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3749B1 - 벽체매립형 수전함의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벽체매립형 수전함의 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3749B1
KR100933749B1 KR1020090005479A KR20090005479A KR100933749B1 KR 100933749 B1 KR100933749 B1 KR 100933749B1 KR 1020090005479 A KR1020090005479 A KR 1020090005479A KR 20090005479 A KR20090005479 A KR 20090005479A KR 100933749 B1 KR100933749 B1 KR 1009337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ucet
cover member
connector
wall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54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옥수
Original Assignee
강옥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옥수 filed Critical 강옥수
Priority to KR10200900054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37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37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37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2Arrangements on taps for wash-basins or baths for connecting to the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21Devices for positioning or connecting of water supply l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벽체매립형 수전함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전함 내부에 다양한 배관구조에 맞도록 2회 이상의 굴곡을 가지는 굴곡유로가 형성된 PB연결구와, 수전함에 고정되는 커버부재가 수평을 유지한 상태로 설치되도록 하는 벽체매립형 수전함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벽체매립형 수전함의 연결구조는, 벽체에 매립되며 전면에는 다수의 결합공이 형성된 수전함과; 상기 수전함으로 냉수 또는 온수의 유입관, 유출관 및 수전구가 각각 연결되는 PB연결구와; 상기 수전구와 PB연결구를 연결하는 밸브소켓과; 상기 밸브소켓의 선단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소켓구가 형성되고, 상기 수전함의 상기 결합공에 대응되며 체결볼트가 끼워지도록 다수의 체결공이 형성되어, 상기 수전함의 전면을 커버하는 커버부재; 를 포함하는 벽체매립형 수전함의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PB연결구에는,
양말단부가 개방된 직선형의 기준유로 상에서 연통되게 연결되고 2이상의 굴곡부를 가진 절곡유로와; 상기 절곡유로의 내벽에 외부표면이 융착된 중공의 인서트물과; 상기 기준유로와 상기 절곡유로 사이의 절곡부 하부에는 평행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받침대와; 상기 PB연결구의 장착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받침대 하부에 위치결정블록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부재의 상기 소켓구에는 소켓구와 인접하는 나사공이 형성되고, 상 기 밸브소켓의 외면에는 상기 나사공에 대응되는 위치에 지지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나사공에 체결되는 결합볼트가 나사공에 결합되면서 결합볼트의 머리가 상기 밸브소켓의 상기 지지돌기와 접촉하도록 하여 상기 수전함과 상기 커버부재 간의 거리편차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매립형 수전함의 연결구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위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벽체매립형 수전함의 연결구조는, 기존의 황동파이프를 상대적으로 가격이 저렴한 PB연결구로 대체가 가능해 짐에 따라 원가가 절감되는 효과와 함께, 커버부재가 수전함의 시공상태가 불량하더라도 항상 수평을 유지한 상태로 고정된다.
Figure R1020090005479
PB연결구, 수전함, 밸브소켓, 커버부재, 지지돌기

Description

벽체매립형 수전함의 연결구조{Box for water pipe connecting structure}
본 발명은 벽체매립형 수전함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전함 내부에 다양한 배관구조에 맞도록 2회 이상의 굴곡을 가지는 굴곡유로가 형성된 PB연결구와, 수전함에 고정되는 커버부재가 수평을 유지한 상태로 설치되도록 하는 벽체매립형 수전함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을 신축하거나 증축할 경우, 건물 내부에 냉수 및 온수관을 연결하여, 욕조, 세면기, 양변기, 보일러실, 다용도실 등으로 분배하기 위하여 분배기, 바닥매립박스, 벽체매립박스 등이 사용된다.
이때, 벽체에 매립되는 수전함 내에는, 다양한 배관구조(정확하게는 유로의 형상) 예컨데, 건축물의 내부구조나 넓이 또는 용도에 따라 냉수나 온수의 배관방향이 수직하거나 일정한 각도로 굽어야 하는 등의 필요가 있으며, T자 형상 또는 ㄱ자 형상 등으로 된 연결구에 의해 냉온수관이 각각 연결되고, 수전함의 전면에는 전면을 커버하는 커버부재가 고정된다.
이러한 연결구는 통상적으로 우수한 열전달률과 내부식성을 가진 황동으로 제작되고 있으나, 단가 및 가공비가 매우 높아 일반 가정용으로 사용되는 연결구의 재료로서는 적당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주형틀에 주물을 붓고 경화를 거치는 일련의 과정에서 평탄도가 확보되지 않아 별도의 평탄화부재를 사용해야 하는 경우가 있는가 하면, 주물을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가공흔적이나 금속찌꺼기가 많이 발생하여 후가공을 반드시 거쳐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따라서, 황동의 원자재 가격이 매우 높은 것을 제외하고도 연결구를 제조하는데 소요되는 가공비 또한 제품의 원가를 상승시키는 요인이 되었다.
위와 같은 황동재질의 연결구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프라스틱재인 PB연결구가 사용되고 있다. PB(폴리부타디엔의 약자로서 부타디엔을 첨가 중합하여 얻어지는 고분자 화합물임)연결구는 황동연결구와 비교할 때, 후가공이 필요하지 않는 사출성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원료비가 상대적으로 매우 저렴하여 제품의 단가를 획기적으로 낮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PB연결구에 의해 구현되는 배관구조는 황동연결구를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다음과 같은 치명적인 약점이 있기 때문에 PB연결구의 사용은 매우 한정될 수 밖에 없는 실정이다.
