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9588B1 - 에어컨의 배관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에어컨의 배관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9588B1
KR101089588B1 KR1020100024285A KR20100024285A KR101089588B1 KR 101089588 B1 KR101089588 B1 KR 101089588B1 KR 1020100024285 A KR1020100024285 A KR 1020100024285A KR 20100024285 A KR20100024285 A KR 20100024285A KR 101089588 B1 KR101089588 B1 KR 1010895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socket
fixing
joint box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42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05178A (ko
Inventor
신현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트쿨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트쿨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트쿨텍
Priority to KR10201000242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9588B1/ko
Publication of KR201101051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51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95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95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26Refrigerant pip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2Pipe ends provided with collars or flanges, integral with the pipe or not, pressed together by a screwed member
    • F16L19/0212Pipe ends provided with collars or flanges, integral with the pipe or not, pressed together by a screwed member using specially adapted seal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7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in a wa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ther Air-Condition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벽체 콘크리트에 매립된 매립배관 단부를 조인트 박스 내면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하여 실내.외기의 배관과 연결하는 소켓의 설치작업공간을 확보함과 아울러 밀폐부재가 소켓과 배관 및 배관의 외주면을 이중으로 밀폐시킬 수 있는 에어컨의 배관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 에어컨의 배관 연결장치에 의하면, 조인트 박스 내면에 고정된 간격유지부재의 길이 만큼 벽체 콘크리트에 매립된 매립배관이 조인트 박스 내면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게 위치함과 아울러 매립배관에 설치되는 소켓이 간격유지부재의 레일을 따라 이동되면서 벽체 콘크리트에 불규칙하게 매립된 매립배관을 일정간격 유지하도록 함으로서 소켓의 설치 및 너트 체결에 따른 작업공간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작업능률 향상으로 인한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켓에 체결되는 너트에 의해 밀폐부재가 소켓과 배관 외주면을 밀폐시킴과 동시에 너트의 체결력에 의해 밀폐부재가 변형되면서 배관 외주면을 견고하게 밀폐시키는 이중 밀폐구조에 의해 배관으로 이동되는 냉매가스의 누출을 차단함과 아울러 향후 유지관리 및 A/S를 간편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에어컨의 배관 연결장치{Device for connecting pipe of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에어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벽체 콘크리트에 매립된 매립배관 단부를 조인트 박스 내면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하여 실내.외기의 배관과 연결하는 소켓의 설치작업공간을 확보함과 아울러 밀폐부재가 소켓과 배관 및 배관의 외주면을 이중으로 밀폐시킬 수 있는 에어컨의 배관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어컨은, 응축기와 압축기 및 팽창장치가 설치되는 실외기와 증발기가 설치된 실내기를 배관으로 연결하여 냉매가스가 순환되도록 하고, 실내기에서 외부로 배출되는 배수관이 구비되며, 상기 배관은 고압배관과 저압배관의 2개 관으로 이루어진다.
근래 들어 상기 배관은 건물의 신축시, 벽체 콘크리트에 매립되게 시공되며, 매립배관과 실내.외기의 배관 접속은 벽체 콘크리트에 돌출되지 않도록 매립 설치되는 조인트 박스에서 이루어지는데, 상기 조인트 박스는, 매립배관과 실내.외기를 연결하는 배관 단부가 결합되는 복수의 통공이 관통되면서 각 배관을 연결하는 공간을 형성하며, 전방에는 덮개가 형성된다.
