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2874B1 - 공조설비의 배관결합장치의 단열구조 - Google Patents

공조설비의 배관결합장치의 단열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2874B1
KR100812874B1 KR1020070036330A KR20070036330A KR100812874B1 KR 100812874 B1 KR100812874 B1 KR 100812874B1 KR 1020070036330 A KR1020070036330 A KR 1020070036330A KR 20070036330 A KR20070036330 A KR 20070036330A KR 100812874 B1 KR100812874 B1 KR 1008128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onditioning
pipe
heat insulating
box body
insulat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63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수
Original Assignee
현대산업개발 주식회사
(주) 청마씨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산업개발 주식회사, (주) 청마씨스텍 filed Critical 현대산업개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363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28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28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28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26Refrigerant piping
    • F24F1/34Protection means thereof, e.g. covers for refrigerant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2Shape or form of insulating materials, with or without coverings integral with the insulating materi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10Bandages or covers for the protection of the insulation, e.g. against the influence of the environment or against mechanical dam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ther Air-Condition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조설비의 배관결합장치의 단열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실내기와 실외기로 된 공조 설비의 배관공사를 시행함에 있어, 상기 공조 설비의 냉매관을 양단이 노출한 상태에서 칸막이벽의 두께에 상당한 길이의 일측이 개방된 박스체 내에 배관 조인트가 기립되어 고정된 공조설비의 배관결합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관 조인트의 외측벽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둘러싸는 형상의 단열판재가 상기 박스체의 후벽면 사이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열되고, 상기 단열판재와 박스체의 후벽면 사이공간은 단열폼재로 충전되는 구성으로 되어, 빌딩이나 맨션의 건축 후에 공조 설비를 설치한다 하더라도, 배관에 손상을 초래하는 일이 전연 없음과 동시에, 실내외벽 간의 단열을 극력 도모할 수 있도록 하였다.
공조설비, 배관, 단열

Description

공조설비의 배관결합장치의 단열구조{Pipe connecting device for air conditioning facilit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조설비의 배관결합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예시된 공조설비의 배관결합장치의 전체 배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공조설비의 배관결합장치의 단열구조에서 뚜껑을 벗겨 공조설비의 배관결합장치의 단열구조의 내측방향으로 배관 조인트가 연결되는 상태를 도시한 부분 조립 사시도,
도 4는 도 3에서 배관 조인트가 박스체 내에 장착되고, 가상선으로 공조설비의 실내기에 연결되는 고압관과 저압관이 간섭없이 측방향으로 자연스럽게 배열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은 도 2에서 후면 커버체를 탈거하여 박스체의 배면측에 형성된 복수의 수용구에 고압관과 저압관이 매입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분해조립 사시도, 및
도 6은 도 5의 선 A-A에 따른 단면 구조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박스체 110 : 고압관
120 : 저압관 200 : 배관 조인트
210 : 제1 결합판재 211 : 제1 걸림구
213 : 제2 걸림구 220 : 제2 결합판재
221 : 제3 걸림구 223 : 제4 걸림구
230 : 제1 숫형 연결자 240 : 제2 숫형 연결자
250 : 제1 암형 연결자 260 : 제2 암형 연결자
310 : 제1 그로멧 320 : 제2 그로멧
400 : 단열판재 401 : 제1 단열판
403 : 제2 단열판 410 : 보스부
420 : 단열폼재
