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0700Y1 - 건축 내장용 다기능성 몰딩 - Google Patents
건축 내장용 다기능성 몰딩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190700Y1 KR200190700Y1 KR2019990029676U KR19990029676U KR200190700Y1 KR 200190700 Y1 KR200190700 Y1 KR 200190700Y1 KR 2019990029676 U KR2019990029676 U KR 2019990029676U KR 19990029676 U KR19990029676 U KR 19990029676U KR 200190700 Y1 KR200190700 Y1 KR 200190700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lding
- building
- multifunctional
- air
- assembled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2—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 E04F19/04—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for use between floor or ceiling and wall, e.g. skirting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2—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 E04F19/04—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for use between floor or ceiling and wall, e.g. skirtings
- E04F2019/0404—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for use between floor or ceiling and wall, e.g. skirt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E04F2019/0409—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for use between floor or ceiling and wall, e.g. skirt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ood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2—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 E04F19/04—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for use between floor or ceiling and wall, e.g. skirtings
- E04F2019/0404—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for use between floor or ceiling and wall, e.g. skirt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E04F2019/0413—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for use between floor or ceiling and wall, e.g. skirt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metal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2—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 E04F19/04—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for use between floor or ceiling and wall, e.g. skirtings
- E04F2019/0404—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for use between floor or ceiling and wall, e.g. skirt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E04F2019/0418—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for use between floor or ceiling and wall, e.g. skirt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stone or stone like material,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2—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 E04F19/04—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for use between floor or ceiling and wall, e.g. skirtings
- E04F2019/0404—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for use between floor or ceiling and wall, e.g. skirt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E04F2019/0422—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for use between floor or ceiling and wall, e.g. skirt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organic plastics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s or filling material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2—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 E04F19/04—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for use between floor or ceiling and wall, e.g. skirtings
- E04F2019/044—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for use between floor or ceiling and wall, e.g. skirtings with condui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2—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 E04F19/04—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for use between floor or ceiling and wall, e.g. skirtings
- E04F2019/0454—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for use between floor or ceiling and wall, e.g. skirtings with decorative eff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 실내면의 모서리부나 벽면에 부설하는 다기능성 몰딩으로서, 전기/통신 전달 수단, 공기/가스 전달 수단, 물 전달 수단 등 건물의 운용에 필수적이거나 부수적인 일련의 전달 수단을 위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유통관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전기 배선 등을 건물의 천장 및 벽면내에 하지 않아도 되므로 건축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가용 실내공간이 넓어지며, 몰딩이 연결되는 곳이라면 어디에서라도 용이하게 배선 등을 이용할 수 있어서 전기의 배선 등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여 장식적·기능적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또한, 케이블의 일부에 문제가 생기더라도 건물을 해체하지 않아도 되므로 점검 및 수리가 용이하며, 냉·온기의 전달을 위한 유통관도 함께 상기 몰딩에 일체화시킬 경우에는 공간 활용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고, 각 실내 공간에서의 식수의 사용과 같은 새로운 개념의 건축문화에도 건물의 변경없이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으므로 응용가능성이 극히 높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건물 실내의 모서리부 등에 부설하는 몰딩(moulding)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전기선, 통신선, 기타 케이블 등을 통과시킬 수 있는 공간이나 및/또는 물, 공기 등을 유통시킬 수 있는 별도의 공간을 내부에 가진 다기능성 몰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내장에서 몰딩이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건물 내부 공간의 벽면과 천장이 만나는 모서리부 또는 벽면과 바닥면이 만나는 모서리부 등에 부설하여 주로 미감을 부여하는 장식적인 효과와 벽면을 보호하는 기능적인 효과를 동시에 만족시키는 건축 내장재를 말한다.
이러한 몰딩의 재료로는 주로 금속, 목재, PVC, 세라믹, 스티로폼 등이 사용되며, 건물의 시공 단계에서 부설하거나 또는 시공이 끝난 후에 별도로 부설한다.
한편, 건물에는 조명과 기타 전기기구 등을 작동시키거나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기 위하여 기본적으로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전기선, 통신을 위한 통신선 등 각종의 케이블과 냉·온기 공급 및 환기를 위한 통풍로 등의 설비가 필요한 바, 이러한 설비는 미감과 편리성을 목적으로 주로 천장 위의 공간이나 벽면 내부 공간 등 건물의 내측부에 부설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배선 및 통풍로 등은 근본적으로 시설물의 내측에 시공하게 되므로 시공 및/또는 보수관리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 즉, 배선과 통풍로의 설치를 위해서는 천장의 상부나 벽면의 내측에 별도의 공간을 마련하여야 하고, 보수·
관리를 위해서는 천장 또는 벽면의 일부 또는 전부 해체하여야 하므로 시간 및 비용적 측면에서 많은 손실을 감수하여야만 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하나의 방편으로서, 빌딩 등 대형 건물에서는 천장벽에 필요에 따라 분해할 수 있는 조립 구조체를 별도로 부설하고 여기에 전기선, 통신선 등 케이블 선과 냉·온기 통풍로 등을 설치하고 있다. 그러나, 별도의 구조를 설치하는 것이므로, 이를 위한 재료비 및 시공비가 필요하게 되고 가용 실내 공간이 줄어드는 문제점이 발생하며, 쥐, 벌레 등의 서식 공간으로 사용되어 케이블 등이 훼손되고 전염병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쾌적한 실내 공간을 제공하지 못한다.
