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2629B1 - 환기장치용 슬리브 어셈블리 및 그 설치방법 - Google Patents

환기장치용 슬리브 어셈블리 및 그 설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2629B1
KR101882629B1 KR1020170172540A KR20170172540A KR101882629B1 KR 101882629 B1 KR101882629 B1 KR 101882629B1 KR 1020170172540 A KR1020170172540 A KR 1020170172540A KR 20170172540 A KR20170172540 A KR 20170172540A KR 101882629 B1 KR101882629 B1 KR 1018826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air
sleeve assembly
ventilation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25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병석
김성중
Original Assignee
윤병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병석 filed Critical 윤병석
Priority to KR10201701725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26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26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26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45Manufacturing or assembly of air ducts; Method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09Duct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connecting means, e.g. fl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54Duct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ounting means, e.g. suppo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uct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기장치용 슬리브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복수 개의 실내공간으로 연장된 복수 개의 급기용 환기배관 및 배기용 환기배관과 상기 실내공간과 벽체로 구획되는 공조실에 설치되는 환기장치를 서로 연결시키는 슬리브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 어셈블리는 상기 복수 개의 급기용 환기배관 또는 배기용 환기배관을 상기 환기장치에 구비되어 급기가 공급되는 단일 공급덕트 또는 내기가 배기되는 단일 배기덕트와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환기장치용 슬리브 어셈블리 및 그 설치방법{Sleelve Assembly For Ventilation Device And Installing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환기장치용 슬리브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 개의 구획된 실내 공간으로 실외의 공기를 공급하고 실내의 공기를 실외로 배기하도록 실내 공간과 분리된 공조실에 환기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환기장치와 복수 개의 배관을 연결하는 경우에 보다 빠른 시간 내에 용이하게 작업할 수 있는 환기장치용 슬리브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실내공기 환기 기능은 사무용 공간 또는 공장 등의 대형 건물에만 제공되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나, 최근 신축되는 주거형 건물에는 냉방 또는 난방 등의 온도 조절기능 이외에도 실내공기의 오염도를 조절하기 위한 환기 기능을 제공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최근 신축되는 아파트 등의 주거용 건물에도 이와 같은 환기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환기장치가 제공되고 있다.
아파트 등에 설치되는 종래 환기장치는 각 가정별로 베란다에 환기장치 본체 하나가 구비되고, 각각의 구획된 복수 개의 실내공간으로 환기배관을 통해 오염된 실내공기를 흡입하여 배출하고 신선한 외부 공기를 공급하게 된다.
이 경우 실내공간과 벽체 등으로 구획된 공간, 예를 들어 공조실 등에 환기장치를 배치하고, 상기 벽체를 관통하여 상기 환기배관과 상기 환기장치를 연결하게 된다.
이때, 실내공간은 복수 개의 공간으로 구획될 수 있으며, 각 공간으로 실외의 공기를 공급하고 실내의 공기를 배기하기 위하여 복수 개의 환기배관을 필요로 하게 된다.
상기 복수 개의 환기배관은 전술한 환기장치에 연결되는데, 구체적으로 상기 환기장치가 설치된 공조실의 벽체를 통해 상기 환기장치와 연결된다.
이 경우, 상기 복수 개의 환기배관을 상기 환기장치에 연결하는 경우 상기 환기장치에 복수 개의 연결배관이 직접 연결된다면, 상기 복수 개의 환기배관과 환기장치를 연결하는 연결작업이 매우 복잡할 뿐만 아니라 작업에 걸리는 시간이 많이 소요될 수 있다.