본 발명은 빌딩이나 맨션의 건축 후에 공조 설비를 설치한다 하더라도, 배관에 손상을 초래하는 일없이, 원활한 배관 설비의 시공 및 그 운용이 가능한 공조 설비의 배관 접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조설비는 가정용 또는 업무용을 불문하고 넓게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공조설비의 사용자는 체감온도에 따라 냉난방의 모드를 변경하거나, 풍량이나 설정 온도를 조절하는 것에 의해, 실외의 온도에 무관하게 실내의 온도를 쾌적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근래 공조설비에 있어서는, 소위 실내기와 실외기로 분리되어 있는 형태의 것이 주류이다. 이처럼 실내기와 실외기를 구별체로 하는 것에 의해, 실내의 정숙을 유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공간 절약화를 실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실내기와 실외기가 분리되어 있는 형태의 공조설비의 설치 공사에 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실내기와 실외기로 된 공조 설비의 배관공사를 시행함에 있어, 공조 설비의 냉매관을 양단이 노출한 상태에서 칸막이벽의 두께에 상당한 길이의 슬리브에 수납하여 배관 접속구를 구성하고, 이 배관 접속구를 미리 칸막이벽 내에 매설해 두고, 이 배관 접속구의 적어도 실내측의 단자에, 냉매관의 본관을 접속하고 실내기 부근까지 칸막이벽에 배관하는 시공은, 냉매관의 양단을 용접함으로써 시공하는 것을 요건으로 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설치공사에 있어서는, 배관의 부설작업이 상당히 번잡하게 되는 등의 단점을 내포하고 있었다. 건물의 벽체에 관통공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건물 벽체에 관통공을 천공해야만 하고, 이 관통공을 이용하여 배관을 실외로 끌어낼 경우에는, 이 끌어내는 견인력이 상당히 소요될 뿐만 아니라, 배관 자체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신중함도 요구되었다. 이 때문에, 일반적인 시공에서는 작업자가 복수명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공사를 시행할 수 없고, 또 공사에 장기간의 시간이 소요되며, 외관을 해치는 등의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이와 같은 종래 공조 설비에 있어서, 실내기와 실외기의 배관 도입부의 결속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음과 동시에, 실내기와 실외기 사이에 설치되는 냉매순환용 배관을 개재시킴에 있어 실내기 측 배관용 조인트가 건물내벽으로부터 노출되지 않도록 하며, 건물의 건축 후 공조설비를 용이하게 설치하는 공조설비의 배관 결합 장비를 특허출원번호 제10-2007-26794호로 출원한 바 있다.
한편, 공조설비를 설치할 경우에 있어서는, 단열처리가 되지 않은 일반적인 박스체로 배관 설비 작업을 수행시에는, 단열처리가 되지 않았기에, 외부 온도가 실내에 영향을 주는 등의 단점을 내포하고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청구항1의 목적은, 공조설비의 실내기와 실외기 사이에 설치되는 냉매 순환용 배관에 개재시키고, 이들 실내기측의 배관과 실외기측의 배관을 접속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실내기측의 배관을 접속하기 위한 실내기측 배관용 조인트가 마련되어 있고, 이 실내기측으로 개방된 박스체의 단열기능이 원활히 수행될 수 있도록 한 공조설비의 배관결합장치의 단열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또, 상기 실내기 및 실외기의 배관용 조인트는 가능한 한 두께를 얇게 제작함으로써, 칸막이벽의 두께와 같은 주변 상황별로 달리 용이하게 설계하여 사용할 수 있음과 아울러, 그 배관 접속 작업의 효율성을 저해하지 않으면서도 단열기능은 극대화할 수 있는 공조설비의 배관결합장치의 단열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 본 발명은, 실내기와 실외기로 된 공조 설비의 배관공사를 시행함에 있어, 상기 공조 설비의 냉매관을 양단이 노출한 상태에서 칸막이벽의 두께에 상당한 길이의 일측이 개방된 박스체 내에 배관 조인트가 기립되어 고정된 공조설비의 배관결합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관 조인트의 외측벽면을 따라 연속적으 로 둘러싸는 형상의 단열판재가 상기 박스체의 후벽면 사이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열되고, 상기 단열판재와 박스체의 후벽면 사이공간은 단열폼재로 충전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박스체의 후벽면에는 그의 내측으로 돌설되어 상기 단열판재를 지지하는 다수의 보스부가 구비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단열판재는 양측으로 제1 단열판과 제2 단열판으로 분할되어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단열판과 제2 단열판에는, 상기 박스체의 양측 내벽면에 길이방향으로 연속상으로 돌출 형성된 제1 장보스와 제2 장보스에 접속되어 가이드되는 제1 및 제2 가이드구가 각각 오목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조설비의 배관결합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예시된 공조설비의 배관결합장치의 전체 배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공조설비의 배관결합장치의 단열구조에서 뚜껑을 벗겨 공조설비의 배관결합장치의 단열구조의 내측방향으로 배관 조인트가 연결되는 상태를 도시한 부분 조립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서 배관 조인트가 박스체 내에 장착되고, 가상선으로 공조설비의 실내기에 연결되는 고압관과 저압관이 간섭없이 측방향으로 자연스럽게 배열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2에서 후면 커버체를 탈거하여 박스체의 배면측에 형성된 복수의 수용구에 고압관과 저압관이 매입 설치 된 상태를 도시한 분해조립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선 A-A에 따른 단면 구조도이다.
