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5143B1 - 벽체매립형 수전장치 - Google Patents

벽체매립형 수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5143B1
KR101915143B1 KR1020170050385A KR20170050385A KR101915143B1 KR 101915143 B1 KR101915143 B1 KR 101915143B1 KR 1020170050385 A KR1020170050385 A KR 1020170050385A KR 20170050385 A KR20170050385 A KR 20170050385A KR 101915143 B1 KR101915143 B1 KR 1019151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ptacle
cover
opening
water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03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7372A (ko
Inventor
서영호
곽국현
류희원
Original Assignee
서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영호 filed Critical 서영호
Priority to KR10201700503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5143B1/ko
Publication of KR201801173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73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51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51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2Arrangements on taps for wash-basins or baths for connecting to the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21Devices for positioning or connecting of water supply 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2001/028Alignment aids for plumbing install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벽체매립형 수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시공 건축물의 벽체에 매립되며, 일면이 개구된 수전내함; 중앙에 제1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전내함의 개구된 상기 일면에 결합되는 수전내함 속커버; 중앙에 제2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제2 개구부가 상기 제1 개구부가 연통되도록 상기 수전내함 속커버와 결합되되, 상하방향 및 좌우방향으로 설정 거리 이동하여 결합되는 베이스커버; 상기 수전내함의 내부에 설치 고정되되, 일측은 상기 베이스커버와 결합되어 상기 냉온수전과 연결되는 수전연결유닛; 및 상기 베이스커버와 결합되어 상기 제2 개구부를 차폐하되, 수요처의 냉온수전과 상기 수전연결유닛을 연결하는 마감커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벽체매립형 수전장치{Wall water panel}
본 발명은 벽체매립형 수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축구조물의 시공 시 위치 조정이 가능하여 설치가 용이하고 누수검사 공정단축과 누수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벽체매립형 수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주택, 아파트, 오피스텔, 호텔 등의 주거 공간을 신축이나 증축하는 경우에 외부에서 유입되는 냉/온수관을 싱크대 하부, 붙박이장, 드레스룸 등에 설치되어 있는 분배기로 유도하고, 분배기로부터 화장실이나 욕실, 보일러실, 다용도실, 세탁실, 보조주방 등의 각 수요처로 보내져 냉/온수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최근 냉/온수 이중관 배관방식은 대체로 벽체 내부에 수전함이 내설되고, 벽체 건축마감 후 벽체 매립형 수전함 내부 냉/온수 결합부 누수 및 노후관 교체 시 개폐되는 기능을 갖는 마감커버에 수전을 설치하여 각 수요처에 수전함을 설치하고 마감부 전면에 노출 마감되는 냉/온수 혼합수전과 직접 연결되어 냉/온수를 공급한다.
그런데 종래 벽체 내부에 내설되는 수전장치는 설치과정에서 이중관배관과 연결부속부분의 누수검사를 하고, 설치가 완료된 후에도 연결부속과 마감커버의 이음부속에서 누수검사를 해야 했기 때문에 불필요한 누수검사로 인해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수전장치의 설치 마감 공정 중 마감 커버를 결합하는 과정에서 벽체에 고정 설치된 수전장치의 수전내함 속커버와 마감 커버의 결합위치가 일치하지 않으면 마감 공정이 불가능해진다. 이러한 경우, 마감 공정 마무리를 위해 벽체 및 마감재를 파손하여 수전장치 위치로 이동시켜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그리고 마감커버까지 설치된 상태는 고가의 마감재(천정, 마루, 벽지)가 시공된 상태이기 때문에 누수 문제가 발생하면 작업자가 즉각적으로 대응해야 하나 마감커버가 부착된 수전장치의 내부를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누수피해가 커지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20-0426264호
