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0924B1 - 환기시스템용 분배장치 - Google Patents

환기시스템용 분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0924B1
KR100870924B1 KR1020070070820A KR20070070820A KR100870924B1 KR 100870924 B1 KR100870924 B1 KR 100870924B1 KR 1020070070820 A KR1020070070820 A KR 1020070070820A KR 20070070820 A KR20070070820 A KR 20070070820A KR 100870924 B1 KR100870924 B1 KR 1008709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ventilation
indoor
ventilation system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08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용길
Original Assignee
(주)무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무한 filed Critical (주)무한
Priority to KR10200700708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09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09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09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36Ducting arrangements with ducts including air distributors, e.g. air collecting boxes with at least three open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09Duct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connecting means, e.g. fl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63Insulation for air du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uct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기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실내로 외부 공기를 공급함과 동시에 실내 공기를 실외로 배출시키는 환기팬과, 다수의 실내 공간과 연결되는 다수의 환기관의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다수의 환기관으로 공급되는 공기의 압력이 일정하게 분포되도록 하는 공기분배수단이 구비된 환기시스템용 분배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기분배수단;은 양 측면이 관통되어 개방되고 일측면에 관연결구가 형성된 다수의 관연결조립체가 일체로 결합되고, 양 단부에 배치되는 관연결조립체의 개방면에 뚜껑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환기 성능이 건물 전체에 균일하게 유지되어 환기팬과 실내공간의 거리에 관계없이 쾌적한 실내 환경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Figure R1020070070820
환기, 덕트, 배관, 분배기

