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3588B1 - 시공성이 향상된 에어컨 배관연결용 매립박스 - Google Patents

시공성이 향상된 에어컨 배관연결용 매립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3588B1
KR100713588B1 KR1020060095105A KR20060095105A KR100713588B1 KR 100713588 B1 KR100713588 B1 KR 100713588B1 KR 1020060095105 A KR1020060095105 A KR 1020060095105A KR 20060095105 A KR20060095105 A KR 20060095105A KR 100713588 B1 KR100713588 B1 KR 1007135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refrigerant pipe
refrigerant
air conditioner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51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도영
서경현
Original Assignee
에어테크엔지니어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어테크엔지니어링(주) filed Critical 에어테크엔지니어링(주)
Priority to KR10200600951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35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35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35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26Refrigerant piping
    • F24F1/34Protection means thereof, e.g. covers for refrigerant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36Modules, e.g. for an easy mounting or trans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ther Air-Condition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에어컨 배관연결용 매립박스는, 전면만이 개방된 상태로 건물 벽체에 매립 설치되며, 내부의 일측면에 다수 개의 관통공이 형성되는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의 개방된 전면에 결합 체결되는 커버로 이루어져 상기 관통공을 통해 삽입된 냉매관(1a)(1b)들과 기기측(실내기측 또는 실외기측) 냉매관들(2a)(2b)을 각각 연결하는 에어컨 배관연결용 매립박스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에 연결되는 공간부가 구비된 냉매관 수용부(11)가 상기 케이스(10) 내부에 형성되며; 편평한 양 측면(13)을 가지며, 상기 관통공에 삽입된 냉매관의 끝단부에 결합되는 엘보우형 배관연결구(12)가 상기 냉매관 수용부 내의 공간부에 삽입되며; 상기 엘보우형 배관연결구(12)와 기기측 냉매관(2a)(2b)는 너트형 체결구(17)에 의해 긴밀하게 체결되며; 상기 냉매관 수용부(11)의 전면을 밀폐하는 덮개(2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에어컨, 배관, 매립, 누수, 체결구, 시공성 향상,

Description

시공성이 향상된 에어컨 배관연결용 매립박스 {TERMINAL BOX FOR CONNECTING PIPE OF AIR CONDITIONER}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에어컨 배관연결용 매립박스의 개략적인 형태를 도시한 부분 절개 사시도.
도 2는 상기 도 1의 정면도.
도 3은 상기 도 2의 A-A선 측단면도.
도 4는 냉매관 지지구(14)(22), 단열재 주입공(21), 통로(23)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냉매관 수용부의 실시예를 도시한 설명도.
도 5는 엘보우형 배관연결구(12)와 상기 기기측 냉매관(2a)(2b)과의 체결구조를 도시한 설명도.
도 6은 매립관 손상점검을 위하여 U자 연결관이 설치된 실외기측 배관 연결용 매립박스의 실시 예를 도시한 설명도.
