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6282B1 - 환기설비의 공기배출장치 - Google Patents

환기설비의 공기배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6282B1
KR101236282B1 KR1020100054775A KR20100054775A KR101236282B1 KR 101236282 B1 KR101236282 B1 KR 101236282B1 KR 1020100054775 A KR1020100054775 A KR 1020100054775A KR 20100054775 A KR20100054775 A KR 20100054775A KR 101236282 B1 KR101236282 B1 KR 1012362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air
guide
duct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47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35058A (ko
Inventor
신석환
신보라
Original Assignee
신보라
신석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보라, 신석환 filed Critical 신보라
Priority to KR10201000547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6282B1/ko
Publication of KR201101350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50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62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62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09Duct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connecting means, e.g. fl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기설비의 공기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내부공간 각각의 환기를 위한 다수개의 배출덕트(D2)가 구비되고 별도공간의 독립적인 환기를 위한 독립덕트(D3)가 구비되는 환기설비의 공기배출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환기설비의 공기배출장치(100)는 상기 배출덕트(D2)의 배출경로 상에 설치되어 배출덕트(D2)를 통한 공기배출을 안내하는 배출가이드(200)와, 상기 독립덕트(D3)가 연결되고 상기 배출가이드(200)를 감싸도록 설치되어 상기 배출가이드(200)의 외면과의 사이에서 이동공간(A)을 형성하는 가이드케이스(30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독립덕트(D3)를 통해 상기 이동공간(A)에 유입된 별도공간의 공기는 상기 배출가이드(200)를 통해 토출되는 상기 내부공간의 공기에 유도되어 함께 배출된다.

Description

환기설비의 공기배출장치{Air exhaust device for ventilation facilities}
본 발명은 환기설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정확하게는 공기조화기를 통해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환기설비의 공기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이나 빌딩, 도서관 등 대형 건물에는 환기설비가 설치된다. 특히 최근에 공표된 건축물설비기준에 의하면 100가구 이상의 공동주택을 신축하는 경우에는 이러한 환기설비의 설치가 의무화되었다.
일반적으로, 상기 환기설비는 그 양단이 각각 건물의 내부 및 외부와 연결되는 덕트(duct)와 같은 구조물로 된다. 그리고 이러한 덕트는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급기덕트와 내부의 공기를 토출하기 위한 배기덕트로 나누어져, 각각 건물 안팎의 공기를 유동시키게 된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환기설비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건물의 슬래브와 천장 사이에 해당하는 설치공간에는 덕트(13,14,15)가 설치된다. 상기 덕트(13,14,15)는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가 일정한 경로를 따라 설치된다.
상기 덕트(13,14,15)는 제1덕트(13,14)와 제2덕트(15)로 구성되고, 상기 제1덕트(13,14)는 다시 급기덕트(13)와 배기덕트(14)로 구별된다. 상기 급기덕트(13)는 외부의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배기덕트(14)는 이와 반대로, 실내의 공기를 외부로 토출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덕트(13,14,15)는 구획된 별개의 공간, 예를 들어 공동주택의 각 방의 환기를 위해 다수개가 설치될 수도 있다. 즉, 도 1에서 보듯이, 상기 제1덕트(13,14)와는 별도로 제2덕트(15)가 설치될 수도 있는 것이다. 물론, 이러한 제1 및 제2덕트(13,14,15) 이외에 구획된 공간의 개수에 대응되도록 더 많은 개수의 덕트들이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환기설비는 냉각 또는 가열된 공기를 공급하는 통로 역할을 함으로써 실내의 냉방이나 난방을 위해 이용될 수도 있다.
그리고,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다수개의 덕트(13,14,15)를 연결할 수 있는 덕트연결구(미도시)에 의해 다수개의 덕트(13,14,15)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덕트연결구는 상기 덕트(13,14,15)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각 공간으로 적절히 분산하거나, 구조에 따라 배출되는 공기의 양이나 배출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만들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덕트연결구에는 공기가 유입되는 덕트가 연결되는 연결구멍과, 공기가 배출되는 덕트가 연결되는 연결구멍이 다수개 형성된다.
