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3570B1 - 철근 무손상시공용 벽체매립형 수전함 및 이를 이용한배관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철근 무손상시공용 벽체매립형 수전함 및 이를 이용한배관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3570B1
KR100833570B1 KR1020070052480A KR20070052480A KR100833570B1 KR 100833570 B1 KR100833570 B1 KR 100833570B1 KR 1020070052480 A KR1020070052480 A KR 1020070052480A KR 20070052480 A KR20070052480 A KR 20070052480A KR 100833570 B1 KR100833570 B1 KR 1008335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wall
reinforcing
built
fauc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24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피아이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피아이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피아이피
Priority to KR10200700524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35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35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35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2Arrangements on taps for wash-basins or baths for connecting to the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21Devices for positioning or connecting of water supply l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근 무손상시공용 벽체매립형 수전함 및 이를 이용한 배관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다수의 배관출입공이 둘레면에 형성되고 전면이 개방된 박스형상의 매립부재를 철근콘크리트벽의 피복두께와 대등한 깊이로 제조함으로써 배근된 벽체 철근에 절단 또는 휨 등의 손상을 가하지 않고도 시공가능하여 건물 구조체의 강도저하를 방지하고 작업능률이 향상되며, 완충패드 및 케이블타이 고정구를 구비함으로써 수격현상에 의한 소음을 방지할 수 있는 철근 무손상시공용 벽체매립형 수전함 및 이를 이용한 배관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연결관을 이용하여 냉온수배관의 입출 및 분기를 위한 다수의 배관출입공이 둘레면에 형성되며 전면이 개방된 박스형상의 매립부재와, 상기 함체의 전면을 개폐하는 속커버 및 오픈커버로 이루어지는 벽체매립형 수전함에 있어서, 상기 매립부재(10)는 철근콘크리트벽의 피복두께와 대등한 깊이로 제조되고, 상부에 구비되어 배면측으로 개방된 후크형상으로 형성되는 상부철근걸이구(11)와; 하부에 구비되어 배근된 철근(2)을 삽입고정하도록 형성되는 하부철근걸이구(12)와; 이중관소켓이 안착되도록 상기 배관출입공(15)과 인접한 내측면은 볼록하게 확장되어 형성되는 소켓안착부(13);를 포함함으로써, 배근된 벽체 철근에 절단 또는 휨 등의 손상을 가하지 않고 시공가능하고, 상기 매립부재(10)에 내설되는 냉온수배관 또는 연결관의 배면측에 부착되는 완충패드(80)와; 상기 냉온수배관을 케이블타이로 고정하도록 매립부재(10)의 내측 배면에 고리모양으로 형성되는 케이블타이고정구(14);를 포함함으로써, 수격현상으로 인한 소음발생을 방지하는 철근 무손상시공용 벽체매립형 수전함 및 이를 이용한 배관시공방법에 관한 것을 그 기술적 요지로 한다.
철근콘크리트벽 깊이, 철근 무손상시공, 벽체매립형 수전함, 배관시공방법, 완충패드, 케이블타이고정구

Description

철근 무손상시공용 벽체매립형 수전함 및 이를 이용한 배관시공방법{BUILT-IN WALL WATER SERVICE BOX FOR CONSTRUCTION WITHOUT IRON REINFORCING ROD DAMAGE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도 1 은 종래의 벽체매립형 수전함의 시공상태를 보이는 개략도
도 2 는 본 발명을 적용한 벽체매립형 수전함의 실시예1을 보이는 분해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을 적용한 벽체매립형 수전함의 실시예1을 보이는 측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을 적용한 벽체매립형 수전함의 실시예2를 보이는 분해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을 적용한 벽체매립형 수전함의 실시예2를 보이는 측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을 적용한 벽체매립형 수전함의 실시예3을 보이는 분해사시도
도 7 은 본 발명을 적용한 벽체매립형 수전함의 실시예3를 보이는 측단면도
도 8 은 본 발명을 적용한 벽체매립형 수전함의 실시예4를 보이는 분해사시도
도 9 는 본 발명을 적용한 벽체매립형 수전함의 시공방법을 보이는 순서도
도 10 은 본 발명을 적용한 벽체매립형 수전함을 화장실 내에서 적용한 모습을 보이는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벽체매립형 수전함 2: 철근
3: 소켓 4: 연질관
5: CD관 6: 카운터
7: 플렉시블호스 8: 코일형 연질관
9: 수전 10: 매립부재
11: 상부철근걸이구 12: 하부철근걸이구
13: 소켓안착부 14: 케이블타이고정구
15: 배관출입공 20: 연장부재
30: 속커버 31: 볼트결합공
40: 엘보우고정부재 41: 통공
42: 나사공 43: 수평조절공
50: 오픈커버 51: 볼트체결공
60: 마감커버 70a: 엘보우연결관
70b: T자연결관 71: 스피캇수전엘보우
80: 완충패드
S100: 매립부재 제조단계 S101: 매립부재 고정단계
S102: CD관 배관단계 S103: 연질관 배관단계
S104: 콘크리트 타설단계 S105: 콘크리트 양생 및 탈거단계
S106: 속커버 고정단계 S107: 방수 및 타일 부착단계
S108: 오픈 및 마감커버 고정단계 S111: 엘보우고정부재 고정단계
S112: 연장부재 고정단계
S113: 완충패드 부착 및 케이블타이 고정단계
S114: 카운터 시공단계
S115: 플렉시블호스 또는 코일형 연질관 연결단계
본 발명은 철근 무손상시공용 벽체매립형 수전함 및 이를 이용한 배관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의 배관출입공이 둘레면에 형성되고 전면이 개방된 박스형상의 매립부재를 철근콘크리트벽의 피복두께와 대등한 깊이로 제조함으로써 배근된 벽체 철근에 절단 또는 휨 등의 손상을 가하지 않고도 시공가능하여 건물 구조체의 강도저하를 방지하고 작업능률이 향상되며, 완충패드 및 케이블타이 고정구를 구비함으로써 수격현상에 의한 소음을 방지할 수 있는 철근 무손상시공용 벽체매립형 수전함 및 이를 이용한 배관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 오피스텔, 호텔, 가정주택 등의 건물 내에는 급수 및 급탕을 위한 배관이 설치되어 있는데, 외부에서 유입되는 냉온수관을 싱크대 하부, 붙박이장, 드레스룸 등에 설치되어 있는 분배기로 유도하고, 상기 분배기로부터 세탁실, 발코니, 화장실, 욕실, 보일러실, 다용도실 등의 각 수요처로 연결하고 있다.