부호 (100)는 실내기와 실외기로 된 공조 설비의 배관공사를 시행함에 있어, 콘크리트 구조물의 양생 이전에 철근 사이에 끼워져 양생되도록, 상기 철근 결속용 다수의 클램프부(C)를 갖는 박스체이다.
또, 상기 박스체(100)의 일측은 개방된 상태로 형성되고, 이 박스체(100) 배면 내측에는, 이러한 공조 설비의 냉매관을 양단이 노출한 상태에서 칸막이벽의 두께에 상당한 길이의 박스체(100)의 두께보다 상당히 얇은 형태의 배관 조인트(200)가 나사 등의 체결부재(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기립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박스체(100) 내에 매설된 배관 조인트(200)의 적어도 실외측 단자에, 상기 냉매관의 고압관(110)과 저압관(120)이 각각 접속되어 있다.
또, 상기 실내기로부터의 고압관(110)과 저압관(120)에는 이 고압관(110)과 저압관(120) 각각이 연결되는 대응 고압관(130)과 대응 저압관(140)이 상기 배관 조인트(200)의 실내기측 단자까지 배관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고압관(110)과 대응 고압관(130) 그리고 상기 저압관(120)과 대응 저압관(140)을 상호 연결하기 위한 배관 조인트(200)에 의해, 서로 연통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배관 조인트(200)는, 한 쌍의 판상조립체 내에 상기 고압관(110)과 저압관(120)의 플랜지부가 각각 결합된 한 쌍의 숫형 연결자와, 이 숫형 연결자와 합체하면서, 상기 대응 고압관(130) 및 대응 저압관(140)의 플랜지부가 각각 결합된 한 쌍의 암형 연결자가 상기 한 쌍의 판상조립체 사이에 걸림결합되어 일체적 으로 접속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상기 배관 조인트(200)를 이루는 한 쌍의 판상조립체는, 상기 고압관(110)의 단부의 제1 숫형 연결자(230)가 외측방향으로 걸림고정되도록 제1 걸림구(211)가 단이지게 내측에 형성되고, 상기 저압관(120)의 단부의 제2 숫형 연결자(240)가 외측방향으로 걸림고정되도록 제2 걸림구(213)가 단이지게 내측에 형성된 제1 결합판재(210)와, 상기 대응 고압관(130)의 단부의 제1 암형 연결자(250)가 내측방향으로 걸림고정되도록 제3 걸림구(221)가 단이지게 내측에 형성되고, 상기 대응 저압관(140)의 단부의 제2 암형 연결자(260)가 외측방향으로 걸림고정되도록 제4 걸림구(223)가 단이지게 내측에 형성된 제2 결합판재(220)가 일체로 착접되어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박스체(100)의 폐쇄된 배면측벽에는 상기 고압관(110)과 저압관(120)이 노출 가능하게 병렬로 매설 가능하도록 제1 및 제2 수용구(101, 103)가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제1 및 제2 수용구(101, 103)는 상기 고압관(110)과 저압관(120)의 매립 후 단열재 폼으로 충전됨과 동시에 후면 커버체(130)에 의해 커버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후면 커버체(130)에 의해 후면이 커버된 제1 및 제2 수용구(101, 103)는 상기 고압관(110)과 저압관(120)이 접속되는 제1 및 제2 접속구(211, 321)가 각각 형성된 플랜지부-구비 제1 및 제2 그로멧(310, 320)의 접속에 의해 폐쇄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상기 한 쌍의 판상조립체의 제1 및 제2 걸림구(211, 213) 그리고, 