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9224B1 - 지름이 다른 튜브를 장착할 수 있는 세대단자함용 커넥터 - Google Patents

지름이 다른 튜브를 장착할 수 있는 세대단자함용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9224B1
KR102299224B1 KR1020200034359A KR20200034359A KR102299224B1 KR 102299224 B1 KR102299224 B1 KR 102299224B1 KR 1020200034359 A KR1020200034359 A KR 1020200034359A KR 20200034359 A KR20200034359 A KR 20200034359A KR 102299224 B1 KR102299224 B1 KR 1022992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box
connector
tube
elastic support
e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43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승호
Original Assignee
(주)비원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비원테크 filed Critical (주)비원테크
Priority to KR10202000343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92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92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92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6Joints for connecting lengths of protective tubing or channels, to each other or to casings, e.g. to distribution boxes; Ensuring electrical continuity in the joint
    • H02G3/0616Joints for connecting tubing to ca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대단자함에 고정한 제1 부재에 각각 다른 지름의 튜브를 끼워서 조립할 수 있는 제2 및 제3 부재를 차례로 끼워서 조립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세대단자함을 조립하는 시공자가 원하는 지름의 튜브를 쉽고 신속하게 조립할 수 있게 하여 시공 효율을 높일 수 있다. 특히, 제2 및 제3 부재에 각각 탄성 지지 편을 형성하여 튜브를 고정할 수 있게 구성함에 따라, 이들 탄성 지지 편의 변형 정도에 따라 제2 및 제3 부재에 각각 끼워서 조립하는 튜브의 지름이 어느 정도 차이가 있더라도 이를 수용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더욱 높 넓은 지름의 튜브를 조립할 수 있다. 또한, 제2 부재 또는 제3 부재를 마감할 수 있는 마감 캡을 갖춤으로써, 외부에 노출되는 제2 부재나 제3 부재를 마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지름이 다른 튜브를 장착할 수 있는 세대단자함용 커넥터{CONNECTOR CAPABLE OF MOUNTING TUGES WITH DIFFERENT DIAMETERS}
본 발명은 지름이 다른 튜브를 장착할 수 있는 세대단자함용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세대단자함에 끼워서 고정한 제1 부재에 차례로 제2 및 제3 부재를 강제로 끼워서 고정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제2 및 제3 부재에 수용할 수 있는 지름이 다른 튜브를 쉽게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때, 제2 및 제3 부재에는 가장자리에서 안으로 갈수록 좁아지게 탄성 지지 편을 돌출 형성하므로, 제2 또는 제3 부재에 각각 끼울 수 있는 튜브의 지름이 어느 정도 지름 차이가 있더라도 쉽고 편리하게 끼워서 고정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에는 한쪽에 들어온 전력이나 데이터 통신을 각 세대나 가구 그리고 방별로 나눠서 전력사용이나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도록 세대단자함을 갖춘다. 특히, 이러한 세대단자함은 전력이나 데이터 통신에 사용하는 케이블 등을 연결할 수 있도록, 아래의 (특허문헌1) 내지 (특허문헌 3)과 같이 커넥터를 사용한다.
