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13433A - 드럼세탁기 - Google Patents

드럼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13433A
KR20070113433A KR1020060046278A KR20060046278A KR20070113433A KR 20070113433 A KR20070113433 A KR 20070113433A KR 1020060046278 A KR1020060046278 A KR 1020060046278A KR 20060046278 A KR20060046278 A KR 20060046278A KR 20070113433 A KR20070113433 A KR 200701134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drainage
washing machine
drum washing
cabi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62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48745B1 (ko
Inventor
방장혁
장삼용
이용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462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8745B1/ko
Publication of KR200701134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34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87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87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3Liquid discharge or recirculation arrangements
    • D06F39/085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ump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7Tub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thereto components or devices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subgroup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1Safety arrangements for preventing water damag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0Filter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Abstract

본 발명은 배수장치를 구비하는 드럼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드럼세탁기는 외관을 이루는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 내에 설치되어 세탁수가 담수되는 수조와, 상기 수조의 세탁수를 배수하기 위한 배수장치를 포함하는 드럼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배수장치는 배수펌프와, 상기 배수펌프와 연결되며 자연배수를 방지하는 배수유로부재와, 상기 배수유로부재의 일단에 연결되어 하향 경사지게 마련되는 자연배수호스를 포함하여 배수장치에 잔류하는 잔수의 양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드럼세탁기{DRUM TYPE WASHING MACHINE}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드럼세탁기의 대략적인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럼세탁기의 대략적인 내부구조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럼세탁기에 포함되는 배수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3에 포함되는 배수펌프의 배수흐름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3의 배수장치에 포함되는 배수유로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드럼세탁기의 대략적인 내부구조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포함되는 배수유로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드럼세탁기의 대략적인 내부구조를 보인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 캐비닛 11: 메인프레임
12: 전면프레임 20: 수조
70 : 배수장치 71,72: 제1,2연결호스
73: 자연배수호스 74: 지지부
80: 배수펌프 84: 배수필터
90: 배수유로부재 91: 유입유로
92: 유출유로 93: 벤딩부
94: 에어유로 95: 에어홀.
본 발명은 드럼세탁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수장치에 잔류하는 세탁수의 양을 최소화할 수 있는 드럼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세탁물과 세탁수가 담긴 원통형상의 회전조를 회전시켜 세탁물을 세탁하는 장치로서, 이러한 세탁기의 종류로는 회전조를 수평으로 배치하여 이 회전조가 수평축에 대해 정·역방향으로 회전할 때 세탁물이 회전조의 내주면을 따라 상향으로 올려져서 낙하하게 됨으로써 세탁물을 세탁하는 방식인 드럼 세탁기와, 내부에 펄세이터가 배치된 회전조를 수직으로 배치하여 펄세이터가 정·역방향으로 회전할 때 발생하는 수류에 의해 세탁물을 세탁하는 방식인 수직축 세탁기가 있다.
이러한 일반적인 세탁기 중 드럼세탁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과, 상기 캐비닛(1)의 내부에 설치되며 세탁수가 담기는 원통형상의 수조(2)와, 수조(2)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조(3)를 구비하여, 세탁물을 회전조(3)에 넣은 후 회전조(3)를 회전시켜 세탁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드럼세탁기에는 수조(2)에 세탁수를 공급하기 위한 급수장치(4)와 세탁이 끝난 후 세탁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장치(5)가 마련되는데, 배수장치(5)는 수조(2)로부터 물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자연배수호스(5a)와, 수조(2) 하부에 배치되며 펌핑력을 발생시켜 세탁수가 자연배수호스(5a)를 따라 외부로 배출되게 하는 배수펌프(5b)를 포함한다. 이때, 종래의 드럼세탁기의 배수펌프(5b)에는 배수필터(5c)가 탈착가능하게 마련되어 사용자가 배수필터(5c)에 걸린 이물질을 제거하기 용이하도록 배수펌프(5b)가 드럼세탁기의 전면하부측에 구비되며, 자연배수호스(5a)는 배수펌프(5b)와 연결되어 공간활용 또는 인테리어성을 위해 후면상부의 배수구(1a)측으로 연장되어 마련된다.
