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8519B1 - 층상 매립형 이중 배수배관 연결 장치 - Google Patents

층상 매립형 이중 배수배관 연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8519B1
KR101458519B1 KR1020130118615A KR20130118615A KR101458519B1 KR 101458519 B1 KR101458519 B1 KR 101458519B1 KR 1020130118615 A KR1020130118615 A KR 1020130118615A KR 20130118615 A KR20130118615 A KR 20130118615A KR 101458519 B1 KR101458519 B1 KR 1014585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trap
pipe
drain pipe
trap
bottom dr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86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상철
Original Assignee
정일테크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일테크 (주) filed Critical 정일테크 (주)
Priority to KR10201301186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85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85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85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22Pipe-line systems for waste water in building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7Floor drains for indoor u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1/00Hoses, i.e. flexible pipes
    • F16L11/04Hoses, i.e. flexible pipes made of rubber or flexible plastics
    • F16L11/11Hoses, i.e. flexible pipes made of rubber or flexible plastics with corrugated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56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for double-walled or multi-channel pipes or pipe assemblies

Abstract

본 발명은 층상 매립형 이중 배수배관 연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입상 배수배관이 인접하게 설치되는 제1 수전 사용 공간의 바닥 슬라브 상에 매립 설치되며 상기 입상 배수배관을 통해 배수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바닥배수트랩과 상기 입상 배관배수관으로부터 떨어진 제2 수전 사용 공간의 바닥 슬라브 상에 층상 매립 설치되는 제2 바닥배수트랩의 배수관 연결부에 각각 양측 단부가 끼워져 바닥 슬라브 상에 층상 매립 설치되는 경질 외관; 상기 경질 외관 내부에 끼워져 상기 제1 바닥배수트랩과 상기 제2 바닥배수트랩을 연결하는 연질 주름관: 및 상기 제1 바닥배수트랩 및 상기 제2 바닥배수트랩 내에서 상기 연결 주름관의 양측 단부에 각각 나사 결합되며, 상기 경질 외관 내부에서 상기 연질 주름관을 잡아 당겨 수평 인장시킨 상태로 상기 제1 바닥배수트랩과 상기 제2 바닥배수트랩의 배수관 연결부에 끼워져 밀폐 고정시키는 패킹 블록;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이를 통한 생활하수의 배수 성능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악취 발생의 원인이 되는 물고임 현상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층상 매립형 이중 배수배관 연결 장치{Device For Connecting Double Drainpipe Embedded On Slab}
본 발명은 층상 매립형 이중 배수배관 연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층간 바닥 슬라브 상에 매립 설치되는 수평 배수배관을 이중 배관 형태로 고정 설치하기 위한 층상 매립형 이중 배수배관 연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국내 주택산업의 경우 좁은 국토의 특성 그리고 도시의 인구집중 현상으로 인하여 아파트 건물과 같은 고층 철근콘크리트 구조의 공동주택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공동주택은 획일적으로 시공되는 특성상 주거환경과 생활문화의 변화에 쉽게 대응할 수 없고, 또 건물의 노후화에 따른 주거, 설비, 구조적 측면에서 발생되는 결함에 대해서도 적절하게 대응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다.
종래, 공동 주택의 생활하수 및 양변기 오수를 배출하기 위해 설치되는 배수관은 배수성을 위한 설치 높이 확보를 위해 층간 바닥면을 이루는 바닥 슬라브를 관통하여 하층의 천정을 따라 연장 설치되는 층하 배관 방식으로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상기한 층하 배관 방식의 경우 배수배관을 통해 상층의 배수 소음뿐만 아니라 생활소음 등이 바닥 슬라브의 천공 부분을 통해 그대로 하층으로 전달되어 세대간 독립성을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층간 소음 분쟁의 원인이 되기도 하며, 누수 발생시 하층 세대의 피해를 확대시킬 뿐만 아니라 화재시 유독 가스가 유입되도록 하는 단점을 갖는다.
상기한 층하 배관 방식의 단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 들어서는 배수배관의 설치를 필요로 하는 화장실 등의 바닥 슬라브를 기준 바닥 슬라브보다 다운시켜 수평배수배관의 설치에 필요한 깊이를 층상에 확보할 수 있게 하는 층상 배관 방식이 제안되어 현재 적용되고 있다.