그러나 상기 조인트 박스 내면에 근접되도록 매립배관이 벽체 콘크리트에 매립되면, 매립배관 단부에 실내.외기를 연결하는 배관을 연결하는 소켓의 설치작업시, 작업공간이 협소하여 작업능률이 저하됨과 아울러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일정간격을 유지하도록 매립배관이 벽체 콘크리트에 매립되어야 하나, 벽체 콘크리트에 매립된 매립배관이 일정간격을 유지하지 못하여 소켓의 설치작업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상기 소켓에 장착되는 배관의 설치작업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결함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벽체 콘크리트에 매립된 매립배관 단부가 조인트 박스 내면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하도록 하여 소켓 및 상기 소켓과 실내.외기를 연결하는 배관의 설치작업시 작업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에어컨의 배관 연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벽체 콘크리트에 매립된 매립배관에 설치되는 소켓이 레일을 따라 이동되면서 불규칙하게 매립된 매립배관을 일정간격 유지하도록 함과 아울러 소켓에 체결되는 너트에 의해 밀폐부재가 소켓과 배관의 외주면 및 배관의 외주면을 이중으로 견고하게 밀폐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에어컨의 배관 연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 에어컨의 배관 연결장치는,
벽체 콘크리트에 매립되는 매립배관과 실내.외기의 배관을 연결하는 연결장치로서,
상기 매립배관의 단부를 수용하는 통공이 관통되면서 벽체 콘크리트에 매립되는 조인트 박스와;
상기 조인트 박스의 고정공에 고정구로 고정되어 매립배관을 조인트 박스 내면으로부터 이격시키면서 레일을 따라 소켓이 이동하여 매립배관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하는 간격유지부재와;
상기 간격유지부재의 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장착되어 매립배관과 실내.외기의 배관을 연결하는 소켓과;
상기 소켓을 간격유지부재의 레일에 고정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 고정된 소켓과 배관 사이에 장착되어 냉매가스의 유출을 방지하는 밀폐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 에어컨의 배관 연결장치에 의하면, 조인트 박스 내면에 고정된 간격유지부재의 길이 만큼 벽체 콘크리트에 매립된 매립배관이 조인트 박스 내면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게 위치함과 아울러 매립배관에 설치되는 소켓이 간격유지부재의 레일을 따라 이동되면서 벽체 콘크리트에 불규칙하게 매립된 매립배관을 일정간격 유지하도록 함으로서 소켓의 설치 및 너트 체결에 따른 작업공간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작업능률 향상으로 인한 작업시간을 단축시키는 이점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 에어컨의 배관 연결장치에 의하면, 소켓에 체결되는 너트에 의해 밀폐부재가 소켓과 배관 외주면을 밀폐시킴과 동시에 너트의 체결력에 의해 밀폐부재가 변형되면서 배관 외주면을 견고하게 밀폐시키는 이중 밀폐구조에 의해 배관으로 이동되는 냉매가스의 누출을 차단함과 아울러 향후 유지관리 및 A/S를 간편하게 하는 이점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평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소켓의 이동상태를 나타낸 정면구성도
도 6은 도 5의 평단면도
도 7 내지 도 8은 본 발명 밀폐부재의 결합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분리사시도이다.
본 발명 에어컨의 배관 연결장치는, 벽체 콘크리트에 매립되는 매립배관(10)과 실내.외기의 배관(20)을 연결하는 연결장치(100)로서, 상기 매립배관(10)의 단부를 수용하는 통공(111)이 관통되면서 벽체 콘크리트에 매립되는 조인트 박스(110)가 구성되고, 상기 조인트 박스(110)의 고정공(112)에 고정구(120')로 고정되어 매립배관(10)을 조인트 박스(110) 내면으로부터 이격시키면서 레일(122)을 따라 소켓(130)이 이동하여 매립배관(10)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하는 간격유지부재(120)가 구성되며, 상기 간격유지부재(120)의 레일(122)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장착되어 매립배관(10)과 실내.