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5600B1 - 매립형 에어콘 연결박스 세트 - Google Patents

매립형 에어콘 연결박스 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5600B1
KR100595600B1 KR1020060026513A KR20060026513A KR100595600B1 KR 100595600 B1 KR100595600 B1 KR 100595600B1 KR 1020060026513 A KR1020060026513 A KR 1020060026513A KR 20060026513 A KR20060026513 A KR 20060026513A KR 100595600 B1 KR100595600 B1 KR 1005956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ions
fixing
box
fixed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65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상복
Original Assignee
안상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상복 filed Critical 안상복
Priority to KR10200600265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56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56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56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26Refrigerant piping
    • F24F1/32Refrigerant piping for connecting the separate outdoor units to indoo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26Refrigerant piping
    • F24F1/34Protection means thereof, e.g. covers for refrigerant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40Fluid line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26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mproving the aesthetic appear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Other Air-Condition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측면에 2개씩 이격되어 형성된 측면연결부(15)가 구비된 박스(1)와, 상기 박스(1)의 내부에 고정된 다수개의 기체관연결부(2) 및 액체관연결부(3)로 구비되며, 상기 기체관연결부(2)와 액체관연결부(3)는 고정부(250,350)와, 상기 고정부(250, 350)의 상부에 원터치식으로 삽입되어 회전되는 두 개의 원터치착탈부(200,300)와, 상기 박스(1)의 전면부에 설치되는 커버고정부(811,811-1)가 구비된 커버(800,800-1)로 구성된 매립형 에어콘연결박스에 관한 것이다.
매립형 에어콘 연결박스 .

Description

매립형 에어콘 연결박스 세트{Buit-in type of air-condition joint box set}
도1 및 도2 본 발명의 매립형 에어콘 연결박스 전체도
도3 및 도4 본 발명의 기체관연결부 및 액체관연결부 상세도
도5 본 발명의 고정부 상세도
도6 본 발명의 원터치착탈부 상세도
도7 본 발명의 압력측정기 상세도
도8 본 발명의 밀봉연결부 상세도
도9 본 발명의 질소충전 및 배출노즐 상세도
도10 본 발명의 박스 전면부 상세도
도11 본 발명의 박스 하부 상세도
도12 본 발명의 박스 측면부 상세도
도13 본 발명의 박스 후면부 상세도
도14 본 발명의 다른 박스 전면 상세도
도15 본 발명의 박스 하부 상세도
도16 본 발명의 매립형 에어콘 연결박스 다른 예 상세도
도17 본 발명의 매립형 에어콘 연결박스 또다른 예 상세도
도18 본 발명의 실외용 매립형 에어콘 연결박스 상세도
도19 및 도20 본 발명의 실외용 매립형 에어콘 연결박스 커버 상세도
<도면의 부호설명>
박스(1), 기체관연결부(2), 액체관연결부(3), 압력측정기(4), 질소충전 및 배출노즐(5), 밀봉연결부(6), 하부(110), 측면부(130), 전면부(150), 후면부(160), 측면연결부(15), 하부연결부(111), 하부돌출부(112), 하부통공부(113,114,115), 하부예비통공부(116), 응축수배출관통공(117), 측면예비통공부(136), 내부고정돌출부(153), 내부고정나사홈부(154), 후면대통공돌출부(161), 후면예비대통공부(162), 후면소통공돌출부(163), 후면예비소통공부(164), 원터치착탈부(200,300), 하부결착부(202,302), 하부홈부(203,303), 경사부(204,304), 상부홈(205,305), 상부연결나선부(208,308), 고정부(250,350), 내부고정하부(251), 내부고정돌출턱(252), 내부고정중간부(253,353), 내부고정상부(254,354), 외부결착돌부(256,356), 외부고정상부(257,357), 외부고정중간부(258,358), 외부고정하부(259,359), 연결부(260), 연결부고정턱(261), 외부고정상부(270,370), 외부고정하부(271,371), 외부고정상부(278,378), 링(230,240), 계측부(400), 계측부연결부(410), 노즐연결부(510), 노즐보호부(511), 노즐(515), 노즐덮개부(520), 노즐덮개상부(522), 밀봉고정부(610), 연결관(700), 커버(800,800-1), 커버고정테두리(810,810-1), 커버고정부(811,811-1), 커버통공(820,821).
본 발명은 건물벽체 내부에 매립하여 실내의 에어콘 실내기와 실외기의 연결을 매립하여 환경이 깨끗하도록 하며, 매립관을 보호하는 매립형 에어콘 연결박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기와 실외기로 분리되어 설치되는 에어콘의 연결배관은 에어콘의 실내기 위치와 실외기를 연결하도록 용접하는 등 인력과 시간이 낭비되고, 시공된 외관이 아름답지 못한 문제점이 있어,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가 있어 왔다.
