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0351B1 - 공동주택용 전기, 통신 배관 겸용 무매립 덕트 - Google Patents

공동주택용 전기, 통신 배관 겸용 무매립 덕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0351B1
KR101640351B1 KR1020150177045A KR20150177045A KR101640351B1 KR 101640351 B1 KR101640351 B1 KR 101640351B1 KR 1020150177045 A KR1020150177045 A KR 1020150177045A KR 20150177045 A KR20150177045 A KR 20150177045A KR 101640351 B1 KR101640351 B1 KR 1016403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electric
box
cab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70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은동신
Original Assignee
(주)이가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가종합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이가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1501770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03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03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03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31Wall trunk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6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 H02G3/38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the cables or lines being installed in preestablished conduits or ducts
    • H02G3/381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the cables or lines being installed in preestablished conduits or ducts in cei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정 슬래브에 매립하지 않고서 슬래브에 고정하여 실내공간의 확장 또는 축소에 따른 벽체의 이동에 의해 전기, 통신 케이블이 연결될 기구의 위치가 변경되더라도 이에 대응하여 용이하게 배관할 수 있는 공동주택용 전기, 통신 배관 겸용 무매립 덕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공동주택용 전기, 통신 배관 겸용 무매립 덕트의 바람직한 실시 예는 상부가 개구된 긴 사각형의 관형상으로, 측면의 상부에는 길이방향으로 결합홈이 형성되고 내부에 전기 또는 통신 케이블이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덕트 본체와, 상기 덕트 본체의 상부를 덮는 덮개 형상으로 양측단부에 결합돌기가 형성되어 덕트 본체를 개폐하도록 구성되는 덕트 덮개로 구성되어 건축물의 천정 슬래브에 행거 볼트로 고정되는 케이블 덕트와; 사각형의 박스 형상으로 하부가 개구되어 있는 박스 본체와, 박스 본체에 개폐가능하게 결합되는 박스 덮개로 구성되어, 케이블 덕트의 하부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 결합구성되는 커넥트 박스와; 커넥트 박스 본체 내부에 고정결합되며, 덕트 본체의 전기 또는 통신 케이블과 연결되는 다수의 플러그 인 아웃렛이 구성된 터미널 블럭;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공동주택용 전기, 통신 배관 겸용 무매립 덕트{non filling up cable duct}
본 발명은 공동주택용 전기, 통신 배관 겸용 무매립 덕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 천정에 매입되어 설치되는 전기, 통신 배관을 전용 덕트를 이용하여 천정 슬래브에 매립하지 않고서 슬래브에 고정하여 건축물의 리모델링 및 사용자의 라이프 사이클에 맞추어 실내공간의 확장 또는 축소에 따른 벽체의 이동에 의해 전기, 통신 케이블이 연결될 기구의 위치가 변경되더라도 이에 대응하여 용이하게 배관할 수 있는 공동주택용 전기, 통신 배관 겸용 무매립 덕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건축물은 천정에 전기, 통신 배관을 매립하거나 천정 슬래브에 고정 설치하여 전기 통신 배관을 벽체 내부에 매입배관과 연결하고, 벽체에서 수구 아웃렛을 설치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는 배관 박스가 노출된 곳에서만 인출이 가능하여 수구 이동시나 가변벽체의 이동시 이에 대응하지 못하여 기존의 배관 박스가 설치된 곳에서부터 다시 이동된 가변벽체 또는 수구와 연결하기가 어려워 사용자의 생활 환경 변화에 맞도록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실용신안등록 제20-0279495호 "다열배관용 덕트"(특허문헌 1)가 있다.
상기 배경기술에서는 도 8에서와 같이 "배관 및 배선기구 장착을 위한 다열배선덕트에 관한 것으로 카바(2), 덕트몸체 외측벽 양쪽에 'ㄷ'자 모양의 홀더고정 홈(3)을 가진 덕트몸체(1)와 별도의 알파벳 'H' 자 형태의 수평연결크립(11)으로 구성되며, 2개 이상의 덕트몸체(1)의 홀더고정홈(3)에 수평연결크립(11)을 길이방향으로 삽입하여 2열 이상의 배선덕트를 손쉽게 장착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배선덕트"을 제안한다.