또한, 인간의 생활이 갈수록 윤택해짐에 따라 컴퓨터 등 필요로 하는 부대시설의 수는 날로 늘어나고 있고, 이러한 환경 변화에 부응하기 위해서는 처음부터 완벽한 시공을 준비하여야 하지만, 이는 사실상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기존의 건물에서 이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더많은 문제점을 해결해야만 한다.
일 예로, 새로운 전기기구나 장치의 구동을 위해 더 많은 전기선, 통신선 등 케이블을 부설할 필요가 있게 되고, 이럴 경우에는 별도의 배선이 기존의 건물 배선에 첨가되어야 하는 바, 결국 시공 당시 의도했던 건물 내부의 미적, 기능적 측면이 훼손될 수밖에 없다.
또한, 최근에는 컴퓨터 등 많은 배선을 요구하는 전기기구를 위하여, 벽면의 소켓으로부터 연장된 익스텐더(extender)를 밀폐하기 위한 조립식 도선 커버장치를 사용하기도 하지만, 이러한 장치 역시 벽면이나 바닥면에 별도의 도선 커버장치를붙여야 하므로 건물 내부의 외관을 미적, 기능적 상태로 유지하는데 한계가 있다. 결국, 이러한 문제점은 벽면의 소켓으로부터 전기를 필요로 하는 전기기구까지의 거리를 해결하기 위한 익스텐더의 필요성과 이로 인한 무질서한 배선 문제에 기인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더나아가, 쾌적한 실내 환경을 위하여 냉기를 공급하는 에어콘 또는 온기를 공급하는 온풍기를 제공함에 있어서, 현재의 건물 내부 시설은 한계를 들어내고 있다. 예를 들어, 주택과 같은 소형 건물의 경우에는 실내의 일정한 위치(대부분의 경우는 열교환 환풍 시설을 위하여 외부로 직접 통하는 창문의 위치)에 에어콘이나 온풍기를 설치하고 공기의 대류를 통해 실내의 온도를 조절하고 있으며, 중앙 냉·난방 시설을 갖춘 빌딩 등 대형 건물의 경우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천장벽과는 별도의 부속시설을 통해 냉·온기를 공급하고 있으므로, 건물 시공상의 경제적인 면뿐만 아니라 열효율 면에서 우수하지 못한 실정이다.
더욱이, 생활이 윤택해짐에 따라 더 나은 환경에 대한 인간의 요구는 날로 늘어나고 있고, 그러한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건물 구조가 필요해지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일거에 해결하고자, 전기선, 통신선, 송수관 등 건물에 필수적인 일련의 전달 수단을 위한 공간을 건물의 기본 구조인 몰딩내에서 해결하여, 사용 공간의 범위를 넓히고 미적·기능적 효과를 더욱 높이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건물의 사용 중에 필요하게 되는 별도의 전달 수단 시설을, 기존의 건물의 해체없이 사용할 수 있게 하고, 기존의 전달 수단에 문제가 생겼을 때 이를 용이하게 점검·수리할 수 있는 몰딩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한 걸음 더나아가, 건물내 각각의 공간에 식수를 제공하는 것과 같은 신개념의 건물에서 요구될 수 있는 새로운 기능에 능동적으로 발맞춰나갈 수 있는 몰딩을 개발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1은 건물의 내장에 사용되는 몰딩의 예를 설명한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로서 상단 몰딩과 하단 몰딩의 구조를 달리하고 상단 몰딩의 경우 길이상으로 절단하여 몰딩에 의한 배선 등의 방법을 예시한 개략도이고,
도 3은 2개의 유통관을 가진 몰딩으로서 하나의 유통관에 삽입되어 있는 케이블이 측면 개구를 통해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로서 세로축과 가로축 상으로 각각 조립된 몰딩이 벽면과 바닥면의 모서리부에 부설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로서 ┗┛형 몰딩 단위와 ━ 형 몰딩 단위가 조립되어 형성된 몰딩이 벽면과 바닥면의 모서리부에 부설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로서 ┏ 형 몰딩 단위와 ━ 형 몰딩 단위가 조립되어 형성된 몰딩이 천장면과 벽면의 모서리부에 부설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로서 ┗┛형 몰딩 단위와 ━ 형 몰딩 단위가조립되어 형성된 몰딩이 벽면에 부설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로서 조명장치와 전화기 및 소켓 등을 갖추고 있는 중간몰딩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
10: 상단 몰딩 11: 몰딩 단위
12: ½형 몰딩 단위 13: ┗┛형 몰딩 단위
14: ━ 형 몰딩 단위 15: ┏ 형 몰딩 단위
20: 중간 몰딩 30: 하단 몰딩
31: 소켓 32: 케이블 단자
40: 전기선 41: 제 1 유통관
42: 통신선 43: 제 2 유통관
44: 제 3 유통관 45: 제 1-1 유통관
46: 제 2-2 유통관 47: 격리판
50: 개구 60: 상단 꼭지
60a: 테이퍼 돌기 61: 돌기
62: 오목돌기 63: 돌출부
63a: 양방향 테이퍼 돌기 70: 나사못
71: 체결구 80: 조명장치
81: 다단계 암 90: 전화기
본 발명은 건물 실내면의 모서리부 및/또는 벽면에 부설하는 몰딩으로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유통관이 내면에 관통되어 있고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개구가 측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통관은 전기/통신 전달 수단, 공기/가스 전달 수단, 물 전달 수단 등 건물의 운용에 필수적이거나 부수적인 일련의 전달 수단의 유통로를 제공하며, 상기 측면 개구는 상기 전달 수단이 몰딩으로부터 도출되는 창구의 역할을 한다.