Description

환기시스템용 분배장치{a distributing apparatus for the ventilation system}
본 발명은 환기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송풍기와 각 방으로 연결되는 환기관을 접속하는 분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환기시스템은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실외로 배출시키고, 실외의 신선한 공기를 실내로 유입시켜 실내의 공기가 쾌적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건물의 고층화에 따라 개폐가능한 창문이 점차 줄어들고 있는 근래의 건축환경에 의해 환기시스템의 사용이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환기시스템은 일반적으로 도 4에서 보인 것과 같이 하나의 건축물(100)에 다수의 실내공간(101)(102)(103)(104)가 형성되는 경우 실내 공기를 실외로 배출시킴과 동시에 실외 공기를 실내로 유입시키는 대용량의 환기팬(200)을 구비하고, 환기팬(200)과 직접 연결되면서 실내의 천장에 설치되는 급,배기용 메인덕트(300)(400) 및 급,배기용 메인덕트(300)(400)와 연결되면서 각각의 실내 공간과 연결되는 분지덕트(301)(401)를 형성하고 있다.
이에 따라, 환기팬(200)의 작동에 의해 실내의 공기가 분지덕트(301) 및 배 기용 메인덕트(300)를 거쳐 실외로 배출되고, 실외의 공기가 환기팬(200)을 거쳐 급기용 메인덕트(400)및 분지관(401)을 통해 실내로 유입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상술한 환기팬(200)의 내측에는 열교환기를 구비하여 실내,외 공기 사이의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열교환기에서 실내,외의 온도차를 줄여 실내 온도의 급격한 변화가 방지되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의 환기시스템은 급기용 메인덕트의 길이가 건축물의 일측면의 길이와 대응되는 매우 긴 길이로 형성됨으로써, 환기팬과의 거리가 멀리 떨어진 급기용 메인덕트의 종단부는 환기팬과의 거리가 가까운 입구부에 비해 공기압이 매우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었고, 급기용 메인덕트의 종단부 인근에 설치된 분지덕트의 압력 또한 낮아져 건축물 전체의 환기가 고르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급배기용 메인덕트 및 분지덕트는 건축물의 크기와 구조 등에 따라 각각 별도로 설계되어진 후 시공되어지게 되는데, 이에 의해 시공 기간이 매우 길고 설치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으며, 천장이 낮은 건축물의 경우에는 덕트를 설치하기가 매우 힘든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환기팬을 통해 각각의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의 압력이 일정하게 분포되도록 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설치 환경에 따라 설치 규격을 간편하게 조절함과 동시에 시공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접착제 또는 용접등의 공정을 거치지 않고도 다수의 관연결조립체가 기밀을 유지하면서 견고히 결합되도록 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관연결조립체를 통한 환기용 공기의 온도의 변화가 방지되도록 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실내로 외부 공기를 공급함과 동시에 실내 공기를 실외로 배출시키는 환기팬과, 다수의 실내 공간과 연결되는 다수의 환기관의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다수의 환기관으로 공급되는 공기의 압력이 일정하게 분포되도록 하는 공기분배수단이 구비된 환기시스템용 분배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기분배수단;은 양 측면이 관통되어 개방되고 일측면에 관연결구가 형성된 다수의 관연결조립체가 일체로 결합되고, 양 단부에 배치되는 관연결조립체의 개방면에 뚜껑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상기 관연결조립체의 서로 맞닿는 면에 서로 대응되게 삽입되어 결합 되는 단턱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관연결조립체의 외측면을 감싸는 단열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본 발명은 환기팬을 통해 각각의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의 압력이 일정하게 분포되도록 함으로서, 환기 성능이 건물 전체에 균일하게 유지되어 환기팬과 실내공간의 거리에 관계없이 쾌적한 실내 환경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공기분배수단이 다수의 관연결조립체와 뚜껑으로 구성되도록 하여 설치환경에 따라 설치 규격을 간편하게 조절되도록 함으로서, 건물의 천장에 덕트를 시공해야 하는 불편함이 사라질 뿐만 아니라, 건물의 크기 및 방의 갯수에 따라 다수의 관연결조립체를 간편하게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시공이 간편하게 이루어지고, 환기시스템의 시공 기간이 대폭 단축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단턱부를 형성하여 별도의 접착제 또는 용접등의 공정을 거치지 않고도 다수의 관연결조립체가 기밀을 유지하면서 견고히 결합되도록 함으로서, 다수의 관연결조립체를 더욱 빠른 시간에 신속하고 간편하게 결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단열재를 부착하여 관연결조립체를 통한 환기용 공기의 온도의 변화가 방지되도록 함으로서, 환기팬에서 실내,외 공기간의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경우에 