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3521B1 - 수전 장치 및 수전 연결구 분리 방법 - Google Patents

수전 장치 및 수전 연결구 분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3521B1
KR102433521B1 KR1020210119936A KR20210119936A KR102433521B1 KR 102433521 B1 KR102433521 B1 KR 102433521B1 KR 1020210119936 A KR1020210119936 A KR 1020210119936A KR 20210119936 A KR20210119936 A KR 20210119936A KR 102433521 B1 KR102433521 B1 KR 1024335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hole
inner cover
power receiving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99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새롬
Original Assignee
유새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새롬 filed Critical 유새롬
Priority to KR10202101199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35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35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35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2Arrangements on taps for wash-basins or baths for connecting to the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21Devices for positioning or connecting of water supply 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2001/028Alignment aids for plumbing install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전 장치 및 수전 연결구 분리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수전 장치의 일 양태는, 내부 공간이 정의되는 케이스; 상기 내부 공간을 차폐하기 위하여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고, 관통 개구 및 관통공이 형성되는 이너 커버; 상기 이너 커버의 외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고, 상기 관통 개구 및 관통공과 각각 연통되는 상기 연통 개구 및 연통공이 형성되는 아웃터 커버; 및 상기 내부 공간에 배치되도록 상기 이너 커버에 고정되고, 상기 관통공과 선택적으로 연통되는 체결공이 형성되는 수전 연결구; 를 포함하고, 상기 수전 연결구는, 그 일부가 상기 관통 개구를 관통함과 동시에 다른 일부가 상기 이너 커버의 이면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체결공에 체결되는 체결구에 의하여 상기 이너 커버에 고정되고, 상기 체결구가 상기 관통공 및 체결공으로부터 탈거된 후, 상기 관통 개구 및 연통 개구를 통하여 인출된다.

Description

수전 장치 및 수전 연결구 분리 방법{FAUSET APPARATUS AND SEPARATION METHOD FOR FAUSET CONNECTORS}
본 발명은 수전 장치 및 수전 연결구 분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수전함이란, 건축물의 각종 물 사용처에 공급되는 온수 또는/및 냉수를 분배하기 위한 것으로, 일반적으로 벽체의 내부에 매립된다. 이와 같은 수전함에는, 급수 배관이 연결된 수전 연결구가 내장되는데, 수전 연결구가 수전함에 기고정된 상태에서 수전함이 벽체에 매립된 후 수도꼭지 등과 같은 수전구가 직접 연결되거나 수전구로 물을 전달하기 위한 연결 배관이 연결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933749호(이하, '선행기술 1'이라 칭함) 및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915143호(이하, '선행기술 2'라 칭함)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수전함이 개시되어 있다. 선행기술 1에서는, 연결구(200)가 수전함(500)의 내부에 고정된 상태에서, 속커버(400) 및 커버 부재(300)가 차례로 수전함(500)에 고정된다. 그리고 선행기술 2에서는, 수전 연결유닛(170)이 베이스커버(150)에 고정된 상태에서, 베이스커버(150)가 수전내함(110)에 고정된 후 마감커버(190)가 수전함(500)에 고정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수전함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한다.
먼저, 선행기술 1과 같이, 연결구(200)가 수전함(500)의 내부에 고정되는 경우에는, 수전함(500)에 고정되는 커버부재(300)에 형성되는 개구와 연결구(200)의 위치를 정렬해야 하는 작업이 추가된다. 또한, 선행기술 1의 경우에는, 연결구(200)를 수전함으로부터 분리하기 위해서는, 속커버(400) 및 커버 부재(300)의 분리가 선행되어야 하고, 연결구(200)를 수전함(500)에 고정하는 체결구가 실질적으로 벽체에 삽입 또는 매립되므로, 체결구의 분리가 용이하지 않게 된다.
