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06185A - 수전함 - Google Patents

수전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06185A
KR20070006185A KR1020050061283A KR20050061283A KR20070006185A KR 20070006185 A KR20070006185 A KR 20070006185A KR 1020050061283 A KR1020050061283 A KR 1020050061283A KR 20050061283 A KR20050061283 A KR 20050061283A KR 20070006185 A KR20070006185 A KR 200700061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enclosure
connector
faucet
bind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12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기
Original Assignee
이상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기 filed Critical 이상기
Priority to KR10200500612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06185A/ko
Publication of KR200700061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61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2Arrangements on taps for wash-basins or baths for connecting to the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21Devices for positioning or connecting of water supply li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 Valve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전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면이 개방된 함체에 연결구가 결착된 커버가 결합되어지는 수전함에 있어서, 상기 함체의 각 사이드패널에는 각각 가변분배홈이 일체로 형성되고, 각 모서리에는 체결홈이 형성되며, 상기 커버의 가장자리 모서리에는 상기 체결홈에 대응되어지는 체결홈이 형성되어 나사로 함체와 커버가 결합되고, 상기 커버에는 각이있는 결착홈이 형성되어 상기 결착홈과 동일한 형태이면서 외면 모서리에 숫나사가 형성된 연결구가 상기 결착홈에 삽입되어 상기 커버의 전후 양측에서 링너트로 연결구가 커버에 결착되어지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연결관을 연결구에 결합시키는 과정에서 연결구가 헛도는 것을 방지하여 용이한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연결구에 과도한 토오크가 작용하더라도 커버가 변형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효과를 더 얻을 수 있다.
함체, 커버, 가변분배홈, 연결구, 링너트

