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69890A - 길이 가변 조인트 및 그로 이루어진 공기이송장치 - Google Patents

길이 가변 조인트 및 그로 이루어진 공기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69890A
KR20240069890A KR1020220150622A KR20220150622A KR20240069890A KR 20240069890 A KR20240069890 A KR 20240069890A KR 1020220150622 A KR1020220150622 A KR 1020220150622A KR 20220150622 A KR20220150622 A KR 20220150622A KR 20240069890 A KR20240069890 A KR 202400698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gth
flow part
flow
variable joint
vari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506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엽
김길태
양홍석
곽병창
김태호
이수규
황인태
김법전
이수만
이상윤
Original Assignee
한국토지주택공사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토지주택공사 filed Critical 한국토지주택공사
Publication of KR202400698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69890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09Duct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connecting means, e.g. fl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7/0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 F16L27/08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allowing adjustment or movement only about the axis of one pi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2/00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 F24F12/001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 F24F12/006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using an air-to-air heat exchang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45Manufacturing or assembly of air ducts; Method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54Duct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ounting means, e.g. suppo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08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separate ducts for supplied and exhausted air with provisions for reversal of the input and output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20Humid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30Velocity

Abstract

본 발명은 연구시설, 주택 등에 설치되는 덕트의 위치를 가변시켜 환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길이 가변 조인트 및 그로 이루어진 공기이송장치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길이 가변 조인트에 있어서, 내부가 관통되며, 유체가 유동하며, 일측이 개방된 제 1유동부와 내부가 관통되며, 유체가 유동하며, 타측이 개방된 제 2유동부와 제 2유동부 타측이 제 1유동부 내부에 부분 삽입된 삽입영역과 제 1유동부의 일측에 결합되며, 제 2유동부의 외측과 접촉되는 기밀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길이 가변 조인트 및 그로 이루어진 공기이송장치{Joint of Length Flexible and Transfer Apparatus of Air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연구시설, 주택 등에 설치되는 덕트의 위치를 가변시켜 환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길이 가변 조인트 및 그로 이루어진 공기이송장치에 대한 것이다.
특허문헌 001은 실내, 복도, 거실 천장면에 설치된 각종 배관 및 덕트를 나타낸 것이다. 냉매배관의 행거부분을 나타낸 것으로 작은 크기의 행거를 사용함으로서 행거설치에 따른 공간손실을 최소화하고 있다. 하이브리드 상시 열교환 환기시스템(냉난방과 환기를 동시에 고려)을 적용하는 경우,에어컨 냉매 및 드레인배관, 환기유니트 급, 배기 덕트 및 스프링클러 배관을 효율적으로 배치하여야 할 것이며,이때 환기 유니트 급기덕트에 분배기 등을 적용하여 압력손실을 저감시킬 수 있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특허발명 002는 실외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실내로 유도하는 유입덕트와, 실내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실외로 유도하는 배출덕트가 이중 구조의 일체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케이싱의 내부 중심부에는 상기 유입덕트와 배출덕트가 상호 연통되도록 하는 공간부가 마련되는 몸체부와; 상기 공간부에는 대향되게 유입되는 공기가 회전 또는 왕복운동을 통하여 상호 열교환되도록 하기 위하여 적층된 다공체의 메쉬 스크린으로 이루어진 소정형상의 열교환부; 및 상기 열교환부의 회전 또는 왕복운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특허발명 003은 내부에 통로를 관통 형성하는 슬리이브 본체와, 상기 본체의 양측에 삽입 결합하기 위해 내측에 결합돌부, 내부에 분리 가능하도록 개방부를 형성하는 마감캡으로 구성하되; 상기 슬리이브 본체의 측방에는 내측 외주연에 슬리이브 본체의 통로에 삽입되는 결합 단차돌부와, 외측 외주연에 슬리이브 본체의 삽입공과 동일 사이즈를 갖는 결합 단차홈부와, 내부에 상하부를 연결 지지하되 분리가능한 보강지지구를 형성하는 일정 폭사이즈의 길이 조절구를 적어도 하나 이상 연속 결합하도록 제공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특허발명 004는 콘크리트 벽체의 상단부에 매설되는 소켓과; 상기 소켓에 장착되어 공기의 이동을 안내하는 덕트를 포함하며, 상기 소켓은, 내부가 관통되어 상기 콘크리트 벽체 상단부에 매설되는 매설부재와; 상기 매설부재 양단에 각각 외향으로 걸림단턱이 형성되도록 확장되어 덕트를 수용하는 수용공간과; 상기 수용공간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콘크리트 벽체 형성시, 거푸집 상면에 안착되도록 하는 고정편을 포함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이정재. 주택 환기용 덕트시스템의 최적화 설계 방안에 관한 연구 (2008년 12월) KR 10-2006-0019889 A (2006년03월06일) KR 20-0443574 Y1 (2009년02월19일) KR 10-2010-0131219 A (2010년12월15일)
본 발명은 연구시설, 주택 등에 설치되는 덕트의 위치를 가변시켜 환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길이 가변 조인트 및 그로 이루어진 공기이송장치에 대한 것이다.
종래발명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은 길이 가변 조인트에 대한 것으로 길이 가변 조인트에 있어서, 내부가 관통되며, 유체가 유동하며, 일측이 개방된 제 1유동부(100); 내부가 관통되며, 유체가 유동하며, 타측이 개방된 제 2유동부(200); 상기 제 2유동부(200) 타측이 제 1유동부(100) 내부에 부분 삽입된 삽입영역(300); 상기 제 1유동부(100)의 일측에 결합되며, 상기 제 2유동부(200)의 외측과 접촉되는 기밀부(40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길이 가변 조인트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제 1유동부(100); 제 2유동부(200); 삽입영역(300); 기밀부(4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제 1유동부(100) 및 제 2유동부(200)의 재질은 동일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부가한다.
본 발명은 길이 가변 조인트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제 1유동부(100); 제 2유동부(200); 삽입영역(300); 기밀부(4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제 1유동부(100) 및 제 2유동부(200)의 재질은 상이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부가한다.
본 발명은 길이 가변 조인트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제 1유동부(100); 제 2유동부(200); 삽입영역(300); 기밀부(4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제 1유동부(100) 및 제 2유동부(200)의 재질은 금속 또는 합성수지로 형성되는 것;을 부가한다.
본 발명은 길이 가변 조인트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제 1유동부(100); 제 2유동부(200); 삽입영역(300); 기밀부(4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제 1유동부(100) 및 제 2유동부(200)의 단면은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부가한다.
본 발명은 길이 가변 조인트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제 1유동부(100); 제 2유동부(200); 삽입영역(300); 기밀부(4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제 1유동부(100) 내주면 및 제 2유동부(200) 외주면에 형성된 클리어런스;를 부가한다.
본 발명은 길이 가변 조인트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제 1유동부(100); 제 2유동부(200); 삽입영역(300); 기밀부(4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기밀부(400)는 상기 제 1유동부(100)와 결합되는 결합부(410); 상기 결합부(410)와 연장되며, 상기 제 2유동부(200)와 접촉되는 접촉부(420);를 부가한다.
본 발명은 길이 가변 조인트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제 1유동부(100); 제 2유동부(200); 삽입영역(300); 기밀부(4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결합부(410)는 상기 제 1유동부(100) 단부에 형성된 삽입체(411); 상기 결합부(410)에 형성되며, 상기 삽입체(411)에 삽입되는 삽입홈(412);을 부가한다.