반면에, 선행기술 2의 경우에는, 수전 연결유닛(170)이 베이스커버(150)에 고정되므로, 선행기술 1의 단점 중 수전 연결유닛(170)과 베이스커버(150)의 추가적인 정렬의 문제점은 해소될 수 있다. 그러나, 선행기술 2의 경우에도, 수전 연결유닛(170)의 최종적인 분리를 위해서는, 베이스커버(150) 및 마감커버(190)를 수전함(500)으로부터 분리시켜야 한다.
또한, 선행기술 2의 경우에는, 수전 연결유닛(170)과 베이스커버(150)가 별도의 체결구에 의하여 고정되지 않으므로, 수전 연결유닛(170), 실질적으로 수전 연결구(175)의 일측(175a-1)이 베이스커버(150)의 고정돌기(157)에 압입되어야만 수전 연결유닛(170)이 베이스커버(150)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선행기술 2에서는, 수전 연결유닛(170)의 고정 및 분리가 번거로워진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933749호(명칭: 벽체매립형 수전함의 연결구조)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915143호(명칭: 벽체매립형 수전장치)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보다 간단하고 용이하게 수전 연결구를 수전함에 고정 또는/및 수전함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수전 장치 및 수전 연결구 분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수전 장치의 일 양태는, 내부 공간이 정의되는 케이스; 상기 내부 공간을 차폐하기 위하여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고, 관통 개구 및 관통공이 형성되는 이너 커버; 상기 이너 커버의 외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고, 상기 관통 개구 및 관통공과 각각 연통되는 상기 연통 개구 및 연통공이 형성되는 아웃터 커버; 및 상기 내부 공간에 배치되도록 상기 이너 커버에 고정되고, 상기 관통공과 선택적으로 연통되는 체결공이 형성되는 수전 연결구; 를 포함하고, 상기 수전 연결구는, 그 일부가 상기 관통 개구를 관통함과 동시에 다른 일부가 상기 이너 커버의 이면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체결공에 체결되는 체결구에 의하여 상기 이너 커버에 고정되고, 상기 체결구가 상기 관통공 및 체결공으로부터 탈거된 후, 상기 관통 개구 및 연통 개구를 통하여 인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수전 연결구는, 양단에 배관 및 수전구 중 어느 1개가 결합되고, 상기 관통 개구를 그 일부가 관통하는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의 외주면에서 연장되고, 상기 관통공이 형성되는 플랜지부;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이너 커버의 이면에는, 상기 바디부의 일부가 상기 이너 커버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상기 관통 개구 및 연통 개구를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플랜지부의 일부가 안착되고, 그 내부에 상기 관통공이 형성되는 안착홈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플랜지부가 상기 안착홈으로부터 이탈된 후, 상기 바디부 및 플랜지부가 상기 이너 커버에 직교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기설정된 각도만큼 회전하면 상기 수전 연결구가 상기 관통 개구 및 연통 개구를 통하여 인출 가능한 위치로 정렬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관통 개구는, 상기 바디부가 관통하는 제1부분; 및 상기 관통 개구의 제1부분과 연결되고, 상기 플랜지부가 관통하는 제2부분; 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관통 개구의 제2부분은, 상기 관통 개구의 제1부분을 중심으로 상기 안착홈과 기설정된 중심각만큼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바디부 및 플랜지부가, 상기 이너 커버에 직교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관통 개구의 제2부분 및 안착홈 사이의 중심각만큼 회전하면 상기 플랜지부가 상기 관통 개구의 제2부분과 대향되는 위치로 정렬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아웃터 커버에는, 상기 이너 커버 및 아웃터 커버가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면 상기 관통공과 연통되는 연통공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수전 연결구 분리 방법의 일 양태는, 제 1 항의 수전 장치에서 상기 수전 연결구가 상기 이너 커버로부터 분리되는 수전 연결구 분리 방법으로서: 상기 체결구가, 상기 관통공 및 체결공으로부터 탈거되는 탈거 단계; 상기 수전 연결구가, 상기 관통 개구와 연통되도록 상기 아웃터 커버에 형성되는 연통 개구를 통하여 인출 가능한 위치로 정렬되는 정렬 단계; 및 상기 수전 연결구가, 상기 관통 개구 및 연통 개구를 관통하여 상기 내부 공간의 외부로 인출되는 인출 단계;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탈거 