Description

수전함{WATER PANEL BOX}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전함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전함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전함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확대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함체 2:커버
3:연결구 4,4':링너트
6:나사 11,11',11":가변분배홈
12,12':체결홈 21:결착홈
22,22':체결홈 33: 숫나사
본 발명은 수전함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커버에 결합되어지는 연결구를 복수개의 링너트로 양측에서 고정되어지도록 함으로써, 함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연결관을 실링 너트로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그 외부에 설치되어지는 수도꼭지를 간편하게 결합시킬 수 있도록 작업성을 향상시키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택, 아파트 등의 주거 공간을 신축 또는 중측하는 경우, 외부에서 유입되는 냉,온수관은 씽크대 하부, 붙박이장, 드레스룸 등에 설치되어 있는 분배기로 유도되어지도록 구성하고, 분배기로 부터 욕실, 화장실, 보일러실, 다용도실 등의 각 수요처로 유도되어질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분배기로 부터 각 수요처로 이송되는 냉수나 온수배관은 외면이 굴곡진 파이프 보호관의 내부에 파이프가 통과되는 구조로 이중관에 둘러 쌓인 채로 방바닥이나 거실의 바닥을 통해 화장실이나 욕실로 향하고, 각 실의 입구에 설치된 각각의 수전함에 수전(수도꼭지)을 결합시켜 사용하거나, 연결관을 결속하여 욕조, 세면대, 변기 등에 냉,온수를 공급하게 된다.
수전함은 벽체에 매설되는 함체의 내부에 냉,온수관이 관통되어 그 단부가 노출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고, 노출된 단부에 L보우나 티를 이용하여 플렉시블 호스를 결합시키며 플렉시블 호스를 너트 등을 이용하여 커버에 결합된 연결구에 결합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고, 호스가 결합된 커버를 함체의 전면에 고정하고, 수도꼭지가 그 전면으로 노출된 연결구에 결합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수전함의 내부에 있는 호스를 너트를 이용하여 연결구에 결합시키는 과정에서 너트를 너무 세게 회전시키게 되면 연결구와 커버에서 헛돌게 됨으로써 체결이 불확실하게 되는 원인이 있었고, 이러한 원인으로 인하여 그 전면에 결합시키는 수도꼭지 역시 헛돌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복수개의 렌치를 이용하여 커버의 양측에서 동시에 이를 회전시켜 고정하는 방법이 있었으나, 이 역시 별도의 공구를 복수개 구비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시공이 마무리된 후 수도꼭지만을 교체할 경우, 본체의 전면에 결합 또는 고정된 커버를 모두 분리해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한편, 커버에 끼워진 연결구가 헛돌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안으로 커버에는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갖는 철부를 형성하고, 철부에 결합되는 요부를 연결구의 일측에 형성하여 서로 걸려지도록 하였으나, 너트 및 수도꼭지를 너무 세게 조일 경우, 철부가 부러지거나 커버에 변형이 발생되는 또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출한 것으로서 함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연결관을 실링 너트로 연결구에 결합시키는 과정에서 연결구가 헛도는 것을 방지하여 용이한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연결구에 과도한 토오크가 작용하더라도 커버가 변형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수전함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면이 개방된 함체(1)에 연결구(3)가 결착된 커버(2)가 결합되어지는 수전함에 있어서, 상기 함체(1)의 각 사이드패널에는 각각 가변분배홈(11)(11')(11")이 일체로 형성되고, 각 모서리에는 체결홈(12)(12')이 형성되며, 상기 커버(2)의 가장자리 모서리에는 상기 체결홈(12)(12')에 대응되어지는 체결홈(22)(22')이 형성되어 나사(6)로 함체(1)와 커버(2)가 결합되고, 상기 커버(2)에는 각이있는 결착홈(21)이 형성되어 상기 결착홈 (21)과 동일한 형태이면서 외면 모서리에 숫나사(33)가 형성된 연결구(3)가 상기 결착홈(21)에 삽입되어 상기 커버(2)의 전후 양측에서 링너트(4)(4')로 연결구(3)가 커버(2)에 결착되어지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함홈(21)은 사각이나 육각형태 중 어느 하나의 형태를 갖도록 구성되고, 상기 커버(2)의 전면에 각종 그림이나 문양이 프레스로 압인되어지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함체(1)와 커버(2) 사이에 간격유지구(5)가 개재되어지도록 구성하되, 상기 간격유지구(5)는 함체(1)의 내부에 헐겁게 삽입되는 슬리브(51) 선단으로 상기 함체(1)의 가장자리 폭과 높이를 가지며 소정 두께를 갖는 걸림턱(52)이 일체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구(3)는 계단형태를 갖는 원통몸체(31)의 중앙에 암나사홀(32)이 관통되어지도록 형성하고, 상기 원통몸체(31)의 외면에 숫나사(33)가 형성되어지도록 구성하되, 상기 원통몸체(31)의 직경이 큰 부분의 외면에 사각이나 육각의 형태 중 어느 하나의 형태를 갖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함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수전함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에 