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8682Y1 - 정션 박스의 커넥터 장치 - Google Patents

정션 박스의 커넥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8682Y1
KR200458682Y1 KR2020100003910U KR20100003910U KR200458682Y1 KR 200458682 Y1 KR200458682 Y1 KR 200458682Y1 KR 2020100003910 U KR2020100003910 U KR 2020100003910U KR 20100003910 U KR20100003910 U KR 20100003910U KR 200458682 Y1 KR200458682 Y1 KR 2004586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fastening
junction box
present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39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9948U (ko
Inventor
장영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20201000039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8682Y1/ko
Publication of KR2011000994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994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86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868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16Fastening of connecting parts to base or case; Insulating connecting parts from base or ca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9/00Electrical connectors
    • Y10S439/93Coupling part wherein contact is comprised of a wire or brus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정션 박스의 커넥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정션 박스의 커넥터 장치는 퓨즈, 릴레이 등의 다양한 부품들을 회로간 조합하여 내장시키고, 와이어 하네스의 배전기능을 가지는 정션박스부, 정션박스의 일측면에 배치되어 인라인 커넥터를 체결시키기 위해 돌출되는 커넥터 체결부 및 커넥터 체결부가 배치되는 정션박스의 일측면에 배치되되 인라인 커넥터가 삽입되는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인 커넥터 체결부의 양측과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돌출되는 체결완충부;를 포함하며, 상기 체결완충부의 일부는 상기 커넥터 체결부와 연결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정션 박스의 커넥터 장치{Connector Unit of Junction Box}
본 고안의 일실시 예는 정션 박스의 커넥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정션박스에 W/H ITEM간 연결을 해주는 커넥터(이하, 인라인 커넥터)를 체결하는 마운팅부 구조는 물류 이동 또는 인라인 커넥터 체결 작업 시 외부 충격에 의하여 파손이 되어 큰 손실비용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커넥터 체결부가 파손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정션 박스의 커넥터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정션 박스의 커넥터 장치는 퓨즈, 릴레이 등의 다양한 부품들을 회로간 조합하여 내장시키고, 와이어 하네스의 배전기능을 가지는 정션박스부, 정션박스의 일측면에 배치되어 인라인 커넥터를 체결시키기 위해 돌출되는 커넥터 체결부 및 커넥터 체결부가 배치되는 정션박스의 일측면에 배치되되 인라인 커넥터가 삽입되는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인 커넥터 체결부의 양측과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돌출되는 체결완충부;를 포함하며, 상기 체결완충부의 일부는 상기 커넥터 체결부와 연결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정션박스부로부터 돌출되는 체결완충부의 높이는 정션박스부로부터 돌출되는 커넥터 체결부의 높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라 정션 박스의 커넥터 장치는 체결완충부를 형성함으로써,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커넥터 체결부가 파손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라 정션 박스의 커넥터 장치는 체결완충부를 형성함으로써,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커넥터 체결부가 파손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여 손실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라 정션 박스의 커넥터 장치는 체결완충부를 형성함으로써,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커넥터 체결부가 파손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정션 박스의 커넥터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체결부와 체결완충부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체결완충부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정션 박스의 커넥터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체결부와 체결완충부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1 및 도 2를 살펴보면,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정션 박스의 커넥터 장치는 정션박스부(100), 커넥터 체결부(160a,160b) 및 체결완충부(170a,170b)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정션박스부(100)는 퓨즈(140, Fuse), 릴레이(Relay) 등의 다양한 부품들을 회로간 조합하여 내장시키고, 와이어 하네스의 배전기능을 가지는 것이다. 이러한 정션박스부(100)는 정션박스부(100)를 차체에 고정시키는 차체고정부(110), 회로의 입력 및 출력 터미널을 작업성 또는 용도에 맞도록 구성된 입출력 커넥터(120), 소전류를 이용하여, 대전류 출력을 발생시키는 전자식 스위치인 릴레이(Relay), 차량의 장기간 대기시, 상시 전원을 분리시켜 배터리의 방전을 방지하기 위한 파워 커넥터(130), 해당용량보다 높은 전류가 흐를 때 차단시켜주는 역할을 하는 퓨즈(140, Fus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 체결부(160a,160b)는 정션박스부(100)의 일측면에 배치되어 인라인 커넥터(150a,150b)를 체결시키기 위해 돌출되는 것이다. 이러한 커넥터 체결부(160a,160b)는 인라인 커넥터(150a,150b)가 정션박스부(100)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소정의 높이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커넥터 체결부(160a,160b)는 인라인 커넥터(150a,150b)가 용이하게 체결되어 장착될 수 있도록 오목한 홈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오목한 홈은 도 2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체결완충부(170a,170b)는 커넥터 체결부(160a,160b)가 배치되는 정션박스부(100)의 일측면에 배치되되 인라인 커넥터(150a,150b)가 삽입되는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인 커넥터 체결부(160a,160b)의 양측과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돌출되는 것이다. 이러한 체결완충부(170a,170b)가 커넥터 체결부(160a,160b)의 양측과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돌출됨으로써,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커넥터 체결부(160a,160b)가 파손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정션박스부(100)로부터 돌출되는 체결완충부(170a,170b)의 높이는 정션박스부(100)로부터 돌출되는 커넥터 체결부(160a,160b)의 높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이다. 이와 같이, 체결완충부(170a,170b)의 높이가 커넥터 체결부(160a,160b)의 높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됨으로써, 물류이동 또는 인라인 커넥터(150a,150b) 체결 작업시 외부 충격에 의하여 커넥터 체결부(160a,160b)가 파손되는 것을 미연에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즉, 체결완충부(170a,170b)가 커넥터 체결부(160a,160b)와 둘러싸며 형성됨으로써,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커넥터 체결부(160a,160b) 대신 파손되기 때문에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커넥터 체결부(160a,160b)를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체결완충부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3을 살펴보면,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체결완충부(170a,170b)의 다양한 형상을 나타낸 것이다.
커넥터 체결부(160a,160b)가 배치되는 정션박스부(100)의 일측면에 배치되되 인라인 커넥터(150a,150b)가 삽입되는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인 커넥터 체결부(160a,160b)의 양측과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돌출되는 체결완충부(170a,170b)는 다양한 형상으로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a) 내지 (e) 바와 같이, 체결완충부(170a,170b)는 커넥터 체결부(160a,160b)와 소정의 간격을 유지할 수도 있고, 체결완충부(170a,170b)의 일부는 커넥터 체결부(160a,160b)와 연결되어 형성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다양한 체결완충부(170a,170b)를 형성함으로써, 사용자는 주변환경 등에 맞게 체결완충부(170a,170b)를 적용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물류이동 또는 인라인 커넥터(150a,150b) 체결 작업시 외부 충격에 의하여 커넥터 체결부(160a,160b)가 파손되는 것을 미연에 더욱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정션박스부 160a,160b: 커넥터 체결부
170a,170b: 체결완충부