(특허문헌 1) 한국공개특허 제10-2008-0092141호
단자함용 엘보형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인입부와 배출부가 형성된 원통형상이며, 단자함의 측벽의 구멍을 관통하여 상기 단자함의 측벽에 끼임 결합되되, 내주면 상부에 상기 인입부로부터 배출부로 이동되는 케이블 또는 관을 안내하는 안내편이 형성되는 엘보형 몸체; 상기 인입부에 결합이 되며, 인입부로 삽입되는 주름관을 고정하는 주름관 고정부; 및 상기 배출부에 결합이 되며, 상기 엘보형 몸체를 상기 단자함에 고정하는 몸체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단자함용 엘보형 커넥터에 의하면, 엘보형 몸체의 내주면 상부에 케이블 또는 관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편을 형성하여 케이블이 상방향으로 뻗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허문헌 2) 한국등록특허 제10-1158111호
탈부착이 용이한 단자함 연결용 조립식 가요전선관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가요전선관과, 일면에 결합공이 관통형성된 배선박스와, 상기 가요전선관이 결합이 되어 상기 배선박스의 결합공에 결합이 되는 가요전선관 커넥터에서, 중앙에 상기 배선박스의 결합공 외면에 대응되어 걸림이 되도록 형성된 플렌지부와; 상기 플렌지부의 상측에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배선박스의 결합공 안지름보다 작은 외경으로 형성되어 관통결합이 되며, 원통 형상의 외주연 일면에 후크출몰공이 관통형성되고, 상기 후크출몰공 반대편 측으로 결합지지공이 형성되며, 상기 후크출몰공 직하 외주연 일면에 해제핀공이 관통형성된 배선박스 결합부와; "C" 형상으로 탄성력이 외연으로 인가되고, 상기 배선박스 결합부의 내주연에 탄성력에 의해 밀착대응되어 결합이 되며, 상기 배선박스 결합부가 상기 배선박스의 결합공에 탈부착결합이 되도록 형성된 탄성탈부착수단과; 상기 플렌지부 하측에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플렌지부에 인접하는 일단에 다단으로 단차 형성된 끼움고정부가 형성되며, 상기 끼움고정부 직하로 가요전선관의 선단이 결합이 되도록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외주연에 수나사가 마련되는 전선관 연결부가 형성된 가요전선관 결합구와; 상기 가요전선관 결합구의 끼움고정부에 끼움 결합이 되도록 내주연 일측 둘레를 따라 끼움고정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가요전선관 결합구에 결합이 된 가요전선관의 선단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보호캡;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허문헌 3) 한국공개특허 제10-2019-0091279호
어댑터 결합 단부와 유닛 결합 단부를 갖는 커넥터 본체와, 그 사이에 커넥터 본체를 유닛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 부재를 포함하는 유닛 장착 가능한 커넥터를 갖는 커넥터 단자가 개시된다. 삽입부는 커넥터 본체를 관통하여 연장되고, 케이블 인터페이스 단부와 유닛 인터페이스 단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내부 보어 및 단부들 사이의 커넥터 본체 인터페이스 부분을 갖는다. 하나 이상의 양면 컨택트가 삽입부에 수용된다. 양면 컨택트는 케이블의 도체에 종결하도록 구성된 케이블 말단 단부인 일단부 및 유닛의 도체를 종결하도록 구성된 유닛 말단 단부인 타단부를 갖는다. 유닛 장착 가능한 커넥터는 케이블 밀봉 어댑터와 정합하도록 되어 있다. 케이블 밀봉 어댑터는 컨택트가 없다.
하지만, 이러한 기존의 커넥터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1) 커넥터에 호스나 튜브를 고정한 다음, 이 커넥터를 세대단자함에 장착하므로, 호스나 튜브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2) 이때, 호스나 튜브에 커넥터를 고정할 때는 나사 체결 방식이나 강제 끼움 방식 등 쉽게 빠지지 않도록 커넥터에 고정한 다음 커넥터를 세대단자함에 장착하므로, 커넥터에서 쉽게 호스나 튜브가 빠지지 않는다. 이는, 호스나 튜브를 교환하거나 다시 장착해야 할 때 커넥터에서 쉽게 호스나 튜브를 분리할 수 없어 시공 효율을 떨어뜨리는 한 가지 요인으로 작용한다.
(3) 또한, 기존 커넥터는 커넥터에 연결해서 사용할 수 있는 호스나 튜브의 지름이 정해져 있으므로, 때에 따라 다른 호스나 튜브를 커넥터에 연결하려고 할 때 연결할 수 없어 시공이 지연될 때가 있다.