상기 분배기로부터 각 수요처로 이송되는 냉온수배관을 살펴보면, 외면이 굴곡이 진(일명 자바라 형상의) 파이프 보호관의 내부에 파이프가 통과하는 형상으로, 보호관에 둘러싸인 채로 방바닥이나 거실의 바닥을 통과해 화장실이나 욕실로 향하고, 각 실의 입구에 설치된 각각의 수전함으로부터 연결관을 결속하여 세탁실, 발코니, 욕조, 세면대, 변기 등에 냉,온수를 공급하게 된다.
종래 수전함의 바닥매설 방식은 작업 후의 개보수가 쉽지 않은 것으로, 예컨대 사용 중에 냉,온수 배관이 동파로 인한 파손되거나 누수현상이 발생하면, 바닥에 묻혀있는 냉,온수 배관이나 수전함을 육안으로 확인하기 어렵고, 결국에는 방바닥이나 마루바닥을 해체하여 복개한 다음 하나하나 살펴보아야만 하고, 확인이나 개보수 후에는 다시 매립해야 하는 불편이 있어 최근에는 바닥매설 방식 대신에 화장실이나 욕실 등의 각 수요처 부근의 벽체에 직접 매설하고 각 수전함으로부터 다른 수전함으로 분기하여 연결하는 점프방식의 벽체매립형 수전함 배관방식이 등장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벽체매립형 수전함은 개폐가능한 오픈커버를 갖는 일측이 개방된 박스모양의 함체로 형성되고, 둘레부에 냉온수배관의 유입 및 분기를 위한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고 오픈커버에도 수전과의 연결을 위한 통공이 형성된다.
그러나, 종래의 벽체매립형 수전함(100)은 철근콘크리트벽의 피복두께보다 깊이가 깊기 때문에, 콘크리트 타설후 완전히 매립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설치시 배근된 벽체 철근(2)을 일부 잘라내거나 휘어서 수전함(100) 전체를 벽체의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설치한다.
따라서, 종래의 벽체매립형 수전함(1)의 설치시에는 건물의 기본적인 구조체인 배근된 벽체 철근을 일부 절단하거나 휘는 등의 손상을 가하여야 하기 때문에 수전함이 많이 설치되면 될수록 건물전체의 강도가 약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철근을 절단하거나 휘는 등의 작업은 어렵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므로 작업능률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되는 것으로, 다수의 배관출입공이 둘레면에 형성되고 전면이 개방된 박스형상의 매립부재를 철근콘크리트벽의 피복두께와 대등한 깊이로 제조함으로써 배근된 벽체 철근에 절단 또는 휨 등의 손상을 가하지 않고도 시공가능하여 건물 구조체의 강도저하를 방지하고 작업능률이 향상되며, 완충패드 및 케이블타이 고정구를 구비함으로써 수격현상에 의한 소음을 방지할 수 있는 철근 무손상시공용 벽체매립형 수전함 및 이를 이용한 배관시공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연결관을 이용하여 냉온수배관의 입출 및 분기를 위한 다수의 배관출입공이 둘레면에 형성되며 전면이 개방된 박스형상의 매립부재와, 상기 함체의 전면을 개폐하는 속커버 및 오픈커버로 이루어지는 벽체매립형 수전함에 있어서, 상기 매립부재(10)는 철근콘크리트벽의 피복두께와 대등한 깊이로 제조됨으로써, 배근된 벽체 철근에 절단 또는 휨 등의 손상을 가하지 않고 시공가능한 철근 무손상시공용 벽체매립형 수전함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달성된다.
또한, 상기 매립부재(10)는, 상부에 구비되어 배면측으로 개방된 후크형상으로 형성되는 상부철근걸이구(11)와; 하부에 구비되어 배근된 철근(2)을 삽입고정하도록 형성되는 하부철근걸이구(12)와; 이중관소켓이 안착되도록 상기 배관출입공(15)과 인접한 내측면은 볼록하게 확장되어 형성되는 소켓안착부(13);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속커버(30)에 고정되고 엘보우연결관(70a)를 위치고정시키는 엘보우고정부재(40);를 포함하되, 상기 엘보우고정부재(40)는 엘보우연결관(70a)이 삽출되는 통공(41)이 형성되고, 엘보우연결관(70a)을 고정하기 위한 나사공(42)이 형성되며, 속커버(30)에 고정시 수평조절을 위한 원호형상의 수평조절공(43)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격현상으로 인한 소음발생을 방지하도록 상기 매립부재(10)에 내설되는 냉온수배관 또는 연결관의 배면측에 부착되는 완충패드(80)와; 상기 냉온수배관을 케이블타이로 고정하도록 매립부재(10)의 내측 배면에 고리모양으로 형성되는 케이블타이고정구(14);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매립부재(10)와 동일한 둘레부를 갖고 전후면이 개방되어 매립부재(10)의 전면에 부착되는 연장부재(2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매립부재(10) 내에서 냉수배관과 온수배관을 T자연결관(70b)으로 분기하고 스피캇수전엘보우(71)를 연결하되 대칭되도록 배열함으로서 냉온수배관으로부터 각각 분기된 스피캇수전엘보우(71)의 높이가 동일선상에 놓이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연결관을 이용하여 냉온수배관의 입출 및 분기를 위한 다수의 배관출입공이 둘레면에 형성되며 전면이 개방된 박스형상의 매립부재와, 상기 함체의 전면을 개폐하는 속커버 및 오픈커버로 이루어지는 벽체매립형 수전함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배근된 벽체 철근(2)에 철근콘크리트벽의 피복두께와 대등한 깊이를 갖고 상부에는 배면측으로 개방된 후크형상의 상부철근걸이구(11)를 형성하며 하부에는 배근된 철근(2)을 삽입고정하도록 하부철근걸이구(12)가 형성되고 이중관소켓이 안착되도록 상기 배관출입공(15)과 인접한 내측면은 볼록하게 확장된 소켓안착부(13)가 형성되는 매립부재(10)를 제조하는 단계(S100)와; 상기 제조된 매립부재(10)를 배근된 벽체 철근(2)에 상부철근걸이구(11)와 하부철근걸이구(12)를 이용하여 고정시키는 단계(S101)와; 상기 고정된 매립부재(10)의 필요한 배관출입공(15)을 개방하고 소켓(3)을 이용하여 CD관(5)을 매립부재에 고정하고 배관하는 단계(S102)와; 상기 배관된 CD관(5)의 내측에 연질관(4)을 삽입하고 연결관(70a,70b)을 이용하여 연결·분배하여 배관하는 단계(S103)와; 거푸집을 설치하고 철근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S104)와; 타설된 철근콘크리트를 양생하고 거푸집 탈거하는 단계(S105)와; 상기 매립부재(10)의 전면에 수평이 맞도록 조절하여 속커버(30)를 부착하여 고정하는 단계(S106)와; 상기 속커버(30)의 전면에 방수도장 및 타일부착하는 단계(S107)와; 상기 타일이 부착된 속커버(30)의 전면에 수평이 맞도록 조절하여 오픈커버(50)를 부착하여 고정하는 단계(S108);를 포함함으로써, 배근된 벽체 철근에 절단 또는 휨 등의 손상을 가하지 않고 시공가능한 철근 무손상시공용 벽체매립형 수전함을 이용한 배관시공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달성된다.