단계에서, 상기 체결구는, 상기 아웃터 커버에 형성되는 연통공을 통하여 삽입되는 도구에 의하여 상기 관통공 및 체결공으로부터 탈거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정렬 단계에서, 상기 바디부 및 플랜지부가 상기 이너 커버에 직교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기설정된 각도만큼 회전하면, 상기 플랜지부가 상기 연통 개구와 대향되는 위치로 정렬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체결구가 상기 관통공 및 체결공으로부터 탈거된 후 상기 플랜지부가 상기 체결공이 그 내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이너 커버의 일측에 형성되는 안착홈에 안착된 상태에서 이탈되는 이탈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수전 장치 및 수전 연결구 분리 방법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벽체 등에 매립된 수전함의 전방에서 수전 연결구의 분리 위하여 체결구의 탈거 및 이너 커버에 대한 상대 위치의 가변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보다 용이하게 수전 연결구를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너 커버 및 아웃터 커버가 수전함에 결합된 상태에서, 연통공을 통하여 삽입되는 도구를 사용하여 체결구를 탈거시킨 후 관통 개구 및 연통 개구를 통하여 수전 연결구를 인출하여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보다 간단하게 수전 연결구를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수전 장치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다른 각도에서 보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요부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수전 연결구 분리 방법을 보인 플로우챠트.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수전 장치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수전 장치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다른 각도에서 보인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요부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수전 장치(1)는, 수전함(100) 및 수전 연결구(200)를 포함한다. 상기 수전함(100)은, 케이스(110), 이너 커버(120) 및 아웃터 커버(13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수전 연결구(200)는, 1개 이상이 상기 수전함(100)에 고정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케이스(110)는, 내부 공간(110S)이 정의되도록 일면이 개방되는 다면체 형상, 예를 들면,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실질적으로 상기 케이스(110)는, 상기 수전 연결구(200)를 포함하는 다수개의 수전 부품이 내장되는 곳으로, 벽체 등의 내부에 매립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상기 케이스(110)의 개방된 일면을 '전면'이라 칭한다.
상기 이너 커버(120)는, 상기 내부 공간(110S)을 차폐하기 위하여 상기 케이스(110), 실질적으로 상기 케이스(110)의 전면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 이너 커버(120)에는, 상기 수전 연결구(200)가 고정되고, 이를 위하여 관통 개구(121), 관통공(123) 및 안착홈(125)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 개구(121)는, 후술할 바와 같이, 상기 수전 연결구(200)의 일부가 관통하는 곳이다. 따라서, 상기 관통 개구(121)는, 상기 수전 연결구(200)의 개수에 대응하는 개수로 구성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관통 개구(121)가 2개로 구성된다. 물론, 상기 관통 개구(121)는, 1개 또는 3개 이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관통 개구(121)가, 제1 및 제2부분(121A)(121B)을 각각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관통 개구(121)의 제1부분(121A)은, 후술할 바디부(210)가 관통하는 곳이다. 상기 관통 개구(121)는, 바디부(210)의 단면에 대응하는 형상, 후술할 바와 같이 원통 형상인 바디부(210)의 단면에 대응하여 원형으로 상기 이너 커버(120)의 일부가 절개되어 정의된다.
그리고 상기 관통 개구(121)의 제2부분(121B)은, 상기 관통 개구(121)의 제1부분(121A)과 연결되고, 후술할 플랜지부(220)가 관통하는 곳이다. 상기 관통 개구(121)의 제2부분(121B)는, 플랜지부(220)의 단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상기 이너 커버(120)의 다른 일부가 절개되어 정의된다.
