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3505B1 - 외부에서 쉽게 조립할 수 있는 세대 단자함 - Google Patents

외부에서 쉽게 조립할 수 있는 세대 단자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3505B1
KR102383505B1 KR1020200088290A KR20200088290A KR102383505B1 KR 102383505 B1 KR102383505 B1 KR 102383505B1 KR 1020200088290 A KR1020200088290 A KR 1020200088290A KR 20200088290 A KR20200088290 A KR 20200088290A KR 102383505 B1 KR102383505 B1 KR 1023835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box
fastening member
pipe
box body
out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82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9724A (ko
Inventor
한승호
Original Assignee
(주)비원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비원테크 filed Critical (주)비원테크
Priority to KR10202000882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3505B1/ko
Publication of KR202200097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97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35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35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providing line outl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6Joints for connecting lengths of protective tubing or channels, to each other or to casings, e.g. to distribution boxes; Ensuring electrical continuity in the joint
    • H02G3/0616Joints for connecting tubing to cas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1Bases, casings or cov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4Fastening of cover or lid to box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Abstract

관을 끼워서 고정하는 관 연결구를 단자함 본체에 형성한 장착 구멍에 끼워서 돌리면 턱에 걸려서 고정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단자함 본체 밖에서 쉽고 편리하게 관 연결구를 조립하거나 분리할 수 있다. 특히, 단자함 본체에 고정한 체결 부재에 서로 다른 지름을 가진 관을 끼워서 고정할 수 있게 구성한 2개의 지지 부재 중 어느 하나를 체결하여 사용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관 연결구에 끼워서 고정할 수 있는 관의 지름 범위를 넓힐 수 있어 다양한 지름의 관을 끼워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체결 부재에 지지 부재 내부를 지지하게 하고, 관을 끼울 때 그 단부가 밀착할 수 있게 턱과 사면을 형성함으로, 체결 부재와 관 사이의 밀착력을 높여 그 안에 장착하는 전선이나 케이블을 쉽게 끼워서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Description

외부에서 쉽게 조립할 수 있는 세대 단자함{HOME DISTRIBUTION BOX TO EASILY ASSEMBLY CONNECTORS FROM THE OUTSIDE}
본 발명에 따른 외부에서 쉽게 조립할 수 있는 세대 단자함은, 더욱 상세하게는 단자함 본체에 형성한 장착 구멍에 관 연결구를 맞대고 돌리면 쉽게 조립하거나 분리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때에 따라 관 연결구를 조립하거나 분리할 필요가 있을 때는 쉽고 편리하게 조립하거나 분리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또한, 이러한 관 연결구에는 마감 덮개를 갖춤으로써, 콘크리트 등이 관 연결구 안으로 메우지 않게 하여 편리하게 시공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대 단자함은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전에 거푸집 안에 장착하게 되고, 이때 세대 단자함에는 외부에 필요한 곳으로 분기할 수 있도록 여러 개의 연결구(커넥터)를 연결한다. 이러한 연결 방식은, 아래의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3)과 같이,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특허문헌 1) 한국공개특허 제10-2006-0045097호
벽체두께가 한정되고 실내미관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건축물에 적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좁은 접속함체의 외부에 별도의 연결박스를 결합하여 여분의 공간을 더 확장함으로서 배선처리공간과 통신용장치의 설치공간을 현격하게 확대할 수 있는 세대단자함의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세대단자함의 구조는, 다수의 케이블용 배관공이 천공된 세대단자함체와; 상기 세대단자함체와 연결되는 오프닝구조와 상기 세대단자함체와 나사로 결합하여 고정할 수 있는 체결구 및 공간확장용 연결박스를 연결하는 힌지를 포함하는 커버프래임과; 상기 커버프래임의 하단부에 힌지식으로 연결되어 세대단자함체의 외부에서 세대단자함의 공간을 확장할 수 있도록 외부로 돌출된 돔형의 연결박스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구조를 이용하면, 세대단자함체의 깊이나 규격의 제한으로 인하여 내부에 설치하지 못하는 각종 통신용 장치를 세대단자함체의 외부로 확장된 공간에 수용할 수 있고 세대단자함체에 설치된 각종 통신케이블이 찌그러지지 않도록 일정한 스페이스의 역할을 하며 세대단자함체의 매립공정과 마무리공정에 따른 인위적인 실수를 커버할 수 있고 별도의 통신용인출구를 시설하기 위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실내미관의 저해요인을 최소화 할 수 있다.