예를 들어, 배관구조가 ㄷ자형상(선으로 표시되는 부분은 모두 중공인 상태임)인 경우, 황동연결구라면 소위 모래주머니를 주형틀에 삽입한 상태로 주물을 부어 경화시킨 다음 제작이 완료되면 위 모래주머니를 깨뜨려 제거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유로를 갖는 연결구를 제작할 수 있지만, PB를 이용하는 사출성형의 경우에는, 금속재의 코어를 사용하고 사출이 끝나면 이를 다시 꺼내야 하기 때문에 위와 같은 형상으로 제작될 수 없었으며, 굳이 위와 같은 형상을 가진 PB연결구를 제작 하기 위해서는, 각 직선유로를 형성하기 위한 3개 또는 4개의 코어를 사용하여 굴곡진 부분이 개방된 상태로 제조한 후 그 개방된 부위를 캡을 사용하여 막는 별도의 공정을 거쳐야만 했다.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ㄱ자형상의 연결구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금형에 2개의 직선형 코어부재를 각 방향으로 삽입하여 사출하면 되고, 도 1과 같은 ㅗ자형상의 연결구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금형에 3개의 직선형 코어부재를 세 방향으로 삽입하여 사출하면 되었으나, 예를 들어 유로의 형상이 ㄷ자형상 또는 유로의 축이 동일평면상에 있지 않으면서 서로 만나지도 않는 소위 꼬인위치관계에 있는 경우와 같이 2회 이상의 굴곡을 가지는 연결구의 제작은 불가능했던 것이다.
위와 같은 배관구조에 있어서는 단조나 주형을 이용한 황동연결구만을 사용할 수 있다는 기술적편견이 있었다.
또한, 수전함 내부의 연결구 사이 간격이 변하는 경우에는, 연결구와 수전구(예를 들어 "수도꼭지")를 연결하는 별도의 황동연결파이프를 사용하게 되는데, 그 거리에 따라 황동연결파이프를 자르거나 덧붙이는 방법으로 거리를 조정했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황동연결파이프를 절단하기 위해 별도의 장비가 필요하게 되고, 또한 변화된 거리만큼 절단해야 하는 정밀을 요함에 따라 시공이 어려운 점이 있었다.
이러한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특허등록 제586223호가 개시되어 있는데, 특허등록 제586223호에서는 플렉시블한 호스를 이용하여 연결구와 수전구 사이의 거리를 조정하였다.
그러나, 위 경우에는 연결구와 수전구 사이보다 여유분을 갖는 호수를 이용하여 거리를 조정함으로써 시공의 어려움은 해결할 수 있으나, 수전함의 내부가 좁은 경우에는 호수가 내부에 꼬인상태로 위치함에 따라 냉온수의 흐름이 차단되는 문제가 발생 되었다.
또한,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전함(10)과 커버부재(20) 사이에는 상대적 거리편차(d)가 발생 되었다.
위 거리편차는 벽체조적 이후 벽체에 몰타르 또는 타일에 의해 시공되는 마감공사에 의해 발생하게 되는데, 이는 마감공사가 전문가에 의해 수작업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벽체의 수평이 필연적으로 유지가 어려웠기 때문이다. 이때, 수전함(10)과 커버부재(20) 간의 거리편차는 1~2mm 정도의 미세한 정도이다.
이에 따라, 거리편차 분에 대한 파이프를 절단하여 거리편차를 보정하거나, 또는 거리편차가 상대적으로 미세함에 따라 커버부재(20)를 강제적으로 수전함에 고정시키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 경우 파이프를 절단하기 위해 별도의 장비가 필요하게 되고, 커버부재(20)가 강제적으로 고정됨에 따라 내구성이 떨어지는 치명적인 문제가 있다.
또한,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전함(10)과 커버부재(20) 사이에는 각도편차(θ)가 발생 되었다. 이는, 수전함(10) 설치시 수평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한 수전함(10)에 커버부재(20)가 고정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커버부재(20)는 수전함의 기울어진 각도에 따라 고정되며, 이로 인해 수평이 틀어지는 문제를 갖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분기파이프의 일측단을 함체의 내부로 설치된 냉,온수관에 연결하고, 그 타측단을 커버에 고정된 혼합밸브에 결합시켜 냉,온수가 혼합되도록 구성하고, 혼합된 온수가 연결관을 경유하여 토출구로 토출되도록 구성된 벽체매립형 수전함에 있어서, 상기 함체와 커버 사이에 커버조절부가 설치되도록 구성하되, 상기 커버조절부는 수평홈이 형성된 지지대 몸체의 절곡단이 고정수단에 의하여 함체의 내측 가장자리 양측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된 각각의 고정지지대와, 상기 고정지지대 사이에 양측단이 볼트로 결합된 조절대 몸체를 갖는 커버조절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이 특허등록 제615840호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등록 제615840호에 개시된 상기의 벽체매립형 수전함에서는, 커버조절부를 이용하여 수전함과 커버부재의 상하,좌우 조절에 의한 거리편차(d)에 대한 보정은 가능하지만, 수전함과 커버부재 사이의 각도편차(θ)가 생기는 경우에는 이를 보정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 및 기술적 편견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PB연결구에 의해 냉온수의 유입관, 유출관 및 냉온수가 토출되는 수전구의 위치가 다른 것을 보상하며, 수전함의 시공상태가 불량하더라도 커버부재를 수전함에 결착시킬때 각도편차 및 거리편차를 용이하게 보정할 있을 뿐만 아니라 단가가 저렴하고 가공성이 우수한 재료를 이용하는 벽체매립형 수전함의 연결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벽체에 매립되며 전면에는 다수의 결합공이 형성된 수전함과; 상기 수전함으로 냉수 또는 온수의 유입관, 유출관 및 수전구가 각각 연결되는 PB연결구와; 상기 수전구와 PB연결구를 연결하는 밸브소켓과; 상기 밸브소켓의 선단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소켓구가 형성되고, 상기 수전함의 상기 결합공에 대응되며 체결볼트가 끼워지도록 다수의 체결공이 형성되어, 상기 수전함의 전면을 커버하는 커버부재; 를 포함하는 벽체매립형 수전함의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PB연결구에는,