실내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시스템의 개략 평면도로서,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은 건축물(10)의 실내공간(11)(12)(13)(14)에 실내공기를 실외로 배출시키고 실외의 신선한 공기를 실내공간(11)(12)(13)(14)으로 유입시켜 실내공간(11)(12)(13)(14)의 공기가 쾌적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 환기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공기를 순환시키는 환기팬(20)과 하나의 환기팬(20)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실내공간(11)(12)(13)(14)에 각각 별도의 환기관(21)(22)을 배치하고, 환기관(21)(22)과 환기팬(20)의 사이에 다수의 환기관(21)(22)에 일정한 압력의 공기 흐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공기분배수단(30)을 구비하여 환기팬(20)과의 거리에 관계없이 모든 실내공간(11)(12)(13)(14)에 균일한 환기가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상기 환기팬(20)은 실내 공기를 실외로 배출시키고 실외의 신선한 공기를 실내로 유입시키는 통상의 전동식 송풍팬으로 구성되고, 실내,외 공기 사이의 온도차를 줄여 실내 공기의 급격한 온도 변화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열교환기를 일체로 구비하여 공기가 원활하게 순환되도록 한다.
상기 환기관(21)(22)은 상기 환기팬(20)과 연결되어 실외의 신선한 공기를 다수의 실내 공간에 각각 별도로 유도시켜 공급하고,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실외로 배출시키는 것으로서, 실내의 천장에 덕트를 시공하는 불편함이 없이 간편하게 시 공할 수 있도록 플렉시블한 재질로 형성된 통상의 호스 등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기분배수단(30)은 상기 환기팬(20)과 환기관(21)(22)의 사이에 결합되어 환기팬(20)에서 공급되는 공기가 일정한 압력으로 다수의 환기관(21)(22)에 분배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몸체의 내측에 공기가 유입되는 공간부가 형성되어 환기팬(20)을 통해 유입된 공기가 공기분배수단(30)의 내측으로 공급되도록 함과 동시에 다수의 환기관(21)(22)이 각각 공기분배수단(30)에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공기가 1차적으로 공기분배수단(30)에 저장된 후 환기관(21)(22)으로 유입되게 되어 다수의 환기관(21)(22)에 모두 균일한 압력의 공기가 공급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결합상태를 보인 종단면도로서, 상술한 공기분배수단(30)은 도시된 것과 같이 실내 공간의 수에 따라 공기분배수단(30)의 크기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양 측면에 관통되어 개방되고, 일측면에 관연결구(311a)가 형성된 다수의 관연결조립체(31a)(31b)가 직렬로 결합되고, 양쪽 단부에 배치되는 관연결조립체(31a)(31b)의 개방면에는 공기의 누출을 방지하는 뚜껑(32)을 결합하여 공기분배수단(30)에 결합되는 환기관(21)(22)의 수에 따라 관연결조립체(31a)(31b)의 수를 간편하게 증감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 때, 상술한 것과 같은 다수의 관연결조립체(31a)(31b)는 통상의 접착제나 용접 등의 방법에 의해 일체로 결합되도록 하는 것도 무방하나, 각각의 관연결조립체(31a)(31b)가 서로 맞닿는 개방면에는 서로 대응되게 끼움 결합되는 단턱부(312a)(312b)를 형성함으로써, 별도의 접착제 등을 이용하거나 용접을 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이 다수의 관연결조립체(31a)(31b)가 간편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뚜껑(32) 또한 상술한 단턱부(312a)(312b)와 대응되는 끼움홈(321)을 형성하여 관연결조립체(31a)(31b)에 뚜껑(32)을 결합할 때 별도의 접착제 등을 이용하거나 용접을 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하나의 관연결조립체(31a)(31b)에는 각각 하나의 관연결구(311a)를 형성하여 환기팬(20)과 환기관(21)(22)가 각각 별도의 관연결구에 결합되도록 하는 것도 무방하나, 공기분배수단(30)을 구성하는 어느 하나의 관연결조립체(31a)에는 환기관과 연결되는 관연결구(311a)및 환기팬(20)이 연결되는 환기팬연결구(313)을 동시에 형성하는 것도 무방하다.
더불어, 상기 관연결조립체(31a)(31b)의 내측면 또는 외측면이나 내,외측면 모두에 통상의 단열재(314)를 부착함으로써 상술한 환기팬(20)에서 열교환이 이루어진 공기의 온도 변화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실내 공기가 더욱 쾌적한 상태를 유지할 뿐만 아니라, 냉,난방에 소요되는 에너지 손실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것도 무방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시스템의 개략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의 결합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도 4는 종래 환기시스템의 일 예를 보인 개략 평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건축물
11, 12, 13, 14 : 실내공간
20 : 환기팬
21, 22 : 환기관
30 : 공기분배수단
31a, 31b : 관연결조립체 311a : 관연결구
312a, 312b : 단턱부 313 : 환기팬연결구
314 : 단열재 32 : 뚜껑
321 : 끼움홈