그러나 상기 배경기술은 배선덕트의 시공 시에 전기배관로(51)와 통신배관로(52)의 완전한 밀폐공간을 가져 전기적으로나 물리적으로 서로의 간섭을 완벽하게 없앨 수 있는 2개 이상의 덕트를 장착할 수 있으나, 이 또한 배관 박스가 노출된 곳에서만 인출이 가능하여 수구 이동시나 가변벽체의 이동시 이에 대응하지 못하여 기존의 배관 박스가 설치된 곳에서부터 다시 이동된 가변벽체 또는 수구와 연결하기가 어려워 사용자의 생활 환경 변화에 맞도록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실용신안등록 제20-0279495호 "다열배관용 덕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건축물 천정 슬래브에 무매립으로 고정하여 케이블 덕트를 설치하고, 케이블 덕트의 하부에 다수의 플러그 인 아웃렛이 구성된 터미널 블럭을 설치하여 실내공간의 확장 또는 축소에 따른 벽체의 이동에 의해 전기, 통신 케이블이 연결될 기구의 위치가 변경되더라도 이에 대응하여 변경된 위치와 가장 가까운 터미널 블럭에 케이블을 꽂아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가변벽체 및 수구 등의 변경된 위치에서도 용이하게 배관할 수 있는 공동주택용 전기, 통신 배관 겸용 무매립 덕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부가 개구된 긴 사각형의 관형상으로, 측면의 상부에는 길이방향으로 결합홈이 형성되고 내부에 전기 또는 통신 케이블이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덕트 본체와, 상기 덕트 본체의 상부를 덮는 덮개 형상으로 양측단부에 결합돌기가 형성되어 덕트 본체를 개폐하도록 구성되는 덕트 덮개로 구성되어 건축물의 천정 슬래브에 행거 볼트로 고정되는 케이블 덕트와; 사각형의 박스 형상으로 하부가 개구되어 있는 박스 본체와, 박스 본체에 개폐가능하게 결합되는 박스 덮개로 구성되어, 케이블 덕트의 하부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 결합구성되는 커넥트 박스와; 커넥트 박스 본체 내부에 고정결합되며, 덕트 본체의 전기 또는 통신 케이블과 연결되는 다수의 플러그 인 아웃렛이 구성된 터미널 블럭;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용 전기, 통신 배관 겸용 무매립 덕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내부를 길이방향으로 구획하도록 수직으로 결합구성되는 판 형상의 구획판이 형성되어 구획판을 중심으로 양측에 전기 케이블과 통신 케이블이 구성되며, 구획판을 중심으로 양측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덕트 본체의 하부에 2개의 커넥트 박스가 결합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용 전기, 통신 배관 겸용 무매립 덕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박스 본체에는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인출홀이 통공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용 전기, 통신 배관 겸용 무매립 덕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박스 덮개는 일측면이 박스 본체에 힌지로 결합되며, 박스 덮개의 타측면과 이에 대응하는 박스 본체에는 각각 결합돌기 및 결합홈이 형성되어 개폐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용 전기, 통신 배관 겸용 무매립 덕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덕트 본체의 단부에는 구획판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관통공이 형성되는 마감판이 구성되고, C형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며 개구부가 외측으로 위치하도록 C형상으로 절곡되는 제1 부재와, C형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며 제1 부재의 양단부에 구성되고 제1 부재의 양단부가 일단부에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는 제2 부재와, C형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며 제2 부재의 타단부가 일단부에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는 제3 부재와, 제1 부재와 제2 부재의 사이에 위치하는 중심추와, 중심추에서 각각 제1 부재의 내측면과 제2 부재의 내측면을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길이조절 장치가, 마감판의 관통공에 각각 제3 부재의 타단부가 끼워져 구성되며, 전기 또는 통신 케이블이 길이조절 장치를 거쳐 덕트 본체의 내부로 구성되도록 하여, 전기 또는 통신 케이블의 인입 인출시에 길이의 오차를 길이조절 장치에서 수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용 전기, 통신 배관 겸용 무매립 덕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제3 