본 발명은 건축구조물의 시공 및 마감 공정 시 위치 조정이 가능하여 설치가 용이하고 누수검사 공정단축과 누수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벽체매립형 수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시공 건축물의 벽체에 매립되며, 일면이 개구된 수전내함; 중앙에 제1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전내함의 개구된 상기 일면에 결합되는 수전내함 속커버; 중앙에 제2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제2 개구부와 상기 제1 개구부가 연통되도록 상기 수전내함 속커버와 결합되되, 상하방향 및 좌우방향으로 설정 거리 이동하여 결합되는 베이스커버; 상기 수전내함의 내부에 설치 고정되되, 일측은 상기 베이스커버와 결합되어 상기 냉온수전과 연결되는 수전연결유닛; 및 상기 베이스커버와 결합되어 상기 제2 개구부를 차폐하되, 수요처의 냉온수전과 상기 수전연결유닛을 연결하는 마감커버를 포함하며, 수요처의 냉온수전이 결합되는 마감커버가 상기 수전내함 속커버와 정렬되지 않으면 상기 베이스커버를 상기 제2 개구부를 기준으로 상하방향 및 좌우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수전내함 속커버와 결합시키고, 상기 수전연결유닛은, 일측에 상기 냉온수전과 연결되는 수압마개가 삽입 결합된 수전연결구; 및 상기 수전연결구를 고정시키는 수전연결구 고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수전연결유닛은 상기 수전연결구의 일측이 상기 제1 개구부를 통과하여 상기 베이스커버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관통하면, 상기 베이스커버의 전면에서 상기 수전연결구 고정부재가 상기 수전연결구의 일측에 체결되어 고정시키되 착탈 가능하며, 상기 제2 개구부를 통해 외부에서 상기 수전내함의 내부를 관찰하여 누수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벽체매립형 수전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벽체매립형 수전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수전연결유닛의 수전연결구를 베이스커버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관통 후, 수전연결구 고정부재를 수전연결구와 체결하는 것만으로 수전연결유닛의 설치가 완료되어 시공성이 향상된다.
둘째, 수전연결유닛이 일체화되어 제공되므로 누수 발생의 예방과 불필요한 누수검사를 줄일 수 있다.
셋째, 베이스커버를 갖춰 시공 건축구조물의 마감공정 이후, 냉온수전이 결합되는 마감커버의 위치와 수전내함 속커버의 위치가 정렬되지 않더라도 마감재의 손상 없이 베이스커버를 통해 위치를 조절하여 마감커버를 결합할 수 있다.
넷째, 베이스커버의 제2 개구부를 통해 이중관 배관, 연결소켓, 수전연결유닛의 상태와 수전내함 내부의 누수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체매립형 수전장치가 도시된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벽체매립형 수전장치의 수전내함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따른 벽체매립형 수전장치의 수전내함 속커버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1에 따른 벽체매립형 수전장치의 베이스커버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에 따른 벽체매립형 수전장치의 수전연결유닛이 도시된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에 따른 벽체매립형 수전장치의 마감커버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7에는 본 발명에 따른 벽체매립형 수전장치에 대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체매립형 수전장치(100)는, 수전내함(110), 수전내함 속커버(130), 베이스커버(150), 수전연결유닛(170) 및 마감커버(190)를 포함한다.
상기 수전내함(110)은 시공 건축물의 벽체(미도시)에 매립된다. 도 2를 참조하여 보면, 상기 수전내함(110)은 후면(111)과, 상기 후면(111)의 단부에서 상기 후면(111)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되, 상기 후면(111)의 둘레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측면(112, 113, 114, 115)들을 포함하여 내부공간(미표기)이 형성되며 전면(116)은 개구된 직육면체의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측면들은 도 2의 도시를 기준으로 상면(112), 하면(113), 좌측면(114) 및 우측면(115)을 포함한다. 상기 좌측면(114) 및 상기 우측면(115)에는 상하 방향으로 상호 이격된 결합 커넥터홀(114a, 115a)들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벽체매립형 수전장치(100)로는 수요처에 배출되기 위해 외부에서 냉수 및 온수가 공급된다. 상기 냉수 및 온수는 이중관 배관(1, 3)을 통해 공급되는데, 상기 결합 커넥터홀(114a, 115a)들에 상기 이중관 배관(1,3)이 결합되어 상기 이중관 배관(1, 3)과 상기 수전내함(110)이 연결된다.
상기 결합 커넥터홀(114a, 115a)에는 연결소켓(5)이 삽입 결합되어 있어, 상기 이중관 배관(1, 3)의 선단이 상기 연결소켓(5)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상기 수전내함 속커버(130)는 중앙에 제1 개구부(131a)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전내함(110)의 개구된 상기 전면(116)에 결합된다. 도 3을 참조하여 보면, 상기 수전내함 속커버(130)는 속커버 몸체(131), 돌출 플레이트(133a, 133b, 133c, 133d) 및 체결돌기(137)를 포함한다.