(특허문헌 2) 한국등록특허 제10-1158111호
탈부착이 용이한 단자함 연결용 조립식 가요전선관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가요전선관과, 일면에 결합공이 관통형성된 배선박스와, 상기 가요전선관이 결합되어 상기 배선박스의 결합공에 결합되는 가요전선관 커넥터에서, 중앙에 상기 배선박스의 결합공 외면에 대응되어 걸림되도록 형성된 플렌지부와; 상기 플렌지부의 상측에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배선박스의 결합공 내경보다 작은 외경으로 형성되어 관통결합되며, 원통형상의 외주연 일면에 후크출몰공이 관통형성되고, 상기 후크출몰공 반대편측으로 결합지지공이 형성되며, 상기 후크출몰공 직하 외주연 일면에 해제핀공이 관통형성된 배선박스 결합부와; "C"형상으로 탄성력이 외연으로 인가되고, 상기 배선박스 결합부의 내주연에 탄성력에 의해 밀착대응되어 결합되며, 상기 배선박스 결합부가 상기 배선박스의 결합공에 탈부착결합되도록 형성된 탄성탈부착수단과; 상기 플렌지부 하측에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플렌지부에 인접하는 일단에 다단으로 단차형성된 끼움고정부가 형성되며, 상기 끼움고정부 직하로 가요전선관의 선단이 결합되도록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외주연에 수나사가 마련되는 전선관 연결부가 형성된 가요전선관 결합구와; 상기 가요전선관 결합구의 끼움고정부에 끼움결합되도록 내주연 일측 둘레를 따라 끼움고정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가요전선관 결합구에 결합된 가요전선관의 선단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보호캡;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이 용이한 단자함 연결용 조립식 가요전선관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3) 한국등록특허 제10-2087768호
마감 덮개에 형성한 외부 커넥터에 미리 주름관을 끼워서 고정한 다음, 마감 덮개를 본체에 형성한 내부 커넥터에 맞춰서 조립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여러 개의 주름관을 마감 덮개에 고정한 상태로 한 번에 본체에 고정 설치할 수 있어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편리하면서도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다. 특히, 외부 커넥터에는 내주에 여러 개의 분할 편을 형성함으로, 외부 커넥터에 주름관을 끼우면 분할 편이 주름관의 주름 부분에 걸려 쉽게 조립할 수 있으면서 조립한 뒤에는 쉽게 빠지지 않게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분할 편이 외부 커넥터 안으로 갈수록 이 외부 커넥터의 중심을 향하도록 형성하므로, 주름관을 쉽게 끼워서 고정하면서도 쉽게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한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기존의 분배함(단자함)은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1) 커넥터를 단자함에 결합하면 쉽게 풀 수 없다. 이는, 단자함에 연결한 커넥터를 풀어서 장착 위치를 옮기거나 파손 등으로 교체해야 할 때 긴 시간이 걸려 작업 효율이 떨어진다.
(2) 또한, 커넥터를 강제로 단자함에 끼워서 고정하거나 체결 방식으로 고정함에 따라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3) 우선, 강제로 단자함에 끼워서 조립하면 조립할 때는 쉽게 조립할 수 있다고 하나, 조립한 뒤에 때에 따라 단자함에서 커넥터를 분리할 때는 커넥터가 깨지거나 파손될 우려가 있다. 그뿐만 아니라 강제로 커넥터를 분리할 때 단자함이 깨지거나 파손될 수도 있다.