상기 전기/통신 전달 수단의 대표적인 예로는 전기선, 통신선 등 케이블이 있고, 공기/가스 전달 수단의 대표적인 예로는 에어컨(air conditioner)이 공급하는 냉기와 온풍기(heater)가 공급하는 온기와 같은 온도가 조절된 공기를 제공하는 단열관이나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환기관 등이 있으며, 물 전달 수단의 대표적인 예로는 식수를 전달하거나 기타 용도의 물을 전달하는 파이프 등이 있다.
상기 전달 수단들은 몰딩내의 하나의 유통관을 통해 전달될 수도 있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각각의 전달 수단이 전용 유통관을 통해 전달될 수 있다.
측면 개구에는 전기 단자(socket), 냉·온기 배출구, 공기 흡입구, 식수꼭지 등과 같은 전달 터미널이 직접 체결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다른 몰딩의 유통관의 단부와 연결되는 또하나의 유통관의 단부로 작용할 수도 있다.
종래 개념의 건물에서는 상기 전기/통신 전달 수단, 공기 전달 수단, 물 전달 수단을 천장의 상단 또는 벽면의 내측 공간을 통해 공급하고 그 단부를 벽면에 설치한 단자(socket)나 냉·온기 배출구, 공기 흡입구 등을 실내에 노출시키는 구조를 취하고 있고, 가스 전달관은 금속 또는 보강 플라스틱 파이프나 강화 고무호스 등을 벽면상에 노출시켜 사용하고 있다.
반면에, 본 발명의 다기능성 몰딩을 사용하면, 이러한 전달 수단을 건물의 실내면에서 해결할 수 있으므로, 시공상의 경제성, 실내 공간의 활용성 등 여러 면에서 잇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다기능성 몰딩은, 몰딩이 부설되는 위치에 따라, 건물의 바닥면과 벽면이 접하는 모서리부에 부설되는 몰딩('하단 몰딩')과, 천장면과 벽면이 접하는 모서리부에 부설되는 몰딩('상단 몰딩') 및 벽면과 벽면이 접하는 모서리부나 벽면상에 부설되는 몰딩('중간 물딩')으로 구별할 수 있다.
하단 몰딩은 중간 몰딩 및 상단 몰딩에 비해 견고성을 요할 뿐만 아니라, 크기가 큰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조명 등을 제외하고는 대다수의 가전제품 등은 전기선이나 통신선 등이 하부로부터 공급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일 예로, 하단 몰딩에는 전기선이나 통신선과 같은 케이블을 삽입하고 이를 외부의 전자제품과 연결할 수 있는 단자 등을 측면의 개구에 체결하고, 상단몰딩에는 조명용 전기선과 냉·온기를 실내에 공급하는 단열관 및 실내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환기관을 삽입하고 측면의 개구를 다소 크게 한 구조로 만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다기능성 몰딩의 측면 형상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 일 예로, 건물 실내면의 직각 모서리면에 합치시킬 수 있도록 몰딩의 상호 접하는 두 개의 측면은 직각으로 하고 나머지 두 개의 측면은 직선, 직각, 원형, 타원형 또는 변화된 곡선형으로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몰딩의 단면 구조는 3각형, 4각형, 5각형 등 다각형의 형태나 원형, 타원형, 기타 일부 면이 각진 곡선형일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측면에 작은 구멍을 다수 천공하여 모양의 변화를 줄 수도 있다.
