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4068B1 - 수전박스 - Google Patents

수전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4068B1
KR100854068B1 KR1020060089587A KR20060089587A KR100854068B1 KR 100854068 B1 KR100854068 B1 KR 100854068B1 KR 1020060089587 A KR1020060089587 A KR 1020060089587A KR 20060089587 A KR20060089587 A KR 20060089587A KR 100854068 B1 KR100854068 B1 KR 1008540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screw
faucet
nut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95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24875A (ko
Inventor
임관섭
Original Assignee
임관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관섭 filed Critical 임관섭
Priority to KR10200600895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4068B1/ko
Publication of KR200800248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48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40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40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2Arrangements on taps for wash-basins or baths for connecting to the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21Devices for positioning or connecting of water supply l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 Valve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벽체 내부에 매립 설치하여 수도관을 접속하는 수전구를 보호하도록 된 수전박스에 있어서, 원통형으로 되어 후단부 외면에는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고, 선단부의 내측에는 마주하는 한 쌍의 안착부가 구비되어 여기에 나사홈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외면의 중간 양측으로 고정편이 돌출되어 각각 나사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 상기 하우의 나사부에 나사 결합되고 후방 외면에 연결나사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내주연 중간에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는 제1너트; 상기 제1너트의 연결나사부에 나사 결합되고 후방 내주연에는 탄성을 가지는 다수의 탄성편이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제2너트; 링 형으로 되어 상기 하우징의 선단부의 내측으로 결합되고 상기 나사홈에 대응되는 나사구멍을 가지는 마감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수전박스를 매입 공간이 많이 차지하지 않는 컴팩트한 형태로 구성하여 수도관의 배관 접속 작업의 편리성 및 신뢰성 등의 취급성이 양호해 진다.
그리고, 수전박스 내부에 설치되는 여러 가지 형태의 수전구에 따라 기본 구성을 갖는 하우징과 캡을 분리하여 착탈되도록 구성함므로서 조립 호완성을 제공하도록 함은 물론, 상기 마감링을 분리하면 상기 수전구와 수도관을 잡아 당겨 함께 인출할 수 있기 때문에 수전 박스 설치 후에 수도 배관 및 수전구 개보수에 따른 벽체 파손 없이도 교체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등 유지 보수 관리 작업의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는 것이다.
수전박스, 벽체, 하우징, 수전구, 수도관, 마감링

Description

수전박스 {Water supply valve box}
도 1은 본 발명 일 실시예에 의한 수전박스의 외관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일 실시예에 의한 수전박스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일 실시예에 의한 배관 조립 과정을 나타낸 분리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일 실시예에 의한 수전박스 설치 구조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일 실시예에 의한 수전박스 설치 구조를 나타낸 평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일 실시예에 의한 화장실에 적용된 설치 사용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수전박스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 다른 실시예에 의한 수전박스 설치 구조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9는 본 발명 다른 실시예에 의한 수전박스 설치 구조를 나타낸 평단면도.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및 측단면도.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및 측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리 단면도.
도 15는 도 14의 우측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설치구조를 나타낸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수도관 2 : 주름관
3 : 수전금구 4 : 고정프레임
5 : 체결나사 6 : 벽체
7 : 마감재 10 : 수전구
11 : 접속구 12 : 체결구
13 : 체결보스 20 : 하우징
21 : 나사부 22,65 : 안착부
23 : 고정편 24 : 제1나사부
25 : 제2나사부 26 : 안내홈
27 : 걸림홈 30 : 제 1너트
31 : 나사부 32 : 연결나사부
33 : 걸림턱 40 : 제 2 너트
41 : 탄성편 50 : 마감링
60 : 캡 61 : 캡나사부
62 : 안내돌기 63 : 걸림편
본 발명은 건물의 콘크리트 벽체 내부에 설치되는 수전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전박스 내부의 수전구 설치가 용이하고 배관 접속 작업의 신뢰성을 제공하는 등의 취급성이 높을 뿐만 아니라 그 내부에 설치되는 수전구 형태에 따라 조립 호완성을 제공하도록 함은 물론, 수전 박스 설치 후에 수도 배관 및 수전구 개보수에 따른 유지 보수 관리 작업의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는 수전박스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신축 건물이나 리모델링 또는 주택 개보수에 따른 건물 내부에 사용되는 수도용 배관으로는 금속제의 배관보다 단가가 저렴하고, 유지 관리가 용이하며,누수 발생률이 적은 합성수지제로 이루어진 이중관이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이중관은 그 내부에 냉수 및 온수를 공급되는 PB관(이하 수도관이라 함)과, 이 PB관을 보호하기 위한 CD관(이하 주름관이라 함)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이중관 구조는 콘크리트 타설시 상기 수도관이 상기 주름관에 의해 보호되고, 특히 상기 수도관은 상기 주름관 내부에서 유동적인 상태로 있으므로 콘크리트 타설 이후 벽체에 수전구 등을 추가로 설치할 때 상기 수도관을 주름관 내에서 밀고 당길 수 있어서 편리한 배관 작업을 가능하게 한다.
이와 같은 이중관의 단부에는 실내 각 장소에 설치될 수도꼭지나 샤워기 등과 같은 수전금구를 보다 더 손쉽게 접속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타설 전에 수전박스 를 철근 구조물이나 기타 별도의 프레임을 사용하여 가설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수전박스 내부에는 상기 수전금구와 연결할 접속용 수전구를 상기 수도관과 원터치 접속구를 이용하여 미리 연결하여 수전박스 내부에 고정시킨 다음 거푸집을 설치하고 콘크리트 타설을 하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수전박스는 그 내부에 상기 수전구를 수납하여 보호하도록 된 구성으로서 콘크리트 타설시 그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단순한 박스 형태로 되어 있었다.
