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3867U - 점핑기능을 가지는 퓨즈 - Google Patents

점핑기능을 가지는 퓨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3867U
KR20130003867U KR2020110011295U KR20110011295U KR20130003867U KR 20130003867 U KR20130003867 U KR 20130003867U KR 2020110011295 U KR2020110011295 U KR 2020110011295U KR 20110011295 U KR20110011295 U KR 20110011295U KR 20130003867 U KR20130003867 U KR 2013000386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fuse
housing
bus bar
jum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112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재기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100112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03867U/ko
Publication of KR2013000386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3867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241Structural association of a fuse and another component or apparatu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4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 H01H85/041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characterised by the ty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20Bases for supporting the fuse; Separate parts thereof
    • H01H85/2045Mounting means or insulating parts of the base, e.g. covers, ca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241Structural association of a fuse and another component or apparatus
    • H01H2085/025Structural association with a binding post of a storage batte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F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점핑기능을 가지는 퓨즈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퓨즈는 하우징(50)이 외관을 형성하고, 상기 하우징(50)의 내부에는 버스바(52)가 일체로 설치된다. 상기 하우징(50)에는 제1단자부(54), 제2단자부(56) 그리고 용단공간(58)이 형성되어 상기 버스바(52)에 형성된 제1연결단자(60), 제2연결단자(62) 그리고 용단부(64)가 각각 위치된다. 상기 버스바(52)의 일측에서 연장되어 상기 하우징(50)의 외부로 노출되게 점퍼단자(70)가 구비되는데, 상기 점퍼단자(70)는 버스바(52)에 연결되는 연결부(72)와 상기 연결부(72)의 선단에서 절곡되어 연결부(72)와 소정 간격을 두고 마주보는 변형부(74)로 구성된다. 상기 연결부(72)와 변형부(74)에는 각각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걸이요철(78)이 형성된다. 본 고안의 퓨즈는 과전류 차단기능과 배터리 충전기능을 겸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점핑기능을 가지는 퓨즈{Fuse having jumping function}
본 고안은 점핑기능을 가지는 퓨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점핑기능을 수행하는 점퍼단자를 구비하는 점핑기능을 가지는 퓨즈에 관한 것이다.
퓨즈는 과전류가 흐를 때 용단부가 녹아 끊어지면서 과전류를 차단하여 퓨즈와 연결된 전장부품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자동차의 배터리에서 전장부품으로 전원이 공급되는 경로상에 퓨즈가 설치되어 사용된다.
상기 퓨즈는 절연성 합성수지 재질로 만들어진 하우징 내에 연결단자들과 용단부가 형성된 버스바가 구비되어 구성된다. 상기 버스바는 도전성 금속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이다.
종래에는 상기 배터리에 있는 배터리포스트에 배터리단자가 연결되고, 이 배터리단자에 연결버스바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버스바에 퓨즈가 연결되어 배터리와 퓨즈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연결버스바에는 또한 상기 배터리를 외부의 다른 배터리를 사용하여 충전하거나, 외부의 다른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점퍼케이블을 연결하는 점퍼단자가 구비된다.
하지만, 이와 같이 배터리단자와 연결버스바를 사용하여 퓨즈를 배터리에 연결하게 되면, 전체 부품수가 늘어나고 연결작업이 길고 매우 번거롭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퓨즈를 배터리에 직접 연결하면서도 점퍼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퓨즈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절연성 재질로 만들어지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고 제1단자, 제2단자 그리고 상기 제1단자와 제2단자의 사이에 위치되는 용단부를 구비하는 버스바와, 상기 버스바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어 구비되고 점핑케이블의 집게가 결합되는 점퍼단자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제1단자와 제2단자가 외부로 노출되게 제1단자부와 제2단자부가 형성되고 상기 용단부가 위치되는 용단공간이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상기 점퍼단자는 상기 제1단자와 용단부의 사이에 해당되는 위치에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점퍼단자는 상기 버스바와 연결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선단에서 절곡되어 상기 연결부와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마주보게 형성되는 변형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와 변형부에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걸이요철이 형성된다.