또는, 벽면의 모서리부와 접하는 부분이 개방된 형태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원통형 기둥 또는 내부가 비어있는 다각형 기둥의 일부를 절단하고 절단된 개방 부분이 모서리부에 접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기능성 몰딩은 길이방향(가로축 방향)으로 전체가 하나의 형태로 구성되거나 2 이상의 몰딩 단위가 조립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전체가 하나의 형태를 구성하는 경우에는 적당한 길이로 절단하여 건물 내부의 모서리면 및/또는 벽면에 부설하거나 또는 건물의 시공시에 해당부분에 부설할 수 있다. 2 이상의 몰딩 단위가 조립된 형태로 구성된 경우에는 상호 조립·결합함으로써 필요한 길이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기능성을 고려할 때, 2 이상의 유통관을 가진 일정 길이의 몰딩 단위로서 인접 몰딩 단위와 조립될 수 있는 암수 구조를 양 단부에 가지고 있으며, 일부 몰딩 단위의 측면에는 개구가 부설되어 있어서 필요한 위치에서 전기선, 통신선, 파이프 등을 연결해 사용할 수 있는 조립형 몰딩이 특히 바람직하다.
몰딩은 상기와 같이 길이상으로 뿐만 아니라 단면상(세로축 방향)으로 2 이상이 조립된 형태일 수 있다. 즉, 2 이상의 조립형 몰딩 단위는 각각 암수 구조로 되어 있어서 분리 조립이 가능하게 하거나 볼트, 너트 등 종래의 체결 수단이 사용될 수 있는 구조일 수 있다.
몰딩을 통해 냉·온기가 전달될 때에는 몰딩 전체 또는 일부 유통관의 외면을 단열시키는 구조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몰딩을 건물에 체결하는 방법은 크게 2 가지로 구별할 수 있다.
첫째, 건물 실내면의 시공시에 몰딩을 함께 체결하는 방법으로서, 바닥면, 벽면, 천장 등을 시공하면서 해당부위에 몰딩을 함께 체결하는 방법이다. 몰딩이 해당 모서리부 및/또는 벽면에 붙혀지는 형태로 체결되므로써 몰딩 전체가 실내에 노출되는 형태가 될 수도 있지만, 몰딩의 일부가 바닥면, 벽면 및/또는 천장에 도입된 형태로 체결됨으로써 몰딩의 일부만이 실내에 노출되는 형태가 될 수도 있다.
둘째, 기존 건물 실내면의 모서리부 및/또는 벽면에 부가하여 체결하는 방법으로서, 몰딩의 일부분에 접착제를 가하여 이를 해당 모서리부에 체결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체결 방법은 접착제를 사용하는 방법이외에 볼트, 너트 등 공지된 체결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기능성 몰딩은 건물의 실내면과 접하는 몰딩의 일부에돌출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체결부가 존재할 수 있다. 상기 체결부는 건물의 시공시에 몰딩을 실내면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실내면을 향하는 방향의 직경이 몰딩 본체로 향하는 ┏향의 직경보다 큰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기능성 몰딩의 가장 큰 특징 중의 하나는, 기존 건물의 구조를 변경하거나 수리하지 않고도 환경의 변화에 효율적으로 적용시킬 수 있다는 점이다. 즉, 새로운 도선을 배선하거나 새로운 용도의 목적으로 건물 내부공간 상호간을 연결하는 통로를 사용하여야 할 때 특히 유용하다. 다시 말하면, 이미 부설한 본 발명의 몰딩만 있으면 별도의 배선 장치를 통과시키기 위한 공간의 확보를 위하여 기존의 건물을 해체하거나 수리할 필요가 없다. 몰딩에 여분의 공간이 확보되어 있다면, 여기에 추가된 케이블 등을 삽입하여 원하는 위치에서 뽑아쓰는 방법에 의해 새로운 배선이 가능한 것이다.
더욱이, 기존 건물은 소켓 등이 건물의 시공시에 특정 위치에 정해지므로 배선의 연장을 위해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익스텐더를 사용하여야 하므로 실내공간이 다소 무질서해지기 쉽고 익스텐더의 존재가 인간의 활동에 제약을 가할 수 있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몰딩의 임의의 위치에 소켓 등을 부설하므로써 노출되는 배선의 길이를 줄일 수 있다. 특히, 사용하는 전기기구 등이 몰딩이 인접해 있는 경우에는 실내에 노출되는 배선의 길이를 극단적으로 줄일 수 있다.