양말단부가 개방된 직선형의 기준유로 상에서 연통되게 연결되고 2이상의 굴곡부를 가진 절곡유로와; 상기 절곡유로의 내벽에 외부표면이 융착된 중공의 인서트물과; 상기 기준유로와 상기 절곡유로 사이의 절곡부 하부에는 평행상태를 유지 하기 위한 받침대와; 상기 PB연결구의 장착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받침대 하부에 위치결정블록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부재의 상기 소켓구에는 소켓구와 인접하는 나사공이 형성되고, 상기 밸브소켓의 외면에는 상기 나사공에 대응되는 위치에 지지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나사공에 체결되는 결합볼트가 나사공에 결합되면서 결합볼트의 머리가 상기 밸브소켓의 상기 지지돌기와 접촉하도록 하여 상기 수전함과 상기 커버부재 간의 거리편차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매립형 수전함의 연결구조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인서트물의 일말단부에는 사출성형시 사용되는 별도의 코어와 결착되기 위한 위치고정용 걸림홈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인서트물은 스테인레스(SUS), 황동, 나일론, PC, ABS, FRP 또는 엔지니어 플라스틱 중 어느 하나의 소재로 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인서트물의 재질은 상기 PB연결구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수전함의 바닥면에는 상기 PB연결구의 위치결정블록이 삽입되는 삽입홈이 더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받침대에는 상기 PB연결구가 상기 수전함에 볼트결합되도록 고정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전함의 바닥면에는 상기 고정구를 통해 결합되는 볼트가 고정되는 다수의 고정홈이 더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고정홈은 상기 PB연결구가 장착되는 방향을 따라 원의 궤적을 가지며 방사형태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커버부재의 나사공에는 수전함과 커버부재와의 거리편차에 따라 체결되며 결합볼트 머리가 나사공 내부로 진입 가능하도록 삽입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삽입부에는 상기 소켓구 방향으로 밸브소켓의 지지돌기가 입출가능토록 입출홈이 더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커버부재에 형성된 다수의 체결공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수전함과 상기 커버부재 사이의 각도편차를 보정하기 위해 회전중심을 형성하는 체결볼트가 결합되며, 나머지 체결공에 대응되는 상기 수전함의 결합공은 위치결정슬롯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수전함과 마주하는 커버부재의 후면에는 상기 수전함과 상기 커버부재 사이의 각도편차를 보정하기 위해 회전중심을 형성하는 결착봉이 형성되고, 상기 수전함의 전면에는 상기 결착봉이 삽입될 수 있도록 결착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다수의 결합공은 위치결정슬롯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벽체매립형 수전함의 연결구조에 의하면, PB연결구에 유로의 축이 동일평면상에 있지 않으면서 서로 만나지도 않는 소위 꼬인위치관계에 있는 2회 이상의 굴곡을 가지는 절곡유로가 형성되어, 종래의 황동으로만 제작되었던 연결관이 PB연결구로 대체가 가능해 짐에 따라 원가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PB연결구가 수전함으로 유입되는 냉온수 파이프와 수전구의 위치가 다른 것을 보상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수전함과 커버부재 사이에 거리편차 및 각도편차가 발생 되더라도 커버부재가 항상 수평을 유지한 상태로 고정되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 및 도면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고자 하는 것일 뿐 발명의 기술적범위를 이에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체매립형 수전함의 연결구조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건물의 벽체 내부에는 각 수요처로 냉온수를 분배하기 위한 수전함(500)이 매립된다. 수전함(500)은 평면상으로 대략적인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수전함(500)의 전면 개방부에는 수전함(500)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면서 볼트에 의해 수전함(500)에 고정되는 속커버(400)가 결합된다.
또한, 수전함(500) 즉 속커버(400)의 전면에는 다수의 결합공(530)이 형성되어 있다.
수전함(500)의 내측에는 PB연결구(200)가 장착되어 있다. PB연결구(200)에는 수전함(500)으로 유입되는 냉수 또는 온수의 유입관(10a), 유출관(10b) 및 수전구(350)가 각각 연결되어 있다.
이때, 수전구(350)가 연결되는 PB연결구(200)의 토출측에는 수전구(350)와 PB연결관(200)을 연결하는 밸브소켓(60)이 결합되어 있다.
커버부재(300)에는 속커버(400)에 결합시 밸브소켓(60)의 선단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소켓구(303)가 형성되고, 위 수전함 즉 속커버(400)의 결합공(530)에 대응되며 체결볼트가 끼워지도록 다수의 체결공(330)이 형성되어, 상기 수전함의 전면을 커버하게 되어 있다.
도 3의 벽체매립형 수전함의 연결구조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벽체매립형 수전함의 연결구조의 구성중 PB연결구와 밸브소켓이 분해된 상태를 나타낸 저면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PB연결구의 종단면도이며, 도 6은 도 3의 결합된 상태로 PB연결구와 밸브소켓이 수전함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요부단면도이다.
PB연결구(200)에는 절곡유로(40)가 형성되어 있다. 절곡유로(40)는 양말단부가 개방된 직선형의 기준유로(30) 상에서 연통되게 연결되고 1차절곡(41) 이후 다시 2차절곡(42) 된 2 이상의 굴곡부를 갖는다.
즉, 절곡유로(40)는 직선형의 기준유로(30) 상에서 2회 절곡연통된 상태이며, 위 절곡유로(40)가 기준유로(30)와는 꼬인 위치관계에 있음이 특징이다.
여기서, 꼬인 위치란 두 개의 선이 만나지도 평행하지도 않는 위치관계를 말한다. 따라서, 절곡유로(40)의 출구는 단면상에서 기준유로(30)와 수직하게 형성된다.
이 경우, 도 5와 같이, 절곡유로(40)의 내벽면에는 인서트물(100)이 위치하 게 된다. 인서트물(100)은 중공체로서 절곡유로(40)의 내벽면에 외부표면이 융착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절곡유로(40)를 사출성형하기 위해서는 먼저, 직선형의 기준유로(30) 금형에 2개의 코어(C1,C2)를 부착한 다음, 기준유로(30)를 형성하기 위한 코어에 대략적인 ㄴ자 형상의 인서트물(100)을 밀착시키고, 용융PB를 분사시킨 후 가열된 금형의 온도에 의해 위 인서트물(100)의 외부표면이 융착되고 나면 코어를 제거하여 절곡유로(40)를 형성하게 된다.
