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7128B1 - 배관연결구 및 이를 구비한 배관연결 매립함 - Google Patents

배관연결구 및 이를 구비한 배관연결 매립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7128B1
KR101527128B1 KR1020140016208A KR20140016208A KR101527128B1 KR 101527128 B1 KR101527128 B1 KR 101527128B1 KR 1020140016208 A KR1020140016208 A KR 1020140016208A KR 20140016208 A KR20140016208 A KR 20140016208A KR 101527128 B1 KR101527128 B1 KR 1015271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path
connection
axis
piping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62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옥수
Original Assignee
강옥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옥수 filed Critical 강옥수
Priority to KR10201400162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7128B1/ko
Priority to PCT/KR2015/001145 priority patent/WO2015122645A1/ko
Priority to US15/109,648 priority patent/US10167984B2/en
Priority to CN201580003763.4A priority patent/CN105899866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71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71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7/00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 F16L47/26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for branching pipes; for joining pipes to walls; Adaptors therefor
    • F16L47/32Branch units, e.g. made in one piece, welded, rive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5/00Screw-threaded joints; Forms of screw-threads for such joints
    • F16L15/006Screw-threaded joints; Forms of screw-threads for such joints with straight thre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관연결구 및 이를 구비한 배관연결 매립함에 있어서, 제1 유로축선을 따라 형성된 제1 유로와, 상기 제1 유로축선에 대해 교차하지 않는 제2 유로축선을 따라 형성된 제2 유로와, 상기 제1 유로축선을 따라 상기 제1 유로에 제1 외부배관이 접속되는 제1 접속부와, 제2 유로축선을 따라 상기 제2 유로에 제2 외부배관이 접속되는 제2 접속부를 가지는 연결구본체와, 상기 연결구본체 내에 매립되며, 상기 제1 유로의 측벽을 통해 상기 제1 유로 내부로 개방된 제1 개구부를 가지고 상기 제1 유로축선에 가로방향으로 연장된 제1 연결유로와, 상기 제1 연결유로로부터 절곡 연장되며 상기 제2 유로축선을 따라 개방된 제2 개구부를 갖는 제2 연결유로를 가진 인서트물을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단일의 플라스틱 재료의 사출성형으로 제조 가능한 서로 교차하지 않는 유로들을 가진 배관연결구를 제공한다. 또한, 서로 교차하지 않는 유로들을 가진 배관연결구를 이용하여 공간효율적이고 슬림한 배관연결 매립함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배관연결구 및 이를 구비한 배관연결 매립함 {Pipe fittings and reclamation box having pipe fittings}
본 발명은 배관연결구 및 이를 구비한 배관연결 매립함에 관한 것이다.
건물 내부에 냉수 및 온수를 분배하기 위해 배관연결 매립함이 사용되고 있다. 배관연결 매립함에는 여러 방향으로 냉수 및 온수를 공급하기 위해 다양한 배관구조를 가지는 연결구가 연결된다.
이러한 배관 연결구들은 대체로 플라스틱 사출에 의해 성형된다. 그러나 이 사출 공법은 내부 유로가 서로 교차할 경우에만 이용가능하며, 서로 교차하지 않는 유로를 가진 경우에는 그 유로들을 상호 연결하는 내부 유로를 슬라이드 코어 등으로 형성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그래서 서로 교차하지 않는 둘 이상의 유로를 가진 연결구의 경우에는 플라스틱 사출 공법이 아닌 황동이나 주철 등 금속제를 이용한 주조 공법으로 제조한다. 금속제 연결구는 중량이 무겁고 생산성이 현저히 떨어지며, 재료비 등이 높기 때문에 사출 제품에 비해 제조비용이 매우 높다.