본 발명은 길이 가변 조인트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제 1유동부(100); 제 2유동부(200); 삽입영역(300); 기밀부(4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결합부(410)는 상기 제 1유동부(100) 단부에 형성된 제 1결합공(421); 상기 결합부(410)에 형성된 제 2결합공(422); 상기 제 1결합공(421) 및 제 2결합공(422)을 체결하는 체결수단(423);을 부가한다.
본 발명은 길이 가변 조인트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제 1유동부(100); 제 2유동부(200); 삽입영역(300); 기밀부(4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체결수단(423)은 상기 제 1결합공(421)을 관통하며, 상기 제 2결합공(422)의 암나사(423a)와 결합되는 볼트(423b);를 부가한다.
본 발명은 길이 가변 조인트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제 1유동부(100); 제 2유동부(200); 삽입영역(300); 기밀부(4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체결수단(423)은 상기 제 1결합공(421) 및 제 2결합공(422)을 관통하는 볼트(423b); 상기 볼트(423b)와 체결되는 너트(423c);를 부가한다.
본 발명은 길이 가변 조인트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제 1유동부(100); 제 2유동부(200); 삽입영역(300); 기밀부(4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체결수단(423)은 상기 제 1결합공(421) 및 제 2결합공(422)을 억지 끼움하는 결합핀(423d);을 부가한다.
본 발명은 길이 가변 조인트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제 1유동부(100); 제 2유동부(200); 삽입영역(300); 기밀부(4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접촉부(420)는 상기 결합부(410)의 후면으로 연장 형성되는 고정체(424); 상기 결합부(410)의 전면에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 2유동부(200) 외면과 변형되어 접촉되는 변형체(425);를 부가한다.
본 발명은 길이 가변 조인트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제 1유동부(100); 제 2유동부(200); 삽입영역(300); 기밀부(4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접촉부(420)는 상기 변형체(425)의 단부는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부가한다.
본 발명은 길이 가변 조인트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제 1유동부(100); 제 2유동부(200); 삽입영역(300); 기밀부(4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기밀부(400)는 연성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부가한다.
본 발명은 길이 가변 조인트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제 1유동부(100); 제 2유동부(200); 삽입영역(300); 기밀부(4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연성재질은 천연고무 또는 합성고무로 형성되는 것;을 부가한다.
본 발명은 길이 가변 조인트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제 1유동부(100); 제 2유동부(200); 삽입영역(300); 기밀부(4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합성고무는 실리콘러버, 우레탄러버, 아크릴러버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부가한다.
본 발명은 길이 가변 조인트에 대한 발명이며, 길이 가변 조인트에 있어서, 내부가 관통되며, 유체가 유동하며, 일측이 개방된 제 1유동부(100); 내부가 관통되며, 유체가 유동하며, 타측이 개방된 제 2유동부(200); 상기 제 2유동부(200) 타측이 제 1유동부(100) 내부에 부분 삽입된 삽입영역(300); 상기 제 2유동부(200) 또는 제 1융동부에 형성되는 제한부(50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길이 가변 조인트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제 1유동부(100); 제 2유동부(200); 삽입영역(300); 제한부(5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제한부(500)는 제 2유동부(200)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된 제 1제한돌기(510);를 부가한다.
본 발명은 길이 가변 조인트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제 1유동부(100); 제 2유동부(200); 삽입영역(300); 제한부(5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제한부(500)는 제 1유동부(100)의 내주면에 돌출 형성된 제 2제한돌기(520);를 부가한다.
본 발명은 길이 가변 조인트로 이루어진 공기이송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내부가 관통되며 유체가 유동하며 일측이 개방된 제 1유동부(100), 내부가 관통되며 유체가 유동하며 타측이 개방된 제 2유동부(200) 및 상기 제 2유동부(200) 타측이 제 1유동부(100) 내부에 부분 삽입된 삽입영역(300)으로 이루어진 길이가변조인트(10); 상기 제 1유동부(100) 및/또는 제 2유동부(200)로부터 공기의 유동 방향이 분지되는 제 3유동부(60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길이 가변 조인트로 이루어진 공기이송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길이가변조인트(10); 제 3유동부(6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제 3유동부(600)는 복수로 분지되는 것;을 부가한다.
본 발명은 길이 가변 조인트로 이루어진 공기이송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길이가변조인트(10); 제 3유동부(6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제 3유동부(600) 중간에 형성되는 길이가변부(610);를 부가한다.
본 발명은 길이 가변 조인트로 이루어진 공기이송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길이가변조인트(10); 제 3유동부(6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제 3유동부(600) 중간 또는 단부에 형성되는 공기배출부(630) 또는 공기흡입부(620);를 부가한다.
본 발명은 길이 가변 조인트로 이루어진 공기이송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내부가 관통되며 유체가 유동하며 일측이 개방된 제 1유동부(100), 내부가 관통되며 유체가 유동하며 타측이 개방된 제 2유동부(200) 및 상기 제 2유동부(200) 타측이 제 1유동부(100) 내부에 부분 삽입된 삽입영역(300)으로 이루어진 길이가변조인트(10); 상기 제 1유동부(100) 및/또는 제 2유동부(200)와 연통되는 전열교환기(70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길이 가변 조인트로 이루어진 공기이송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길이가변조인트(10); 전열교환기(7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전열교환기(700)는 함체로 이루어지며, 제 1개구, 제 2개구, 제 3개구, 제4개구가 각각 형성된 케이스(710); 상기 제 1개구 및 제 3개구를 연통하는 제 1연통관(720); 상기 제 2개구 및 제4개구를 연통하는 제 2연통관(730); 상기 제 1연통관(720) 및 제 2연통관(730)이 교차하며, 교차부에 형성된 열교환기(740); 상기 제 1연통관(720) 및 제 2연통관(730)에 각각 형성된 제 1송풍기(750) 및 제 2송풍기(760);를 부가한다.
본 발명은 길이 가변 조인트로 이루어진 공기이송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내부가 관통되며 유체가 유동하며 일측이 개방된 제 1유동부(100), 내부가 관통되며 유체가 유동하며 타측이 개방된 제 2유동부(200) 및 상기 제 2유동부(200) 타측이 제 1유동부(100) 내부에 부분 삽입된 삽입영역(300)으로 이루어진 길이가변조인트(10); 상기 제 1유동부(100) 및/또는 제 2유동부(200)와 고정되며 천장과 결합되는 고정부(80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길이 가변 조인트로 이루어진 공기이송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길이가변조인트(10); 고정부(8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제 1유동부(100) 및/또는 제 2유동부(200)에 형성된 제 1고정체(810); 천장슬래브에 형성된 제 2고정체(820); 상기 제 1결합체 및 제 2결합체를 결합하는 제 3고정체(830);를 부가한다.
본 발명은 길이 가변 조인트로 이루어진 공기이송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길이가변조인트(10); 고정부(8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제 3고정체(830)에 형성된 길이가변고정체(831);를 부가한다.
본 발명은 길이 가변 조인트로 이루어진 공기이송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길이가변조인트(10); 고정부(8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제 3고정체(830)에 형성된 제진수단(832);를 부가한다.