특히, 1991년 내진 설계를 시작한 이후부터 재건축이 아닌 리모델링을 통한 100년 주택을 건축하고자 하는 장수명주택안에 채택되어 적용됨에 따라 고층아파트의 중간층을 개별적 리모델링이 가능한 가변형 벽체로 설계하더라도 종래 층하 배관이 적용됨에 따라 리모델링시 평면적인 제약을 가질 뿐만 아니라 천정을 관통한 상층 화장실 배수배관이 하층의 침실이나 거실에 위치할 수 있어 층간 바닥면의 슬라브 다운을 통한 층상 배관의 필요성이 더더욱 높아지고 있다.
한편, 화장실, 샤워부스 등의 옥내 주요 수전 사용 공간들의 경우 수직 입상 배수배관에 인접하게 구획하여 이를 층상 배관 방식으로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바닥배수트랩을 통해 생활하수를 배출하도록 한다.
그러나, 수직 입상 배수배관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위치하거나 세탁실이나 스프레이 건을 사용하는 화분 식재 베란다와 같이 조적벽이나 바닥 높이 차를 두고 별도 구획되는 보조 수전 사용 공간의 경우 상기 수직 입상배수배관에 인접하게 형성되는 주요 수전 사용 공간의 상기 바닥배수트랩에 연결하는 연결 배수배관을 설치하여 이를 통해 발생된 생활하수를 배출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한 연결 배수배관을 층상 배관 형태로 바닥 슬라브 상에 추가 매립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 개정된 건축법의 규정에 따라 이중관 형태로 사용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종래 사용된 층상 매립형 이중 배수배관의 경우 시공성을 높이기 위해 바닥배수트랩 사이를 연결하도록 설치된 경질 외관 내에 연질 주름관을 삽입하여 사용해 왔다.
그러나, 종래 층상 매립형 이중 배수배관(500)의 경우,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질 주름관(520)을 경질 외관(510) 내에 삽입한 이후 재단된 양단부를 패킹 부재(530)를 경질 외관(510) 내에 밀어 넣어 마감 처리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한 종래 층상 매립형 이중 배수배관(500)의 경우 연질 주름관(520)이 경질 외관(510) 내에서 웨이브 형태를 이루며 굴곡지게 형성되어 이를 통해 배수되는 생활하수의 배수 성능을 저하시키게 되거나 굴곡진 부분의 물고임에 의한 악취가 발생하게 되는 단점을 가지게 된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건축물의 층간 바닥 슬라브 상에서 이중 배관 형태로 연결 배수배관을 매립 설치시, 경질 외관 내에 설치되는 연질 주름관의 양단부를 잡아 당겨 팽팽하게 수평 인장된 상태로 고정 설치되도록 하여 이를 통한 생활하수의 배수 성능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악취 발생의 원인이 되는 물고임 현상 등을 방지할 수 있는 층상 매립형 이중 배수배관 연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층상 매립형 이중 배수배관 연결 장치는, 입상 배수배관이 인접하게 설치되는 제1 수전 사용 공간의 바닥 슬라브 상에 매립 설치되며 상기 입상 배수배관을 통해 배수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바닥배수트랩과 상기 입상 배관배수관으로부터 떨어진 제2 수전 사용 공간의 바닥 슬라브 상에 층상 매립 설치되는 제2 바닥배수트랩의 배수관 연결부에 각각 양측 단부가 끼워져 바닥 슬라브 상에 층상 매립 설치되는 경질 외관; 상기 경질 외관 내부에 끼워져 상기 제1 바닥배수트랩과 상기 제2 바닥배수트랩을 연결하는 연질 주름관: 및 상기 제1 바닥배수트랩 및 상기 제2 바닥배수트랩 내에서 상기 연결 주름관의 양측 단부에 각각 나사 결합되며, 상기 경질 외관 내부에서 상기 연질 주름관을 잡아 당겨 수평 인장시킨 상태로 상기 제1 바닥배수트랩과 상기 제2 바닥배수트랩의 배수관 연결부에 끼워져 밀폐 고정시키는 패킹 블록;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패킹 블록은 내측에 상기 연질 주름관이 끼워져 나사 결합되게 나사 체결공이 관통 형성되고, 외측이 상기 제1 바닥배수트랩과 상기 제2 바닥배수트랩의 상기 배수관 연결부 내에 끼워져 밀폐 결합시키도록 