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31219A - 건물용 환기 덕트의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건물용 환기 덕트의 연결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131219A KR20100131219A KR1020090050004A KR20090050004A KR20100131219A KR 20100131219 A KR20100131219 A KR 20100131219A KR 1020090050004 A KR1020090050004 A KR 1020090050004A KR 20090050004 A KR20090050004 A KR 20090050004A KR 20100131219 A KR20100131219 A KR 2010013121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uct
- socket
- receiving space
- concrete
- build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09—Duct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connecting means, e.g. flang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F16L5/027—Sealing by means of a joint of the quick-acting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Duct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벽체의 상단부에 매설되는 소켓과;
상기 소켓에 장착되어 공기의 이동을 안내하는 덕트를 포함하며,
상기 소켓은,
내부가 관통되어 상기 콘크리트 벽체 상단부에 매설되는 매설부재와;
상기 매설부재 양단에 각각 외향으로 걸림단턱이 형성되도록 확장되어 덕트를 수용하는 수용공간과;
상기 수용공간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콘크리트 벽체 형성시, 거푸집 상면에 안착되도록 하는 고정편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용 환기 덕트의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 건물용 환기 덕트의 연결장치에 의하면, 벽체에 매설된 소켓의 수용공간에 덕트가 밀착되어 걸리도록 결합함으로 수용공간과 덕트 사이의 공간발생을 최소화하여 충진재의 충진작업이 불필요하므로 시공비용을 절감함과 아울러 후처리작업공정을 단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이드리브를 따라 수용공간에 장착되는 덕트의 설치작업을 용이하게 함과 아울러 공사기간을 단축할 수 있는 것이다.
소켓, 덕트, 수용공간, 고정편,
Description
본 발명은 건물의 환기를 위한 덕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벽체에 매설되는 소켓의 걸림턱에 덕트가 걸리도록 결합함으로써, 설치작업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소켓과 덕트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지 않아 후처리작업공정을 감소시킬 수 있는 건물용 환기 덕트의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 및 빌딩에는 실내공간의 공조를 목적으로 내부 공기를 건물 밖으로 자연배기하거나 강제 송풍시킬 수 있도록 덕트가 설치된다.
상기 덕트는 단층건물이나 저층건물의 경우 덕트의 설치장소가 한정되어 있고, 구조도 간단하여 설치작업이 용이하지만, 아파트 및 빌딩 같은 고층건물은 덕트를 요소마다 설치하면서 한 곳으로 집중시켜야 하므로 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층의 각 공간별로 설치된 덕트를 서로 연결해야되기 때문에 벽체를 관통하여 설치해야만 했다.
상기 벽체를 관통하여 덕트를 설치할 경우는, 상기 벽체를 형성하기 위해 설치되는 거푸집 상단부에 하우징을 고정시키고, 상기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시키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의 벽체(W)에 매설된 하우징(10)으로 덕트(20)가 관통되도록 결합한다.
그러나 상기 하우징이 콘크리트 벽체의 상단부에 형성되어 덕트의 결합작업이 어려우며, 하우징에 결합된 일정길이의 덕트에 다른 덕트를 일직선으로 연결하기 위해 별도의 연결부재를 구입해야 하므로 시공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덕트의 외면과 하우징의 내면 사이에 공간이 발생하고, 이 공간에 별도의 충진재(30)를 충진하여 폐쇄하는 후처리작업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결함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벽체에 매설된 소켓의 수용공간에 덕트가 밀착되어 걸리도록 결합하여 수용공간과 덕트 사이의 공간발생을 최소화함과 아울러 후처리작업공정을 단축할 수 있는 건물용 환기 덕트의 연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덕트가 가이드리브를 따라 소켓의 수용공간에 장착하므로 덕트의 설치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건물용 환기 덕트의 연결장치 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 건물용 환기 덕트의 연결장치는,
콘크리트 벽체의 상단부에 매설되는 소켓과;
상기 소켓에 장착되어 공기의 이동을 안내하는 덕트를 포함하며,
상기 소켓은,
내부가 관통되어 상기 콘크리트 벽체 상단부에 매설되는 매설부재와;
상기 매설부재 양단에 각각 외향으로 걸림단턱이 형성되도록 확장되어 덕트를 수용하는 수용공간과;
상기 수용공간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콘크리트 벽체 형성시, 거푸집 상면에 안착되도록 하는 고정편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 건물용 환기 덕트의 연결장치에 의하면, 벽체에 매설된 소켓의 수용공간에 덕트가 밀착되어 걸리도록 결합함으로 수용공간과 덕트 사이의 공간발생을 최소화하여 충진재의 충진작업이 불필요하므로 시공비용을 절감함과 아울러 후처리작업공정을 단축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 건물용 환기 덕트의 연결장치에 의하면, 정형화된 일정길이의 덕트가 가이드리브를 따라 소켓의 수용공간에 장착되는 덕트의 설치작업이 용이하 여 공사기간을 단축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분리사시도이다.