또한, 상기 관통 개구(121)의 제1부분(121A)에 대한 상기 관통 개구(121)의 제2부분(121B)의 상대 위치는, 바디부(210)에 대한 플랜지부(220)의 상대 위치와 동일하게 결정된다. 즉, 상기 관통 개구(121)의 제2부분(121B)은, 후술할 바와 같이 바디부(210)의 외주면에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부(220)에 대응하여, 상기 관통 개구(121)의 제1부분(121A)에 대하여 서로 반대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관통공(123)은, 상기 수전 연결구(200)를 고정하기 위한 체결구(S)가 관통하는 곳이다. 실질적으로, 상기 관통공(123)은, 후술할 바와 같이 플랜지부(220)에 형성되는 체결공(221)과 선택적으로 연통되도록 상기 이너 커버(120)의 일측에 형성된다.
상기 안착홈(125)은, 후술할 바와 같이, 상기 관통 개구(121)를 관통한 상기 수전 연결구(200)의 일부, 실질적으로 플랜지부(220)가 안착되는 곳이다. 상기 안착홈(125)은, 예를 들면, 상기 이너 커버(120)의 전면 일부가 함몰되어 정의될 수 있고, 그 내부에 상기 관통공이 위치된다. 상기 관통공(123)은, 상기 관통 개구(121)의 제2부분(121B)과 기설정된 중심각예를 들면, 상기 관통 개구(121)의 제2부분(121B)과 90°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너 커버(120)에는, 다수개의 체결 돌기(127)가 구비된다. 상기 체결 돌기(127)는, 상기 이너 커버(120)의 테두리면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케이스(110)에 결합되는 상기 아웃터 커버(130)의 고정을 위한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아웃터 커버(130)는, 상기 이너 커버(120)의 외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케이스(110)에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아웃터 커버(130)에, 연통 개구(131) 및 연통공(133)이 형성된다.
상기 연통 개구(131)는, 상기 이너 커버(120) 및 아웃터 커버(130)가 상기 케이스(110)에 결합되면 상기 관통 개구(121)와 연통된다. 실질적으로, 상기 연통 개구(131)는, 상기 수전함(100)으로부터 분리된 상기 수전 연결구(200)가 상기 내부 공간(110S)의 외부로 인출되는 부분이다. 또한, 상기 연통 개구(131)도, 상기 관통 개구(121)의 제1 및 제2부분(121A)(121B)에 대응하는 제1 및 제2부분(131A)(131B)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연통공(133)은, 상기 이너 커버(120) 및 아웃터 커버(130)가 상기 케이스(110)에 결합되면 상기 관통공(123) 및 후술할 체결공(221)과 연통된다. 상기 연통공(133)은, 상기 체결구(S)를 상기 관통공(123) 및 체결공(221)으로부터 분리하기 위하여 드라이버와 같은 도구가 출납되거나 상기 관통공(123) 및 체결공(221)으로부터 분리된 상기 체결구(S)가 상기 내부 공간(110S)의 외부로 인출되는 곳이다.