(4) 또한, 체결 방식으로 체결한 커넥터는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반대로 교환이나 장착 위치를 바꾸려고 단자함에서 분리할 때는 어렵게 분리해야 할 뿐만 아니라, 때에 따라서는 공구를 사용해야 한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6-0045097호 (공개일: 2006.05.16) 한국등록특허 제10-1158111호 (등록일: 2012.06.13) 한국등록특허 제10-2087768호 (등록일: 2020.03.05)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고려한 것으로, 관(管)을 끼워서 고정하는 관 연결구를 단자함 본체에 형성한 장착 구멍에 끼워서 미리 정한 만큼만 돌리면 턱에 걸려서 고정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누구든지 단자함 본체 밖에서 쉽고 편리하게 관 연결구를 조립하거나 분리할 수 있게 한 외부에서 쉽게 조립할 수 있는 세대 단자함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실질적으로 단자함 본체에 고정한 체결 부재에 서로 다른 지름을 가진 관을 끼워서 고정할 수 있게 구성한 2개의 지지 부재 중 어느 하나를 체결하여 사용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관 연결구에 끼워서 고정할 수 있는 관의 지름 범위를 넓힐 수 있어 다양한 지름의 관을 끼워서 사용할 수 있게 한 외부에서 쉽게 조립할 수 있게 한 세대 단자함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체결 부재에 지지 부재 내부를 지지하게 하고, 지름이 다른 관을 끼워서 조립할 때 그 단부가 밀착할 수 있게 턱과 사면을 형성함으로써, 체결 부재와 관 사이의 밀착력을 높여 그 안에 장착하는 전선이나 케이블을 쉽게 끼워서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게 한 세대 단자함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외부에서 쉽게 조립할 수 있게 한 세대 단자함은, 지름이 다른 관(P, P')을 끼워서 사용하는 세대 단자함에서, 내부가 비어있고 한쪽 면에 덮개(120)를 갖춘 단자함 본체(100), 및 상기 단자함 본체(100)의 서로 마주하는 양쪽 면에 장착하여 관(P)을 끼워서 배관할 수 있도록 장착하는 관 연결구(200)를 포함하되;, 상기 관 연결구(200)는, 길이 방향으로 관통하게 형성하고 외주를 턱지게 형성하되, 상기 단자함 본체(100)와 마주하게 설치하는 턱진 면에는 서로 마주하는 위치에 회전 제한 돌기(220)를 돌출 형성하고, 돌출한 가장자리에는 이 회전 제한 돌기(220)와 교차하게 두 개의 걸림턱(210)을 갖춘 체결 부재(200');, 및 길이 방향으로 관(P)을 끼울 수 있도록 실린더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한쪽은 상기 체결 부재(200')에 나사 체결하고 다른 한쪽은 지름이 다른 관(P, P')을 수납할 수 있도록 가장자리에서 안으로 갈수록 좁아지게 형성한 여러 개의 탄성 편(260)을 갖춘 지지 부재(200")를 포함하고;, 상기 단자함 본체(100)는, 상기 체결 부재(200')를 끼워서 돌림에 따라 체결할 수 있도록 여러 개의 장착 구멍(110)을 관통 형성하되, 상기 장착 구멍(110)에는 내주에 미리 정한 간격을 두고 서로 마주하게 형성하여 상기 회전 제한 돌기(220)가 관통하게 끼워져서 돌리면 걸려서 빠지지 않게 하는 스토퍼(111)와 상기 걸림턱(210)이 끼워져서 안내를 받아 한정된 거리에서 회전하게 하는 안내 홈(11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지지 부재(200")는, 지름이 다른 관(P, P')을 끼워서 고정할 수 있도록 지름이 다른 적어도 두 개로 구성하고 그 중 하나를 상기 체결 부재(200')에 체결하여 사용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체결 부재(200')는, 상기 장착 구멍(110)에 끼워서 회전하게 하는 중심을 따라 삽입 구멍(230)을 관통 형성하되, 상기 삽입 구멍(230)에는 내주면에 상기 지지 부재(200")를 나사 방식으로 체결할 수 있게 형성한 암나사(231), 상기 지지 부재(200")의 내주면에 끼워지도록 상기 암나사(231)에서 미리 정한 간격만큼 떨어져서 형성한 끼움 돌기(232), 상기 끼움 돌기(232)의 안쪽에 형성하여 지름이 큰 관(P)의 단이 걸쳐지게 하는 턱(233), 그리고, 상기 턱(233)에서 점차 좁아지게 형성하여 지름이 작은 관(P')을 안내할 수 있도록 형성한 사면(23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 부재(200")에는, 상기 탄성 편(260)을 형성한 쪽으로 끼워서 마감하는 마감 덮개(240)를 갖추되, 상기 마감 덮개(240)는, 한쪽 면에서 돌출하여 상기 지지 부재(200")에 끼워지는 압입 부분(241), 상기 압입 부분(241)의 외주에서 밖으로 돌출한 적어도 두 개의 가압 돌기(242), 그리고 다른 한쪽 면에서 돌출한 손잡이(24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체결 부재(200')는, 상기 장착 구멍(110)에 끼우는 한쪽에 끼워서 마감하는 삽입 뚜껑(250)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외부에서 쉽게 조립할 수 있는 세대 단자함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단자함 본체 밖에서 관 연결구를 단자함 본체에 끼워서 돌리면 조립이 끝나므로, 간단한 방법으로 관 연결구를 고정할 수 있어 조립 효율을 높일 수 있다.
(2) 특히, 이처럼 조립한 관 연결구는 반대로 회전함에 따라 쉽게 단자함 본체에서 분리할 수 있으므로, 관 연결구를 다른 것으로 교체하거나, 관 연결구를 분리했다가 다시 조립할 필요가 있을 때 쉽게 분리했다가 다시 조립할 수 있다.
