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7623Y1 - 수전구 고정대 - Google Patents

수전구 고정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7623Y1
KR200427623Y1 KR2020060018996U KR20060018996U KR200427623Y1 KR 200427623 Y1 KR200427623 Y1 KR 200427623Y1 KR 2020060018996 U KR2020060018996 U KR 2020060018996U KR 20060018996 U KR20060018996 U KR 20060018996U KR 200427623 Y1 KR200427623 Y1 KR 20042762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ucet
fixture
fixing
case
re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89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철
Original Assignee
강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철 filed Critical 강철
Priority to KR20200600189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762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76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762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21Devices for positioning or connecting of water supply 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2001/028Alignment aids for plumbing install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콘크리트 벽체에 매설되는 수전구 또는 수전구케이스를 철근에 용이하게 고정하도록된 수전구고정대를 제안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위하여 본 고안의 수전구고정대는 수전구(1) 또는 수전구를 내장한 수전구케이스(2)에 구비된 고정부(3)에 결합된 고정대(4)를 형성하고 벽체에 매설됨에 있어서,
고정대(4) 길이부에 철근끼움구(5)를 형성하여, 철근끼움구(5)에 끼워진 고정바(6)가 철근(14)에 철사나 끈으로 묶여진후, 거푸집(11) 양편 내면에서 수전구(1) 선단과 고정대(4) 후단이 각각 맞닿아 지지하여 콘크리트가 타설되도록 형성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수전구고정대를 제안한 것이다.
수전구, 고정대

Description

수전구 고정대{Fixing Bracket to Faucet-Joint}
도 1은 종래의 수전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고정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종래의 또다른 고정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종래의 수전구 고정방법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수전구 고정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또다른 수전구 고정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수전구 2:수전구케이스 3:고정부 4:고정대 5:철근끼움구 6:고정바
11:거푸집 12:구멍 13:플러그 14:철근 21:콘크리트벽체
APT나 주택 등의 세대내 위생배관에서 원수관이 계량기를 통과한 후 배관하여
여러곳의 수전금구(수도꼭지)들과 체결하는 각각의 수전구(수전이음관,관이음관)가 철근 콘크리트 벽체나 조적벽체에 미리 매설하는데 이때 수전구의 선단과 상기 벽체의 마감선이 일치하도록 매설되어야 이후 수전구의 나사에 결합되는 수전금구를 설치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의 수전구(1)는 수전구(1)의 몸체를 벽체에 직접 매설하던가 도 1과 같이 하자시 수전구(1)를 출입하도록 그들의 선단이 거의 일치하게 하여 수전구케이스(2)내에 수전구(1)를 내장 보호되도록 벽체에 매설하는데
상기 수전구(1)와 수전구케이스(2)는 그 몸체가 비교적 작아서 벽체내에 매설하기전 고정방법이 마땅하지가 않아
조적벽에 매설할때에는 도 2와 도 3과 같이 수전구(1)나 수전구케이스(2) 몸체에 고정부(3)를 형성시키고 고정부(3)에 소정길이로 된 고정대(4)를 결합하여 콘크리트 벽체에 고정한후 조적벽을 시공하여 매설하고 있다.
하지만 콘크리트벽체(21)에 매설하는 수전구(1)나 수전구케이스(2)는 고정방법이 마땅하지않어 도 4와 같이 콘크리트 타설전 벽체를 만들기 위해 설치되는 거푸집(11)의 면에 구멍(12)을 가공하여 수전구(1)나 수전구가 내장된 수전구케이스(2)를 거푸집면 구멍(12)에 밀착시킨후 반대측에서 플러그(13)를 채워서 고정하고 있다.
이에따라 콘크리트가 타설된 후 거푸집을 해체하기전 별도의 인력이 투입하여 플러그(13)를 제거하여야 하므로 공사기간이 길어지고 구멍(12)이 가공된 거푸집(11)은 재사용이 불가능해지지는 단점이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고안은 콘크리트 벽체에 매설하는 수전구 또는 수전구케이스를 철근에 용이하게 고정하여 시공성을 높이는 수전구고정대를 제안한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수전구고정대를 상세히 설명하면,
도5와 같은 수전구(1) 또는 도6과 같은 수전구(1)를 내장한 수전구케이스(2)에는 고정대(4)가 설치 결합하도록 몸체에 고정부(3)를 구비하는데, 고정부(3)에 결합되는 고정대(4)는 길이부에 몸체를 관통한 철근끼움구(5)가 구비하였다.
상기와 같이 철근끼움구(5)를 구비한 고정대(4)는 수전구(1) 또는 수전구(1)를 내장한 수전구케이스(2)의 고정부(3)에 결합되어 수전구(1) 선단과 고정대(4)의 후단까지 길이부가 조절되어 길이부 합이 설계나 시공되는 콘크리트 벽체 두께와 동일한 길이로 된 고정대(4)로 된다.
상기와 같이 결합된 수전구(1)와 고정대(4)는 도7과 같이 철근끼움구(5)에 철근이나 막대 등의 고정바(6)를 삽입하여 바닥면에서 입상된 철근(14)에 고정바(6)를 철사나 끈으로 묶어서 고정하면,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해 설치되는 거푸집(11)에 의해 일측은 고정대(4) 후단이, 다른 일측은 수전구(1) 선단 또는 수전구케이스(2)에 내장한 수전구(1)의 선단이 거푸집(11) 양편내면에 맞닿아 지지되어 고정하게 된다.
보통 콘크리트 벽체가 보강되도록 설치되는 철근(14)은 양편으로 되어 시공중에 발생하는 철근덧대어 연결하거나 쏠림등의 공차로 인해 거푸집(11) 내면에서 25㎜~55㎜ 정도 편차로 각각 안쪽으로 입상되어 시공된 후 콘크리트가 타설하는데, 상기 고정대(4)에 구비하는 철근끼움구(5) 위치도 고정대(4) 후단에서 대충 25㎜ 정도 떨어진 위치에서 시작하여 철근설치 위치변동에 따라 고정대(4)가 좌우유동을 가지도록 고정바(6)의 지름폭보다 기다란 형상의 구멍으로 된 철근끼움구(5) 형상으로 구비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거푸집(11) 내에서 고정한 고정대(4)에 결합된 수전구(1) 또는 수전케이스(2)에 콘크리트가 타설 양생된 후 거푸집(11)이 제거되면 철근 위치에 관계없이 수전구(1) 또는 수전케이스(2)에 내장한 수전구(1)는 그들의 선단이 벽표면과 항상 일치되어 매설할 수가 있다.
상기와 같이 철근끼움구(5)를 구비한 고정대(4)는 콘크리트 벽체에 매설되는
매설박스등에도 응용되어 적용하면 그 목적을 달성할수있음은 물론이다.
삭제
삭제
삭제
상기와 같은 수전구고정대는 콘크리트 벽체에 매설되는 수전구 또는 수전구를 내장한 수전구케이스를 철근에 용이하고 , 빠르게 철근에 고정하여 시공성을 높이고, 철근위치 변동에 관계없이 수전구, 수전케이스에 내장한 수전구 선단을 벽표면과 일치하도록 시공할 수가 있다.