Claims (4)

  1. 삭제
  2. 실내로 외부 공기를 공급함과 동시에 실내 공기를 실외로 배출시키는 환기팬(20)과, 다수의 실내공간(11)(12)(13)(14)과 연결되는 다수의 환기관(21)(22)의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다수의 환기관(21)(22)으로 공급되는 공기의 압력이 일정하게 분포되도록 하는 공기분배수단(30)이 구비된 환기시스템용 분배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기분배수단(30);은
    양 측면이 관통되어 개방되고 일측면에 관연결구(311a)가 형성된 다수의 관연결조립체(31a)(31b)가 일체로 결합되고, 양 단부에 배치되는 관연결조립체(31a)(31b)의 개방면에 뚜껑(32)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시스템용 분배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관연결조립체(31a)(31b)의 서로 맞닿는 면에 서로 대응되게 삽입되어 결합되는 단턱부(312a)(312b)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시스템용 분배장치.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관연결조립체(31a)(31b)의 외측면을 감싸는 단열재(314)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시스템용 분배장치.
KR1020070070820A 2007-07-13 2007-07-13 환기시스템용 분배장치 KR1008709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0820A KR100870924B1 (ko) 2007-07-13 2007-07-13 환기시스템용 분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0820A KR100870924B1 (ko) 2007-07-13 2007-07-13 환기시스템용 분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70924B1 true KR100870924B1 (ko) 2008-11-28

Family

ID=402848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0820A KR100870924B1 (ko) 2007-07-13 2007-07-13 환기시스템용 분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092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35995B (zh) * 2013-06-13 2018-05-08 海尔集团公司 一种换新风装置
KR101882629B1 (ko) * 2017-12-14 2018-07-26 윤병석 환기장치용 슬리브 어셈블리 및 그 설치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94409A (ja) 2005-01-17 2006-07-27 Hitachi Metals Ltd 配管装置
JP2006292210A (ja) 2005-04-07 2006-10-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換気装置
KR100725999B1 (ko) * 2005-09-20 2007-06-11 주식회사 에어화인 급기 시스템의 덕트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94409A (ja) 2005-01-17 2006-07-27 Hitachi Metals Ltd 配管装置
JP2006292210A (ja) 2005-04-07 2006-10-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換気装置
KR100725999B1 (ko) * 2005-09-20 2007-06-11 주식회사 에어화인 급기 시스템의 덕트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35995B (zh) * 2013-06-13 2018-05-08 海尔集团公司 一种换新风装置
KR101882629B1 (ko) * 2017-12-14 2018-07-26 윤병석 환기장치용 슬리브 어셈블리 및 그 설치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43158B2 (ja) 空気熱源ヒートポンプ式空調装置
KR101133044B1 (ko) 열교환용 관부재를 구비한 환기시스템
KR101681870B1 (ko) 환기장치
KR20200053798A (ko) 이중덕트를 이용한 실외기실의 환기시스템
KR100870924B1 (ko) 환기시스템용 분배장치
LT3350B (en) Radiant or radiant-ventilating airconditioning prefabricated elements and air conditioning installation including said elements
JP2012021737A (ja) 換気空調システム及び建物
KR20110001753A (ko) 건물용 환기시스템
KR101950418B1 (ko) 벽걸이형 다기능 실내 공기조화시스템
JP2016151377A (ja) 給気ボックス及び給気ボックスを用いた居室用の空調システム
KR20090111506A (ko) 환기장치용 열교환기
JP2015094500A (ja) 放熱器及びこれを用いた空調システム
KR20100008106A (ko) 단열성능을 갖는 냉난방용 공기순환장치
FI83698B (fi) Anordning foer klimatisering av rum.
JP2021179262A5 (ko)
JPH11257724A (ja) 換気装置
JP2010243075A (ja) 換気空調システム及び建物
JP2020148386A (ja) 加圧型熱交換換気式建屋
CN219913440U (zh) 一种基于开口型集成板的暖通一体化结构
KR200241662Y1 (ko) 환기 및 급기덕트의 덕트 연결구
KR200241661Y1 (ko) 전열교환기 시스템의 급기그릴 연결구
CN1140684C (zh) 带通风末端的模块式水源辐射供冷/供热吊顶板
CN209782884U (zh) 辐射板单体及装配式冷暖辐射墙板及房间温控空调系统
KR101236282B1 (ko) 환기설비의 공기배출장치
RU95078U1 (ru) Устройство приточной вентиляци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