따라서, 상기 수도관과 상기 수전박스 내부에 수납되어 있는 상기 수전구를 원터치 방식으로 배관 접속함에 있어서, 상기 수전박스 내부에 수납된 상태에서 수전구의 후단부로부터 상기 수도관의 단부를 상기 수전박스 내부로 삽입하여 상기 수전구와 연결하였기 때문에 배관 연결 상태를 작업자가 밖에서 육안으로 확인하지 못하고 느낌만으로 연결 작업을 할 수밖에 없었다.
이 때문에 상기 수도관과 상기 수전구는 원터치 방식으로 접속하여 연결하는 방식이므로 일단 연결이 되고나면 수도관과 수전구를 분리하여 재차 연결하기가 용이하지 않아 수도관과 상기 수전구가 작업자의 미숙으로 인하여 확실하게 연결되지 않게 될 경우에 상기 수전구과 수도관의 접속 부위에 누수가 되는 문제가 자주 발생하였다.
또한, 상기 주름관은 일반적으로 내경이 22㎜를 주로 사용하여 왔으나 최근들어 내경이 28㎜를 사용하는 추세이다. 그런데 종래의 수전박스는 상기 주름관이 연결되는 후단부 내경 크기를 교체하여 조립하거나 조절할 수 있는 구조가 마련되 어 있지 못하여 각 사이즈에 맞는 수전박스를 각각 제작하여야 하는 비경제적인 문제도 있었다.
한편, 종래의 수전박스는 단순한 박스 형태로 되어 있었기 때문에 건물바닥에서 분배되어 수직으로 올라오는 수도관과 벽체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수전구를 상기 수전박스 내부에서 직각형태로 접속되는 구조로 인하여 수전박스의 크기가 매우 커지고 그에 따른 벽체 매입 공간이 많이 차지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시공 후에 유지 보수 작업시에도 수전구에 연결된 수도관을 수전박스로부터 쉽게 인출하여 보수 및 교체하기 용이하지 못하였을 뿐만 아니라 이를 통해 공급되는 원수의 흐름이 원활하지 않아 이로 인한 소음이 발생되는 문제도 있었다.
한편, 건물의 내부에 설치되는 수전금구는 실내 인테리어나 기타 개보수에 따라 수시로 교체되고 있는 상황이며, 누수에 의한 수전구 및 수도관을 교체 또는 수리 작업이 빈번하게 이루어지는 상황이다.
그런데, 종래의 수전박스는 벽체로부터 전체가 매입되어 있는 상태이고, 수전구 및 이에 연결되는 수전금구 부위만 벽체로부터 노출된 상태이므로 만약 수도관이나 수전구를 교체하게 되는 경우에는 넓은 면적의 벽체를 부수고 교체한 후 다시 벽체 마감 공사 등을 추가로 해야 하는 매우 번거롭고 비경제적인 문제가 내재되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수전박스를 매입 공간이 많이 차지하지 않는 컴팩트한 형태로 구성하여 수도관의 배관 접속 작업을 간편하게 할 수 있고 이에 따른 제품의 신뢰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된 수전박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전박스 내부에 설치되는 여러 가지 형태의 수전구 및 주름관 규격 종류에 따른 조립 호완성을 갖는 구조를 제공함은 물론, 수전 박스 설치 후에 수도 배관 및 수전구 개보수에 따른 벽체 파손 없이도 교체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등 유지 보수 관리 작업의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는 수전박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벽체 내부에 매립 설치하여 수도관을 접속하는 수전구를 보호하도록 된 수전박스에 있어서, 원통형으로 되어 후단부 외면에는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고, 선단부의 내측에는 마주하는 한 쌍의 안착부가 구비되어 여기에 나사홈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외면의 중간 양측으로 고정편이 돌출되어 각각 나사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 상기 하우의 나사부에 나사 결합되고 후방 외면에 연결나사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내주연 중간에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는 제1너트; 상기 제1너트의 연결나사부에 나사 결합되고 후방 내주연에는 탄성을 가지는 다수의 탄성편이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제2너트; 링 형으로 되어 상기 하우징의 선단부의 내측으로 결합되고 상기 나사홈에 대응되는 나사 구멍을 가지는 마감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다.
상기 마감링을 분리하면 상기 수전구와 수도관을 잡아 당겨 함께 인출할 수 있으므로 누수시 수도관의 보수 및 수전구의 교체 연결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은 중간이 절곡되어 이루어져 상기 수도관과 상기 수전구의 연결 상태를 완만한 경사를 이루도록 하여 수전박스의 매입 공간 차지를 최소한으로 하고 수도관의 인출이 가능하게 할 뿐만아니라, 원수의 흐름을 원활하게 유도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이며, 이를 위해 상기 하우징의 절곡된 각도는 수도관이 연결되는 후단부가 수직으로부터 30°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벽체 내부에 매립 설치하여 수도관을 접속하는 수전구를 보호하도록 된 수전박스에 있어서, 원통형으로 되어 후단부 외면에는 제1나사부가 형성되어 있고, 선단부의 외주면에는 제2나사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내측 중간에는 마주하는 한 쌍의 안착부가 단턱 형상으로 구비되어 여기에 나사홈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외면의 중간 양 측으로 고정편이 돌출되어 여기에 각각 나사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제1나사부에 나사 결합되고 후방 외면에 연결나사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내주연 중간에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는 제1너트; 상기 제1너트의 연결나사부에 나사 결합되고 후방 내주연에는 탄성을 가지는 다수의 걸림편이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제2너트; 원통형으로 되어 후방 내부에 캡 나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제2나사부에 결합되고, 선단부의 내주연이 링 형태로 내향 돌출된 마감링을 구비하도록 된 캡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캡의 마감링은 분리된 형태로 되어 나사에 의해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캡이 상기 하우징과 나사 조립 방식으로 분리 가능함으로서 상기 캡을 분리하면 상기 마감링만 제거한 경우보다 상기 수전구가 외부로 더욱 많이 노출됨에 따라 상기 수전박스 하우징에서 인출하여 작업하기 더욱 용이 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벽체 내부에 매립 설치하여 수도관을 접속하는 수전구를 보호하도록 된 수전박스에 있어서, 원통형으로 되어 후단부 외면에는 제1나사부가 형성되어 있고, 선단부의 내주연에는 마주하는 한 쌍의 안내홈이 축 방향으로 진입 형성되어 그 내측 단부가 다시 직각으로 연장되어 서로 대칭을 이루는 형태로 되어 있으며, 내측 중간에는 마주하는 한 쌍의 안착부가 단턱 형상으로 구비되어 여기에 나사홈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외면의 중간 양 측으로 고정편이 돌출되어 여기에 각각 나사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제1나사부에 나사 결합되고 후방 외면에 연결나사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내주연 중간에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는 제1너트; 상기 제1너트의 연결나사부에 나사 결합되고 후방 