(3) 이처럼 관 연결구를 단자함 본체에 끼워서 돌리는 간단한 조작으로 조립과 분리를 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관 연결구를 조립하거나 분리할 때 강제로 빼거나 끼우지 않아도 되어 단자함 본체나 관 연결구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4) 한편, 관 연결구는 단자함 본체에 돌려고 고정하는 체결 부재와 이 체결 부재에 나사 체결 방식으로 고정하는 지지 부재를 포함하되, 이 지지 부재를 적어도 두 개 구성하여 지름이 다른 관을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어 편리하다.
(5) 이때, 상기 지지 부재는 한쪽 끝에 가장자리에서 안으로 들어갈수록 좁아지게 여러 개의 탄성 편을 형성함으로써, 탄성 편이 강제로 넓어지는 만큼 다른 지름을 가진 관을 강제로 끼워서 사용할 수 있어 수용할 수 있는 관의 지름 범위를 넓힐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외부에서 쉽게 조립할 수 있는 세대 단자함을 보여주는 사시도로, 사용하지 않는 관과 연결구와 사용하려고 연결하는 관 연결구를 갖춘 상태를 보여준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관 연결구를 세대 단자함에 형성한 장착 구멍에 장착하는 상태를 보여주려고 분리한 일부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단자함 본체에 형성한 장착 구멍을 보여주는 확대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라 다른 지름의 관을 끼워서 사용하는 2가지 관 연결구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장착 구멍에 체결 부재를 끼우면서 돌려서 고정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순서도로, (a)는 장착 구멍에 체결 부재를 끼운 상태를, (9b)는 끼운 체결 부재를 돌려서 고정한 상태를 각각 보여준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체결 부재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체결 부재에 지름이 다른 관을 끼워서 지지하게 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례가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외부에서 쉽게 조립할 수 있는 세대 단자함은, [도 1] 내지 [도 5]와 같이, 내부가 비어있고 한쪽 면에 덮개(120)를 갖춘 단자함 본체(100), 그리고 상기 단자함 본체(100)의 서로 마주하는 양쪽 면에 장착하여 관(P)을 끼워서 배관할 수 있도록 장착하는 관 연결구(200)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관 연결구(200)는 상기 단자함 본체(100)에 관통 형성한 장착 구멍(110)에 끼워서 소정의 각도로 돌리면 견고하게 고정함으로써, 단자함 본체(100) 밖에서도 쉽게 관 연결구(200)를 장착하거나 분리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때, 상기 관 연결구(200)는 상기 장착 구멍(110)에 끼워서 고정하는 체결 부재(200')와 이 체결 부재(200")에 나사 체결 방식으로 결합하여 관(P)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200")를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지지 부재(200")는 지름이 다른 관(P)을 고정할 수 있도록 적어도 두 개로 구성함으로써, 다양한 지름의 관을 끼워서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지지 부재(200")의 한쪽 끝, 바람직하게는 관(P)을 끼우는 단부의 가장자리에서 지지 부재(200") 안으로 갈수록 좁아지게 여러 개의 탄성 편(260)을 형성함으로써, 하나의 지지 부재(200")를 통해서도 지름이 다른 관을 끼워서 고정할 수 있게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지지 부재(200")에는 관을 끼우는 끝단, 즉 상기 탄성 편(260)을 형성한 단부에 마감 덮개(240)로 마감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단자함 본체(100)에 관 연결구(200)를 조립한 상태에서 사용하지 않을 때는 콘크리트나 먼지 등에 내부가 노출되지 않게 하여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하, 이러한 구성에 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도면부호 "P와 P'"는 단자함 본체에 전력이나 데이터 등을 전송하는 케이블이나 전선을 보호하기 위한 지름이 다른 관으로, 주름관이나 유연관 등 케이블이나 전선을 보호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사용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주름관을 예로 보여준다.
가. 단자함 본체
단자함 본체(100)는, [도 1]과 같이, 내부가 비어 있으며, 한쪽 면에는 개폐할 수 있는 덮개(120)를 갖춘다. 그리고 이 단자함 본체(100)에는 외부에서 관(P)을 연결하여 그 안에 케이블이나 전선을 삽입하여 배선할 수 있도록 관 연결구(200)를 장착한다. 이때, 상기 단자함 본체(100)에는 서로 마주하는 양쪽 면에 여러 개의 장착 구멍(110)을 형성하여 적절한 위치에 있는 장착 구멍(110)에 관 연결구(200)를 고정하여 사용한다.