이러한 종래의 드럼세탁기에서는 배수펌프(5b)와 연결된 자연배수호스(5a)가 드럼세탁기의 전면하측에서 후면상측으로 상향으로 길게 마련되기 때문에 배수가 종료되어 배수펌프(5b)의 가동이 멈추는 경우 수조의 세탁수와 함께 에어가 배수펌프(5b)를 통하여 자연배수호스(5a)로 유입되어 사이폰 현상이 중지되게 된다. 따라서 배수펌프(5b)와 자연배수호스(5a)사이에는 상당량의 세탁수가 잔류하게 되는데, 이렇게 배수펌프(5b)와 자연배수호스(5a)사이에 잔류하는 잔수는 겨울철 등 기온이 낮을 경우 동결되어 배수펌프(5b)의 동작이 방해되며, 이는 배수펌프(5b)의 고장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배수장치에 잔류하는 세탁수의 양을 줄일 수 있는 구조를 구비한 드럼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드럼세탁기는, 외관을 이루는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 내에 설치되어 세탁수가 담수되는 수조와, 상기 수조의 세탁수를 배수하기 위한 배수장치를 포함하는 드럼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배수장치는 배수펌프와, 상기 배수펌프와 연결되며 자연배수를 방지하는 배수유로부재와,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배수유로부재와 연결되어 세탁수를 자연배수시키는 자연배수호스의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수유로부재의 내부에는 벤딩부가 형성된 유로가 마련되며, 상기 벤딩부의 상단은 상기 수조에 담수되는 세탁수의 만수위보다 소정높이 높게 마련되며 일측 하단은 상기 배수펌프측과 연결되며 타측 하단은 상기 자연배수호스측과 연결된다.
또한, 상기 배수유로부재는 상기 배수펌프와 상기 벤딩부사이에 형성되는 유입유로와, 상기 벤딩부와 상기 자연배수호스사이에 유출유로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배수유로부재에는 상기 유출유로와 연통되는 에어유로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에어유로의 일단에는 외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에어홀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배수유로부재는 상기 캐비닛의 전면 또는 측면의 내측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배수유로부재는 상기 수조의 측면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캐비닛의 하측에는 배수홀이 형성되고, 상기 자연배수호스의 단부는 상기 배수홀에 의해 지지된다.
또한, 배수펌프와 상기 벤딩부와의 길이는 상기 벤딩부와 상기 자연배수호스의 단부와의 길이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수장치는 상기 자연배수호스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한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외관을 이루는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마련되어 세탁수가 담수되는 수조와, 상기 수조의 세탁수를 배수시키기 위한 배수펌프와, 상기 배수펌프와 연결되며 내부에 유로가 형성되어 상기 수조내의 세탁수의 자연배수를 방지할 수 있는 배수유로부재와, 상기 캐비닛 내에 마련되며 상기 배수유로부재와 연결되어 하향 경사지게 마련되는 자연배수호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로의 중도 일측이 상기 수조의 만수위보다 높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수유로부재는 상기 유로와 연통되는 에어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에어유로의 일단은 상기 유로의 상단보다 높게 형성되며 외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에어홀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배수펌프는 상기 캐비닛의 전면에 설치되며, 세탁수의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배수필터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배수유로부재는 상기 전면패널의 후면 또는 수조의 측면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캐비닛의 하측에는 배수홀이 형성되고, 상기 자연배수호스의 단부는 상기 배수홀을 통해 상기 캐비닛 외측으로 돌출된다.
또한, 상기 유로의 상단과 상기 배수펌프사이의 길이보다 상기 유로의 상단과 상기 자연배수호스의 단부와의 길이가 더 긴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캐비닛에는 상기 자연배수호스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한 지지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세탁기.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럼세탁기의 대략적인 내부구조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럼세탁기에 포함되는 배수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3에 포함되는 배수펌프의 배수흐름의 보인 단면도이며, 도 5는 도4의 배수장치에 포함되는 배수유로부재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럼세탁기는 도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0)과, 세탁수의 담수를 위한 것으로 캐비닛(10)의 내에 설치되는 드럼형 수조(20)와, 수조(2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조(30)과, 수조(20) 내부의 회전조(30)을 회전시키기 위해 수조(20)의 하부에 설치되는 구동모터(40)를 구비한다. 또 이 세탁기는 수조(20)내로 세제를 공급하기 위한 세제공급장치(50)와, 수조(20)의 상부에 설치되어 수조(20)로 세제가 용해된 세탁수 를 공급하기 위한 급수장치(60)를 포함하며, 수조(20)의 하부에 설치되어 수조(20)의 세탁수를 외부로 강제 배출시키기 위한 배수장치(70)를 포함한다.