제3 및 제4 걸림구(221, 223)는 전방에서 바라 볼 때, 상기 제1 숫형 및 제1 암형 연결자(230, 250) 그리고 제2 숫형 및 제2 암형 연결자(240, 260)가 오프셋되어 설치되도록 높이가 상호 다른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한편, 미설명 부호(105)는 배선 수용부 등의 각 부재를 관통 설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외부 충격에 따라 관통되는 그루브(G)-구비 격막공이고, 부호(107)는 전면 프레임이고, 이 전면 프레임(107)의 전방에는 전면 커버체(108)가 결합되며, 이 전면 커버체(108)의 중앙에 형성된 개구에는 뚜껑(109)이 장탈착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부호(231, 241)는 상기 고압관(110) 및 저압관(120)과 제1 및 제2 숫형 연결자(230, 240)를 직교방향으로 결합하기 위한 제1 및 제2 엘보부이다.
또한, 상기 박스체(100)의 후벽면에는, 상기 박스체(100)의 후벽면으로부터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배관 조인트(200)의 외측벽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둘러싸는 형태로 이루어진 단열판재(400)가 배치되어 있다.
또, 상기 단열판재(400)와 박스체(100)의 후벽면 사이공간은 단열폼재(420)로 충전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박스체(100)의 후벽면에는 그의 내측으로 돌설되어 상기 단열판재(400)를 지지하는 다수의 보스부(410)가 구성되어 있다.
또, 상기 단열판재(400)는 양측으로 제1 단열판(401)과 제2 단열판(403)으로 분할되어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 단열판(401)과 제2 단열판(403)에는, 상기 박스체(100)의 양측 내벽면에 길이방향으로 연속상으로 돌출 형성된 제1 장보스(411)와 제2 장보스(413)에 접속되어 가이드되는 제1 및 제2 가이드구(401a, 403a)가 각각 오목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본원 발명에 따른 공조설비의 배관결합장치의 단열구조의 작동을 설명한다.
먼저, 도면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박스체(100)의 좌우 양측면에 단면이 ㄷ자 형상으로 형성된 클램프부(C)가 건축물의 수직방향의 철근 구조물에 사전에 결속 고정된 상태에서 콘크리트와 함께 양생된다.
다음에, 배관 조인트(200)의 제1 결합판재(210)를 상기 박스체(100)의 후면 내측에 체결부재로 고정시킨다.
이어서, 제1 결합판재(210)에 형성된 제1 걸림구(211)와 제2 걸림구(213)를 관통하는 상기 제1 및 제2 엘보부(231, 241)를 상기 박스체(100)의 제 1 및 제2 수용구(101, 103) 상측의 개방구를 통해 상기 박스체(100)의 제 1 및 제2 수용구(101, 103)와 나란히 되도록 배열한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 엘보부(231, 241)의 몸체인 제1 및 제2 숫형 연결자(203, 240)는 이 제1 및 제2 숫형 연결자(230, 240)의 플랜지부에 의해 상기 제1 걸림구(211)와 제2 걸림구(213)에 각각 걸림고정되는 것이다.
또, 상기 제1 및 제2 숫형 연결자(230, 240)에 씰링자재로서의 오링(O)을 삽입한 후, 상기 제1 및 제2 암형 연결자(250, 260)를 상기 제1 및 제2 숫형 연결 자(230, 240)와 개별로 합체시킨다.