내주연에는 탄성을 가지는 다수의 걸림편이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제2너트; 원통형으로 되어 후방 외면의 양측으로 각각 안내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안내홈에 끼워질 수 있도록 되고, 선단부의 내주연이 링 형태로 내향 돌출된 마감링을 구비하도록 된 캡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수전박스 하우징과 캡이 회전 걸림 형태로 착탈 가능하므로 캡의 분리 및 조립이 더욱 용이해지므로서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서 간편하게 상기 하우징과 캡을 분리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벽체 내부에 매립 설치하여 수도관을 접속하는 수전구를 보호하도록 된 수전박스에 있어서, 원통형으로 되어 후단부 외면에는 제1나사부가 형성되어 있고, 내측 중간에는 마주하는 한 쌍의 걸림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내측으로 마주하는 한 쌍의 안착부가 단턱 형상으로 구비되어 여기에 나사홈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외면의 중간 양 측으로 고정편이 돌출되어 여기에 각각 나사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제1나사부에 나사 결합되고 후방 외면에 연결나사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내주연 중간에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는 제1너트; 상기 제1너트의 연결나사부에 나사 결합되고 후방 내주연에는 탄성을 가지는 다수의 걸림편이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제2너트; 원통형으로 되어 후방 외면의 양 측으로 각각 걸림편이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걸림홈에 탄성적으로 끼워질 수 있도록 되고, 선단부의 내주연이 링 형태로 내향 돌출된 마감링을 구비하도록 된 캡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전박스 하우징과 캡이 스냅 걸림 형태로 착탈 가능하므로 손으로 캡을 잡아 당기면 상기 하우징과 의 분리 및 조립이 더욱 용이해지므로서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서 간편하게 상기 하우징과 캡을 분리 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벽체 내부에 매립 설치하여 수도관을 접속하는 수전구를 보호하도록 된 수전박스에 있어서, 원통형으로 되어 후단부 외면에는 제1나사부가 형성되어 있고, 선단부의 외주면에는 제2나사부가 형성되어 있으 며, 외면의 중간 양측으로 고정편이 돌출되어 여기에 각각 나사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제1나사부에 나사 결합되고 후방 외면에 연결나사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내주연 중간에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는 제1너트; 상기 제1너트의 연결나사부에 나사 결합되고 후방 내주연에는 탄성을 가지는 다수의 탄성편이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제2너트; 원통형으로 후단부가 길게 형성되고 그 후방 내부로부터 선단부에 걸쳐 캡 나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제2나사부에 결합되고, 내측 선단부에는 적어도 한 쌍 이상의 마주하는 안착부가 구비되어 여기에 나사홈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캡;을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캡의 후단부가 길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하우징이 고정 설치되는 고정프레임과 벽체 두께가 두꺼운 경우 마감재까지의 거리를 감안하여 상기 캡을 임의의 길이로 절단하여 상기 하우징과 나사 결합함으로서 호환성을 높이면서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과의 분리 및 조립은 상기 캡의 선단 외주연이 다각형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서 손으로 잡고 돌리거나 공구를 사용하여 용이하게 캡을 하우징으로부터 분리하여 배관 보수 작업 및 수전구 교체 작업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실시예로서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전박스의 외관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전박스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 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배관 조립 과정을 나타낸 분리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전박스 설치 구조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전박스 설치 구조를 나타낸 평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화장실에 적용된 설치 사용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수전박스는 수도관(1) 및 주름관(2)과 접속하는 수전구(10)를 그 내부에서 수납하여 보호하기 위한 기본적인 구성으로서, 원통형의 하우징(20)과, 상기 하우징(20)에 상기 수도관(1) 및 주름관(2)을 연결하기 위한 제1너트(30) 및 제 2너트(40) 그리고 상기 하우징(20)의 선단 개구부(21)를 커버하기 위한 마감링(50)으로 구성된다.
참고적으로, 상기 수전박스의 하우징(20) 내부에 조립되는 일반적인 공지의 수전구(10)는 후단부에 상기 수도관(1)과 원터치 방식으로 접속되는 접속구(11)가 구비되어 있고, 선단부에는 샤워기, 수도꼭지, 및 기타 조절밸브 등과 같은 공지의 수전금구(3)와 나사 조립되는 체결구(12)가 구비되어 있고, 이 체결구(12) 양측에는 나사구멍(13a)을 가진 체결보스(13)가 구비되어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수전구(10)는 여러 가지 형태가 있지만 벽체 매입용으로 주로 사용되는 것은 경사 엘보형이 주로 사용되므로 본 실시예에서의 수전박스의 구성을 경사 엘보형을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20)은 합성수지로 되고,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며, 그 후단부 외면에는 나사부(21)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선단부의 내측에는 상기 수전구(10)의 체결보스(13)가 조립되기 위한 한 쌍의 안착부(22)가 마련되어 여기에 나사홈(22a)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20) 선단부의 외면 중간 양측으로는 콘크리트 타설 작업 전 철근 구조물 등의 별도의 고정프레임(4)과 체결나사(5)로 고정하기 위한 고정편(23)이 돌출되어 형성되고, 이 고정편(23)에 체결 나사(5) 조립을 위한 나사구멍(23a)이 형성되어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하우징(20)은 본 발명의 한 특징에 의하면 그 중간이 절곡되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서 상기 수도관(1)과 상기 수전구(10)의 연결 상태를 완만한 경사를 이루도록 하여 수전박스의 벽체(6) 매입 공간 차지를 최소한으로 하도록 하고, 보수 작업시 상기 수전구(10)를 잡아당겨 인출할 때 수도관(1)이 주름관(2)으로부터 함께 인출 가능하게 한다.