또한, 사용중인 전기선, 통신선, 송수관의 일부에 손상이 발생할 경우에, 이를 치유하기 위하여 많은 노력을 가하지 않고도 편리하게 확인 및 수리 작업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기능성 몰딩은 경우에 따라서는 조명이 가능한 형태로 변화시킬 수 있다. 일 예로, 몰딩에 조명기구를 설치하거나 몰딩 자체를 조명기구화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종래에는, 백열등, 형광등 등의 조명장치를 통상 천장에서 내려오는 전기선과 연결하므로 그 위치가 각 실내공간의 천장 부근으로 한정되어 있다. 따라서, 조명의 사각지대가 발생하기 쉽고 학습활동 등을 해야하는 조건에 적합한 조명환경을 제공하는데 일정한 한계를 갖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스탠드형 조명장치가 흔히 사용되기는 하지만 그 또한 일정한 설치공간을 필요로 하거나 전원에 연결시키기 위해 별도의 전기 배선을 필요로 하는 등 불편을 야기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
반면에, 본 발명은 하나의 예시적 방법으로서, 몰딩을 투명 또는 반투명 소재로 하고 몰딩 내부 전체 또는 내면의 특정 부위에서 조명기구를 설치하고 조명기구를 위한 배선은 몰딩내의 유통관에 설치하여 해결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몰딩을 불투명 소재로 하고 몰딩의 외면에 조명기구를 직접 설치하고 조명기구를 위한 배선은 몰딩내의 유통관에서 설치하여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기능성 몰딩은 금속, 목재, 플라스틱, 세라믹, 스티로폼 등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재료뿐만 아니라, 기타 구조재로 사용될 수 있는 어떠한 것이라도 무방하다. 이러한 몰딩의 외관은 미감을 주기 위해 도색을 하거나 형상 및 모양 등을 부가하는 등 다양한 변화가 가능하다. 몰딩의 강도를 증가시켜 내구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기존 재료에 탄소섬유, 유리섬유, 기타 보강제 등으로 강도및 탄성을 강화시킨 재료의 사용도 가능하다. 경우에 따라서는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맥반석, 황토 등의 재료 또는 이들을 함유하는 재료로 몰딩을 구성할 수도 있다. 맥반석 등에 열을 가할 경우에 인체에 유익한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므로, 몰딩을 이들 재료로 하고 몰딩의 내측에 발열부를 설치하는 방법 등이 가능하다. 발열부가 설치된 몰딩의 구성 방법으로는, 몰딩의 제조시에 발열코일을 내장하거나 유통관에 발열 코일을 삽입하는 방법을 예로 들 수 있다.
몰딩의 소재는 몰딩 단위별로 서로 다르게 할 수도 있다. 일 예로, 실내면에 직접 접하는 몰딩 단위는 실내면으로부터 분리할 필요가 없으므로 목재나 금속판과 같이 탄력성이 적고 경도가 큰 소재로 하고, 실내면과 직접 접하지 않는 몰딩 단위는 필요에 따라 몰딩 단위로부터 분리한 후 케이블 등을 삽입하고 다시 조립할 수 있도록 탄력성이 있는 플라스틱 또는 고무과 같이 유연한 소재로 할 수 있다.
몰딩을 플라스틱이나 고무 소재로 하는 경우의 일 예로서, 전기선 또는 전화선 등의 케이블을 구성하는 구리 등을 몰딩과 함께 성형하고, 몰딩에 부여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유통관은 냉·온기 공급관 등과 같은 별도의 용도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기능성 몰딩에는 조명 장치, 통신 송수신 장치, 전력 소켓 및 케이블 단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전달 터이널이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조명 장치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몰딩 자체에 조명이 부설될 수도 있고 조명 장치의 부속기구가 부설될 수도 있다. 상기 통신 송수신 장치의 대표적인 것으로는 전화기를 들 수 있는 바, 몰딩 자체에 전화기가 직접 체결되므로미적 감각과 실용성을 극대화 할 수 있다. 상기 전력 소켓 및 케이블 단자는 몰딩의 상단면 이외에 측면에 체결하는 방법을 체택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기능성 몰딩은 앞서 설명한 벽면과 천장면이 접하는 모서리, 벽면과 바닥면이 접하는 모서리, 벽면과 벽면이 접하는 모서리 및 벽면 자체에 부설하는 것에 국한되지 않는다. 즉, 실내공간에 부설되는 간이벽과 같은 부속 시설물이나 간이 임시 시설물 등에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기성 몰딩의 또다른 특징은 실내 공간의 새로운 기능성 창조라는 점에서도 주목할 만하다. 예를 들어, 기존의 건물에서는 식수의 제공이 일정한 공간에 한정되어 있었으나 본 발명의 다기능성 몰딩을 사용함으로써 어느 공간에서나 용이하게 필요한 시설을 확장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이하, 일부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내용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하지만, 하기 실시예가 본 발명의 범주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하여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화를 주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도 2는 건물의 기본 골격을 완성한 후, 건물 실내의 천장과 벽면이 접하는 모서리에는 상단 몰딩(10)을 부설하고 바닥면과 벽면이 접하는 모서리에는 하단 몰딩(30)을 부설한 본 발명의 일 예를 도시하고 있다. 상단 몰딩(10)은 다수개의 몰딩 단위(11)를 상호 결합시켜 연결하였고, 각각의 몰딩 단위(11)에는 전기선(40)이 통과하는 제 1 유통관(41), 통신선(42)이 통과하는 제 2 유통관(43) 및 냉·온기가 통과하는 제 3 유통관(44)이 관통되어 있다. 또한, 몰딩 단위(11)의 하부에는 냉·온기가 흘러나오는 개구(50)가 나있다. 상기 개구(50)는 각각의 몰딩 단위(11)에 하나 또는 둘 이상 존재할 수도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일부 몰딩 단위에만 존재할 수도 있다. 개구(50)는 제 1 및 2 유통관(41 및 43)에 관통되어 있어서 제 1 및 2 유통관의 케이블을 개구(50)를 통해 임의의 위치에서 하부로 연결할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하단 몰딩(30)에서와 같이 몰딩의 측면에 개구를 만들어 케이블이 소켓(31)과 연결되게 할 수도 있다.