상기 속커버 몸체(131)는 중앙을 관통하는 제1 개구부(131a)가 형성되어 있으며, 평면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면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직사각형 형상인 평면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속커버 몸체(131)가 상기 수전내함(110)의 상기 전면(116)에 결합되더라도, 상기 수전내함(110)의 상기 전면(116)이 완전히 차폐되지 않고 상기 제1 개구부(131a)에 의해 상기 수전내함(110)의 상기 내부공간(미표기)과 연통된다.
상기 속커버 몸체(131)에 형성된 상기 제1 개구부(131a)도 상기 속커버 몸체(131)와 마찬가지로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상기 제1 개구부(131a)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 플레이트(133a, 133b, 133c, 133d)는 상기 속커버 몸체(131)의 전면에 상기 속커버 몸체(131)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제1 개구부(131a)를 둘러싸며 형성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속커버 몸체(131)에 형성된 상기 제1 개구부(131a)가 직사각형의 형태로 형성되므로, 상기 제1 개구부(131a)를 둘러싸는 상기 돌출 플레이트(133a, 133b, 133c, 133d)는 도면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상측(133a), 하측(133b), 좌측(133c) 및 우측(133d)을 포함한다. 작업자는 상기 제1 개구부(131a)를 통해 상기 수전내함(110)의 내부를 관찰할 수 있다.
상기 체결돌기(137)는 상기 돌출 플레이트의 내측에 돌출되되 상기 수전내함 속커버(130)의 전면에서 후면으로 연장되면서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체결돌기(137)가 상측의 상기 돌출 플레이트(133a)와 하측의 상기 돌출 플레이트(133b)의 내측에 형성된다.
상기 체결돌기(137)에는 전면에서 후면을 관통하는 체결홀(137a)이 형성된다. 후술되겠지만, 상기 수전내함 속커버(130)는 상기 베이스커버(150)와 결합된다. 상기 베이스커버(150)를 관통하는 체결부재(미도시)가 상기 체결홀(137a)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수전내함 속커버(130)와 상기 베이스커버(150)가 결합된다.
상기 베이스커버(150)는 중앙에 제2 개구부(151a)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제2 개구부(151a)가 상기 제1 개구부(131a)와 연통되도록 상기 수전내함 속커버(130)와 결합된다. 상기 베이스커버(150)는 냉수 및 온수가 배출되는 수요처의 냉온수전(미도시)의 위치에 따라 상기 제1 개구부(131a)를 기준으로 상하방향 및 좌우방향으로 설정 거리 이동하여 상기 수전내함 속커버(130)와 결합된다.
상기 베이스커버(150)는 커버몸체(151), 수전연결구 관통홀(153) 및 위치조정용 관통홀(155)들이 형성된다. 상기 커버몸체(151)는 평면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며, 중앙에 상기 제2 개구부(151a)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면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직사각형 형상인 평면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지만, 이는 본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일 뿐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개구부(151a)는 상기 제1 개구부(131a)보다 크기가 작게 형성된다. 상기 제2 개구부(151a)는 작업자가 상기 수전내함(110)의 내부 상황을 육안으로 관찰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이므로, 상기 제2 개구부(151a)의 크기를 상기 제1 개구부(131a)의 크기와 동일하게 형성하거나 이보다 크게 형성할 필요가 없다. 즉, 작업자가 상기 수전내함(110)의 내부 상황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정도의 크기로만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제2 개구부(151a)는 도면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러나 이는 본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일 뿐, 원형, 삼각형 등과 같이 다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그리고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제2 개구부(151a)에는 투명한 소재의 플레이트를 결합하거나 여닫이 혹은 미닫이 형태의 커버를 더 구비하여 상기 수전내함(110)의 내부에서 누수가 발생하더라도 수전내함의 외부로 분출되는 것을 예방하면서 누수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수전연결구 관통홀(153)은 상기 제2 개구부(151a)의 중심을 기준으로 좌우 방향으로 설정 간격 이격되어 상기 커버몸체(151)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상기 수전연결구 관통홀(153)은 후술되는 상기 수전연결유닛(170)의 일부가 관통하도록 형성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수전연결유닛(170)의 수전연결구(175)의 타측이 관통하는데 상기 수전연결구 관통홀(153)은 상기 수전연결구(175)의 외주면의 횡단면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면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상기 커버몸체(151)에 상기 제2 개구부(151a)를 기준으로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설정 거리 이격된 네 개의 영역(151b, 151c, 151d, 151e)에 상기 위치조정용 관통홀(155)들이 형성된다.