또한, 상기 수전구(10)의 중심축과 상기 수도관(1)의 중심축이 둔각을 이루므로 상기 수전구(10)의 설치 상태에서 원수의 흐름이 원활하게 흐르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하우징(20)의 절곡된 각도가 상기 수도관(1)이 연결되는 후단부가 수직으로부터 30°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하우징(20)의 나사부(21)에는 상기 수도관(1) 및 주름관(2)을 연결하기 위한 제 1 너트(30) 및 제 2 너트(40)가 구비된다.
상기 하우징(20)의 나사부(21)의 형성 위치는 상기 수전구(10)가 상기 하우징 (20)내부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수전구(10)의 접속구(11) 후단부가 상기 하우 징(20) 후면부 외부로 노출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수전구(10)의 접속구(11)보다 약간 짧게 형성하여 상기 접속구(11)가 외부로 드러나도록 구성된다.
이는 상기 수도관(1)을 상기 수전구(10) 접속구(11)에 원터치 방식으로 삽입하여 연결할 때 그 연결 상태를 작업자가 육안으로 확인하고 그 연결된 상태를 자세히 살펴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상기 제 1 너트(30)는 상기 수도관(1)과 상기 수전구(10)의 접속구(11)를 가려주기 위한 중간 부품으로서 그 내측면에 상기 하우징(20)의 나사부(21)에 조립되도록 나사부(31)가 형성되어 구성되고, 그 후면부에는 상기 제 2 너트(30)와 나사 조립되기 위한 연결나사부(32)가 형성되어 있으며, 내주연에는 상기 주름관(2)이 더 이상 상기 하우징(20)내부로 진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턱(33)이 형성되어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제 2 너트(40)는 상기 수도관(1)을 커버 하는 것과 상기 주름관(2)이 상기 수도관(1)의 외관을 2차적으로 보호해 줄 수 있도록 콘크리트 타설시 상기 수도관(1)으로부터 상기 주름관(2)이 분리되지 않게 잡아 주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제 2 너트(40)의 선단부 내주연이 상기 제 1 너트(30)의 연결나사부(32)와 나사 결합 되도록 이루어지고, 후방 내주연에는 탄성을 가지는 다수의 탄성편(41)이 내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구성이다.
상기 탄성편(41)은 상기 주름관(2)의 외주연의 주름턱부(2a)에 걸리게 하여 주름관(2)이 상기 수도관(1) 외측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유지해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주름관은 상술한 바와 같이 주름관의 내경 사티즈가 22mm와 2m 두가지를 선택하여 각각 사용하고 있는 상황에서 주름관의 지름 크기가 변경될 경우 종래의 수전박스는 적절히 대응할 수 없어서 각각의 수전박스를 제작해야 하는 비경제적인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수전박스 하우징을 각각 제작하지 않고 상기 제 2너트의 탄성편 내경 사이즈가 상기 주름관 크기에 맞게 제작하게 되는 경우 하우징 전체를 각각 제작하는 경우에 비해 현저히 제작 비용과 그에 따른 단가를 줄이게 되는 이점을 발휘하게 된다.
한편, 상기 하우징(20) 전면에는 상기 하우징(20)의 나사홈(22a)에 대응되는 나사구멍(51)을 가진 링형의 마감링(50)이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마감링(50)은 내경이 상기 수전구(10)의 외경과 대응되는 크기로 이루어지고, 그 외경은 상기 수전구(10)의 외경에 맞도록 이루어져서 상기 하우징(20)의 선단부 내경 크기와 차이로 인해 발생된 공간을 가려주기 위한 마감 기능 역할을 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는 상기 수전구(10)의 선단부가 콘크리트 벽체(6)의 수직면과 일치되게 시공되거나, 또는 벽체(6)의 외측으로 내부 마감재(7)의 표면에 일치되게 시공되므로 외부에서 볼 때 상기 하우징(20)의 내부가 노출되면 그 마감 상태가 미려하지 않게 되므로 이를 가려 주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마감링(50)으로 가려지지 않고 상기 하우징(20)의 선단부가 노출되어 있는 상태로 콘크리트 타설이 되는 경우 콘크리트가 상기 하우징(20) 내부 로 흘러들어가 굳어 버리게 되면 차후에 수전박스의 기능을 할 수 없게 되므로 이러한 제반 문제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전박스 조립 및 설치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상기 제 1 너트(30) 및 제 2 너트(40)를 상기 주름관(2) 외측에 미리 끼워 놓는다.
이 상태에서 상기 수전구(10)를 상기 하우징(20)의 선단부로부터 삽입하여 고정하면 상기 수전구(10)의 접속구(11) 부위가 상기 하우징(20)의 후단부 측으로 노출된 상대로 장착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상기 수도관(2)의 단부를 잡고서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상기 수전구(10)의 접속구(11)에 상기 수도관(2)을 확실하게 삽입하고 그 상태를 확인하며 배관 접속 작업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음에는 상기 주름관(2) 외측에 끼워져 있던 상기 제 1 너트(30)를 상기 하우징(20)의 나사부(21)에 나사 조립하면 상기 수전구(10)의 접속구의 노출된 상태가 제 1 너트(30)에 의해 가려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너트(40)를 상기 제 1 너트(30)에 조립하고 나서 상기 주름관(2)을 상기 제 2 너트(40) 안쪽으로 삽입하면 상기 제 2 너트(40)의 탄성편(41)에 의해 상기 주름관(2)의 주름턱부(2a)가 걸리는 형태로 조립되고 이때 상기 주름관(2)의 선단부는 상기 제 1 너트(30)의 걸림턱(33)에 걸려 더 이상 삽입되지 않게 되므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조립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조립된 수전박스 조립체는 상기 고정프레임(4)에 체결나사(5)로 고정하여 설치함으로서 콘크리트 타설 작업 전 수전박스의 설치가 간편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수전박스를 건물 내부 곳곳에 설치를 하다 보면 이미 설치된 수전박스에 서로 연결된 다른 수전 박스의 수도관에 의해 조립이 잘 되지 않을 경우가 발생한다.