외기의 배관(20)을 연결하는 소켓(130)이 구성되고, 상기 소켓(130)을 간격유지부재(120)의 레일(122)에 고정볼트(141)와 고정너트(142)로 고정하는 고정부(140)가 구성되며, 상기 고정부(140)에 고정된 소켓(130)과 배관(10) 사이에 장착되어 냉매가스의 유출을 방지하는 밀폐부재(1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고정공(112)은, 상기 조인트 박스(110) 내면에 간격유지부재(120)의 설치위치를 조절하도록 적층되어 관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간격유지부재(120)는, 상기 조인트 박스(110) 내면에 밀착되는 몸체(121)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연통되는 레일(122)이 구비되고, 상기 몸체(121)에 고정구(120')가 결합되도록 관통되는 관통공(123)을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레일(122)은 고정부(140)의 고정너트(142) 이탈을 방지하면서 고정너트(142)에 체결되는 고정볼트(141)가 이동할 수 있도록 전방으로 절곡되어 개구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소켓(130)은, 상기 매립배관(10)과 실내.외기의 배관(20)을 연결하면서 냉매가스가 이동될 수 있도록 내부가 관통된 소켓몸체(131)가 구비되고, 상기 소켓몸체(131) 외주면에 돌출되어 레일(122)에 밀착되어 지지하는 지지편(132)이 구비되며, 상기 지지편(132) 내부에 고정부(140)의 고정너트(142)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관통되는 결합공(133)을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밀폐부재(150)는, 상기 매립배관(10)이나 실내.외기 배관(20)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밀폐몸체(151)가 구비되고, 상기 밀폐몸체(151)의 선단부에 경사지게 형성되어 소켓(130)에 결합되면서 배관(10)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하는 배관밀착편(152)을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소켓(130)에 체결되는 너트(130')에 의해 밀폐부재(150)가 압축되어 변형되면서 매립배관(10)이나 실내.외 배관(20)의 외주면을 견고하게 밀폐시키도록 밀폐몸체(151)의 후단부 외주면에 요입되는 압축변형홈(153)을 더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압축변형홈(153)은 적어도 1개 이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설치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공(111)과 고정공(112)이 관통된 조인트 박스(110)를 벽체 콘크리트를 형성하는 거푸집에 적어도 한 쌍으로 설치하는데, 상기 조인트 박스(110)의 통공(111)에는 매립배관(10)이 결합되면서 매립배관(10)의 단부는 조인트 박스(110) 내부에 위치하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벽체 콘크리트를 형성하는데, 상기 타설되는 콘크리트에 의해 매립배관(10)이 유동할 수 있으나, 통공(111) 내부에서만 가능하다.
상기 타설된 콘크리트가 양생되어 거푸집을 해체한 상태에서 상기 매립배관(10)과 실내.외기 배관(20)을 연결하려면, 상기 매립배관(10) 단부의 위치에 따라 조인트 박스(110)의 내면에 간격유지부재(120)를 밀착시키는데, 상기 간격유지부재(120)의 관통공(123)과 적층된 고정공 중 어느 하나의 고정공(112)은 동일 선상을 유지하여야 하고, 동일 선상을 유지하는 관통공(123)을 통해 고정공(112)에 고정구(120')을 체결하여 고정시킨다.
여기서, 상기 고정공(112)은 고정구(120')가 체결되도록 관통된 구멍으로 직경이 작아 타설되는 콘크리트가 고정공(112)을 통해 조인트 박스(110) 내부로 유입되지 않으며, 상기 고정공(112) 단부를 폐쇄시킨 상태로 조인트 박스(110)를 성형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간격유지부재(120)가 조인트 박스(110)에 고정되면, 매립배관(10)의 일측단부에 너트(130')와 밀폐부재(150)의 밀폐몸체(151)를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매립배관(10)의 일측단부에 소켓(130)의 소켓몸체(131)를 결합한 후, 간격유지부재(120)의 레일(122)에 밀착시킨다.
이때,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일(122)에 소켓(130)의 지지편(132)이 밀착되면서 결합공(133)과 동일 선상을 유지함과 동시에 고정부(140)의 고정너트(142)를 전방으로 절곡된 레일(122)에 결합하여 결합공(133)과 동일 선상이 되도록 이동시키고, 상기 고정부(140)의 고정볼트(141)를 결합공(133)으로 결합한 후, 상기 소켓(130)을 레일(122)을 따라 이동하여 매립배관(10)과 수직선상을 유지한 상태에서 고정볼트(141)를 고정너트(142)에 체결하여 소켓(130)을 간격유지부재(120)에 고정시키게 된다.
