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5507B1 - 콘넥터가 슬라이드식으로 결합되는 단자함 - Google Patents

콘넥터가 슬라이드식으로 결합되는 단자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5507B1
KR100795507B1 KR1020060131126A KR20060131126A KR100795507B1 KR 100795507 B1 KR100795507 B1 KR 100795507B1 KR 1020060131126 A KR1020060131126 A KR 1020060131126A KR 20060131126 A KR20060131126 A KR 20060131126A KR 100795507 B1 KR100795507 B1 KR 1007955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terminal box
corrugated pipe
guide rib
circumferentia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11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석
Original Assignee
이상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석 filed Critical 이상석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55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55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6Joints for connecting lengths of protective tubing or channels, to each other or to casings, e.g. to distribution boxes; Ensuring electrical continuity in the joint
    • H02G3/0616Joints for connecting tubing to casing
    • H02G3/0691Fixing tubing to casing by auxiliary means co-operating with indentations of the tubing, e.g. with tubing-convolu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73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to apparatus or structures, e.g. to a wall
    • H01R13/74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in openings of a pan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단자함용 콘넥터는 인입구와 배출구가 형성된 원통형상이며, 단자함 측벽(11)에 단자함 구멍(13)이 형성된 단자함 몸체(10);와 상기 단자함 몸체(10)의 내주면 혹은 외주면에 형성되되, 상기 단자함 구멍(13)의 주위에 형성되는 콘넥터 가이드리브(15);와 인입구(21)와 배출구(23)가 형성된 원통형상이며, 상기 인입구(21)의 내주면에는 주름관(30)의 인입시 상기 주름관(30)이 고정되도록 주름관고정부(27)가 후크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23) 외주면에는 돌출부(25)가 형성되어 상기 콘넥터 가이드리브(15)에 안착되는 콘넥터(20); 및 상기 돌출부(25)에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25)가 상기 콘넥터 가이드리브(15)와 접촉되는 방향으로 형성된 오링(2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단자함용 콘넥터에 의하면,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조원가를 낮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콘넥터, 커넥터, 단자함