(4) 이는, 시공하려고 하는 호스나 튜브를 장착할 수 있는 커넥터로 교환해서 다시 시공하거나, 때에 따라서는 세대단자함 자체를 교체해야 할 때도 발생할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8-0092141호 (공개일: 2008.10.15) 한국등록특허 제10-1158111호 (등록일: 2012.06.13) 한국공개특허 제10-2019-0091279호 (등록일: 2019.08.05)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고려한 것으로, 세대단자함에 고정한 제1 부재에 각각 다른 지름의 튜브를 끼워서 조립할 수 있는 제2 및 제3 부재를 차례로 끼워서 조립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세대단자함을 조립하는 시공자가 원하는 지름의 튜브를 쉽고 신속하게 조립할 수 있게 하여 시공 효율을 높일 수 있게 한 지름이 다른 튜브를 장착할 수 있는 세대단자함용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상기 제2 및 제3 부재에 각각 탄성 지지 편을 형성하여 튜브를 고정할 수 있게 구성함에 따라, 이들 탄성 지지 편의 변형 정도에 따라 제2 및 제3 부재에 각각 끼워서 조립하는 튜브의 지름이 어느 정도 차이가 있더라도 이를 수용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더욱 높 넓은 지름의 튜브를 조립할 수 있게 한 지름이 다른 튜브를 장착할 수 있는 세대단자함용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2 부재와 제3 부재에 끼워서 사용할 수 있는 마감 캡을 갖춤으로써, 사용하지 않거나 사용하다가 더는 사용하지 않는 제2 또는 제3 부재를 마감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안전하면서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 지름이 다른 튜브를 장착할 수 있는 세대단자함용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지름이 다른 튜브를 장착할 수 있는 세대단자함용 커넥는, 세대단자함(B)에 형성한 장착 구멍(H)에 끼워서 조립하는 지름이 다른 튜브를 장착할 수 있는 세대단자함용 커넥터에서, 실린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한쪽을 장착 구멍(H)에 고정하는 제1 부재(100); 실린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한쪽이 상기 제1 부재(100)에 장착하고 다른 한쪽에는 가장자리에서 안으로 향해 길게 형성하되 가장자리에서 안으로 갈수록 중심을 향하도록 돌출 형성한 여러 개의 제1탄성 지지 편(210)을 갖춘 제2 부재(200); 및 상기 제2 부재(200)보다 지름이 작은 실린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한쪽이 상기 제1탄성 지지 편(210)을 갖춘 쪽에 강제로 끼워서 사용하고, 다른 한쪽에는 가장자리에서 안으로 향해 길게 형성하되 가장자리에서 안으로 갈수록 중심을 향하도록 돌출 형성한 여러 개의 제2탄성 지지 편(310)을 갖춘 제3 부재(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제1 부재(100)는, 한쪽에 장착 구멍(H)에 끼워지게 하고, 가장자리에는 가압 돌기(111)를 형성하고 외주에는 자리(112)를 형성하여 그 사에 장착 구멍(H)의 가장자리가 끼이게 하여 고정하는 턱(110); 다른 한쪽의 가장자리에서 바깥으로 향해 서로 나란하게 돌출하고, 상기 제2 부재(200)에 탄성 변형하여 걸리는 적어도 두 개의 탄성 걸림 턱(120); 및 상기 턱(110)을 형성한 쪽을 마감하는 제1마감 캡(1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부재(200)는, 상기 제1탄성 지지 편(210)을 형성하지 않은 쪽에는 상기 제1 부재(100)가 탄성 변형하면서 걸릴 수 있도록 형성한 조립 구멍(2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3 부재(300)에는, 외주에 상기 제3 부재(300)를 제2 부재(200)에 강제로 끼울 때 정해진 길이만큼 끼워지도록 턱(320)을 돌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상기 제2 부재(200) 또는 제3 부재(300)에 끼워서 마감하는 제2마감 캡(400)을 더 추가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지름이 다른 튜브를 장착할 수 있는 세대단자함용 커넥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지름이 다른 제2 및 제3 부재를 차례로 제1 부재에 끼워서 조립하여 튜브를 고정할 수 있으므로, 제2 및 제3 부재의 지름에 따라 튜브 지름이 다른 적어도 2가지 종류의 지름을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2) 이때, 제2 및 제3 부재에는 각각 여러 개의 탄성 지지 편을 이용하여 튜브의 지름에 따라 가변할 수 있게 형성하므로, 제2 및 제3 부재에도 각각 지름이 어느 정도 다른 여러 종류의 튜브를 장착할 수 있어 설치할 수 있는 튜브의 지름 범위를 한층 더 넓힐 수 있다.
(3) 제2 부재와 제3 부재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마감 캡으로 마감할 수 있으므로, 이물 등이 세대단자함 안으로 유입하거나 막히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하고 편리하게 시공할 수 있다.