이 경우, 인서트물(100)과 코어가 밀착되는 부분이 제1절곡부(41)가 되고, 상방으로 절곡되는 부분이 제2절곡부(42)가 됨으로써 2회 절곡된다.
이 때, 절곡유로(40)의 출구측에는 사용되는 인서트물(100)의 직경보다 클 수 있기 때문에, 인서트물(100)의 일말단부에 별도의 코어를 결합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에는, 인서트물(100)과 위 코어를 결착하기 위해 인서트물(100)의 일단부에는 걸림홈(110)을 형성하고, 위 걸림홈(110)에 대응되는 코어부분에는 걸림턱을 형성하여 용융PB 분사시에 위 인서트물(100)과 위 코어가 서로 어긋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위 인서트물(100)은 가열된 금형의 온도에 의해 그 외부표면이 절곡유로(40)의 내부표면에 융착됨으로써 일체화되는 것이므로, PB연결구(200)의 소재보다는 용융점이 높고, 뒤틀림 등의 기계적 변형이 생기지 않도록 PB연결구(200)의 소재보다 기계적 강도가 높은 스테인레스(SUS), 황동, 나일론, PC, ABS, FRP 또는 엔지니어 플라스틱 등이 적합하다.
그러나, 위 인서트물(100)은 PB연결구(200)의 재질과 동일할 수 있다. 이는, 통상 PB연결구(200)를 재활용하고자 하는 경우에 이를 분쇄하고 녹여 재성형을 하게 되는데, 만일 위 인서트물(100)이 PB연결구(200)와 다른 재질로 되면 재활용할 수 없게 될 뿐만 아니라 그 자체가 산업폐기물이 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한편, 도 6과 같이, 상기 기준유로(30)와 상기 절곡유로(40) 사이의 절곡부 하부에는 PB연결구(200)의 평행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받침대(50)와, 상기 PB연결구(200)의 장착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받침대(50) 하부에 위치결정블록(51)이 형성되어 있다.
받침대(50)는 기준유로(30)와 절곡유로(40)가 꼬인 위치관계에 있기 때문에 실제 수전함(500)에 장착시 PB연결구(200)의 평형을 유지하게 된다.
이때, 위치결정블록(51)은 PB연결구(200)의 장착되는 위치를 결정하게 된다. 이 경우, PB연결구(200)가 안착되는 수전함(500)의 바닥면에는 PB연결구(200)의 위치결정블록(51)이 삽입되는 삽입홈(520)이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PB연결구(200)는 삽입홈(520)에 삽입되어 결정된 위치로부터 이탈이 방지된다.
또한, 받침대(50)의 말단부에는 PB연결구(200)의 결정된 위치를 유지하면서 수전함(500)에 볼트(B)에 의해 결합되는 고정구(53)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수전함(500)의 바닥면에는 고정구(53)와 대응되는 위치에 고정구(53)를 통해 볼트(B)가 결합되는 다수의 고정홈(510)이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고정홈(510)은 PB연결구(200)가 장착되는 방향을 따라, 즉 위치결 정블록(51)을 중심으로 원의 궤적을 가지며 방사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PB연결구(200)는 고정구(53)을 통한 볼트(B)가 다수의 고정홈(510)에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음에 따라 원하는 방향으로 장착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커버부재(300)는 도 3 및 도 6과 같이, 수전함(500)의 개방된 전면을 커버하게 된다. 이때, PB연결구(200)와 수전구(350) 사이에는 수전구(350)와 PB연결관(600)을 연결하는 2개의 밸브소켓(60)이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 2개의 밸브소켓(60) 중 하나는 온수이고, 다른 하나는 냉수가 흐르게 된다.
그리고, 수전함(500)의 전면에는 속커버(400)가 고정된다. 속커버(400)는 벽체에 매립된 수전함(500)의 전면에 고정되어 벽체의 마감공사에 이용되는 몰타르 또는 타일과 동일면을 이루게 된다.
이 상태에서 커버부재(300)가 수전함(500)의 전면을 커버하게 된다.
상기 커버부재(300)에는 2개의 밸브소켓(60) 선단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밸브소켓(60)의 형상과 대응되는 2개의 소켓구(303)가 형성되어 있으며, 소켓구(303)는 동일한 수평선상에 위치된 상태이다.
이때, 소켓구(303)의 직경은 밸브소켓(60)의 직경보다 소정 직경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밸브소켓(60)이 하나인 경우에는 소켓구(303)의 직경과 관계없이 밸브소켓(60)이 소켓구(303)를 통과하기에는 무리가 없으나, 밸브소켓(60)이 2개인 경우에는 PB연결구(200)에 고정되는 밸브소켓(60) 작업이 수작업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각 밸브소켓(60)이 동일한 수평선상에 위치하기가 힘들기 때문 에 밸브소켓(60)이 소켓구(303)에 끼워지는 과정에서 수평을 유지하기 위한 소정의 유동공간을 주기 위함이다.
이로 인해, 각 밸브소켓(60)에 연결되는 수전구(350) 또한 수평을 유지하게 된다.
커버부재(300)의 각 소켓구(303)에는 소켓구(303)와 인접하는 한 쌍의 나사공(310)이 형성되고, 상기 밸브소켓(60)의 외면에는 상기 나사공(310)에 대응되는 위치에 한 쌍의 지지돌기(63)가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한 쌍의 나사공(310)에는 수전함(500)과 커버부재(300)가 결합되는 과정에서 수전함(500)과 커버부재(300)와의 거리편차에 따라 체결되며 결합볼트(320) 머리가 나사공(310) 내부로 진입 가능하도록 삽입부(31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삽입부(313)에는 소켓구(303) 방향으로 밸브소켓(60)이 소켓구(303)에 끼워짐과 동시에 밸브소켓(60)의 지지돌기(63)가 입출가능토록 입출홈(315)이 더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밸브소켓(60)은 지지돌기(63)가 입출홈(315)을 통과하여 삽입부(313)에 위치되고, 커버부재(300)의 소켓구(303)에 끼워진 상태임에 따라 PB연결관(600)으로부터의 풀림이 방지된다.