장착 구멍
장착 구멍(110)은, [도 2] 및 [도 3]과 같이, 상기 단자함 본체(100)에 관통하게 형성한다. 이때, 상기 장착 구멍(110)에는 내주 면에 서로 마주하게 두 개의 스토퍼(111)를 안쪽으로 돌출하게 형성한다. 이때, 이 두 개의 스토퍼(111)는 양단이 서로 같은 간격만큼 떨어지게 형성함으로써, [도 5]와 같이, 이들 스토퍼(111) 사이에 놓이는 후술할 걸림턱(210)이 단자함 본체(100)를 관통하여 그 안까지 끼워지게 하고, 이렇게 끼워진 상태에서 관 연결구(200)를 돌리면 걸림턱(210)이 스토퍼(111)에 중첩하여 관 연결구(200)가 단자함 본체(100) 밖으로 이탈하지 않게 한다.
또한, 상기 장착 구멍(110)에는, [도 2] 및 [도 3]과 같이, 그 가장자리 부분에 안내 홈(112)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안내 홈(112)은 후술할 체결 부분(200')을 장착 구멍(110)에 끼웠을 때 이 체결 부분(200')에 형성한 회전 제한 돌기(220)와 마주하는 위치에 형성한다. 특히, 상기 안내 홈(112)은 이 회전 제한 돌기(220)의 회전을 제한하기 위한 것으로, [도 5]와 같이, 상기 체결 부분(200')을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걸림턱(210)이 스토퍼(111)에 중첩하여 고정 상태가 되면 더는 회전하지 않는 크기로 구성한다. 도면에서는, 상기 체결 부분(200')을 직각으로 회전했을 때 더는 돌아가지 않게 형성한 예를 보여준다.
이처럼 이루어진 장착 구멍(110)에는, [도 3]과 같이, 후술할 관 연결구(200)를 끼워서 돌리는 방향을 알 수 있도록 방향 표시(113)를 해 줌으로써, [도 1]·[도 3] 및 [도 5]와 같이 후술할 관 연결구(200)를 끼워서 정해진 방향으로 쉽게 돌려서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나. 관 연결구
관 연결구(200)는, [도 2] 및 [도 5]와 같이, 상술한 장착 구멍(110)에 끼워서 고정하는 체결 부재(200'), 이 체결 부재(200")에 나사 결합하고 관(P)을 삽입해서 사용하는 지지 부재(200")를 포함한다. 또한, 이러한 관 연결구(200)에는 상기 체결 부재(200')의 앞을 마감하는 삽입 뚜껑(250), 그리고 상기 지지 부재(200")의 한쪽을 마감하는 마감 덮개(24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다.
1. 체결 부재
체결 부재(200')는, [도 2] 및 [도 4]와 같이, 길이 방향으로 삽입 구멍(230)을 관통하게 형성하고, 한쪽 끝을 턱지게 형성함으로써, 이 턱진 부분이 상기 장착 구멍(110)에 끼울 수 있게 하여 체결 부재(200')가 단자함 본체(100)에 걸려 빠지지 않으면서도 이 단자함 본체(100) 외부에서 쉽게 조립하거나 분리할 수 있게 한다.
특히, 상기 체결 부재(200')는, [도 4] 및 [도 5]와 같이, 돌출한 가장자리에 걸림턱(210)을 형성하고, 체결 부재(200')를 단자함 본체(100)에 마주하는 면에는 회전 제한 돌기(220)를 돌출 형성한다.
걸림턱
걸림턱(210)은, [도 4] 및 [도 5]와 같이, 체결 부재(200')의 돌출한 부분에 형성한다. 이때, 상기 걸림턱(210)은 가장자리 부분에서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하되, 상술한 체결 부재(200')를 장착 구멍(110)에 끼울 때 상기 걸림턱(210)이 장착 구멍(110)에 형성한 두 개의 스토퍼(111) 사이에 위치하여 단자함 본체(100)를 관통할 수 있게 형성한다. 이러한 걸림턱(210)은 단자함 본체(100)를 관통하게 끼운 상태에서 체결 부재(200')를 돌림에 따라 상술한 스토퍼(111)에 중첩하여 단자함 본체(100)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회전 제한 돌기
회전 제한 돌기(220)는, [도 4] 및 [도 5]와 같이, 상기 체결 부재(200')를 단자함 본체(100)에 마주하게 하여 결합할 때 상술한 안내 홈(112)에 끼워져서 이 체결 부재(200')를 돌릴 때 회전 안내를 받을 수 있게 형성한다. 이때, 상기 회전 제한 돌기(220)는 안내 홈(112)의 어느 한쪽 끝에 있으면 걸림턱(210)이 두 개의 스토퍼(111) 사이에 위치하고, 다른 한쪽 끝에 있으면 이 걸림턱(210)이 스토퍼(111)와 중첩하여 체결 부재(200')가 단자함 본체(100)에서 이탈하지 않고 고정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형성한다.