부재와 제3 부재의 내측면을 각각 스프링으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용 전기, 통신 배관 겸용 무매립 덕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공동주택용 전기, 통신 배관 겸용 무매립 덕트는 건축물 천정 슬래브에 무매립으로 고정하여 케이블 덕트를 설치하고, 케이블 덕트의 하부에 다수의 플러그 인 아웃렛이 구성된 터미널 블럭을 설치하여 실내공간의 확장 또는 축소에 따른 벽체의 이동에 의해 전기, 통신 케이블이 연결될 기구의 위치가 변경되더라도 이에 대응하여 케이블이 매설된 케이블 덕트를 열지 않고서도 변경된 위치와 가장 가까운 케이블 덕트의 터미널 블럭에 케이블을 꽂아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가변벽체 및 수구 등의 변경된 위치에서도 케이블 인출이 용이한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또한, 덕트 본체의 단부에 별도의 길이조절 장치를 구성하여 전기 또는 통신 케이블의 인입 인출시에 길이의 오차를 수렴할 수 있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공동주택용 전기, 통신 배관 겸용 무매립 덕트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도 1의 결합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공동주택용 전기, 통신 배관 겸용 무매립 덕트에 사용되는 터미널 블럭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공동주택용 전기, 통신 배관 겸용 무매립 덕트가 적용된 건축물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공동주택용 전기, 통신 배관 겸용 무매립 덕트가 적용된 건축물의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공동주택용 전기, 통신 배관 겸용 무매립 덕트에 길이조절 장치가 구성된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길이조절 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이다.
도 8은 종래의 수평정렬방식의 배선덕트 전체사시도이다.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공동주택용 전기, 통신 배관 겸용 무매립 덕트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도 1의 결합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공동주택용 전기, 통신 배관 겸용 무매립 덕트(1)는 내부에 전기 및/또는 통신 케이블(30)(40)이 포설되며, 건축물의 천정 슬래브(10)에 고정 구성되는 케이블 덕트(100)와, 케이블 덕트(100)의 하부면에 일정간격 또는 필요한 곳에 다수개가 고정 구성되는 커넥트 박스(200)와, 커넥트 박스(200) 내부에 결합 구성되어 덕트 본체(110)의 전기 또는 통신 케이블(30)(40)과 연결되는 다수의 플러그 인 아웃렛(310)이 구성된 터미널 블럭(300)으로 구성된다.
케이블 덕트(100)는 내부가 비어 있는 박스형의 형상으로 덕트 본체(110)와 덕트 본체(110)를 덮도록 상부에 구성되는 덕트 덮개(120)로 구성된다.
덕트 본체(110)는 상부가 개구된 형상의 박스형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며, 내부 공간에는 전기 케이블(30) 및/또는 통신 케이블(40)이 포설된다.
이때, 덕트 본체(110)의 내부를 길이방향으로 구획하도록 수직으로 결합구성되는 판 형상의 구획판(112)을 구성할 수도 있으며, 상기 구획판(112)을 중심으로 양측에 전기 케이블(30)과 통신 케이블(40)을 각각 분리하여 포설할 수 있다.
덕트 덮개(120)는 덕트 본체(110)의 상부에서 착탈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덕트 본체(110)의 양측면의 외측 상단부에는 길이방향으로 홈을 형성하여 결합홈(111)을 구성하도록 하고, 덕트 덮개(120)의 양단부에는 상기 결합홈(111)에 대응하는 결합돌기(121)가 돌출되어 형성되도록 하여, 덕트 덮개(120)의 결합돌기(121)가 덕트 본체(110)의 결합홈(111)에 끼워져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케이블 덕트(100)는 건축물의 천정 슬래브(10)에 행거 볼트(20)를 이용하여 공지의 다양한 방법에 의하여 고정되는데, 덕트 본체(110)에 행거 볼트(20)를 직접 체결하거나, 덕트 본체(110)의 하부에 보조편을 덧댄 후 보조편을 행거 볼트(20)로 결합하여 천정 슬래브(10)에 고정시킬 수도 있다.
커넥트 박스(200)는 케이블 덕트(100)의 하단부에 여러 개소에 결합구성된다. 커넥트 박스(200)는 사각형 단면을 갖는 박스 형상으로 하부가 개폐되도록, 박스 본체(210)와 박스 본체(210)의 하단부를 개폐하는 박스 덮개(220)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하부가 개폐되도록 구성하는 것은, 작업자가 하부에서 작업을 하기 때문에 작업의 용이성을 위하여 하부에 박스 덮개(220)를 구성하는 것이다.