한편, 비교차 유로들을 상호 연결하는 내부 유로를 별도로 금속제로 제조하여 인서트 사출하는 기법도 예상할 수 있지만, 이 역시 별도의 내부 유로용 인서트물을 금속으로 주조하여야 한다는 문제를 안고 있고, 플라스틱과는 다른 이종재료이기 때문에 실제 사용 환경에서 온도의 변화나 재료의 변형에 의해 플라스틱과 분리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여 내구적 사용에 한계가 존재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단일의 플라스틱 재료의 사출성형으로 제조 가능한 서로 교차하지 않는 유로들을 가진 배관연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서로 교차하지 않는 유로들을 가진 배관연결구를 이용하여 공간효율적이고 슬림한 배관연결 매립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배관연결구에 있어서, 제1 유로축선을 따라 형성된 제1 유로와, 상기 제1 유로축선에 대해 교차하지 않는 제2 유로축선을 따라 형성된 제2 유로와, 상기 제1 유로축선을 따라 상기 제1 유로에 제1 외부배관이 접속되는 제1 접속부와, 제2 유로축선을 따라 상기 제2 유로에 제2 외부배관이 접속되는 제2 접속부를 가지는 연결구본체와, 상기 연결구본체 내에 매립되며, 상기 제1 유로의 측벽을 통해 상기 제1 유로 내부로 개방된 제1 개구부를 가지고 상기 제1 유로축선에 가로방향으로 연장된 제1 연결유로와, 상기 제1 연결유로로부터 절곡 연장되며 상기 제2 유로축선을 따라 개방된 제2 개구부를 갖는 제2 연결유로를 가진 인서트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연결구에 의해서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2 개구부는 축심에 대해서 적어도 일부 둘레 영역에 비 원형 형상의 회전멈춤형상부를 갖는 것이 인서트물이 회전멈춤되도록 하여 정확히 위치설정을 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개구부는 상기 제1 유로의 내벽면과 일치하는 만곡절취단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연결유로는 상기 제2 연결유로보다 두꺼운 벽두께를 가지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연결유로의 외벽과 내벽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보강리브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연결유로와 상기 제2 연결유로는 예각으로 교차하는 것이 배관연결 매립함의 두께를 줄일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술한 배관연결구를 구비한 배관연결 매립함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단일의 플라스틱 재료의 사출성형으로 제조 가능한 서로 교차하지 않는 유로들을 가진 배관연결구를 제공한다. 또한, 서로 교차하지 않는 유로들을 가진 배관연결구를 이용하여 공간효율적이고 슬림한 배관연결 매립함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관연결구의 제1 실시예의 평면도이며,
도 2는 도 1의 II-II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3은 인서트물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관연결구의 제2 실시예의 평면도이며,
도 5은 본 발명에 따른 배관연결 매립함의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관연결구(100)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관연결구(100)의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관연결구(100)는 연결구본체(110)와 연결구본체(110) 내에 매립되는 인서트물(120)로 이루어진다.
연결구본체(110)는 제1 유로축선을 따라 형성된 제1 유로(111), 제1 유로축선에 대해 교차하지 않는 제2 유로축선을 따라 형성된 제2 유로(112) 및 제3 유로축선을 따라 제1 유로(111)에 절곡 연결된 제3 유로(113)를 갖는다. 제1 내지 제3 유로(111, 112, 113)들에는 제1 내지 제3 외부배관이 각각 접속되는 제1 내지 제3 접속부(114, 115, 116)가 마련되어 있다. 제2 유로(112)의 하측에는 배관연결구(100)를 후술할 배관연결 매립함(200) 내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117)가 제1 유로축선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된다. 고정부(117)는 배관연결 매립함(200)에 끼움결합, 볼트너트 결합 또는 나사결합 등 다양한 수단으로 결합될 수 있다.
제1 유로(111)와 제2 유로(112)는 상호 교차하지 않는다. 이러한 비교차 유로들을 상호 연결하기 위해 연결유로를 형성하는 인서트물(120)이 연결구본체(110) 내에 매립되어 있다. 인서트물(12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유로(111)의 측벽을 통해 제1 유로(111) 내부로 개방된 제1 개구부(121)를 가지고 제1 유로축선에 가로방향으로 연장된 제1 연결유로(122)와, 제1 연결유로(122)로부터 절곡 연장되며 제2 유로축선을 따라 개방된 제2 개구부(123)를 갖는 제2 연결유로(124)를 갖는다.
제1 연결유로(122)의 말단에 형성된 제1 개구부(121)는 제1 유로(111)의 내벽면과 일치하는 만곡절취단부(125)를 갖는다. 만곡절취단부(125)는 제1 유로(111) 내에 삽입되는 슬라이드 코어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제1 유로(111) 내에 삽입되는 슬라이드 코어와 만곡절취단부(125)는 완전히 밀착된다. 이렇게 밀착된 상태에서 배관연결구(100)를 사출성형 한 뒤 슬라이드 코어를 제거하면 제1 유로(111)와 제1 연결유로(122)는 연통된다.