본 고안에 의한 퓨즈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고안의 퓨즈에는 배터리를 충전하거나 다른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는 점퍼단자가 구비되어 있어, 배터리에 퓨즈를 직접 연결하여 사용하면서도 점퍼기능을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전체적으로 부품수를 줄이고 신속하게 퓨즈를 배터리에 장착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에서는 또한 점퍼단자에 걸이요철을 형성하고 연결부와 변형부가 변형공간을 사이에 두고 마주보도록 되어 있어 점퍼케이블의 집게가 보다 견고하게 연결되어 점퍼기능의 보다 원활하게 수행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퓨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 실시예의 저면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 실시예의 요부 구성을 보인 단면사시도.
도 5는 본 고안 실시예의 점퍼단자에 점프케이블의 집게를 연결한 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점핑기능을 가지는 퓨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고안의 퓨즈는 하우징(50)이 외관과 골격을 구성한다. 상기 하우징(50)은 절연성 재질로 만들어지는데, 일반적으로 합성수지가 사용된다. 상기 하우징(50)의 내부에는 도전성 재질의 버스바(52)가 인서트되어 구비된다. 즉, 상기 버스바(52)는 상기 하우징(50) 내에 일체로 설치된다.
상기 하우징(50)에는 상기 버스바(52)가 드러나도록 제1단자부(54)와 제2단자부(56) 그리고 용단공간(58)이 형성된다. 상기 제1단자부(54)와 제2단자부(56)는 하우징(50)의 적어도 일면으로 버스바(52)가 노출되게 형성되면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단자부(54)는 하우징(50)의 상하면으로 모두 노출되어 있고, 상기 제2단자부(56)는 상면으로만 노출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용단공간(58)은 상기 하우징(50)을 상하로 관통하는 공간인데, 이에는 별도의 투명한 커버(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되어 내부를 외부와 차폐하면서도 내부를 볼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1단자부(54)로 드러난 상기 버스바(52)는 제1연결단자(60)를 형성한다. 상기 제1연결단자(60)는 배터리측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데, 예를 들면 배터리포스트(도시되지 않음)가 상기 제1연결단자(60)에 형성된 제1관통공(60')에 설치되어 너트로 결합된다.
상기 제2단자부(56)로 드러나 상기 버스바(52)는 제2연결단자(62)를 구성한다. 상기 제2연결단자(62)는 전장부품측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데, 여기에는 제2관통공(62')이 형성되어 있고, 이에 터미널포스트(63)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터미널포스트(63)에 상대 터미널이 결합되어 전기적 연결을 수행한다.
상기 용단공간(58)으로 드러난 버스바(52)의 부분은 용단부(64)를 형성한다. 상기 용단부(64)는 과전류가 흐를 때, 녹아서 끊어지는 부분으로 폭이 좁게 형성되어 있고, 대개 저융점금속이 도포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버스바(52)의 구성을 다시 살펴보면, 상기 제1연결단자(60)가 일단부에 있고, 상기 용단부(64)를 중심으로 타단부에 상기 제2연결단자(62)가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하우징(50)의 일측 외면에는 다수개의 방열핀(6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방열핀(66)은 상기 하우징(50) 자체에 형성된 것으로, 판상으로 형성되어 다수개가 나란히 배치된다. 이와 같이 방열핀(66)이 배치되는 것은 주변의 공기와의 접촉면적을 최대로 만들어 사용중에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잘 배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1연결단자(60)와 용단부(64)의 사이에 해당되는 버스바(52)의 일측에는 점퍼단자(70)가 구비된다. 상기 점퍼단자(70)는 상기 하우징(50)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방열핀(66)이 배치된 영역에 인접한 하우징(50)의 일측 가장자리에 형성된다. 이는 상기 방열핀(66)을 사이에 두고 상기 터미널포스트(63)의 반대쪽이다. 