상기 제2 개구부(151a)를 기준으로 좌측 상측에는 제1 영역(151b), 우측 상측에는 제2 영역(151c), 좌측 하측에는 제3 영역(151d), 우측 하측에는 제4 영역(151e)이 형성된다. 그리고 각각의 영역에 상기 위치조정용 관통홀(155)들이 상하방향 및 좌우방향으로 설정 간격 이격된 매트릭스 배열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베이스커버(150)는 수전연결구 고정돌기(157)를 더 포함한다. 상기 수전연결구 고정돌기(157)는 상기 커버몸체(151)의 후면에 형성된다. 상기 수전연결구 고정돌기(157)는 상기 수전연결구(175)가 상기 수전연결구 관통홀(153)을 관통하여 걸리면 상기 수전연결구(175)를 임시로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수전연결구 고정돌기(157)는 상기 수전연결구(175)의 외주면 일부 또는 전부를 감싸며 형합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수전연결유닛(170)은 상기 수전내함(110)의 내부공간에 설치되되, 일부는 상기 제1 개구부(131a)를 통과하여 상기 베이스커버(150)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관통하면서 결합되어 수요처의 상기 냉온수전과 연결된다.
상기 수전연결유닛(170)은 제2 엘보우(173), 수전연결구(175), 수압마개(175b), 고정부재(177) 및 연질 파이프(172)를 포함한다. 상기 수전연결유닛(170)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에 앞서, 상기 수전내함(110)에는 제1 엘보우(171)가 구비된다. 상기 제1 엘보우(171)는 상기 이중관 배관(1, 3)을 통해 외부에서 공급되는 냉수 또는 온수의 일부를 수요처의 상기 냉온수전(미도시)으로 배출하기 위해 분기시키며, 상기 냉수 또는 온수의 나머지 일부는 다른 수요처로 유동시킨다.
상기 제1 엘보우(171)는 도면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예시적으로 'T자형 엘보우'가 적용된다. 상기 제1 엘보우(171)는 연질 파이프(171a)에 의하여 상기 이중관 배관(1, 3)과 연통되게 연결된다.
상기 제2 엘보우(173)는 상기 제1 엘보우(171)를 통해 분기된 상기 냉수 또는 상기 온수를 수요처의 상기 냉온수전으로 유동시킨다. 상기 제2 엘보우(173)는 도 6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유입부(173a-1)와 배출부(173a-2)를 포함하는 엘보우 몸체(173a)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엘보우(173)는 예시적으로 배관의 간격을 최소화하는 스피캇 엘보우가 적용되며, 상기 제2 엘보우(173)의 상기 배출부(173a-2)가 상기 수전연결구(175)의 타측 내부로 삽입되어 결합된다.
한편, 상기 제2 엘보우(173)와 상기 제1 엘보우(171)는 연질 파이프(172)에 의해 연통되게 연결된다. 상기 연질 파이프(172)의 일측이 상기 제1 엘보우(171)에 삽입 결합되고, 상기 연질 파이프(172)의 타측이 상기 제2 엘보우(173)의 상기 유입부(173a-1)에 삽입 결합된다.
상기 수전연결구(175)는 타측에 상기 제2 엘보우(173)의 상기 배출부(173a-2)가 삽입 결합되며, 일측의 일부는 상기 베이스커버(150)를 관통하면 상기 베이스커버(150)에 걸리고 상기 수전연결구 고정부재(177)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수전연결구(175)는 길이방향을 따라 중공(175a-1)이 형성된 몸체(175a)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175a)의 타측(175a-2) 내부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2 엘보우(173)의 상기 배출부(173a-2)가 삽입 결합된다.
상기 몸체(175a)의 일측 내주면에는 나사산(175a-3)이 형성되어 수압마개(175b)가 체결 결합된다. 상기 몸체(175a)의 일측 외주면에도 나사부(175a-4)가 형성되는데,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수전연결구(175)의 일측이 상기 베이스커버(150)의 상기 수전연결구 관통홀(153)을 관통하면서 수전연결구(175)가 커버몸체(151)에 걸리면 상기 수전연결구 고정부재(177)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수전연결구 고정부재(177)가 상기 나사부(175a-4)에 체결 결합된다.