이 상태에서, 나사공(310)에는 커버부재(300)와 수전함(500)의 전면 개방부를 커버하기 위해 결합볼트(320)가 체결된다.
이때, 결합볼트(320)는 나사공(310)에 결합되면서 결합볼트(320)의 머리가 삽입부(313)로 진입하게 되어 밸브소켓(60)의 지지돌기(63)와 접촉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커버부재(300)는 각 결합볼트(320)의 머리가 지지돌기(63)에 일률적으로 접촉을 이루게 되고, 수전함(500)으로부터 동일한 거리편차(d)를 유지하게 된다.
반면, 수전함(500)과 커버부재(300)와의 거리편차(d)가 생기는 경우에는, 거리편차(d)가 발생된 만큼 결합볼트(320)를 삽입부(313)로 더 진행되도록 하여 결합볼트(320)의 머리가 지지돌기(63)와 접촉을 이루도록 함으로서 거리편차(d)의 보정이 가능해진다.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해, 벽체의 마감시공에 따른 몰타를 또는 타일의 시공상태가 불량하더라도, 수전함(500)과 커버부재(300) 간의 거리편차(d)에 대한 보정이 가능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구성중 수전함과 커버부재(300) 간의 거리편차가 보정된 상태를 나타낸 참고도이다.
예를 들어, 수전함(500)과 커버부재(300) 사이에 벽체의 마감공사에 의해 거리편차(d)가 발생하는 경우, 먼저 커버부재(300)를 수평으로 유지한 상태에서 거리편차(d)가 발생된 만큼 각 결합볼트(320)를 조인다.
이때, 각 결합볼트(320)의 머리는 나사공(310)의 삽입부(313)로 계속 진입하게 되고, 어느 순간 밸브소켓(60)의 지지돌기(63)와 접촉을 이루게 된다.
이 경우, 커버부재(300)는 수평을 유지한 상태이며 각 결합볼트(320)가 삽입부(313)에 수용된 상태로서, 수전함(500)이 벽체평면에 대해 거리편차(d)가 생긴 상태로 설치된다고 하더라도 위 결합볼트(320)가 밸브소켓(60)의 지지돌기(63)와 접촉하게 되는 것에 의해 수전함(500)과 커버부재(300)간의 거리편차(d)가 보정되어 결국, 커버부재(300)는 벽체와 평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나사공(310) 및 지지돌기(63)를 각각 한 쌍으로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한편, 커버부재(300)에는 체결볼트(340)를 통해 수전함(500)과 체결되기 위한 3개의 체결공(330)이 커버부재(300)의 상부 중심과 하부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수전함(500)에는 커버부재(300)의 각 체결공(330)과 대응되는 위치에 체결공(330)을 통과한 체결볼트(340)가 결합되는 결합공(530)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결합공(530)은 수전함(500)의 전면에 고정되는 속커버(400)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결합공(53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이 위치결정슬롯(540)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위치결정슬롯(540)은 상호 마주하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 있고, 그 형상은 커버부재(300) 상부 중심의 체결공(330)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결합공(530)을 중심으로 형성되는 원형궤적을 따르도록 곡선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커버부재(300)가 수전함(500)에 체결볼트(340)를 통해 고정되는 경우, 체결볼트(340)는 커버부재(300) 상부 중심의 체결공(330)을 통해 체결볼트(340)가 결합공(530)에 결합된다. 이 경우, 체결볼트(340)는 수전함(500)과 커버부재(300) 사이의 각도편차(θ)를 보정하기 위해 커버부재(300)가 회전될 수 있는 회전중심을 형성하게 된다.
결국, 수전함(500)과 커버부재(300) 사이에 각도편차(θ)가 발생 되더라도, 커버부재(300)가 수전함(500) 상부의 결합공(530)을 중심으로 좌우회전이 가능해짐에 따라 수전함(500)과 커버부재(300) 사이의 각도편차(θ)에 대한 보정이 가능해진다.
이때, 위치결정슬롯(540)으로는 보정된 각도를 유지하도록 커버부재(300) 하부의 양측에 각각 형성된 체결공(330)을 통해 체결볼트(340)가 고정된다. 이 경우, 커버부재(300)의 보정된 각도편차(θ)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은, 위치결정슬롯(540)의 형상이 원형궤적을 유지하는 곡선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아울러, 커버부재(300)는 각도편차(θ)가 보정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체결볼트(340)의 결합에 의해 수전함(500)을 커버하게 된다.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해, 수전함(500)과 커버부재(300) 사이에 각도편차(θ)가 발생하더라도, 이에 대한 보정이 가능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구성중 수전함과 커버부재간의 각도편차가 보정된 상태를 나타낸 참고도이다.
예를 들어, 수전함(500)이 벽돌의 조적과정에서 각도가 틀어진 경우, 먼저 체결볼트(340)를 커버부재(300) 상부 중심의 체결공(330)을 통해 이에 대응하는 속커버(400)에 형성된 결합공(530)에 결합시킨다.
이렇게 되면, 커버부재(300)는 체결볼트(340)의 결합에 의해 좌우로 회전가능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커버부재(300)는 체결공(330)을 중심으로 좌우로 회전하면서 수전함(500)과 커버 사이의 각도편차(θ)를 보정하고, 이후 커버부재(300)의 하부 양측에 형성된 체결공(330)과 속커버(400)에 형성된 각 위치결정슬롯(540)을 체결볼트(340)를 통해 고정하여 보정된 각도편차(θ)를 유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커버부재(300)는 수전함(500)의 각도편차(θ)가 소정각도로 틀어지더라도 항상 수평을 유지한 상태로 설치가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커버부재(300)와 수전함(500) 사이의 각도편차(θ)를 보정하는 경우에는 다음과 같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벽체매립형 수전함의 연결구조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
커버부재(300)의 후면에는 결착봉(370)이 형성되어 있다. 결착봉(370)은 수전함(500)과 마주하는 커버부재(300)의 후면 상부에 돌출되어 수전함(500)과 커버부재(300) 사이에 발생되는 각도편차(θ)를 보정할 수 있도록 커버부재(300)의 회전중심을 형성하게 된다.