1. 한국 실용신안등록 제20-0288526호(2002.09.11. 공고)
매립형 에어컨 배관 연결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건물의 벽체에 매립설치되는 통상의 박스와; 상기 박스의 전면에 피봇 결합되는 전면커버와; 상기 박스의 내부에 고정설치되고, 상기 박스의 전면측과 인입공측을 연결하는 엘보우(Elbow) 형태의 연결공이 다수 관통형성된 연결블럭과; 상기 연결공의 양측 개구에 결합되는 다수의 냉매관 조인트와; 상기 연결공의 양측 개구에 결합되는 드레인관 조인트와; 배선을 연결할 수 있도록 박스 내측면에 설치되는 단자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2. 한국 실용신안등록 제20-0296843호(2002.11.30. 공고)
벽체에 매립되는 케이스와 벽체에 매립되지 않는 케이스의 개방면에 체결되는 커버로 이루어지되, 상기 케이스의 저면에는 실내기로부터 연장되어 연결되는 배수관 연결구를 수용할 수 있는 연결관 수용부가 상기 케이스의 저면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함몰되어 구성되며, 상기 커버의 테두리부에는 벽면과의 밀폐를 유지하기 위하여 우레탄 고무패킹이 구비되는 삽입홈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3. 한국 특허등록 제10-0511249호(2005.03.08.공개, 2005.08.23.등록)
매립관의 벽체 시공단계에서 그 손상을 점검하기 위하여, 매립관의 실내측 단부에 결합되는 상기 다관 동시접속구에는 다관 동시접속구의 고/저압 냉매관을 포함하는 각각의 관로에 연통되는 각 관로가 형성되고, 그 고압 냉매관의 입구에는 가스충진니플이, 저압 냉매관의 입구에는 압력게이지가 일체로 구비된 실내측 점검자가 결합 설치되며, 매립관의 실외측 단부에 결합되는 상기 다관 동시접속구에는 다관 동시접속구의 고/저압 냉매관로에 연통되는 각각의 관로가 형성되고, 상기 고/저압냉매관로가 몸체 내부에 형성된 U자형관로에서 연통되는 U턴 연결자가 결합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4. 한국 실용신안등록 제20-0424556호(2006.08.22. 공고)
케이스 저면에 냉매선 배관이 관통연결되는 짝수 개의 배관삽입홀이 형성되고, 배면에는 일정 높이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배관삽입홀을 통하여 연결되는 냉매선 배관과 연결되어 직각 방향으로 굴절된 형상의 연결구가 장착되도록 장착홈 및 상기 장착홈 양측의 연결구 고정홀이 형성되되 상기 굴절된 연결구가 일 측방향으로 향하도록 끝단이 경사진 짝수 개의 돌출 결합부가 일체로 형성되며, 양 외측면에는 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전방으로 철근이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제1 고정돌기와, 상기 제1 고정돌기의 상부 및 하부에는 후방으로 소정거리 연장되어 또 다른 철근이 후방으로 삽입되도록 훅이 형성된 제2 고정돌기로 구성된 고정수단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덮개는 상기 케이스의 양 내측면 중앙에 배면에서 정면으로 이어지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그 전면에 천공되는 나사홀과 상응하는 홀이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종전에는 대다수의 벽걸이 에어컨은 배수관 및 냉매가스관을 실내의 벽면 상에 노출시켜 설치하였지만, 최근들어 주거환경의 고급화와 실내 미관을 중요시하는 추세에 따라 주상복합건물, 아파트, 오피스텔 등의 경우 시공시 벽걸이형 및 슬림형 에어컨의 설치를 위하여 배수관 및 냉매가스관을 벽체 내에 매설하여 벽면 상에 이를 노출시키지 않도록 하는 시공방법이 많이 적용되고 있다.
한국 실용신안등록 제20-0288526호(2002.09.11. 공고)(이하 "종래기술1"이라 함) 및 한국 실용신안등록 제20-0296843호(2002.11.30. 공고)(이하 "종래기술2라 함)에 개시되어 있는 에어컨 배관연결용 매립박스와, 한국 특허등록 제10-0511249호(2005.03.08.공개, 2005.08.23.등록)(이하 "종래기술3"이라 함) 및 한국 실용신안등록 제20-0424556호(2006.08.22. 공고)(이하 "종래기술4"라 함)에 개시되어 있는 에어컨 배관연결용 매립박스들이 모두 이와 같은 용도로 개발된 것들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1에 개시되어 있는 에어컨 배관연결용 매립박스는 엘보우 형태의 연결공을 다수 개 형성한 연결블럭을 통하여 실내기 측과 실외기 측을 연결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배관의 연결작업이 어려워 시공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2 및 종래기술4에 개시되어 있는 매립박스는 벽체 철근에 견 고하게 고정하여 콘크리트 타설과정에서 매립박스의 위치가 비틀어지지 않도록 하는 데 목적이 있는 고안으로서, 배관의 연결시공에 관한 편의성이 고려되어 있지 못하다.
