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3647A - 욕실환기가 동시에 가능한 환기장치 - Google Patents

욕실환기가 동시에 가능한 환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3647A
KR20100013647A KR1020080075259A KR20080075259A KR20100013647A KR 20100013647 A KR20100013647 A KR 20100013647A KR 1020080075259 A KR1020080075259 A KR 1020080075259A KR 20080075259 A KR20080075259 A KR 20080075259A KR 20100013647 A KR20100013647 A KR 201000136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hroom
air
exhaust
port
indoor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52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99572B1 (ko
Inventor
이준선
Original Assignee
(주)넥스트에너지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넥스트에너지코리아 filed Critical (주)넥스트에너지코리아
Priority to KR10200800752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9572B1/ko
Publication of KR201000136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36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95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95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08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separate ducts for supplied and exhausted air with provisions for reversal of the input and output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2/00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 F24F12/001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 F24F12/006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using an air-to-air heat exchang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30Arrangement or mounting of heat-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36Modules, e.g. for an easy mounting or trans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교환기 상층부의 공간을 확보하고, 확보된 공간속에 별도의 유로를 설계함으로써, 1개의 배기용 모터팬을 이용하여 환기와 동시에 욕실의 배기를 수행할 수 있는 환기장치에 관한 것으로, 욕실에 별도의 욕실용 공동덕트를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공동주택의 시공비용을 줄일 수 있고, 욕실용 공동덕트가 차지하는 부분의 면적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환기장치, 덕트, 욕실