이와 같은 상기 덕트연결구에 의해 보다 효율적인 공기분배가 가능해지고,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조절이 가능해질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덕트(13,14,15)에 의해서 각 공간의 공기가 배출되거나 또는 공급될 수 있는데, 이러한 덕트(13,14,15)는 상기 덕트연결구에 의해 연결되어 효율적으로 배분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덕트(13,14,15)에 의해 연결되는 공간 중에서, 화장실이나 주방과 같이 악취나 연기 등이 포함될 수 있는 공간으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의 경우에는 덕트연결구 내에서 다른 공간(예를 들어, 거주를 위한 방이나 거실)으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와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지 못하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화장실이나 주방과 같은 특수한 환경의 공간에는 별도의 덕트를 설치하고, 이러한 덕트는 상기 덕트연결구에 연결되지 않고 독립적으로 공기의 공급/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이 되면 상기 화장실이나 주방과 같은 공간에 연결된 덕트는 독립적으로 작동해야하므로, 이를 통한 공기의 공급/배출을 위한 별도의 흡기/배기용 팬이 필요하게 되고, 이는 전체적인 환기시스템의 효율을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화장실 등 특수한 공간을 위해 독립적으로 설치되는 덕트를 통해 공기를 배출하는 과정에서 다른 덕트의 토출력을 이용하여 공기가 함께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내부공간 각각의 환기를 위한 다수개의 배출덕트가 구비되고 별도공간의 독립적인 환기를 위한 독립덕트가 구비되는 환기설비의 공기배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환기설비의 공기배출장치는 상기 배출덕트의 배출경로 상에 설치되어 배출덕트를 통한 공기배출을 안내하는 배출가이드와, 상기 독립덕트가 연결되고 상기 배출가이드를 감싸도록 설치되어 상기 배출가이드의 외면과의 사이에서 이동공간을 형성하는 가이드케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독립덕트를 통해 상기 이동공간에 유입된 별도공간의 공기는 상기 배출가이드를 통해 토출되는 상기 내부공간의 공기에 유도되어 함께 배출된다.
상기 가이드케이스의 개구된 일단은 상기 배출가이드의 개구된 일단보다 상대적으로 더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그 내부에는 상기 이동공간과 연결되는 유도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배출가이드는 상기 환기덕트의 배출경로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로부터 경사지게 연장되어 그 일단으로 갈수록 횡단면적이 작아지는 경사부와, 상기 경사부로부터 연장되는 토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케이스는 상기 배출가이드의 고정부를 감싸고 상기 독립덕트가 연결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경사지게 연장되어 그 일단으로 갈수록 횡단면적이 작아지고 상기 배출가이드의 외면과의 사이에서 이동공간을 형성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배출가이드의 토출부보다 상대적으로 더 돌출되어 유도공간을 형성하는 유도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배출가이드의 토출부의 선단은 상기 가이드케이스의 연결부의 일단 보다 상대적으로 더 돌출되어 상기 가이드케이스의 유도부에 의해 둘러싸인 구간에 형성된다.
상기 배출가이드 및 상기 가이드케이스는 외기의 유입을 안내하는 공급덕트연결구와 내기의 배출을 안내하는 배출덕트연결구가 각각 연결되어 둘 사이의 열교환을 수행하는 열교환장치의 토출홀에 설치되거나, 또는 상기 다수개의 배출덕트가 연결되는 배출덕트연결구에 직접 설치된다.
상기 독립덕트에는 송풍장치가 연결되고 상기 송풍장치는 제어장치 또는 조작스위치에 의해 선택적으로 작동된다.
상기 배출가이드의 경사부에는 가이드홀이 형성되어 상기 배출가이드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일부는 상기 가이드홀을 통해 상기 이동공간으로 토출된다.