Description

콘넥터가 슬라이드식으로 결합되는 단자함{.}
도 1은 종래 단자함용 콘넥터의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콘넥터가 단자함에 결합되는 것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단자함 몸체 11: 단자함 측벽
13: 단자함 구멍 15: 콘넥터 가이드리브
20: 콘넥터 21: 인입구
23: 배출구 25: 돌출부
27: 주름관고정부 28: 오링
30: 주름관
단자함이란 일반적으로 전화선을 가입자의 집안으로 인입하기 위한 나선(裸線) 또는 피복선(被服線)을 배선(配線)케이블에 접속할 때, 그 접속점에서 케이블에 장치하는 접속용 상자를 말한다. 그러나 근래에는 상기 전화선이나 케이블 등의 전기통신선로 뿐만 아니라 수도관 등이 접속되는 수도관용 단자함도 사용되고 있다.
한편, 상기 단자함에 인입되는 전기통신용 도선이나 수도관(주로 PCV 계열의 잘 휘어지는)은 자체 보호를 위하여 내부가 중공인 주름관을 통하게 하기도 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단자함이란 주름관에 포함되기만 한다면, 전기통신선로 뿐만 아니라 수도관까지 대상으로 하는 개념이다.
종래의 주름관(주름관 속으로 어떤 도선 기타 관이 통과하든간에)이 인입되는 단자함의 콘넥터의 분리사시도가 도1에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단자함 콘넥터는 상기 도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인입부, 중간부, 배출부로 구성되어 있어서, 상기 세 가지 구성요소를 함께 제작하여야 하므로, 제조비가 증가하고 사용상의 불편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복잡한 구성의 단자함 콘넥터 대신에 간단한 구성의 단자함 및 이에 사용되는 콘넥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콘넥터가 슬라이드식으로 결합되는 단자함은, 단자함 측벽(11)에 단자함 구멍(13)이 형성된 단자함 몸체(10);와 상기 단자함 몸체(10)의 내주면 혹은 외주면에 형성되되, 상기 단자함 구멍(13)의 주위에 형성되는 콘넥터 가이드리브(15);와 인입구(21)와 배출구(23)가 형성된 원통형상이며, 상기 인입구(21)의 내주면에는 주름관(30)의 인입시 상기 주름관(30)을 고정하는 주름관고정부(27)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23)의 외주면에는 돌출부(25)가 형성되어 상기 콘넥터 가이드리브(15)에 안착되는 콘넥터(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돌출부(25)에는 상기 콘넥터 가이드리브(15)와 접촉되는 방향으로 오링(28)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주름관고정부(27)는 후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콘넥터가 단자함에 결합되는 것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넥터가 슬라이드식으로 결합되는 단자함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은 콘넥터가 콘넥터 가이드리브에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넥터가 슬라이드식으로 결합되는 단자함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콘넥터가 슬라이드식으로 결합되는 단자함은 단자함 몸체(10), 콘넥터 가이드리브(15), 콘넥터(20)로 구성된다.
단자함 몸체(10)는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단자함의 몸체라 할 수 있다. 또한, 단자함 측벽(11)에는 도관(선로, 수도관 등)이 단자함 몸체(10)의 내부로 들어올 수 있도록 단자함 구멍(13)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단자함 구멍(13)에는 단자함의 용도에 따라 다양한 방법, 다양한 크기, 다양한 갯수로 만들 수 있다. 한편, 상기 단자함 몸체(10)의 재질 또한 특정재질에 한정할 것은 아니나 제조단가 등을 고려하면 주로 PVC소재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콘넥터 가이드리브(15)는 상기 단자함 몸체(10)에 형성된다. 정확하게는 상기 단자함 몸체(10)의 외벽인 상기 단자함 벽체(11)에 형성되어 상기 단자함 구멍(13)의 주위에 형성되어 후술할 콘넥터(20)를 가이드한다.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콘넥터 가이드리브(15)에는 후술할 콘넥터(20)가 삽입·안착되는데, 상기 콘넥터 가이드리브(15)는 상기 단자함 몸체(10)의 내주면(도 2의 좌측부분) 뿐만 아니라 외주면(도 2의 우측부분)에도 설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내주면에 설치되느냐 혹은 외주면에 설치되느냐에 따라서 후술할 콘넥터(20)의 형상에 다소 차이가 난다.
콘넥터(20)는 대체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는데, 일측에는 인입구(21)가 형성되며, 타측에는 배출구(23)가 형성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원통형상의 콘넥터(20)는 상기 단자함 벽체(11)에 형성된 상기 콘넥터 가이드리브(15)에 끼임결합된다. 한편, 상기 콘넥터(20)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아니하나 제조의 편의 및 제조단가를 위하여 플래스틱 재질이 바람직하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콘넥터(20)는 상기 콘넥터 가이드리브(15)가 상기 단자함 몸체(10)의 내주면에 형성되느냐 또는 외주면에 형성되느냐에 따라 형상에 있어서 다소 차이를 보인다.
먼저, 상기 콘넥터 가이드리브(15)가 상기 단자함 몸체(10)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경우(도 2의 좌측부분)를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콘넥터(20)의 구성은 인입구(21), 배출구(23), 돌출부(25), 주름관고정부(27)를 포함하며, 오링(28)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인입구(21)에는 주름관(30)이 삽입되며, 배출구(23)로는 상기 주름관(30)이 통과되어 상기 단자함 몸체(10)의 내부로 인입된다. 즉, 상기 주름관(30)의 내부를 관통하는 도선(수도관 포함)이 상기 주름관(30)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커넥터(20)의 좌측단인 상기 인입구(21)를 통과한 후, 상기 커넥터(20)의 우측단인 상기 배출구(23)를 통과하게 된다.
돌출부(25)는 상기 콘넥터(20)의 인입구(21) 쪽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콘넥터(20)가 상기 콘넥터 가이드리브(15)에 슬라이드 결합이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주름관고정부(27)는 상기 콘넥터(20)의 인입구(21)측 내주면에 형성된다. 상기 콘넥터(20)의 인입구(21)에는 상기 주름관(30)이 삽입되므로, 상기 인입구(21)의 내주면에는 상기 주름관(30)을 고정시키는 주름관고정부(27)가 형성되어야 하며, 상기 주름관고정부(27)는 간단하게는 후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주름관고정부(27)가 후크로 형성되면, 상기 주름관(30)을 상기 콘넥터(20)의 인입구(21)로 삽입시에는 적은 힘으로도 삽입이 되며, 삽입이 완료된 후에는 상기 주름관(30)이 상기 주름관고정부(27)에 맞물려서 상기 콘넥터(20)에 견고히 고정된다.
오링(28)은 상기 돌출부(25)에 형성되는데, 정확하게는 상기 콘넥터(20)와 콘넥터 가이드리브(15)와의 결합면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면을 긴밀하게 밀폐하는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상기 콘넥터 가이드리브가 상기 단자함 몸체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경우(도 2의 우측부분)를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콘넥터(20)의 구성은 인입구(21), 배출구(23), 돌출부(25), 주름관고정부(27)를 포함하며, 오링(28)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인입구(21)에는 주름관(30)이 삽입되며, 배출구(23)로는 상기 주름관(30)이 통과되어 상기 단자함 몸체(10)의 내부로 인입된다. 즉, 상기 주름관(30)의 내부를 관통하는 도선(수도관 포함)이 상기 주름관(30)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커넥터(20)의 우측단인 상기 인입구(21)를 통과한 후, 상기 커넥터(20)의 좌측단인 배출구(23)를 통과하게 된다.
돌출부(25)는 상기 콘넥터(20)의 배출구(23) 쪽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콘넥터(20)가 상기 콘넥터 가이드리브(15)에 슬라이드 결합이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돌출부(25)가 상기 콘넥터(20)의 배출구(23)쪽에 형성된다는 것이, 전술한 상기 콘넥터 가이드리브(15)가 상기 단자함 몸체(10)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경우와 차이점이 있다.
주름관고정부(27)는 상기 콘넥터(20)의 인입구(21)측 내주면에 형성된다. 상기 콘넥터(20)의 인입구(21)에는 상기 주름관(30)이 삽입되므로, 상기 인입구(21)의 내주면에는 상기 주름관(30)을 고정시키는 주름관고정부(27)가 형성되어야 하며, 상기 주름관고정부(27)는 간단하게는 후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주름관고정부(27)가 후크로 형성되면, 상기 주름관(30)을 상기 콘넥터(20)의 인입구(21)로 삽입시에는 적은 힘으로도 삽입이 되며, 삽입이 완료된 후에는 상기 주름관(30)이 상기 주름관고정부(27)에 맞물려서 상기 콘넥터(20)에 견고히 고정된다.
오링(28)은 상기 돌출부(25)에 형성되는데, 상기 돌출부(25)와 상기 콘넥터 가이드리브(15)의 결합시 틈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콘넥터가 슬라이드식으로 결합되는 단자함은 간단한 구성으로 인하여 제조단가가 저렴하여지며,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단자함 측벽(11)에 단자함 구멍(13)이 형성된 단자함 몸체(10);와
    상기 단자함 몸체(10)의 내주면 혹은 외주면에 형성되되, 상기 단자함 구멍(13)의 주위에 형성되는 콘넥터 가이드리브(15);와
    인입구(21)와 배출구(23)가 형성된 원통형상이며, 상기 인입구(21)의 내주면에는 주름관(30)의 인입시 상기 주름관(30)을 고정하는 주름관고정부(27)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23)의 외주면에는 돌출부(25)가 형성되어 상기 콘넥터 가이드리브(15)에 안착되는 콘넥터(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넥터가 슬라이드식으로 결합되는 단자함.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25)에는 상기 콘넥터 가이드리브(15)와 접촉되는 방향으로 오링(28)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넥터가 슬라이드식으로 결합되는 단자함.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주름관고정부(27)는 후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넥터가 슬라이드식으로 결합되는 단자함.
KR1020060131126A 2006-12-05 2006-12-20 콘넥터가 슬라이드식으로 결합되는 단자함 KR1007955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2333 2006-12-05
KR20060122333 2006-12-0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5507B1 true KR100795507B1 (ko) 2008-01-16