일측으로 테이퍼지게 경사외주면을 이루며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패킹 블록은 내측에 상기 연질 주름관이 끼워져 나사 결합되게 나사 체결공이 관통 형성되고, 외측이 상기 제1 바닥배수트랩과 상기 제2 바닥배수트랩의 상기 배수관 연결부에 끼워져 밀폐 결합되도록 상기 배수관 연결부의 사이즈에 대응되게 적어도 2개 이상의 단차부를 이루며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패킹 블록은 내측에 상기 연질 주름관이 끼워져 나사 결합되게 나사 체결공이 관통 형성되고, 외측이 상기 제1 바닥배수트랩과 상기 제2 바닥배수트랩의 상기 배수관 연결부 내에 일측이 끼워져 밀폐 결합되도록 상기 배수관 연결부의 사이즈에 대응되게 적어도 2개 이상의 단차부를 이루며 형성되되, 상기 각 단차부들이 일측으로 테이퍼지며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본 발명의 층상 매립형 이중 배수배관 연결 장치에 따르면, 패킹 블록을 통해 상기 제1 바닥배수트랩 및 상기 제2 바닥배수트랩 내에서 상기 연결 주름관의 양측 단부에 각각 나사 결합되며, 상기 경질 외관 내부에서 상기 연질 주름관을 잡아 당겨 수평 인장시킨 상태로 상기 제1 바닥배수트랩과 상기 제2 바닥배수트랩의 배수관 연결부에 끼워져 밀폐 고정시키도록 하여 이를 통한 생활하수의 배수 성능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악취 발생의 원인이 되는 물고임 현상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층상 매립형 이중 배수배관 연결 장치의 적용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층상 매립형 이중 배수배관 연결 장치를 확대 도시한 측단면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제1 바닥배수트랩쪽의 체결 상태를 도시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2의 제2 바닥배수트랩쪽의 체결 상태를 도시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2의 층상 매립형 이중 배수배관 연결 장치의 패킹 블록을 분리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층상 매립형 이중 배수배관 연결 장치의 체결 상태를 도시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한 층상 매립형 이중 배수배관 연결 장치의 패킹 블록을 분리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층상 매립형 이중 배수배관 연결 장치의 체결 상태를 도시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한 층상 매립형 이중 배수배관 연결 장치의 패킹 블록을 분리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10은 종래 이중 배수배관 연결 장치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층상 매립형 이중 배수배관 연결 장치의 적용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의 층상 매립형 이중 배수배관 연결 장치(100)는 수직 입상 배수배관(71)이 인접하게 설치되는 제1 수전 사용 공간(10)의 바닥 슬라브(5) 상에 매립 설치되며 상기 수직 입상 배수배관(71)을 통해 배수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바닥배수트랩(11)과 상기 수직 입상 배관배수관(71)으로부터 떨어진 제2 수전 사용 공간(20)의 바닥 슬라브(5) 상에 매립 설치되는 제2 바닥배수트랩(21)의 배수관 연결부(12, 22)를 이중 배관 형태로 연결하며 바닥 내에 매립 설치되게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제1 수전 사용 공간(10)은 샤워 부스, 세면기, 양변기 등의 주요 수전들이 설치되는 주요 수전 사용 공간을 의미하며, 제2 수전 사용 공간(20)은 제1 수전 공간(10)으로부터 조적벽체 또는 바닥 높이 등을 달리하여 별도로 구획되는 화분 식재 등을 위한 발코니 공간이나 세탁기가 설치되는 세탁 공간 등을 포함하는 부수 수전 상용 공간을 의미한다.