하단 몰딩(30)은 전체가 일체화된 하나의 몰딩 단위로 되어 있고, 몰딩의 측면에는 임의의 위치에 전기기구의 연결을 위한 소켓(31)이 체결되어 있다. 상기 하단 몰딩(30)은 상단 몰딩(10)과 마찬가지로 다수개의 몰딩 단위(11)를 상호 결합시켜 연결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상단 몰딩(10)은 하단 몰딩(30)과 같이 전체가 일체화된 하나의 몰딩 단위일 수도 있다. 도 2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상단 몰딩(10)과 하단 몰딩(30)을 상호 연결하는 상하연결 몰딩이 벽면과 벽면 사이의 모서리에 부설될 수도 있다.
도 3은 유통관이 2개이고 개구(50)가 측면에 나있는 몰딩의 일부를 도시하고 있다. 제 1-1 유통관(45)에는 전기선(40)과 통신선(42) 등 전기 및 통신에 관련된 케이블이 함께 삽입되어 있고, 제 2-2 유통관(46)은 장래에 필요한 경우의 사용을 위하여 비어있다. 케이블은 측면에 나있는 개구(50)를 통해 외부로 나오고 여기에 소켓 등을 설치하여 전기기구의 코드가 직접 연결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8은 하단 몰딩, 상단 몰딩 및 중간 몰딩의 예시적인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도 4는 상호 대칭되는 직사각형의 ½형 몰딩 단위(12)를 제 1-1 유통관(45)과 제 2-2 유통관(46)이 중앙에 형성되도록 세로축 상으로 조립하고, 형성된 몰딩 단위(11)을 가로축 상으로 조립한 직사각형의 하단 몰딩(30)을 도시하고 있다.
도 5는 ┗┛형 몰딩 단위(13)의 상부에 ━ 형 몰딩 단위(14)를 조립한 하나의 유통관(41)만을 가진 직사각형의 하단 몰딩(30)을 도시하고 있다. ┗┛형 몰딩 단위(13)의 상단 꼭지에는 ━ 형 몰딩 단위(14)로 향하는 방향으로 돌기(61)가 붙어 있어서 ━ 형 몰딩 단위(14)의 하단면에 붙어있는 있는 유연성을 갖는 오목 돌기(62)와 조립될 수 있고, 필요한 경우에는 ━ 형 몰딩 단위(14)에 상향 힘을 가하여 이를 ┗┛형 몰딩 단위(13)로부터 분해할 수 있다. 따라서, ┗┛형 몰딩 단위(13)는 견고한 나무, 플라스틱 등의 소재로 만들고, ━ 형 몰딩 단위(14)는 유연한 플라스틱, 고무 등의 소재로 만들게 되면, 필요에 따라 분리·조립이 용이하다. ┗┛형 몰딩 단위(13)의 측면에는 개구(도시하지 않음)에 소켓(31)이 직접 결합되어 있다.
도 6은 천장면과 벽면의 모서리부에 직접 접하는 ┏ 형 몰딩 단위(15)에 ━ 형 몰딩 단위(14)가 조립된 삼각형의 상단 몰딩(10)을 도시하고 있다. ┏ 형 몰딩 단위(15)의 양 단부는 서로 바라보는 방향으로 탄력적으로 구부러져 있어서, 양 단부면이 오목한 형태로 되어있는 ━ 형 몰딩 단위(14)와 조립·분해될 수 있도록 하였다. ┏ 형 몰딩 단위(15)는 나사못(70)에 의해 실내면과 체결되어 있다. 또한, ━ 형 몰딩 단위(14)에는 격리판(47)이 붙어있어서 ┏ 형 몰딩 단위(15)와 ━ 형 몰딩 단위(14)에 의해 만들어지는 공간을 양분하므로써 제 1-1 유통관(45)과 제 2-2 유통관(46)을 제공하고 있다. ┏ 형 몰딩 단위(15)는 탄력적인 금속판 등으로 되어 있어서 안쪽으로 구부러진 양단부가 ━ 형 몰딩 단위(14)와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고 필요한 경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 형 몰딩 단위(14)은 나무, 플라스틱 등 탄력성이 없는 소재라도 무방하다.