박스 본체(210)와 박스 덮개(220)의 개폐를 위한 결합은 다양한 공지의 방법이 될 수 있으며, 박스 덮개(220)는 일측면이 박스 본체(210)에 힌지(230)로 결합되며, 박스 덮개(220)의 타측면과 이에 대응하는 박스 본체(210)의 외측면에는 각각 결합돌기(221) 및 결합홈(212)이 형성되어 개폐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박스 본체(210)와 박스 덮개(220)는 일측면이 힌지(230)로 회전하여 개폐가 가능하도록 하고, 타측면에는 결합홈(212) 및 이에 대응하는 결합돌기(221)가 형성되어 박스 덮개(220)의 고정이 용이하도록 한다.
박스 덮개(220)를 박스 본체(210)에 힌지(230)로 결합하는 것은, 박스 본체(210)의 하부에 구성된 박스 덮개(220)의 개폐시에 박스 본체(210)와 분리된 박스 덮개(220)가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용이하게 작업을 유도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박스 본체(210)에는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인출홀(211)이 통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는 후술하는 터미널 블럭(300)으로의 가요 전선(73)의 인입 및 배출을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공동주택용 전기, 통신 배관 겸용 무매립 덕트에 사용되는 터미널 블럭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3에서와 같이, 터미널 블럭(300)은 케이블 덕트(100) 내부에 포설된 전기 케이블(30)과 통신 케이블(40)이 각각 직접 커넥트 박스(200)를 관통하여 연결되며, 전기 케이블(30)과 통신 케이블(40)이 분배되도록 다수의 플러그 인 아웃렛(310)이 구성된다.
터미널 블럭(300)은 박스 본체(210)에 볼트결합 등 다양한 공지의 방법으로 결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공동주택용 전기, 통신 배관 겸용 무매립 덕트가 적용된 건축물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공동주택용 전기, 통신 배관 겸용 무매립 덕트(1)는 건축물의 천정 슬래브(10)에 전력 및 통신 케이블이 필요한 개소에 가깝게 위치하도록 케이블 덕트(100)를 배치하여 고정시키고, 케이블 덕트(100)의 하부에 고정 설치된 다수의 커넥트 박스(200)의 터미널 블록(300)과 벽체 및 천정에 설치된 각 기구 및 수구에 가요 전선(73)을 이용하여 연결할 수 있다.
가요 전선(73)의 일단부는 벽체에 설치된 수구 아웃렛(70) 또는 천정에 구성된 전등 기구등과 연결되고, 타단부는 커넥트 박스(200) 내부의 터미널 블록(300)의 플러그 인 아웃렛(310)에 결합된다.
이때, 직접 케이블 덕트(100) 내부에 있는 전기 케이블(30) 또는 통신 케이블(40)과 연결하지 않고, 미리 케이블 덕트(100) 내부에 있는 전기 케이블(30) 또는 통신 케이블(40)과 연결된 플러그 인 아웃렛(310)에 연결하기만 하면 배선이 되기 때문에, 배선작업이 매우 용이하고 별도로 케이블 덕트(100)의 하부에서 전기 케이블(30) 또는 통신 케이블(40) 인출작업을 생략할 수 있다.
이때, 내부 공간의 확장 또는 축소 등으로 인하여 가변 벽체(60)의 이동이나 천정의 전등 기구등의 이동이 있을 시에는 이동된 수구 및 기구와 가장 가까운 거리에 있는 커넥트 박스(200)를 찾아 연결하면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공동주택용 전기, 통신 배관 겸용 무매립 덕트가 적용된 건축물의 측단면도이다.
도 5에서와 같이, 벽체(60)에는 수구 아웃렛(70)이 설치되어 있고, 수구 아웃렛(70)으로부터 벽체(60)의 상부로 매입배관(71)이 구성되고, 다시 매입배관(71)의 상단부에는 터미널 블록(300)과의 연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정션박스(72)를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면, 가요 전선(73)을 이용하여 터미널 블록(300)의 플러그 인 아웃렛(310)과 정션박스(72)를 연결하기만 하면 배선 작업이 완료되는 것이다.