Description

욕실환기가 동시에 가능한 환기장치{Ventilating device capable of simultaneous ventilation of bethroom}
본 발명은 실내의 공기를 환기시키는 환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나의 장치에 의해 욕실환기까지 동시에 가능한 환기장치이다.
환기장치는 일반적으로, 실내에 신선한 공기를 공급하면서도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신속하게 배출시켜 실내의 원활한 환기를 도모함과 아울러 실내 공기와 실외 공기의 열교환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전열교환기를 이용한다.
일반적으로 건물 등과 같은 밀폐된 공간의 공기는 생명체의 호흡 등에 의해 공기 중 이산화탄소의 함량이 증가하게 되므로, 건물내의 사무실이나 아파트 등과 같이 많은 사람이 협소한 공간에 머물게 되는 경우에는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실외의 신선한 공기로 수시로 대체해 주어야 한다.
이러한 경우, 상기의 환기장치가 사용되며, 기존의 환기장치는 내부에 열교환기를 두어 실내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와,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서로 열교 환하여, 실내의 온열 또는 냉열을 재흡수시켜 건물 내 공기조화시스템의 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종래의 환기장치는 실내외의 공기교환만이 가능하므로, 공동주택의 경우에는 욕실의 환기를 위해서는 별도의 욕실용 공동 덕트를 설치하여만 하였다.
이러한 욕실용 공동 덕트는 벽체에 설치되어야 하므로, 공동주택의 사용공간을 감소시키고, 덕트을 설치해야 하는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 욕실용 덕트를 사용할 경우에는 배기를 위한 욕실팬을 설치해야 한다.
최근의 공동주택의 욕실은 2개 이상으로 구비되는 경우가 많아서, 이 경우에는 욕실팬 역시 2개 이상이 소요된다.
또한, 공동주택이 고층일수록 욕실팬으로써 고정압 환기팬을 사용하여야 원활한 배출이 되지만, 이러한 고정압 환기팬은 부하증가로 인해 소비전력이 상승할수 밖에 없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열교환기 상층부의 공간을 확보하고,확보된 공간속에 별도의 유로를 설계함으로써, 1개의 배기용 모터팬을 이용하여 환기와 동시에 욕실의 배기를 수행할 수 있는 환기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측면에 실외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형성된 실외공기흡입포트와 실내공기를 실외로 배출할 수 있도록 형성된 실내공기배출포트가 형성되고, 타측면에 실외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도록 형성된 실외공기배출포트와 실내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형성된 실내공기흡입포트를 가지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실외공기흡입포트와 상기 실외공기배출포트를 연통하고, 상기 실내공기흡입포트와 상기 실내공기배출포트를 연통하며, 상기 실외공기흡입포트으로부터 흡입된 외부 공기와 상기 실내공기흡입포트로부터 흡입된 실내 공기를 상호 열교환하는 열교환부; 상기 케이싱의 내부의 상기 열교환부와 상기 실외공기배출포트 사이에 배치되는 배기모터; 상기 케이싱의 내부의 상기 열교환부와 상기 실내공기배출포트 사이에 배치되는 흡기모터; 및 상기 케이싱 내부에 설치되어 욕실의 공기를 유입하여 배출하도록 상기 실내공기배출포트와 연통되는 욕실배기부를 포함하는 환기장치이다.
상기 욕실배기부는, 상기 케이싱의 타측면에 형성된 관통홀에 삽입되는 욕실공기흡입포트; 상기 욕실공기흡입포트와 일체로 형성되고 내부에 공간을 가지는 욕실공기유통부; 및 상기 욕실공기유통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실내공기배출포트와 연통되는 연결포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연결포트는 상기 배기모터와 상기 열교환부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욕실배기부에는 공기역전방지기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욕실배기부에는 개폐기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통하여, 욕실에 별도의 욕실용 공동덕트를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공동주택의 시공비용을 줄일 수 있고, 욕실용 공동덕트가 차지하는 부분의 면적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욕실마다 설치되는 욕실팬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에너지 절약이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하기의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 지도록 하며,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기장치(100)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환기장치(100)를 위에서 바라본 개략도이다.
상기 환기장치(100)는 케이싱(101) 및 커버플레이트(130)에 의해 밀폐되며, 상기 케이싱(101)의 일측면는 실외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형성된 실외공기흡입포트(110)와 실내공기를 실외로 배출할 수 있도록 형성된 실내공기배출포트(108)가 형성되고, 그 타측면에는 실외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도록 형성된 실외공기배출포트(102)와 실내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형성된 실내공기흡입포트(104)를 가진다.
이 때, 상기 환기장치(100) 내에서는 상기 실내공기배출포트(108)와 상기 실내공기흡입포트(104)가 이루는 유로와, 상기 실외공기배출포트(102)와 상기 실외공기흡입포트(110)가 이루는 유로의 2개의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2개의 유로는 서로 격리된다.