또한, 도 7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매립배관(10)에 결합된 너트(130')를 소켓몸체(131)의 나사산부에 체결하면, 나사산부에 체결되는 너트(130')에 의해 밀폐부재(150)의 밀폐몸체(151)는 매립배관(10)의 일측단부로 이동하면서 밀폐몸체(151)의 선단부에 경사진 배관밀착편(152)이 소켓몸체(131)와 매립배관(10) 사이의 소켓몸체(131) 내부로 결합된다.
상기 소켓몸체(131) 내부로 배관밀착편(152)이 결합된 상태에서도 소켓몸체(131)의 나사산부에 너트(130')가 체결됨과 동시에 상기 너트(130')가 밀폐몸체(151)를 가압하면, 상기 밀폐몸체(151)의 후단부 외주면에 요입되어 형성된 압축변형홈(153)이 너트(130')의 가압력에 의해 절첩된다.
이때, 상기 압축변형홈(153)이 절첩됨과 동시에 밀폐몸체(151)의 내부가 내측으로 돌출되어 매립배관(10) 외주면에 견고하게 밀착되면서 소켓(130)과 매립배관(10) 사이를 폐쇄시켜 매립배관(10)으로 이동되는 냉매가스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압축변형홈(153)은 적어도 1개 이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간격유지부재(120)의 몸체(121)와 레일(122)이 돌출된 길이 만큼 조인트 박스(110) 내면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므로 소켓(130)의 소켓몸체(131) 나사산에 너트(130')를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는 작업공간을 확보하여 용이하게 작업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매립배관(10)의 타측단부가 위치하는 조인트 박스에 간격유지부재(120)를 고정구(120')로 고정시키고, 상기 간격유지부재(120)에 매립배관(10)의 타측단부에 결합된 소켓(130)을 상기의 방법으로 고정시킨 상태에서, 상기 매립배관(10) 타측에 고정된 소켓(130)에는 실외기 배관을 연결한 상태에서 매립배관(10)의 일측단부에 압력게이지를 장착한 후, 상기 배관에 일정압력의 공기를 충전하여 공기의 누설을 감지하게 된다.
상기 압력게이지가 일정긴간 일정한 압력을 유지하면, 공기가 누설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압력게이지를 매립배관(10)의 일측단부에서 분리한 후, 상기 매립배관(10)의 일측단부에 실내기 배관(20)을 연결하고, 상기 배관(20)에 냉매를 투입하여 에어컨의 작동여부를 확인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의 설명은, 고압배관과 저압배관 2개로 이루어진 매립배관(10) 하나만 설명하였으나, 실내기의 개수에 따라 다수의 매립배관을 조인트 박스에 설치할 수 있으며, 실내기의 배관 위치에 따라 소켓(130)은 엘보우 형상이나 직선 형상으로 형성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발명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균등물과 변혀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 연결장치 110: 조인트 박스
120: 간격유지부재 120': 고정구
130: 소켓 130': 너트
140: 고정부 150: 밀폐부재

Claims (8)

  1. 벽체 콘크리트에 매립되는 매립배관과 실내.외기의 배관을 연결하는 연결장치로서,
    상기 매립배관의 단부를 수용하는 통공이 관통되면서 벽체 콘크리트에 매립되는 조인트 박스와;
    상기 조인트 박스의 고정공에 고정구로 고정되어 매립배관을 조인트 박스 내면으로부터 이격시키면서 레일을 따라 소켓이 이동하여 매립배관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하는 간격유지부재와;
    상기 간격유지부재의 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장착되어 매립배관과 실내.외기의 배관을 연결하는 소켓과;
    상기 소켓을 간격유지부재의 레일에 고정볼트와 고정너트로 고정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 고정된 소켓과 배관 사이에 장착되어 냉매가스의 유출을 방지하는 밀폐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의 배관 연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공은, 상기 조인트 박스 내면에 간격유지부재의 설치위치를 조절하도록 적층되어 관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의 배관 연결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간격유지부재는,
    상기 조인트 박스 내면에 밀착되는 몸체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연통되는 레일과;
    상기 몸체에 고정구가 결합되도록 관통되는 관통공을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의 배관 연결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레일은 고정부의 고정너트 이탈을 방지하면서 고정너트에 체결되는 고정볼트가 이동할 수 있도록 전방으로 절곡되어 개구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의 배관 연결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소켓은,
    상기 매립배관과 실내.외기의 배관을 연결하면서 냉매가스가 이동될 수 있도록 내부가 관통된 소켓몸체와;
    상기 소켓몸체 외주면에 돌출되어 레일에 밀착되어 지지하는 지지편과;
    상기 지지편 내부에 고정부의 고정너트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관통되는 결합공을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의 배관 연결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밀폐부재는,
    상기 매립배관이나 실내.외기 배관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밀폐몸체와;
    상기 밀폐몸체의 선단부에 경사지게 형성되어 소켓에 결합되면서 배관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하는 배관밀착편을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의 배관 연결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소켓에 체결되는 너트에 의해 밀폐부재가 압축되어 변형되면서 매립배관이나 실내.외 배관의 외주면을 견고하게 밀폐시키도록 밀폐몸체의 후단부 외주면에 요입되는 압축변형홈을 더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의 배관 연결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압축변형홈은 적어도 1개 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의 배관 연결장치.