또한, 상기 속커버고정단계(S106)와 오픈커버고정단계(S108) 사이에, 상기 속커버(30)에 원호형상의 수평조절공(43)을 이용하여 수평을 조절하여 나사공(42)에 엘보우고정부재(40)를 고정하고 상기 연질관(4)의 단부에 연결된 엘보우연결관(70a) 또는 연질관(4)으로부터 T자연결관(70b)으로 분기된 스피캇수전엘보우(71)를 상기 엘보우고정부재(40)에 결합시켜 위치고정시키는 단계(S111);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콘크리트 양생 및 거푸집 탈거 단계(S105) 이후에, 상기 매립부재(10)와 동일한 둘레부를 갖고 전후면이 개방된 연장부재(20)를 벽체에 매립된 매립부재(10)의 전면에 부착하여 고정하는 단계(S112);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질관배관단계(S103) 이후에, 상기 매립부재(10)에 내설되는 냉온수배관 또는 연결관의 배면측에 수격현상으로 인한 소음발생을 방지하도록 완충패드(80)를 부착하고; 상기 매립부재(10)의 내측 배면에 고리모양으로 형성된 케이블타이고정구(14)에 냉온수배관을 케이블타이로 고정하는 단계(S113);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2 는 본 발명을 적용한 벽체매립형 수전함의 실시예1을 보이는 분해사시도이며, 도 3 은 본 발명을 적용한 벽체매립형 수전함의 실시예1을 보이는 측단면도이고, 도 4 는 본 발명을 적용한 벽체매립형 수전함의 실시예2를 보이는 분해사시도이며, 도 5 는 본 발명을 적용한 벽체매립형 수전함의 실시예2를 보이는 측단면도이고, 도 6 은 본 발명을 적용한 벽체매립형 수전함의 실시예3을 보이는 분해사시도이며, 도 7 은 본 발명을 적용한 벽체매립형 수전함의 실시예3를 보이는 측단면도이고, 도 8 은 본 발명을 적용한 벽체매립형 수전함의 실시예4를 보이는 분해사시도이며, 도 9 는 본 발명을 적용한 벽체매립형 수전함의 시공방법을 보이는 순서도이고, 도 10 은 본 발명을 적용한 벽체매립형 수전함을 화장실 내에서 적용한 모습을 보이는 평면도이다.
본 발명은 건물 구조체의 강도저하를 방지하고 작업능률이 향상시키기 위하여 배근된 벽체 철근에 절단 또는 휨 등의 손상을 가하지 않고도 시공가능하도록 다수의 배관출입공이 둘레면에 형성되고 전면이 개방된 박스형상의 매립부재를 철근콘크리트벽의 피복두께와 대등한 깊이로 제조하고, 수격현상에 의하여 수전함 내에서 연질관 또는 연결관이 충돌하면서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완충패드를 부착하고 케이블타이 고정구를 구비하는 수전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벽체매립형 수전함(1)은 매립부재(10)와 엘보우고정부재(40)와 완충패드(80)와 케이블타이고정구(14)와 연장부재(20)와 스피캇수전엘보우(71)를 포 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매립부재(10)는 연결관을 이용하여 냉온수배관의 입출 및 분기를 위한 다수의 배관출입공이 둘레면에 형성되며 전면이 개방된 박스형상의 매립부재가 철근콘크리트벽의 피복두께와 대등한 깊이로 제조된다. 이렇게 제조됨으로써 배근된 벽체 철근에 절단 또는 휨 등의 손상을 가하지 않고 시공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매립부재(10)는 상부에 구비되어 배면측으로 개방된 후크형상으로 상부철근걸이구(11)를 형성하고, 하부에 구비되어 배근된 철근(2)을 삽입고정하도록 하부철근걸이구(12)를 형성하며, 이중관소켓이 안착되도록 상기 배관출입공(15)과 인접한 내측면은 볼록하게 확장되는 소켓안착부(13)를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엘보우고정부재(40)는 매립부재(10)에 내설되는 엘보우연결관(70a)이 노출되면서 고정되도록 통공(41)이 형성되고 통공(41) 양측에 엘보우연결관(70a)을 위치고정시키기 위한 나사공(42)이 형성되며, 가장자리 측으로 엘보우고정부재(40)의 수평조절을 위한 원호형상의 수평조절공(43)이 형성된다. 엘보우고정부재(40)와 마찬가지로 속커버(30)에도 원호형상의 수평조절공이 형성되어 속커버(30)에서 1차 수평조절이 가능하고, 엘보우고정부재(40)에서 2차 수평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완충패드(80)는 매립부재(10)에 내설되는 냉온수배관 또는 연결관의 배면측에 미리 부착되어, 배관되는 냉온수배관 및 연결관이 매립부재(10)와 충격하면서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수격현상으로 인한 소음발생을 억 제 및 방지한다. 