그리고, 종래기술3에 개시되어 있는 매립박스는 콘크리트 타설 중에 매립배관의 손상여부를 감지 및 확인하기 위한 목적에서 개발된 것으로서, 실내측 단부에는 압력게이지가 구비된 실내측 단부용 다관 동시접속구와, 실외측 단부에는 U턴 연결자가 결합되는 실외측 단부용 다관 동시접속구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3에 개시되어 있는 매립박스는 그 구조가 매우 복잡할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하여 시장에서의 제품 경쟁력이 저하되어 상업적 활용도가 매우 낮은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들의 각 문제점을 모두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에어컨 설치시의 작업(시공)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에어컨 배관연결용 매립박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에어컨 설치시의 작업(시공) 편의성을 극대화함과 동시에, 콘크리트 타설 중에 발생된 매립배관의 손상여부를 감지 및 확인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에어컨 배관연결용 매립박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에 의한 에어컨 배관연결용 매립박스는 실내용은 물론 실외용을 겸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경제적 비용부담을 최소화시켜 실용성을 극대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에어컨 배관연결용 매립박스는, 전면만이 개방된 상태로 건물 벽체에 매립 설치되며, 내부의 일측면에 다수 개의 관통공이 형성되는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의 개방된 전면에 결합 체결되는 커버로 이루어져 상기 관통공을 통해 삽입된 냉매관(1a)(1b)들과 기기측(실내기측 또는 실외기측) 냉매관들(2a)(2b)을 각각 연결하는 에어컨 배관연결용 매립박스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에 연결되는 공간부가 구비된 냉매관 수용부(11)가 상기 케이스(10) 내부에 형성되며; 편평한 양 측면(13)을 가지며, 상기 관통공에 삽입된 냉매관의 끝단부에 결합되는 엘보우형 배관연결구(12)가 상기 냉매관 수용부 내의 공간부에 삽입되며; 상기 엘보우형 배관연결구(12)와 기기측 냉매관(2a)(2b)는 너트형 체결구(17)에 의해 긴밀하게 체결되며; 상기 냉매관 수용부(11)의 전면을 밀폐하는 덮개(2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의한 에어컨 배관연결용 매립박스는 기기측 냉매관(2a)(2b)이 체결되는 상기 엘보우형 배관연결구(12)의 외주연에는 나사산(15)이 형성되고, 그 끝단면은 경사면(16)으로 구성되며, 상기 경사면(16)의 형상과 동일하게 기기측 냉매관(2)의 끝단부 내경에 경사면(19)을 형성하고, 상기 배관연결구(12)의 나사산에 결합되는 암나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기기측 냉매관(2a)(2b)을 상기 배관연결구(12)에 밀착되게 체결하는 너트형 체결구(17)를 이용하여 상기 엘보우형 배관연결구(12)과 기기측 냉매관(2a)(2b)의 체결 및 분리가 가능해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미소 전자부품 소자의 정렬 및 공급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에어컨 배관연결용 매립박스의 개략적인 형태를 도시한 부분 절개 사시도이며, 도 2는 그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3은 도 2에서의 A-A선을 기준으로 본 측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에어컨 배관 연결용 매립박스는, 종래의 일반적인 배관연결용 매립박스와 같이, 배관연결을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의 개방된 전면을 개폐하는 커버로 구성되는데, 상기 케이스의 일측면(주로, 상측면 또는 하측면)을 관통하는 관통공을 통하 여 벽체 내부에 매립되어 있는 배관(냉매관, 신호케이블관, 배수관 등)이 케이스 내부로 노출되게 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한 에어컨 배관연결용 매립박스는, 엘보우형 배관연결구(12)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냉매관 수용부(11)를 상기 관통공에 연결하여 형성하여 구성되며, 상기 엘보우형 배관연결구(12)는 양 측면에 편평한 평면(13)을 형성하여 상기 수용부(11)의 양 측벽 사이에 밀착되게 끼워지도록 구성된다.
