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5114U - 건축물의 벽 배관 보호 슬리브 - Google Patents

건축물의 벽 배관 보호 슬리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5114U
KR20080005114U KR2020070007093U KR20070007093U KR20080005114U KR 20080005114 U KR20080005114 U KR 20080005114U KR 2020070007093 U KR2020070007093 U KR 2020070007093U KR 20070007093 U KR20070007093 U KR 20070007093U KR 20080005114 U KR20080005114 U KR 2008000511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wall
insertion tube
present
protection slee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70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미
Original Assignee
박영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미 filed Critical 박영미
Priority to KR20200700070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05114U/ko
Publication of KR2008000511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5114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5/00Forms or shutterings for making openings, cavities, slits, or channels
    • E04G15/06Forms or shutterings for making openings, cavities, slits, or channels for cavities or channels in walls of floors, e.g. for making chimne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콘크리트 건물의 건축시 벽에 가스관, 급수관, 공조용 배기관, 전선이나 광케이블 등이 통과할 수 있는 통로를 확보하기 위한 건축물의 벽 배관 보호 슬리브에 관한 것으로, 슬리브 본체 중앙에 삽입관을 형성하고, 삽입관 내부에 연약 연결부로 연결되는 차폐판을 배치하며, 상기 삽입관의 상부에는 브래킷을 설치하여서 된 것이다.

Description

건축물의 벽 배관 보호 슬리브{Building wall piping protection sleeve}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 예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슬리브 본체 11,12; 삽입관 13; 체결수단 20; 브래킷
21; 수평부 22; 수직부 30; 관로 형성파이프
본 고안은 콘크리트 건물의 건축시 벽에 가스관, 급수관, 공조용 배기관, 전선이나 광케이블 등이 통과할 수 있는 통로를 확보하기 위한 건축물의 벽 배관보호 슬리브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도 상기와 같은 관로를 형성하기 위한 기술로서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381899호 "가스관 및 급수관 삽입용 관로 형성파이프"가 공고된바 있다.
상기 종래기술은 가스관 또는 급수관을 삽입할 수 있는 크기의 내경을 가지 고 벽 두께에 상응하는 길이를 가지는 파이프 부재의 한쪽 구멍을 가림판으로 막아내면 외주연을 따라 절개용 홈선을 형성함으로써 망치로 치면 가림판이 떨어져 나가 구멍이 개방되게 형성하고 파이프 부재의 다른 쪽 구멍은 내측에 걸림턱이 있는 개방부로 형성하여 중앙부에 손잡이가 형성된 마개를 끼워 개방부를 막을 수 있게 구성하여 된 것이다.
상기의 종래기술은 관로 형성파이프의 양단부가 막혀있기 때문에 파이프 내에 콘크리트 액이나 모르타르가 침입하지 못하게 되어 콘크리트가 응고된 후 형틀을 제거하고 벽 배관 보호용 파이프의 한쪽 구멍에 형성된 가림판을 망치로 치면 가림판이 절개홈을 따라 떨어져 나가 구멍을 형성하고 반대 측의 마개를 제거하면 깨끗한 관로가 형성되므로 배관을 간편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관로 형성파이프에 가림판과 걸림턱을 형성하여야 하기 때문에 가림판을 가진 파이프를 별도로 제작하여야 하므로 금형비용이 별도로 소요되고 범용으로 사용되는 일반 파이프의 이용이 불가능하여 설치작업이 불편하고 제품가격이 높아진다.
둘째, 파이프의 개방부를 막아주는 마개나 파이프형 마개를 별도로 제작하여야하기 때문에 이 또한 금형비용이 추가되고 부품 수가 늘어나므로 제품가격이 상승한다.
셋째, 고정자는 지지판과 지지관 사이에 일체로 형성된 지지대의 길이가 변경될 수 없는 구조로 되어 있어 콘크리트벽에 형성되는 관로의 높이를 임의 조절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관로를 형성하는 파이프를 일반 범용의 파이프를 공사 현장에서 거푸집의 공간에 맞게 적정길이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하여 작업의 편리성과 가격의 저렴성을 제공하고 관로를 형성하는 파이프의 설치위치를 현장에서 적절하게 변위 가능하게 하여 미리 정해진 설계에 따른 위치에 정확하게 관로를 형성할 수 있게 한 건축물의 벽 배관 보호 슬리브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슬리브 본체 중앙에 삽입관을 형성하고, 삽입관 내부에 연약 연결부로 연결되는 차폐판을 배치하며, 상기 삽입관의 상부에는 브래킷을 설치하여서 된 특징이 있다.
또, 본 고안은 상기 브래킷은 상기 슬리브 본체 상부에 형성된 결합수단에 의해 승강 조절되게 설치하여서 된 다른 특징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벽 배관 보호 슬리브의 일 실시 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부 절제 정면도로서,
슬리브 본체(10)의 중앙 전후방으로 파이프 삽입관(11)(12)가 형성되고 이 삽입관(11)(12)의 상부 중앙에 브래킷(20)이 상하방향으로 가변가능하게 조립될 수 있는 결합수단(13)이 형성되고 이 결합수단(13)에는 체결공(13a)이 천공되어 있다.
상기 파이프 삽입관(11)(12)는 벽 배관 보호 파이프(30)를 삽입할 수 있게 전방과 후방으로 약간씩 돌출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차폐판(14)이 형성되어 있고 이 차폐판(14)의 가장자리는 쉽게 떨어져 나갈 수 있도록 연약 연결부(15)에 의해 삽입관의 내면과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10)의 양 옆에는 고정편(1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브래킷(20)은 슬리브 본체(10)를 거푸집(40)의 모서리 상면에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 수평부(21)와 수직부(22)가 절곡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평부(21)에는 거푸집(30)에 나사못(41)으로 고정할 수 있게 구멍(23)이 천공되어 있고, 상기 수직부(22)에는 볼트(25)로 결합수단(13)에 수직부(22)를 적정위치에 고정할 수 있게 구멍(24)이 천공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관로를 형성하고자 하는 위치에 본 고안의 슬리브 본체(10) 두 개를 도 3과같이 거푸집(40)의 사이에 설치하되 그 사이에 관로를 형성하는 파이프(30)를 건너질러 삽입한 다음 브래킷(20)으로 거푸집에 고정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거푸집이 알루미늄으로 되어 있거나 기타 다른 이유에 의해 브래킷(20)을 사용할 수 없을 경우에는 본체의 양 옆에 형성된 고정편(16)을 이용하여 고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사용하는 본 고안은 브래킷(20)이 슬리브 본체(10)의 결합수단(13)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벽체의 정확한 위치에 관로를 형성 할 수 있는 것이다.
또, 본 고안은 차폐판이 슬리브 본체의 삽입관에 형성되어 있어 관로를 형성하는 파이프(30)는 일반 파이프를 현장에서 알맞게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별도의 파이프를 제작하여 사용할 필요가 없다.
상기 차폐판(14)은 건물 시공할 때 시멘트 모르타르 등의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벽체를 구성하는 콘크리트가 굳은 후 거푸집을 떼어낸 뒤 망치 등으로 충격을 가하면 연약 연결부(15)에 의하여 쉽게 제거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벽 배관위치를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고, 부품수를 줄여 생산단가를 낮출 수 있으며 관로를 형성하는 파이프는 공사현장에서 사용하는 일반 파이프를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이 편리한 것 등의 이점이 있다.