상기 완충패드(80)는 스펀지, 부직포, 압착스티로폼 등 완충가능한 모든 소재의 적용이 가능하며, 배면측에 접착시트를 형성함으로써 조립의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블타이고정구(14)는 매립부재(10)의 내측 배면에 고리모양으로 형성됨으로써, 케이블타이를 삽입하여 냉온수배관 또는 연결관을 밀착시켜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장부재(20)는 매립부재(10)와 동일한 둘레부를 갖고 전후면이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매립부재(10)의 전면에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매립부재(10)와 탈부착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로써, 매립부재(10)의 깊이를 더 깊게 확보할 수 있어 T자연결관(70b) 및 플렉시블호스 등을 배관할 수 있는 깊이로 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스피캇수전엘보우(71)는 매립부재(10) 내에서 냉수배관과 온수배관을 T자연결관(70b)으로 분기하되 상하 및 좌우대칭이 동시에 되도록 배관하고, T자연결관(70b)에 스피캇수전엘보우(71)를 연결하되 이 또한 대칭되도록 배관하고 스피캇수전엘보우(71)의 개구가 전면을 향하면서 동시에 높이가 동일선상에 놓이도록 설치한다. 높이가 동일선상에 놓인 스피캇수전엘보우(71)의 단부는 엘보우고정부재(40)에 결합되어 위치고정된다.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하는 것으로 이해되어 야 하며, 본 발명을 이에 한정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실시예1)
건물벽체에 매립되는 다수의 벽체매립형 수전함들 중 말단에 형성되는 냉온수의 공급만 있고 분기는 없는 수전함에 적용되는 배관시공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매립부재(10)와 완충패드(80) 및 엘보우고정부재(40)를 미리 제조한다(S100).
상기 매립부재(10)는 냉온수배관의 입출을 위한 다수의 배관출입공이 둘레면에 형성되며 전면이 개방된 박스형상으로 형성되되, 배근된 벽체 철근(2)에 철근콘크리트벽의 피복두께와 대등한 깊이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부에는 배면측으로 개방된 후크형상의 상부철근걸이구(11)를 형성하며 하부에는 배근된 철근(2)을 삽입고정하도록 하부철근걸이구(12)가 형성되고 이중관소켓이 안착되도록 상기 배관출입공(15)과 인접한 내측면은 볼록하게 확장된 소켓안착부(13)가 형성되도록 제조한다.
또한, 상기 완충패드(80)는 스펀지, 부직포, 압축스티로폼 등의 완충가능한 모든 소재의 적용이 가능하나, 본 실시예에서는 압축된 스펀지를 이용하고 배면에 접착시트를 형성하여 매립부재(10)에 부착을 용이하도록 처리하였다.
또한, 상기 엘보우고정부재(40)는 속커버(30)의 통공에 형성된 볼트결합공(31)에 나사결합되어 탈부착가능토록 형성되되 상기 볼트결합공(31)에 대응되는 수평조절공(43)을 원호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속커버(30)와 결합시 또는 이후에도 일정각도로 회전가능하여 수전의 수평을 유지하도록 조절할 수 있도록 제조한다.
다음, 도 2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조된 매립부재(10)를 배근된 벽체 철근(2)에 상부철근걸이구(11)와 하부철근걸이구(12)를 이용하여 걸어서 위치고정시킨다(S101). 본 발명의 매립부재(10)는 깊이가 철근콘크리트벽의 피복 두께 정도로 제조되어 배근된 철근을 잘라내거나 휘는 등의 손상을 가하지 않는다.
다음, 상기 고정된 매립부재(10)의 필요한 배관출입공(15)을 개방하고 소켓(3)을 이용하여 CD관(5)을 매립부재에 고정하고 배관한다(S102).
다음, 상기 배관된 CD관(5)의 내측에 연질관(4)을 삽입하고 상기 연질관(4)의 단부에 엘보우연결관(70a)을 이용하여 연결하여 배관한다(S103).
다음, 상기 매립부재(10)에 내설되는 냉온수배관 또는 연결관의 배면측에 수격현상으로 인한 소음발생을 방지하도록 완충패드(80)를 부착하고, 상기 매립부재(10)의 내측 배면에 고리모양으로 형성된 케이블타이고정구(14)에 냉온수배관을 케이블타이로 고정한다(S113).
다음, 상기 매립부재(10)의 전면에 보호커버(도시없음)를 부착후 거푸집을 설치하고 철근콘크리트를 타설한다(S104).
다음, 타설된 철근콘크리트를 양생하고 거푸집 탈거한다(S105).
다음, 상기 매립부재(10)의 전면에 수평이 맞도록 조절하여 속커버(30)를 부착한다(S106). 이때 속커버(30)의 가장자리측에 형성된 원호형상의 수평조절공을 이용하여 수평을 조절하여 부착한다.
다음, 상기 속커버(30)의 전면에 방수도장 및 타일을 부착한다(S107).
다음, 상기 속커버(30)에 원호형상의 수평조절공(43)을 이용하여 수평조절을 한 뒤 엘보우고정부재(40)를 고정하고 상기 연질관(4)의 단부에 연결된 엘보우연결관(70a)을 상기 엘보우고정부재(40)의 나사공(42)에 결합시켜 위치고정시킨다(S111). 따라서, 수평조절을 속커버(30)에서 1번, 엘보우고정부재(40)에서 1번, 총 2번의 수평조절을 통하여 엘보우연결관(70a)의 수평조절이 잘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 상기 타일이 부착된 속커버(30)의 전면에 원호형상으로 형성된 볼트체결공(51)을 갖는 오픈커버(50)를 부착하되, 상기 원호형상의 볼트체결공(51)으로 인해 수평을 조절하여 속커버(30)와 결합되고, 상기 오픈커버(50)의 전면에 마감커버(60)를 결합한다.(S108).