이 때, 엘보우형 배관연결구(12)는 케이스의 개방면 쪽을 향하도록 하여, 기기측 냉매관들(2a)(2b)과의 연결을 용이하게 한다. 이 때, 너트형 체결구(17)를 이 용하여 배관연결구(12)와 기기측 냉매관(2a)(2b)을 긴밀하게 체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냉매관 수용부(11)에 엘보우형 배관연결구(12)를 끼워 넣은 후에는 상기 냉매관 수용부(11)의 전면을 밀폐하는 덮개(20)로 밀폐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덮개(20)에는 기기측 냉매관(2a)(2b)이 삽입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매립박스는, 에어컨 설치를 위한 작업으로서 상기 기기측 냉매관(2a)(2b)을 엘보우형 배관연결구(12)와 체결할 때에는 스패너 등의 공구로 너트형 체결구(17)를 죄거나 풀게 되는데, 이 때 엘보우형 배관연결구(12)의 양 측면(13)이 상기 수용부(11)의 양 측벽에 밀착되어 있기 때문에, 벽체에 매립된 배관이 전혀 흔들리지 않게 될 뿐만 아니라, 양 손에 각각의 공구를 잡고 작업해야 했던 불편함을 없앨 수 있게 된다.
상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는 배관의 조립 견고성을 더욱 높이기 위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기 냉매관 수용부(11)의 안쪽 내벽에는 V자 형상의 냉매관 지지구(14)를 형성하고, 또한 이에 대응되는 덮개(20)의 안쪽면에도 V자 형상의 냉매관 지지구(22)를 형성하여, 앞뒤에서 냉매 배관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덮개(20)를 체결한 후에 상기 냉매관 수용부(11) 내부에 에폭시 등과 같은 단열재를 주입하기 위해 상기 덮개(20)에는 단열재 주입공(21)이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냉매관 수용부(11)에 단열재를 주입하지 않을 경우에는, 냉매관 및 배관연결구의 외면이 공기와 접촉하게 되므로 결로가 발생되어 매립박스 내부에 응결수가 심각하게 발생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주입공(21)은 에폭시 주입용 총(gun)의 주입구가 삽입될 수 있는 정도 크기의 구멍이면 충분하다. 에폭시를 상기 주입공(21)을 통하여 수용부(11) 내부로 주입할 때, 냉매배관을 지지하는 지지구(14)(22)로 인해 에폭시가 공간 전체로 골고루 주입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상기 지지구(14)(22)에도 단열재가 골고루 퍼져 나갈 수 있는 통로(23)를 구비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도 4에는 냉매관 지지구(14)(22)의 구성과, 단열재 주입을 위한 주입공(21) 및 통로(23)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나아가, 상기 냉매관 수용부(11)는 고압 냉매관 수용부(11a) 및 저압 냉매관 수용부(11b)로 각각 독립적으로 구획하여 구성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고압 냉매배관에는 응축된 저온의 냉매가 흐르는 반면, 저압 냉매배관에는 실내기에 의해 열교환되어 데워진 냉매가 흐르기 때문에 두 배관을 분리하여 단열시킴으로써 냉각효율을 높일 뿐만 아니라, 에어컨 설치시공 편의성도 함께 제고하기 위한 목적이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한 에어컨 배관연결용 매립박스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로서, 엘보우형 배관연결구(12)와 상기 기기측 냉매관(2a)(2b)과의 체결구조에 대하 여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엘보우형 배관연결구(12)와 상기 기기측 냉매관(2a)(2b)과의 체결구조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엘보우형 배관연결구(12)와 상기 기기측 냉매관(2a)(2b)은 너트형 체결구(17)에 의해 체결 또는 분리가 가능하게 구성되는데, 상기 엘보우형 배관연결구(12)의 외주연에는 나사산(15)이 형성되고, 그 끝단면은 경사면(16)으로 구성되며, 이 나사산(15)에 나사결합되는 너트형 체결구(17)는 그 중앙에 기기측 냉매관(2a)(2b)이 통과하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기기측 냉매관(2a)(2b)의 끝단부 내면에는 상기 엘보우형 배관연결구(12)의 경사면(16)과 동일한 형상의 경사면(19)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엘보우형 