캐비닛(10)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전면 및 상하부가 개방된 메인프레임(11)과, 메인프레임(11)의 전면에 마련되는 전면프레임(12)과, 메인프레임(11)의 상부를 덮는 탑커버(13)와 메인프레임(11)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하부프레임(1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면프레임(12)은 회전조(30)의 내부로 세탁물을 투입하거나 꺼낼 수 있도록 수조(20)와 회전조(30)의 개구에 대응하여 개방되며, 전면프레임(12)에는 수조(20)와 회전조(30)의 개구를 개폐하기 위한 도어(12a)가 설치된다. 또한 전면프레임(12)의 하부에는 후술할 배수필터(84)를 입출하기 위한 필터도어(12b)가 마련된다.
또한 하부프레임(14)의 전방단부는 상향으로 수직 절곡된 전면부(14a)가 형성되고, 전면부(14a)를 통하여 배수필터(84)가 입출되게 된다.
회전조(30)의 내주면에는 다수의 탈수공(31)이 형성되며 세탁물을 회전조(30)의 하부에서 상부로 끌어올리기 위한 복수의 리프터(32)가 일정간격으로 배치된다.
세제공급장치(50)는 캐비닛(10)의 전면 쪽에 설치되는 세제케이스(51)와, 캐비닛(10)의 전방으로부터 세제케이스(51) 내부에 진입하도록 서랍형태로 장착되는 세제용기(52)를 포함한다. 이는 사용자가 세제용기(52)를 전방으로 인출한 후 세제용기(52) 내에 세제를 투입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급수장치(60)는 외부급수관(61)과 세제케이스(51) 후면 사이를 연결하는 제1급수관들(62), 세제케이스(51)와 수조(20) 사이를 연결하는 제2급수관(63), 그리고 급수제어를 위해 제1급수관(62)의 입구 쪽에 설치되는 급수밸브들(64)를 포함한다.
이는 급수밸브(64)의 개방에 의해 급수가 이루어질 때 급수되는 물이 세제공급장치(50)를 경유하여 수조(20)로 공급됨으로써 세제공급장치(50)에 투입된 세제가 급수되는 물과 함께 수조(20)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도어(12a)를 열고 세탁물을 회전조(30)에 투입한 후에 드럼세탁기를 작동시키게 되면 급수장치(60)와 세제공급장치(50)를 통해 수조(20)에 세제가 혼합된 세탁수가 공급되고, 회전조(30)의 회전에 의해 세탁물이 리프터(32)를 따라 상향으로 들어 올려져서 하향으로 낙하하게 됨으로써 세탁물이 세탁되게 된다.
본발명에 따른 드럼세탁기의 캐비닛(10)의 내측 하부에는 배수장치(70)가 마련되는데, 배수장치(70)는 도 3,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조(20)에 담겨진 세탁수를 강제로 외부로 배수하기 위한 배수펌프(80)와, 배수펌프(80)와 연결되어 수조(20)에 저장된 세탁수가 자연 배수되는 것을 방지하며 배수펌프(80)의 펌핑 작동시 일량을 최소화할 수 있게 마련되는 배수유로부재(90)와, 배수유로부재(90)와 연결되어 세탁수를 캐비닛(10)의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자연배수호스(7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배수펌프(80)는 외관을 형성하며 내부에서 세탁수가 유동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배수케이싱(81)과, 배수케이싱(81)의 내부에 마련되어 수조(20)의 세탁수를 강제로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임펠러(82)와, 임펠러(82) 의 후측에 마련되어 임펠러(82)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펌프모터(83)와, 배수케이싱(81)에 착탈 가능하게 마련되어 배수케이싱(81)으로 유입되는 세탁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배수필터(8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배수케이싱(81)은 필터실(85a)을 형성하는 필터케이스부(85)와 펌프실(86a)을 형성하는 펌프케이스부(86)가 일체로 형성되며 필터실(85a)과 펌프실(86a)은 상호 구획된 공간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필터실(85a)은 내부가 중공되어 배수필터(84)가 삽입, 인출이 가능하게 마련되고, 펌프실(86a)에는 세탁수를 강제로 유동시키기 위한 임펠러(82)가 회전가능하게 마련된다.