국내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특2002-25125호에는 실내기와 실외기로 분리되어 설치되며, 벽체에 상기 실내기와 실외기를 연결하기 위한, 고/저압냉매관, 배수관, 신호케이블등의 다종 에어컨 배관이 매립관으로 설치되고, 상기 매립관의 양단과 상기 실내기 및 실외기를 각각 외부배관으로 연결하는 에어콘의 설치구조에 있어서, 상기 외부배관은 상기 고/저압냉매관을 포함하는 다종의 에어컨 배관을 하나의 단일체로 결속 구성한 몰드배관으로 구비하고, 상기 매립관의 양단부에 부여되며, 매립된 다종의 에어콘 배관들이 접속되고 각각의 통로를 구비한 숫연결자와, 상기 매립관과 연결되는 상기 몰드배관의 일측단에 부여되며 결속된 다종의 에어컨 배관이 상기 숫연결자 에 동시에 접속 연통되기 위한 암연결자로 구성되는 원터치 방식의 다관 동시 접속구를 구비하고, 상기 실내기 및 실외기의 각각의 배관구에 부여되는 숫연결구와, 상기 몰드배관의 타측단은 실내기의 각각의 숫연결구에 접속되기 위하여 결속된 다종의 배관이 소정길이 분산형성되고 분산된 각각의 배관 단부에 부여되며, 상기 숫연결구에 대응하는 암연결구로 구성되는 개별 좁속구를 구비하여, 에어컨의 실외기와 벽체 매립관과 실내기의 연결이 몰드 배관으로 연결되며, 상기 매립관과 몰드배관사이에는 상기 다관 동시 접속구를 통하여 원터치 방식으로 접속되고, 상기 실외기와 몰드배관, 실내기와 몰드배관의 접속은 상기 개별 접속구를 통하여 원터치 방식으로 접속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관을 포함하는 분리형 에어컨의 배관구조가 기술되어 있고,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437727호에는 실내기와 실외기를 연결하기 위한, 고/저압냉매관, 배수관, 신호케이블등의 다종 에어컨 배관이 연결되고, 상기 고/저압냉매관을 포함하는 다종의 에어컨 배관을 하나의 단일체로 결속구성하는 몰드배관이 구비되며, 상기 몰드배관의 양단부에 상기 고/저압냉매관을 포함하는 다종의 배관을 소정길이 노출형성시켜 각각의 배관 단부를 상기 실내기 및 실외기에 형성된 배관구를 접속시키기 위한 원터치형접속수단을 구비한 에어컨 설치구조에 있어서, 상기 몰드배관은 고압 냉매관, 저압냉매관, 신호케이블이 단열재로 몰딩 결속되고, 상기 단열재의 표면에는 외피가 피복되며, 주면 일측에 상기 배수관이 삽지되기 위한 요입홈이 구비되고, 상기 요입홈에는 소장 간격마다 상기 요입홈에 삽지되는 관체를 잡아지기 위한 탄성을 갖는 파지부가 구비된 분리형 에어컨 배관구조가 기재되어 있으며,
국내실용신안등록번호 제20-275713호에는 건물벽체에 매립되며 전방이 개방 되고 내부에 수납실이 형성되며, 이 수납실의 모서리 부분에 나사공이 형성되며, 바닥면에는 냉매순환 파이프가 삽입될 수 있도록 적어도 2개 이상의 안내공이 형성된 본체를 가지며, 상기 본체 전방에 착탈가능하게 조립되어 본체를 개폐하는 커버로 이루어진 케이스 몸체 전방에 냉매순환 파이프와 실내기파이프를 연결하는 조인트를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2개이상의 수용홈이 절개되게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의 수납실에 수평으로 고정되는 지그와, 상기 케이스 나사공 전방에 설치되어 케이스의 커버가 본체에 조립될 때, 커버의 배면을 가압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케이스 바닥면과, 연통되게 하부로 요입되고 그 바닥면에 에어컨의 실내기의 배수파이프가 관통하는 조립공이 형성되는 배수통을 포함하며, 여기서 실외기와 연결된 냉매순환파이프를 상기 케이스의 안내공에 삽입하고, 실내기 파이프를 케이스 커버의 구멍을 통해 삽입하여 상기 케이스 수납실에 수용된 냉매순환파이프 및 실내기 파이프 단부를 조인트의 너트에 체결할 때 상기 지그의 수용홀에 조인트를 삽입하여 조인트가 회전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냉매순환파이프 연결장치가 공개되어 있으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들은 매립형 연결장치는 고정식이기 때문에 실내에 매립하기 어려워 실외에 매립하여 사용하여 왔으며, 실외에 설치했다 하더라도, 실외기의 위치에 따라 설치하는 것이 아니라, 고정된 연결장치에 따라 연결해야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어 현실적으로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어 왔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최소화하거나 해결하는 방안으로, 본 발명은 실내, 실 외 어느 곳이라도 설치하여 자유롭게 연결할 수 있도록, 연결된 고정부의 상부인 외부고정상부가 360°회전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실내, 실외에 설치할 수 있고, 실내에는 벽체의 일측에 매립되어 외부에서 전기스위치와 동일하게 하거나, 미려하게 하여 실내를 장식할 수 있는 매립형 에어콘연결박스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인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양측면에 2개씩 이격되어 형성된 측면연결부(15)가 구비된 박스(1)와, 상기 박스(1)의 내부에 고정된 다수개의 기체관연결부(2) 및 액체관연결부(3)로 구비되며, 상기 기체관연결부(2)와 액체관연결부(3)는 고정부(250,350)와, 상기 고정부(250,350)의 상부에 원터치식으로 삽입되어 회전되는 두 개의 원터치착탈부(200,300)와, 상기 박스(1)의 전면부에 설치되는 커버고정부(811,811-1)가 구비된 커버(800,800-1)로 구성된 매립형 에어콘연결박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매립형 에어콘 연결박스에 내장되는 기체관연결부와 액체관연결부가 한쌍 또는 두쌍으로 구비되어 실내에는 한쌍의 기체관연결부와 액체관연결부가 구비된 매립형 에어콘연결박스가 필요하며,