소정 깊이로 매립되어지는 함체(1)와 상기 함체(1)의 전면에 결합되어지는 커버(2) 및 연결구(3) 그리고 간격유지구(5)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함체(1)는 그 내부에 소정 공간이 제공되어지도록 함으로써, 냉,온수의 목적하는 방향으로 흐르게 할 수 있도록 하면서 수도꼭지 등을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함체(1)는 전면이 개방된 소정 두께를 갖는 박스형태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모서리에는 체결홈(12)(12')을 형성하여 커버(2)의 다른 체결홈(22)(22')에 끼워지는 나사(6)로 결합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함체(1)의 가장자리에는 각각 가변분배홈(11)(11')(11")가 로 형성되어 연결관(8)을 작업하기에 편리한 방향으로 전환시키거나 분기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있다.
이러한 가변분배홈(11(11')(11")은 완전히 관통된 형태가 아니라 원판형태를 갖도록 펀칭된 것으로 몇몇 군데가 이어진 형태로 드라이버나 송곳 등을 이용하여 가압시킴으로써, 분리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커버(2)는 함체(1)의 내부로 구비되어지는 연결관(8)이나 냉,온수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아울러 수도꼭지(9)를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것으로 하나 이상의 결착홈(21)이 형성된 스테인레스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결착홈(21)은 육각형태나 사각형태 중 어느 하나의 형태를 갖도록 형성하여 그 내부로 삽입된 연결구(3)가 헛돌게 되는 것이 방지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커버(2)는 그 전면에 각종 그림이나 문양이 프레스로 압인되어지도록 형성하여 수전함이 설치되어지는 주위와 어울릴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커버(2)의 가장자리 모서리에는 상기 체결홈(12)(12')에 대응되어지는 위치에 체결홀(22)(22')이 일체로 형성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구(3)는 계단형태를 갖는 원통몸체(31)의 중앙에 암나사홀(32)이 관통되어지도록 형성하여 수도꼭지(9)가 용이하게 결합되어질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원통몸체(31)의 외면에 숫나사(33)를 형성하여 일측은 연결관(8)에 결합된 실링 너트(7)가 결합되어짐과 동시에 타측은 링너트(4)(4')가 체결되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원통몸체(31)의 직경이 큰 부분의 외면은 커버(2)에 형성된 결착홈(21)가 동일한 형태인 육각이나 사각 중 어느 하나의 형태를 갖도록 함으로써,연결구(3)가 결착홈(21)에 삽입된 상태에서 헛돌게 되는 것을 막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원통몸체(31)는 결착홈(21)에 삽입된 상태에서 커버(2)의 전후 양측방향에서 링너트(4)(4')가 결합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간격유지구(5)는 함체(1)의 전면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커버(2)가 벽면과 평행하게 설치되어지도록 하는 것으로 함체(1)와 커버(2) 사이에 개재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간격유지구(5)는 함체(1)의 내부에 헐겁게 삽입되는 슬리브(51)의 선단으로 함체(1)의 가장자리 폭과 높이를 가지며 소정 두께를 갖는 걸림턱(52)이 일체로 구성되어 있고, 함체(1)의 전면으로 노출 또는 돌출되는 길이는 나사(6)를 이용하여 일정위치에서 고정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수전함은 먼저, 벽체의 내부를 구성하는 미도시한 철근구조물에 일정한 높이를 가지며 수평상태가 유지되도록 함체(1)를 고정한 후 함체(1)의 전면을 실링이나 패킹이 구비된 미도시한 덮개를 결합시키고, 거푸집을 설치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다음, 거푸집과 덮개를 제거한 후 함체(1)의 내부로 연결관(8)이 노출되어지도록 시공한 배관작업을 하고, 이어 연결관(8)의 단부에 실링 너트(7)를 끼워 연결구(3)의 숫나사(33)에 결합시킨다. 이때, 커버(2)의 결착홈(21)에 원통몸체(31)가 결합되어있고, 커버(2)의 양측으로 노출된 부분에 링너트(4)(4')가 조여지는 형태로 결합되어 있음으로써, 큰 토우크가 작용하더라도 연결구(3)가 결착홈(21)내에서 헛돌게 되는 것이 방지된다.
다음, 연결관(8)이 결합된 커버(2)를 나사(6)로 함체(1)의 모서리에 형성된 체결홈(12)(12')에 결합시키는 것으로 커버(2)의 조립이 마무리되며, 이후 커버(2)의 전면으로 노출된 연결구(3)의 암나사홀(32)에 수도꼭지(9)의 나사부를 체결하고, 링너트(4)(4') 및 링너트(4)(4')에 결합된 부위가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지캡(91)을 고정하는 것으로 시공이 마무리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연결구를 복수개의 링너트로 커버의 양측에서 고정되어지도록 함으로써, 함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연결관을 실링 너트로 용이하게 고정함과 동시에 그 외부에 설치되어지는 수도꼭지를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도록 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함체와 커버 사이에 소정의 간격유지부재를 선택적으로 개재할 경우 벽면과 커버가 평행한 상태가 유지되어지도록 하여 주위미관에 더 어울릴 수 있는 효과를 더 얻을 수 있다.

