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3551Y1 - 개량 배관 설비구조 - Google Patents

개량 배관 설비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3551Y1
KR200173551Y1 KR2019990020850U KR19990020850U KR200173551Y1 KR 200173551 Y1 KR200173551 Y1 KR 200173551Y1 KR 2019990020850 U KR2019990020850 U KR 2019990020850U KR 19990020850 U KR19990020850 U KR 19990020850U KR 200173551 Y1 KR200173551 Y1 KR 2001735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side wall
present
installation structure
piping instal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08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경대호
Original Assignee
경대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대호 filed Critical 경대호
Priority to KR20199900208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355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35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3551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22Pipe-line systems for waste water in building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1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for combinations of baths, showers, sinks, wash-basins, closets, urinal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2201/00Details, device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3C2201/60Reducing noise in plumbing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식용 개량 배관 설비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입상관 또는 횡주관을 배관 샤프트(PS)에 설치하지 않고, 설비기구에 가장 가까운 측벽속에 설치한 다음 양측벽 중 일측벽을 개폐하여 간결하게 시공, 변경 및 보수할 수 있는 개량 배관 설비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입상관 또는 횡주관을 측벽속에 설치하여 PS가 차지하는 공간을 유효한 활용 공간으로 넓게 사용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상ㆍ하층에서 들리는 소음공해를 방지하고, 보수공사를 위해 인접층에 피해를 주지 않으며, 공사기간을 단축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 개량 배관 설비구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개량 배관 설비구조{Improved piping installation structure}
본 고안은 입상관 또는 횡주관을 설치하는 배관 샤프트(PIPE SHAFT; 이하 PS라 약칭함)를 없애는 대신 측벽속에 설비 배관을 하는 건식용 개량 배관 설비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아파트나 건물에 설비배관을 할때 횡주관을 연결할 수 있는 입상관을 한곳에 집합하여 주립시킬 수 있는 PS를 건물의 한 모서리에 설정하였으므로 이로 인해 화장실, 목욕탕, 거실 또는 방 등의 공간이 그만큼 협소하여 활동하기가 불편하였고, 건물의 설비 배관을 할 때 PS를 설치해야만 가능하는 어려움이 있었을 뿐 아니라 이들 배관 방식은 노출 바닥배관을 하게 되므로 상ㆍ하층에서 급ㆍ배수소음이 요란하게 발생하였으며, 배관을 보수하기 위해 남의 집 천정을 뜯어야 하는 피해가 많았으며, 또한 종래의 신축공사는 습식 배관 공법을 사용하므로 건축공사시 배관공사가 선행되어야만 건축공사가 마감됨에 따라 공기가 지연되는 등의 불경제적인 폐단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종래의 이와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데 있는 것으로 스라브층을 타설하면 PS의 구축을 기다릴 필요없이 설계도면상의 화장실 또는 욕실및 주방의 위치에 따라 건식공법으로 입상관을 측면의 벽판 부위에 주립하고, 횡주관을 기구와 연결되게 한 다음 입상관 부위에 점검구 또는 개폐할 수 있는 뚜껑으로 구획하게 하므로서 공기를 매우 단축할 수 있고, 보수는 점검구 또는 뚜껑을 개폐하므로서 가능하여 타인에 피해를 줄 필요가 없으며, 방음벽을 구성하면 배수소음도 나지 않을 뿐 아니라 건식공법으로 동절기에도 시공이 가능하는 건식 배관 설비구조를 제공코자 한 데 있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도면의 실시예에 의거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고안의 시공 평면도
도 2 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시한 배관도
도 3 은 본 고안의 보수를 위해 측벽을 제거한 실시예도
도 4 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표시한 요부도
도 5 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표시한 요부도
도 6 은 종래의 설비 실시예를 표시한 배관도
도 7 은 본 고안의 칸막이 측벽의 종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변기 2 : 세면기 3 : 욕조
1',2',3' : 횡주관 4,4',5,6 : 입상관 8 : 측벽
9 : 공간 10 : 뚜껑
변기(1), 세면기(2) 및 욕조(3)를 횡주관(1')(2')(3')으로서 입상관(4)(4')에 연결한 것에 있어서, 입상관(5)(6)을 칸막이용 측벽(8)속에 배치하고, 공간(9)를 둔 뚜껑(10)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 함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종래에는 도 6 에서와 같이 건물의 설비 배관을 할때 건물의 실내 일정공간에 PS를 설치하여 각각의 횡주관을 건물의 상하층을 연결하는 노출 바닥 배관으로 하여 PS의 내부에 설치한 입상관에 설치하는 배관 설비 구조를 실시해 왔다.
그러나 본 고안은 도 1과 같이 건축배관 시공 작업을 할때 설계도면상 욕실과 가장 근접한 실내 벽면의 위치에 분리 조립이 가능한 칸막이용 측벽(8)을 설치하고, 도 2 에서와 같이 그 측벽(8)속에 입상관(5)(6)을 주립시켜 변기(1), 세면기 (2)및 욕조(3) 등과 연결된 횡주관(1')(2')(3')에 각각 연결 배치한 것이므로 건물의 상,하층에는 횡주관(1')(2')(3')이 노출되지 않고, 실내의 측벽 또는 해당 실내의 바닥에 은폐된 상태에서 배수 또는 급수된다.
그리고 건물 각층의 실내 측벽(8)속에서 상하로 관통하여 설치하는 입상관 (5)(6)에 공지된 섹스티아로 각각 연결하여 배수관로 역활을 하므로 소음이 현저하게 줄어들고, 도 3 에서와 같이 측벽(8)의 욕실측면에는 타일등의 방습제를 부착하며, 실내측면의 측벽(8)에는 방음벽을 부착하여 소음을 예방할 수 있으며, 뚜껑 (10)을 해리하거나 개폐하므로서 입상관(5)(6)과 횡주관(1')(2')(3')의 연결부의 점검및 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분해 조립이 용이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동시에 건물의 파손없이 손쉽게 점검을 할 수 있게 된다.
이와같이 본 고안은 욕실과 주방사이의 측벽속에 입상관및 횡주관을 설치하여 PS의 공간을 줄일 수 있을 뿐 아니라 건식공법을 사용하여 건축의 공사기간을 단축할 수 있고, 또한 동일층의 실내에 있는 측벽 속에 배수관로를 설치하여 건물의 상,하층에 배수소음을 줄일 수 있으며, 고장으로 인한 보수를 할때도 건물의 파손없이 실내의 뚜껑을 분리 또는 개폐하여 점검 및 보수가 가능 하므로 건물의 상ㆍ하층에 별다른 피해를 주지 않으면서 시공을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보수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고, 실내공간을 보다 넓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변기(1), 세면기(2) 및 욕조(3)를 횡주관(1')(2')(3')으로서 입상관 (5)(6)에 연결한 것에 있어서, 입상관(5)(6)을 칸막이용 측벽(8)속에 배치하고, 공간(9)를 둔 뚜껑(10)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 개량 배관 설비구조.
KR2019990020850U 1999-09-29 1999-09-29 개량 배관 설비구조 KR2001735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0850U KR200173551Y1 (ko) 1999-09-29 1999-09-29 개량 배관 설비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0850U KR200173551Y1 (ko) 1999-09-29 1999-09-29 개량 배관 설비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3551Y1 true KR200173551Y1 (ko) 2000-03-15