이로써, 건물의 벽체에 매립되는 다수의 벽체매립형 수전함들 중 말단에 위치되는 냉온수배관의 공급은 있으나 분기는 없는 배관시공방법을 배근된 철근의 절단 또는 휨 등의 손상없이 설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실시예2)
건물의 벽체에 매립되는 다수의 벽체매립형 수전함들 중 중간에 형성되는 냉온수의 공급 및 분기가 동시에 이뤄지는 수전함에 적용되는 배관시공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실시예1에서와 동일하게 매립부재(10)와 완충패드(80)를 미리 제조한다(S100).
다음, 도 4 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조된 매립부재(10)를 실시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배근된 벽체 철근(2)에 상부철근걸이구(11)와 하부철근걸이구(12)를 이용하여 걸어서 벽체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위치고정시킨다(S101).
다음, 상기 고정된 매립부재(10)의 필요한 배관출입공(15)을 개방하고 소켓(3)을 이용하여 CD관(5)을 매립부재에 고정하고 배관한다(S102).
다음, 상기 배관된 CD관(5)의 내측에 연질관(4)을 삽입하고 그 중간에 T자연결관(70b)을 이용하여 연결·분배하여 배관하되, 냉수용 연질관(4)과 온수용 연질관(4)에 대하여 상하 및 좌우대칭이 되도록 T자연결관(70b)을 배관한다(S103).
다음, 상기 매립부재(10)에 내설되는 냉온수배관 또는 연결관의 배면측에 수격현상으로 인한 소음발생을 방지하도록 완충패드(80)를 부착하고, 상기 매립부재(10)의 내측 배면에 고리모양으로 형성된 케이블타이고정구(14)에 냉온수배관을 케이블타이로 고정한다(S113).
다음, 상기 매립부재(10)의 전면에 보호커버(도시없음)를 부착후 거푸집을 설치하고 철근콘크리트를 타설한다(S104).
다음, 타설된 철근콘크리트를 양생하고 거푸집 탈거한다(S105).
다음, 상기 매립부재(10)의 전면에 수평이 맞도록 조절하여 속커버(30)를 부착한다(S106). 이때 속커버(30)의 가장자리측에 형성된 원호형상의 수평조절공을 이용하여 수평을 조절하여 부착한다.
다음, 상기 속커버(30)의 전면에 방수도장 및 타일을 부착한다(S107).
다음, 상기 T자연결관(70b)의 단부에 스피캇수전엘보우(71)를 연결하되 T자 연결관(70b)과 마찬가지로 대칭되도록 설치하면서 상기 스피캇수전엘보우(71)의 단부 개구의 높이가 동일선상에 위치되도록 설치하고, 상기 속커버(30)에 원호형상의 수평조절공(43)을 이용하여 수평을 조절하여 엘보우고정부재(40)를 고정하고 상기 스피캇수전엘보우(71)를 상기 엘보우고정부재(40)의 나사공(42)에 결합시켜 위치고정시킨다(S111). 따라서, 수평조절을 속커버(30)에서 1번, 엘보우고정부재(40)에서 1번, 총 2번의 수평조절을 통하여 엘보우연결관(70a)의 수평조절이 잘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 상기 타일이 부착된 속커버(30)의 전면에 원호형상으로 형성된 볼트체결공(51)을 갖는 오픈커버(50)를 부착하되, 상기 원호형상의 볼트체결공(51)으로 인해 수평을 조절하여 속커버(30)와 결합되고, 상기 오픈커버(50)의 전면에 마감커버(60)를 결합한다(S108).
이로써, 건물의 벽체에 매립되는 다수의 벽체매립형 수전함들 중 중간에 위치되는 냉온수배관의 공급 및 분기를 동시에 이뤄지는 배관시공방법을 배근된 철근의 절단 또는 휨 등의 손상없이 설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실시예3)
건물의 벽체에 매립되는 다수의 벽체매립형 수전함들 중 중간에 형성되는 냉온수의 공급 및 분기가 동시에 이뤄지는 수전함에 적용되는 배관시공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실시예1,2에서와 동일하게 매립부재(10)와 완충패드(80)를 미리 제조 한다(S100).
다음, 도 6 내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조된 매립부재(10)를 실시예1,2와 동일한 방법으로 배근된 벽체 철근(2)에 상부철근걸이구(11)와 하부철근걸이구(12)를 이용하여 걸어서 벽체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위치고정시킨다(S101).
다음, 상기 고정된 매립부재(10)의 필요한 배관출입공(15)을 개방하고 소켓(3)을 이용하여 CD관(5)을 매립부재에 고정하고 배관한다(S102).
다음, 상기 배관된 CD관(5)의 내측에 연질관(4)을 삽입하고 그 중간에 T자연결관(70b)을 이용하여 연결·분배하여 배관하되, 냉수용 연질관(4)과 온수용 연질관(4)에 대하여 상하 및 좌우대칭이 되도록 T자연결관(70b)을 배관한다(S103).
다음, 상기 매립부재(10)에 내설되는 냉온수배관 또는 연결관의 배면측에 수격현상으로 인한 소음발생을 방지하도록 완충패드(80)를 부착하고, 상기 매립부재(10)의 내측 배면에 고리모양으로 형성된 케이블타이고정구(14)에 냉온수배관을 케이블타이로 고정한다(S113).
다음, 상기 매립부재(10)의 전면에 보호커버(도시없음)를 부착후 거푸집을 설치하고 철근콘크리트를 타설한다(S104).
다음, 타설된 철근콘크리트를 양생하고 거푸집 탈거한다(S105).
다음, 상기 매립부재(10)의 전면에 상기 매립부재(10)와 동일한 둘레부를 갖고 전후면이 개방된 연장부재(20)를 벽체에 매립된 매립부재(10)의 전면에 부착하여 매립부재(10)의 깊이를 증가시킨다(S112).
다음, 상기 연장부재(20)가 부착된 깊이만큼의 벽돌을 조적하여 카운터(6)를 시공한다(S114).