상기 케이싱(101) 내에는 일측에 열교환부(112)가 설치되며, 상기 열교환부(112)는 상기 케이싱(101)의 내부공간을 4분할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열교환부(112)가 위에서 바라보았을 때 마름모 형상을 가지도록 하였으며, 상기 케이싱(101)의 내부공간을 4분할하여 2개의 유로를 격리하도록 형성하는 한 형상의 제한은 없다.
이 때, 상기 열교환부(112)는 상기 실내공기배출포트(108)와 상기 실내공기흡입포트(104)를 유통시키고, 상기 실외공기배출포트(102)와 상기 실외공기흡입포 트(110)를 유통시킨다.
그러므로, 상기 열교환부(112)에서 실외공기와 실내공기의 열교환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열교환부(112)는 열교환이 쉽게 일어날 수 있도록 열전도성이 좋은 구리 등과 같은 금속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열교환면적을 늘이기 위해 다수의 플레이트를 적층한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케이싱(101)의 내부에는 상기 실내공기배출포트(108)와 연통하는 배기모터(116)와, 상기 실외공기배출포트(102)와 연통하는 흡기모터(114)를 포함한다.
상기 배기모터(116)와 상기 흡기모터(114)는 도시되지 않은 전원공급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 때,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내공기배출포트(108)와 상기 실외공기배출포트(102)를 가상의 동일직선상에 배치시키면, 상기 흡기모터(114)와 상기 배기모터(116)를 접하도록 설치할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상기 흡기모터(114)에는 상기 열교환부(112)를 통과한 실외공기를 흡입할 수 있는 흡기모터흡입구(118)가 형성되고, 상기 배기모터(116)에는 상기 열교환부(112)를 통과한 실내공기를 흡입할 수 있는 배기모터흡입구(12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열교환부(112)의 상측으로는 욕실배기부(122)가 설치된다.
이 때, 상기 욕실배기부(122)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열교환부(112)에 의해 격리된 4개의 공간을 밀폐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욕실배기부(122)가 상기 열교환부(112)의 상측공간 전부를 커버할 수 있는 면적을 가지도록 하였다.
상기 욕실배기부(122)는 상기 케이싱(101)의 타측면에 형성된 관통홀(106)에 삽입되는 욕실공기흡입포트(124)와, 상기 욕실공기흡입포트(124)와 일체로 형성되고 내부에 공간을 가지는 욕실공기유통부(126)와, 상기 욕실공기유통부(126)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실내공기배출포트와 연통되는 연결포트(12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연결포트(128)는 상기 배기모터(116)의 배기모터흡입구(120)와 상기 열교환부(112)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연결포트(128)는 상기 욕실공기유통부(126)의 하측부에서 배기모터흡입구(120)와 상기 열교환부(112) 사이의 공간에 연통하도록 형성된다.
또, 상기 욕실배기부(122)에는 실외공기의 기압상승으로 인하여 공기가 역전하여 욕실 내로 유입되는 현상을 막기 위하여, 공기역전방지기구(미도시)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공기역전방지기구로는 공지의 체크밸브를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욕실배기부(122)에는 솔레노이드밸브와 같은 개폐기구(미도시)를 설치하여,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욕실배기부(122)를 통해 욕실 내의 공기를 배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욕실공기흡입포트(124)는 도시되지 않은 욕실과 파이프로 연결되 며, 이 때 상기 파이프는 천장의 공간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기장치(100)는 기본적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며, 다음에는 상기 환기장치(100)의 작동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환기장치(100)의 상기 배기모터(116) 및 상기 흡기모터(114)를 작동시키면, 상기 실외공기흡입포트(110)를 통해 실외의 공기를 흡입하기 시작하고, 상기 실내공기흡입포트(104)를 통해 실내의 공기를 흡입하기 시작한다.
또, 상기 배기모터(116)의 작동으로 인하여, 상기 욕실공기유통부(126) 내의 압력이 낮아져서 상기 욕실공기흡입포트(124)를 통해 욕실(미도시)의 공기를 흡입하기 시작한다.
흡입된 실내공기와 실외공기는 상기 열교환부(112)를 지나면서 상호 열교환을 하게 되고, 상기 열교환부(112)를 지난 실내공기는 상기 배기모터(116)의 배기모터흡입구(120)를 통해 실외로 방출되고, 상기 열교환부(112)를 지난 실외공기는 상기 흡기모터(114)의 흡기모터흡입구(118)를 통해 실내로 방출된다.
이 때, 상기 욕실공기흡입포트(124)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상기 욕실공기유통부(126)를 지나서, 상기 연결포트(128)를 통해 상기 배기모터(116)의 배기모터흡입구(120)로 유입되어 상기 실내공기배출포트(108)로 배출된다.
이 때, 실외의 기압이 변해도, 상기 욕실배기부(122)에 설치된 공기역전방지기구에 의해 실외의 공기가 욕실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 상기 욕실배기부(122)에 설치된 개폐기구에 의해 필요한 경우에만, 욕실 내의 공기를 배기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기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기장치를 위에서 바라본 개략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환기장치 101: 케이싱
102: 실외공기배출포트 104: 실내공기흡입포트
106: 관통구 108: 실내공기배출포트
110: 실외공기흡입포트 112: 열교환부
114: 흡기모터 116: 배기모터
118: 흡기모터흡입구 120: 배기모터흡입구
122: 욕실배기부 124: 욕실공기흡입포트
126: 욕실공기유통부 128: 연결포트
130: 커버플레이트