상기 배출가이드 및 상기 가이드케이스는 원형의 횡단면을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배출가이드 및 상기 가이드케이스는 연속된 곡면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환기설비의 공기배출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환기설비의 공기배출장치에서는 화장실이나 주방과 같은 특수한 공간으로부터 별도의 독립적인 경로를 통해 전달되어 외부로 배출될 공기가, 별도의 동력에 의한 토출력 없이, 다른 공간으로부터 전달되어 토출되는 공기의 토출력을 이용하여 함께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장치나 동력원이 생략될 수 있어, 전체 환기설비의 비용절감이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공기배출장치가 복잡한 구조나 어려운 설치과정없이, 공기배출장치를 구성하는 배출가이드와 가이드케이스를 기존의 일반적인 열교환장치 등에 설치함으로써 간단히 구현될 수 있어, 유지보수성이 좋은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환기설비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은 본 발명에 의한 환기설비의 공기배출장치가 포함된 환기시스템의 구성을 간략하게 보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환기설비의 공기배출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가이드케이스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의 내부구성을 간략하게 보인 일부절결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해 공기가 토출되는 과정을 보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환기설비의 공기배출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환기설비의 공기배출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환기설비의 공기배출장치가 포함된 환기시스템의 다른 구성을 간략하게 보인 구성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환기설비의 공기배출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환기설비의 공기배출장치가 포함된 환기시스템의 구성이 구성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환기설비의 공기배출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이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가이드케이스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본 발명 실시예의 내부구성이 일부절결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2를 참고하여,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한 환기설비의 공기배출장치(100)가 설치되는 환기시스템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환기시스템에는 공기공급/배출부(10)가 구비된다. 상기 공기공급/배출부(10)는 공기정화장치일 수도 있고, 별도의 정화를 거치지 않은 단순한 건물외부일 수도 있다.
상기 공기공급/배출부(10)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는 열교환장치(20)를 거치게 된다. 상기 열교환장치(20)는 건물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와 배출되는 공기 사이의 열교환을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즉, 건물 내부를 난방하는 경우에는, 건물 내부를 거쳐 온도가 상승된 공기와, 상기 공기공급/배출부(10)로부터 공급된 상대적으로 차가운 공기가 열교환을 거치게 되면, 공기공급/배출부(10)로부터 공급된 공기가 1차적으로 가열될 수 있어 열효율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물론, 건물 내부를 냉방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이를 위해, 도 3에서 보듯이, 상기 열교환장치(20)에는 상기 공기공급/배출부(10)로부터 공기를 공급받기 위한 공급홀(21)과, 공기공급/배출부(10)로 공기를 토출하기 위한 토출홀(25)이 각각 구비된다.
상기 열교환장치(20)의 내부에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송풍팬이 구비되어 상기 공기공급/배출부(10)로 공기를 토출하거나, 또는 공기공급/배출부(10)로부터 공급된 공기를 건물 내부 방향으로 토출할 수도 있다.
상기 열교환장치(20)에는 덕트연결구가 연결된다. 상기 덕트연결구는 다수개의 덕트를 연결하는 일종의 허브(Hub)역할을 하는 것으로, 공기를 각 방에 공급하기 위한 공급덕트연결구(30)와, 각 방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덕트연결구(40)로 구성된다.
상기 공급덕트연결구(30)에는 다수개의 덕트(이하 '공급덕트(D1)'라 한다)가 연결되어 각방에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도 1에는 편의를 위해 각방에 별도의 도면부호를 부여하였다.
이때, 방1 내지 방5(R1~R5)에는 모두 상기 공급덕트연결구(30)로부터 공기가 공급되는데, 이들은 각각 별도의 공급덕트(D1)를 통해 공기를 배분받게 된다.
한편, 방1 내지 방5(R1~R5)에 공급된 공기는 환기를 위해 다시 배출되어야 하는데, 이때는 상기 배출덕트연결구(40)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즉, 방1 내지 방5(R1~R5)에는 각각 배출덕트(D2)가 연결되어 내부공기를 배출하게 된다.
이때, 상기 방1 내지 방3(R1~R3)(내부공간이라 정의한다)은 상기 배출덕트연결구(40)에 덕트(이하 '배출덕트(D2)'라 한다)를 통해 연결되어 내부의 공기를 배출할 수 있고, 방4 및 방5(R4,R5)(별도공간이라 정의한다)는 독립된 별도의 덕트(이하 '독립덕트(D3)')라 한다.