본 발명은 길이 가변 조인트로 이루어진 공기이송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내부가 관통되며 유체가 유동하며 일측이 개방된 제 1유동부(100), 내부가 관통되며 유체가 유동하며 타측이 개방된 제 2유동부(200) 및 상기 제 2유동부(200) 타측이 제 1유동부(100) 내부에 부분 삽입된 삽입영역(300)으로 이루어진 길이가변조인트(10); 상기 제 1유동부(100) 및/또는 제 2유동부(200)에 센서가 장착된 센서부(90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길이 가변 조인트로 이루어진 공기이송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길이가변조인트(10); 센서부(9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제 1유동부(100) 및/또는 제 2유동부(200) 내부에 내장된 제 1온습도센서(910);를 부가한다.
본 발명은 길이 가변 조인트로 이루어진 공기이송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길이가변조인트(10); 센서부(9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제 1유동부(100) 및/또는 제 2유동부(200) 내부에 내장된 유속센서(920);를 부가한다.
본 발명은 길이 가변 조인트로 이루어진 공기이송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길이가변조인트(10); 센서부(9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센서부(900)의 센서 신호를 계측하는 계측부(930);를 부가한다.
본 발명은 제 1유동부에서 제 2유동부가 돌출됨에 따라 덕트의 길이를 다양하게 가변시킬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기밀부가 형성되어 제 1유동부와 제 2유동부 사이의 기밀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제 3유동부가 제 1유동부 및/또는 제 2유동부에서 착탈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다양한 평면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열교환기가 형성됨에 따라 실내와 실외의 열 교환을 통한 온도 조절이가능하다.
본 발명은 센서가 형성됨에 따라 실내 및 실외의 온도, 유속 등을 측정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천장에서 길이가 가변되는 고정체가 형성됨에 따라 제 1유동부 및 제 2유동부의 분리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길이 가변 조인트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길이 가변 조인트의 단면도.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기밀부의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기밀부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한부가 설치된 길이 가변 조인트의 단면도.
도 7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길이 가변 조인트로 이루어진 공기이송장치의 예시도.
도 9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유동부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고정부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아래의 실시예에서 인용하는 번호는 인용대상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모든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시한 구성과 동일한 목적 및 효과를 발휘하는 대상은 균등한 치환대상에 해당된다. 실시예에서 제시한 상위개념은 기재하지 않은 하위개념 대상을 포함한다.
(실시예 1-1) 본 발명은 길이 가변 조인트에 대한 것이며, 내부가 관통되며, 유체가 유동하며, 일측이 개방된 제 1유동부(100); 내부가 관통되며, 유체가 유동하며, 타측이 개방된 제 2유동부(200); 상기 제 2유동부(200) 타측이 제 1유동부(100) 내부에 부분 삽입된 삽입영역(300); 상기 제 1유동부(100)의 일측에 결합되며, 상기 제 2유동부(200)의 외측과 접촉되는 기밀부(400);를 포함한다.
(실시예 2-1) 본 발명은 길이 가변 조인트에 있어서,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제 1유동부(100) 및 제 2유동부(200)의 재질은 동일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3-1) 본 발명은 길이 가변 조인트에 있어서,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제 1유동부(100) 및 제 2유동부(200)의 재질은 상이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4-1) 본 발명은 길이 가변 조인트에 있어서,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제 1유동부(100) 및 제 2유동부(200)의 재질은 금속 또는 합성수지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5-1) 본 발명은 길이 가변 조인트에 있어서,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제 1유동부(100) 및 제 2유동부(200)의 단면은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6-1) 본 발명은 길이 가변 조인트에 있어서,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제 1유동부(100) 내주면 및 제 2유동부(200) 외주면에 형성된 클리어런스;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길이 가변 조인트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길이 가변 조인트는 건물의 세대 지붕에 설치되며, 환기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디퓨져의 위치에 덕트의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길이 가변 조인트는 연구시설, 주택, 공동주택, 오피스 등으로 형성되는 건물의 세대내 지붕에 설치되는 것으로 세대의 내기와 외기를 이동시켜 환기를 진행하는 것이다. 이때, 길이 가변 조인트는 건물의 세대내 환기 효율이 높은 곳에 설치된 디퓨져에 연결되도록 덕트의 위치를 가변시킨다. 이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면, 연구시설 등으로 형성되는 건물은 다양한 평면으로 형성되어 주방, 거실, 방, 화장실 등 각각의 실에서 환기 효율이 높은 복수의 위치에 디퓨져를 설치한다. 이때, 각각의 디퓨져마다 덕트를 연결하여 환기 효율을 판단하기 위하여 덕트의 위치를 가변시키는 것이다.
또한, 이동형 주택 등과 같이 모듈형 주택에서 각각의 실을 결합한 후 환기를 위하여 덕트를 설치하여야 하나 덕트는 천장에 설치하여야 하므로 덕트 설치를 위하여 천장을 새로 시공하는 단점이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길이 가변 조인트에 의하여 덕트의 위치를 가변시키는 것이다.
이와 같이 덕트의 위치를 가변시키기 위한 길이 가변 조인트는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내부가 관통되며, 유체가 유동하며, 일측이 개방된 제 1유동부(100)와 내부가 관통되며, 유체가 유동하며, 타측이 개방된 제 2유동부(200)가 형성된다. 제 1유동부(100)와 제 2유동부(200)의 재질은 금속 또는 합성수지로 형성되며, 제 1유동부(100)와 제 2유동부(200)는 동일 또는 상이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유동부(100)와 제 2유동부(200)의 단면은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되며, 제 1유동부(100)와 제 2유동부(200)는 서로 다른 크기로 형성된다. 이때, 제 1유동부(100) 내주면 및 제 2유동부(200) 외주면에 클리어런스가 형성됨에 따라 제 2유동부(200) 타측이 제 1유동부(100) 내부에 부분 삽입되는 삽입영역(300)이 형성되는 것으로 제 1유동부(100)는 제 2유동부(200)보다 넓은 단면으로 형성된다. 또한, 제 1유동부(100)의 일측에는 제 2유동부(200)의 외측과 접촉되어 기밀 성능을 향상시키는 기밀부(400)가 형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길이 가변 조인트는 제 1유동부(100)의 내부에 제 2유동부(200)가 부분 삽입됨에 따라 제 1유동부(100)의 내부에서 위치가 가변되어 덕트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진다.
(실시예 7-1) 본 발명은 길이 가변 조인트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기밀부(400)는 상기 제 1유동부(100)와 결합되는 결합부(410); 상기 결합부(410)와 연장되며, 상기 제 2유동부(200)와 접촉되는 접촉부(420);를 포함한다.
(실시예 8-1) 본 발명은 길이 가변 조인트에 있어서, 실시예 7-1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410)는 상기 제 1유동부(100) 단부에 형성된 삽입체(411); 상기 결합부(410)에 형성되며, 상기 삽입체(411)에 삽입되는 삽입홈(412);을 포함한다.
(실시예 9-1) 본 발명은 길이 가변 조인트에 있어서, 실시예 7-1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410)는 상기 제 1유동부(100) 단부에 형성된 제 1결합공(421); 상기 결합부(410)에 형성된 제 2결합공(422); 상기 제 1결합공(421) 및 제 2결합공(422)을 체결하는 체결수단(423);을 포함한다.
(실시예 10-1) 본 발명은 길이 가변 조인트에 있어서, 실시예 9-1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423)은 상기 제 1결합공(421)을 관통하며, 상기 제 2결합공(422)의 암나사(423a)와 결합되는 볼트(423b);를 포함한다.