Claims (3)

  1. 퓨즈, 릴레이 등의 다양한 부품들을 회로간 조합하여 내장시키고, 와이어 하네스의 배전기능을 가지는 정션박스부;
    상기 정션박스부의 일측면에 배치되어 인라인 커넥터를 체결시키기 위해 돌출되는 커넥터 체결부; 및
    상기 커넥터 체결부가 배치되는 상기 정션박스부의 일측면에 배치되되 상기 인라인 커넥터가 삽입되는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인 상기 커넥터 체결부의 양측과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돌출되는 체결완충부;를 포함하며,
    상기 체결완충부의 일부는 상기 커넥터 체결부와 연결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션 박스의 커넥터 장치.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정션박스부로부터 돌출되는 상기 체결완충부의 높이는 상기 정션박스부로부터 돌출되는 상기 커넥터 체결부의 높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정션 박스의 커넥터 장치.
KR2020100003910U 2010-04-14 2010-04-14 정션 박스의 커넥터 장치 KR2004586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3910U KR200458682Y1 (ko) 2010-04-14 2010-04-14 정션 박스의 커넥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3910U KR200458682Y1 (ko) 2010-04-14 2010-04-14 정션 박스의 커넥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9948U KR20110009948U (ko) 2011-10-20
KR200458682Y1 true KR200458682Y1 (ko) 2012-03-06

Family

ID=728867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3910U KR200458682Y1 (ko) 2010-04-14 2010-04-14 정션 박스의 커넥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8682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04625A (ja) 2002-04-08 2003-10-24 Sumitomo Wiring Syst Ltd 電気接続箱
KR100744808B1 (ko) * 2006-05-17 2007-08-01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정션박스의 터미널 조립구조 및 그 방법
KR100795507B1 (ko) 2006-12-05 2008-01-16 이상석 콘넥터가 슬라이드식으로 결합되는 단자함
KR200439559Y1 (ko) 2007-08-21 2008-04-2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정션박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04625A (ja) 2002-04-08 2003-10-24 Sumitomo Wiring Syst Ltd 電気接続箱
KR100744808B1 (ko) * 2006-05-17 2007-08-01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정션박스의 터미널 조립구조 및 그 방법
KR100795507B1 (ko) 2006-12-05 2008-01-16 이상석 콘넥터가 슬라이드식으로 결합되는 단자함
KR200439559Y1 (ko) 2007-08-21 2008-04-2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정션박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9948U (ko) 2011-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486941B (zh) 电气接线箱和线束
JP2013178969A (ja) バスバーモジュールのケースを覆う絶縁カバー
JP4908621B1 (ja) 電子機器
JP2014108038A (ja) ケース
KR102042863B1 (ko) 중계용 커넥터
EP2826673B1 (en) Vehicle electrical center
US9972823B2 (en) Fusible link
KR200458682Y1 (ko) 정션 박스의 커넥터 장치
JP2019079726A (ja) 電圧検出装置
US20150155125A1 (en) Fuse unit
KR100679308B1 (ko) 방재형 분전반
KR101483768B1 (ko) 자동차용 박스
CN202310330U (zh) 汽车仪表盘电器盒
CN204834977U (zh) 一种抗冲击弹片连接器
JP6009285B2 (ja) バスバ
JP6029527B2 (ja) ケースとカバーの結合構造
CN203617235U (zh) 一种汽车及其机舱保险盒总成
CN201689857U (zh) 用于直插式电器盒的备用保险结构
KR20160002187U (ko) 조인트 커넥터 및 어스 터미널 결합장치
CN204102841U (zh) 一种电器盒备用mini熔断器插座结构
CN206485292U (zh) 一种点火开关线路结构
KR200455336Y1 (ko) 퓨즈 박스 장치
KR20130003867U (ko) 점핑기능을 가지는 퓨즈
JP6029089B2 (ja) 電気接続箱
KR101142201B1 (ko) 정션 박스의 중계 단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