이는 방4 및 방5(R4,R5)가 화장실이나 주방과 같이 악취나 매연이 포함될 수 있는 공간일 경우에, 일반적인 거주용 방(예를 들어 방1 내지 방3(R1~R3))과 분리하여 열교환공정 등을 통해 악취나 매연이 섞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독립덕트(D3)는 상기 배출덕트(D2)와 달리 상기 배출덕트연결구(40)에 연결되지 않고, 아래에서 설명될 별도의 공기배출장치(10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독립덕트(D3)에는 별도의 송풍장치(5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송풍장치(50)는 공기배출장치(100)에 의해 공기배출이 이루어질 수 없는 경우에 작동하여 방4(R4) 또는 방5(R5)의 내부공기가 배출되도록 유도하는 것으로, 별도의 조작스위치(S)가 구비되어 사용자가 임의로 조작할 수 있다.
이때, 도 1에는 상기 송풍장치(50)에 방4 및 방5(R4,R5)가 모두 연결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방4와 방5(R4,R5) 각각에 별도의 송풍장치(50)가 연결되어 개별적으로 작동될 수도 있다.
상기 송풍장치(50)로부터 연결되는 상기 독립덕트(D3)는 다시 공기배출장치(100)에 연결된다. 상기 공기배출장치(100)는 상기 독립덕트(D3)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독립덕트(D3)와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열교환장치(20)에 연결된다. 이는 상기 열교환장치(20)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이용하여 상기 독립덕트(D3)로부터 공기배출이 유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공기배출장치(100)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공기배출장치(100)는 도 4에서 보듯이 배출가이드(200)와 가이드케이스(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배출가이드(200)와 가이드케이스(300)는 상기 열교환장치(20)에 조립되는데, 배출가이드(200)를 통해서는 열교환장치(20)를 통한 공기가 외부로 토출되고, 배출가이드(200) 및 가이드케이스(300) 사이의 공간(이동공간(A) 및 유도공간(B))을 통해서는 독립덕트(D3)를 통해 이동되는 공기가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배출가이드(200)와 가이드케이스(300) 사이의 공간을 통해 이동되는 공기(방4 및 방5(R4,R5)의 공기)는 상기 배출가이드(200)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에 이끌려 함께 토출된다. 이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다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배출가이드(200)의 구조에 대해 설명하면, 상기 배출가이드(200)는 고정부(210)와 경사부(220) 그리고, 토출부(230)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부(210)는 상기 열교환장치(20)에 고정되는 부분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경사부(220)는 상기 고정부(210)로부터 폭이 좁아지도록 경사지게 연장되는 것으로, 그 일단으로 갈수록 횡단면적이 작아지는 일종의 원뿔대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경사부(220)는 배출가이드(200)의 횡단면적이 작아지도록 하여 토출되는 공기의 유속이 더욱 빨라지도록 한다. 이는 같은 높이에서 유체가 흐르는 경우 유체의 속력은 좁은 통로를 흐를 때 증가하고 넓은 통로를 흐를 때 감소하기 때문이다.
상기 경사부(220)에는 토출부(230)가 연결된다. 상기 토출부(230)는 상기 경사부(220)로부터 연장되어 실질적으로 공기가 토출되는 부분으로, 상기 고정부(210)와 마찬가지로 대략 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인해 상기 열교환장치(20)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는 상기 경사부(220)를 거치면서 유속이 빨라진 상태로 토출부(230)를 통해 토출된다.
이때, 상기 배출가이드(200)의 토출부(230)의 선단은 후술할 가이드케이스(300)의 연결부(320)의 일단 보다 더 돌출된 위치, 즉 가이드케이스(300)의 유도부(330)에 의해 둘러싸인 위치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가이드케이스(300)에 대해 설명하면, 상기 가이드케이스(300)는 상기 배출가이드(200)를 감싸면서 상기 열교환장치(20)에 조립되는 것으로, 상기 배출가이드(200)의 외면과의 사이에 공기가 이동되는 이동공간(A)을 형성한다.