가요 전선(73)의 결합시에는 정션박스(72)와 가장 가까운 커넥트 박스(200)를 찾아 박스 덮개(220)를 열고, 내부의 터미널 블록(300)의 플러그 인 아웃렛(310)에 연결한다.
천정 슬래브(10)의 하부에 고정 설치된 본 발명의 공동주택용 전기, 통신 배관 겸용 무매립 덕트(1)는 하부에 실링(50)이 형성되어 실내에서는 공동주택용 전기, 통신 배관 겸용 무매립 덕트(1)가 보이지 않고, 실링(50)의 일측에 점검구(51)를 형성하도록 하여 점검구를 통하여 배선 작업을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공동주택용 전기, 통신 배관 겸용 무매립 덕트에 길이조절 장치가 구성된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길이조절 장치(170)는 C형상의 제1 부재(171)와, 제1 부재(171)의 양단부에서 차례로 끼워져 연결되는 제2 부재(172) 및 제3 부재(73)로 구성되어 전체적으로 테니스 라켓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1 부재(171) 및 제2 부재(172)는 중심추(174)와 스프링(175)에 의해서 연결되어 제1 부재(171)의 단부가 스프링(175)의 탄성에 의하여 제2 부재(172)의 일단부의 내부에서 슬라이딩 되면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제3 부재(173)의 일단부에는 제2 부재(172)의 타단부가 이동가능하게 띠워져 스프링(175)이 압축되면 제3 부재(173)의 내부로 제2 부재(172)의 타단부가, 제2 부재(172)의 일단부의 내부로 제1 부재(171)의 단부가 더 깊게 인입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제1 부재(171), 제2 부재(172) 및 제3 부재(173)는 라켓 형상을 분절하여 결합한 형태로, 제1 부재(171)가 C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제3 부재(173)는 직선에 가까운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2 부재(172)는 제1 부재(171)와 제3 부재(173)를 연결하는 곡선의 형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제1 부재(171)의 단부가 인입되는 제2 부재(172)의 일단부에서 일정 거리까지는 제1 부재(171)의 곡률과 동일한 곡률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2 부재(172)의 타단부가 인입되는 제3 부재(173)의 일단부에서 일정 거리까지는 제2 부재(172)와 동일한 형상 또는 곡률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단면의 크기는 제1 부재(171), 제2 부재(172) 및 제3 부재(173)가 단계적으로 커지도록 형성하여 상호간의 인입이 용이하도록 할 수도 있으며, 인입되는 부분의 단면만을 작게 형성하도록 하여 인입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제1 부재(171), 제2 부재(172) 및 제3 부재(173)는 모두 동일한 C형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는데, 이때 단면의 개구부는 외측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전기선의 탈착이 개구부를 통하도록 하여 전기선의 탈착이 매우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중심추(174)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부재(171)와 제2 부재(172)의 사이에 위치하며, 중심추(174)에서 각각 제1 부재(171)의 내측면과 제2 부재(172)의 내측면을 연결하도록 스프링(175)이 각각 구성된다.
이와 같이 중심추(174)는 제1 부재(171)와 제2 부재(172)의 중앙부에서 스프링(175)을 각각 제1 부재(171) 및 제2 부재(172)로 연결하도록 하여 스프링(175)의 탄성에 따라 압축과 이완이 반복될 시, 중심축(174)을 중심으로 제1 부재(171), 제2 부재(172) 및 제3 부재(173)의 간격이 상호 수축되거나 확대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길이조절 장치(170)는 덕트 본체(110)의 단부에는 구획판(112)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관통공(191)이 형성되는 마감판(190)이 구성되도록 하고, 마감판(190)의 관통공(191)에 각각 제3 부재(173)의 타단부가 끼워져 구성되도록 하여, 전기 또는 통신 케이블(30)(40)이 길이조절 장치(170)의 외측으로 둘러진 이후에 덕트 본체(110)의 내부로 수납되도록 하여, 전기 또는 통신 케이블(30)(40)의 인입 인출시에 길이의 오차를 길이조절 장치(170)에서 수렴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길이조절 장치(17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덕트 본체(110)의 일단부에 한개만 설치하여 전기 케이블(30)을 길이조절 장치(170)로 연결하도록 하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덕트 본체(110)의 타단부에 통신 케이블(40)을 길이조절 장치(170)로 연결하도록 할 수 있으며, 덕트 본체(110)의 일단부에 전기 및 통신 케이블(30)(40)의 각각에 길이조절 장치(170)를 설치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관통공(191)은 수직 또는 수평으로 긴 장공 형태로 이루어져, 제3 부재(173)의 타단부가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마주보는 제3 부재(173)와 제3 부재(173)의 내측면을 각각 스프링(176)으로 연결하도록 하여, 스프링(176)의 탄력에 의하여 관통공(191)의 내주면을 가압하여 고정하도록 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길이조절 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이다.