이와 같이 점퍼단자(70)를 배치하는 것은 상기 터미널포스트(63)측과의 전기적 절연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점퍼단자(70)는 상기 버스바(52)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버스바(52)에 연결되는 연결부(72)와 상기 연결부(72)의 단부에서 절곡되어 상기 연결부(72)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마주보는 변형부(74)로 구성된다. 상기 연결부(72)와 변형부(74) 사이의 간격은 변형공간(76)을 형성한다. 즉, 상기 연결부(72)와 변형부(74)의 사이 간격이 좁아지게 상기 변형부(74)가 탄성변형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72)와 변형부(74)에는 걸이요철(78)이 형성된다. 상기 걸이요철(78)은 그 단면이 마치 톱니형상으로 된다. 이와 같은 걸이요철(78)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점퍼케이블의 집게(80)가 점퍼단자(70)에 결합된 상태에서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걸이요철(78)은 상기 연결부(72)와 변형부(74)에 있는 것이 서로 대칭이 되도록 만들어진다. 참고로 상기 걸이요철(78)은 반드시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같은 모양을 가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기 점퍼단자(70)의 표면에 마찰력을 보다 크게 할 수 있도록 작은 돌기가 다수개 돌출되게 할 수도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점퍼기능을 가지는 퓨즈가 사용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의 퓨즈는 일반적으로 배터리의 배터리포스트에 상기 제1연결단자(60)가 직접 연결되도록 하여 사용된다. 따라서, 종래에 상기 배터리포스트와 퓨즈 사이에 있던 연결버스바를 없애고, 상기 연결버스바에 있는 점퍼단자를 퓨즈의 내부에 있는 버스바(52)에 일체로 형성하였다.
따라서, 배터리에 있는 배터리포스트를 상기 제1연결단자(60)의 관통공(60')을 관통시켜 설치하고, 배터리포스트에 너트를 체결하여 상기 배터리포스트와 제1연결단자(60)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제2연결단자(62)의 터미널포스트(63)에는 전장부품측과 연결되어 있는 전선의 끝부분에 있는 터미널이 결합된다. 상기 터미널은 일반적으로 선단에 상기 터미널포스트(63)과 관통하는 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터미널과 터미널포스트(63)의 결합도 상기 터미널포스트(63)에 너트를 체결함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퓨즈를 설치하면, 사용할 준비가 된 것이다. 사용시에는 상기 배터리에서 제공되는 전원이 상기 제1연결단자(60)를 통해 들어와서, 상기 용단부(64)와 제2연결단자(62)를 지나 전장부품으로 공급된다. 이와 같이 하여 사용하는 과정에서 상기 전장부품에 과부하가 걸려 과전류가 상기 용단부(64)를 흐르게 되면, 상기 용단부(64)가 녹아서 끊어져, 상기 배터리로부터 상기 전장부품으로의 전원공급이 차단된다. 이와 같이 하여 상기 전장부품이 과부하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본 고안의 퓨즈의 주목적이다.
그리고, 본 고안의 퓨즈는 점핑기능을 더 가지는데, 상기 점퍼단자(70)가 그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퓨즈가 설치된 차량의 배터리가 방전이 되었다든지, 주변의 다른 차량의 배터리가 방전된 경우에 배터리를 임시로 충전하기 위해 상기 점퍼단자(70)가 사용되는 것이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점퍼단자(70)에 점퍼케이블에 있는 집게(80)를 물린다. 이때, 상기 점퍼단자(70)의 연결부(72)와 변형부(74)가 동시에 집게(80)에 의해 물리면서 상기 변형공간(76)이 좁아지게 상기 변형부(74)가 탄성변형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변형부(74)가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기 위해 복원력을 작용하면서, 상기 연결부(72)와 변형부(74)가 상기 집게(80)에 보다 밀착된다.
그리고, 상기 점퍼단자(70)의 연결부(72)와 변형부(74)의 표면에 형성된 걸이요철(78)은 상기 집게(80)가 쉽게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하는 역할을 하여 점퍼단자(70)와 집게(80)의 결합상태를 견고하게 유지되도록 한다.
물론, 점핑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하나의 점프케이블만을 사용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에서는 편의상 점핑기능을 위한 +,-점프케이블 모두를 연결하는 것에 대한 설명은 생략했다.