이를 위해, 수전함(500)의 전면 즉 속커버(400)의 전면에는 결착봉(370)과 대응되며 결착봉(370)이 삽입될 수 있도록 결착공(550)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커버부재(300)는 결착봉(370)이 결착공(550)에 끼워짐에 따라 좌우회전이 가능해지고, 이로 인해 수전함(500)과 커버부재(300) 사이에 각도편차(θ)가 발생 되더라도 커버부재(300)의 좌우회전에 의해 각도편차(θ)의 보정이 가능해진다.
또한, 커버부재(300)에는 커버부재(300)의 보정된 각도편차(θ)를 유지하도 록 체결볼트(340)를 통해 수전함(500)과 체결되기 위한 4개의 체결공(330)이 상부와 하부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수전함(500) 즉 속커버(400)의 전면에는 커버부재(300)의 각 체결공(330)과 대응되는 위치에 체결공(330)을 통과한 체결볼트(340)가 결합되는 결합공(530)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결합공(530)은 위치결정슬롯(540)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위치결정슬롯(540)은 상부와 하부에 상호 마주하는 상태로 형성되어 있고, 그 형상은 커버부재(300)의 결착봉(370)을 중심으로 형성되는 원형궤적을 따르도록 곡선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커버부재(3000의 결착봉(370)이 결착공(550)에 끼워지게 되는 경우, 커버부재(300)가 수전함(500)과 커버부재(300) 사이의 각도편차(θ)를 보정하기 위해 회전될 수 있는 회전중심을 형성하게 된다.
결국, 수전함(500)과 커버부재(300) 사이에 각도편차(θ)가 발생 되더라도, 커버부재(300)가 결착공(550)을 중심으로 좌우회전이 가능해짐에 따라 수전함(500)과 커버부재(300) 사이의 각도편차(θ)에 대한 보정이 가능해진다.
이때, 각 위치결정슬롯(540)으로는 보정된 각도를 유지하도록 커버부재(300) 하부의 양측에 각각 형성된 체결공(330)을 통해 체결볼트(340)가 고정된다. 이 경우, 커버부재(300)의 보정된 각도편차(θ)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은, 위치결정슬롯(540)의 형상이 원형궤적을 유지하도록 곡선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아울러, 커버부재(300)는 각도편차(θ)가 보정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체결볼 트(340)의 결합에 의해 수전함(500)을 커버하게 된다.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해, 수전함(500)과 커버부재(300) 사이에 각도편차(θ)가 발생하더라도, 각도편차(θ)에 대한 보정이 가능하다.
도 10은 본 발명의 구성중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전함과 커버부재간의 각도편차가 보정된 상태를 나타낸 참고도이다.
예를 들어, 수전함(500)이 벽돌의 조적과정에서 각도가 틀어진 경우, 먼저 커버부재(300)의 결착봉(370)을 수전함(500) 즉 속커버(400)의 전면에 형성된 결착공(550)에 결합시킨다.
이렇게 되면, 커버부재(300)는 결착봉(370)과 결착공(550)의 결합에 의해 좌우로 회전가능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커버부재(300)는 결착봉(370)을 중심으로 좌우로 회전하면서 수전함(500)과 커버 사이의 각도편차(θ)를 보정하고, 이후 커버부재(300)의 상부와 하부에 상호 마주하는 상태로 형성된 각 체결공(330)과 속커버(400)에 형성된 각 위치결정슬롯(540)을 체결볼트(340)를 통해 고정하면서 보정된 각도편차(θ)를 유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커버부재(300)는 수전함(500)의 각도편차(θ)가 소정각도로 틀어지더라도 항상 수평을 유지한 상태로 설치가 가능하다.
한편, 수전함 내부의 연결구 사이 간격이 변하는 경우에는, 변화된 간격에 맞도록 플라스틱 재질로 된 별도의 연결파이프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는, 밸브소켓(60)이 PB연결구(200)의 토출측과 수전함 사이에 위치된 상태 임에 따라, PB연결구(200)의 토출측과 밸브소켓(60) 사이에 변화된 간격에 맞는 연결파이프를 절단하여 연결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종래의 황동연결파이프 또는 호스와 같은 상대적으로 단가가 저렴한 플라스틱 재질의 연결파이프가 사용됨에 따라 시공이 용이하고 무엇보다도 단가가 저렴하며 냉온수의 흐름을 원활하게 유지할 수가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벽체매립형 수전함(500)의 연결구조는 PB연결구(200)에 의해 냉온수의 유입관(10a), 유출관(10b) 및 냉온수가 토출되는 수전구의 위치가 다른 것을 보상하며, 수전함(500)과 커버부재(300) 사이에 거리편차와 각도편차에 대한 보정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서도 다양한 개조나 변형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커버부재(300)에 형성된 나사공(310) 및 밸브소켓(60)에 형성된 지지돌기(63)를 각각 한 쌍으로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벽체매립형 수전함(500)의 연결구조에 사용된 PB연결구(200) 내의 인서트물(100)은 PB연결구(200)의 유로 내부에서 그 외부표면이 융착되는 것이라면 특정한 재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종래의 PB연결구 및 코어의 사용방법을 보여주는 개략도.
도 2a 및 도 2b는 종래의 수전함 시공 상태가 수직 및 수평에 따라 틀어진 상태를 나타낸 요부 평면도 및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체매립형 수전함의 연결구조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벽체매립형 수전함의 연결구조의 구성중 PB연결구와 밸브소켓이 분해된 상태를 나타낸 저면사시도.
도 5는 도 4의 PB연결구의 종단면도.
도 6은 도 3의 결합된 상태로 PB연결구와 밸브소켓이 수전함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요부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구성중 수전함과 커버부재간의 거리편차가 보정된 상태를 나타낸 참고도.