상기 몸체(175a)의 길이방향 중앙 외주면에는 상기 몸체(175a)의 외주면 둘레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돌출되는 걸림돌기(175a-5)가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수전연결구(175)의 일측이 상기 수전연결구 관통홀(153)을 관통할 때, 상기 걸림돌기(175a-5)가 상기 베이스커버(150)의 커버몸체(151)에 걸림되는 것이다.
상기 수전연결구(175)의 타측(175a-2) 외주면에 나사산(미표기)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엘보우(173)는 상기 배출부(173a-2)를 둘러싸며 형성된 마개부(173a-3)의 내주면에 나사산(미표기)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제2 엘보우(173)와 상기 수전연결구(175)가 연결될 때 상기 마개부(173a-3)와 상기 수전연결구(175)의 타측이 나사 체결에 의해 결합된다.
한편, 상기 수전연결구(175)의 타측 내부에는 크랩링(175c), 와셔(175d) 및 제1 실링부재(175e)가 삽입 설치된다. 상기 크랩링(175c), 상기 와셔(175d) 및 상기 제1 실링부재(175e)는 상기 수전연결구(175)와 상기 제2 엘보우(173) 사이의 누수방지 및 상기 마개부(173a-3)의 이탈을 방지한다.
상기 수전연결구(175)의 일측 내부에도 제2 실링부재(175f)가 삽입 설치되어 있어 상기 수전연결구(175)의 일측에 삽입되는 상기 수압마개(175b)와의 사이에 누수 발생을 방지한다.
상기 수전연결구 고정부재(177)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수전연결구(175)의 타측이 상기 베이스커버(150)의 상기 수전연결구 관통홀(153)을 관통하면 상기 수전연결구(175)의 타측에 체결 결합하여 상기 수전연결구(175)를 고정시킨다. 따라서 상기 수전연결구 고정부재(177)의 내주면에 나사산(177a)이 형성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상기 수전연결유닛(170) 중 상기 연질 파이프(172), 상기 제2 엘보우(173) 및 상기 수전연결구(175)는 일체화되어 시공 현장으로 제공된다. 즉, 상기 수전연결구(175)를 상기 베이스커버(150)에 결합하기 위해 상기 수전연결구(175)를 분해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상기 수전연결구(175) 및 상기 수전연결구 고정부재(177)에 의한 상기 수전연결유닛(170)의 설치가 완료되면 한 번의 누수검사만 진행하면 된다.
종래에는 수전연결구가 마감거버에 부착되어 납품되고 내함에 기 설치된 제2 엘보우의 마개를 열고 수전연결구와 결합을 해야 했기 때문에 마감커버를 설치한 후 누수검사를 다시 해야만 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연질 파이프(172), 상기 제2 엘보우(173) 및 상기 수전연결구(175)가 일체화되어 제공되기 때문에 한 번의 누수검사만 진행하면 되므로 중복되는 누수검사로 인한 공기의 증가 및 비용증가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마감커버(190)는 상기 베이스커버(150)와 결합되어 상기 제2 개구부(151a)를 차폐한다. 상기 마감커버(190)에는 수요처의 상기 냉온수전(미도시)이 결합된다. 즉, 상기 마감커버(190)에 의해 상기 냉온수전(미도시)이 상기 수전연결유닛(170)과 연결되는 것이다.
상기 마감커버(190)는 도면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마감커버 몸체(191)를 포함한다. 상기 마감커버 몸체(191)는 직사각형 형상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된다. 그러나 이는 본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이므로 다양한 형상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마감커버 몸체(191)에는 상기 마감커버 몸체(191)의 좌우방향 중심을 기준으로 설정 간격 이격되어 상호 대칭되는 한 쌍의 수전 결합홀(193)이 형성된다. 즉 상기 냉온수전(미도시)이 상기 수전 결합홀(193)에 관통하여 결합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벽체매립형 수전장치(100)의 설치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시공하는 건축구조물의 벽체(미도시)에 상기 벽체매립형 수전장치(100)를 시공하기 위해 콘크리트벽, 조적벽에 매립홈(미도시)을 형성한다. 상기 매립홈(미도시)에 상기 수전내함(110)을 매립하고, 상기 수전연결유닛(170)을 설치한 후 상기 수전내함 속커버(130)를 상기 수전내함(110)과 결합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커버(150)를 결합하기 전, 상기 수전연결유닛(170)의 수압검사를 먼저 시행한다. 상기 수전연결유닛(170)의 수압검사에 이상이 없으면, 상기 벽체(미도시)에 견출도장, 타일마감, 석고보드마감과 같은 마감공정을 진행한다.