다음에, 상기 제1 및 제2 숫형 연결자(230, 240)와 합체된 상기 제1 및 제2 암형 연결자(250, 260)의 플랜지부가 상기 제2 결합판재(220)의 제3 및 제4 걸림구(223)에 의해 걸림고정되도록 상기 제2 결합판재(220)와 제1 결합판재(210)를 착접시킨 후, 체결부재를 매개로 상호 결합시키면 1차적으로 실외기의 배관 접속은 마무리된다.
이제 남은 작업은 실내기로부터의 대응 고압관(130)과 대응 저압관(140)을 상기 제1 및 제2 암형 연결자(260)에 공지의 방식, 즉 대응 고압관(130)과 대응 저압관(140)이 확관되어 고정된 공지의 암나사부-구비 배관 소켓을 사용하여, 상기 제1 및 제2 암형 연결자(250, 260)의 숫나사부(m1, m2)에 체결 고정하면 2차적인 실내기의 배관 접속도 간단한 작업만으로 완료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1차적인 실외기의 배관 접속 및 2차적인 실외기의 배관 접속이 용이하게 얇은 판재 타입의 배관 조인트(200)를 매개로 용이하게 결속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박스체(100)의 후벽면에는, 상기 박스체(100)의 후벽면으로부터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배관 조인트(200)의 외측벽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둘러싸는 형태로 이루어진 단열판재가 배치되고, 상기 단열판재(400)와 박스체(100)의 후벽면 사이공간은 단열폼재(420)로 충전되어 있어, 건물 칸막이벽의 실내외간 온도에 상호 영향을 받지 않는 단열기능이 수행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는, 상기 박스체(100)의 후벽면에 그의 내측으로 돌설된 다수의 보스 부(410)에 상기 제1 및 제2 단열판(401, 403)이 도시하지 않은 체결부재 체결고정하는 것으로 원활히 단열폼재(420)가 충전되는 충전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단열판재(400)는 양측으로 제1 단열판(401)과 제2 단열판(403)으로 분할하여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자가 설치 공간, 특히 상기 배관 조인트(200)로부터 자유롭게 회피되어 설치할 수 있게끔 되는 것이다.
더욱이, 상기 제1 단열판(401)과 제2 단열판(403)에 형성된 제1 및 제2 가이드구(401a, 403a)를 상기 박스체(100)의 양측 내벽면에 길이방향으로 연속상으로 돌출 형성된 제1 장보스(411)와 제2 장보스(413)에 끼운 후 박스체(100)의 후벽면측으로 이동하면서 간단히 배치시킬 수 있게 되는 장점을 도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배관 도입부의 결속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음과 동시에, 공조설비의 실내기와 실외기 사이에 설치되는 냉매 순환용 배관에 개재시킴에 있어, 실내기측 배관용 조인트가 건물의 내벽면으로부터 노출되지 않도록 설치 고정할 수 있고, 또, 본원에 따른 실내기 및 실외기의 배관용 조인트는 가능한 한 두께를 얇게 제작하는 상황에서, 빌딩이나 맨션의 건축 후에 공조 설비를 설치한다 하더라도, 배관에 손상을 초래하는 일이 전연 없음과 동시에, 실내외벽 간의 단열을 극력 도모할 수 있는 등의 매우 뛰어난 효과가 있는 것이다.
여기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을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기술 분야에 숙련된 자들에 의해 청구범위의 정신 및 영역을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 이뤄질 수 있다.