제2 연결유로(124)에 형성된 제2 개구부(123)는 축심에 대해서 일부 둘레 영역에 한 쌍의 네모난 슬릿 형상의 회전멈춤형상부(126)가 축선에 가로방향으로 서로 대향하여 형성된다. 회전멈춤형상부(126)는 제2 연결유로(124)에 슬라이드 코어가 삽입될 경우 슬라이드 코어가 회전하지 못하도록 인서트물(120)과 슬라이드 코어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제2 연결유로(124)에 삽입되는 슬라이드 코어의 일단에는 회전멈춤형상부(126)에 대응하는 끼움돌기가 형성되어 제2 연결유로(124) 내에서 슬라이드 코어에 대한 인서트물(120)의 회전을 방지하여 위치를 정확히 설정한다. 이러한 회전멈춤형상부(126)는 제2 유로축선에 가로방향의 단면형상이 비원형인 사각단면 혹은 요철 형상 등의 다양한 형상부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제2 연결유로(124)의 두께는 제1 연결유로(122)보다 얇다. 이는 제2 연결유로(124)에는 슬라이드 코어가 삽입되므로 제2 연결유로(124)가 배관연결구(100)의 사출성형 시 용융된 플라스틱 온도로 인해 녹더라도 배관연결구(100)의 제2 유로(112)를 형성하는 데에는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이다.
이에 반해, 제1 연결유로(122)는 제2 연결유로(124)보다 두꺼운 벽 두께를 갖는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제1 연결유로(122)의 두께는 제2 연결유로(124)보다 2배 이상 두껍다. 이는 인서트물(120)을 삽입하여 배관연결구(100)를 사출성형 시 제1 연결유로(122) 내부로 슬라이드 코어가 삽입되지 않기 때문에 용융된 플라스틱의 온도로 인해 제1 연결유로(122)가 녹아서 변형되어 제1 유로(111)와 제1 연결유로(122)가 협착으로 인해 연통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제1 연결유로(122)에는 외벽에 보강리브(127)가 형성되어 있다. 이 보강리브(127) 역시 인서트물(120)을 삽입하여 배관연결구(100)의 사출성형 시 제1 연결유로(122)가 녹아서 변형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인서트물(120)의 제1 연결유로(122)와 제2 연결유로(124)는 예각으로 교차한다. 제1 연결유로(122)와 제2 연결유로(124)가 직각으로 교차할 경우 제1 유로(111)와 제1 연결유로(122)간의 직경 차이로 인해 각 유로들의 높이 차이가 발생하여 배관연결구(100)를 배관연결 매립함(200)내에 매립할 때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 그래서 제1 연결유로(122)와 제2 연결유로(124)가 예각으로 교차하여 배관연결구(100)의 전체 높이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배관연결구(100)를 배관연결 매립함(200)에 설치함에 있어서 배관연결 매립함(200)의 전체 두께를 줄일 수 있고 배관연결 매립함(200) 내에서 배관연결구(100)를 공간효율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관연결구(300)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제2 실시예는 제1 유로(311)와 이 제1 유로(311)와 교차하지 않는 제2 유로(312)를 가진다. 제1 유로(311)를 따라 상호 대향한 제1 접속부(313)와 제3 접속부(315)가 마련되어 있고, 제2 유로(312)를 따라 단일의 제2 접속부(314)가 마련되어 있다. 제1 유로(311)와 제2 유로(312)를 연결하는 인서트물(320) 및 제2유로(312) 하측의 고정부(317)는 도 1의 제1 실시예에서의 인서트물(120) 및 고정부(117)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도시된 실시예 외에 제2 유로축선을 따라 제2 접속부(314)에 대향 배치되는 추가 접속부를 제2 유로(312)에 더 추가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특징인 인서트물을 이용하여 얼마든지 다양한 구조를 가지는 배관연결구의 제조 또한 가능하다.