배관연결구(12)와 상기 기기측 냉매관(2a)(2b)은, 너트형 체결구(17)를 죌 때에는 엘보우형 배관연결구(12)의 경사면(16)과 상기 기기측 냉매관(2a)(2b) 끝단 내면의 경사면(19)이 서로 강하게 밀착되어 냉매의 유출없이 긴밀한 체결이 가능하지며, 너트형 체결구(17)를 풀면, 엘보우형 배관연결구(12)의 경사면(16)과 상기 기기측 냉매관(2a)(2b)을 간단히 분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에어컨 배관연결용 매립박스는, 매립배관의 손상여부 감지작업을 매우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도 6은 매립 냉매배관의 손상여부 점검을 위하여, U자 연결관이 설치된 실외기측 배관연결용 매립박스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며, 도 7은 매립 냉매배관의 손상 여부의 점검을 위하여, 실내기측 배관연결용 매립박스의 저압 냉배배관에 압력게이지를 체결한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배관연결용 매립박스를 이용하여, 매립 냉매배관의 손상여부 점검을 하는 절차를 설명한다. 먼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외측 고압/저압 냉매배관의 끝단부를 U자 연결관(70)으로 연결한다. 물론, U자 연결관(70)의 양쪽 끝단부의 형상은 기기측 냉매관(2a)(2b)의 끝단부의 구조와 동일하게 구성되며, 따라서 배관연결구(12)와 U자 연결관(70)의 체결구조는 상기에서 설명한 엘보우형 배관연결구(12)와 상기 기기측 냉매관(2a)(2b)과의 체결구조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실내측 저압 냉매배관의 배관연결구(12b)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력게이지를 체결한다. 물론, 압력게이지(100)가 구비된 배관(100a)의 끝단부의 형상은 기기측 냉매관(2a)(2b)의 끝단부의 구조와 동일하게 구성되며, 따라서 배관연결구(12)와 압력게이지(100)와의 체결구조는 상기에서 설명한 엘보우형 배관연결구(12)와 상기 기기측 냉매관(2a)(2b)과의 체결구조와 동일하다.
준비가 완료되면, 가스 충진니플을 실내측의 고압 냉매배관 연결구(12a)를 통해 가스를 충진시키면, 압력게이지(100)에 소정의 압력수치가 표시되는데, 압력게이지에 표시되는 압력계를 확인함으로써 가스누설 여부(즉, 매립 냉매배관의 손상 여부)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에어컨 배관연결용 매립박스는 부수적 개선사항으로서, 상기 케이스 내부의 하부면에 구비되어 응결된 물을 모으는 집수부(30)에 연통되어 상기 케이스에 일체로 연결관(30a)을 형성하여 하부로 연장시켜 구성하여, 공지의 배관 연결수단(32)을 이용하여 연결관(30a)과 배수관(31)을 긴밀하게 체결하게 되면, 누수의 염려가 전혀 없이 견고하게 시공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형태로 변형된 것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예를 들어, 냉매관(1a)(1b)과 케이스(10)의 관통공 사이에는 고무 패킹(40)을 삽입하여, 케이스 내부에 발생될 수 있는 결로 또는 누수가 배관을 타고 흐르지 못하도록 하는 정도의 단순한 구성요소의 추가는 물론, 냉매관 수용부(11)의 형상이나 배관연결구(12)의 형상을 변경하는 정도의 변형은 당연히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각각의 배관들을 별도로 연결해야 하고 특히 냉매관은 용접작업이 따라야 하므로 숙련 기술자가 용접장비 등의 별도 장 비를 현장에 이동시켜야 하며, 작업환경을 어지럽히는 번거로움과 인력과 시간이 낭비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으나, 본 발명에 의한 배관연결용 매립박스는 에어컨 냉매배관과 매립박스의 연결작업을 너트형 체결구(17)의 죔 또는 풀어내는 작업만으로도 에어컨을 시공 또는 해체할 수 있어, 작업 편의성 극대화는 물론, 인력과 시간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배관 끝부분에서 용접과 절단의 반복작업으로 인해, 이사가 잦은 세대의 경우에는 매립된 배관이 점차 짧아져 결국에는 더 이상의 용접연결(에어컨 설치작업)이 불가능해지던 종래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특히, 본 발명은 매립 냉매배관의 손상여부 점검작업을 매우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종래에 매립 냉매배관의 손상여부 점검을 하기 위해서는, 충진니플과 압력게이지 및 U자 