실외에는 실내에 통상 안방과 거실 두곳을 사용하므로 두쌍의 기체관연결부와 액체관연결부가 구비된 매립형 에어콘연결박스가 필요하고,
실내에 더 많은 개수의 실내기를 두고자 할 때에는 실외에는 다수개의 기체관연결부와 액체관연결부가 구비된 매립형 에어콘연결박스가 필요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의 매립형 에어콘연결박스는 시공 후 에어콘을 설치하기 전에 실내에 매립된 관의 파손여부를 점검하기 위한 형태의 매립형 에어콘연결박스로서,
벽체 시공시에는 먼저 고정부가 일체화되어 성형된 매립형 에어컨 연결박스에 실외에서는 기체관연결부와 액체관연결부의 상부에 위치되는 고정부의 상부에 원터치착탈부(200,300)대신 압력측정기(4)와 질소충전 및 배출노즐(5)을 설치한 다음, 박스의 전면부에 커버고정테두리(810,810-1)의 커버고정부(811,811-1)에 나사볼트로 박스 전면부(150)의 내부고정나사홈부(154)에 고정시킨 다음, 그 상부에 커버(800,800-1)를 위치시켜 마감하여 조립하고,
실내의 벽체에는 기체관연결부와 액체관연결부의 상부에 위치되는 고정부의 상부에 밀봉연결부를 설치하고, 연결관의 파손 유무를 측정한 후에, 이상이 있으면 연결관의 파손을 점검하여 수리한 후에, 이상이 없을 경우,
실외에 설치된 매립형 에어콘연결박스에서 압력측정기(4)와 질소충전 및 배출노즐(5)을 제거하고, 원터치착탈부(200,300)로 교체하여 실외기에 연결하고, 실내에 설치된 매립형 에어콘연결박스 또한 밀봉연결부를 제거하고 원터치착탈부(200,300)로 교체하여 에어콘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박스에 설치된 다수의 하부통공부(113,114,115)와, 하부예비통공부(116), 응축수배출관통공(117) 및 측면예비통공부(136), 후면예비대통공부(162), 후면예비소통공부(164), 벽체나, 바닥에 설치된 연결관의 구조에 따라 각각의 예비통공을 간단히 압력을 가하여 통공형상의 판을 제거하여 통공을 형성하여, 필요한 각각의 관 이나, 전선을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원터치착탈부(200,300)의 재질은 황동 단조 제품을 주로 사용하며, 기타 고급합금을 사용할 수 있지만, 원가문제로 통상적으로 황동단조제품을 사용하며,
본 발명에서 밀봉연결부의 재질은 내부에 동관이 매립되어 있으며, 고압, 고온, 저온 및 내유성이 강한 합성수지 및 적층체를 사용하며, 구체적인 재질은 당분야에서 통상 사용되는 라이론그라스(상품명)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박스(1)의 재질 또한 합성수지를 사용하며, 통상적으로 에이비에스(ABS)재질을 사용한다.
본 발명의 링의 재질 또한 상기 밀봉연결부와 마찬가지로 고압, 고온, 저온 및 내유성이 강한 합성수지 및 합성고무의 재질을 사용한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 및 도2 본 발명의 매립형 에어콘 연결박스 전체도, 도3 및 도4 본 발명의 기체관연결부 및 액체관연결부 상세도, 도5 본 발명의 고정부 상세도, 도6 본 발명의 원터치착탈부 상세도, 도7 본 발명의 압력측정기 상세도, 도8 본 발명의 밀봉연결부 상세도, 도9 본 발명의 질소충전 및 배출노즐 상세도, 도10 본 발명의 박스 전면부 상세도, 도11 본 발명의 박스 하부 상세도, 도12 본 발명의 박스 측면부 상세도, 도13 본 발명의 박스 후면부 상세도, 도14 본 발명의 다른 박스 전면 상세도, 도15 본 발명의 박스 하부 상세도, 도16 본 발명의 매립형 에어콘 연결박스 다 른 예 상세도, 도17 본 발명의 매립형 에어콘 연결박스 또다른 예 상세도, 도18 본 발명의 실외용 매립형 에어콘 연결박스 상세도, 도19 및 도20 본 발명의 실외용 매립형 에어콘 연결박스 커버 상세도를 도시한 것이며, 박스(1), 기체관연결부(2), 액체관연결부(3), 압력측정기(4), 질소충전 및 배출노즐(5), 밀봉연결부(6), 하부(110), 측면부(130), 전면부(150), 후면부(160), 측면연결부(15), 하부연결부(111), 하부돌출부(112), 하부통공부(113,114,115), 하부예비통공부(116) 응축수배출관통공(117), 측면예비통공부(136), 내부고정돌출부(153), 내부고정나사홈부(154), 후면대통공돌출부(161), 후면예비대통공부(162), 후면소통공돌출부(163), 후면예비소통공부(164), 원터치착탈부(200,300), 하부결착부(202,302), 하부홈부(203,303), 경사부(204,304), 상부홈(205,305), 상부연결나선부(208,308), 고정부(250,350), 내부고정하부(251), 내부고정돌출턱(252), 내부고정중간부(253,353), 내부고정상부(254,354), 외부결착돌부(256,356), 외부고정상부(257,357), 외부고정중간부(258,358), 외부고정하부(259,359), 연결부(260), 연결부고정턱(261), 외부고정상부(270,370), 외부고정하부(271,371), 외부고정상부(278,378), 링(230,240), 계측부(400), 계측부연결부(410), 노즐부(500), 노즐연결부(510), 노즐보호부(511), 노즐(515), 노즐덮개부(520), 노즐덮개암나사부(521), 노즐덮개상부(522), 밀봉고정부(610), 연결관(700), 커버(800,800-1), 커버고정테두리(810,810-1), 커버고정부(811,811-1), 커버통공(820,821)을 나타낸 것임을 알 수 있다.