Family

ID=39218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1126A KR100795507B1 (ko) 2006-12-05 2006-12-20 콘넥터가 슬라이드식으로 결합되는 단자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550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1986B1 (ko) 2011-11-22 2012-02-24 (주)부건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물용 전기 단자함
KR200458682Y1 (ko) 2010-04-14 2012-03-06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정션 박스의 커넥터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1980U (ko) * 1999-06-30 2001-01-26 윤종용 세탁기의 급수호스 커플러 구조
KR200433370Y1 (ko) 2006-09-28 2006-12-11 김근수 단자함의 전선인입구용 고정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1980U (ko) * 1999-06-30 2001-01-26 윤종용 세탁기의 급수호스 커플러 구조
KR200433370Y1 (ko) 2006-09-28 2006-12-11 김근수 단자함의 전선인입구용 고정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8682Y1 (ko) 2010-04-14 2012-03-06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정션 박스의 커넥터 장치
KR101111986B1 (ko) 2011-11-22 2012-02-24 (주)부건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물용 전기 단자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24650B2 (ja) 電気通信分野におけるコネクタに取り付け可能なシールド、コネクタ及び少なくとも1つのシールドの組み合わせ、並びにコネクタを遮蔽する方法
US8764485B2 (en) Electrical plug connector
US7371114B2 (en) Resilient plug and a watertight connector
US7285003B2 (en) Harsh environment connector including end cap and latching features and associated methods
US9645341B2 (en) Cable assembly with connector having twist ability for aligning mating features
CN102474044A (zh) 连接器
CN100483849C (zh) 用于编织式同轴电缆的压缩式连接器
KR100795507B1 (ko) 콘넥터가 슬라이드식으로 결합되는 단자함
CN208401204U (zh) 电连接器
KR101095471B1 (ko) 케이블접속구조체
JP5803118B2 (ja) 細径ケーブルハーネス
CN213151206U (zh) 弯头连接器
CN212542816U (zh) 一种防拉拽弯式出线水下密封插头
CN1322835C (zh) 电动吸尘器用软管
WO2012105075A1 (ja) 細径同軸ケーブルハーネス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80092141A (ko) 단자함용 엘보형 커넥터
CN216015794U (zh) 新型缸内喷油对接插接器保护外壳
CN110854616A (zh) 一种防水电连接器
KR20080052117A (ko) 단자함용 원터치 콘넥터
CN220934468U (zh) 一种防水堵头结构
CN219419628U (zh) 一种防水电连接器
CN215451878U (zh) 音频连接转换插头
CN217691702U (zh) 一种双向连接器
CN212659747U (zh) 28号壳体4芯3出线式电连接器
JP4547654B2 (ja) ケーブル引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8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