본 발명 건물용 환기 덕트의 연결장치는, 콘크리트 벽체(W)의 상단부에 매설되는 소켓(100)이 구성되고, 상기 소켓(200)에 장착되어 공기의 이동을 안내하는 덕트(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소켓(100)은, 내부가 관통되어 상기 콘크리트 벽체(W) 상단부에 매설되는 매설부재(110)가 구성되고, 상기 매설부재(110) 양단에 각각 외향으로 걸림단턱(121)이 형성되도록 확장되어 덕트(200)를 수용하는 수용공간(120)이 구성되며, 상기 수용공간(120)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콘크리트 벽체(W) 형성시, 거푸집(M) 상면에 안착되도록 하는 고정편(1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수용공간(120) 내부에 돌출되어 덕트(200)의 결합을 안내하는 가이드리브(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리브(140)의 단부는 덕트(200)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경사면(141)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용공간(120) 단부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되어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유입을 차단하는 유입차단부재(1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매설부재(110) 양단에 각각 장착된 수용공간(120) 사이에 내측으로 요입되는 요입홈(16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덕트(200)는, 일정길이로 형성된 단위덕트가 바람직하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설치 및 덕트의 결합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의 콘크리트 벽체(W)를 형성하기 위해 바닥 슬라브에 대향하게 형성된 거푸집(M) 상면에 소켓(100)을 안착시키는데, 상기 소켓(100)의 수용공간(120)이 거푸집(M) 내면에 면접촉되면서 고정편(130)이 거푸집(M) 상면에 밀착되도록 안착시킨 후, 상기 고정편(130) 내부에 형성된 고정홈(131)을 통해 고정부재(B)로 고정편(130)과 거푸집(M)을 고정시킨다.
또한, 상기 거푸집(M)과 연결하면서 천정 슬라브를 형성하기 위한 거푸집(M)을 형성하는데, 이는 별도의 서포터로 지지하도록 한 후, 상기 콘크리트 벽체(W)를 형성하기 위한 거푸집(M)과, 천정 슬라브를 형성하기 위한 거푸집(M)에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이때, 상기 소켓(100)의 수용공간(120)은 거푸집(M)에 면접촉됨과 동시에 유입차단부재(150)가 수용공간(120) 단부를 폐쇄하고 있으므로 타설되는 콘크리트가 소켓(10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거푸집(M)에 타설된 콘크리트가 양생되어 천정 슬라브를 받치고 있는 서포터와 거푸집(M) 및 콘크리트 벽체(W)를 형성하는 거푸집(M)을 순차적으로 제거하면, 상기 천정 슬라브와 동일 선상의 콘크리트 벽체(W) 상단부에 소켓(100)이 매 설되도록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매설부재(110) 양단에 각각 장착된 수용공간(120) 사이에 내측으로 요입된 요입홈(160)에도 콘크리트가 양생되어 있으므로 소켓(100)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콘크리트 벽체(W) 상단부에 매설된 매설부재(110)의 양단에 형성된 수용공간(120)을 폐쇄하고 있는 유입차단부재(150)를 분리하여 수용공간(120) 내부를 각각 개방시킨 후, 상기 수용공간(120)에 단위덕트 즉, 일정길이로 절단된 덕트(200)를 각각 결합한다.
이때, 상기 수용공간(120) 내부로 결합되는 덕트(200)의 내면이 가이드리브(140)의 경사면(141)에 밀착되면서 경사면(141)을 따라 상향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가이드리브(140)에 안착된 덕트(200)를 이동시키면, 상기 덕트(200)의 내면에 가이드리브(140) 상면에
의 단부 외면이 수용공간(120) 내면에 밀착되어 결합되며, 상기 덕트(200) 단면이 수용공간(120)의 걸림단턱(121)에 밀착되면서 덕트(200)의 결합이 완료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덕트(200)는, 일정길이로 정형화된 덕트로 상기 걸림단턱(121)에 밀착되어 일정길이를 유지하므로 덕트를 동일 선상으로 연결하기 위한 별도의 연결부재가 필요하지 않아 시공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의 과정으로 결합이 완료된 덕트(200)에 연결덕트(미도시)를 연결하여 건물 외부와 연통시키면, 건물 내의 환기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 다.
또한, 본 발명 건물용 환기 덕트의 연결장치의 소켓(100)을 암.수 한 쌍으로 구성하여 이동가능하게 결합하면, 콘크리트 벽체(W)의 두께에 따라 소켓(100)의 크기를 가변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발명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종래 하우징에 덕트를 결합한 결합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설치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결합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소켓 110: 매설부재
120: 수용공간 121: 걸림단턱
130: 고정편 131: 결합홈
140: 가이드리브 150: 유입차단부재
200: 덕트
Claims (5)
- 콘크리트 벽체의 상단부에 매설되는 소켓과;상기 소켓에 장착되어 공기의 이동을 안내하는 덕트를 포함하며,상기 소켓은,내부가 관통되어 상기 콘크리트 벽체 상단부에 매설되는 매설부재와;상기 매설부재 양단에 각각 외향으로 걸림단턱이 형성되도록 확장되어 덕트를 수용하는 수용공간과;상기 수용공간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콘크리트 벽체 형성시, 거푸집 상면에 안착되도록 하는 고정편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용 환기 덕트의 연결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돌출되어 덕트의 결합을 안내하는 가이드리브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용 환기 덕트의 연결장치.