구조를 살펴보면,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에 매립되며, 양측면에 2개 씩 이격되어 형성된 측면연결부(15)가 구비된 박스(1)와, 상기 박스(1)의 내부에 고정된 두 개의 기체관연결부(2) 및 액체관연결부(3)로 구비되며, 상기 기체관연결부(2)와 액체관연결부(3)는 고정부(250,350)와, 상기 고정부(250, 350)의 상부에 원터치식으로 삽입되어 회전되는 두 개의 원터치착탈부(200,300)와, 상기 박스(1)의 전면부에 설치되는 커버고정부(811,811-1)가 구비된 커버(800,800-1)로 구성된 매립형 에어콘연결박스와,
도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스(1)와, 상기 박스(1)의 내부에 고정된 고정부(250,350)와, 상기 고정부(250)의 상부에 원터치식으로 삽입되어 고정된 압력측정기(4)와, 상기 다른 고정부(350)의 상부에 원터치식으로 삽입되어 고정된 질소충전 및 배출노즐(5)과, 상기 박스(1)의 전면부에 설치되는 커버고정부(811,811-1)가 구비된 커버(800,800-1)로 구성된 다른 매립형 에어콘 연결박스와,
도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스(1)와, 상기 박스(1)의 내부에 고정된 고정부(250,350)와, 상기 고정부(250,350)의 상부에 원터치식으로 삽입되어 고정되어 두 개의 고정부(250,350)를 연결시키는 밀봉연결부(6)와, 상기 박스(1)의 전면부에 설치되는 커버고정부(811,811-1)가 구비된 커버(800,800-1)로 구성된 또다른 매립형 에어콘박스로 구성되어 한 세트를 이루는 매립형 에어콘박스에 관한 것이다.
도10 및 도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박스(1)는 전면부가 개방되어 있으 며, 좌우상하 및 후면부(130,110,160)가 막혀져 있는 형태로서, 개방된 전면부(150)의 하부에 돌출되어 형성되며, 하부(110)까지 하부통공부(113,114,115)에 의해 관통되어 관통된 하부통공(113,114)에 기체관연결부(2)와 액체관연결부(3)의 고정부(250,350)가 매립되어 형성된 내부고정돌출부(153)와, 전면부(150)의 테두리 내측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된 내부고정나사홈부(154)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하부(110)는 중앙 일측에 설치되며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된 3개의 하부통공부(113,114,115)가 형성된 하부연결부(111)와, 상기 하부연결부(111)의 일측에 형성되어 응축수배출관통공(117)이 구비된 하부돌출부(112)와, 다른 일측에 설치된 하부예비통공부(116)로 구성되며,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면부(130)에는 양쪽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된 측면연결부(15)가 구비되어 있고,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면부(160)는 중앙에 구비된 대형의 후면대통공돌출부(161)가 구비되며 내측 중앙부에 설치된 후면예비대통공부(162)와, 상기 후면예비대통공부(162)의 내측 중앙부에 구비된 후면소통공돌출부(163)와, 상기 후면소통공돌출부(163)의 내측 중앙부에 구비된 후면예비소통공부(164)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도3내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에서 기체관연결부(2) 및 액체관연결부(3)는 직경의 크기만 다를 뿐 형상, 모양, 구조는 동일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고정부(250,350)와, 상기 고정부(250,350)의 상부에 원터치식으로 삽입되어 회전되는 두 개의 원터치착탈부(200,300)로 구성되며,
상기 고정부(250)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박스(1) 전면부(150)의 하부에 돌출되어 형성된 내부고정돌출부(153)에 하부 일측이 매립되며, 하부끝단부는 박스(1) 하부(110)의 하부통공부(113,114)까지 연결되며, 외측에는 연결부고정턱(261)이 내측에 구비되며 너트형상의 연결부(260)가 나사식으로 결합되는 구조로서,