그리고 상기 수전연결유닛(170)의 상기 수전연결구(175)를 상기 베이스커버(150)의 상기 수전연결구 관통홀(153)로 관통하고 상기 수전연결구 고정부재(177)로 고정시킨다.
상기 수전연결구(175)가 고정된 상기 베이스커버(150)를 상기 수전내함 속커버(130)와 결합한다. 이때, 수요처의 상기 냉온수전의 위치와 상기 수전내함(110)과 수전내함 속커버(130)가 매립설치 된 위치가 정렬되지 않더라도 상기 베이스커버(150)를 상기 수전내함 속커버(130)의 상기 제1 개구부(131a)를 기준으로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켜 위치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전내함 속커버(130)의 상기 체결홀(137a)과 상기 베이스커버(150)의 위치조정용 관통홀(155)들 중 상기 체결홀(137a)과 동축 상에 위치한 위치조정용 관통홀(155)에 체결부재(미도시)를 삽입 후 체결하여 상기 베이스커버(150)를 상기 수전내함 속커버(130)와 결합시키며, 필요 시 상기 위치조정용 관통홀(155)들을 이용하여 상기 위치조정용 관통홀(155)들의 이격 거리만큼 이동시켜 결합시킨다.
마지막으로 상기 마감커버(190)를 상기 베이스커버(150)와 결합시키면 상기 벽체매립형 수전장치(100)의 설치가 완료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상기 마감커버(190)가 상기 수전연결유닛(170)에 냉온수전류가 부착되는 마감공정 때가지 결합되지 않기 때문에 작업자들이 상기 베이스커버(150) 상기 제2 개구부(151a)를 통해 내부의 누수 여부를 쉽게 인지하고 대처할 수 있다.
즉, 단기적인 성격을 갖는 수압시험으로 발견하지 못한 누수 뿐 아니라, 상기 수전연결유닛(170)에 냉온수전류를 설치하기 전 까지 장기적으로 누수여부를 발견할 수 있으므로 누수사고로 인해 마감재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벽체매립형 수전장치 110: 수전내함
130: 수전내함 속커버 131: 속커버 몸체
131a: 제1 개구부 137: 결합돌기
150: 베이스커버 151: 커버몸체
151a: 제2 개구부 153: 수전연결구 관통홀
155: 위치조정용 관통홀 157: 수전연결구 고정돌기
170: 수전연결유닛 171: 제1 엘보우
171a: 연질 파이프 173: 제2 엘보우
175: 수전연결구 175b: 수압마개
177: 수정연결구 고정부재 190: 마감커버
191: 마감커버 몸체 193: 수전 결합홀

Claims (6)

  1. 시공 건축물의 벽체에 매립되며, 일면이 개구된 수전내함(110);
    중앙에 제1 개구부(131a)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전내함(110)의 개구된 상기 일면에 결합되는 수전내함 속커버(130);
    중앙에 제2 개구부(151a)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제2 개구부(151a)와 상기 제1 개구부(131a)가 연통되도록 상기 수전내함 속커버(130)와 결합되되, 상하방향 및 좌우방향으로 설정 거리 이동하여 결합되는 베이스커버(150);
    상기 수전내함(110)의 내부에 설치 고정되되, 일측은 상기 베이스커버와 결합되어 수요처의 냉온수전과 연결되는 수전연결유닛(170); 및
    상기 베이스커버(150)와 결합되어 상기 제2 개구부(151a)를 차폐하되, 상기 수요처의 냉온수전과 상기 수전연결유닛(170)을 연결하는 마감커버(190); 및
    상기 수전내함(110)의 내부에는 외부에서 유입되는 냉수 또는 온수의 일부를 수요처의 상기 냉온수전으로 배출하기 위해 분기시키며, 상기 냉수 또는 온수의 나머지 일부는 다른 수요처로 유동시키는 제1 엘보우(171)를 포함하고,
    수요처의 냉온수전이 결합되는 마감커버(190)가 상기 수전내함 속커버(130)와 정렬되지 않으면 상기 베이스커버(150)를 상기 제2 개구부(151a)를 기준으로 상하방향 및 좌우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수전내함 속커버(130)와 결합시키고,
    상기 수전연결유닛(170)은,
    일측이 상기 제1 엘보우(171)와 연결되는 연질 파이프(171a);
    일측이 상기 연질 파이프(171a)의 타측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수전연결구(175)에 삽입되는 제2 엘보우(173); 및