이때에도 본 발명에 의하면 수전박스 전체를 해체하지 않고 그 가설치 된 상태에서 상기 마감링(50)을 분리하면 상기 수전구(10)를 상기 수전박스 하우징(20)에서 분리하여 잡아당기면서 상기 수도관(1)의 연결 상태를 확인하면서 보다 더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수전박스를 설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효과는 시공 후 유지 보수 단계에서 발휘되는데 상기 수전구(10)에 연결된 공지의 수전금구(3)를 분리해 내고 상기 마감링(50)을 분리하면 상기 수전구(10)를 상기 하우징(20)으로부터 쉽게 분리하여 상기 수도관(1)과 함께 잡아 당겨 인출할 수 있으므로 수전박스 외부에서 수전구(10) 교체 또는 수도관(1) 보수 배관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수전박스 내부에 설치되는 여러 가지 형태의 수전구에 따른 조립 호완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수전구(10)는 체결보스(13)의 위치가 형태에 따라 선단부, 후단부 기타 위치에 배치되는 등 그 종류가 다양하다.
이 경우에도 상기 수전구(10)에 형태에 대응하여 상기 하우징(20) 전체를 각 각 제작하는 경우 그에 따른 금형 제작비용과 기타 제조 관리 비용 등이 많이 소요되는 비경제적인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를 위한 구성으로서 상기 수전박스 하우징(20)의 선단부를 나누어 캡(60)으로 분리되도록 구성하고 이러한 캡(60)을 상기 하우징(20)과 서로 착탈 가능하게 구성하면 이를 해결할 수 있다.
즉,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20)과 상기 캡(60)은 분리된 형태로 구성되어 나사에 의해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동일 구성에 대한 명칭과 부호는 그대로 사용하기로 한다.
상기 하우징(20)은 원통형으로 되어 후단부 외면에는 제 1 나사부(24)가 형성되어 있고, 선단부의 외주면에는 제2나사부(25)가 추가로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20)의 내측 중간에는 마주하는 한 쌍의 안착부(22)가 단턱 형상으로 구비되어 여기에 나사(22a)홈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외면의 중간 양측으로 상기 고정편(23)이 돌출되어 여기에 각각 나사구멍(23a)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 1 너트(30) 및 제 2 너트(40)는 상술한 실시예에서와 같은 구성이므로 그에 따른 구성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캡(60)은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고 후방 내부에 캡 나사부(61)가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20)의 제 2 나사부(25)에 결합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상기 캡(60)의 선단부는 내주연이 링 형태로 내향 돌출된 마감링(50)을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캡(60)의 마감링(50)은 상술한 바와 같이 분리된 형태로 되어 체결나사(5)에 의해 나사구멍(60a)에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마감링(50)을 제거하여 배관 보수 및 교체 작업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캡(60)이 상기 하우징(20)과 나사 조립 방식으로 분리 가능함으로서 상기 캡(60)을 분리하면 상기 마감링(50)만 제거한 경우보다 상기 수전구(10)가 외부로 더욱 많이 노출됨에 따라 작업 상태에 따라 상기 수전박스 하우징(20)에서 인출하여 배관 보수 작업 또는 수전금구 교체 작업을 선택적으로 더욱 편리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20)과 상기 캡(60)은 분리된 형태로 구성되어 회전 걸림식에 의해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하우징(20)은 상기 원통형으로 되어 후단부 외면에는 제 1 나사부(24)가 형성되어 있고, 선단부의 내주연에는 마주하는 한 쌍의 안내홈(26)이 축 방향으로 진입 형성되어 그 내측 단부가 다시 직각으로 연장되어 서로 대칭을 이루는 형태로 되어 있다.
그리고, 내측 중간에는 상술한 구성과 동일하게 마주하는 한 쌍의 안착부(22)가 단턱 형상으로 구비되어 여기에 나사홈(22a)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외면의 중간 양측으로 고정편(23)이 돌출되어 여기에 각각 나사구멍(23)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너트(30) 및 제 2 너트(40)는 상술한 실시예에서와 같은 구성이므로 그에 따른 구성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캡(60)은 상기 하우징(20)의 내주연으로 삽입되어 결합되는 크기의 원통형으로 되고, 그 후방 외면의 양측으로 각각 상기 안내돌기(62)가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20)의 안내홈(26)에 안내되어 끼워질 수 있도록 되고, 선단부는 내주연이 링 형태로 내향 돌출된 마감링(50)을 이루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캡(60)의 안내돌기(62)를 상기 하우징(20)의 안내홈(26)에 맞춘 상태에서 삽입하면 상기 안내홈(26)을 따라 축 방향으로 진입되고 그 내측 단부에서 걸려 다시 직각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안내돌기(62)가 안내홈(26)에 걸려 축 방향으로 빠지지않는 상태로 조립되는 것이다.