도 8은 본 발명의 구성중 수전함과 커버부재간의 각도편차가 보정된 상태를 나타낸 참고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벽체매립형 수전함의 연결구조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구성중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전함과 커버부재간의 각도편차가 보정된 상태를 나타낸 참고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a...유입관 10b...유출관
10,500...수전함 20,300...커버부재
30...기준유로 40...절곡유로
41...제1절곡부 42...제2절곡부
50...받침대 51...위치결정블록
53...고정구 60...밸브소켓
63...지지돌기 100...인서트물
110...걸림홈 200...PB연결구
303...소켓구 310...나사공
313...삽입부 315...입출홈
320...결합볼트 330...체결공
340...체결볼트 350...수전구
370...결착봉 400...속커버
510...고정홈 520...삽입홈
530...결합공 540...위치결정슬롯
550...결착공 600...연결관
d...거리편차 θ...각도편차
B...볼트

Claims (11)

  1. 벽체에 매립되며 전면에는 다수의 결합공(530)이 형성된 수전함(500)과; 상기 수전함(500)으로 냉수 또는 온수의 유입관(10a), 유출관(10b) 및 수전구(350)가 각각 연결되는 PB연결구(200)와; 상기 수전구(350)와 PB연결구(200)를 연결하는 밸브소켓(60)과; 상기 밸브소켓(60)의 선단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소켓구(303)가 형성되고, 상기 수전함(500)의 상기 결합공(530)에 대응되며 체결볼트(340)가 끼워지도록 다수의 체결공(330)이 형성되어, 상기 수전함(500)의 전면을 커버하는 커버부재(300); 를 포함하는 벽체매립형 수전함의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PB연결구(200)에는,
    양말단부가 개방된 직선형의 기준유로(30) 상에서 연통되게 연결되고 2이상의 굴곡부를 가진 절곡유로(40)와; 상기 절곡유로(40)의 내벽에 외부표면이 융착된 중공의 인서트물(100)과; 상기 기준유로(30)와 상기 절곡유로(40) 사이의 절곡부 하부에는 평행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받침대(50)와; 상기 PB연결구(200)의 장착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받침대(50) 하부에 위치결정블록(51)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부재(300)의 상기 소켓구(303)에는 소켓구(303)와 인접하는 나사공(310)이 형성되고, 상기 수전함(500)과 상기 커버부재(300) 사이의 거리편차(d)에 따라 체결되며 결합볼트(320) 머리가 상기 나사공(310) 내부로 진입 가능하도록 삽입부(313)가 형성되며, 상기 밸브소켓(60)의 외면에는 상기 나사공(310)에 대응되는 위치에 지지돌기(63)가 형성되어,
    상기 나사공(310)에 체결되는 결합볼트(320)가 나사공(310)에 결합되면서 결합볼트(320)의 머리가 상기 밸브소켓(60)의 상기 지지돌기(63)와 접촉하도록 하여 상기 수전함(500)과 상기 커버부재(300) 사이의 거리편차(d)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매립형 수전함의 연결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물(100)의 일말단부에는 사출성형시 사용되는 별도의 코어와 결착되기 위한 위치고정용 걸림홈(11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매립형 수전함의 연결구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물(100)은 스테인레스(SUS), 황동, 나일론, PC, ABS, FRP 또는 엔지니어 플라스틱 중 어느 하나의 소재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매립형 수전함의 연결구조.
  4. 제 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물(100)의 재질은 상기 PB연결구(200)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매립형 수전함의 연결구조.
  5. 제 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전함(500)의 바닥면에는 상기 PB연결구(200)의 위치결정블록(51)이 삽입되는 삽입홈(520)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매립형 수전함의 연결 구조.
  6. 제 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50)에는 상기 PB연결구(200)가 상기 수전함(500)에 볼트(B)결합되도록 고정구(53)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전함(500)의 바닥면에는 상기 고정구(53)를 통해 결합되는 볼트(B)가 고정되는 다수의 고정홈(510)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매립형 수전함의 연결구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홈(510)은 상기 PB연결구(200)가 장착되는 방향을 따라 원의 궤적을 가지며 방사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매립형 수전함의 연결구조.
  8. 삭제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313)에는 상기 소켓구(303) 방향으로 밸브소켓(60)의 지지돌기(63)가 입출가능토록 입출홈(315)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매립형 수전함의 연결구조.
  10. 제 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300)에 형성된 다수의 체결공(330)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수전함(500)과 상기 커버부재(300) 사이의 각도편차(θ)를 보정하기 위해 회전중심을 형성하는 체결볼트(340)가 결합되며, 나머지 체결공(330)에 대응되는 상기 수전함(500)의 결합공(530)은 위치결정슬롯(54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매립형 수전함의 연결구조.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300)에 형성된 다수의 체결공(330)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수전함(500)과 상기 커버부재(300) 사이의 각도편차(θ)를 보정하기 위해 회전중심을 형성하는 결착봉(370)이 형성되고, 상기 수전함(500)의 전면에는 상기 결착봉(370)이 삽입될 수 있도록 결착공(550)이 형성되어 있으며, 나머지 체결공(330)에 대응되는 상기 수전함(500)의 결합공(530)은 위치결정슬롯(54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매립형 수전함(500)의 연결구조.