- 청구항 2에 있어서,상기 가이드리브의 단부는 덕트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용 환기 덕트의 연결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수용공간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되어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유입을 차단하는 유입차단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용 환기 덕트의 연결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매설부재 양단에 각각 장착된 수용공간 사이에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걸리도록 요입되는 요입홈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용 환기 덕트의 연결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50004A KR20100131219A (ko) | 2009-06-05 | 2009-06-05 | 건물용 환기 덕트의 연결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50004A KR20100131219A (ko) | 2009-06-05 | 2009-06-05 | 건물용 환기 덕트의 연결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131219A true KR20100131219A (ko) | 2010-12-15 |
Family
ID=435073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50004A KR20100131219A (ko) | 2009-06-05 | 2009-06-05 | 건물용 환기 덕트의 연결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00131219A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67766B1 (ko) * | 2017-06-01 | 2018-06-14 | (주)대우건설 | 층고 축소 및 시공성 향상을 위한 덕트용 연결 부재 및 이를 이용한 덕트시공방법 |
KR102373734B1 (ko) * | 2021-10-22 | 2022-03-14 | 주식회사 존환경디자인 | 환풍기용 댐퍼 |
KR20230108923A (ko) | 2022-01-12 | 2023-07-19 | 한국토지주택공사 | 위치 가변형 덕트 |
KR20240069890A (ko) | 2022-11-11 | 2024-05-21 | 한국토지주택공사 | 길이 가변 조인트 및 그로 이루어진 공기이송장치 |
-
2009
- 2009-06-05 KR KR1020090050004A patent/KR20100131219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67766B1 (ko) * | 2017-06-01 | 2018-06-14 | (주)대우건설 | 층고 축소 및 시공성 향상을 위한 덕트용 연결 부재 및 이를 이용한 덕트시공방법 |
KR102373734B1 (ko) * | 2021-10-22 | 2022-03-14 | 주식회사 존환경디자인 | 환풍기용 댐퍼 |
KR20230108923A (ko) | 2022-01-12 | 2023-07-19 | 한국토지주택공사 | 위치 가변형 덕트 |
KR20230119103A (ko) | 2022-01-12 | 2023-08-16 | 한국토지주택공사 | 위치 가변형 덕트 |
KR20240069890A (ko) | 2022-11-11 | 2024-05-21 | 한국토지주택공사 | 길이 가변 조인트 및 그로 이루어진 공기이송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00131219A (ko) | 건물용 환기 덕트의 연결장치 | |
KR100761047B1 (ko) | 공동주택 천정 전기 케이블 설치구조 | |
KR101500262B1 (ko) | 높이 조절이 가능한 배관슬리브 | |
ITPD20090335A1 (it) | Elemento edilizio modulare per la realizzazione di intercapedini in genere, ad esempio vespai, pavimenti e tetti areati | |
US20100084185A1 (en) | Means for connecting a light fixture to a wall | |
KR101867766B1 (ko) | 층고 축소 및 시공성 향상을 위한 덕트용 연결 부재 및 이를 이용한 덕트시공방법 | |
KR200459142Y1 (ko) | 높낮이 조절기능을 가진 배관 슬리브 | |
KR101874435B1 (ko) | 접속점을 측벽에 배치시킨 전기 배선 구조 및 건축물 시공 방법 | |
KR101246118B1 (ko) | 열교 저감을 위한 건식 벽체 시스템 및 건식 벽체 시공방법 | |
KR20030045727A (ko) | 높이조절기능을 갖는 배관슬리브 | |
US20210080034A1 (en) | Embedded fire-resistant device | |
KR102231464B1 (ko) | 난방배관슬리브 | |
CN210067006U (zh) | 内置电气管路的装配式墙体构件及装配式墙板安装系统 | |
JP6506436B1 (ja) | 設備機器の設置構造 | |
KR101813611B1 (ko) | 배수관 연결구 | |
KR100815192B1 (ko) | 배수트랩 연결구 | |
KR200346948Y1 (ko) | 배수관 고정슬리브 | |
KR100812874B1 (ko) | 공조설비의 배관결합장치의 단열구조 | |
KR19990030579A (ko) | 천장슬래브용 전기배관 박스 | |
KR101593167B1 (ko) | 벽체 매립형 에어컨 배관박스 | |
KR20100132168A (ko) | 공조기용 슬리브 | |
KR200229362Y1 (ko) | 건축물의 벽체시공용 온수난방관 관통 슬리브 | |
KR20110000255U (ko) | 길이 조절이 가능한 건축용 슬리브 | |
KR100867326B1 (ko) | 공조 기능을 구비한 건축용 천정 몰딩 조립체. | |
KR200341331Y1 (ko) | 벽부용 아웃렛 박스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