따라서,상기 수전박스 하우징(20)과 캡(60)은 서로 회전 걸림 방식으로 착탈 가능하므로 캡(60)의 분리 및 조립이 더욱 용이해지므로서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서 간편하게 상기 하우징(20)과 상기 캡(60)을 분리 할 수 있어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수전구(10)가 외부로 더욱 많이 노출됨에 따라 상기 수전박스 하우징(20)에서 인출하여 배관 보수 작업 또는 수전금구(3) 교체 작업을 선택적으로 더욱 편리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20)과 캡(60)은 스냅 걸림 방식으로 착탈 가능하게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하우징(20)은 원통형으로 되어 후단부 외면에는 제 1 나사부(24)가 형성되어 있고, 내측 중간에는 마주하는 한 쌍의 걸림홈(27)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내측으로 마주하는 한 쌍의 안착부(22)가 단턱 형상으로 구비되어 여기에 나사홈(22a)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외면의 중간 양측으로 고정편(23)이 돌출되어 여기에 각각 나사구멍(23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너트(30) 및 제 2 너트(40)는 상술한 실시예에서와 같은 구성이므로 그에 따른 구성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캡(60)은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하우징(20)의 내주연으로 삽입되어 결합되는 크기의 원통형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기 캡(60) 후방 외면의 양측으로 각각 걸림편(63)이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20)의 걸림홈(27)에 탄성적으로 끼워질 수 있도록 구성되며, 그 선단부는 내주연이 링 형상으로 내향 돌출된 마감링(50)을 이루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캡(60)의 걸림편(63)을 상기 하우징(20)의 걸림홈(27)에 일치시킨 상태에서 삽입하면 상기 걸림편(27)이 상기 하우징(20)의 내주연에 밀려 내측으로 탄발되어 있다가 상기 걸림홈(63)에 위치되면 상기 걸림편(27)이 자체 탄발력에 의해 상기 걸림홈(27)에 걸리게 되므로 인위적인 충격이 축방향으로 가해지지 않는 한 자연적으로 빠지지 않는 상태로 조립되는 것이다.
반대로 상기 캡(60)을 하우징(20)으로부터 분리하려면 상기 캡(60)을 손으로 잡아 당기기만 하면 당기는 힘에 의해 상기 걸림편(63)이 걸림홈(27)에서 이탈되면서 쉽게 분리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수전박스 하우징(20)과 캡(60)은 서로 스냅 걸림 방식으로 착탈 가능하므로 상기 캡(60)의 분리 및 조립이 더욱 용이해져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서 간편하게 상기 하우징(20)과 캡(60)을 분리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수전구(10)가 외부로 더욱 많이 노출 됨에 따라 상기 수전박스 하우징(20)에서 인출하여 배관 보수 작업 또는 수전금구(3) 교체 작업을 선택적으로 더욱 편리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한편, 도 13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꺼운 벽체(6) 내부에 수전박스를 설치하는 경우에 상기 하우징(20)에 길이가 긴 형태의 상기 캡(60)을 임의의 길이로 절단하고 상기 하우징(20)에 나사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하우징(20)은 원통형으로 되어 후단부 외면에는 제 1 나사부(24)가 형성되어 있고, 선단부의 외주면에는 제 2 나사부(25)가 형성되어 있으며, 외면의 중간 양측으로 고정편(23)이 돌출되어 여기에 각각 나사구멍(23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너트(30) 및 제 2 너트(40)는 상술한 실시예에서와 같은 구성이므로 그에 따른 구성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캡(60)은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하우징(20)의 제 2 나사부와 나사결합되도록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그 후단부가 길게 형성되어 그 후방 내부로부터 선단부에 걸쳐 캡 나사부(61)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20)의 제 2 나사부(25)에 나사 결합으로 조립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또한, 내측 선단부에는 마주하는 한 쌍의 안착부(65)가 구비되어 여기에 나사홈(65a)이 각각 형성되어 있어서 그 내부로 상기 수전구(10)를 삽입하면 체결보스(13)가 상기 안착부(65)에 자연적으로 안착되어 체결나사(5)로서 상기 나사 홈(65a)고정 설치하면 된다.
그리고, 상기 캡(60)의 선단부에는 내주연이 내측으로 돌출된 마감링(50)이 체결나사(5)에 의해 조립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캡의 후단부가 길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하우징이 고정 설치되는 고정프레임과 벽체 두께가 두꺼운 경우 마감재까지의 거리를 감안하여 상기 캡을 임의의 길이로 절단하여 상기 하우징과 나사 결합하여 사용 가능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과 의 분리 및 조립은 나사 방향으로 돌려서 조립 및 분리를 하게 되는데, 상기 캡의 선단 외주연이 다각형으로 이루어지므로 손으로 잡고 돌리거나 공구를 사용하여 용이하게 캡을 하우징으로부터 분리하여 배관 보수 작업 및 수전구 교체작업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은 상술한 바와 같이 벽체의 두께에 따라 적절히 대응하여 캡의 후단부 길이를 절단하여 사용하도록 함으로서 벽두께에 따라 수번박스를 각각 제작하지 않아 매우 경제적인 효과를 발휘하게 되며, 상기 캡을 하우징과 분리하면 상기 수도관 및 수전구(10)가 외부로 쉽게 꺼내어 배관 보수 작업 또는 수전금구(3) 교체 작업을 더욱 편리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고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하는 취지는 아니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의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이를테면, 캡과 하우징의 착탈 구조는 제작성 조립성 및 취급 상태에 따라 또는 착탈 구조가 변경되더라도 이에 대 응되게 이에 결합되는 홈의 모양이나 크기 직경 등 타입에 따라 하우징의 형태와 더불어 임의대로 변경 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수전박스를 매입 공간이 많이 차지하지 않는 컴팩트한 형태로 구성하여 수도관의 배관 접속 작업의 편리성 및 신뢰성 등의 취급성이 양호해 진다.