KR1020090005479A 2009-01-22 2009-01-22 벽체매립형 수전함의 연결구조 KR1009337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5479A KR100933749B1 (ko) 2009-01-22 2009-01-22 벽체매립형 수전함의 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5479A KR100933749B1 (ko) 2009-01-22 2009-01-22 벽체매립형 수전함의 연결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3749B1 true KR100933749B1 (ko) 2009-12-24

Family

ID=416846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5479A KR100933749B1 (ko) 2009-01-22 2009-01-22 벽체매립형 수전함의 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3749B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6724B1 (ko) 2012-06-27 2014-05-19 대림통상 주식회사 벽붙이 수전 체결용 박스
KR101425508B1 (ko) 2014-01-15 2014-08-01 이누리 벽체 매립형 오픈 수전함
KR101883370B1 (ko) * 2017-11-28 2018-07-30 주식회사 새롬테크 벽체매립형 수전함
KR101998883B1 (ko) 2019-03-18 2019-07-10 이주환 노출형 냉온수관 연결 구조
KR20190094871A (ko) * 2018-02-06 2019-08-14 강옥수 매립 배관 연결 유니트
CN110593358A (zh) * 2019-10-18 2019-12-20 梁洪俊 一种暗埋式管路装置
KR102081337B1 (ko) * 2018-11-07 2020-02-25 주식회사 신한세라믹 매립형수전함
KR20210154557A (ko) * 2020-06-12 2021-12-21 주식회사 정산애강 배관 조립체가 구비된 벽체 매립형 수전함
KR102433521B1 (ko) 2021-09-08 2022-08-18 유새롬 수전 장치 및 수전 연결구 분리 방법
KR20230036869A (ko) 2021-09-08 2023-03-15 유새롬 수전 연결구 고정 구조 및 수전 장치
KR20230036878A (ko) 2021-09-08 2023-03-15 유새롬 수전 연결구 고정 방법 및 분리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50811A (ja) * 1988-08-12 1990-02-20 Ube Ind Ltd 中空製品の成形方法およびその製品
JPH09271924A (ja) * 1996-02-09 1997-10-21 Ryobi Ltd クローズドデッキタイプシリンダブロック鋳造装置と該装置に用いられる砂中子との組合せ
KR20080076279A (ko) * 2007-02-15 2008-08-20 주식회사 애강 파이프 임시 고정부재가 구비된 벽체 매립 상자 및 이를이용한 파이프 이음관 시공방법
KR20080099064A (ko) * 2007-05-08 2008-11-12 신기빈 벽체 매립형 수전장치 및 벽체 매립형 수전장치용 챔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50811A (ja) * 1988-08-12 1990-02-20 Ube Ind Ltd 中空製品の成形方法およびその製品
JPH09271924A (ja) * 1996-02-09 1997-10-21 Ryobi Ltd クローズドデッキタイプシリンダブロック鋳造装置と該装置に用いられる砂中子との組合せ
KR20080076279A (ko) * 2007-02-15 2008-08-20 주식회사 애강 파이프 임시 고정부재가 구비된 벽체 매립 상자 및 이를이용한 파이프 이음관 시공방법
KR20080099064A (ko) * 2007-05-08 2008-11-12 신기빈 벽체 매립형 수전장치 및 벽체 매립형 수전장치용 챔버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6724B1 (ko) 2012-06-27 2014-05-19 대림통상 주식회사 벽붙이 수전 체결용 박스
KR101425508B1 (ko) 2014-01-15 2014-08-01 이누리 벽체 매립형 오픈 수전함
KR101883370B1 (ko) * 2017-11-28 2018-07-30 주식회사 새롬테크 벽체매립형 수전함
KR20190094871A (ko) * 2018-02-06 2019-08-14 강옥수 매립 배관 연결 유니트
KR102039614B1 (ko) 2018-02-06 2019-11-01 강옥수 매립 배관 연결 유니트
KR102081337B1 (ko) * 2018-11-07 2020-02-25 주식회사 신한세라믹 매립형수전함
KR101998883B1 (ko) 2019-03-18 2019-07-10 이주환 노출형 냉온수관 연결 구조
CN110593358A (zh) * 2019-10-18 2019-12-20 梁洪俊 一种暗埋式管路装置
KR20210154557A (ko) * 2020-06-12 2021-12-21 주식회사 정산애강 배관 조립체가 구비된 벽체 매립형 수전함
KR102351575B1 (ko) * 2020-06-12 2022-01-14 주식회사 정산애강 배관 조립체가 구비된 벽체 매립형 수전함
KR102433521B1 (ko) 2021-09-08 2022-08-18 유새롬 수전 장치 및 수전 연결구 분리 방법
KR20230036869A (ko) 2021-09-08 2023-03-15 유새롬 수전 연결구 고정 구조 및 수전 장치
KR20230036878A (ko) 2021-09-08 2023-03-15 유새롬 수전 연결구 고정 방법 및 분리 방법
KR102570032B1 (ko) 2021-09-08 2023-08-23 유새롬 수전 연결구 고정 방법 및 분리 방법
KR102570031B1 (ko) 2021-09-08 2023-08-23 유새롬 수전 연결구 고정 구조 및 수전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3749B1 (ko) 벽체매립형 수전함의 연결구조
CA2588613A1 (en) Built-in wall water service box
US10767352B2 (en) Hybrid faucet assembly and water way for same
CN101137861B (zh) 阀组件
US6973681B2 (en) Spa jet mounting assembly and method of installation
US12078364B2 (en) Manifold for the distribution of a fluid in a plumbing and heating system and relative distribution kit
KR102062336B1 (ko) 냉온수 혼합수전
KR101022243B1 (ko) 벽체매립형 수전함의 설치방법
KR101237984B1 (ko) 벽면 배관에 대한 수전 연결구
JP4486406B2 (ja) 混合水栓
KR20060114487A (ko) 비수전함형 수전결합 시스템
JP2003232057A (ja) 水道用コンセントおよびその壁面または床面埋込み方法
AU2022406688A1 (en) Water distributor
KR101008756B1 (ko) 인서트에 의한 누수방지용 밸브소켓
KR101527128B1 (ko) 배관연결구 및 이를 구비한 배관연결 매립함
KR100886361B1 (ko) 벽체 매립형 수전함
KR100886360B1 (ko) 벽체 매립형 수전장치 및 벽체 매립형 수전장치용 챔버
KR102339280B1 (ko) 냉온수 일체형 다목적 수전함
JP6840628B2 (ja) 継手収容ボックス、継手収容ボックスと配管保護カバーとの組付装置、及び混合水栓の設置構造
JP7246024B2 (ja) 水栓及び水栓の製造方法
KR101937484B1 (ko) 벽붙이 수전
CN109723106B (zh) 龙头
KR100902865B1 (ko) 피비연결구의 제조방법
KR100629804B1 (ko) 난방용수 분배기
KR100851675B1 (ko) 하수관 연결구용 수밀 연결구조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3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