KR1020100024285A 2010-03-18 2010-03-18 에어컨의 배관 연결장치 KR1010895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4285A KR101089588B1 (ko) 2010-03-18 2010-03-18 에어컨의 배관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4285A KR101089588B1 (ko) 2010-03-18 2010-03-18 에어컨의 배관 연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5178A KR20110105178A (ko) 2011-09-26
KR101089588B1 true KR101089588B1 (ko) 2011-12-05

Family

ID=449556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4285A KR101089588B1 (ko) 2010-03-18 2010-03-18 에어컨의 배관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958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3529B1 (ko) * 2012-08-10 2014-03-13 황혜자 벽체매립형 수전함과 원형수전구 지지대의 위치조절가능한 고정구조
KR101498234B1 (ko) * 2013-05-21 2015-03-05 주식회사 에어컨이엔지 에어컨 배관 설치장치 및 방법
KR102330516B1 (ko) * 2020-10-15 2021-11-23 문면곤 관 이음용 패킹과 이 패킹을 이용한 관이음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5178A (ko) 2011-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9588B1 (ko) 에어컨의 배관 연결장치
KR20110004645A (ko) 내진용 배관 행거
CN105298520A (zh) 一种矿用支架
KR100713588B1 (ko) 시공성이 향상된 에어컨 배관연결용 매립박스
KR101620279B1 (ko) 기밀 테스트용 배관 연결관, 이를 결합한 스테인리스 배관 및 스테인리스 배관 형성방법
KR200437907Y1 (ko) 에어콘용 배관 연결장치
KR101089589B1 (ko) 에어컨 냉매배관 시험용 압력게이지
KR20070029781A (ko) 배관연결구 및 이 배관연결구를 이용한 벽체매립형 수전함연결시스템
KR100595600B1 (ko) 매립형 에어콘 연결박스 세트
CN202066258U (zh) 制冷循环节流安装结构
KR101498237B1 (ko) 에어컨용 압력계 고정장치
CN208417938U (zh) 带压管道中传感器安装结构
KR200453002Y1 (ko) 에어컨의 냉매관 연결구.
KR100975288B1 (ko) 에어컨 배관 연결박스
KR200460236Y1 (ko) 가스배관 연결장치
KR20130094946A (ko) 결로방지용 에어컨 배관 조인트박스
KR200438741Y1 (ko) 에어컨 설치배관용 플러그
KR20080051390A (ko) 매립형 에어컨 배관연결구조
KR102131127B1 (ko) 냉매 가스 충전포트와 압력계를 구비한 에어컨용 배관 연결구
KR20130115787A (ko) 에어컨용 매립형 배관구조
CN204923253U (zh) 一种整体式空调
KR101544977B1 (ko) 에어컨 매립배관의 결합구조
CN201121751Y (zh) 连体快速接头截止阀
KR101151687B1 (ko) 에어컨 배관 연결용 멀티박스
CN218326606U (zh) 一种建筑预留管道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