도면에서는 편의상 전기 케이블(30)에 설치된 실시예만을 도시하였으나, 통신 케이블(40)의 경우에도 동일한 방법으로 길이조절 장치(170)가 연결될 수 있다.
도 7에서와 같이, 전기 또는 통신 케이블(30)(40)은 길이조절 장치(170)를 거쳐 덕트 본체(110)의 내부로 구성되도록 하여, 전기 또는 통신 케이블(30)(40)은의 인입 인출시에 길이의 오차를 길이조절 장치(70)에서 수렴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덕트 본체(110)에서 전기 또는 통신 케이블(30)(40)을 당기게 되면 길이조절 장치(170)의 제1 부재(171)의 양단부가 제2 부재(172)의 일단부의 내부로 더 인입되게 되고 제2 부재(172)의 타단부가 제3 부재(173)의 일단부의 내부로 더 인입되게 되어, 스프링(175)이 압축되면서 길이조절 장치(170)를 둘러 구성되는 전기 또는 통신 케이블(30)(40)의 길이가 짧아지면서 오차를 수렴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전기 또는 통신 케이블(30)(40)의 길이가 여유가 있을 때에는 스프링(175)의 압축이 해제되면서 각각의 단부가 내삽되어 있는 제1 부재(171), 제 부재(172) 및 제3 부재(173) 간의 간격이 이격되면서 늘어난 전기 또는 통신 케이블(30)(40)을 수렴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공동주택용 전기, 통신 배관 겸용 무매립 덕트는 건축물 천정 슬래브에 무매립으로 고정하여 케이블 덕트를 설치하고, 케이블 덕트의 하부에 다수의 플러그 인 아웃렛이 구성된 터미널 블럭을 설치하여 실내공간의 확장 또는 축소에 따른 벽체의 이동에 의해 전기, 통신 케이블이 연결될 기구의 위치가 변경되더라도 이에 대응하여 케이블이 매설된 케이블 덕트를 열지 않고서도 변경된 위치와 가장 가까운 케이블 덕트의 터미널 블럭에 케이블을 꽂아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가변벽체 및 수구 등의 변경된 위치에서도 케이블 인출이 용이한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또한, 덕트 본체의 단부에 별도의 길이조절 장치를 구성하여 전기 또는 통신 케이블의 인입 인출시에 길이의 오차를 수렴할 수 있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 : 공동주택용 전기, 통신 배관 겸용 무매립 덕트
10 : 천정 슬래브
20 : 행거 볼트
30 : 전기 케이블
40 : 통신 케이블
50 : 실링
51 : 점검구
60 : 가변벽체
70 : 수구 아웃렛
71 : 매입배관
72 : 정션박스
73 : 가요 전선
100 : 케이블 덕트
110 : 덕트 본체
120 : 덕트 덮개
170 : 길이조절 장치
200 : 커넥트 박스
210 : 박스 본체
220 : 박스 덮개
300 : 터미널 블럭
310 : 플러그 인 아웃렛

Claims (6)

  1. 상부가 개구된 긴 사각형의 관형상으로, 측면의 상부에는 길이방향으로 결합홈(111)이 형성되고 내부에 전기 또는 통신 케이블(30)(40)이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덕트 본체(110)와,
    상기 덕트 본체(110)의 상부를 덮는 덮개 형상으로 양측단부에 결합돌기(121)가 형성되어 덕트 본체(110)를 개폐하도록 구성되는 덕트 덮개(120)와,
    덕트 본체(110)의 단부에는 구획판(112)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관통공(191)이 형성되는 마감판(190)과,
    C형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며 개구부가 외측으로 위치하도록 C형상으로 절곡되는 제1 부재(171)와, C형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며 제1 부재(171)의 양단부에 구성되고 제1 부재(171)의 양단부가 일단부에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는 제2 부재(172)와, C형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며 제2 부재(172)의 타단부가 일단부에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는 제3 부재(173)와, 제1 부재(171)와 제2 부재(172)의 사이에 위치하는 중심추(174)와, 중심추(174)에서 각각 제1 부재(171)의 내측면과 제2 부재(172)의 내측면을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스프링(175)으로 구성되며, 마감판(190)의 관통공(191)에 각각 제3 부재(173)의 타단부가 끼워져 구성되는 길이조절 장치(170)로 구성되어 건축물의 천정 슬래브(10)에 행거 볼트(20)로 고정되는 케이블 덕트(100)와;