다음, 수평이 맞도록 조절하여 속커버(30)를 부착한다(S106). 이때 속커버(30)의 가장자리측에 형성된 원호형상의 수평조절공을 이용하여 수평을 조절하여 부착한다.
다음, 상기 속커버(30)의 전면에 방수도장 및 타일을 부착한다(S107).
다음, 상기 T자연결관(70b)의 단부에 플렉시블호스(7) 또는 코일형 연질관(8)을 결합시켜 오픈커버(50)의 수전구멍까지 연장시킨다(S115).
다음, 상기 타일이 부착된 속커버(30)의 전면에 원호형상으로 형성된 볼트체결공(51)을 갖는 오픈커버(50)를 부착하되, 상기 원호형상의 볼트체결공(51)으로 인해 수평을 조절하여 속커버(30)와 결합되고, 상기 오픈커버(50)의 전면에 마감커버(60)를 결합한다(S108).
이로써, 건물의 벽체에 매립되는 다수의 벽체매립형 수전함들 중 중간에 위치되는 냉온수배관의 공급 및 분기를 동시에 이뤄지는 배관시공방법을 배근된 철근의 절단 또는 휨 등의 손상없이 설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실시예4)
건물의 벽체에 매립되는 다수의 벽체매립형 수전함들 중 말단에 형성되는 냉수 또는 온수의 공급만 이뤄지는 수전함에 적용되는 배관시공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매립부재(10)와 완충패드(80)를 미리 제조한다(S100).
상기 매립부재(10)는 냉온수배관의 삽입을 위한 1개의 배관출입공(15)이 둘레면에 형성되며 전면이 개방된 박스형상으로 형성되되, 1개의 엘보우연결관(70a)이 삽입될 정도의 크기로 작게 제조된다. 또한, 배근된 벽체 철근(2)에 철근콘크리트벽의 피복두께와 대등한 깊이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부에는 배면측으로 개방된 후크형상의 상부철근걸이구(11)를 형성하며 하부에는 배근된 철근(2)을 삽입고정하도록 하부철근걸이구(12)가 형성되고 이중관소켓이 안착되도록 상기 배관출입공(15)과 인접한 내측면은 볼록하게 확장된 소켓안착부(13)가 형성되도록 제조한다.
또한, 상기 완충패드(80)는 스펀지, 부직포, 압축스티로폼 등의 완충가능한 모든 소재의 적용이 가능하나, 본 실시예에서는 압축된 스펀지를 이용하고 배면에 접착시트를 형성하여 매립부재(10)에 부착을 용이하도록 처리하였다.
다음, 상기 제조된 매립부재(10)를 실시예1,2 및 3과 같이 배근된 벽체 철근(2)에 상부철근걸이구(11)와 하부철근걸이구(12)를 이용하여 걸어서 위치고정시킨다(S101). 본 발명의 매립부재(10)는 깊이가 철근콘크리트벽의 피복 두께 정도로 제조되어 배근된 철근을 잘라내거나 휘는 등의 손상을 가하지 않는다.
다음, 상기 고정된 매립부재(10)의 배관출입공(15)을 개방하고 소켓(3)을 이용하여 CD관(5)을 매립부재에 고정하고 배관한다(S102).
다음, 상기 배관된 CD관(5)의 내측에 연질관(4)을 삽입하고 상기 연질관(4)의 단부에 엘보우연결관(70a)을 이용하여 연결하여 배관한다(S103).
다음, 상기 매립부재(10)에 내설되는 냉온수배관 또는 연결관의 배면측에 수격현상으로 인한 소음발생을 방지하도록 완충패드(80)를 부착하고, 상기 매립부 재(10)의 내측 배면에 고리모양으로 형성된 케이블타이고정구(14)에 냉온수배관을 케이블타이로 고정한다(S113).
다음, 상기 매립부재(10)의 전면에 보호커버(도시없음)를 부착후 거푸집을 설치하고 철근콘크리트를 타설한다(S104).
다음, 타설된 철근콘크리트를 양생하고 거푸집 탈거한다(S105).
다음, 상기 매립부재(10)의 전면에 수평이 맞도록 조절하여 속커버(30)를 부착한다(S106). 이때 속커버(30)의 가장자리측에 형성된 원호형상의 수평조절공을 이용하여 수평을 조절하여 부착한다.
다음, 상기 속커버(30)의 전면에 방수도장 및 타일을 부착한다(S107).
다음, 상기 속커버(30)의 볼트결합공(31)에 상기 연질관(4)의 단부에 연결된 엘보우연결관(70a)을 나사결합시켜 위치고정시킨다(S111)
다음, 상기 타일이 부착된 속커버(30)의 전면에 원호형상으로 형성된 볼트체결공(51)을 갖는 오픈커버(50)를 부착하되, 상기 원호형상의 볼트체결공(51)으로 인해 수평을 조절하여 속커버(30)와 결합되고, 상기 오픈커버(50)의 전면에 마감커버(60)를 결합한다.(S108).