Claims (4)

  1. 실내기와 실외기로 된 공조 설비의 배관공사를 시행함에 있어, 상기 공조 설비의 냉매관을 양단이 노출한 상태에서 칸막이벽의 두께에 상당한 길이의 일측이 개방된 박스체 내에 배관 조인트가 기립되어 고정된 공조설비의 배관결합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관 조인트의 외측벽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둘러싸는 형상의 단열판재가 상기 박스체의 후벽면 사이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열되고,
    상기 단열판재와 박스체의 후벽면 사이공간은 단열폼재로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설비의 배관결합장치의 단열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체의 후벽면에는 그의 내측으로 돌설되어 상기 단열판재를 지지하는 다수의 보스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설비의 배관결합장치의 단열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판재는 양측으로 제1 단열판과 제2 단열판으로 분할되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설비의 배관결합장치의 단열구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열판과 제2 단열판에는, 상기 박스체의 양측 내벽면에 길이방향으로 연속상으로 돌출 형성된 제1 장보스와 제2 장보스에 접속되어 가이드되는 제1 및 제2 가이드구가 각각 오목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설비의 배관결합장치의 단열구조
KR1020070036330A 2007-04-13 2007-04-13 공조설비의 배관결합장치의 단열구조 KR1008128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6330A KR100812874B1 (ko) 2007-04-13 2007-04-13 공조설비의 배관결합장치의 단열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6330A KR100812874B1 (ko) 2007-04-13 2007-04-13 공조설비의 배관결합장치의 단열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2874B1 true KR100812874B1 (ko) 2008-03-11

Family

ID=393986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6330A KR100812874B1 (ko) 2007-04-13 2007-04-13 공조설비의 배관결합장치의 단열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287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4953B1 (ko) 2008-07-18 2010-08-09 (주)두온티앤씨 에어컨의 배관 결합장치.
KR101075967B1 (ko) 2009-12-16 2011-10-21 주식회사종합건축사사무소가람건축 이층 구조를 갖는 벽체 매립형 에어컨 배관 연결박스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2262B1 (ko) 2002-01-03 2004-07-30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배관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2262B1 (ko) 2002-01-03 2004-07-30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배관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4953B1 (ko) 2008-07-18 2010-08-09 (주)두온티앤씨 에어컨의 배관 결합장치.
KR101075967B1 (ko) 2009-12-16 2011-10-21 주식회사종합건축사사무소가람건축 이층 구조를 갖는 벽체 매립형 에어컨 배관 연결박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89440B1 (ko) 벽체 매립형 수전함
US8689503B2 (en) Embeddable device for passing conduits through a constructional component
KR101640351B1 (ko) 공동주택용 전기, 통신 배관 겸용 무매립 덕트
KR101625847B1 (ko) 주거형 컨테이너 구조물의 조립구조
KR100812874B1 (ko) 공조설비의 배관결합장치의 단열구조
KR20100042097A (ko) 건축물 외벽체의 결로방지용 패널
KR20000019349U (ko) 난방관의 배관용 단열보드
KR100780381B1 (ko) 공조설비의 배관결합장치
KR100655890B1 (ko) 패널형 스터드를 이용한 건식벽체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WO2019128091A1 (zh) 一种底盒安装结构及其组装方法
KR20080068318A (ko) 배선 덕트의 연결구
JP2002250497A (ja) エアコン冷媒管の分岐部保護カバー
KR101500456B1 (ko) 스틸 스터드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건식벽체 시스템
KR100974953B1 (ko) 에어컨의 배관 결합장치.
KR101766250B1 (ko) 분리형 커넥터를 구비한 개방형 수전함
KR100695765B1 (ko) 옥내 배전용 접속함 십자형 고정장치
JP4650675B2 (ja) 配管カバーの継手
KR100384762B1 (ko) 매립관을 포함하는 분리형 에어컨의 배관구조
KR100749723B1 (ko) 벽면에 매립되는 공동주택용 양방향 통합 전선 보호덕트
KR101557151B1 (ko) 건축용 내벽체 및 건축용 내벽체의 시공방법
KR101461645B1 (ko) 공기조화기용 매립형 배관 접속함
KR200275715Y1 (ko) 매립관을 포함하는 분리형 에어컨의 배관구조
KR20160077476A (ko) 건축용 내벽체 및 건축용 내벽체의 시공방법
KR102638261B1 (ko) 배관박스형 노말밴드
JP2007225269A (ja) エアコン隠蔽配管用のドレン配管取付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