(실시예 11-1) 본 발명은 길이 가변 조인트에 있어서, 실시예 9-1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423)은 상기 제 1결합공(421) 및 제 2결합공(422)을 관통하는 볼트(423b); 상기 볼트(423b)와 체결되는 너트(423c);를 포함한다.
(실시예 12-1) 본 발명은 길이 가변 조인트에 있어서, 실시예 9-1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423)은 상기 제 1결합공(421) 및 제 2결합공(422)을 억지 끼움하는 결합핀(423d);을 포함한다.
(실시예 13-1) 본 발명은 길이 가변 조인트에 있어서, 실시예 9-1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420)는 상기 결합부(410)의 후면으로 연장 형성되는 고정체(424); 상기 결합부(410)의 전면에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 2유동부(200) 외면과 변형되어 접촉되는 변형체(425);를 포함한다.
(실시예 14-1) 본 발명은 길이 가변 조인트에 있어서, 실시예 9-1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420)는 상기 변형체(425)의 단부는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15-1) 본 발명은 길이 가변 조인트에 있어서,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기밀부(400)는 연성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16-1) 본 발명은 길이 가변 조인트에 있어서, 실시예 15-1에 있어서, 상기 연성재질은 천연고무 또는 합성고무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17-1) 본 발명은 길이 가변 조인트에 있어서, 실시예 15-1에 있어서, 상기 합성고무는 실리콘러버, 우레탄러버, 아크릴러버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17-2) 본 발명의 길이 가변 조인트는 실시예 6-1에 있어서, 상기 클리어런스에 형성되며, 기밀 성능을 향상시키는 실링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기밀부(400)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기밀부(400)는 제 1유동부(100)와 제 2유동부(200) 사이에 형성되는 클리어런스의 기밀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기밀부(400)는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제 1유동부(100)의 일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클리어런스로 연장되어 제 2유동부(200)의 외측과 접촉된다. 이때, 기밀부(400)는 제 1유동부(100)와 결합되는 결합부(410)가 형성되며, 결합부(410)는 제 1유동부(100)의 단부에서 절곡되어 형성되는 삽입체(411)와 삽입체(411)에 삽입되는 삽입홈(412)이 형성된다. 그리고 삽입체(411)는 제 1유동부(100)의 단부에서 서로 접히도록 절곡되거나 일방향으로 절곡된다. 또한, 삽입체(411)에 삽입되는 삽입홈(412)은 결합부(410)의 하단 중심에 형성되는 것으로 삽입체(411)와 동일하거나 작은 폭으로 형성되어 삽입체(411)에 결합부(410)가 억지끼움으로 마찰이 발생하도록 삽입된다.
그리고 제 1유동부(100)와 결합부(410)가 체결수단(423)에 의하여 결합될 경우 제 1유동부(100)의 단부는 절곡되지 않는다. 이때, 제 1유동부(100)와 결합부(410)가 체결수단(423)에 의하여 결합될 때는 제 1유동부(100) 단부에 제 1결합공(421)이 형성되고, 결합부(410)에는 제 1결합공(421)과 일치하는 제 2결합공(422)이 형성된다. 제 1결합공(421)과 제 2결합공(422)을 관통하는 체결수단(423)은 제 1결합공(421) 또는 제 2결합공(422)을 관통하며, 타 제 2결합공(422) 또는 제 2결합공(422)의 암나사(423a)와 결합되는 볼트(423b)로 형성된다. 그리고 제 1결합공(421)과 제 2결합공(422)이 볼트(423b)로 체결될 경우 체결수단(423)은 볼트(423b)와 결합되는 너트(423c)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다른 실시 예로 체결수단(423)은 결합핀(423d)으로 형성되어 제 1결합공(421)과 제 2결합공(422)을 억지 끼움으로 관통할 수 있다.
그리고 접촉부(420)는 결합부(410)의 후면에서 연장되어 삽입체(411) 또는 체결수단(423)에 걸리도록 고정되는 고정체(424)가 형성되며, 고정체(424)와 타면으로 연장되어 제 2유동부(200) 외면과 변형되어 접촉되는 변형체(425)가 형성된다. 이때, 변형체(425)의 단부는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제 2유동부(200)가 제 1유동부(100)의 내부에서 이동할 때 변형체(425)가 원활히 변형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기밀부(400)는 제 2유동부(200)의 이동에 의하여 변형이 자유롭도록 연성재질로 형성되며, 연성재질은 천연고무 또는 합성고무로 형성된다. 그리고 합성고무는 실리콘러버, 우레탄러버, 아크릴러버 등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클리어런스에는 기밀부(400)와 이격되도록 실링재가 형성되며, 실링재는 제 2유동부(200)의 단부 외측에 고정되어 형성되어 이중으로 기밀 성능을 향상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밀부(400)는 다양한 실시 예로 제 1유동부(100)와 제 2유동부(200) 사이의 기밀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특징을 가진다.
(실시예 18-1) 본 발명은 길이 가변 조인트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1-1 내지 실시예 17-1에 있어서, 길이 가변 조인트에 있어서, 내부가 관통되며, 유체가 유동하며, 일측이 개방된 제 1유동부(100); 내부가 관통되며, 유체가 유동하며, 타측이 개방된 제 2유동부(200); 상기 제 2유동부(200) 타측이 제 1유동부(100) 내부에 부분 삽입된 삽입영역(300); 상기 제 2유동부(200) 또는 제 1융동부에 형성되는 제한부(500);를 포함한다.
(실시예 19-1) 본 발명은 길이 가변 조인트에 있어서, 실시예 18-1에 있어서, 상기 제한부(500)는 제 2유동부(200)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된 제 1제한돌기(510);를 포함한다.
(실시예 20-1) 본 발명은 길이 가변 조인트에 있어서, 실시예 18-1에 있어서, 상기 제한부(500)는 제 1유동부(100)의 내주면에 돌출 형성된 제 2제한돌기(520);를 포함한다.