외부를 살펴보면, 하부에 끝단부에 형성된 외부고정하부(259,359)와, 상기 외부고정하부(259,359)의 상부에 턱에 의해 연결되며 외부고정하부(259,359)보다 직경이 큰 외부고정중간부(258,358)과, 상기 외부고정중간부(258,358)의 상부에 턱에 의해 연결되며 외부고정중간부(258,358)보다 직경이 큰 외부고정상부(257,357)와, 상기 큰 외부고정상부(257,357)의 상부에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외부에 나사선이 구비된 외부결착돌부(256,356)로 구성되며, 내측하부에 설치되어 관이 연결되는 내부고정하부(251)와, 내부고정하부(251)의 상부에 내측으로 돌출되어 구비된 내부고정돌출턱(252)과, 상기 내부고정돌출턱(252)에 구비된 내부고정중간부(253,353)와, 상기 내부고정중간부(253,353)의 상부에 구비되며 내부고정중간부(253,353)보다 직경이 큰 내부고정상부(254,354)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원터치착탈부(200,300)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공간부가 형 성된 관형상으로 연결부(260)의 연결부고정턱(261)이 고정부(250)의 외부결착돌부(256)에 맞닿아 상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부(250)에 연결되어 있으며,
최하부에 형성된 하부결착부(202,302)와, 상기 하부결착부(202,302)의 상부에 링(230)이 삽입되는 하부홈부(203,303)와, 상기 하부홈부(203,303)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넓어지도록 구비된 경사부(204,304)와, 상기 경사부(204,304)의 상부에 외부로 돌출되며, 외부에 나사선이 구비된 상부연결나선부(208,308)과, 상기 상부연결나선부(208,308)와 상기 경사부(204,304)의 경계선에 형성되며 링(240)이 삽입되는상부홈(205,305)과, 상기 상부연결나선부(208,308)의 상부에 형성된 외부고정상부(270,370)로 구성되며,
상기 외부고정상부(270,370)는 "ㄱ"자 형상으로 하부에 설치된 외부고정하부(271,371)와, 상기 외부고정하부(271,371)과 직각으로 형성된 외부고정상부(278,378)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압력측정기(4)는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250,350)의 상부에 삽입되는 구조로서,
최하부에 형성된 하부결착부(202,302)와, 상기 하부결착부(202,302)의 상부에 링(230)이 삽입되는 하부홈부(203,303)와, 상기 하부홈부(203,303)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넓어지도록 구비된 경사부(204,304),와, 상기 경사부(204,304)의 상부에 외부로 돌출되며, 외부에 나사선이 구비된 상부연결나선부(208,308)과, 상기 상부연결나선부(208,308)와 상기 경사부(204,304)의 경계선에 형성되며 링(240)이 삽입되는 상부홈(205,305)과, 상기 상부연결나선부(208,308)의 상부에 형성된 계측부연결부(410)와, 상기 계측부연결부(410)의 상부에 형성된 계측부(400)로 구성되며,
상기 질소충전 및 배출노즐(5)은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250,350)의 상부에 삽입되는 구조로서,
최하부에 형성된 하부결착부(202,302)와, 상기 하부결착부(202,302)의 상부에 링(230)이 삽입되는 하부홈부(203,303)와, 상기 하부홈부(203,303)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넓어지도록 구비된 경사부(204,304),와, 상기 경사부(204,304)의 상부에 외부로 돌출되며, 외부에 나사선이 구비된 상부연결나선부(208,308)과, 상기 상부연결나선부(208,308)와 상기 경사부(204,304)의 경계선에 형성되며 링(240)이 삽입되는 상부홈(205,305)과, 상기 상부연결나선부(208,308)의 상부에 형성된 노즐연결부(510)와, 상기 노즐연결부 상부에 형성되며 외부에 나사선이 구비되며, 내측에 노즐(515)이 설치된 노즐보호부(511)와, 상기 노즐보호부(511)의 상부에 나사식으로 삽입되도록 노즐덮개암나사부가 구비된 노즐덮개부(520)와, 상기 노즐덮개부(520)의 상부를 형성하는 노즐덮개상부(522)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밀봉연결부(6)는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250,350)의 상부에 삽입되는 구조로서,
최하부에 형성된 하부결착부(202,302)와, 상기 하부결착부(202,302)의 상부 에 링(230)이 삽입되는 하부홈부(203,303)와, 상기 하부홈부(203,303)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넓어지도록 구비된 경사부(204,304),와, 상기 경사부(204,304)의 상부에 외부로 돌출되며, 외부에 나사선이 구비된 상부연결나선부(208,308)와, 상기 상부연결나선부(208,308)와 상기 경사부(204,304)의 경계선에 형성되며 링(240)이 삽입되는 상부홈(205,305)과, 상기 상부연결나선부(208,308)의 상부에 형성된 관형상의 밀봉고정부(610)로 구성된 것이다.