도 7은 벽면에 부설된 중간 몰딩(20)을 나타내고 있는 바, ┗┛형 몰딩 단위(13)의 하단면에는 2개의 체결구(71)가 붙어있고 2개의 상단 꼭지(60)에는 테이퍼된 돌기(60a)가 붙어있어서, 그것의 상단면에서 ━ 형 몰딩 단위(14)가 조립되는 사각형의 몰딩을 개시하고 있다. ━ 형 몰딩 단위(14)는 ┗┛형 몰딩 단위(13)를 향하는 방향으로 2개의 돌출부(63)가 나있고, 상기 돌출부(63)에는 양 방향으로 페이퍼된 돌기(64)가 ┗┛형 몰딩 단위(13)의 상단 꼭지(60)의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어서 ━ 형 몰딩 단위(14)가 ┗┛형 몰딩 단위(13)와 조립 및 분해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또한, ━ 형 몰딩 단위(14)에는 ┗┛형 몰딩 단위(13)를 향하는 방향으로 격리판(47)이 붙어 있어서 ┗┛형 몰딩 단위(13)와 이루는 공간을 양분하여 제 1-1 유통관(45)과 제 2-2 유통관(46)을 제공하고 있다. 한편, ━ 형 몰딩 단위(14)의 반대 방향에는 각각의 개구(도시하지 않음)에 소켓(31)와 케이블 단자(32)가 결합되어 있다. ┗┛형 몰딩 단위(13)는 건물 실내면의 시공시 체결구(71)가 실내면에 삽입되도록 하여 건물 실내면에 고정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체결구(71)는 실내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직경을 크게 하여 몰딩이 실내면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한다.
도 8은 몰딩의 상단면에 조명장치(80)을 연결하는 다단계 암(81)과 전화기(90)가 체결되어 있고, 몰딩의 측면에 소켓(31)과 케이블 단자(32)가 체결되어 있는 중간 몰딩(20)의 일부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 전기선(40)과 통신선(42)는 제 1-1 유통관(45)을 통해 공급되고, 전기선(40)은 소켓(31)에 연결되고 통신선(42)은 케이블 단자(32)에 연결되어 있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다기능성 몰딩이 조명 장치, 통신 송수신 장치(전화기 등) 및 소켓 등을 모두 장착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몰딩의 몇 가지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내용에 따라 다양한 변화를 예상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과 같이, 본 발명의 다기능성 몰딩은 내면에, 전기·통신수단과 같은 건물의 운용에 필요한 일련의 전달 수단을 위한 통로를 제공하는 유통관을 적어도 하나 이상 가지고 있으므로, 전기 배선 등을 건물의 천장 및 벽면 내측에 하지 않아도 되므로 건축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가용 실내공간이 넓어지며, 몰딩이 연결되는 곳이라면 어디에서라도 용이하게 배선 등을 이용할 수 있어서 전기의 배선 등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여 장식적·기능적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또한, 케이블의 일부에 문제가 생기더라고 건물을 해체하지 않아도 되므로 점검 및 수리가 용이하며, 냉·온기를 전달하기 위한 유통관을 함께 상기 몰딩에 일체화시킬 경우에는 공간 활용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고, 각 실내 공간에서의 식수의 사용과 같은 새로운 개념의 건축문화에도 건물의 변경없이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으므로 응용가능성이 극히 높다.
Claims (9)
- 건물의 모서리부 및/또는 벽면에 부설하는 몰딩으로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유통관이 내면에 관통되어 있고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개구가 측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성 몰딩.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통관을 통해 전기선, 통신선 등 전기 또는 통신 케이블 등의 전기/통신 전달 수단, 에어컨(air conditioner)이 공급하는 냉기 또는 온풍기(heater)가 공급하는 온기와 같은 온도가 조절된 공기를 제공하는 단열관이나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환기관 등의 공기/가스 전달 수단, 및/또는 식수를 전달하거나 기타 용도의 물을 전달하는 파이프 등의 물 전달 수단이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성 몰딩.
- 제 1항에 있어서, 길이방향(가로축 방향)으로 전체가 하나의 형태로 구성되거나 또는 2 이상의 몰딩 단위가 조립된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성 몰딩.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몰딩이 단면방향(세로축 방향)으로 전체가 하나의 형태로 구성되거나 또는 2 이상의 몰딩 단위가 조립된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성 몰딩.
- 제 1항에 있어서, 2 이상의 몰딩 단위가 단면 방향으로 조립되어 있고 동시에 2 이상의 몰딩 단위가 길이 방향으로 조립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성 몰딩.