따라서, 제2 수전 사용 공간(20)으로부터 발생한 생활 하수는 제2 바닥배수트랩(21)으로부터 제1 수전 사용 공간(10)의 제1 바닥배수트랩(11)을 연결하도록 슬라브 바닥(5) 상에 매립 설치되는 이중 배수배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도 2는 도 1의 층상 매립형 이중 배수배관 연결 장치를 확대 도시한 측단면 확대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의 층상 매립형 이중 배수배관 연결 장치(100)는 경질 외관(30), 연질 주름관(40) 및 두 개의 패킹 블록(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경질 외관(30)은 상기한 제1 바닥배수트랩(11)과 제2 바닥배수트랩(21)의 배수관 연결부(12, 22)에 양측 단부가 각각 끼워져 이들 사이를 1차 연결하도록 한다.
여기서, 경질 외관(30)은 매립 콘크리트로부터 직접적인 물성 변화를 방지하도록 하고, 내부로 매립 하중이 전달되는 것을 막아 상기한 연질 주름관(40)의 설치 공간을 확보하도록 함과 아울러 연질 주름관(40)을 통한 배수 공간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도면중 미설명 부호 6은 수평 배수배관들(72)의 층상 매립을 위해 타설되는 경량 기포 콘크리트이고, 7은 상기한 경량 기포 콘크리트(6)를 덮도록 타설되는 무근 중량 콘크리트이며, 8은 상기한 무근 중량 콘크리트를 덮어 바닥 마감층을 형성하는 타일이다.
연질 주름관(40)은 상기 제1 바닥배수트랩(11)과 상기 제2 바닥배수트랩(21)을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경질 외관(30) 내부에 끼워지도록 설치되어, 실질적으로 제2 수전 사용 공간(20) 내에서 발생된 생활 하수를 제2 바닥배수트랩(21)으로부터 수직 입상 배수배관(71)에 연결된 제1 수전 사용 공간(10)의 제1 바닥배수트랩(11)쪽으로 흘러 보내 배수시키는 역할을 한다.
한편, 연질 주름관(40)은 외주면 상에 나선 형태의 주름이 형성되며 절곡 가능한 연성 재질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연질 주름관(40)은 제1 바닥배수트랩(11)과 제2 바닥배수트랩(12)의 배수관 연결부(12, 22)를 연결하도록 경질 외관(30)을 설치한 이후, 이 경질 외관(30)의 일측 단부로부터 밀어 넣어 경질 외관(30) 내에 설치하게 된다.
패킹 블록(50)들은 상기 제1 바닥배수트랩(11) 및 상기 제2 바닥배수트랩(12) 내에서 상기 연결 주름관(40)의 양측 단부에 각각 나사 결합되며, 상기 연질 주름관(40)의 양측단부를 팽팽하게 잡아 당겨 상기 경질 외관(30) 내부에서 상기 연질 주름관(40)을 팽팽하게 수평 인장시킨 상태로 상기 제1 바닥배수트랩(11)과 상기 제2 바닥배수트랩(21)의 배수관 연결부(12, 22)에 끼워져 밀폐 고정시키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도 3은 도 2의 제1 바닥배수트랩쪽의 체결 상태를 도시한 부분 확대도이고, 도 4는 도 2의 제2 바닥배수트랩쪽의 체결 상태를 도시한 부분 확대도이며, 도 5는 도 2의 층상 매립형 이중 배수배관 연결 장치의 패킹 블록을 도시한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의 패킹 블록(50)은 내측에 상기 연질 주름관(40)이 끼워져 나사 결합되게 암나사 형태의 나사 체결공(51)이 관통 형성되고, 외측이 상기 제1 바닥배수트랩(11)과 상기 제2 바닥배수트랩(21)의 상기 배수관 연결부(12, 22) 내에 끼워져 밀폐 결합시키도록 일측으로 테이퍼지며 쐐기 형태로 경사 외주면(52)을 이루며 형성되는 것을 예시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층상 매립형 이중 배수배관 연결 장치(100)는 경질 외관(30)의 일측 단부로부터 타일측을 향해 밀어 넣어진 후 상기 제1 바닥배수트랩(11) 및 상기 제2 바닥배수트랩(21) 내에서 일정 길이로 절단된 연질 주름관(40)의 양측 단부를 패킹 블록(50)의 나사 체결공(51) 내부에 끼워 나사 체결 한 후, 패킹 블록(50)을 체결 방향으로 조여 상기 경질 외관(30) 내부에서 상기 연질 주름관(40)의 양측 단부를 잡아 당겨주도록 함으로써 경질 외관(30) 내에서 상기 연질 주름관(40)이 팽팽하게 수평 인장시킨 상태를 하도록 한다.