조립 및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박스(1)의 전면부(150)내측 하부에 형성된 하부돌출부(112)에 고정된 고정부(250)의 상부에 원터치착탈부(200)를 삽입 설치하되, 원타치착탈부(200)의 상부홈(205)에 링(240)을 삽입하고,
하부홈부(203)에 링(230)을 삽입한 다음, 고정부(25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외부에 나사선이 구비된 외부결착돌부(256)에 결착된 너트형상의 연결부(260)를 나사식으로 풀어,
상기 원타치착탈부(200)의 최하부에 형성된 하부결착부(202,302)가 내부고정돌출턱(252)에 의해 맞닿도록 하며, 고정부(250)의 내부고정중간부(253,353) 및 내부고정상부(254,354)가 원타치착탈부(200)의 경사부(204,304)가 일치하도록 하며, 고정부(250)의 외부에 나사선이 구비된 외부결착돌부(256)의 상부와, 원타치착탈부(200)의 외부에 나사선이 구비된 상부연결나선부(208,308)의 하부와 맞나, 상기 링(230,240)이 내측에 위치되도록 하여 고정시킨 다음, 외부결착돌부(256)에 결착된 너트형상의 연결부(260)를 나사식으로 조여 고정하여 상기 원타치착탈부(200)의 상부에 위치한 "ㄱ"자 형상의 외부고정상부(270,370)와 함께 360°회전되도록 조립을 하여, 매립형 에어콘 연결박스를 조립한 다음,(도1,도2 참조)
박스의 전면부에 커버고정테두리(810,810-1)의 커버고정부(811,811-1)에 나사볼트로 박스 전면부(150)의 내부고정나사홈부(154)에 고정시킨 다음, 그 상부에 커버(800,800-1)를 위치시켜 마감하여 조립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커버의 조립은 통상의 벽체 전기스위치의 커버를 조립하는 방법과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기재는 더 이상 하지 않기로 하겠다.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크기가 다른 액체관연결부(3), 압력측정기(4), 질소충전 및 배출노즐(5), 및 밀봉연결부(6)를 원하는 부품을 각각 연결한 후에,
상기 박스(1) 하부(110)의 하부연결부(111)에 형성된 하부통공부(113,114)를 관통하여 내부의 하부돌출부(112)에 고정된 고정부(250)의 내부고정하부(251)에 연결관(700)을 연결하여 실내기 실외기의 연장된 관에 연결하여, 외부고정상부(270)의 외부고정상부(278,378)에 연결하여 실내기 또는 실외기의 연장된 관에 연결한 다음, 상기와 같이 동일한 방법으로 커버를 마무리 시공하여 조립하는 것이다.
먼저, 에어컨이 설치되지 않은 상태에서,
실외에서는 압력측정기(4), 질소충전 및 배출노즐(5)이 내장된 다른 매립형 에어콘연결박스의 시공을 외부 벽체에 하고, 연결관(700)에 연결한 다음, (도16 및 도18참조)
실내에는 밀봉연결부(6)가 내장된 또 다른 매립형 에어콘연결박스의 시공을 벽체에 하고, 서로 바닥을 통해 연결한 다음,(도17참조)
질소충전기로 질소충전 및 배출노즐(5)에 질소를 충전하여, 일정압력을 압력측정기(4)로 하여 배관의 파손 유무를 점검한 후에,
질소충전 및 배출노즐(5)에서 질소를 제거한 다음,
상기 실내외에 설치된 매립형 에어콘연결박스의 압력측정기(4), 질소충전 및 배출노즐(5)을 제거하고, 상기 기체관연결부(2) 및 액체관연결부(3)의 한쌍으로 교체하고, 상기와 같이 동일한 방법으로 커버를 마무리 시공하여 실외에는 실외기를 실내에는 실내기를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이다.(도1, 도2참조)
이때 실내에서 2개의 실내기를 사용할 경우(통상 안방과 거실 2곳), 실외기에 사용되는 매립형 에어콘연결박스를 2배형인 박스(1-1)(도2참조)를 이용하여, 2곳의 실내기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실내, 실외 어느 곳이라도 설치하여 자유롭게 연결할 수 있도록, 연결된 고정부의 상부인 외부고정상부가 360°회전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실내, 실외에 설치할 수 있고, 실내에는 벽체의 일측에 매립되어 외부에서 전기스위치와 동일하게 하거나, 미려하게 하여 실내를 장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9)

  1. 벽체에 매립되는 매립형 에어콘 연결박스에 있어서,
    양측면에 2개씩 이격되어 형성된 측면연결부(15)가 구비된 박스(1)와, 상기 박스(1)의 내부에 고정된 다수개의 기체관연결부(2) 및 액체관연결부(3)로 구비되며, 상기 기체관연결부(2)와 액체관연결부(3)는 고정부(250,350)와, 상기 고정부(250,350)의 상부에 원터치식으로 삽입되어 회전되는 두 개의 원터치착탈부(200,300)와, 상기 박스(1)의 전면부에 설치되는 커버고정부(811,811-1)가 구비된 커버(800,800-1)로 구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에어콘연결박스.
  2. 벽체에 매립되는 매립형 에어콘 연결박스에 있어서,
    박스(1)와, 상기 박스(1)의 내부에 고정된 고정부(250,350)와, 상기 고정부(250)의 상부에 원터치식으로 삽입되어 고정된 압력측정기(4)와, 상기 다른 고정부(350)의 상부에 원터치식으로 삽입되어 고정된 질소충전 및 배출노즐(5)와, 상기 박스(1)의 전면부에 설치되는 커버고정부(811,811-1)가 구비된 커버(800,800-1)로 구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에어콘 연결박스.