    몸체(175a), 상기 몸체(175a)의 일면으로부터 연장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제2 엘보우(173)의 타측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2엘보우(173)에 구비된 마개부(173a-3)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나사 결합되는 타측(175a-2), 및 상기 몸체(175a)의 타 면으로부터 연장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일측(175a-1)을 포함하는 수전연결구(175)를 포함하고,
    상기 수전연결구(175)의 일측(175a-1)은 상기 베이스커버(150)의 수전연결구 관통홀(153) 및 상기 마감커버의 수전 결합홀(193)을 관통하여 상기 수요처의 냉온수전과 직접 결합되며, 내주면에는 나사산(175a-3)이 형성되어 있어서 수압마개(175b)가 삽입되어 나사 결합되고,
    상기 몸체(175a)에는 둘레방향을 따라 돌출 연장되어 상기 베이스커버(150)의 수전연결구 관통홀(153)에 걸리는 걸림돌기(175a-5)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전연결유닛(170)은,
    상기 수전연결구(175)를 상기 베이스커버(150)에 고정하도록 상기 베이스커버(150)의 수전연결구 관통홀(153)로 관통된 상기 수전연결구(175)의 일측(175a-1)의 외주면(175a-4)에 나사 결합되는 수전연결구 고정부재(177)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개구부를 통해 외부에서 상기 수전내함의 내부를 관찰하여 누수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벽체매립형 수전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커버는,
    평면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는 커버몸체;
    상기 커버몸체의 중앙에 형성된 다각형 형상의 상기 제2 개구부의 중심을 기준으로 좌우 방향으로 설정 간격 이격되어 상기 수전연결구의 타측이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수전연결구 관통홀; 및
    상기 커버몸체의 상측 및 하측에 상기 제2 개구부를 기준으로 좌우 방향으로 설정 거리 이격된 영역에 상기 수전내함 속커버와 체결 결합할 수 있도록 체결부재가 관통하는 복수 개의 위치조정용 관통홀들이 형성되는 벽체매립형 수전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수전내함 속커버는,
    중앙을 관통하는 중공이 형성된 평면의 플레이트 형태의 속커버 몸체;
    상기 속커버 몸체의 전면에 상기 속커버 몸체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중공을 둘러싸며 상기 제1 개구부를 형성하는 돌출 플레이트; 및
    상기 돌출 플레이트의 내측으로 돌출되되 상기 수전내함 속커버의 전면에서 후면으로 연장되면서 형성되고, 상기 전면에서 상기 후면을 관통하는 체결홀이 형성된 체결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체결돌기는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상호 마주하며 복수 개 형성되는 벽체매립형 수전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위치조정용 관통홀들은 상기 커버몸체의 상하방향 및 좌우방향으로 설정 간격 이격되어 매트릭스 배열로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커버와 상기 수전내함 속커버의 결합 시, 체결부재가 복수 개의 상기 관통홀들 중 어느 하나의 관통홀과 상기 체결홀을 동시에 관통하여 체결 결합되는 벽체매립형 수전장치.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커버는,
    상기 커버몸체의 후면에 상기 수전연결구가 상기 수전연결구 관통홀을 관통하여 걸리면 상기 수전연결구가 임시로 고정되도록 상기 수전연결구의 외주면 일부를 감싸며 형합되도록 형성되는 수전연결구 고정돌기를 더 포함하는 벽체매립형 수전장치.