전술한 배관연결구(100)는 인서트물(120)이 먼저 사출성형 되고 난 뒤 인서트물(120)이 매립된 채 연결구본체(110)가 사출성형 된다. 먼저 성형틀에 인서트물(120)을 삽입 한 뒤 제1 유로(111), 제2 유로(112) 및 제3 유로(113)로 슬라이드 코어가 삽입된다. 제1 유로(111)에 삽입되는 슬라이드 코어는 인서트물(120)의 제1 개구부(121)에 형성된 만곡절취단부(125)와 완전히 밀착된다. 제2 연결유로(124)에 삽입되는 슬라이드 코어는 인서트물(120)의 제2 개구부(123)에 형성된 회전멈춤형상부(126)에 대응하는 끼움돌기를 가지며 회전멈춤형상부(126)의 끼움홈에 끼움돌기가 끼워져 슬라이드 코어에 대해 인서트물(120)이 회전하지 못한다. 제3 유로(113)에 삽입되는 슬라이드 코어는 제1 유로(111)와 서로 교차하게 삽입된다. 슬라이드 코어가 모두 삽입된 뒤 용융된 플라스틱이 사출되면 배관연결구(100)의 사출성형은 완성된다.
도 5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및 제2 배관연결구(100, 400)를 구비한 배관연결 매립함(200)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배관연결 매립함(200)은 벽체에 매립할 내함본체(210)와, 내함본체(210) 내에 수용 장착되는 제1 및 제2 배관연결구(100, 400)로 이루어져 있다.
내함본체(210)에는 벽체에 매립되는 배관(500)이 내함본체(210) 내부로 통과 가능하도록 일면에 복수 개의 배관통과공(211)이 형성되어 있다. 경우에 따라 배관통과공(211)은 내함본체(210)를 통과하는 배관(500)의 개수만큼 가감될 수 있으며 내함본체(210) 일면에 여분의 배관통과공(211)을 더 형성할 수도 있다. 배관통과공(211)에는 배관(500)을 보호하기 위한 주름관(510)이 연결되어 있다. 주름관(510)은 건물의 벽체 내에 매립되어 배관(500)이 콘크리트나 블록에 노출되거나 접촉되지 않도록 보호하는 동시에, 배관(500)의 교체가 필요한 경우 배관(500)의 인출 및 재삽입 등 교체작업이 용이하도록 공간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제1 및 제2 배관연결구(100, 400)는 내함본체(210) 내부에 각각의 고정부를 통하여 나사(215)를 이용하여 결합된다. 이들 결합은 나사(215)를 이용한 결합 외에도 쐐기, 핀, 피스, 후크 등을 이용하여 결합될 수 있다. 제1 배관연결구(100)는 도 1의 배관연결구(100)의 실시예와 동일한 구조로 제1 접속부(114)와 제3 접속부(116)에 벽체에 매립되는 배관(500)이 연결되며, 제2 접속부(115)에는 매립함(200)의 정면으로 인출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배관이 연결된다. 제2 배관연결구(400)는 도 4의 배관연결구(300)의 실시예와 동일한 구조에 제1 유로 및 제2 유로에 대해 서로 교차하는 제3 유로 및 해당 접속부가 추가로 형성된 구조이다. 제2 배관연결구(400)에는 제1 유로의 제1 접속부(413) 및 제3 접속부(416)와, 제3 유로의 제4 접속부(417)에 벽체에 매립되는 배관(500)이 연결되며, 제2 유로의 제2 접속부(414)에 매립함(200)의 정면으로 인출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배관이 연결된다. 제1 및 제2 배관연결구(100, 400)의 제2 접속부(115, 414)에서 매립함 외부로 노출되는 배관은 보일러나 가스 공급부로부터 연결되는 배관과 연결되어 필요에 따라 냉수 및 온수를 분배하거나 가스를 공급한다. 경우에 따라서 배관(500)을 원하는 방향으로 인출하기 위해 다양한 구조의 배관연결구가 내함본체(210) 내에 수용 장착될 수 있다.