상기 아웃터 커버(130)에는, 다수개의 체결 후크(137)가 구비된다. 상기 체결 후크(137)는, 상기 아웃터 커버(130)의 이면 테두리에서 후방으로 연장된다. 상기 체결 후크(137)에 상기 체결 돌기(127)가 체결됨으로써, 상기 아웃터 커버(130)가 상기 이너 커버(120)에 고정된다. 물론, 상기 아웃터 커버(130)가, 상기 케이스(110)에 직접 고정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수전 연결구(200)는, 냉수 또는/및 온수의 분배를 위한 것으로, 상기 수전 연결구(200)에는, 배관 또는/및 수전구가 연결된다. 상기 수전 연결구(200)는, 예를 들면, 황동 재질이나 합성수지 재질 등으로 형성될 수 있고, 바디부(210) 및 플랜지부(220)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바디부(210)는, 예를 들면,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관통 개구(121)를 그 일부가 관통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바디부(210)의 일단을 포함하는 그 일부는 상기 내부 공간(110S)의 내부에 위치되고, 상기 바디부(210)의 타단을 포함하는 그 나머지는 상기 내부 공간(110S)의 외부에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수전 연결구(200)가 상기 이너 커버(120)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바디부(210)는 상기 연통 개구(131)를 통하여 상기 내부 공간(110S)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내부 공간(110S)의 내부에 위치되는 상기 바디부(210)의 일단에는, 상기 내부 공간(110S)의 내부로 인입되는 공급 배관(P)이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내부 공간(110S)의 외부에 위치되는 상기 바디부(210)의 타단에는, 배관(미도시) 및 수전구(미도시) 중 어느 1개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플랜지부(220)는, 상기 바디부(210)의 외주면에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쌍으로 구성된다. 상기 플랜지부(220)에는, 상기 체결구(S)가 체결되는 상기 체결공(221)이 각각 형성된다. 실질적으로, 상기 체결구(S)가 상기 관통공(123)을 관통하여 상기 체결공(221)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수전 연결구(200)가 상기 이너 커버(120)에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바디부(210)의 일부가 상기 이너 커버(120)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상기 관통 개구(121)를 관통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바디부(210) 및 플랜지부(220)가 상기 이너 커버(120)에 직교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기설정된 각도, 실질적으로, 상기 관통 개구(121)의 제2부분(121B) 및 안착홈(125) 사이의 중심각만큼 회전하면, 상기 관통공(123) 및 체결공(221)이 서로 연통되는 위치, 즉 상기 플랜지부(220)는 상기 안착홈(125)에 대향되는 위치로 정렬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수전 연결구(200)가 상기 이너 커버(120)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이동하면, 상기 안착홈(125)에 안착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수전 장치에서 수전 연결구가 분리되는 과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수전 연결구 분리 방법을 보인 플로우챠트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수전 연결구 분리 방법은, 탈거 단계(S110), 이탈 단계(S120), 정렬 단계(S130) 및 인출 단계(S140)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탈거 단계(S110)에서는, 체결구(S)가, 체결공(221) 및 관통공(123)으로부터 탈거된다. 실질적으로, 상기 탈거 단계(S110)에서는, 연통공(133)을 통하여 인입된 드라이버와 같은 도구에 의하여 상기 체결구(S)가 탈거되고, 탈거된 상기 체결구(S)는 상기 연통공(133)을 통하여 상기 내부 공간(110S)의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이탈 단계(S120)에서는, 플랜지부(220)가 안착홈(125)에 안착된 상태에서 안착홈(125)의 외부로 이탈된다. 상기 이탈 단계(S120)에서 수전 연결구(200)가 이너 커버(120)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플랜지부(220)가 상기 안착홈(125)의 외부로 이탈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정렬 단계(S130)에서는, 상기 플랜지부(220)가 상기 안착홈(125)으로부터 이탈된 상태에서, 상기 바디부(210) 및 플랜지부(220)가 상기 이너 커버(120)에 직교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기설정된 각도만큼 회전하여, 상기 플랜지부(220)가 상기 연통 개구(131)의 제2부분(131B)과 대향되는 위치로 정렬된다. 