    사각형의 박스 형상으로 하부가 개구되어 있는 박스 본체(210)와, 박스 본체(210)에 개폐가능하게 결합되는 박스 덮개(220)로 구성되어, 케이블 덕트(100)의 하부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 결합구성되는 커넥트 박스(200)와;
    커넥트 박스(200) 박스 본체(210) 내부에 고정결합되며, 덕트 본체(110)의 전기 또는 통신 케이블(30)(40)과 연결되는 다수의 플러그 인 아웃렛(310)이 구성된 터미널 블럭(300);으로 이루어져,
    전기 또는 통신 케이블(30)(40)이 길이조절 장치(170)를 거쳐 덕트 본체(110)의 내부로 구성되도록 하여, 전기 또는 통신 케이블(30)(40)의 인입 인출시에 길이의 오차를 수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용 전기, 통신 배관 겸용 무매립 덕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내부를 길이방향으로 구획하도록 수직으로 결합구성되는 판 형상의 구획판(112)이 형성되어 구획판(112)을 중심으로 양측에 전기 케이블(30)과 통신 케이블(40)이 구성되며,
    구획판(112)을 중심으로 양측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덕트 본체(110)의 하부에 2개의 커넥트 박스(200)가 결합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용 전기, 통신 배관 겸용 무매립 덕트.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박스 본체(210)에는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인출홀(211)이 통공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용 전기, 통신 배관 겸용 무매립 덕트.
  4. 청구항 3에 있어서,
    박스 덮개(220)는 일측면이 박스 본체(210)에 힌지(230)로 결합되며, 박스 덮개(220)의 타측면과 이에 대응하는 박스 본체(210)의 외측면에는 각각 결합돌기(221) 및 결합홈(212)이 형성되어 개폐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용 전기, 통신 배관 겸용 무매립 덕트.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제3 부재(173)와 제3 부재(173)의 내측면을 각각 스프링(176)으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용 전기, 통신 배관 겸용 무매립 덕트.
KR1020150177045A 2015-12-11 2015-12-11 공동주택용 전기, 통신 배관 겸용 무매립 덕트 KR1016403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7045A KR101640351B1 (ko) 2015-12-11 2015-12-11 공동주택용 전기, 통신 배관 겸용 무매립 덕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7045A KR101640351B1 (ko) 2015-12-11 2015-12-11 공동주택용 전기, 통신 배관 겸용 무매립 덕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0351B1 true KR101640351B1 (ko) 2016-07-15

Family

ID=565061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7045A KR101640351B1 (ko) 2015-12-11 2015-12-11 공동주택용 전기, 통신 배관 겸용 무매립 덕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0351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01040B2 (en) 2017-03-21 2019-09-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Air conditioner
WO2019218224A1 (zh) * 2018-05-16 2019-11-21 深圳市君盈建筑科技有限公司 一种水管、强电电线与主体结构分离的住宅
KR102160808B1 (ko) * 2020-03-30 2020-09-28 (주)선진이엔지 전기 및 통신 케이블 분리 포설을 위한 천정 설치형 케이블 덕트
KR102165899B1 (ko) * 2020-04-03 2020-10-14 (주)명광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전기 배선 덕트
KR102180693B1 (ko) 2020-04-29 2020-11-19 (주)성우엔지니어링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통신덕트의 모니터링과 제어 시스템