100, 300, 400: 배관연결구 110: 연결구본체
111, 311: 제1 유로 112, 312: 제2 유로
113: 제3 유로 114, 313, 413: 제1 접속부
115, 314, 414: 제2 접속부 116, 315, 416: 제3 접속부
117, 317: 고정부 120, 320: 인서트물
121: 제1 개구부 122: 제1 연결유로
123: 제2 개구부 124: 제2 연결유로
125: 만곡절취단부 126: 회전멈춤형상부
127: 보강리브 200: 배관연결 매립함
210: 내함본체 211: 배관통과공
215: 나사 417: 제4 접속부
500: 배관 510: 주름관

Claims (7)

  1. 배관연결구에 있어서,
    제1 유로축선을 따라 형성된 제1 유로와, 상기 제1 유로축선에 대해 교차하지 않는 제2 유로축선을 따라 형성된 제2 유로와, 상기 제1 유로축선을 따라 상기 제1유로에 제1 외부배관이 접속되는 제1 접속부와, 제2 유로축선을 따라 상기 제2 유로에 제2 외부배관이 접속되는 제2 접속부를 가지는 연결구본체와,
    상기 연결구본체 내에 매립되며, 상기 제1 유로의 측벽을 통해 상기 제1 유로 내부로 개방된 제1 개구부를 가지고 상기 제1 유로축선에 가로방향으로 연장된 제1 연결유로와, 상기 제1 연결유로로부터 절곡 연장되며 상기 제2 유로축선을 따라 개방된 제2 개구부를 갖는 제2 연결유로를 가진 인서트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연결구.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개구부는 축심에 대해서 적어도 일부 둘레 영역에 비 원형 형상의 회전멈춤형상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연결구.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구부는 상기 제1 유로의 내벽면과 일치하는 만곡절취단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연결구.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유로는 상기 제2 연결유로보다 두꺼운 벽두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연결구.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유로의 외벽과 내벽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보강리브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연결구.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유로와 상기 제2 연결유로는 예각으로 교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연결구.
  7. 배관연결 매립함에 있어서,
    제1 항 내지 제6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배관연결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연결 매립함.
KR1020140016208A 2014-02-12 2014-02-12 배관연결구 및 이를 구비한 배관연결 매립함 KR1015271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6208A KR101527128B1 (ko) 2014-02-12 2014-02-12 배관연결구 및 이를 구비한 배관연결 매립함
PCT/KR2015/001145 WO2015122645A1 (ko) 2014-02-12 2015-02-04 배관연결구 및 이를 구비한 배관연결 매립함
US15/109,648 US10167984B2 (en) 2014-02-12 2015-02-04 Pipe connector and pipe-connected embedded box including same
CN201580003763.4A CN105899866B (zh) 2014-02-12 2015-02-04 管道连接件及具备其构件的管道连接预埋盒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6208A KR101527128B1 (ko) 2014-02-12 2014-02-12 배관연결구 및 이를 구비한 배관연결 매립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7128B1 true KR101527128B1 (ko) 2015-06-09

Family

ID=535040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6208A KR101527128B1 (ko) 2014-02-12 2014-02-12 배관연결구 및 이를 구비한 배관연결 매립함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167984B2 (ko)
KR (1) KR101527128B1 (ko)
CN (1) CN105899866B (ko)
WO (1) WO201512264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2108B1 (ko) * 2016-08-23 2017-10-31 강옥수 삼방향 배관연결구 제작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7128B1 (ko) 2014-02-12 2015-06-09 강옥수 배관연결구 및 이를 구비한 배관연결 매립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27662U (ko) * 1973-07-03 1975-03-31
JPH0783378A (ja) * 1993-07-30 1995-03-28 Sekisui Chem Co Ltd 管継手
JP3423291B2 (ja) * 1998-03-13 2003-07-07 ザ ゲイツ コーポレイション 成形されたホース・ジョイント・アセンブリ
KR20100102801A (ko) * 2009-03-12 2010-09-27 강옥수 인서트에 의한 누수방지용 밸브소켓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1207A (en) * 1909-04-24 1910-03-08 Harry Vissering Trap for sander devices.