즉, 상기 정렬 단계(S130)에서는, 상기 수전 연결구(200)가 상기 연통 개구(131)를 통하여 인출 가능한 위치로 정렬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상기 플랜지부(220)가 상기 연통 개구(131)의 제2부분(131B)과 연통되는 위치로 정렬된 상태에서, 상기 수전 연결구(200)가 상기 관통 개구(121) 및 연통 개구(131)를 통하여 케이스(110)의 외부, 즉 내부 공간(110S)의 외부로 인출된다. 실질적으로, 작업자는, 상기 연통 개구(131)를 통하여 노출된 상태인 상기 수전 연결구(200)의 일부, 즉 바디부(210)의 일부를 파지하여 상기 수전 연결구(200)를 상기 관통 개구(121) 및 연통 개구(131)를 통하여 인출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수전함 110: 케이스
110S: 내부 공간 120: 이너 커버
121: 관통 개구 123: 관통공
125: 안착홈 127: 체결 돌기
130: 아웃터 커버 131: 연통 개구
133: 연통공 137: 체결 후크
200: 수전 연결구 210: 바디부
220: 플랜지부 221: 체결공
S: 체결구 P: 공급 배관

Claims (11)

  1. 내부 공간(110S)이 정의되는 케이스(110);
    상기 내부 공간(110S)을 차폐하기 위하여 상기 케이스(110)에 결합되고, 관통 개구(121) 및 관통공(123)이 형성되는 이너 커버(120);
    상기 이너 커버(120)의 외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케이스(110)에 결합되고, 상기 관통 개구(121) 및 관통공(123)과 각각 연통되는 연통 개구(131) 및 연통공(133)이 형성되는 아웃터 커버(130); 및
    양단에 배관 및 수전구 중 어느 1개가 결합되고 상기 관통 개구(121)를 관통하여 상기 내부 공간(110S) 및 그 외부에 배치되는 바디부(210) 및 상기 바디부(210)의 외주면에서 연장되고 상기 이너 커버(120)에의 고정을 위하여 상기 관통공(123)과 선택적으로 연통되는 체결공(221)이 형성되는 플랜지부(220)를 포함하는 수전 연결구(200); 를 포함하고,
    상기 이너 커버(120)의 이면에는, 상기 바디부(210)의 일부가 상기 이너 커버(120)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상기 관통 개구(121) 및 연통 개구(131)를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플랜지부(220)의 일부가 안착되고, 그 내부에 상기 관통공(123)이 형성되는 안착홈(125)이 형성되며,
    상기 바디부(210)가 상기 이너 커버(120)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이동하여 그 일부가 상기 관통 개구(121)를 관통함과 동시에 상기 플랜지부(220)가 상기 안착홈(125)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관통공(123)을 관통하여 상기 체결공(221)에 체결되는 체결구(S)에 의하여 상기 이너 커버(120)에 고정되고,
    상기 체결구(S)가 상기 관통공(123) 및 체결공(221)으로부터 탈거된 후, 상기 관통 개구(121) 및 연통 개구(131)를 통하여 상기 바디부(210) 및 플랜지부(220)가 인출되는 수전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220)가 상기 안착홈(125)으로부터 이탈된 후, 상기 바디부(210) 및 플랜지부(220)가 상기 이너 커버(120)에 직교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기설정된 각도만큼 회전하면 상기 수전 연결구(200)가 상기 관통 개구(121) 및 연통 개구(131)를 통하여 인출 가능한 위치로 정렬되는 수전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 개구(121)는,
    상기 바디부(210)가 관통하는 제1부분(121A); 및
    상기 관통 개구(121)의 제1부분(121A)과 연결되고, 상기 플랜지부(220)가 관통하는 제2부분(121B); 을 포함하는 수전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 개구(121)의 제2부분(121B)은, 상기 관통 개구(121)의 제1부분(121A)을 중심으로 상기 안착홈(125)과 기설정된 중심각만큼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바디부(210) 및 플랜지부(220)가, 상기 이너 커버(120)에 직교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관통 개구(121)의 제2부분(121B) 및 안착홈(125) 사이의 중심각만큼 회전하면 상기 플랜지부(220)가 상기 관통 개구(121)의 제2부분(121B)과 대향되는 위치로 정렬되는 수전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터 커버(130)에는, 상기 이너 커버(120) 및 아웃터 커버(130)가 상기 케이스(110)에 결합되면 상기 관통공(123)과 연통되는 연통공(133)이 형성되는 수전 장치.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210119936A 2021-09-08 2021-09-08 수전 장치 및 수전 연결구 분리 방법 KR1024335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9936A KR102433521B1 (ko) 2021-09-08 2021-09-08 수전 장치 및 수전 연결구 분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9936A KR102433521B1 (ko) 2021-09-08 2021-09-08 수전 장치 및 수전 연결구 분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3521B1 true KR102433521B1 (ko) 2022-08-18