그리고, 수전박스 내부에 설치되는 여러 가지 형태의 수전구에 따라 기본 구성을 갖는 하우징과 캡을 분리하여 착탈되도록 구성함므로서 조립 호완성을 제공하도록 함은 물론, 수전 박스 설치 후에 수도 배관 및 수전구 개보수에 따른 벽체 파손 없이도 교체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등 유지 보수 관리 작업의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9)

  1. 벽체(6) 내부에 매립 설치하여 수도관(1)을 접속하는 수전구(10)를 보호하도록 된 수전박스에 있어서,
    원통형으로 되어 후단부 외면에는 나사부(21)가 형성되어 있고, 선단부의 내측에는 마주하는 한 쌍의 안착부(22)가 구비되어 여기에 나사홈(22a)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외면의 중간 양측으로 고정편(23)이 돌출되어 각각 나사구멍(23a)이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20);
    상기 하우징(20)의 나사부(21)에 나사 결합되고 후방 외면에 연결나사부(32)가 형성되어 있으며, 내주연 중간에는 걸림턱(33)이 형성되어 있는 제 1 너트(30);
    상기 제 1 너트(30)의 연결나사부(32)에 나사 결합 되고 후방 내주연에는 탄성을 가지는 다수의 탄성편(41)이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제 2 너트(40);
    링 형으로 되어 상기 하우징(20)의 선단부의 내측으로 결합되고 상기 나사홈(22a)에 대응되는 나사구멍(51)을 가지는 마감링(5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박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0)은 중간이 절곡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박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0)의 절곡된 각도는 후단부가 수직으로부터 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박스.
  4. (정정) 벽체(6) 내부에 매립 설치하여 수도관(1)을 접속하는 수전구(10)를 보호하도록 된 수전박스에 있어서,
    원통형으로 되어 후단부 외면에는 제1나사부(24)가 형성되어 있고, 선단부의 외주면에는 제2나사부(25)가 형성되어 있으며, 선단부의 내측 중간에는 마주하는 한 쌍의 안착부(22)가 단턱 형상으로 구비되어 여기에 나사홈(22a)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외면의 중간 양 측으로 고정편(23)이 돌출되어 여기에 각각 나사구멍(23a)이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20);
    상기 하우징(20)의 제1나사부(24)에 나사 결합되고 후방 외면에 연결나사부(32)가 형성되어 있으며, 내주연 중간에는 걸림턱(33)이 형성되어 있는 제 1 너트(30);
    상기 제 1 너트(30)의 연결나사부(32)에 나사 결합되고 후방 내주연에는 탄성을 가지는 다수의 탄성편(41)이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제 2 너트(40);
    원통형으로 되어 후방 내부에 캡 나사부(61)가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20)의 제2나사부(25)에 결합되고, 선단부의 내주연이 링 형태로 내향 돌출된 마감링(50)을 구비하도록 된 캡;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박스.
  5. (정정)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캡(60)의 마감링(50)은 분리된 형태로 되어 체결나사(5)에 의해 상기 캡(60)과 결합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박스.
  6. (정정) 벽체(6) 내부에 매립 설치하여 수도관(1)을 접속하는 수전구(10)를 보호하도록 된 수전박스에 있어서,
    원통형으로 되어 후단부 외면에는 제1나사부(24)가 형성되어 있고, 선단부의 내주연에는 마주하는 한 쌍의 안내홈(26)이 축 방향으로 진입 형성되면서 이 안내홈(26)의 내측 단부가 다시 직각으로 연장되어 서로 대칭을 이루는 형태로 되어 있으며, 선단부의 내측 중간에는 마주하는 한 쌍의 안착부(22)가 단턱 형상으로 구비되어 여기에 나사홈(22a)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외면의 중간 양측으로 고정편(23)이 돌출되어 여기에 각각 나사구멍(23a)이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20);
    상기 하우징(20)의 제1나사부(24)에 나사 결합되고 후방 외면에 연결나사부(32)가 형성되어 있으며, 내주연 중간에는 걸림턱(33)이 형성되어 있는 제 1 너트(30);
    상기 제 1 너트(30)의 연결나사부(32)에 나사 결합되고 후방 내주연에는 탄성을 가지는 다수의 탄성편(41)이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제 2 너트(40);
    원통형으로 되어 후방 외면의 양측으로 각각 안내돌기(62)가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20)의 안내홈(26)에 끼워질 수 있도록 되고, 선단부의 내주연이 링 형태로 내향 돌출된 마감링(50)을 구비하도록 된 캡;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박스.
  7. (정정) 벽체(6) 내부에 매립 설치하여 수도관(1)을 접속하는 수전구(10)를 보호하도록 된 수전박스에 있어서,
    원통형으로 되어 후단부 외면에는 제 1 나사부(24)가 형성되어 있고, 내측 중간에는 마주하는 한 쌍의 걸림홈(27)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내측으로 마주하는 한 쌍의 안착부(22)가 단턱 형태로 구비되어 여기에 나사홈(22a)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외면의 중간 양측으로 고정편(23)이 돌출되어 여기에 각각 나사구멍(23a)이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20);
    상기 하우징(20)의 제1나사부(24)에 나사 결합되고 후방 외면에 연결나사부(32)가 형성되어 있으며, 내주연 중간에는 걸림턱(33)이 형성되어 있는 제 1 너트(30);
    상기 제 1 너트(30)의 연결나사부(32)에 나사 결합되고 후방 내주연에는 탄성을 가지는 다수의 탄성편(41)이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제 2 너트(40);
    원통형으로 되어 후방 외면의 양측으로 각각 걸림편(63)이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20)의 걸림홈(27)에 탄성적으로 끼워질 수 있도록 되고, 선단부의 내주연이 링 형태로 내향 돌출된 마감링(50)을 구비하도록 된 캡(6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박스.