(4) 제1 내지 제3 부재를 차례로 세대단자함에 강제로 끼우거나 필요 없는 부재를 빼고 세대단자함에 강제로 끼워서 조립하므로, 누구든지 쉽고 편리하게 장착하여 쉽게 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를 세대단자함에 결합하는 순서를 보여주기 위해 차례로 분해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를 세대단자함에 장착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의 구성을 보여주려고 차례로 분해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를 구성하는 제1 부재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으로, (a)는 분해 사시도이고, (b)는 분해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를 구성하는 제2 부재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으로, (a)는 분해 사시도이고, (b)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를 구성하는 제3 부재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으로, (a)는 분해 사시도이고, (b)는 분해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부재를 세대단자함에 장착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부재와 제2 부재를 세대단자함에 장착하여 튜브를 설치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부재 내지 제3 부재를 차례로 세대단자함에 장착하여 튜브를 설치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마감 캡으로 제2 부재와 제3 부재를 각각 마감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례가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구성)
본 발명에 따른 지름이 다른 튜브를 장착할 수 있는 세대단자함용 커넥터는, [도 1] 내지 [도 10]과 같이, 제1, 제2 및 제3 부재(100, 200, 30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3 부재(300)에는 제2마감 캡(400)을 더 추가하여 구성한다.
특히, 상기 제2 부재(200)와 제3 부재(300)는 제1 부재(100)에 차례로 끼워서 조립할 수 있도록 서로 다른 지름으로 제작함으로써, 하나의 커넥터에서 지름이 다른 튜브(T)도 조립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때, 상기 제2 부재(200)와 제3 부재(300)에는, 각각 튜브(T)를 고정하는 수단으로 여러 개의 탄성 지지 편을 갖춤으로써, 이들 탄성 지지 편을 통해서도 어느 정도 지름이 다른 튜브를 고정 지지할 수 있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세대단자함용 커넥터로 고정할 수 있는 지름 대역을 한층 더 높일 수 있게 한 것이다.
이하, 이러한 구성에 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도면부호 "T"와 "T'"는 각각 세대단자함에 전력이나 데이터통신 케이블 등을 시설할 때 사용하는 지름이 다른 튜브나 호스와 같은 구성으로 여기서는 예시적으로 튜브를 예로 들고 있다. 또한, 도면부호 "B"는 세대단자함을, "H"는 세대단자함에 형성하여 튜브를 연결할 때 사용하는 장착 구멍을 각각 나타낸다.
가. 제1 부재
제1 부재(100)는, [도 1] 내지 [도 4]와 같이, 세대단자함(B)에 형성한 장착 구멍(H)에 강제로 끼워서 고정하거나 나사 체결 방식 등을 이용하여 고정한다. 이때, 상기 제1 부재(100)는 실린더 형상으로 형성하고 그 안에 튜브(T) 안에 끼운 전력선이나 통선이 지나갈 수 있게 구성한다.
이러한 제1 부재(100)는, [도 2] 내지 [도 4]와 같이, 턱(110), 탄성 걸림 턱(120), 제1마감 캡(130)을 포함한다.
1. 턱
턱(110)은, [도 2] 및 [도 4]와 같이, 제1 부재(100)를 장착 구멍(H)에 장착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때, 상기 턱(110)에는 가장자리에 가압 돌기(111)를 형성하고 외주에 자리(112)를 형성함으로써, 턱(110)을 장착 구멍(H)에 대고 누르면 가압 돌기(111)가 이 장착 구멍(H)을 타고 넘어가면서 이 가압 돌기(111)와 자리(112) 사이에 제1 부재(100)가 끼이게 하여 일체로 고정하게 한다.
2. 탄성 걸림 턱
탄성 걸림 턱(120)은, [도 2] 내지 [도 4]와 같이, 상술한 제1 부재(100)의 다른 한쪽에서 돌출 형성하여 후술할 제2 부재(200)를 고정할 때 사용하기 위한 턱이다. 이때, 상기 탄성 걸림 턱(120)은 실질적으로 걸림 작용을 하는 걸림 턱 부분이 바깥으로 돌출하게 적어도 두 개를 형성함으로써, 제2 부재(200) 안으로 탄성 걸림 턱(120)이 끼워지게 하여 이들 탄성 걸림 턱(120)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하면서도 제1 부재(100)와 제2 부재(200)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게 구성한다.