상기와 같이 점퍼단자(70)에 집게(80)를 연결하고, 상기 집게(80)가 있는 점프케이블의 타단부를 또 다른 차량의 배터리에 연결하면 방전된 배터리의 충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하우징(50)의 외면에 형성된 방열핀(66)은 상기 버스바(52)에서 퓨즈의 사용중에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방출하는 역할을 하는데, 상기 방열핀(66)은 다수개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어 공기와의 접촉면적이 상대적으로 넓어지므로, 발생되는 열을 보다 잘 배출할 수 있다.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50: 하우징 52: 버스바
54: 제1단자부 56: 제2단자부
58: 용단공간 60: 제1연결단자
60': 제1관통공 62: 제2연결단자
62': 제2관통공 63: 터미널포스트
64: 용단부 66: 방열핀
70: 점퍼단자 72: 연결부
74: 변형부 76: 변형공간
78: 걸이요철 80: 집게

Claims (4)

  1. 절연성 재질로 만들어지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고 제1단자, 제2단자 그리고 상기 제1단자와 제2단자의 사이에 위치되는 용단부를 구비하는 버스바와,
    상기 버스바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어 구비되고 점핑케이블의 집게가 결합되는 점퍼단자를 포함하는 점핑기능을 가지는 퓨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제1단자와 제2단자가 외부로 노출되게 제1단자부와 제2단자부가 형성되고 상기 용단부가 위치되는 용단공간이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점핑기능을 가지는 퓨즈.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점퍼단자는 상기 제1단자와 용단부의 사이에 해당되는 위치에 일체로 형성되는 점핑기능을 가지는 퓨즈.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점퍼단자는 상기 버스바와 연결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선단에서 절곡되어 상기 연결부와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마주보게 형성되는 변형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와 변형부에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걸이요철이 형성되는 점핑기능을 가지는 퓨즈.
KR2020110011295U 2011-12-20 2011-12-20 점핑기능을 가지는 퓨즈 KR2013000386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11295U KR20130003867U (ko) 2011-12-20 2011-12-20 점핑기능을 가지는 퓨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11295U KR20130003867U (ko) 2011-12-20 2011-12-20 점핑기능을 가지는 퓨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3867U true KR20130003867U (ko) 2013-06-28

Family

ID=524297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11295U KR20130003867U (ko) 2011-12-20 2011-12-20 점핑기능을 가지는 퓨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03867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0786U (ko) 2015-08-21 2017-03-02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퓨즈
KR20170071242A (ko) * 2015-12-15 2017-06-23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배터리 부착형 퓨즈유니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0786U (ko) 2015-08-21 2017-03-02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퓨즈
KR20170071242A (ko) * 2015-12-15 2017-06-23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배터리 부착형 퓨즈유니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21367B2 (en) Fuse unit
JP5786096B2 (ja) ヒューズアセンブリ
EP2572366B1 (en) Fuse assembly
US10651639B2 (en) Electrical junction box provided with relief terminal portion
JP2015210912A (ja) 配線モジュール、配線モジュール中間体、及び配線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JP2014022303A (ja) ヒューズユニット
KR20120059135A (ko) 퓨즈용 버스바 및 그 용단부 제조방법
WO2014024794A1 (ja) ヒューズユニット
US9508518B2 (en) Fuse unit
KR20130003867U (ko) 점핑기능을 가지는 퓨즈
WO2011096496A1 (ja) ヒュージブルリンクユニット
JP5282897B2 (ja) ヒューズ
JP2010277985A (ja) ヒュージブルリンクユニット
JP5418846B2 (ja) 過電流遮断素子付き端子
JP5514498B2 (ja) ヒュージブルリンクユニット
KR101979226B1 (ko) 멀티퓨즈용 버스바
WO2011155369A1 (ja) 電池接続プレート
JP2021012802A (ja) 接続モジュール
KR102098704B1 (ko) 퓨즈
KR20140083829A (ko) 퓨즈
JP5753426B2 (ja) ヒューズユニット
JP6057965B2 (ja) ヒューズユニット及びヒューズユニット製造方法
JP6117162B2 (ja) バッテリ端子
KR20160020939A (ko) 배터리 부착형 퓨즈유니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