이와 동시에, 상기 가이드케이스(300)에는 상기 독립덕트(D3)가 연결되어, 결과적으로 상기 가이드케이스(300)는 상기 독립덕트(D3)를 통해 이동되는 공기가 상기 이동공간(A)을 통해 토출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가이드케이스(300)의 구조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도 3 및 도 4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케이스(300)는 상기 배출가이드(200)의 고정부(210)를 감사고 상기 독립덕트(D3)가 연결되는 베이스부(310)가 그 골격을 형성한다.
상기 베이스부(310)는 상기 고정부(210)와 마찬가지로 대략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독립덕트(D3)가 그 측면에 연결된다.
상기 베이스부(310)에는 연결부(320)가 연결되는데, 상기 연결부(320)는 상기 배출가이드(200)의 경사부(220)와 마찬가지로 그 일단으로 갈수록 횡단면적이 작아지는 원뿔대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연결부(320)의 일단에는 유도부(330)가 형성된다. 상기 유도부(330)는 상기 배출가이드(200)의 토출부(230)보다 상대적으로 더 돌출되어 그 사이에 유도공간(B)을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유도공간(B)은 상기 이동공간(A)을 내부의 공기가 상기 토출부(230)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흐름에 끌려 함께 토출되도록 유도하는 공간에 해당한다. 이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미설명부호 231 및 331은 각각 배출가이드(200)와 가이드케이스(300)의 개구부를 의미한다.
다음으로, 도 6를 참조하여, 상기 공기배출장치에 의해 공기가 배출되는 작동원리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상기 열교환장치(20)에 의해 열교환이 이루어진 공기(방1 내지 방3(R1~R3)으로부터 배출덕트(D2)를 통해 전달되는 공기)는 내부의 팬에 의해 이동하여 토출홀(25)을 통해 외부로 빠른 속도록 토출되는데, 이때 상기 토출홀(25)에는 상기 배출가이드(200)가 설치되므로 공기는 배출가이드(200)를 통해 이동하게 된다.
이와 함께 상기 배출가이드(200)를 통해 이동되는 공기는 상기 경사부(220)를 거치면서 유속이 더욱 빨라지게 되고, 이와 같은 상태로 상기 토출부(230)를 통해 토출된다. 즉, 도 6에 도시된 ⓐ부분에 비해 ⓑ부분에서의 유속이 더욱 빨라지는 것이다.
한편, 상기 배출가이드(200)와 이를 감싼 가이드케이스(300)에 의해 형성된 이동공간(A) 내에 존재하는 공기(방4 및 방5(R4,R5)로부터 독립덕트(D3)를 통해 전달되는 공기)는 상기 열교환장치(20)에 의해 토출되는 힘을 받지 않으므로, 자체적으로 토출될 수는 없는 상태로 존재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이동공간(A) 내에 존재하는 공기는 상기 토출부(230)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에 끌려 함께 배출된다. 이러한 현상은 베르누이의 정리에 의한 것이다.
즉 공기의 흐름이 빠른 곳일수록 그 흐름 속의 압력이 상대적으로 작고 늦은 곳을 수록 상대적으로 압력이 크게 되며, 공기의 흐름은 느린 곳(고압)에서 빠른 곳(저압)으로 공기가 흐르게 되는 것이다.
이를 도 6에서 확인해보면, 상기 배출가이드(200)의 토출부(230) 입구 가장자리(유도공간(B))는 토출부(230)로부터 토출되는 공기가 빠른 속도로 흐르는 부분(저압)에 해당하고, 상기 이동공간(A)은 공기가 상대적으로 느린 속도(또는 정체된 상태)로 흐르는 부분(고압)에 해당한다.
이에 따라, 상기 이동공간(A)(고압) 내부의 공기는 상기 유도공간(B)(저압) 방향으로 끌려가게 되고, 결국 상기 토출부(230)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와 함께 외부로 토출된다.