이처럼, 패킹 블록(50)을 이용해 경질 외관(30) 내에서 연질 주름관(40)을 수평 인장시켜 팽팽한 상태를 유지하며 설치되도록 함으로써, 제2 바닥배수트랩(21)으로부터 제1 바닥배수트랩(11) 쪽으로 흘러가는 생활 하수의 배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생활하수가 고여 악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패킹 블록(50)들의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테이퍼지게 경사 외주면을 갖도록 형성함으로써, 전술한 바와 같이 연질 주름관(40)을 경질 외관(30) 내에 팽팽하게 수평 인장시켜 고정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1 바닥배수트랩(11)과 상기 제2 바닥배수트랩(21)의 각 배수관 연결부(12, 22)에 쐐기 형태로 박혀 이들 사이의 공간이 밀폐되게 결합시키도록 한다.
이처럼, 패킹 블록(50)들이 상기 제1 바닥배수트랩(11)과 상기 제2 바닥배수트랩(21)의 배수관 연결부(12, 22)에 쐐기 형태로 박혀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경질 외관(30) 내로 생활 하수의 유입을 차단하여 층상 매립 과정에서 경질 외관(30)의 일부가 일부 파손되더라도 이를 통한 생활하수가 누설되어 2차 피해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층상 매립형 이중 배수배관 연결 장치에 대한 다른 실시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 및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이에 대한 반복적은 설명은 생략한다.
도 6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층상 매립형 이중 배수배관 연결 장치의 체결 상태를 도시한 부분 확대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한 층상 매립형 이중 배수배관 연결 장치의 패킹 블록을 분리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의 층상 매립형 이중 배수배관 연결 장치(200)는,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비교하여, 패킹 블록(150)이 내측에 상기 연질 주름관(40)이 끼워져 나사 결합되게 나사 체결공(51)이 관통 형성되되, 외측이 상기 제1 바닥배수트랩(11)과 상기 제2 바닥배수트랩(12)의 각 배수관 연결부(12, 22)에 끼워져 밀폐 결합되도록 상기 배수관 연결부(12, 222)의 사이즈에 대응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단차부(152, 153)를 이루며 형성되는 구성의 차이를 갖는다.
본 실시예의 패킹 블록(150)은 단차부(152, 153)가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지고 2단으로 단차지게 형성되는 것을 예시하며, 각각의 단차부(152, 153)는 배수관 연결부(12, 22)에 끼워져 결합되는 경질 외관(30)들의 규격 사이즈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례로, 패킹 블록(150)의 제1 단차부(153)는 35mm 규격의 배수배관 사이즈에 대응되게 형성되고, 제2 단차부(152)는 50mm 규격의 배수배관 사이즈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패킹 블록(150)의 단차부(152, 153)들을 각각의 규격화된 다양한 경질 배관(30)의 사이즈에 맞추어 형성함으로써, 사용되는 경질 배관(30)의 사이즈에 대응되는 단차부(152 또는 153)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다양한 규격의 이중 배수배관 연결시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층상 매립형 이중 배수배관 연결 장치의 체결 상태를 도시한 부분 확대도이고, 도 9는 도 8에 도시한 층상 매립형 이중 배수배관 연결 장치의 패킹 블록을 분리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의 층상 매립형 이중 배수배관 연결 장치(300)는, 상기한 제2 실시예와 비교하여, 패킹 블록(250)의 외측이 상기 제1 바닥배수트랩(11)과 상기 제2 바닥배수트랩(21)의 상기 배수관 연결부(12, 22) 내에 끼워져 밀폐 결합되도록 상기 배수관 연결부(12, 22)의 사이즈에 대응되게 적어도 2개 이상의 경사 단차부(252, 253, 254)들을 이루며 형성되되, 상기 각 경사 단차부(252, 253, 254)들이 일측으로 테이퍼지게 경사지며 형성되는 구성의 차이를 갖는다.