연결관을 해당 냉매 배관 끝단에 별도로 용접에 의해 연결함으로써 작업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검사 후에 실내측 및 실외측 냉매배관을 연결작업을 하기 위해 기존 용접부위를 다시 절단하는 작업이 수반되어 인력과 시간이 막대하게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었던 반면, 본 발명에 의한 배관연결용 매립박스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매립 냉매배관의 손상여부 점검을 위한 용접작업이나, 에어컨 설치를 위해 용접부위를 다시 절단해 내야 하는 번거로운 작업이 전혀 없을 뿐만 아니라, 너트형 체결구(17)의 풀거나 죄는 작업이 매우 간단하기 때문에 작업(시공)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Claims (6)

  1. 전면만이 개방된 상태로 건물 벽체에 매립 설치되며, 내부의 일측면에 다수 개의 관통공이 형성되는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의 개방된 전면에 결합 체결되는 커버로 이루어져 상기 관통공을 통해 삽입된 냉매관(1a)(1b)들과 기기측(실내기측 또는 실외기측) 냉매관들(2a)(2b)을 각각 연결하는 에어컨 배관연결용 매립박스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내부에는 상기 관통공에 연결되는 공간부가 형성됨으로써 엘보우형 배관연결구(12)를 수용하는 냉매관 수용부(11)와;
    편평한 양 측면(13)을 가지며, 상기 관통공에 삽입된 냉매관의 끝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냉매관 수용부 내의 공간부에 삽입되는 엘보우형 배관연결구(12)와;
    상기 엘보우형 배관연결구(12)에 나사결합되며, 상기 기기측 냉매관(2a)(2b)과 상기 엘보우형 배관연결구(12)를 체결하는 너트형 체결구(17)와;
    상기 기기측 냉매관(2a)(2b)이 삽입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냉매관 수용부(11)의 전면을 밀폐하는 덮개(2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배관연결용 매립박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관 수용부(11a)(11b)의 안쪽 내벽에는 V자 형상의 냉매관 지지구(14)가 형성되며, 상기 덮개(20)의 안쪽면에도 V자 형상의 냉매관 지지구(2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배관연결용 매립박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관 수용부(11)는 고압 냉매관 수용부(11a) 및 저압 냉매관 수용부(11b)로 구획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배관연결용 매립박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20)에는 단열재 주입공(21)이 구비되며, 상기 냉매관 지지구(14)(22)에는 주입된 단열재가 퍼질 수 있는 통로(23)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배관연결용 매립박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측 냉매관(2a)(2b)이 체결되는 상기 엘보우형 배관연결구(12)의 외주연에는 나사산(15)이 형성되고, 그 끝단면은 경사면(16)으로 구성되며,
    상기 너트형 체결구(17)의 중앙에는 기기측 냉매관(2a)(2b)이 통과하는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배관연결구(12)와 나사결합에 의해 상기 기기측 냉매관(2a)(2b)을 상기 배관연결구(12)에 밀착시켜 체결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경사면(16)의 형상과 동일하게 기기측 냉매관(2a)(2b)의 끝단부 내경에 경사면(19)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배관연결구(12)와 기기측 냉매관(2a)(2b)의 체결 및 분리가 가능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배관연결용 매립박스.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내부의 하부면에 구비되는 집수부(30)과 연통되는 연결관(30a)이 상기 케이스에 일체로 형성되어 하부로 연장되어 구성되며, 공지의 배관 연결수단(32)을 이용하여 상기 연결관(30a)과 배수관(31)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배관연결용 매립박스.