Family

ID=19590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0850U KR200173551Y1 (ko) 1999-09-29 1999-09-29 개량 배관 설비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355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9145B1 (ko) * 2009-10-29 2013-01-07 (주)한미글로벌건축사사무소 이중배관을 포함한 욕실의 배관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9145B1 (ko) * 2009-10-29 2013-01-07 (주)한미글로벌건축사사무소 이중배관을 포함한 욕실의 배관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41052A (en) Building utility core
JPS5996346A (ja) 建築物のユーティリティ・ユニット
US4574533A (en) Portable home
US3774631A (en) Prefabricated modular rough plumbing
KR20100070745A (ko) 조립식 욕실의 설치구조
KR200173551Y1 (ko) 개량 배관 설비구조
KR101219145B1 (ko) 이중배관을 포함한 욕실의 배관 시스템
KR101135564B1 (ko) 조립식 욕실의 설치구조
KR100742403B1 (ko) 배수가 용이한 분배기
KR200338297Y1 (ko) 배수가 용이한 분배기
KR200352175Y1 (ko) 욕실의 저소음 배수 배관 시공법
JP2843697B2 (ja) 小便器
JP2001254413A (ja) 集合住宅の配管構造
JPH09195537A (ja) 居住施設における居室とバスユニットの配置構造
WO2016006207A1 (ja) 建物及び建物ユニット
KR100504159B1 (ko) 벽체 매립형 수전용함
KR200277745Y1 (ko) 수전용함 벽체매립 구조
JP2843198B2 (ja) 浴室の配管構造
DK177469B1 (en) Toilet Modul
JP2001123681A (ja) ユニット型水周り設備
JPH11217894A (ja) 部屋形成パネル部材
JP4160744B2 (ja) 設備機器及び該設備機器を設置した建物ユニット
JPH0542140Y2 (ko)
KR101192942B1 (ko) 공동주택 화장실 설비 층간세대 종합 독립 및 리모댈형씨스탬 (kktts)
EP2305907A1 (en) A method of replacing a drain water 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