(실시예 20-2) 본 발명의 길이 가변 조인트는 실시예 20-1에 있어서, 상기 제한부(500)는 제 1유동부(100) 또는 제 2유동부(200)와 일체형 또는 분리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20-3) 본 발명의 길이 가변 조인트는 실시예 20-1에 있어서, 상기 제한부(500)는 하나 또는 복수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길이 가변 조인트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길이 가변 조인트는 제한부(500)가 형성되어 제 2유동부(200)의 이동 거리를 제한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길이 가변 조인트는 도 6을 참조하면, 제 2유동부(200)가 삽입영역(300)에서 압력에 의하여 이동이 발생하거나 가변 길이를 정확히 유지하기 위하여 제한부(500)가 형성된다. 제한부(500)는 제 2유동부(200)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는 제 1제한돌기(510)가 형성되며, 제 1제한돌기(510)는 제 2유동부(200)와 일체 또는 분리되도록 형성된다. 제 1제한돌기(510)가 제 2유동부(200)와 분리되어 형성될 경우 제 1제한돌기(510)와 제 2유동부(200)와 접하는 위치에는 마찰에 의하여 제 1제한돌기(510)의 이동을 방지하는 고무재질의 마찰부재가 형성된다. 그리고 제 1제한돌기(510)는 제 1유동부(100)의 단부에 접하도록 제 1유동부(100)와 동일 또는 큰 단면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1제한돌기(510)와 이격되어 형성되며, 제 1유동부(100)의 내주면에 돌출 형성되는 제 2제한돌기(520)는 제 2유동부(200)가 제 1유동부(100)의 내부로 삽입되는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제 1유동부(100)와 일체 또는 분리되어 형성된다. 제 1유동부(100)와 제 2제한돌기(520)가 분리되어 형성될 경우 제 2제한돌기(520)는 용접, 고정철물 등에 의하여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제한부(500)에 의하여 삽입영역(300)의 길이가 결정될 수 있으며, 제한부(500)는 제 1제한돌기(510)와 제 2제한돌기(520)가 하나 또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 21-1) 본 발명은 길이 가변 조인트로 이루어진 공기이송장치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1-1 내지 실시예 20-1에 있어서, 가변조인트로 이루어진 공기이송장치(20)에 있어서, 내부가 관통되며 유체가 유동하며 일측이 개방된 제 1유동부(100), 내부가 관통되며 유체가 유동하며 타측이 개방된 제 2유동부(200) 및 상기 제 2유동부(200) 타측이 제 1유동부(100) 내부에 부분 삽입된 삽입영역(300)으로 이루어진 길이가변조인트(10); 상기 제 1유동부(100) 및/또는 제 2유동부(200)로부터 공기의 유동 방향이 분지되는 제 3유동부(600);를 포함한다.
(실시예 21-2) 본 발명의 길이 가변 조인트로 이루어진 공기이송장치는 실시예 21-1에 있어서, 상기 제 3유동부(600)의 단부에 형성된 제 1플랜지(640); 상기 제 1유동부(100) 및/또는 제 2유동부(200) 측면에 형성된 제 2플랜지(650); 상기 제 1플랜지(640) 및 제 2플랜지(650)를 결속하는 결속체(660);를 포함한다.
(실시예 21-3) 본 발명의 길이 가변 조인트로 이루어진 공기이송장치는 실시예 21-1에 있어서, 상기 제 1유동부(100) 및/또는 제 2유동부(200) 측면에 형성된 플랜지개구(670); 상기 제 2플랜지(650)에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개구(670)에 결착되는 분지고정판(680); 상기 플랜지개구(670)에 결착되며, 상기 분지고정판(680) 이외의 개구에 결착되는 이면고정판(690);을 포함한다.
(실시예 22-1) 본 발명은 길이 가변 조인트로 이루어진 공기이송장치에 있어서, 실시예 21-1에 있어서, 상기 제 3유동부(600)는 복수로 분지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길이 가변 조인트로 이루어진 공기이송장치(20)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길이 가변 조인트로 이루어진 공기이송장치(20)는 복수의 제 1유동부(100)와 제 2유동부(200)에서 제 3유동부(600)가 분지되어 각각의 실을 연결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길이 가변 조인트로 이루어진 공기이송장치(20)는 도 7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제 1유동부(100)와 제 1유동부(100)의 내측에서 돌출 또는 삽입되는 길이가변조인트(10)가 형성되며, 길이가변조인트(10)에서 공기의 유동 방향에 따라 분지되는 제 3유동부(600)가 형성된다. 제 3유동부(600)는 도 9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제 1유동부(100) 또는 제 2유동부(200)에서 일체 또는 분리되도록 형성되며, 각 실의 디퓨져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 3유동부(600)의 단부에서 외측으로 제 1플랜지(640)가 형성되며, 제 1플랜지(640)는 제 1유동부(100) 또는 제 2유동부(200) 측면에 형성되는 제 2플랜지(650)와 결합되어 제 1유동부(100) 또는 제 2유동부(200)의 공기가 제 3유동부(600)로 전달될 수 있다. 이때, 제 1플랜지(640)와 제 2플랜지(650)는 결속체(660)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으며, 결속체(660)는 체결철물로 형성되어 제 1플랜지(640)와 제 2플랜지(650)를 고정하거나 클램프로 형성되어 제 1플랜지(640)와 제 2플랜지(650)를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유동부(100) 및/또는 제 2유동부(200) 측면에는 플랜지개구(670)가 형성되며, 플랜지개구(670)는 제 3유동부(600)의 단면과 동일한 형상 및 크기로 형성되어 제 3유동부(600)가 결합된다. 이때, 플랜지개구(670)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 3유동부(600)의 위치를 간단히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제 2플랜지(650)에는 플랜지개구(670)에 결착되는 분지고정판(680)이 형성되며, 분지고정판(680)은 제 3유동부(600)의 제 1플랜지(640)가 제 1유동부(100) 및/또는 제 2유동부(200)와 체결되도록 한다. 이때, 분지고정판(680)은 제 3유동부(600)가 체결되는 플랜지개구(670)에 형성되는 것으로 제 3유동부(600)가 체결되지 않는 플랜지개구(670)는 이면고정판(690)이 형성되어 공기가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길이 가변 조인트로 이루어진 공기이송장치(20)는 세대 내의 공기 흐름을 원활히 하기 위하여 제 3유동부(600)가 제 1유동부(100) 또는 제 2유동부(200)에 체결되는 특징을 가진다.
(실시예 23-1) 본 발명은 길이 가변 조인트로 이루어진 공기이송장치에 있어서, 실시예 21-1에 있어서, 상기 제 3유동부(600) 중간에 형성되는 길이가변부(610);를 포함한다.
(실시예 24-1) 본 발명은 길이 가변 조인트로 이루어진 공기이송장치에 있어서, 실시예 21-1에 있어서, 상기 제 3유동부(600) 중간 또는 단부에 형성되는 공기배출부(630) 또는 공기흡입부(6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제 3유동부(600)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제 3유동부(600)는 길이가 가변되는 것이다. 이러한 제 3유동부(600)는 도 9를 참조하면, 길이가변부(610)가 형성되며, 길이가변부(610)는 단면 크기가 서로 다른 복수의 덕트가 서로 연결되어 길이가 가변되는 것이다. 이때, 길이가변부(610)는 스토퍼가 형성되어 길이가 조절될 수 있으며, 길이가 조절된 후 고정되도록 밀착부재 또는 고정부(800)재에 의하여 체결된다.
또한, 제 3유동부(600)의 중간 또는 단부에는 공기가 흡입 또는 배출되도록 공기흡입부(620) 또는 공기배출부(630)가 형성되며, 공기흡입부(620)와 공기배출부(630)는 디퓨져로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 25-1) 본 발명은 길이 가변 조인트로 이루어진 공기이송장치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1-1 내지 실시예 24-1에 있어서, 가변조인트로 이루어진 공기이송장치(20)에 있어서, 내부가 관통되며 유체가 유동하며 일측이 개방된 제 1유동부(100), 내부가 관통되며 유체가 유동하며 타측이 개방된 제 2유동부(200) 및 상기 제 2유동부(200) 타측이 제 1유동부(100) 내부에 부분 삽입된 삽입영역(300)으로 이루어진 길이가변조인트(10); 상기 제 1유동부(100) 및/또는 제 2유동부(200)와 연통되는 전열교환기(700);를 포함한다.