  3. 벽체에 매립되는 매립형 에어콘 연결박스에 있어서,
    박스(1)와, 상기 박스(1)의 내부에 고정된 고정부(250,350)와, 상기 고정부(250,350)의 상부에 원터치식으로 삽입되어 고정되어 두 개의 고정부(250,350)를 연결시키는 밀봉연결부(6)와, 상기 박스(1)의 전면부에 설치되는 커버고정부(811,811-1)가 구비된 커버(800,800-1)로 구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에어콘박스.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박스(1)는 전면부가 개방되어 있으며, 좌우상하 및 후면부(130,110,160)가 막혀져 있는 형태로서, 개방된 전면부(150)의 하부에 돌출되어 형성되며, 하부(110)까지 하부통공부(113,114,115)에 의해 관통되어 관통된 하부통공(113,114)에 기체관연결부(2)와 액체관연결부(3)의 고정부(250,350)가 매립되어 형성된 내부고정돌출부(153)와, 전면부(150)의 테두리 내측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된 내부고정나사홈부(154)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하부(110)는 중앙 일측에 설치되며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된 다수개의 하부통공부(113,114,115)가 형성된 하부연결부(111)와, 상기 하부연결부(111)의 일측에 형성되어 응축수배출관통공(117)이 구비된 하부돌출부(112)와, 다른 일측에 설치된 하부예비통공부(116)로 구성되며,
    상기 측면부(130)에는 양쪽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된 측면연결부(15)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후면부(160)는 중앙에 구비된 대형의 후면대통공돌출부(161)가 구비되며 내측 중앙부에 설치된 후면예비대통공부(162)와, 상기 후면예비대통공부(162)의 내측 중앙부에 구비된 후면소통공돌출부(163)와, 상기 후면소통공돌출부(163)의 내측 중앙부에 구비된 후면예비소통공부(164)로 구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 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에어콘박스.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체관연결부(2)는 고정부(250,350)와, 상기 고정부(250,350)의 상부에 원터치식으로 삽입되어 회전되는 두 개의 원터치착탈부(200,300)로 구성되며,
    상기 고정부(250)는 상기 박스(1) 전면부(150)의 하부에 돌출되어 형성된 내부고정돌출부(153)에 하부 일측이 매립되며, 하부끝단부는 박스(1) 하부(110)의 하부통공부(113,114)까지 연결되며, 외측에는 연결부고정턱(261)이 내측에 구비되며 너트형상의 연결부(260)가 나사식으로 결합되는 구조로서, 외부를 살펴보면, 하부에 끝단부에 형성된 외부고정하부(259,359)와, 상기 외부고정하부(259,359)의 상부에 턱에 의해 연결되며 외부고정하부(259,359)보다 직경이 큰 외부고정중간부(258,358)와, 상기 외부고정중간부(258,358)의 상부에 턱에 의해 연결되며 외부고정중간부(258,358)보다 직경이 큰 외부고정상부(257,357)와, 상기 큰 외부고정상부(257,357)의 상부에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외부에 나사선이 구비된 외부결착돌부(256,356)로 구성되며, 내측하부에 설치되어 관이 연결되는 내부고정하부(251)와, 내부고정하부(251)의 상부에 내측으로 돌출되어 구비된 내부고정돌출턱(252)과, 상기 내부고정돌출턱(252)에 구비된 내부고정중간부(253,353)와, 상기 내부고정중간부(253,353)의 상부에 구비되며 내부고정중간부(253,353)보다 직경이 큰 내부고정상부(254,354)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에어콘박스.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원터치착탈부(200,300)는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관형상으로 연결부(260)의 연결부고정턱(261)이 고정부(260)의 외부결착돌부(256)에 맞닿아 상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부(250)에 연결되어 있으며,
    최하부에 형성된 하부결착부(202,302)와, 상기 하부결착부(202,302)의 상부에 링(230)이 삽입되는 하부홈부(203,303)와, 상기 하부홈부(203,303)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넓어지도록 구비된 경사부(204,304),와, 상기 경사부(204,304)의 상부에 외부로 돌출되며, 외부에 나사선이 구비된 상부연결나선부(208,308)와, 상기 상부연결나선부(208,308)와 상기 경사부(204,304)의 경계선에 형성되며 링(240)이 삽입되는상부홈(205,305)과, 상기 상부연결나선부(208,308)의 상부에 형성된 외부고정상부(270,370)로 구성되며,
    상기 외부고정상부(270,370)는 "ㄱ"자 형상으로 하부에 설치된 외부고정하부(271,371)와, 상기 외부고정하부(271,371)와 직각으로 형성된 외부고정상부(278,378)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에어콘박스.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압력측정기(4)는 고정부(250,350)의 상부에 삽입되는 구조로서,
    최하부에 형성된 하부결착부(202,302)와, 상기 하부결착부(202,302)의 상부에 링(230)이 삽입되는 하부홈부(203,303)와, 상기 하부홈부(203,303)의 상부에 형 성되어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넓어지도록 구비된 경사부(204,304),와, 상기 경사부(204,304)의 상부에 외부로 돌출되며, 외부에 나사선이 구비된 상부연결나선부(208,308)와, 상기 상부연결나선부(208,308)와 상기 경사부(204,304)의 경계선에 형성되며 링(240)이 삽입되는 상부홈(205,305)과, 상기 상부연결나선부(208,308)의 상부에 형성된 계측부연결부(410)와, 상기 계측부연결부(410)의 상부에 형성된 계측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에어콘박스.