US1668855A (en) * 1922-07-19 1928-05-08 New York Engineering Company Suction elevator
JPS5027662A (ko) 1973-07-13 1975-03-20
US4631212A (en) * 1985-05-01 1986-12-23 Al-Ko Products, Inc. Manifold
US5366257A (en) * 1992-12-30 1994-11-22 Eslon Thermoplastics, A Division Of Sekisui America Corporation Pipe connector
EP0865352A4 (en) * 1995-11-02 2002-08-21 Central Sprinkler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MULTILAYER FLUID CONDUITS
DE20104315U1 (de) * 2001-03-13 2001-05-23 Koenig Christel Anschlußteil für einen Heizkörper sowie Heizkörperanordnung
US6994117B2 (en) 2003-09-25 2006-02-07 Kerr-Mcgee Chemical, Llc Piping elbow liners
US8424923B2 (en) * 2005-10-21 2013-04-23 Dow Corning Corporation Fluid transfer assembly
US8528585B2 (en) * 2006-04-28 2013-09-10 Oil States Energy Services, L.L.C. Quick-change wear sleeve for a high-pressure fluid conduit
KR100713588B1 (ko) 2006-09-28 2007-05-02 에어테크엔지니어링(주) 시공성이 향상된 에어컨 배관연결용 매립박스
DE202007012584U1 (de) 2007-04-02 2008-08-14 Voss Automotive Gmbh Anschlusselement für Medienleitungen sowie Spritzform-Vorrichtung zum Herstellen des Anschlusselementes
US7846573B2 (en) * 2007-06-01 2010-12-07 Cobasys, Llc Coolant manifold
CN201096249Y (zh) 2007-11-01 2008-08-06 辛单力 内置过桥组合三通管件
IT1391194B1 (it) * 2008-08-06 2011-11-18 Dayco Fluid Technologies Spa Gruppo di adduzione per un circuito di aria condizionata con un raccordo a 't'
CN202955400U (zh) 2012-12-05 2013-05-29 浙江楠丰管道工业有限公司 三通式带外丝崁件的钢塑复合管道
KR101527128B1 (ko) 2014-02-12 2015-06-09 강옥수 배관연결구 및 이를 구비한 배관연결 매립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27662U (ko) * 1973-07-03 1975-03-31
JPH0783378A (ja) * 1993-07-30 1995-03-28 Sekisui Chem Co Ltd 管継手
JP3423291B2 (ja) * 1998-03-13 2003-07-07 ザ ゲイツ コーポレイション 成形されたホース・ジョイント・アセンブリ
KR20100102801A (ko) * 2009-03-12 2010-09-27 강옥수 인서트에 의한 누수방지용 밸브소켓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2108B1 (ko) * 2016-08-23 2017-10-31 강옥수 삼방향 배관연결구 제작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899866B (zh) 2017-09-05
CN105899866A (zh) 2016-08-24
WO2015122645A1 (ko) 2015-08-20
US20160334043A1 (en) 2016-11-17
US10167984B2 (en) 2019-0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174403A1 (en) Water Inlet/Outlet Assembly for Faucet
US6260820B1 (en) Valve with rotatable valve member and method for forming same
KR101527128B1 (ko) 배관연결구 및 이를 구비한 배관연결 매립함
JP6168361B2 (ja) マスコンクリート部の打設工法
JP2019025710A (ja) 樹脂製エルボ継手、樹脂製エルボ継手の製造方法、及びインサート
US7947349B2 (en) Moulded piece for a shaft bottom
KR101204760B1 (ko) 배관연결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구조를 갖는 천정매립형 분배기
CA2967274C (en) Ball valve with integrated fitting
KR101794742B1 (ko) 냉온수혼합 수전 및 그 생산방법
KR101792108B1 (ko) 삼방향 배관연결구 제작방법
JP4263975B2 (ja) 融着サドル付き分水栓継手
DK3012084T3 (en) Fitting
JP2005163938A (ja) 管継手
JP6409087B2 (ja) 多重管継手
KR101008756B1 (ko) 인서트에 의한 누수방지용 밸브소켓
JP2012137147A (ja) 分岐サドル継手、およびインサート部材
JP7201316B2 (ja) 分岐継手ユニット
JP6820699B2 (ja) フランジ付き管継手
CN105980638B (zh) 卫生龙头
KR100851675B1 (ko) 하수관 연결구용 수밀 연결구조 및 그 제조방법
KR102662355B1 (ko) 스마트 하이브리드 냉온수분배기
JP6124604B2 (ja) 多重管継手
KR100687286B1 (ko) 상하수관 성형장치
KR102191544B1 (ko) 인서트 몰딩 구조의 앵글밸브
EP2957407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cable with a resin molded bod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