(참고로, 베르누이의 정리에 따르면 두 지점의 위치에너지와 운동에너지 및 일(에너지)의 합은 서로 같고, 이에 따라
P A + ρ gh A + 1/2ρ V A 2 = P B + ρ gh B + 1/2ρ V B 2
의 식으로 정리된다. 그리고, 이때 위치에너지를 같다고 하면,
P A + 1/2ρ V A 2 = P B + 1/2ρ V B 2
가 된다. 이는, 유속이 빨라지면 압력이 낮아지고, 유속이 느려지면 압력이 높아지게 됨을 의미한다.)
한편, 도 7에는 본 발명에 의한 환기설비의 공기배출장치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배출장치(100)를 구성하는 배출가이드(200) 및 이를 감싸는 가이드케이스(300)는 각각 연속된 곡면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물론, 이 경우에도 상기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배출가이드(200)는 고정부(210), 경사부(220) 및 토출부(230)로 구성되는데, 이 경우 상기한 실시예에 비해 그 경계가 명확하지는 않다.
이때,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배출가이드(200)의 토출부(230)의 선단은 상기 가이드케이스(300)의 연결부(320)의 일단 보다 더 돌출된 위치, 즉 상기 가이드케이스(300)의 유도부(330)에 의해 둘러싸인 위치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도 8에는 본 발명에 의한 환기설비의 공기배출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보듯이, 공기배출장치(100)의 배출가이드(200)의 경사부(220)에는 가이드홀(225)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홀(225)은 상기 배출가이드(200)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일부가 이를 통해 토출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가이드홀(225)을 통해 공기는 이동공간(A)으로 토출된다.
즉, 상기 가이드홀(225)을 통해 일부 공기가 상기 이동공간(A)으로 토출됨으로써, 이동공간(A)에 존재하는 공기는 가이드케이스(300)의 유도부(330) 방향으로 밀려 보다 원할하게 배출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홀(225)은 상기 배출가이드(200)의 경사부(220)를 관통하여 형성되고, 경사부(220)와 마찬가지로 경사진 방향, 즉 상기 이동공간(A)을 향해 비스듬히 개구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홀(225)은 상기 경사부(220)를 둘러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배출장치가 구비된 환기설비에 의해 건물내부가 환기되는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공기공급/배출부(10)로부터 공기(이하 공급공기)가 유입되면 열교환장치(20)에 공급된다. 상기 열교환장치(20) 내부로 유입된 공기(공급공기)는 상기 열교환장치(20)에 반대방향으로 유입된 건물 내부의 공기(이하 배출공기)와 열교환을 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가열 또는 냉각된 공급공기는 공급덕트연결구(30)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공급덕트연결구(30)에는 다수개의 공급덕트(D1)가 연결되어 있고, 이러한 공급덕트(D1)를 따라 상기 공급공기는 건물 내부의 각 방(R1~R5)으로 공급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공급공기의 공급과 동시에, 각 방의 배출공기는 외부로 배출된다. 이 과정을 살펴보면, 방1 내지 방3(R1~R3)의 배출공기는 배출덕트(D2)를 통해 이동하여 배출덕트연결구(40)로 유입된다. 상기 배출덕트연결구(40)에는 다수개의 배출덕트(D2)가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열교환장치(20)에 연결되어 열교환장치(20) 내부로 배출공기를 전달하게 된다.