이처럼, 패킹 블록(250)의 외측을 상기한 제2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규격화된 경질 외관(30)의 다양한 사이즈에 맞추어 다단으로 단차지게 형성함으로써 전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규격의 이중 배수배관 연결시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제1 효과와 함께 각각의 경사 단차부(252, 253, 254)들을 일측으로 테이퍼지며 경사지며 형성함으로써 상기한 제1 실시예서와 마찬가지로 연질 주름관(40)을 평평하게 수평 인장시킨 상태로 설치 고정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1 바닥배수트랩(11)과 상기 제2 바닥배수트랩(21)의 배수관 연결부(12, 22)에 쐐기 형태로 박혀 밀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제2 효과를 동시에 가지게 된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 또는 변경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5: 바닥 슬라브 6: 경질 기포 콘크리트
7: 무근 콘크리트 8: 타일
10: 제1 수전 사용 공간 11: 제1 바닥배수트랩
12, 22: 배수관 연결부 20: 제2 수전 사용 공간
21: 제2 바닥배수트랩 30: 경질 외관
40: 연질 주름관 50, 150, 250: 패킹 블록
51: 나사 체결공 52: 경사 외주면
152, 153: 단차부 252, 253, 254: 경사 단차부

Claims (4)

  1. 입상 배수배관이 인접하게 설치되는 제1 수전 사용 공간의 바닥 슬라브 상에 매립 설치되며 상기 입상 배수배관을 통해 배수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바닥배수트랩과 상기 입상 배관배수관으로부터 떨어진 제2 수전 사용 공간의 바닥 슬라브 상에 층상 매립 설치되는 제2 바닥배수트랩의 배수관 연결부에 각각 양측 단부가 끼워져 바닥 슬라브 상에 층상 매립 설치되는 경질 외관;
    상기 경질 외관 내부에 끼워져 상기 제1 바닥배수트랩과 상기 제2 바닥배수트랩을 연결하는 연질 주름관: 및
    상기 제1 바닥배수트랩 및 상기 제2 바닥배수트랩 내에서 상기 연결 주름관의 양측 단부에 각각 나사 결합되며, 상기 경질 외관 내부에서 상기 연질 주름관을 잡아 당겨 수평 인장시킨 상태로 상기 제1 바닥배수트랩과 상기 제2 바닥배수트랩의 배수관 연결부에 끼워져 밀폐 고정시키는 패킹 블록;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층상 매립형 이중 배수배관 연결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패킹 블록은,
    내측에 상기 연질 주름관이 끼워져 나사 결합되게 나사 체결공이 관통 형성되고,
    외측이 상기 제1 바닥배수트랩과 상기 제2 바닥배수트랩의 상기 배수관 연결부 내에 끼워져 밀폐 결합시키도록 일측으로 테이퍼지게 경사외주면이 형성되는 층상 매립형 이중 배수배관 연결 장치.
  3. 제1항에서,
    상기 패킹 블록은,
    내측에 상기 연질 주름관이 끼워져 나사 결합되게 나사 체결공이 관통 형성되고,
    외측이 상기 제1 바닥배수트랩과 상기 제2 바닥배수트랩의 상기 배수관 연결부에 끼워져 밀폐 결합되도록 상기 배수관 연결부의 사이즈에 대응되게 적어도 2개 이상의 단차부를 이루며 형성되는 층상 매립형 이중 배수배관 연결 장치.
  4. 제1항에서,
    상기 패킹 블록은,
    내측에 상기 연질 주름관이 끼워져 나사 결합되게 나사 체결공이 관통 형성되고,
    외측이 상기 제1 바닥배수트랩과 상기 제2 바닥배수트랩의 상기 배수관 연결부 내에 일측이 끼워져 밀폐 결합되도록 상기 배수관 연결부의 사이즈에 대응되게 적어도 2개 이상의 단차부를 이루며 형성되되,
    상기 각 단차부들이 일측으로 테이퍼지게 경사지며 형성되는 층상 매립형 이중 배수배관 연결 장치.