삽입 뚜껑
삽입 뚜껑(250)은, [도 4]와 같이, 체결 부재(200')의 입구부, 즉 상술한 장착 구멍(110)에 끼우는 쪽에 장착한다. 이때, 상기 삽입 구멍(250)은 체결 부재(200')에 관통하게 형성한 삽입 구멍(230)에 강제로 끼울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후술할 지지 부재(200")에 관통하게 끼운 관(P, P') 안에 삽입하는 케이블이나 전선을 강제로 밀어넣음에 따라 이 케이블이나 전선이 체결 부재(200')에서 강제로 삽입 뚜껑(250)이 빠지게 해서 바로 사용할 수 있게 한다. 물론, 이러한 삽입 뚜껑(250)은 이물 등이 체결 부재(200') 안으로 들어오는 것을 막아주기도 한다.
2. 지지 부재
지지 부재(200")는, [도 2]·[도 4] 및 [도 5]와 같이, 길이 방향으로 관통하게 형성하고, 한쪽을 상술한 체결 부재(200')에 나사 방식으로 체결하여 그 안으로 전선이나 케이블 등을 끼워서 단자함 본체(100) 안에 끼울 수 있게 구성하고, 다른 한쪽에는 지름이 다른 관(P, P')을 끼울 수 있게 구성한다. 이를 위해, 상기 지지 부재(200")에는 관(P, P")을 끼우는 한쪽 끝의 가장자리에 여러 개의 탄성 편(260)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탄성 편(260)은 지지 부재(200")의 끝에서 그 안으로 향하도록 형성하되 지름이 작아지게 형성함으로써, 지름이 다른 관(P, P')을 끼우더라도 이 탄성 편(260)이 탄성 변형하면서 관을 지지 고정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 부재(200")는, [도 6]과 같이, 크기를 다르게 하여 적어도 두 개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두 개의 지지 부재(200')의 지름을 다르게 형성함으로써, 각 지지 부재(200")마다 끼워서 고정할 수 있는 관(P, P')의 지름이 달라지게 함으로써, 끼워서 고정할 수 있는 지름 영역을 한층더 넓힐 수 있게 한 것이다. 또한, 이러한 탄성 편(260)은 지지 부재(200")에 관(P, P')을 끼우면 반대로 쉽게 빠지지 않게 고정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러한 지지 부재(200")에는, [도 4]와 같이, 외주에 적어도 하나의 걸이 돌기(270)를 돌출 형성함으로써, 단자함 본체(100)에 이 지지 부재(200")를 고정할 때 와이어나 끈 등을 이용하여 고정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콘크리트가 지지 부재(200")에 떨어지더라도 충분히 견딜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마감 덮개
마감 덮개(240)는, [도 2] 및 [도 4]와 같이, 상술한 지지 부재(200")의 탄성 편(260)을 형성한 쪽을 마감하여 이물이나 콘크리트 등이 관 연결구(200)나 이를 통해 단자함 본체(100) 안으로 유입하는 것을 막아준다. 이러한 마감 덮개(240)는, 실질적으로 탄성 편(260)을 가압하여 고정하게 하는 압입 부분(241), 그리고 이 압입 부분(241)의 외주에 형성하되 지지 부재(200")의 크기가 달라지더라도 쉽게 강제로 끼워서 조립할 수 있게 돌출 형성한 적어도 두 개의 가압 돌기(242), 그리고 이 가압 돌기(242)를 형성한 면과 마주하는 면에 형성한 손잡이(243)를 포함한다.