또한, 필터케이스부(85)의 일측면에는 세탁수가 필터실(85a)로 유입될 수 있도록 유입구(87a)가 형성된 유입관(87)이 마련되고, 유입구(87a)와 대응되는 필터케이스부(85)의 타측면에는 필터실(85a)에 마련된 배수필터(84)에 의해 이물질이 걸러진 세탁수가 펌프실(86a) 측으로 유출될 수 있도록 유출공(88)이 형성된다. 또한 펌프케이스부(86)의 상부에는 유출공(88)을 통해 펌프실(86a)로 유입된 세탁수가 임펠러(82)에 의해 외부로 토출되기 위해 토출구(89a)가 형성된 토출관(89)이 마련된다.
이때 유입관(87)에는 수조(20)와 배수펌프(80)사이를 연결하는 제1연결호스(71)가 마련되고, 토출관(89)에는 배수펌프(80)내의 세탁수를 배수유로부재(90)측으로 유출하기 위한 제2연결호스(72)가 마련된다.
펌프실(86a)을 형성하는 펌프케이스부(86)는 펌프모터(83)가 장착되는 쪽이 개방되며, 이 개구는 펌프모터(83)의 장착을 통해 폐쇄된다.
배수유로부재(90)는 제2연결호스(72)에 의해 배수펌프(80)와 연결되는데, 배수유로부재(9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배수펌프(80)로부터 세탁수가 유입되는 유입유로(91)와, 배수유로부재(90)로 유입된 세탁수를 자연배수호스(73)측으로 안내하는 유출유로(92)와, 유입유로(91)와 유출유로(92)사이에 바람직하게는 역U자형으로 벤딩된 벤딩부(93)가 형성된다. 이때 배수유로부재(90)의 유입유로(91)는 배수펌프(80)의 가동시 세탁수가 상향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상방으로 마련되고, 유입유로(91)의 길이는 제2연결호스(72)와 유입유로(91)의 길이를 최소로 하기 위해 수조(20)에 담수되는 세탁수의 만수위보다 높거나 같도록 형성하고, 유입유로(91)의 상측단부에서 유출유로(92)가 하방을 향하도록 벤딩된다.
또한 유출유로(92)측에는 외기가 유출입할 수 있도록 에어유로(94)가 형성되는데, 에어유로(94)의 일단은 유출유로(92)와 연통되고, 타단은 벤딩부(93)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어 세탁수가 유출되지 아니하면서 외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에어홀(95)이 형성된다. 이러한 에어유로(94)는 드럼세탁기의 배수동작중 배수완료전에 사용자가 배수를 종료시키는 경우 사이펀현상에 의해 수조(20)의 세탁수의 배수상태가 유지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으로, 사용자가 임의로 배수를 정지시키면 임펠러(82)의 동작이 정지되고 유출유로(92)와 외기의 압력차에 의해 외기가 에어홀(95)을 통해 유출유로(92)로 유입되어 사이펀현상이 지속되는 것을 방지하기 때문에 배수가 정지되게 된다.
또한 배수유로부재(90)는 내부에 유로(91,92,94)가 형성된 체로 일체로 플라 스틱 사출성형되어 마련된다.