Family

ID=831124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9936A KR102433521B1 (ko) 2021-09-08 2021-09-08 수전 장치 및 수전 연결구 분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3521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74302A (ja) * 1994-08-31 1996-03-19 Inax Corp 衛生設備ユニットにおける排水本管と衛生器具排水口との連結構造
KR100559161B1 (ko) * 2004-11-23 2006-03-13 주식회사 피아이피 벽체매립형 수전함
KR100833570B1 (ko) * 2007-05-30 2008-05-30 주식회사 피아이피 철근 무손상시공용 벽체매립형 수전함 및 이를 이용한배관시공방법
KR100854068B1 (ko) * 2006-09-15 2008-08-26 임관섭 수전박스
KR20090007440U (ko) * 2008-01-18 2009-07-22 신기만 이중관 연결구 및 이를 구비한 수전구 조립체
KR100933749B1 (ko) 2009-01-22 2009-12-24 강옥수 벽체매립형 수전함의 연결구조
KR101915143B1 (ko) 2017-04-19 2018-11-05 서영호 벽체매립형 수전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74302A (ja) * 1994-08-31 1996-03-19 Inax Corp 衛生設備ユニットにおける排水本管と衛生器具排水口との連結構造
KR100559161B1 (ko) * 2004-11-23 2006-03-13 주식회사 피아이피 벽체매립형 수전함
KR100854068B1 (ko) * 2006-09-15 2008-08-26 임관섭 수전박스
KR100833570B1 (ko) * 2007-05-30 2008-05-30 주식회사 피아이피 철근 무손상시공용 벽체매립형 수전함 및 이를 이용한배관시공방법
KR20090007440U (ko) * 2008-01-18 2009-07-22 신기만 이중관 연결구 및 이를 구비한 수전구 조립체
KR100933749B1 (ko) 2009-01-22 2009-12-24 강옥수 벽체매립형 수전함의 연결구조
KR101915143B1 (ko) 2017-04-19 2018-11-05 서영호 벽체매립형 수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70814B2 (en) Base for electrical outlet and related method
US7900489B2 (en) Lock assembly
KR102433521B1 (ko) 수전 장치 및 수전 연결구 분리 방법
CA2925512A1 (en) Grommet-mount electrical power unit assembly
KR102570032B1 (ko) 수전 연결구 고정 방법 및 분리 방법
KR20140103094A (ko) 정수기 필터 탈착 장치
US8033849B2 (en) Central vacuum system mounting flange and hose cuff for use with standard electrical outlets
US9362731B2 (en) Single-fastener mounting plate for electrical outlets
KR102570031B1 (ko) 수전 연결구 고정 구조 및 수전 장치
US20040099661A1 (en) Electrical outlet box
KR20110073662A (ko) 건축물용 매입형 전기스위치박스
US7432442B2 (en) Surface mount power outlet
US20140170894A1 (en) Twist Lock Connector Locking Mechanism
US20170054281A1 (en) Tubular part, embeddable electrical box, and kits formed by both
US10742012B2 (en) Screw less cover plate for electrical fixtures
CN220558702U (zh) 壳体组件和净水机
JP4535532B2 (ja) 給水栓取付部材
CN111456537A (zh) 万能互换快装分体门锁
US11898671B2 (en) Air hose coupler housing
US11719888B2 (en) Fiber optic adaptor
CN212642336U (zh) 一种夹持机械门锁开启件的夹持装置
CN212536358U (zh) 一种家具组装用连接件
US20230083720A1 (en) Inline end engaging system
RU2620943C1 (ru) Способ установки дверных ручек (варианты)
KR0126594Y1 (ko) 통신장비의 케이블 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