상기 열교환장치(20)로 공급된 배출공기는 상기 공급공기와의 열교환을 마친 후에 상기 공기공급/배출부(10)로 다시 배출됨으로써 공기의 순환, 즉 환기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방4 및 방5(R4,R5)의 공기(이하 독립공기)는 별도의 경로를 통해 배출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방4 및 방5(R4,R5)는 실내 공기에 악취나 매연이 포함되는 화장실이나 주방 또는 작업공간 등에 해당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경로를 통해 독립공기를 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그 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상기 독립공기는 독립덕트(D3)를 통해 이동하게 되고, 상기 독립덕트(D3)는 상기 공기배출장치(100)에 연결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독립덕트(D3)는 상기 공기배출장치(100)의 가이드케이스(300)에 연결되어 이동공간(A)과 연통되고, 상기 이동공간(A)으로 전달되는 독립공기는 상기 공기배출장치(100)에 의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앞서 살핀바와 같이 상기 독립덕트(D3)에 별도의 동력에 의한 풍력이 전달되지 않더라도, 상기 공기배출장치(100) 자체에 의해 상기 독립공기가 배출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열교환장치(20)가 작동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독립덕트(D3)에 구비된 별도의 송풍장치(50)를 작동시켜 독립공기를 강제로 배출시킬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방1 내지 방3(R1~R3)은 환기가 불필요하나, 방4와 방5(R4,R5)에 환기가 필요하다면 상기 열교환장치(20)를 통한 배출공기의 배출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고, 이때는 상기 송풍장치(50)를 작동시켜 상기 방4와 방5(R4,R5)의 독립공기만을 배출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상기 방1 내지 방5(R1~R5)의 모든 공기는 연속적으로 환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배출가이드(200)와 가이드케이스(300)의 형상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않으며, 상기 배출가이드(200)의 고정부(210), 경사부(220) 또는 토출부(230) 중 어느 하나, 또는 상기 가이드케이스(300)의 베이스부(310), 연결부(320) 또는 유도부(330) 중 어느 하나가 생략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공기배출장치(100)가 상기 열교환장치(20)에 설치된 것을 예로 들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도 9에서 보듯이 열교환장치(20)가 생략되고 상기 공기배출장치(100)가 배출덕트연결구(40)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다. 즉, 상기 공기배출장치(100)는 배출공기의 배출경로 상에 설치되면 되는 것이다.
10: 공기공급/배출부 20: 열교환장치
30: 공급덕트연결구 40: 배출덕트연결구
50: 송풍장치 100: 공기배출장치
200: 배출가이드 210: 고정부
220: 경사부 230: 토출부
300: 가이드케이스 310: 베이스부
320: 연결부 330: 유도부
R1~R5: 방1~방5 D1: 공급덕트
D2: 배출덕트 D3: 독립덕트

Claims (10)

  1. 내부공간 각각의 환기를 위한 다수개의 배출덕트가 구비되고 별도공간의 독립적인 환기를 위한 독립덕트가 구비되는 환기설비의 공기배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환기설비의 공기배출장치는
    상기 배출덕트의 배출경로 상에 설치되어 배출덕트를 통한 공기배출을 안내하는 배출가이드와,
    상기 독립덕트가 연결되고 상기 배출가이드를 감싸도록 설치되어 상기 배출가이드의 외면과의 사이에서 이동공간을 형성하는 가이드케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독립덕트를 통해 상기 이동공간에 유입된 별도공간의 공기는 상기 배출가이드를 통해 토출되는 상기 내부공간의 공기의 흐름에 유도되어 함께 배출되고,
    상기 배출가이드는
    상기 배출덕트의 배출경로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로부터 경사지게 연장되어 그 일단으로 갈수록 횡단면적이 작아지는 경사부와,
    상기 경사부로부터 연장되는 토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케이스는
    상기 배출가이드의 고정부를 감싸고 상기 독립덕트가 연결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경사지게 연장되어 그 일단으로 갈수록 횡단면적이 작아지고 상기 배출가이드의 외면과의 사이에서 이동공간을 형성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배출가이드의 토출부보다 상대적으로 더 돌출되어 유도공간을 형성하는 유도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배출가이드의 경사부에는 가이드홀이 형성되어 상기 배출가이드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일부는 상기 가이드홀을 통해 상기 이동공간으로 토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설비의 공기배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케이스의 개구된 일단은 상기 배출가이드의 개구된 일단보다 상대적으로 더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그 내부에는 상기 이동공간과 연결되는 유도공간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설비의 