이러한 배수유로부재(90)는 견고한 고정을 위해 전면프레임(12)의 후면 즉, 캐비닛(10)의 전면 내측에 스크류(미도시) 또는 후크(미도시)를 이용하여 부착하게 된다. 또는 캐비닛(10)의 측면 내측에도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한 바와 같이 배수유로부재(90)의 벤딩부(93)가 수조(20)에 담수되는 세탁수의 만수위보다 높게하여 고정하는데, 바람직하게는 일반적으로 드럼세탁기는 세탁수의 사용을 절약할 수 있는 구조로 수조(20)에 담수되는 세탁수의 만수위 수위는 대략 수조(20)의 1/3정도 높이에 해당하게 된다. 따라서 벤딩부(93)의 높이를 수조(20)의 중심높이보다 낮게 하고, 세탁수의 최대수위보다 높게 하는 소정높이에 배수유로부재(90)를 고정하게 되면 수조(20)의 세탁수의 높이보다 벤딩부(93)의 높이가 높게 되어 수조(20)에 담수된 세탁수가 자연 배수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벤딩부(93)의 높이를 최소로 하여 배수펌프(80)의 일량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배수유로부재(90)는 자연배수호스(73)와 연결되는데, 자연배수호스(73)의 일단은 유츌유로와 연결되고, 타단은 캐비닛(10)의 메인프레임(11)의 후면의 하부측에 형성된 배수홀(11a)에 의해 지지되어 배수홀(11a)을 통해 캐비닛(10)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된다. 이때 자연배수호스(73)는 캐비닛(10)의 전면측에 마련된 배수유로부재(90)에 연결되어 후면측으로 길게 마련되므로 자연배수호스(73)의 중도가 하향으로 처지게 될 염려가 있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해 배수장치(70)는 자연배수호스(73)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한 지지부(74)를 더 포함한다. 지지부(74)는 하부프레임(14)의 내면에 상향으로 마련되며 후측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형태로 마련되어 자연배수호스(73)가 하향 경사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배수펌프(80)와 벤딩부(93)사이의 유로길이는 벤딩부(93)와 자연배수호스(73)의 타단과의 유로길이보다 짧게 마련되기 때문에 벤딩부(93)와 자연배수호스(73)사이의 세탁수는 자연배수돠어 배수펌프(80)측에 잔류하는 잔수의 양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배수장치(70)의 구성으로 수조(20)로부터 필터실(85a) 내로 유입되는 세탁수가 필터실(85a) 내부의 배수필터(84)를 통과하면서 이물질이 걸러진 후 펌프실(86a) 쪽으로 흐르게 되고, 펌프모터(83)에 의해 회전하는 임펠러(82)가 펌프실(86a) 내부의 세탁수를 펌프실(86a)의 토출관(89) 쪽으로 배출시킴으로써 수조(20)의 세탁수를 외부로 배수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배수펌프(80)에서 토출된 세탁수는 제2연결호스(72)를 통해 배수유로부재(90)로 유입되고, 배수유로부재(90)로 유입된 세탁수는 자연배수호스(73)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이때 배수유로부재(90)의 벤딩부(93)의 높이가 수조(20)의 중심높이보다 낮으면서 수조(20)에 저장된 세탁수의 최대수위보다 높도록 마련되기 때문에 종래기술에 비해 배수펌프(80)의 일량이 줄어들게 된다. 또한 자연배수호스(73)는 캐비닛(10)내에서 하향경사지게 마련되어 외부로 돌출되기 때문에 벤딩부(93)를 통과한 세탁수는 높이차에 의한 자연배수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게 되어 자연배수호스(73)에 잔수가 남지 아니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도시하지 아니하였지만 펌프케이스부(86)에 하부에 잔수홀(미도시)을 더 형성하여 배수펌프(80)에 잔류하는 약간의 잔수도 외부로 배출하게 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드럼세탁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드럼세탁기의 대략적인 내부구조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7은 도6에 포함되는 배수유로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드럼세탁기는 도 6,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수유로부재(100)가 수조(20)의 전방측 측면에 마련된다.
배수유로부재(100)는 제2연결호스(72)에 의해 배수펌프(80)와 연결되는데, 배수유로부재(100)는 내부에 배수펌프(80)로부터 세탁수가 유입되는 유입유로(101)와, 배수유로부재(100)로 유입된 세탁수를 자연배수호스(73)측으로 안내하는 유출유로(102)와, 유입유로(101)와 유출유로(102)사이에 바람직하게는 역U자형으로 벤딩된 벤딩부(103)가 형성된다. 이때 배수유로부재(100)의 유입유로(101)는 배수펌프(80)의 가동시 세탁수가 상향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상방으로 마련되고, 유입유로(101)의 길이는 제2연결호스(72)와 유입유로(101)의 길이를 최소로 하기 위해 수조(20)에 담수된 세탁수의 최대수위보다 높거나 같도록 형성하고, 유입유로(101)의 상측단부에서 유출유로(102)가 하방을 향하도록 벤딩된다.