- 제 1항에 있어서, 건물 실내면을 향하는 방향에 몰딩을 고정시킬 수 있는 체결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성 몰딩.
-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건물 실내면의 시공시에 몰딩을 장착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실내면을 향하는 방향의 직경이 몰딩 본체로 향하는.향의 직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성 몰딩.
- 제 3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몰딩 단위가 금속, 목재, 플라스틱, 세라믹, 스티로폼 및 기타 구조재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성 몰딩.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몰딩상에 조명 장치, 통신 송수신 장치, 전력 소켓 및 케이블 단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전달 터이널이 체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성 몰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90061644A KR20010058144A (ko) | 1999-12-24 | 1999-12-24 | 건축 내장용 다기능성 몰딩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90061644A Division KR20010058144A (ko) | 1999-12-24 | 1999-12-24 | 건축 내장용 다기능성 몰딩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190700Y1 true KR200190700Y1 (ko) | 2000-08-01 |
Family
ID=1962923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90029676U KR200190700Y1 (ko) | 1999-12-24 | 1999-12-24 | 건축 내장용 다기능성 몰딩 |
KR1019990061644A KR20010058144A (ko) | 1999-12-24 | 1999-12-24 | 건축 내장용 다기능성 몰딩 |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90061644A KR20010058144A (ko) | 1999-12-24 | 1999-12-24 | 건축 내장용 다기능성 몰딩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2) | KR200190700Y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0000789A (ko) * | 2000-10-19 | 2001-01-05 | 김주연 | 맥반석을 함유한 합성수지재 몰딩의 제조방법 |
KR100369464B1 (ko) * | 2000-06-29 | 2003-01-30 | 프라우드 주식회사 | 건물용 조립식 벽 구성체 |
KR100840291B1 (ko) * | 2007-12-26 | 2008-06-20 | 주식회사 한성종합기술단건축사사무소 | Eps 조형 몰딩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36741B1 (ko) * | 2008-03-04 | 2008-06-10 | (주)해우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 복합기능을 구비한 건축물 벽체. |
KR100867326B1 (ko) * | 2008-05-02 | 2008-11-06 | (주)신한종합건축사사무소 | 공조 기능을 구비한 건축용 천정 몰딩 조립체. |
-
1999
- 1999-12-24 KR KR2019990029676U patent/KR200190700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9-12-24 KR KR1019990061644A patent/KR20010058144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69464B1 (ko) * | 2000-06-29 | 2003-01-30 | 프라우드 주식회사 | 건물용 조립식 벽 구성체 |
KR20010000789A (ko) * | 2000-10-19 | 2001-01-05 | 김주연 | 맥반석을 함유한 합성수지재 몰딩의 제조방법 |
KR100840291B1 (ko) * | 2007-12-26 | 2008-06-20 | 주식회사 한성종합기술단건축사사무소 | Eps 조형 몰딩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10058144A (ko) | 2001-07-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210164227A1 (en) | Modular pre-wired dwelling panel design | |
US4353411A (en) | Architectural support and service assembly | |
US8347950B2 (en) | Modular room heat exchange system with light unit | |
US20050188632A1 (en) | Modular core wall construction system | |
US20080045137A1 (en) | Spray coated insulated plenum box and method | |
KR200190700Y1 (ko) | 건축 내장용 다기능성 몰딩 | |
US11795689B2 (en) | Multi-head prefabricated wall panel fire sprinkler | |
KR20150082144A (ko) | 무동력 댐퍼 엘보우를 이용한 공동주택 및 다중시설 건물의 세대별 환기시스템 | |
KR100728249B1 (ko) | 단열재가 내장된 수전함 | |
KR20010056765A (ko) | 다기능성 몰딩을 이용한 건물의 내장 방법 | |
US20220120082A1 (en) | Prefabricated above-door cavity conduit routing | |
US20220120081A1 (en) | Prefabricated multi-conduit building panel design | |
KR100870924B1 (ko) | 환기시스템용 분배장치 | |
MXPA05002531A (es) | Sistema de techo con tecnologia. | |
CN111765585A (zh) | 一种变位承插式通风踢脚线 | |
CN213599467U (zh) | 快装式供暖系统 | |
CN212057597U (zh) | 一种模块化的室内冷暖调节和通风集成板 | |
KR19990028005U (ko) | 건축용 조립식 패널 | |
CN219510880U (zh) | 发热式踢脚线和踢脚线系统 | |
CN219060349U (zh) | 一种装配式功能建筑模块 | |
KR200322179Y1 (ko) | 와이자형 플렉시블 이음관 | |
KR200241661Y1 (ko) | 전열교환기 시스템의 급기그릴 연결구 | |
WO2019218229A1 (zh) | 一种天花吊顶系统的施工方法 | |
CN2162615Y (zh) | 超轻型壁挂式空调管道装置 | |
KR102179879B1 (ko) | 전기배선이 불필요한 모듈러형 조명기구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107 |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