이로써,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건물의 벽체에 매립되는 다수의 벽체매립형 수전함들 중 말단에 위치되는 냉온수배관의 공급은 있으나 분기는 없는 배관시공방법을 배근된 철근의 절단 또는 휨 등의 손상없이 설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실시예1,2,3 및 4는 도 9를 참조하면 보다 이해하기 쉬울 것이다. 양변기와 세면기의 배면에는 소정 폭을 갖도록 전방으로 돌출되어 선반과 같은 역할을 하는 카운터(6,현장에서는 젠다이라고도 함)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카운터(6)가 형성된 부분에 수전함(1)을 설치할 때는 매립부재(10)와 속커버(30) 사이에 연장부재(20)를 결합하여 더 깊게 형성함으로 T자연결관(70b)의 단부에 플렉시블호스(7) 또는 코일형 연질관(8)을 결합시켜 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카운터(6)가 없는 욕조의 배면이나 일측벽에는 본 발명의 깊이가 얕은 매립부재(10)와 엘보우연결관(70a) 및 엘보우고정부재(40)를 이용하여 별도의 연장관(호스) 없이 수전(9)과 직결토록 시공할 수 있다. 또한, 매립부재(10)와 T자연결관(70b) 및 스피캇수전엘보우(71)를 조합함으로써도 동일한 시공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 및 작용에 의해 기대할 수 있는 본 발명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다수의 배관출입공이 둘레면에 형성되고 전면이 개방된 박스형상의 매립부재를 철근콘크리트벽의 피복두께와 대등한 깊이로 제조함으로써 배근된 벽체 철근에 절단 또는 휨 등의 손상을 가하지 않고도 시공가능하여 건물 구조체의 강도저하를 방지하고 작업능률이 향상되며, 완충패드 및 케이블타이 고정구를 구비함으로써 수격현상에 의한 소음을 방지할 수 있는 철근 무손상시공용 벽체매립형 수전함 및 이를 이용한 배관시공방법을 제공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10)

  1. 삭제
  2. 연결관을 이용하여 냉온수배관의 입출 및 분기를 위한 다수의 배관출입공이 둘레면에 형성되며 전면이 개방된 박스형상의 매립부재와, 상기 함체의 전면을 개폐하는 속커버 및 오픈커버로 이루어지는 벽체매립형 수전함에 있어서,
    상기 매립부재(10)는,
    상부에 구비되어 배면측으로 개방된 후크형상으로 형성되는 상부철근걸이구(11)와;
    하부에 구비되어 배근된 철근(2)을 삽입고정하도록 형성되는 하부철근걸이구(12)와;
    이중관소켓이 안착되도록 상기 배관출입공(15)과 인접한 내측면은 볼록하게 확장되어 형성되는 소켓안착부(13);를 포함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매립부재(10)는 철근콘크리트벽의 피복두께와 대등한 깊이로 제조됨으로써, 배근된 벽체 철근에 절단 또는 휨 등의 손상을 가하지 않고 시공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무손상시공용 벽체매립형 수전함.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속커버(30)에 고정되고 엘보우연결관(70a)을 위치고정시키는 엘보우고정부재(40);를 포함하되, 상기 엘보우고정부재(40)는 엘보우연결관(70a)이 삽출되는 통공(41)이 형성되고 엘보우연결관(70a)의 고정을 위한 나사공(42)을 형성하며 속커버(30)에 고정시 수평조절을 위한 원호형상의 수평조절공(43)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무손상시공용 벽체매립형 수전함.
  4. 제 2 항에 있어서,
    수격현상으로 인한 소음발생을 방지하도록 상기 매립부재(10)에 내설되는 냉온수배관 또는 연결관의 배면측에 부착되는 완충패드(80)와;
    상기 냉온수배관을 케이블타이로 고정하도록 매립부재(10)의 내측 배면에 고리모양으로 형성되는 케이블타이고정구(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무손상시공용 벽체매립형 수전함.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매립부재(10)와 동일한 둘레부를 갖고 전후면이 개방되어 매립부재(10)의 전면에 부착되는 연장부재(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무손상시공용 벽체매립형 수전함.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매립부재(10) 내에서 냉수배관과 온수배관을 T자연결관(70b)으로 분기하고 스피캇수전엘보우(71)를 연결하되 대칭되도록 배열함으로서 냉온수배관으로부터 각각 분기된 스피캇수전엘보우(71)의 높이가 동일선상에 놓이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무손상시공용 벽체매립형 수전함.
  7. 연결관을 이용하여 냉온수배관의 입출 및 분기를 위한 다수의 배관출입공이 둘레면에 형성되며 전면이 개방된 박스형상의 매립부재와, 상기 함체의 전면을 개폐하는 속커버 및 오픈커버로 이루어지는 벽체매립형 수전함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배근된 벽체 철근(2)에 철근콘크리트벽의 피복두께와 대등한 깊이를 갖고 상부에는 배면측으로 개방된 후크형상의 상부철근걸이구(11)를 형성하며 하부에는 배근된 철근(2)을 삽입고정하도록 하부철근걸이구(12)가 형성되고 이중관소켓이 안착되도록 상기 배관출입공(15)과 인접한 내측면은 외측으로 볼록하게 확장된 소켓안착부(13)가 형성되는 매립부재(10)를 제조하는 단계(S100)와;
    상기 제조된 매립부재(10)를 배근된 벽체 철근(2)에 상부철근걸이구(11)와 하부철근걸이구(12)를 이용하여 고정시키는 단계(S101)와;
    상기 고정된 매립부재(10)의 필요한 배관출입공(15)을 개방하고 소켓(3)을 이용하여 CD관(5)을 매립부재에 고정하고 배관하는 단계(S102)와;
    상기 배관된 CD관(5)의 내측에 연질관(4)을 삽입하고 연결관(70a,70b)을 이용하여 연결·분배하여 배관하는 단계(S103)와;
    거푸집을 설치하고 철근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S104)와;
    타설된 철근콘크리트를 양생하고 거푸집 탈거하는 단계(S105)와;
    상기 매립부재(10)의 전면에 수평이 맞도록 조절하여 속커버(30)를 부착하고 고정하는 단계(S106)와;
    상기 속커버(30)의 전면에 방수도장 및 타일부착하는 단계(S107)와;
    상기 타일이 부착된 속커버(30)의 전면에 수평이 맞도록 조절하여 오픈커버(50)를 부착하고 고정하는 단계(S108);를 포함함으로써, 배근된 벽체 철근에 절단 또는 휨 등의 손상을 가하지 않고 시공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무손상시공용 벽체매립형 수전함을 이용한 배관시공방법.
  8. 제 7 항에서 있어서,
    상기 속커버고정단계(S106)와 오픈커버고정단계(S108) 사이에,
    상기 속커버(30)에 원호형상의 수평조절공(43)을 이용하여 수평을 조절하여 나사공(42)에 엘보우고정부재(40)를 고정하고, 상기 연질관(4)의 단부에 연결된 엘보우연결관(70a), 또는 연질관(4)으로부터 T자연결관(70b)으로 분기된 스피캇수전엘보우(71)를 상기 엘보우고정부재(40)에 결합시켜 위치고정시키는 단계(S11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무손상시공용 벽체매립형 수전함을 이용한 배관시공방법.