Claims (2)

  1. 슬리브 본체 중앙에 삽입관을 형성하고, 삽입관 내부에 연약 연결부로 연결되는 차폐판을 배치하며, 상기 삽입관의 상부에는 브래킷을 설치하여서 된 건축물의 벽 배관 보호 슬리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은 상기 슬리브 본체 상부에 형성된 결합수단에 의해 승강 조절되게 설치하여서 된 건축물의 벽 배관 보호 슬리브.
KR2020070007093U 2007-04-30 2007-04-30 건축물의 벽 배관 보호 슬리브 KR2008000511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7093U KR20080005114U (ko) 2007-04-30 2007-04-30 건축물의 벽 배관 보호 슬리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7093U KR20080005114U (ko) 2007-04-30 2007-04-30 건축물의 벽 배관 보호 슬리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5114U true KR20080005114U (ko) 2008-11-04

Family

ID=41502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7093U KR20080005114U (ko) 2007-04-30 2007-04-30 건축물의 벽 배관 보호 슬리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05114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5000A (ko) * 2014-05-23 2015-12-02 (주) 스카이시스템 층상배관용 슬리브지지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5000A (ko) * 2014-05-23 2015-12-02 (주) 스카이시스템 층상배관용 슬리브지지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5461B1 (ko) 설치 및 해체가 간단한 가설방음벽
US7055863B1 (en) Containment device and method for hose bibs and the like
KR200459675Y1 (ko) 콘센트 고정용 전기박스
KR20080005114U (ko) 건축물의 벽 배관 보호 슬리브
KR101502600B1 (ko) 스트롱 앵커
KR100944335B1 (ko) 콘크리트 구조물용 지수판 슬리브
KR20070107944A (ko) 건축 외장재 고정장치
JP2005133360A (ja) ジベル後入れ型埋込金物
KR200405550Y1 (ko) 파이프 써포트
KR100762012B1 (ko) 배관보호용 슬리브
KR200427623Y1 (ko) 수전구 고정대
KR200442184Y1 (ko) 배관 삽입용 관로 형성 부재
KR200421885Y1 (ko) 건축 외장재 고정용 패스너
KR100711503B1 (ko) 슬리브하우징 일체형 덕트
KR200431081Y1 (ko) 청소용 고리
KR200413531Y1 (ko) 벽체매립용 수전박스구조
KR20110037651A (ko) 행거 고정구
KR200421886Y1 (ko) 건축 외장재 고정용 패스너 연결장치
KR200346948Y1 (ko) 배수관 고정슬리브
KR101717999B1 (ko) 공동주택 벽체의 전기배관 보호장치
JP2006353072A (ja) ハンドホ−ル及び継手工法
KR100828161B1 (ko) 비계파이프 설치용 클램프
KR200391116Y1 (ko) 욕실 벽 배관 보호용 슬리브의 개선구조
KR200262178Y1 (ko) 관통 슬리브
KR200386845Y1 (ko) 건출물 벽배관 보호용 슬리브의 개선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