KR1020170050385A 2017-04-19 2017-04-19 벽체매립형 수전장치 KR1019151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0385A KR101915143B1 (ko) 2017-04-19 2017-04-19 벽체매립형 수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0385A KR101915143B1 (ko) 2017-04-19 2017-04-19 벽체매립형 수전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5497A Division KR101954317B1 (ko) 2018-09-04 2018-09-04 벽체매립형 수전장치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7372A KR20180117372A (ko) 2018-10-29
KR101915143B1 true KR101915143B1 (ko) 2018-11-05

Family

ID=64101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0385A KR101915143B1 (ko) 2017-04-19 2017-04-19 벽체매립형 수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514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5770A (ko) * 2019-08-28 2021-03-10 주식회사 동명 수전박스
KR102433521B1 (ko) 2021-09-08 2022-08-18 유새롬 수전 장치 및 수전 연결구 분리 방법
KR20230036869A (ko) 2021-09-08 2023-03-15 유새롬 수전 연결구 고정 구조 및 수전 장치
KR20230036878A (ko) 2021-09-08 2023-03-15 유새롬 수전 연결구 고정 방법 및 분리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2000015520A1 (it) * 2020-06-26 2021-12-26 Rbm Ibox S R L Cassetta da incasso per l'alloggiamento di componenti idraulici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3155B1 (ko) * 2007-06-14 2008-10-13 주식회사 피아이피 철근회피홈을 구비한 벽체매립형 수전함 및 이를 이용한배관시공방법
KR101425509B1 (ko) * 2013-08-20 2014-08-04 (주)케이에스피아이피 벽체 매립형 오픈 수전함
KR101493948B1 (ko) * 2014-01-27 2015-02-17 주식회사 엔에코 벽체 매립형 수전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3155B1 (ko) * 2007-06-14 2008-10-13 주식회사 피아이피 철근회피홈을 구비한 벽체매립형 수전함 및 이를 이용한배관시공방법
KR101425509B1 (ko) * 2013-08-20 2014-08-04 (주)케이에스피아이피 벽체 매립형 오픈 수전함
KR101493948B1 (ko) * 2014-01-27 2015-02-17 주식회사 엔에코 벽체 매립형 수전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5770A (ko) * 2019-08-28 2021-03-10 주식회사 동명 수전박스
KR102247975B1 (ko) 2019-08-28 2021-05-04 주식회사 동명 수전박스
KR102433521B1 (ko) 2021-09-08 2022-08-18 유새롬 수전 장치 및 수전 연결구 분리 방법
KR20230036869A (ko) 2021-09-08 2023-03-15 유새롬 수전 연결구 고정 구조 및 수전 장치
KR20230036878A (ko) 2021-09-08 2023-03-15 유새롬 수전 연결구 고정 방법 및 분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7372A (ko) 2018-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5143B1 (ko) 벽체매립형 수전장치
KR101954317B1 (ko) 벽체매립형 수전장치 시공방법
KR100515761B1 (ko) 냉온수배관 시스템의 시공방법
US5558119A (en) Wall mounted box for connecting a P-trap to a trap arm
KR20190002597U (ko) 수평형 온수 분배기
US20040163446A1 (en) Shower station testing assembly for pressure testing plumbing
KR101643570B1 (ko) 소화용 스프링클러 배관 시공방법
KR101798582B1 (ko) 벽체 매립형 다층식 수전함
KR100782676B1 (ko) 벽체매립형 수전함 연결시스템
KR101883370B1 (ko) 벽체매립형 수전함
KR200396618Y1 (ko) 배관용 방수 슬리브
KR100684256B1 (ko) 화장실 천장매립형 냉,온수 분배기
KR101804247B1 (ko) 분리형 연결재를 구비한 개방형 수전함
KR102058117B1 (ko) 벽체 매립형 수전장치
US6862918B2 (en) Device for testing domestic water piping systems and methodology
KR100628805B1 (ko) 배관용 방수 슬리브
KR100742403B1 (ko) 배수가 용이한 분배기
KR102231464B1 (ko) 난방배관슬리브
EP0521885B1 (en) Apparatus for preventing water damage due to plumbing leaks in buildings
KR102407289B1 (ko) 분리형 커넥터를 구비한 개방형 수전함
KR200338297Y1 (ko) 배수가 용이한 분배기
KR101818139B1 (ko) 누수통제기능을 구비한 벽체매립형 오픈수전함
KR101766250B1 (ko) 분리형 커넥터를 구비한 개방형 수전함
KR102351576B1 (ko) 배관부재가 구비된 벽체 매립형 수전함
JP2005098089A (ja) ヘッダー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