Claims (4)

  1. 전면이 개방된 함체(1)에 연결구(3)가 결착된 커버(2)가 결합되어지는 수전함에 있어서,
    상기 함체(1)의 각 사이드패널에는 각각 가변분배홈(11)(11')(11")이 일체로 형성되고, 각 모서리에는 체결홈(12)(12')이 형성되며, 상기 커버(2)의 가장자리 모서리에는 상기 체결홈(12)(12')에 대응되어지는 체결홈(22)(22')이 형성되어 나사(6)로 함체(1)와 커버(2)가 결합되고, 상기 커버(2)에는 각이있는 결착홈(21)이 형성되어 상기 결착홈(21)과 동일한 형태이면서 외면 모서리에 숫나사(33)가 형성된 연결구(3)가 상기 결착홈(21)에 삽입되어 상기 커버(2)의 전후 양측에서 링너트(4)(4')로 연결구(3)가 커버(2)에 결착되어지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착홈(21)은 사각이나 육각형태 중 어느 하나의 형태를 갖도록 구성되고, 상기 커버(2)의 전면에 각종 그림이나 문양이 프레스로 압인되어지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함.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함체(1)와 커버(2) 사이에 간격유지구(5)가 개재되어지도록 구성하되, 상기 간격유지구(5)는 함체(1)의 내부에 헐겁게 삽입되는 슬리브(51) 선단으로 상 기 함체(1)의 가장자리 폭과 높이를 가지며 소정 두께를 갖는 걸림턱(52)이 일체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함.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3)는 계단형태를 갖는 원통몸체(31)의 중앙에 암나사홀(32)이 관통되어지도록 형성하고, 상기 원통몸체(31)의 외면에 숫나사(33)가 형성되어지도록 구성하되, 상기 원통몸체(31)의 직경이 큰 부분의 외면에 사각이나 육각의 형태 중 어느 하나의 형태를 갖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함.
KR1020050061283A 2005-07-07 2005-07-07 수전함 KR2007000618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1283A KR20070006185A (ko) 2005-07-07 2005-07-07 수전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1283A KR20070006185A (ko) 2005-07-07 2005-07-07 수전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6185A true KR20070006185A (ko) 2007-01-11

Family

ID=378714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1283A KR20070006185A (ko) 2005-07-07 2005-07-07 수전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0618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7643B1 (ko) * 2006-11-15 2007-11-22 이용춘 벽체 매립형 수전연결시스템
KR101396724B1 (ko) * 2012-06-27 2014-05-19 대림통상 주식회사 벽붙이 수전 체결용 박스
KR102223054B1 (ko) * 2019-10-07 2021-03-03 김정혁 속커버 변환설치가 가능한 벽체 매립형 수전함 및 그 시공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7643B1 (ko) * 2006-11-15 2007-11-22 이용춘 벽체 매립형 수전연결시스템
KR101396724B1 (ko) * 2012-06-27 2014-05-19 대림통상 주식회사 벽붙이 수전 체결용 박스
KR102223054B1 (ko) * 2019-10-07 2021-03-03 김정혁 속커버 변환설치가 가능한 벽체 매립형 수전함 및 그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89440B1 (ko) 벽체 매립형 수전함
US8616229B2 (en) Water stop valve device with rough-in sleeve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US20080098858A1 (en) Plumber&#39;s wrench
CA2753509A1 (en) Device for concealing a plate associated with overflow plumbing
US20050067017A1 (en) Flush-mount supply line and drain connector
KR20070006185A (ko) 수전함
CA2747711A1 (en) In-wall water service housing
JP2008231888A (ja) 壁付き水栓の固定構造
KR200424181Y1 (ko) 회전이 용이한 회전밸브가 결합된 벽체매립형 수전함의수전 결합구조
KR20070115388A (ko) 회전이 용이한 회전밸브가 결합된 벽체매립형 수전함의수전 결합구조
JP7064497B2 (ja) 洗面台等の設置及び壁取付けのための構成
KR100721213B1 (ko) 수전 연결장치
WO2014017898A1 (en) Clamping device for mounting a faucet head
KR100786978B1 (ko) 수관의 벽체 설치 시스템
KR100886360B1 (ko) 벽체 매립형 수전장치 및 벽체 매립형 수전장치용 챔버
KR100777643B1 (ko) 벽체 매립형 수전연결시스템
KR100886361B1 (ko) 벽체 매립형 수전함
KR200461990Y1 (ko) 이중 배출구가 구비된 수도꼭지
KR100481811B1 (ko) 비수전함형 수전연결시스템
JP2990581B2 (ja) 形状記憶材料による水栓の取付構造
JP7237599B2 (ja) 水栓の接続構造
KR101766250B1 (ko) 분리형 커넥터를 구비한 개방형 수전함
KR200304846Y1 (ko) 벽체 매립형 수전함
JPH11140928A (ja) 埋込型水栓の取付構造
EP3889364A1 (en) An adapter for mounting of a lead-through device and a coupling arrangement to a wall pan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