KR102281163B1 (ko) * 2020-02-24 2021-07-23 셀로코주식회사 주차장용 레이스웨이 장치 및 이의 시공 방법
KR20210155493A (ko) * 2020-06-16 2021-12-23 김정현 다중 내진형 통신 배관 덕트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55212A (ja) * 1997-11-21 1999-06-08 Mirai Ind Co Ltd ケーブルラック
JP2001177946A (ja) * 1999-12-21 2001-06-29 Mirai Ind Co Ltd 配線又は配管材の保護ダクト
KR200279495Y1 (ko) 2002-03-28 2002-06-24 박경환 다열배관용 배선덕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55212A (ja) * 1997-11-21 1999-06-08 Mirai Ind Co Ltd ケーブルラック
JP2001177946A (ja) * 1999-12-21 2001-06-29 Mirai Ind Co Ltd 配線又は配管材の保護ダクト
KR200279495Y1 (ko) 2002-03-28 2002-06-24 박경환 다열배관용 배선덕트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01040B2 (en) 2017-03-21 2019-09-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Air conditioner
WO2019218224A1 (zh) * 2018-05-16 2019-11-21 深圳市君盈建筑科技有限公司 一种水管、强电电线与主体结构分离的住宅
KR102281163B1 (ko) * 2020-02-24 2021-07-23 셀로코주식회사 주차장용 레이스웨이 장치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2160808B1 (ko) * 2020-03-30 2020-09-28 (주)선진이엔지 전기 및 통신 케이블 분리 포설을 위한 천정 설치형 케이블 덕트
KR102165899B1 (ko) * 2020-04-03 2020-10-14 (주)명광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전기 배선 덕트
KR102180693B1 (ko) 2020-04-29 2020-11-19 (주)성우엔지니어링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통신덕트의 모니터링과 제어 시스템
KR20210155493A (ko) * 2020-06-16 2021-12-23 김정현 다중 내진형 통신 배관 덕트
KR102405620B1 (ko) * 2020-06-16 2022-06-03 김정현 다중 내진형 통신 배관 덕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0351B1 (ko) 공동주택용 전기, 통신 배관 겸용 무매립 덕트
US6768055B1 (en) Cable entry box
KR100889498B1 (ko) 벽면에 매입되는 공동주택용 통합전선 보호덕트
KR101485906B1 (ko) 공동주택용 전기케이블 트레이
KR100607472B1 (ko) 벽면에 매립되는 공동주택용 통합 전선보호덕트
KR100649390B1 (ko) 벽면에 매립되는 공동주택용 통합전선 보호덕트
KR101039828B1 (ko) 공동주택용 천장 전기분전함
RU61955U1 (ru) Короб для прокладки кабеля и монтажа электроустановочных изделий
KR100863265B1 (ko) 배선 덕트의 연결구
KR100744466B1 (ko) 건축물의 벽면내부에 설치되는 통합전선 보호덕트 구조
KR100640712B1 (ko) 벽면에 매립되는 공동주택용 통합전선 보호덕트
WO2019218177A1 (zh) 一种管线与主体结构分离的住宅的施工方法
KR101728325B1 (ko) 배관 및 전선 가이드 기구
KR100648102B1 (ko) 벽면매입형 공동주택용 통합전선 보호덕트
KR101004046B1 (ko) 설치가 용이한 건축용 벽면 매설 단자함
KR100749723B1 (ko) 벽면에 매립되는 공동주택용 양방향 통합 전선 보호덕트
WO2019085537A1 (zh) 移动房屋用墙板及移动房屋
KR101162963B1 (ko) 건축물의 분리 배선 가능한 전기 배선관
KR20100131219A (ko) 건물용 환기 덕트의 연결장치
JP2002078119A (ja) 埋め込み形分電盤と縦型分電盤ユニット
KR100660133B1 (ko) 벽면에 설치되는 공동주택용 통합 전선 보호덕트
KR100675521B1 (ko) 건축물 바닥 매설용 전선보호 분기체
KR100648078B1 (ko) 공동주택 단지 전기 및 통신케이블 보호 케이스구조
KR101593167B1 (ko) 벽체 매립형 에어컨 배관박스
KR100632850B1 (ko) 벽면에 매립되는 공동주택용 통합전선 보호덕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