Claims (5)

  1. 일측면에 실외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형성된 실외공기흡입포트와 실내공기를 실외로 배출할 수 있도록 형성된 실내공기배출포트가 형성되고, 타측면에 실외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도록 형성된 실외공기배출포트와 실내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형성된 실내공기흡입포트를 가지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실외공기흡입포트와 상기 실외공기배출포트를 연통하고, 상기 실내공기흡입포트와 상기 실내공기배출포트를 연통하며, 상기 실외공기흡입포트으로부터 흡입된 외부 공기와 상기 실내공기흡입포트로부터 흡입된 실내 공기를 상호 열교환하는 열교환부;
    상기 케이싱의 내부의 상기 열교환부와 상기 실외공기배출포트 사이에 배치되는 배기모터;
    상기 케이싱의 내부의 상기 열교환부와 상기 실내공기배출포트 사이에 배치되는 흡기모터; 및
    상기 케이싱 내부에 설치되어 욕실의 공기를 유입하여 배출하도록 상기 실내공기배출포트와 연통되는 욕실배기부를 포함하는 환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욕실배기부는,
    상기 케이싱의 타측면에 형성된 관통홀에 삽입되는 욕실공기흡입포트;
    상기 욕실공기흡입포트와 일체로 형성되고 내부에 공간을 가지는 욕실공기유통부; 및
    상기 욕실공기유통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실내공기배출포트와 연통되는 연결포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포트는 상기 배기모터와 상기 열교환부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욕실배기부에는 공기역전방지기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욕실배기부에는 개폐기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
KR1020080075259A 2008-07-31 2008-07-31 욕실환기가 동시에 가능한 환기장치 KR1009995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5259A KR100999572B1 (ko) 2008-07-31 2008-07-31 욕실환기가 동시에 가능한 환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5259A KR100999572B1 (ko) 2008-07-31 2008-07-31 욕실환기가 동시에 가능한 환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3647A true KR20100013647A (ko) 2010-02-10
KR100999572B1 KR100999572B1 (ko) 2010-12-08

Family

ID=42087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5259A KR100999572B1 (ko) 2008-07-31 2008-07-31 욕실환기가 동시에 가능한 환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957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6282B1 (ko) * 2010-06-10 2013-02-22 신보라 환기설비의 공기배출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8657A (ko) 2020-04-17 2021-10-27 주식회사 휴앤텍 욕실의 환기팬 제어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0432A (ja) * 1997-07-10 1999-02-02 Matsushita Seiko Co Ltd 換気システム
JP3959181B2 (ja) * 1998-09-01 2007-08-15 サンデン株式会社 熱交換換気システ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6282B1 (ko) * 2010-06-10 2013-02-22 신보라 환기설비의 공기배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99572B1 (ko) 2010-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316204C (zh) 通风系统
JP5355720B2 (ja) 換気端末装置および換気システム
KR100999572B1 (ko) 욕실환기가 동시에 가능한 환기장치
KR20050111158A (ko) 환기시스템
KR20090058314A (ko) 공동주택의 욕실 연동형 세대환기 시스템
CN215863797U (zh) 一种厨房空调系统
KR100506405B1 (ko) 이중 덕트에 의한 열회수 방식을 이용한 환기 장치
CN201637029U (zh) 一种自动降温的房屋
KR102650685B1 (ko) 벽부형 환기장치
CN201059691Y (zh) 整体式水源热泵空调机
KR20070100434A (ko) 공조 시스템
JP2020186874A (ja) 空調システムおよび家屋
KR20080003914U (ko) 다기능 중계기
JP2009156483A (ja) 建物
KR20020044792A (ko) 가습 기능을 갖춘 천정형 공기조화기
KR100627878B1 (ko) 창문형 폐열회수 환기장치
KR102563224B1 (ko) 열회수 환기장치 환기캡
CN210463420U (zh) 一种组合式多功能新风机
KR101001731B1 (ko) 분리형 팬 유니트
JP2518234Y2 (ja) 空調換気扇
JP3924478B2 (ja) 換気構造
JP2006010269A (ja) 住宅用ダクトレス給排気システム
CN202267150U (zh) 一种新型的窗式空气调节器
KR20090050363A (ko) 욕실환기가 가능한 전열교환 환기모듈
JP2003074934A (ja) セントラル換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3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