이처럼 이루어진 본 발명은 적어도 두 개 중 선택한 하나의 지지 부재(200")를 체결 부재(200')에 나사 체결하여 사용하고, 이때 체결 부재(200')는 단자함 본체(100)에 형성한 장착 구멍(110)에 끼워서 일정 각도만큼 돌리면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단자함 본체 외부에서도 쉽게 관 연결구를 장착하거나 반대로 쉽게 분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지지 부재(200")는 지름이 다른 관을 끼울 수 있게 적어도 두 개로 구성함으로, 각 지지 부재(200")로도 탄성 편을 통해 어느 정도 지름이 다른 관을 고정할 수도 있고, 지지 부재(200")를 교환함으로써 더 큰 지름의 관도 끼워서 조립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외부에서 쉽게 조립할 수 있는 세대 단자함은, [도 6] 및 [도 7]과 같이, 상술한 [실시예 1]과 같은 구성이나, 체결 부재(200')에 형성한 삽입 구멍(230)에 지름이 다른 관(P, P')을 삽입하더라도 안정적으로 지지 고정할 수 있게 구성한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에, 여기서는 [실시예 1]과 같은 구성에 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차이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2]는, [도 6] 및 [도 7]과 같이, 체결 부재(200')에는 지지 부재(200')를 나사 방식으로 체결할 수 있도록 암나사(231)를 형성한다. 그리고 이 암나사(231)와 미리 정한 간격만큼 떨어져서 끼움 돌기(231)를 형성함으로써, 암나사(231)와 끼움 돌기(231) 사이에 지지 부재(200")가 끼워져서 안정적으로 지지 고정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이 끼움 돌기(231) 안쪽으로는 턱(233)을 형성하되, 이 턱(233)에는 지름이 큰 관(P)의 끝단이 걸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턱(233) 안쪽으로는 사면(234)를 형성함으로써, 지지 부재(200")에 끼운 관(P, P')의 지름이 작아지더라도 작아지는 만큼 사면을 따라 안정적으로 밀착하게 하여 장착 효과를 높일 수 있게 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지름이 큰 관을 거치하여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할 뿐만 아니라 그 안쪽으로 사면을 형성함으로써, 관의 지름이 작아지더라도 이에 맞게 관과 사면 사이의 밀착력을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100: 단자함 본체
110: 장착 구멍
111: 스토퍼
112: 안내 홈
120: 덮개
200: 관 연결구
200': 체결 부재
200": 지지 부재
210: 걸림턱
220: 회전 제한 돌기
230: 삽입 구멍
240: 마감 덮개
250: 삽입 뚜껑
260: 탄성 편
P, P': 관

Claims (5)

  1. 지름이 다른 관(P, P')을 끼워서 사용하는 세대 단자함에서,
    내부가 비어있고 한쪽 면에 덮개(120)를 갖춘 단자함 본체(100), 및 상기 단자함 본체(100)의 서로 마주하는 양쪽 면에 장착하여 관(P)을 끼워서 배관할 수 있도록 장착하는 관 연결구(200)를 포함하되,
    상기 관 연결구(200)는, 길이 방향으로 관통하게 형성하고 외주를 턱지게 형성하되, 상기 단자함 본체(100)와 마주하게 설치하는 턱진 면에는 서로 마주하는 위치에 회전 제한 돌기(220)를 돌출 형성하고, 돌출한 가장자리에는 이 회전 제한 돌기(220)와 교차하게 두 개의 걸림턱(210)을 갖춘 체결 부재(200');, 및 길이 방향으로 관(P)을 끼울 수 있도록 실린더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한쪽은 상기 체결 부재(200')에 나사 체결하고 다른 한쪽은 지름이 다른 관(P, P')을 수납할 수 있도록 가장자리에서 안으로 갈수록 좁아지게 형성한 여러 개의 탄성 편(260)을 갖춘 지지 부재(200")를 포함하고,
    상기 단자함 본체(100)는, 상기 체결 부재(200')를 끼워서 돌림에 따라 체결할 수 있도록 여러 개의 장착 구멍(110)을 관통 형성하되, 상기 장착 구멍(110)에는 내주에 미리 정한 간격을 두고 서로 마주하게 형성하여 상기 회전 제한 돌기(220)가 관통하게 끼워져서 돌리면 걸려서 빠지지 않게 하는 스토퍼(111)와 상기 걸림턱(210)이 끼워져서 안내를 받아 한정된 거리에서 회전하게 하는 안내 홈(11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에서 쉽게 조립할 수 있는 세대 단자함.
  2. 제1항에서,
    상기 지지 부재(200")는,
    지름이 다른 관(P, P')을 끼워서 고정할 수 있도록 지름이 다른 적어도 두 개로 구성하고 그 중 하나를 상기 체결 부재(200')에 체결하여 사용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에서 쉽게 조립할 수 있는 세대 단자함.
  3. 제1항에서,
    상기 체결 부재(200')는,
    상기 장착 구멍(110)에 끼워서 회전하게 하는 중심을 따라 삽입 구멍(230)을 관통 형성하되, 상기 삽입 구멍(230)에는 내주면에 상기 지지 부재(200")를 나사 방식으로 체결할 수 있게 형성한 암나사(231), 상기 지지 부재(200")의 내주면에 끼워지도록 상기 암나사(231)에서 미리 정한 간격만큼 떨어져서 형성한 끼움 돌기(232), 상기 끼움 돌기(232)의 안쪽에 형성하여 지름이 큰 관(P)의 단이 걸쳐지게 하는 턱(233), 그리고, 상기 턱(233)에서 점차 좁아지게 형성하여 지름이 작은 관(P')을 안내할 수 있도록 형성한 사면(23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에서 쉽게 조립할 수 있는 세대 단자함.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지지 부재(200")에는,
    상기 탄성 편(260)을 형성한 쪽으로 끼워서 마감하는 마감 덮개(240)를 갖추되, 상기 마감 덮개(240)는, 한쪽 면에서 돌출하여 상기 지지 부재(200")에 끼워지는 압입 부분(241), 상기 압입 부분(241)의 외주에서 밖으로 돌출한 적어도 두 개의 가압 돌기(242), 그리고 다른 한쪽 면에서 돌출한 손잡이(24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에서 쉽게 조립할 수 있는 세대 단자함.