또한 유출유로(102)측에는 외기가 유출입할 수 있도록 에어유로(104)가 형성되는데, 에어유로(104)의 일단은 유출유로(102)와 연통되고, 타단은 벤딩부(103)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어 세탁수가 유출되지 아니하면서 외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에어홀(105)이 형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드럼세탁기에 포함되는 배수유로부재(100)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벤딩부(103)가 수조(20)의 중심높이보다 낮고 수조(20)에 담수되는 세탁수의 최대높이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도록 위치시켜 수조(20)의 외주부에 스크류(미도시) 또는 후크(미도시)를 이용하여 고정시키게 된다.
이때, 자연배수호스(73)는 캐비닛(10)내에서 하향경사지게 마련되어 외부로 돌출되기 때문에 벤딩부(103)를 통과한 세탁수는 높이차에 의한 자연배수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게 되어 자연배수호스(73)에 잔수가 남지 아니하게 된다.
다음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드럼세탁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드럼세탁기의 대략적인 내부구조를 보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드럼세탁기에 포함되는 배수유로부재(110)는 역U자형의 파이프 형태로 마련되어 배수유로부재(110)의 유입부(112)의 단부가 배수펌프(80)의 토출관(89)에 연결되는데, 배수유로부재(110)는 배수펌프(80)로부터 세탁수가 유입되는 유입부(112)와, 배수유로부재(110)로 유입된 세탁수를 자연배수호스(73)측으로 안내하는 유출부(111)와, 유입부(112)와 유출부(111)사이에 바람직하게는 역U자형으로 벤딩된 벤딩부(113)가 형성된다. 또한 유출부(111)측에는 외기가 유출입할 수 있도록 에어관(114)가 형성되는데, 에어관(114)의 일단은 유출부(111)와 연통되고, 타단은 벤딩부(113)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어 세탁수가 유출되지 아니하면서 외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에어홀(115)이 형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포함되는 배수유로부재(110)는 파이프형태로 마련되어 토출관(89)에 직접 고정시키기 때문에 별도의 고정장치가 필요없게 간단한 방식으로 배수유로부재(110)의 고정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도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벤딩부(113)가 수조(20)의 중심높이와 수조(20)에 담수된 세탁수의 최대높이 사이에 위치하도록 적당한 길이로 배수유로부재(100)를 마련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드럼세탁기는 캐비닛의 전방측에 배수유로부재를 구비하고 자연배수호스를 하향으로 경사지게 마련함으로써 자연배수호스의 잔수를 제거하여 배수장치에 잔류하는 잔수의 양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8)

  1. 외관을 이루는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 내에 설치되어 세탁수가 담수되는 수조와, 상기 수조의 세탁수를 배수하기 위한 배수장치를 포함하는 드럼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배수장치는 배수펌프와, 상기 배수펌프와 연결되며 자연배수를 방지하는 배수유로부재와,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배수유로부재와 연결되어 세탁수를 자연배수시키는 자연배수호스의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세탁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유로부재의 내부에는 벤딩부가 형성된 유로가 마련되며, 상기 벤딩부의 상단은 상기 수조에 담수되는 세탁수의 만수위보다 소정높이 높게 마련되며 일측 하단은 상기 배수펌프측과 연결되며 타측 하단은 상기 자연배수호스측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세탁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유로부재는 상기 배수펌프와 상기 벤딩부사이에 형성되는 유입유로와, 상기 벤딩부와 상기 자연배수호스사이에 유출유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세탁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유로부재에는 상기 유출유로와 연통되는 에어유 로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에어유로의 일단에는 외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에어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세탁기.
  5. 제 4에 있어서, 상기 배수유로부재는 상기 캐비닛의 전면내측 또는 측면내측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세탁기.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유로부재는 상기 수조의 측면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세탁기.
  7. 제 5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의 하측에는 배수홀이 형성되고, 상기 자연배수호스의 단부는 상기 배수홀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세탁기.