(실시예 26-1) 본 발명은 길이 가변 조인트로 이루어진 공기이송장치에 있어서, 실시예 25-1에 있어서, 상기 전열교환기(700)는 함체로 이루어지며, 제 1개구, 제 2개구, 제 3개구, 제4개구가 각각 형성된 케이스(710); 상기 제 1개구 및 제 3개구를 연통하는 제 1연통관(720); 상기 제 2개구 및 제4개구를 연통하는 제 2연통관(730); 상기 제 1연통관(720) 및 제 2연통관(730)이 교차하며, 교차부에 형성된 열교환기(740); 상기 제 1연통관(720) 및 제 2연통관(730)에 각각 형성된 제 1송풍기(750) 및 제 2송풍기(76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길이 가변 조인트로 이루어진 공기이송장치(20)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길이 가변 조인트로 이루어진 공기이송장치(20)는 복수의 길이가변조인트(10)가 전열교환기(700)에 연결되어 실내와 실외의 열교환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길이 가변 조인트로 이루어진 공기이송장치(20)는 도 8을 참조하면, 제 1유동부(100)와 제 1유동부(100)의 내측에서 돌출 또는 삽입되는 길이가변조인트(10)가 형성되며, 복수의 길이가변조인트(10)는 실내와 실외를 연결하며, 실내와 실외를 연결하는 복수의 길이가변조인트(10) 사이에는 전열교환기(700)가 형성된다.
전열교환기(700)는 함체로 이루어지며, 제 1개구, 제 2개구, 제 3개구, 제 4개구가 각각 형성된 케이스(710)와 제 1개구 및 제 3개구를 연통하는 제 1연통관(720)과 제 2개구 및 제 4개구를 연통하는 제 2연통관(730)이 형성된다. 이때, 제 1연통관(720) 및 제 2연통관(730)이 교차하며, 교차부에 형성된 열교환기(740)가 형성되고, 제 1연통관(720) 및 제 2연통관(730)에는 제 1송풍기(750) 및 제 2송풍기(760)가 각각 형성된다. 이에 따라 실외에서 유입되는 공기와 실내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서로 교차하여 실내의 온도를 유지할 수 있다.
(실시예 27-1) 본 발명은 길이 가변 조인트로 이루어진 공기이송장치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1-1 내지 실시예 26-1에 있어서, 가변조인트로 이루어진 공기이송장치(20)에 있어서, 내부가 관통되며 유체가 유동하며 일측이 개방된 제 1유동부(100), 내부가 관통되며 유체가 유동하며 타측이 개방된 제 2유동부(200) 및 상기 제 2유동부(200) 타측이 제 1유동부(100) 내부에 부분 삽입된 삽입영역(300)으로 이루어진 길이가변조인트(10); 상기 제 1유동부(100) 및/또는 제 2유동부(200)와 고정되며 천장과 결합되는 고정부(800);를 포함한다.
(실시예 28-1) 본 발명은 길이 가변 조인트로 이루어진 공기이송장치에 있어서, 실시예 27-1에 있어서, 상기 제 1유동부(100) 및/또는 제 2유동부(200)에 형성된 제 1고정체(810); 천장슬래브에 형성된 제 2고정체(820); 상기 제 1결합체 및 제 2결합체를 결합하는 제 3고정체(830);를 포함한다.
(실시예 29-1) 본 발명은 길이 가변 조인트로 이루어진 공기이송장치에 있어서, 실시예 28-1에 있어서, 상기 제 3고정체(830)에 형성된 길이가변고정체(831);를 포함한다.
(실시예 30-1) 본 발명은 길이 가변 조인트로 이루어진 공기이송장치에 있어서, 실시예 28-1에 있어서, 상기 제 3고정체(830)에 형성된 제진수단(832);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길이 가변 조인트로 이루어진 공기이송장치(20)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길이 가변 조인트로 이루어진 공기이송장치(20)는 천장에서 이격되도록 길이가변조인트(10)를 고정하는 것이다. 이러한 길이 가변 조인트로 이루어진 공기이송장치(20)는 도 11을 참조하면, 제 1유동부(100)와 제 1유동부(100)의 내측에서 돌출 또는 삽입되는 길이가변조인트(10)가 형성되며, 길이가변조인트(10)를 천장에 결합시키는 고정부(800)가 형성된다. 고정부(800)는 세대 내의 천장에 결합되어 형성되며, 제 1유동부(100) 및/또는 제 2유동부(200)에 형성되는 제 1고정체(810)와 천장슬래브의 하단에 형성되는 제 2고정체(820)가 형성된다. 그리고 제 1고정체(810)와 제 2고정체(820)는 제 3고정체(830)에 의하여 연결된다. 이때, 제 1고정체(810)는 제 1유동부(100) 및 제 2유동부(200)의 외측을 감싸도록 형성되며, 제 2유동부(200)의 이동에 따라 원활히 위치가 가변되도록 제 1유동부(100) 및 제 2유동부(200)보다 넓은 단면 크기로 형성된다.
그리고 제 2고정체(820)는 천장슬래브에 형성되며, 힌지로 형성됨에 따라 제 2유동부(200)가 제 1유동부(100)에서 돌출될 때 원활히 제 3고정체(830)가 회동하도록 한다. 이때, 제 3고정체(830)는 길이가변고정체(831)가 중간에 형성되며, 길이가변고정체(831)는 복수가 나선결합되어 제 2유동부(200)가 이동함에 따라 제 3고정체(830)의 길이가 늘어날 때 유동적으로 길이가 가변되는 것이다. 또한, 제 3고정체(830)에는 스프링 등으로 형성되는 제진수단(832)이 형성되어 기체의 압력 또는 지진, 충격 등에 의하여 충격을 흡수함에 따라 제 1유동부(100)와 제 2유동부(20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 31-1) 본 발명은 길이 가변 조인트로 이루어진 공기이송장치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1-1 내지 실시예 30-1에 있어서, 가변조인트로 이루어진 공기이송장치(20)에 있어서, 내부가 관통되며 유체가 유동하며 일측이 개방된 제 1유동부(100), 내부가 관통되며 유체가 유동하며 타측이 개방된 제 2유동부(200) 및 상기 제 2유동부(200) 타측이 제 1유동부(100) 내부에 부분 삽입된 삽입영역(300)으로 이루어진 길이가변조인트(10); 상기 제 1유동부(100) 및/또는 제 2유동부(200)에 센서가 장착된 센서부(900);를 포함한다.
(실시예 32-1) 본 발명은 길이 가변 조인트로 이루어진 공기이송장치에 있어서, 실시예 31-1에 있어서, 상기 제 1유동부(100) 및/또는 제 2유동부(200) 내부에 내장된 제 1온습도센서(910);를 포함한다.
(실시예 33-1) 본 발명은 길이 가변 조인트로 이루어진 공기이송장치에 있어서, 실시예 31-1에 있어서, 상기 제 1유동부(100) 및/또는 제 2유동부(200) 내부에 내장된 유속센서(920);를 포함한다.
(실시예 34-1) 본 발명은 길이 가변 조인트로 이루어진 공기이송장치에 있어서, 실시예 31-1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900)의 센서 신호를 계측하는 계측부(930);를 포함한다.
(실시예 34-2) 본 발명의 길이 가변 조인트로 이루어진 공기이송장치는 실시예 34-1에 있어서, 상기 삽입영역(300)의 가변 길이를 계측하는 길이센서;를 포함한다.
(실시예 34-3) 본 발명의 길이 가변 조인트로 이루어진 공기이송장치는 실시예 34-1에 있어서, 상기 제 1유동부(100) 및 제 2유동부(200)의 진동을 측정하는 진동센서;를 포함한다.