  5. 제4항에서,
    상기 체결 부재(200')는,
    상기 장착 구멍(110)에 끼우는 한쪽에 끼워서 마감하는 삽입 뚜껑(250)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에서 쉽게 조립할 수 있는 세대 단자함.
KR1020200088290A 2020-07-16 2020-07-16 외부에서 쉽게 조립할 수 있는 세대 단자함 KR1023835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8290A KR102383505B1 (ko) 2020-07-16 2020-07-16 외부에서 쉽게 조립할 수 있는 세대 단자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8290A KR102383505B1 (ko) 2020-07-16 2020-07-16 외부에서 쉽게 조립할 수 있는 세대 단자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9724A KR20220009724A (ko) 2022-01-25
KR102383505B1 true KR102383505B1 (ko) 2022-04-06

Family

ID=800491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8290A KR102383505B1 (ko) 2020-07-16 2020-07-16 외부에서 쉽게 조립할 수 있는 세대 단자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350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5954B1 (ko) 2011-03-10 2012-05-15 남일선 전원 배선용 전선관의 접속 커넥터
KR102087768B1 (ko) 2019-07-31 2020-03-11 (주)비원테크 세대단자함 연결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45097A (ko) 2006-04-24 2006-05-16 (주) 엘콤스 공간확장용 연결박스를 결합한 세대단자함의 구성
KR101158111B1 (ko) 2011-04-11 2012-07-09 (주)경진이엠씨 탈부착이 용이한 단자함 연결용 조립식 가요전선관 커넥터
KR20130015246A (ko) * 2011-08-02 2013-02-13 김경복 배선관 고정용 수지연결구
KR20150010355A (ko) * 2013-07-19 2015-01-28 구성회 배선관용 커넥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5954B1 (ko) 2011-03-10 2012-05-15 남일선 전원 배선용 전선관의 접속 커넥터
KR102087768B1 (ko) 2019-07-31 2020-03-11 (주)비원테크 세대단자함 연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9724A (ko) 2022-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RE47893E1 (en) Conduit connector and methods for making and using the same
US7615714B2 (en) Button style cord connector
US4808774A (en) Strain relief device
US6527302B1 (en) Universal conduit body and system
US5351996A (en) Plumbing system with connector between a flexible pipe conduit laid underneath plaster and a fitting to be arranged outside the plaster
US20070026735A1 (en) Button style cord connector
CA2260538A1 (en) Conduit connector assembly spring clip having scalloped shaped conduit gripping end
KR100854068B1 (ko) 수전박스
AU2006233248A1 (en) Cord seal for swimming pool and spa light niches
KR100673972B1 (ko) 공동주택용 합성수지재 경량 케이블트레이
KR102383505B1 (ko) 외부에서 쉽게 조립할 수 있는 세대 단자함
JP2010281369A (ja) 配線・配管材支持具
WO2010084343A2 (en)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electrical connector housings
JP4805727B2 (ja) ヘッダー用保温部材、およびヘッダー用保温部材の取付方法
KR20100133887A (ko) 배선관연결구
US5901986A (en) Connector for joining protective ducts or hoses for the installation of insulated electrical conductors in an aircraft
KR100613165B1 (ko) 케이블 덕트 연결장치 및 이를 구비한 케이블 덕트
KR200381923Y1 (ko) 로킹너트를 구비한 파이프 연결장치
US6155609A (en) Connector for joining protective ducts of hoses for the installation of insulated electrical conductors in an aircraft
KR100391254B1 (ko) 파형관 연결용 어댑터
DE102020002406B4 (de) Montagevorrichtung für Leuchten
KR200344501Y1 (ko) 배관 체결구
RU2734797C1 (ru) Настенное санитарно-техническое трубопроводное соедин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о встроенным клапаном
KR102299224B1 (ko) 지름이 다른 튜브를 장착할 수 있는 세대단자함용 커넥터
CN210326871U (zh) 电气接线盒及电气管路接头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