KR1020060095105A 2006-09-28 2006-09-28 시공성이 향상된 에어컨 배관연결용 매립박스 KR1007135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5105A KR100713588B1 (ko) 2006-09-28 2006-09-28 시공성이 향상된 에어컨 배관연결용 매립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5105A KR100713588B1 (ko) 2006-09-28 2006-09-28 시공성이 향상된 에어컨 배관연결용 매립박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13588B1 true KR100713588B1 (ko) 2007-05-02

Family

ID=382694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5105A KR100713588B1 (ko) 2006-09-28 2006-09-28 시공성이 향상된 에어컨 배관연결용 매립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3588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1624B1 (ko) 2009-06-22 2009-12-14 (주) 청마씨스텍 에어컨배관 조인트 시스템박스
KR100950219B1 (ko) * 2008-05-29 2010-03-29 주식회사 중앙씨엠아이 콤팩트한 연결구조를 제공하는 파이프 어셈블리
KR100975288B1 (ko) * 2008-08-26 2010-08-12 이성심 에어컨 배관 연결박스
KR101135003B1 (ko) * 2009-04-13 2012-04-12 주식회사 에어컨이엔지 에어컨 배관매립 조인트박스가 구비된 배관이음구조
WO2015122645A1 (ko) * 2014-02-12 2015-08-20 강옥수 배관연결구 및 이를 구비한 배관연결 매립함
WO2024036904A1 (zh) * 2022-08-15 2024-02-22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用于空调的密封管组件、空调和房车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8526Y1 (ko) 2002-06-18 2002-09-11 주식회사 그린에이씨 매립형 에어컨 배관 연결박스
KR100595600B1 (ko) 2006-03-23 2006-07-03 안상복 매립형 에어콘 연결박스 세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8526Y1 (ko) 2002-06-18 2002-09-11 주식회사 그린에이씨 매립형 에어컨 배관 연결박스
KR100595600B1 (ko) 2006-03-23 2006-07-03 안상복 매립형 에어콘 연결박스 세트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0219B1 (ko) * 2008-05-29 2010-03-29 주식회사 중앙씨엠아이 콤팩트한 연결구조를 제공하는 파이프 어셈블리
KR100975288B1 (ko) * 2008-08-26 2010-08-12 이성심 에어컨 배관 연결박스
KR101135003B1 (ko) * 2009-04-13 2012-04-12 주식회사 에어컨이엔지 에어컨 배관매립 조인트박스가 구비된 배관이음구조
KR100931624B1 (ko) 2009-06-22 2009-12-14 (주) 청마씨스텍 에어컨배관 조인트 시스템박스
WO2015122645A1 (ko) * 2014-02-12 2015-08-20 강옥수 배관연결구 및 이를 구비한 배관연결 매립함
US10167984B2 (en) 2014-02-12 2019-01-01 Ok-su KANG Pipe connector and pipe-connected embedded box including same
WO2024036904A1 (zh) * 2022-08-15 2024-02-22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用于空调的密封管组件、空调和房车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3588B1 (ko) 시공성이 향상된 에어컨 배관연결용 매립박스
KR101915143B1 (ko) 벽체매립형 수전장치
KR101204760B1 (ko) 배관연결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구조를 갖는 천정매립형 분배기
KR101694386B1 (ko) 다기능 플러그모듈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0782676B1 (ko) 벽체매립형 수전함 연결시스템
CN109899956B (zh) 一种多联式空调系统的安装方法
KR100595600B1 (ko) 매립형 에어콘 연결박스 세트
MX2010008107A (es) Dispositivo para montar y conectar tuberia para instalacion sanitaria proporcionada detrás de una pared, y método correspondiente.
KR101089589B1 (ko) 에어컨 냉매배관 시험용 압력게이지
KR101974363B1 (ko) 누수 감지 기능을 구비한 개방형 수전함
US6068019A (en) Branch apparatus for pipe and a branch method using the same
US6862918B2 (en) Device for testing domestic water piping systems and methodology
KR101089588B1 (ko) 에어컨의 배관 연결장치
US6843108B1 (en) Hydrostatic test plug for water service line
KR200438741Y1 (ko) 에어컨 설치배관용 플러그
KR102131127B1 (ko) 냉매 가스 충전포트와 압력계를 구비한 에어컨용 배관 연결구
KR20190116784A (ko) 벽체 매립형 수전장치
KR200435127Y1 (ko) 벽체 매립형 배관 점검함
KR20090009534U (ko) 매립 작업이 용이한 공기조화기용 분배기 박스
KR100732939B1 (ko) 벽체 매립형의 배관 연결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0384762B1 (ko) 매립관을 포함하는 분리형 에어컨의 배관구조
KR200348065Y1 (ko) 벽체 수도관 지지구조
KR20080051390A (ko) 매립형 에어컨 배관연결구조
CN220727423U (zh) 一种市政排水管用连接结构
KR102177220B1 (ko) 보강대응성이 향상된 단지관 및 가정관 시공 방법 및 가정관의 관로 유지관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2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