공기배출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가이드의 토출부의 선단은 상기 가이드케이스의 연결부의 일단 보다 상대적으로 더 돌출되어 상기 가이드케이스의 유도부에 의해 둘러싸인 구간에 위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설비의 공기배출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가이드 및 상기 가이드케이스는 외기의 유입을 안내하는 공급덕트연결구와 내기의 배출을 안내하는 배출덕트연결구가 각각 연결되어 둘 사이의 열교환을 수행하는 열교환장치의 토출홀에 설치되거나, 또는 상기 다수개의 배출덕트가 연결되는 배출덕트연결구에 직접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설비의 공기배출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독립덕트에는 송풍장치가 연결되고 상기 송풍장치는 제어장치 또는 조작스위치에 의해 선택적으로 작동됨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설비의 공기배출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가이드 및 상기 가이드케이스는 원형의 횡단면을 갖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설비의 공기배출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가이드 및 상기 가이드케이스는 연속된 곡면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설비의 공기배출장치.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00054775A 2010-06-10 2010-06-10 환기설비의 공기배출장치 KR1012362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4775A KR101236282B1 (ko) 2010-06-10 2010-06-10 환기설비의 공기배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4775A KR101236282B1 (ko) 2010-06-10 2010-06-10 환기설비의 공기배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5058A KR20110135058A (ko) 2011-12-16
KR101236282B1 true KR101236282B1 (ko) 2013-02-22

Family

ID=45502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4775A KR101236282B1 (ko) 2010-06-10 2010-06-10 환기설비의 공기배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628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1900008316A1 (it) * 2019-06-07 2020-12-07 Fintek S R L Unita’ di condensazione per climatizzatori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4384A (ja) * 1992-08-26 1994-03-15 Mitsubishi Plastics Ind Ltd 通気経路を備えた曲管の接続装置
JPH06313597A (ja) * 1993-04-28 1994-11-08 Matsushita Seiko Co Ltd 換気装置
KR20080001163U (ko) * 2006-11-14 2008-05-19 유상동 환풍장치 구조
KR20100013647A (ko) * 2008-07-31 2010-02-10 (주)넥스트에너지코리아 욕실환기가 동시에 가능한 환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4384A (ja) * 1992-08-26 1994-03-15 Mitsubishi Plastics Ind Ltd 通気経路を備えた曲管の接続装置
JPH06313597A (ja) * 1993-04-28 1994-11-08 Matsushita Seiko Co Ltd 換気装置
KR20080001163U (ko) * 2006-11-14 2008-05-19 유상동 환풍장치 구조
KR20100013647A (ko) * 2008-07-31 2010-02-10 (주)넥스트에너지코리아 욕실환기가 동시에 가능한 환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5058A (ko) 2011-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13867B1 (en) Venturi type air distribution system
JP4792347B2 (ja) 吹出口の風向制御機構およびダクトレス換気システム
US20060211365A1 (en) Induction diffuser
JP3936962B1 (ja) 輻射空調ユニット
JP2012154611A (ja) ワンスパン空調システム
JPH01300135A (ja) 換気・循環冷暖房設備
KR101261322B1 (ko) 독립된 공간의 개별환기를 위한 환기제어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환기방법
CN101868674A (zh) 浴室通风空调装置
KR101236282B1 (ko) 환기설비의 공기배출장치
KR100854760B1 (ko) 바닥용 선회 취출구
TW201405078A (zh) 資訊機房用空調裝置
WO2015135025A2 (en) Air conditioner
KR200458718Y1 (ko) 공조장치용 고소형 가변 선회 취출구
KR20060024828A (ko) 바닥온수 및 실내공기 겸용난방.
JP4033266B2 (ja) 木造家屋の暖房システム
KR101167864B1 (ko) 실내공기 순환용 급배기 장치
CN204611959U (zh) 一种混流空调
KR102079352B1 (ko) 칠드빔 유니트의 인덕션 노즐
CN207501285U (zh) 风道系统、空调室内机及空调器
CN207365398U (zh) 新风取暖装置
JP4953743B2 (ja) 輻射空調ユニット
CN101354046B (zh) 取暖换气扇
CN217785284U (zh) 一种取暖器及使用其的集成吊顶装配结构
EP2409089B1 (en) An air supply device
AU2002313921B2 (en) Induction Diffus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