(실시예 34-4) 본 발명의 길이 가변 조인트로 이루어진 공기이송장치는 실시예 34-1에 있어서, 상기 제 1유동부(100) 및 제 2유동부(200)로부터 연통되는 실내의 온습도를 계측하는 제 2온습도센서;를 포함한다.
(실시예 34-5) 본 발명의 길이 가변 조인트로 이루어진 공기이송장치는 실시예 34-1에 있어서, 실외의 온습도를 계측하는 제 3온습도센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길이 가변 조인트로 이루어진 공기이송장치(20)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길이 가변 조인트로 이루어진 공기이송장치(20)는 센서가 장착되어 유량, 유속을 측정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길이 가변 조인트로 이루어진 공기이송장치(20)는 도 8을 참조하면, 제 1유동부(100)와 제 1유동부(100)의 내측에서 돌출 또는 삽입되는 길이가변조인트(10)가 형성되며, 제 1유동부(100) 및 제 2유동부(200)에 센서가 장착되는 센서부(900)가 형성된다. 센서부(900)는 제 1유동부(100) 및 제 2유동부(200)의 내부에 형성되어 공기의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하는 제 1온습도센서(910)가 형성된다. 이때, 제 1온습도센서(910)와 이격되어 실내의 온습도를 계측하기 위하여 디퓨져와 근접한 위치에 형성되는 제 2온습도센서와 실외에 근접한 위치에 형성되는 제 3온습도센서가 형성됨에 따라 전열교환기(700)를 통해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센서부(900)는 제 1유동부(100) 및/또는 제 2유동부(200)에 형성되는 유속센서(920)에 의하여 공기의 유속을 측정할 수 있으며, 공기의 유속에 따라 전열교환기(700)의 송풍기를 조절한다. 또한, 센서부(900)는 삽입영역(300)에 형성되어 제 2유동부(200)의 가변 길이를 측정하는 길이센서가 형성되며, 길이센서는 적외선으로 형성되거나 스프링이 내장되어 가변 길이를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센서부(900)는 제 1유동부(100) 및 제 2유동부(200)의 진동을 측정하는 진동센서가 형성되며, 진동센서에 의하여 제 1유동부(100)와 제 2유동부(200)의 분리 및 파손을 예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센서부(900)에 형성되는 다양한 센서는 신호를 전달하는 것으로 센서부(900)에서 전달된 신호는 계측부(930)에서 계측하여 세대 내로 전달하는 것이다.
10: 길이가변조인트 20: 공기이송장치
100: 제 1유동부 200: 제 2유동부
300: 삽입영역 400: 기밀부
410: 결합부 411: 삽입체
412: 삽입홈 420: 접촉부
421: 제 1결합공 422: 제 2결합공
423: 체결수단 423a: 암나사
423b: 볼트 423c: 너트
423d: 결합핀 424: 고정체
425: 변형체 500: 제한부
510: 제 1제한돌기 520: 제 2제한돌기
600: 제 3유동부 610: 길이가변부
620: 공기흡입부 630: 공기배출부
640: 제 1플랜지 650: 제 2플랜지
660: 결속체 670: 플랜지개구
680: 분지고정판 690: 이면고정판
700: 전열교환기 710: 케이스
720: 제 1연통관 730: 제 2연통관
740: 열교환기 750: 제 1송풍기
760: 제 2송풍기 800: 고정부
810: 제 1고정체 820: 제 2고정체
830: 제 3고정체 831: 길이가변고정체
832: 제진수단 900: 센서부
910: 제 1온습도센서 920: 유속센서
930: 계측부

Claims (34)

  1. 길이 가변 조인트에 있어서,
    내부가 관통되며, 유체가 유동하며, 일측이 개방된 제 1유동부(100);
    내부가 관통되며, 유체가 유동하며, 타측이 개방된 제 2유동부(200);
    상기 제 2유동부(200) 타측이 제 1유동부(100) 내부에 부분 삽입된 삽입영역(300);
    상기 제 1유동부(100)의 일측에 결합되며, 상기 제 2유동부(200)의 외측과 접촉되는 기밀부(400);를 포함하는 길이 가변 조인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유동부(100) 및 제 2유동부(200)의 재질은 동일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길이 가변 조인트.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유동부(100) 및 제 2유동부(200)의 재질은 상이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길이 가변 조인트.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유동부(100) 및 제 2유동부(200)의 재질은 금속 또는 합성수지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길이 가변 조인트.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유동부(100) 및 제 2유동부(200)의 단면은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길이 가변 조인트.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유동부(100) 내주면 및 제 2유동부(200) 외주면에 형성된 클리어런스;를 포함하는 길이 가변 조인트.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밀부(400)는 상기 제 1유동부(100)와 결합되는 결합부(410);
    상기 결합부(410)와 연장되며, 상기 제 2유동부(200)와 접촉되는 접촉부(420);를 포함하는 길이 가변 조인트.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410)는 상기 제 1유동부(100) 단부에 형성된 삽입체(411);
    상기 결합부(410)에 형성되며, 상기 삽입체(411)에 삽입되는 삽입홈(412);을 포함하는 길이 가변 조인트.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410)는 상기 제 1유동부(100) 단부에 형성된 제 1결합공(421);
    상기 결합부(410)에 형성된 제 2결합공(422);
    상기 제 1결합공(421) 및 제 2결합공(422)을 체결하는 체결수단(423);을 포함하는 길이 가변 조인트.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423)은 상기 제 1결합공(421)을 관통하며, 상기 제 2결합공(422)의 암나사(423a)와 결합되는 볼트(423b);를 포함하는 길이 가변 조인트.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423)은 상기 제 1결합공(421) 및 제 2결합공(422)을 관통하는 볼트(423b);
    상기 볼트(423b)와 체결되는 너트(423c);를 포함하는 길이 가변 조인트.
  12.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423)은 상기 제 1결합공(421) 및 제 2결합공(422)을 억지 끼움하는 결합핀(423d);을 포함하는 길이 가변 조인트.
  13.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420)는 상기 결합부(410)의 후면으로 연장 형성되는 고정체(424);
    상기 결합부(410)의 전면에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 2유동부(200) 외면과 변형되어 접촉되는 변형체(425);를 포함하는 길이 가변 조인트.
  14.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420)는 상기 변형체(425)의 단부는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길이 가변 조인트.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밀부(400)는 연성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가변 조인트.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연성재질은 천연고무 또는 합성고무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길이 가변 조인트.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합성고무는 실리콘러버, 우레탄러버, 아크릴러버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길이 가변 조인트.
  18. 길이 가변 조인트에 있어서,
    내부가 관통되며, 유체가 유동하며, 일측이 개방된 제 1유동부(100);
    내부가 관통되며, 유체가 유동하며, 타측이 개방된 제 2유동부(200);
    상기 제 2유동부(200) 타측이 제 1유동부(100) 내부에 부분 삽입된 삽입영역(300);
    상기 제 2유동부(200) 또는 제 1융동부에 형성되는 제한부(500);를 포함하는 길이 가변 조인트.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제한부(500)는 제 2유동부(200)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된 제 1제한돌기(510);를 포함하는 길이 가변 조인트.
  20.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제한부(500)는 제 1유동부(100)의 내주면에 돌출 형성된 제 2제한돌기(520);를 포함하는 길이 가변 조인트.