  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질소충전 및 배출노즐(5)은 고정부(250)의 상부에 삽입되는 구조로서,
    최하부에 형성된 하부결착부(202,302)와, 상기 하부결착부(202,302)의 상부에 링(230)이 삽입되는 하부홈부(203,303)와, 상기 하부홈부(203,303)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넓어지도록 구비된 경사부(204,304),와, 상기 경사부(204,304)의 상부에 외부로 돌출되며, 외부에 나사선이 구비된 상부연결나선부(208,308)와, 상기 상부연결나선부(208,308)와 상기 경사부(204,304)의 경계선에 형성되며 링(240)이 삽입되는 상부홈(205,305)과, 상기 상부연결나선부(208,308)의 상부에 형성된 노즐연결부(510)와, 상기 노즐연결부 상부에 형성되며 외부에 나사선이 구비되며, 내측에 노즐(515)이 설치된 노즐보호부(511)와, 상기 노즐보호부(511)의 상부에 나사식으로 삽입되도록 노즐덮개암나사부(521)가 구비된 노즐덮개부(520)와, 상기 노즐덮개부(520)의 상부를 형성하는 노즐덮개상부(522)를 포함하 여 구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에어콘박스.
  9.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밀봉연결부(6)는 고정부(250,350)의 상부에 삽입되는 구조로서,
    최하부에 형성된 하부결착부(202,302)와, 상기 하부결착부(202,302)의 상부에 링(230)이 삽입되는 하부홈부(203,303)와, 상기 하부홈부(203,303)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넓어지도록 구비된 경사부(204,304),와, 상기 경사부(204,304)의 상부에 외부로 돌출되며, 외부에 나사선이 구비된 상부연결나선부(208,308)와, 상기 상부연결나선부(208,308)와 상기 경사부(204,304)의 경계선에 형성되며 링(240)이 삽입되는 상부홈(205,305)과, 상기 상부연결나선부(208,308)의 상부에 형성된 관형상의 밀봉고정부(61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에어콘박스.
KR1020060026513A 2006-03-23 2006-03-23 매립형 에어콘 연결박스 세트 KR1005956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6513A KR100595600B1 (ko) 2006-03-23 2006-03-23 매립형 에어콘 연결박스 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6513A KR100595600B1 (ko) 2006-03-23 2006-03-23 매립형 에어콘 연결박스 세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95600B1 true KR100595600B1 (ko) 2006-07-03

Family

ID=37183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6513A KR100595600B1 (ko) 2006-03-23 2006-03-23 매립형 에어콘 연결박스 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560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3588B1 (ko) 2006-09-28 2007-05-02 에어테크엔지니어링(주) 시공성이 향상된 에어컨 배관연결용 매립박스
KR100931624B1 (ko) 2009-06-22 2009-12-14 (주) 청마씨스텍 에어컨배관 조인트 시스템박스
KR100975288B1 (ko) 2008-08-26 2010-08-12 이성심 에어컨 배관 연결박스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3588B1 (ko) 2006-09-28 2007-05-02 에어테크엔지니어링(주) 시공성이 향상된 에어컨 배관연결용 매립박스
KR100975288B1 (ko) 2008-08-26 2010-08-12 이성심 에어컨 배관 연결박스
KR100931624B1 (ko) 2009-06-22 2009-12-14 (주) 청마씨스텍 에어컨배관 조인트 시스템박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82476B1 (en) Apparatus and process for amateur HVAC installation
US20180087783A1 (en) Apparatus and process for amateur ductless hvac installation
US11747025B2 (en) Apparatus and process for amateur HVAC installation
KR100595600B1 (ko) 매립형 에어콘 연결박스 세트
KR100713588B1 (ko) 시공성이 향상된 에어컨 배관연결용 매립박스
WO2018120659A1 (zh) 用于空调器的室外机和空调器
WO2016136529A1 (ja) 冷凍装置の熱源ユニット
KR20120015085A (ko) 배관연결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구조를 갖는 천정매립형 분배기
KR101089588B1 (ko) 에어컨의 배관 연결장치
KR101089589B1 (ko) 에어컨 냉매배관 시험용 압력게이지
KR100748618B1 (ko) 냉,난방용 체결 시스템에 구비된 연결장치
KR20180120423A (ko) 에어컨 실외기 받침대용 연결구
KR100780381B1 (ko) 공조설비의 배관결합장치
KR100812874B1 (ko) 공조설비의 배관결합장치의 단열구조
KR200438741Y1 (ko) 에어컨 설치배관용 플러그
KR100502280B1 (ko) 에어콘 실내기와 실외기의 연결구조
KR200421581Y1 (ko) 에어콘 배관용 연결박스 조립체
KR102131127B1 (ko) 냉매 가스 충전포트와 압력계를 구비한 에어컨용 배관 연결구
US11982451B1 (en) Apparatus and process for amateur HVAC installation
KR20110130166A (ko) 천정형 냉온수분배기의 개선된 배관연결구조
KR100975288B1 (ko) 에어컨 배관 연결박스
CN114383187A (zh) 一种可快速完成装卸的便携式空调
KR20020025125A (ko) 매립관을 포함하는 분리형 에어컨의 배관구조
KR100511249B1 (ko) 매립관 손상감시구조를 포함하는 분리형 에어컨의 배관구조
KR100748430B1 (ko) 에어콘 설치용 배관조인트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