KR1020130118615A 2013-10-04 2013-10-04 층상 매립형 이중 배수배관 연결 장치 KR1014585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8615A KR101458519B1 (ko) 2013-10-04 2013-10-04 층상 매립형 이중 배수배관 연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8615A KR101458519B1 (ko) 2013-10-04 2013-10-04 층상 매립형 이중 배수배관 연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8519B1 true KR101458519B1 (ko) 2014-11-12

Family

ID=522871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8615A KR101458519B1 (ko) 2013-10-04 2013-10-04 층상 매립형 이중 배수배관 연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851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8469B1 (ko) 2021-02-10 2021-05-06 (주) 대전통일 응결수 이중배관 소켓장치
KR20220081732A (ko) * 2020-12-09 2022-06-16 김대현 이중 배관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19859A (ja) * 2001-10-09 2003-04-23 Kojima Seisakusho:Kk 排水システムと排水マス
JP2005155806A (ja) * 2003-11-26 2005-06-16 Maruichi Kk 可撓性排水管
KR20070113433A (ko) * 2006-05-23 2007-11-29 삼성전자주식회사 드럼세탁기
JP2008231892A (ja) * 2007-02-21 2008-10-02 Noriatsu Kojima 排水管洗浄用治具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19859A (ja) * 2001-10-09 2003-04-23 Kojima Seisakusho:Kk 排水システムと排水マス
JP2005155806A (ja) * 2003-11-26 2005-06-16 Maruichi Kk 可撓性排水管
KR20070113433A (ko) * 2006-05-23 2007-11-29 삼성전자주식회사 드럼세탁기
JP2008231892A (ja) * 2007-02-21 2008-10-02 Noriatsu Kojima 排水管洗浄用治具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1732A (ko) * 2020-12-09 2022-06-16 김대현 이중 배관 장치
KR102448229B1 (ko) 2020-12-09 2022-09-29 김대현 이중 배관 장치
KR102248469B1 (ko) 2021-02-10 2021-05-06 (주) 대전통일 응결수 이중배관 소켓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358305B (zh) 一种沉箱式卫生间的旋流排水立管连接件
KR101218810B1 (ko) 조립식 욕실의 설치구조
US3774631A (en) Prefabricated modular rough plumbing
KR101458519B1 (ko) 층상 매립형 이중 배수배관 연결 장치
KR20140049220A (ko) 조립식 욕실의 층하배관 방수용 배수소켓
KR101219145B1 (ko) 이중배관을 포함한 욕실의 배관 시스템
KR20100070745A (ko) 조립식 욕실의 설치구조
JP4863899B2 (ja) 建物の排水システムおよび建物の排水システムの施工方法
KR20080017112A (ko) 방수 저소음 형 화장실 통합 독립 스리브 부착 통합트랩(에어 덕트, 벽식 양변기 고정대 부착형 ) (kkttss)
KR101135564B1 (ko) 조립식 욕실의 설치구조
CN211774264U (zh) 一种空调冷凝水排水防臭装置
FI127869B (fi) Vesieristetyn tilan viemäröinnin uusimismenetelmä
KR101290817B1 (ko) 조립식 욕실의 침출수 배출장치
KR20170002282U (ko) 층상배관용 바닥배수장치
KR20110058613A (ko) 건물의 실내 배수구조
CN105908829A (zh) 一种民用住宅给水管道加气砼砌块隔墙和预留管沟方法
KR102104940B1 (ko) 리모델링 공동주택의 욕실 층상배관 시공방법
KR200352175Y1 (ko) 욕실의 저소음 배수 배관 시공법
KR200480115Y1 (ko) 양변기의 층상배관용 플랜지, 연결소켓 및 배수관의 조립체
CN204492255U (zh) 一种卫浴室
KR200421792Y1 (ko) 매립형 배관 점검함
CN207047963U (zh) 一种室内排污立管预埋双偏心积水处理装置
KR200305385Y1 (ko) 오수 및 우수 배관용 연결구조
KR200173551Y1 (ko) 개량 배관 설비구조
KR20210147634A (ko) 오수 배관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