  21. 가변조인트로 이루어진 공기이송장치(20)에 있어서,
    내부가 관통되며 유체가 유동하며 일측이 개방된 제 1유동부(100), 내부가 관통되며 유체가 유동하며 타측이 개방된 제 2유동부(200) 및 상기 제 2유동부(200) 타측이 제 1유동부(100) 내부에 부분 삽입된 삽입영역(300)으로 이루어진 길이가변조인트(10);
    상기 제 1유동부(100) 및/또는 제 2유동부(200)로부터 공기의 유동 방향이 분지되는 제 3유동부(600);를 포함하는 길이 가변 조인트로 이루어진 공기이송장치.
  22.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제 3유동부(600)는 복수로 분지되는 것;을 포함하는 길이 가변 조인트로 이루어진 공기이송장치.
  23.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제 3유동부(600) 중간에 형성되는 길이가변부(610);를 포함하는 길이 가변 조인트로 이루어진 공기이송장치.
  24.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제 3유동부(600) 중간 또는 단부에 형성되는 공기배출부(630) 또는 공기흡입부(620);를 포함하는 길이 가변 조인트로 이루어진 공기이송장치.
  25. 가변조인트로 이루어진 공기이송장치(20)에 있어서,
    내부가 관통되며 유체가 유동하며 일측이 개방된 제 1유동부(100), 내부가 관통되며 유체가 유동하며 타측이 개방된 제 2유동부(200) 및 상기 제 2유동부(200) 타측이 제 1유동부(100) 내부에 부분 삽입된 삽입영역(300)으로 이루어진 길이가변조인트(10);
    상기 제 1유동부(100) 및/또는 제 2유동부(200)와 연통되는 전열교환기(700);를 포함하는 길이 가변 조인트로 이루어진 공기이송장치.
  26. 청구항 25에 있어서,
    상기 전열교환기(700)는 함체로 이루어지며, 제 1개구, 제 2개구, 제 3개구, 제4개구가 각각 형성된 케이스(710);
    상기 제 1개구 및 제 3개구를 연통하는 제 1연통관(720);
    상기 제 2개구 및 제4개구를 연통하는 제 2연통관(730);
    상기 제 1연통관(720) 및 제 2연통관(730)이 교차하며, 교차부에 형성된 열교환기(740);
    상기 제 1연통관(720) 및 제 2연통관(730)에 각각 형성된 제 1송풍기(750) 및 제 2송풍기(760);를 포함하는 길이 가변 조인트로 이루어진 공기이송장치.
  27. 가변조인트로 이루어진 공기이송장치(20)에 있어서,
    내부가 관통되며 유체가 유동하며 일측이 개방된 제 1유동부(100), 내부가 관통되며 유체가 유동하며 타측이 개방된 제 2유동부(200) 및 상기 제 2유동부(200) 타측이 제 1유동부(100) 내부에 부분 삽입된 삽입영역(300)으로 이루어진 길이가변조인트(10);
    상기 제 1유동부(100) 및/또는 제 2유동부(200)와 고정되며 천장과 결합되는 고정부(800);를 포함하는 길이 가변 조인트로 이루어진 공기이송장치.
  28. 청구항 27에 있어서,
    상기 제 1유동부(100) 및/또는 제 2유동부(200)에 형성된 제 1고정체(810);
    천장슬래브에 형성된 제 2고정체(820);
    상기 제 1결합체 및 제 2결합체를 결합하는 제 3고정체(830);를 포함하는 길이 가변 조인트로 이루어진 공기이송장치.
  29. 청구항 28에 있어서,
    상기 제 3고정체(830)에 형성된 길이가변고정체(831);를 포함하는 길이 가변 조인트로 이루어진 공기이송장치.
  30. 청구항 28에 있어서,
    상기 제 3고정체(830)에 형성된 제진수단(832);를 포함하는 길이 가변 조인트로 이루어진 공기이송장치.
  31. 가변조인트로 이루어진 공기이송장치(20)에 있어서,
    내부가 관통되며 유체가 유동하며 일측이 개방된 제 1유동부(100), 내부가 관통되며 유체가 유동하며 타측이 개방된 제 2유동부(200) 및 상기 제 2유동부(200) 타측이 제 1유동부(100) 내부에 부분 삽입된 삽입영역(300)으로 이루어진 길이가변조인트(10);
    상기 제 1유동부(100) 및/또는 제 2유동부(200)에 센서가 장착된 센서부(900);를 포함하는 길이 가변 조인트로 이루어진 공기이송장치.
  32. 청구항 31에 있어서,
    상기 제 1유동부(100) 및/또는 제 2유동부(200) 내부에 내장된 제 1온습도센서(910);를 포함하는 길이 가변 조인트로 이루어진 공기이송장치.
  33. 청구항 31에 있어서,
    상기 제 1유동부(100) 및/또는 제 2유동부(200) 내부에 내장된 유속센서(920);를 포함하는 길이 가변 조인트로 이루어진 공기이송장치.
  34. 청구항 31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900)의 센서 신호를 계측하는 계측부(930);를 포함하는 길이 가변 조인트로 이루어진 공기이송장치.
KR1020220150622A 2022-11-11 길이 가변 조인트 및 그로 이루어진 공기이송장치 KR20240069890A (ko)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69890A true KR20240069890A (ko) 2024-05-21

Family

I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08002B1 (en) Connection adapter for conduits and ventilation units
US20080045137A1 (en) Spray coated insulated plenum box and method
US5080403A (en) Apparatus for connecting a branch duct to another duct
EP1645809A4 (en) INTEGRAL AIR CONDITIONING
EP2228607B1 (en) Controlled mechanical ventilation box with changeable direction inlet ports and outlet ports
KR101832667B1 (ko) 환기장치용 슬리브 어셈블리 및 그 설치방법
CN115046248A (zh) 空调器
KR20240069890A (ko) 길이 가변 조인트 및 그로 이루어진 공기이송장치
KR20070029781A (ko) 배관연결구 및 이 배관연결구를 이용한 벽체매립형 수전함연결시스템
KR20150082144A (ko) 무동력 댐퍼 엘보우를 이용한 공동주택 및 다중시설 건물의 세대별 환기시스템
KR200428326Y1 (ko) 다층 공동주택의 주방 환기설비용 이중관덕트의 연결구조
KR101036678B1 (ko) 경사각 및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공기조화용 이음관
JP3316112B2 (ja) 逆流防止ダンパ
KR200190700Y1 (ko) 건축 내장용 다기능성 몰딩
KR100384762B1 (ko) 매립관을 포함하는 분리형 에어컨의 배관구조
KR200322179Y1 (ko) 와이자형 플렉시블 이음관
KR20050064963A (ko) 덕트형 공기조화기의 배관 지지구조
KR102395427B1 (ko) 환기 시스템
KR200275715Y1 (ko) 매립관을 포함하는 분리형 에어컨의 배관구조
CZ20002425A3 (en) Ventilation unit
KR20090005705U (ko) 다양한 직경의 다단 연결구를 갖는 덕트 결합구
US20180252430A1 (en) Duct boot seal
CA2484734C (en) Connection adapter for conduits and ventilation units
JP2007225269A (ja) エアコン隠蔽配管用のドレン配管取付具
KR200448763Y1 (ko) 건물의 공기 조화 덕트용 소음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