3. 제1마감 캡
제1마감 캡(130)은, [도 2] 내지 [도 4]와 같이, 상술한 제1 부재(100)의 한쪽 바람직하게는 턱(110)을 형성한 쪽을 마감할 수 있게 끼우는 캡이다. 이때 제1마감 캡(130)은, [도 7]과 같이 제1 부재(100)만 세대단자함(B)에 장착했을 때 이물 등이 세대단자함(B) 안으로 들어오는 것을 막아주고, [도 8] 및 [도 9]와 같이 튜브(T)를 장착했을 때는 이 튜브(T) 안에 끼울 때 이 전력선이나 데이터 선에 의해 강제로 제1 부재(100)에서 이탈하게 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구성한다.
나. 제2 부재
제2 부재(200)는, [도 1] 내지 [도 3] 및 [도 5]와 같이, 상술한 제1 부재(100)에 강제로 끼워서 조립하고, 특히 지름이 어느 다른 여러 종류의 튜브(T)를 끼울 수 있게 구성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제2 부재(200)에는, [도 1] 내지 [도 3] 및 [도 5]와 같이, 제1탄성 지지 편(210), 그리고 조립 구멍(220)을 포함한다.
1. 제1탄성 지지 편
제1탄성 지지 편(210)은, [도 2]·[도 3] 및 [도 5]와 같이, 실린더 형상으로 이루어진 제2 부재(200)의 한쪽 가장자리에 형성한다. 이때, 상기 제1탄성 지지 편(210)은 제2 부재(200)의 가장자리에 그 안으로 돌출하게 형성하되 안으로 갈수록 점차 중심을 향하도록 형성한 것이다. 이는, 이 제1 부재(200)에 끼워서 고정하는 튜브(T)의 지름이 어느 정도 차이가 있는 것이라도 이 제탄성 지지 편(210)의 탄성 변형을 통해 지지 고정할 수 있게 하고, 또한 한 번 끼운 튜브(T)는 다시는 빠지지 않게 하여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2. 조립 구멍
조립 구멍(220)은, [도 2]·[도 3] 및 [도 5]와 같이, 상술한 제1 부재(100)가 끼워지는 쪽에 형성한다. 이때, 조립 구멍(220)은 상술한 제1 부재(100) 안으로 끼운 탄성 걸림 턱(120)이 끼워져서 걸리게 함으로써, [도 8]과 같이 이들 제1 부재(100)와 제2 부재(200)를 하나로 연결하여 바로 제2 부재(200)에 튜브(T)를 끼워서 시공할 수 있게 하거나, [도 9]와 같이 제2 부재(200)에 제3 부재(300)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조립 구멍(220)은 관통 형성함으로써, 때에 따라 제2 부재(200) 밖에서 조립 구멍(220)에 결합한 탄성 걸림 턱(120)을 강제로 이탈하게 하여 제1 부재(100)에서 제2 부재(200)를 쉽게 분리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다. 제3 부재
제3 부재(300)는, [도 1] 내지 [도 3] 및 [도 6]과 같이, 상술한 제2 부재(200)에 끼워서 사용할 수 있도록 양단을 개방한 실린더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2 부재(200)의 지름보다 작은 실린더 형상으로 제작한다. 특히, 상기 제3 부재(300)는 한쪽을 상술한 제2 부재(200)에 끼워서 조립할 수 있게 하고, 다른 한쪽에는 튜브(T)를 끼워서 조립할 수 있게 구성한다.
이러한 제3 부재(300)는, [도 2]·[도 3] 및 [도 6]과 같이, 제2탄성 지지 편(310), 그리고 턱(320)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1. 제2탄성 지지 편
제2탄성 지지 편(310)은, [도 2]·[도 3] 및 [도 6]과 같이, 상술한 제2 부재(200)보다 작은 지름의 제3 부재(300)의 한쪽에 형성한다. 이러한 제2탄성 지지 편(310)은 상술한 제1탄성 지지 편(210)과 같은 구성이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에, 상기 제2탄성 지지 편(310)은, [도 9]와 같이, 제2 부재(200) 안에 제3 부재(300)를 끼워서 사용하므로, 제2 부재(200)에 끼우는 튜브(T)보다 지름이 작은 튜브(T')를 고정할 수 있게 된다.