  9. 제 7 항에서 있어서,
    상기 양생 및 거푸집 탈거 단계(S105) 이후에,
    상기 매립부재(10)와 동일한 둘레부를 갖고 전후면이 개방된 연장부재(20)를 벽체에 매립된 매립부재(10)의 전면에 부착하고 고정하는 단계(S1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무손상시공용 벽체매립형 수전함을 이용한 배관시공방법.
  10. 제 7 항에서 있어서,
    상기 연질관배관단계(S103) 이후에,
    상기 매립부재(10)에 내설되는 냉온수배관 또는 연결관의 배면측에 수격현상으로 인한 소음발생을 방지하도록 완충패드(80)를 부착하고;
    상기 매립부재(10)의 내측 배면에 고리모양으로 형성된 케이블타이고정구(14)에 냉온수배관을 케이블타이로 고정하는 단계(S1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무손상시공용 벽체매립형 수전함을 이용한 배관시공방법.
KR1020070052480A 2007-05-30 2007-05-30 철근 무손상시공용 벽체매립형 수전함 및 이를 이용한배관시공방법 KR1008335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2480A KR100833570B1 (ko) 2007-05-30 2007-05-30 철근 무손상시공용 벽체매립형 수전함 및 이를 이용한배관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2480A KR100833570B1 (ko) 2007-05-30 2007-05-30 철근 무손상시공용 벽체매립형 수전함 및 이를 이용한배관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3570B1 true KR100833570B1 (ko) 2008-05-30

Family

ID=396656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2480A KR100833570B1 (ko) 2007-05-30 2007-05-30 철근 무손상시공용 벽체매립형 수전함 및 이를 이용한배관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357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7281B1 (ko) * 2014-12-24 2017-07-13 유진근 벽체매립형 수전함
KR20200007379A (ko) * 2018-07-13 2020-01-22 장명수 냉온수 공급관 분기 함체
KR20210154557A (ko) * 2020-06-12 2021-12-21 주식회사 정산애강 배관 조립체가 구비된 벽체 매립형 수전함
KR20210154558A (ko) * 2020-06-12 2021-12-21 주식회사 정산애강 배관부재가 구비된 벽체 매립형 수전함
KR102433521B1 (ko) * 2021-09-08 2022-08-18 유새롬 수전 장치 및 수전 연결구 분리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33481A (ja) * 2003-10-31 2005-05-26 Tetsuo Kasai コンクリート埋設用配管配置具及びそれを用いたコンクリート埋設配管の施工方法
KR100559161B1 (ko) 2004-11-23 2006-03-13 주식회사 피아이피 벽체매립형 수전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33481A (ja) * 2003-10-31 2005-05-26 Tetsuo Kasai コンクリート埋設用配管配置具及びそれを用いたコンクリート埋設配管の施工方法
KR100559161B1 (ko) 2004-11-23 2006-03-13 주식회사 피아이피 벽체매립형 수전함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7281B1 (ko) * 2014-12-24 2017-07-13 유진근 벽체매립형 수전함
KR20200007379A (ko) * 2018-07-13 2020-01-22 장명수 냉온수 공급관 분기 함체
KR102077924B1 (ko) 2018-07-13 2020-02-17 장명수 냉온수 공급관 분기 함체
KR20210154557A (ko) * 2020-06-12 2021-12-21 주식회사 정산애강 배관 조립체가 구비된 벽체 매립형 수전함
KR20210154558A (ko) * 2020-06-12 2021-12-21 주식회사 정산애강 배관부재가 구비된 벽체 매립형 수전함
KR102351575B1 (ko) * 2020-06-12 2022-01-14 주식회사 정산애강 배관 조립체가 구비된 벽체 매립형 수전함
KR102351576B1 (ko) * 2020-06-12 2022-01-14 주식회사 정산애강 배관부재가 구비된 벽체 매립형 수전함
KR102433521B1 (ko) * 2021-09-08 2022-08-18 유새롬 수전 장치 및 수전 연결구 분리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3155B1 (ko) 철근회피홈을 구비한 벽체매립형 수전함 및 이를 이용한배관시공방법
KR100833570B1 (ko) 철근 무손상시공용 벽체매립형 수전함 및 이를 이용한배관시공방법
KR100515761B1 (ko) 냉온수배관 시스템의 시공방법
JP5569736B2 (ja) 建物における給排水システム
KR20090019960A (ko) 깊이조절이 가능한 연장부재를 갖는 벽체매립형 수전함
KR200408194Y1 (ko) 벽체 매입형 분배용 수전함
KR100730477B1 (ko) 공동주택 벽체의 내부배관 보호구
KR100586223B1 (ko) 벽체매립형 오픈 수전함
KR100967788B1 (ko) 욕실 플로어 레벨 업 및 층상 배관의 설치가 가능한 욕실실시공법
KR100684256B1 (ko) 화장실 천장매립형 냉,온수 분배기
KR100644429B1 (ko) 벽체 매입형 분배용 수전함
JP4863899B2 (ja) 建物の排水システムおよび建物の排水システムの施工方法
KR20080017112A (ko) 방수 저소음 형 화장실 통합 독립 스리브 부착 통합트랩(에어 덕트, 벽식 양변기 고정대 부착형 ) (kkttss)
KR200382026Y1 (ko) 수전이음쇠의 고정장치
KR100742403B1 (ko) 배수가 용이한 분배기
KR102351575B1 (ko) 배관 조립체가 구비된 벽체 매립형 수전함
KR100918448B1 (ko) 욕실 세면 수전함
KR100703626B1 (ko) 욕실 냉온수 배관 결합장치
KR102351576B1 (ko) 배관부재가 구비된 벽체 매립형 수전함
KR100918851B1 (ko) 층상 배수 배관용 설치틀
KR100886361B1 (ko) 벽체 매립형 수전함
KR200338297Y1 (ko) 배수가 용이한 분배기
KR100904507B1 (ko) 수전용 벽체 매입형 헤더
KR200427623Y1 (ko) 수전구 고정대
KR102229142B1 (ko) 모듈형 욕실 층상 배관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7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