * 2002-02-14 2004-09-18 (주) 티피씨 메카트로닉스 회전식 튜브 연결구
KR100516787B1 (ko) 2003-06-09 2005-09-26 김대현 욕실 벽 통과용 배관보호 슬리브 시공방법 및 그 슬리브
KR200386846Y1 (ko) 2005-03-22 2005-06-16 주식회사 효성케미칼 건출물 벽배관 보호용 슬리브의 개선구조
KR20160001364U (ko) * 2014-10-17 2016-04-27 김대현 배관 보호용 슬리브
KR20160002651U (ko) * 2015-01-21 2016-07-29 함완식 이중관 수전 연결부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5434Y1 (ko) 2002-11-19 2003-02-26 해성공영주식회사 에어컨 배관용 바닥형 슬리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1184A (ko) 2021-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89504B2 (en) Fire protection module
US6792726B1 (en) Presealed system
US7374210B2 (en) Hydro penetration prevention sleeve
KR100992051B1 (ko) 급수배관용 엘보우 결합용 수압/고정플러그와마감보호부재의 구조 및 시공방법
KR102231464B1 (ko) 난방배관슬리브
KR200396618Y1 (ko) 배관용 방수 슬리브
JP6463208B2 (ja) 排水配管構造およびその施工方法
KR100516787B1 (ko) 욕실 벽 통과용 배관보호 슬리브 시공방법 및 그 슬리브
KR20080076267A (ko) 벽체 매립 상자
KR100906762B1 (ko) 배관 연결용 슬리브조립체
KR200325930Y1 (ko) 욕실 벽 통과용 배관보호 슬리브
KR100886360B1 (ko) 벽체 매립형 수전장치 및 벽체 매립형 수전장치용 챔버
KR102310064B1 (ko) 경사형 방수 슬리브
KR101458519B1 (ko) 층상 매립형 이중 배수배관 연결 장치
KR200391116Y1 (ko) 욕실 벽 배관 보호용 슬리브의 개선구조
KR200377943Y1 (ko) 욕실 벽 통과용 배관보호 슬리브
KR100886361B1 (ko) 벽체 매립형 수전함
KR200387063Y1 (ko) 건출물 벽배관 보호용 슬리브의 개선구조
KR100862333B1 (ko) 아파트 층고를 절감하기 위한 스프링클러 배관 구조 및이에 사용되는 슬리브
KR200386857Y1 (ko) 건출물 벽배관 보호용 슬리브의 개선구조
KR20210139046A (ko) 경사형 방수 슬리브
JP4547303B2 (ja) 耐火二層管継手
KR200325927Y1 (ko) 건축물 벽 배관 보호용 슬리브
KR200386845Y1 (ko) 건출물 벽배관 보호용 슬리브의 개선구조
JP6799194B2 (ja) 排水配管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