2. 턱
턱(320)은, [도 2]·[도 3] 및 [도 6]과 같이, 상술한 제3 부재(300)의 외주에 형성한다. 이때, 턱(320)은 제3 부재(300)의 한쪽을 제2 부재(200)에 끼워서 삽입할 때 어느 정도 길이 이상 들어가지 않게 제한하기 위한 턱이다.
라. 제2마감 캡
제2마감 캡(400)은, [도 1] 내지 [도 3] 및 [도 6]과 같이, 상술한 제3 부재(300)를 마감하여 이물 등이 세대단자함(B) 안으로 들어가는 것을 막아준다.
이때, 상기 제2마감 캡(400)은, [도 10]과 같이, 상술한 제1 및 제2 부재(200, 300) 중 어느 하나에 마감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제1 부재(200)에 형성한 제1탄성 지지 편(210)과 제2 부재(200)에 형성한 제2탄성 지지 편(310)이 어느 정도 지름이 다른 것을 수용할 수 있게 제작함에 따라 하나의 제2마감 캡(400)을 이용하여 사용하지 않는 제2 부재(200)나 제2 부재(200)를 마감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지름을 가진 두 개의 부재를 연결하여 서로 다른 지름의 튜브를 선택적으로 시공할 수 있고, 또한 이들 두 개의 부재가 탄성 지지 편을 통해 각각 어느 정도 다른 지름의 튜브를 수용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 더욱더 폭넓은 지름의 튜브를 시공할 수 있게 된다.
100, 200, 300: 제1, 제2, 제3 부재
110: 턱
111: 가압돌기
112: 자리
120: 탄성 걸림 턱
130: 제1마감 캡
210, 310: 제1탄성 지지 편
220: 조립 구멍
320: 턱
B: 세대단자함
H: 장착 구멍

Claims (5)

  1. 삭제
  2. 세대단자함(B)에 형성한 장착 구멍(H)에 끼워서 조립하는 지름이 다른 튜브를 장착할 수 있는 세대단자함용 커넥터에서,
    실린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한쪽을 장착 구멍(H)에 고정하는 제1 부재(100); 실린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한쪽이 상기 제1 부재(100)에 장착하고 다른 한쪽에는 가장자리에서 안으로 향해 길게 형성하되 가장자리에서 안으로 갈수록 중심을 향하도록 돌출 형성한 여러 개의 제1탄성 지지 편(210)을 갖춘 제2 부재(200); 및 상기 제2 부재(200)보다 지름이 작은 실린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한쪽이 상기 제1탄성 지지 편(210)을 갖춘 쪽에 강제로 끼워서 사용하고, 다른 한쪽에는 가장자리에서 안으로 향해 길게 형성하되 가장자리에서 안으로 갈수록 중심을 향하도록 돌출 형성한 여러 개의 제2탄성 지지 편(310)을 갖춘 제3 부재(300);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부재(100)는,
    한쪽에 장착 구멍(H)에 끼워지게 하고, 가장자리에는 가압 돌기(111)를 형성하고 외주에는 자리(112)를 형성하여 그 사에 장착 구멍(H)의 가장자리가 끼이게 하여 고정하는 턱(110);
    다른 한쪽의 가장자리에서 바깥으로 향해 서로 나란하게 돌출하고, 상기 제2 부재(200)에 탄성 변형하여 걸리는 적어도 두 개의 탄성 걸림 턱(120); 및
    상기 턱(110)을 형성한 쪽을 마감하는 제1마감 캡(1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름이 다른 튜브를 장착할 수 있는 세대단자함용 커넥터.
  3. 제2항에서,
    상기 제2 부재(200)는,
    상기 제1탄성 지지 편(210)을 형성하지 않은 쪽에는 상기 제1 부재(100)가 탄성 변형하면서 걸릴 수 있도록 형성한 조립 구멍(2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름이 다른 튜브를 장착할 수 있는 세대단자함용 커넥터.