Claims (1)

  1. 수전구(1) 또는 수전구(1)를 내장한 수전구케이스(2)가 그몸체에 구비한 고정부(3)에 고정대(4)를 결합하고 벽체에 매설됨에 있어서,
    고정대(4) 길이부에 철근끼움구(5)를 형성하여, 철근끼움구(5)에 끼워진 고정바(6)가 철근(14)에 철사나 끈으로 묶여진후, 거푸집(11) 양편 내면에서 수전구(1) 선단과 고정대(4) 후단이 각각 맞닿아 지지하여 콘크리트가 타설되도록 형성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수전구고정대
KR2020060018996U 2006-07-13 2006-07-13 수전구 고정대 KR20042762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8996U KR200427623Y1 (ko) 2006-07-13 2006-07-13 수전구 고정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8996U KR200427623Y1 (ko) 2006-07-13 2006-07-13 수전구 고정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7623Y1 true KR200427623Y1 (ko) 2006-09-28

Family

ID=417761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8996U KR200427623Y1 (ko) 2006-07-13 2006-07-13 수전구 고정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762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2873B1 (ko) 2012-05-17 2013-09-30 김창환 벽체 시공을 위한 수도관 지지 장치
KR102606169B1 (ko) * 2023-01-07 2023-11-23 최순자 블록적재지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2873B1 (ko) 2012-05-17 2013-09-30 김창환 벽체 시공을 위한 수도관 지지 장치
KR102606169B1 (ko) * 2023-01-07 2023-11-23 최순자 블록적재지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27623Y1 (ko) 수전구 고정대
JP4537689B2 (ja) コンクリート埋設用配管配置具及びそれを用いたコンクリート埋設配管の施工方法
KR200414938Y1 (ko) 벽면 매립형 수전박스 시공구조
KR100833570B1 (ko) 철근 무손상시공용 벽체매립형 수전함 및 이를 이용한배관시공방법
KR100762012B1 (ko) 배관보호용 슬리브
KR200387090Y1 (ko) 수전이음쇠 내장형 매립 커버
KR100904507B1 (ko) 수전용 벽체 매입형 헤더
KR101435370B1 (ko) 관 연결부가 벽 외부로 노출되는 수전구
KR100751517B1 (ko) 동관수전박스
KR101235669B1 (ko) 벽체매립형 이중관보호부재 및 이를 이용한 분배기 배관연결방법
KR20080076279A (ko) 파이프 임시 고정부재가 구비된 벽체 매립 상자 및 이를이용한 파이프 이음관 시공방법
KR20080029331A (ko) 공동주택용 단자함 고정구
KR100481811B1 (ko) 비수전함형 수전연결시스템
KR100886361B1 (ko) 벽체 매립형 수전함
KR100948015B1 (ko) 수전용 벽체 매입형 헤더의 전면 연장구
KR200391116Y1 (ko) 욕실 벽 배관 보호용 슬리브의 개선구조
KR200421451Y1 (ko) 욕실 벽 배관 보호용 슬리브
KR19980025063U (ko) 거푸집 매설용 슬리브.
KR200383150Y1 (ko) 오수관 겸용 세면기 수전고정대
KR200413538Y1 (ko) 건축마감용 수전케이스 연장틀
KR200386845Y1 (ko) 건출물 벽배관 보호용 슬리브의 개선구조
KR100704387B1 (ko) 건설구조물의 노출 상수도관 고정구조
KR20080005114U (ko) 건축물의 벽 배관 보호 슬리브
KR200371600Y1 (ko) 건설구조물의 노출 상수도관 고정구조
KR102439624B1 (ko) 수전함 설치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