  8. 벽체(6) 내부에 매립 설치하여 수도관(1)을 접속하는 수전구(10)를 보호하도록 된 수전박스에 있어서,
    원통형으로 되어 후단부 외면에는 제1나사부(24)가 형성되어 있고, 선단부의 외주면에는 제2나사부(25)가 형성되어 있으며, 외면의 중간 양측으로 고정편(23)이 돌출되어 여기에 각각 나사구멍(23a)이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20);
    상기 하우징(20)의 제1나사부(24)에 나사 결합되고 후방 외면에 연결나사부(32)가 형성되어 있으며, 내주연 중간에는 걸림턱(33)이 형성되어 있는 제1너트(30);
    상기 제1너트(30)의 연결나사부(32)에 나사 결합되고 후방 내주연에는 탄성을 가지는 다수의 탄성편(41)이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제2너트(40);
    원통형으로 후단부가 길게 형성되고 그 후방 내부에 캡 나사부(61)가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20)의 제2나사부(25)에 결합되고, 선단부 내측에는 적어도 한 쌍 이상의 마주하는 안착부(65)가 구비되어 여기에 나사홈(65a)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캡(6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박스.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캡의 선단 외주연은 다각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박스.
KR1020060089587A 2006-09-15 2006-09-15 수전박스 KR1008540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9587A KR100854068B1 (ko) 2006-09-15 2006-09-15 수전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9587A KR100854068B1 (ko) 2006-09-15 2006-09-15 수전박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4875A KR20080024875A (ko) 2008-03-19
KR100854068B1 true KR100854068B1 (ko) 2008-08-26

Family

ID=394130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9587A KR100854068B1 (ko) 2006-09-15 2006-09-15 수전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406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9562B1 (ko) * 2008-07-18 2011-04-15 박강훈 이중관 수전 연결구
KR102213739B1 (ko) * 2020-04-07 2021-02-08 안승근 수도 연결 구조체
KR102348033B1 (ko) * 2020-11-09 2022-01-10 김대현 이중관 연결구조
KR102433521B1 (ko) * 2021-09-08 2022-08-18 유새롬 수전 장치 및 수전 연결구 분리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8854B1 (ko) * 2008-03-25 2009-05-21 강철 개폐밸브 차폐구조
KR100891413B1 (ko) * 2008-06-03 2009-04-02 강철 개폐밸브 차폐구조
KR101120191B1 (ko) * 2010-06-29 2012-03-16 주식회사 기승금속 수전장치
KR101339734B1 (ko) * 2012-09-05 2013-12-10 주식회사 새롬테크 이중관형 파이프 연결구
KR101509645B1 (ko) * 2013-12-05 2015-04-08 우명배 수전 연결기구 및 이를 갖는 수전 연결기구 어셈블리
CN106592710B (zh) * 2017-01-03 2022-06-21 南通丛建绿色建材有限公司 一种埋墙水管的连接组件
KR102222767B1 (ko) * 2019-11-20 2021-03-04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원형 수전 박스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29470U (ko) 1986-02-05 1987-08-15
KR200273548Y1 (ko) 2002-01-26 2002-05-03 오성만 수도꼭지 소켓이음의 커버
KR200358888Y1 (ko) 2004-05-12 2004-08-11 오성만 수도꼭지 소켓이음관커버
KR200392185Y1 (ko) 2005-05-12 2005-08-19 임승준 원형수전박스
KR200424181Y1 (ko) 2006-06-02 2006-08-18 이근상 회전이 용이한 회전밸브가 결합된 벽체매립형 수전함의수전 결합구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29470U (ko) 1986-02-05 1987-08-15
KR200273548Y1 (ko) 2002-01-26 2002-05-03 오성만 수도꼭지 소켓이음의 커버
KR200358888Y1 (ko) 2004-05-12 2004-08-11 오성만 수도꼭지 소켓이음관커버
KR200392185Y1 (ko) 2005-05-12 2005-08-19 임승준 원형수전박스
KR200424181Y1 (ko) 2006-06-02 2006-08-18 이근상 회전이 용이한 회전밸브가 결합된 벽체매립형 수전함의수전 결합구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9562B1 (ko) * 2008-07-18 2011-04-15 박강훈 이중관 수전 연결구
KR102213739B1 (ko) * 2020-04-07 2021-02-08 안승근 수도 연결 구조체
KR102348033B1 (ko) * 2020-11-09 2022-01-10 김대현 이중관 연결구조
KR102433521B1 (ko) * 2021-09-08 2022-08-18 유새롬 수전 장치 및 수전 연결구 분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4875A (ko) 2008-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4068B1 (ko) 수전박스
US8028357B2 (en) Method and associated apparatus for assembling and testing a plumbing system
KR101029562B1 (ko) 이중관 수전 연결구
KR100788190B1 (ko) 급수배관용 엘보우와 수압/고정플러그의 구조 및 이를이용한 수전시공방법
US20150121617A1 (en) Method and Associated Apparatus for Assembling and Testing a Plumbing System
US6845785B1 (en) Flush-mount supply line and drain connector
KR101177790B1 (ko) 세면기용 폽업장치의 설치구조 및 설치방법
KR200405423Y1 (ko) 유체 분배기함
KR101509645B1 (ko) 수전 연결기구 및 이를 갖는 수전 연결기구 어셈블리
US20110186142A1 (en) Universal water control trim
KR100886360B1 (ko) 벽체 매립형 수전장치 및 벽체 매립형 수전장치용 챔버
JP5305188B1 (ja) 水槽付き家具及び水槽付き家具への水栓装置の取り付け方法
KR200470623Y1 (ko) 세탁기가 설치되는 장소에 마련되는 급수 장치
JP4590516B2 (ja) 槽体の排水器
KR100886361B1 (ko) 벽체 매립형 수전함
KR100775917B1 (ko) 수전박스의 배관연결장치
KR100762012B1 (ko) 배관보호용 슬리브
ES2196204T5 (es) Griferia sanitaria.
KR102626941B1 (ko) 수전박스용 연장구
KR20070006185A (ko) 수전함
KR200348065Y1 (ko) 벽체 수도관 지지구조
KR100863982B1 (ko) 수전 연결구
KR200273548Y1 (ko) 수도꼭지 소켓이음의 커버
KR102383505B1 (ko) 외부에서 쉽게 조립할 수 있는 세대 단자함
JP2002374613A (ja) 管引出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