  4. 제2항에서,
    상기 제3 부재(300)에는,
    외주에 상기 제3 부재(300)를 제2 부재(200)에 강제로 끼울 때 정해진 길이만큼 끼워지도록 턱(320)을 돌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름이 다른 튜브를 장착할 수 있는 세대단자함용 커넥터.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제2 부재(200) 또는 제3 부재(300)에 끼워서 마감하는 제2마감 캡(400)을 더 추가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름이 다른 튜브를 장착할 수 있는 세대단자함용 커넥터.
KR1020200034359A 2020-03-20 2020-03-20 지름이 다른 튜브를 장착할 수 있는 세대단자함용 커넥터 KR1022992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4359A KR102299224B1 (ko) 2020-03-20 2020-03-20 지름이 다른 튜브를 장착할 수 있는 세대단자함용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4359A KR102299224B1 (ko) 2020-03-20 2020-03-20 지름이 다른 튜브를 장착할 수 있는 세대단자함용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9224B1 true KR102299224B1 (ko) 2021-09-07

Family

ID=77797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4359A KR102299224B1 (ko) 2020-03-20 2020-03-20 지름이 다른 튜브를 장착할 수 있는 세대단자함용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922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92141A (ko) 2007-04-11 2008-10-15 이상석 단자함용 엘보형 커넥터
KR20100124458A (ko) * 2009-05-19 2010-11-29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케이블그랜드용 어댑터
KR101158111B1 (ko) 2011-04-11 2012-07-09 (주)경진이엠씨 탈부착이 용이한 단자함 연결용 조립식 가요전선관 커넥터
KR20190091279A (ko) 2016-11-14 2019-08-05 암페놀 코포레이션 커넥터 단자 및 그것의 조립 방법
KR102087768B1 (ko) * 2019-07-31 2020-03-11 (주)비원테크 세대단자함 연결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92141A (ko) 2007-04-11 2008-10-15 이상석 단자함용 엘보형 커넥터
KR20100124458A (ko) * 2009-05-19 2010-11-29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케이블그랜드용 어댑터
KR101158111B1 (ko) 2011-04-11 2012-07-09 (주)경진이엠씨 탈부착이 용이한 단자함 연결용 조립식 가요전선관 커넥터
KR20190091279A (ko) 2016-11-14 2019-08-05 암페놀 코포레이션 커넥터 단자 및 그것의 조립 방법
KR102087768B1 (ko) * 2019-07-31 2020-03-11 (주)비원테크 세대단자함 연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43432A (en) Snap in cable connector
US20080128164A1 (en) Conduit connector assembly
KR102299224B1 (ko) 지름이 다른 튜브를 장착할 수 있는 세대단자함용 커넥터
KR20050038618A (ko) 유체 시스템용 플러그-인 커플링
CN114518623A (zh) 一种光纤适配器及光纤连接器组件
JP2007306556A (ja) 導波管接合アダプタおよび製造方法
WO2022166981A1 (zh) 适配连接器组件、电连接器插头及电连接器套件
CN114001210A (zh) 一种双流道组件及其双流道软管
CN111123450B (zh) 用于缆线固定头的适配器以及缆线固定头单元
US20040061334A1 (en) Plug-in connector for plumbing fixtures
KR102173220B1 (ko) 접속용 커넥팅 장치
JP6043995B2 (ja) 防水コネクタ
CN212131503U (zh) 一种出水装置的重力配件
KR100795507B1 (ko) 콘넥터가 슬라이드식으로 결합되는 단자함
EP1387128B1 (en) Support for an axial impulse device for gaseous fluids
CN215445495U (zh) 一种弹性抱夹及控制阀
CN215111215U (zh) 一种智能盖板进水管快速拆装装置及其智能马桶
CN215981027U (zh) 一种龙头内管快速固定结构
CN219393804U (zh) 一种新型喷油器接插件尾壳
CN220021658U (zh) 一种太阳能光伏组件小型化连接器
CN113767533A (zh) 连接器一体电线管
CN216789350U (zh) 一种便于拆装的水龙头连接器
CN218601515U (zh) Mpo连接器
CN210920501U (zh) 管接头结构
KR102383505B1 (ko) 외부에서 쉽게 조립할 수 있는 세대 단자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