  8. 제 7항에 있어서, 배수펌프와 상기 벤딩부와의 길이는 상기 벤딩부와 상기 자연배수호스의 단부와의 길이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세탁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장치는 상기 자연배수호스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한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세탁기.
  10. 외관을 이루는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마련되어 세탁수가 담수되는 수조와,
    상기 수조의 세탁수를 배수시키기 위한 배수펌프와,
    상기 배수펌프와 연결되며 내부에 유로가 형성되어 상기 수조내의 세탁수의 자연배수를 방지할 수 있는 배수유로부재와,
    상기 캐비닛 내에 마련되며 상기 배수유로부재와 연결되어 하향 경사지게 마련되는 자연배수호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세탁기.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의 중도 일측이 상기 수조의 만수위보다 높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세탁기.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유로부재는 상기 유로와 연통되는 에어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에어유로의 일단은 상기 유로의 상단보다 높게 형성되며 외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에어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세탁기.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펌프는 상기 캐비닛의 전면에 설치되며, 세탁수의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배수필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세탁기.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유로부재는 상기 캐비닛의 전면내측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세탁기.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유로부재는 상기 수조의 측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세탁기.
  16. 제 14항 또는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의 하측에는 배수홀이 형성되고, 상기 자연배수호스의 단부는 상기 배수홀을 통해 상기 캐비닛 외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세탁기.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의 상단과 상기 배수펌프사이의 길이보다 상기 유로의 상단과 상기 자연배수호스의 단부와의 길이가 더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세탁기.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에는 상기 자연배수호스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한 지지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세탁기.
KR1020060046278A 2006-05-23 2006-05-23 드럼세탁기 KR1012487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6278A KR101248745B1 (ko) 2006-05-23 2006-05-23 드럼세탁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6278A KR101248745B1 (ko) 2006-05-23 2006-05-23 드럼세탁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3433A true KR20070113433A (ko) 2007-11-29
KR101248745B1 KR101248745B1 (ko) 2013-03-29

Family

ID=390912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6278A KR101248745B1 (ko) 2006-05-23 2006-05-23 드럼세탁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874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8519B1 (ko) * 2013-10-04 2014-11-12 정일테크 (주) 층상 매립형 이중 배수배관 연결 장치
CN110592897A (zh) * 2019-10-22 2019-12-20 格力电器(成都)有限公司 一种排水装置的装配结构和洗衣机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0050684A1 (en) * 1999-02-22 2000-08-31 Arçelik A.Ş. Siphon effect prevented washing machine
KR20040079624A (ko) * 2003-03-08 2004-09-16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KR20060041104A (ko) * 2004-11-08 2006-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8519B1 (ko) * 2013-10-04 2014-11-12 정일테크 (주) 층상 매립형 이중 배수배관 연결 장치
CN110592897A (zh) * 2019-10-22 2019-12-20 格力电器(成都)有限公司 一种排水装置的装配结构和洗衣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8745B1 (ko) 2013-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21493B2 (en) Washing machine
JP6006424B2 (ja) 衣類処理装置
KR101332286B1 (ko) 세탁기
KR20090006659A (ko) 세탁기
KR20080089087A (ko) 세탁기
KR20060023016A (ko) 세탁기
KR20130016932A (ko) 세탁기
KR20080098952A (ko) 세탁기용 터브 및 이를 구비한 드럼 세탁기
KR101612804B1 (ko) 세탁물 처리기기
KR20080100168A (ko) 드럼식 세탁기
KR101225167B1 (ko) 배수케이싱을 구비하는 세탁기
KR101268784B1 (ko) 식기 세척기
KR101248745B1 (ko) 드럼세탁기
KR200464783Y1 (ko) 세탁기와 배수펌프
KR100730923B1 (ko) 드럼세탁기의 필터 조절장치
KR101269463B1 (ko) 드럼세탁기
KR101595230B1 (ko)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
KR101236194B1 (ko) 세탁기
KR20100082519A (ko) 세탁기
KR101054432B1 (ko) 세탁기의 급수 제어 방법
KR101824985B1 (ko) 세탁물 처리기기
KR200358901Y1 (ko) 드럼 세탁기의 드럼 프론트
KR20070009010A (ko) 세탁기
KR101258435B1 (ko) 세탁기
KR20100081207A (ko) 세탁기의 세제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