특히, 전술한 환기장치는 일반적으로 실내공간과 벽체로 구획되는 공조실에 주로 설치되므로, 상기 복수 개의 환기배관은 상기 벽체를 관통하여 설치되어야 한다. 이때 상기 복수 개의 환기배관의 각각을 상기 벽체를 관통하도록 설치하는 작업은 매우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각 환기배관의 유지보수가 필요한 경우에 상기 벽체를 뜯어내서 작업을 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한편, 종래의 환기장치들은 실내의 온도 및 압력과 실외의 온도 압력이 다를 수 있고, 압력차가 발생하는 경우에 원래 의도된 방향으로 공기가 흐르지 않고, 역류하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종래 환기장치는 복수 개의 환기배관의 유량을 조절할 수가 없어 너무 과도하게 환기되거나, 너무 부족한 문제, 복수 개의 환기배관의 유량이 서로 달라 구획된 실내공간에 환기되는 양 또는 비율이 고르지 못한 문제 등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 등에 환기장치를 설치하는 경우에 상기 환기장치와 환기배관을 종래에 비해 간편하고 빠르게 연결시킬 수 있는 환기장치용 슬리브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 개의 실내공간으로 연장된 복수 개의 환기배관을 벽체를 통해 상기 환기장치에 연결하는 경우에 보다 간편하고 유지보수가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환기장치용 슬리브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환기장치를 통해 복수 개의 실내공간에 외기를 공급하거나, 실내의 공기를 배기하는 경우에 각 환기배관을 통해 동일한 유량이 공급되도록 하여 실내공간의 환기 비율을 적절하게 맞출 수 있는 환기장치용 슬리브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복수 개의 실내공간으로 연장된 복수 개의 급기용 환기배관 또는 배기용 환기배관과 상기 실내공간과 벽체로 구획되는 공조실에 설치되는 환기장치를 서로 연결시키는 환기장치용 슬리브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환기장치용 슬리브 어셈블리는 상기 복수 개의 급기용 환기배관 또는 배기용 환기배관을 상기 환기장치에 연결되어 급기가 공급되는 단일 공급덕트 또는 내기가 배기되는 단일 배기덕트와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용 슬리브 어셈블리를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환기장치용 슬리브 어셈블리는 상기 벽체를 관통하여 구비되며 상기 벽체 또는 천장콘크리트에 고정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서 상기 복수 개의 급기용 환기배관 또는 배기용 환기배관과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측으로 소정길이 삽입되는 복수 개의 파이프부재와, 상기 파이프부재와 상기 단일 공급덕트 또는 단일 배기덕트를 연결시키도록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는 연결프레임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환기장치가 설치된 공조실에 노출되며 전후방이 개방된 제1 하우징과, 상기 제1 하우징과 결합되어 상기 실내공간으로 노출되고 전후방이 개방된 제2 하우징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 중에 적어도 하나는 천장콘크리트에 고정되는 고정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프레임은 상기 제1 하우징의 개방된 후방을 통해 상기 단일 공급덕트 또는 단일 배기덕트와 연결호스를 통해 연결되도록 돌출 형성되는 연결부를 구비한 제1 연결프레임과, 상기 제1 연결프레임과 결합되어 상기 제2 하우징의 개방된 전방을 통해 상기 복수 개의 파이프부재가 돌출되도록 상기 파이프부재가 결합되는 복수 개의 결합공이 형성된 제2 연결프레임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파이프부재는 상기 제2 연결프레임의 결합공에 결합너트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이프부재는 상기 제2 연결프레임에 상하로 적층되어 복수 개가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공조실에 노출된 상기 제1 하우징의 일면을 차폐하는 커버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는 상기 공조실의 벽면과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커버에는 상기 제1 연결프레임의 연결부가 돌출되는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급기 또는 배기의 유량을 조절하는 풍량조절댐퍼와 역류를 방지하는 역류방지댐퍼 중에 적어도 하나를 상기 복수의 파이프부재의 적어도 하나의 내측에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풍량조절댐퍼는 상기 파이프부재가 상기 연결호스에서 편심된 정도에 따라 개방도가 조절되며, 상기 파이프부재를 통과하는 유량이 동일하도록 상기 개방도가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역류방지댐퍼는 상기 파이프부재의 내측에서 상기 풍량조절댐퍼에 비해 상기 환기장치에서 멀리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환기장치용 슬리브 어셈블리는 상기 복수 개의 급기용 환기배관을 상기 단일 공급덕트와 연결하는 제1 슬리브 어셈블리와, 상기 복수 개의 배기용 환기배관을 상기 단일 배기덕트와 연결시키는 제2 슬리브 어셈블리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복수 개의 실내공간으로 연장된 복수 개의 급기용 환기배관 또는 배기용 환기배관과 상기 실내공간과 벽체로 구획되는 공조실에 설치되어 단일 공급덕트 또는 단일 배기덕트를 가지는 환기장치를 서로 연결시키는 전술한 환기장치용 슬리브 어셈블리를 상기 벽체에 설치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벽체의 관통홀에 하우징을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연결프레임을 설치하여 복수 개의 급기용 환기배관 또는 배기용 환기배관과 상기 환기장치의 단일 공급덕트 또는 단일 배기덕트를 서로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용 슬리브 어셈블리의 설치방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환기장치용 슬리브 어셈블리에 따르면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 등에 환기장치를 설치하는 경우에 상기 환기장치와 환기배관을 종래에 비해 간편하고 빠르게 연결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 개의 실내공간으로 연장된 복수 개의 환기배관을 벽체를 통해 상기 환기장치에 연결하는 경우에 보다 간편하게 작업할 수 있으며, 추후 유지보수 및 세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환기장치를 통해 복수 개의 실내공간에 외기를 공급하거나, 실내의 공기를 배기하는 경우에 각 환기배관을 통해 동일한 유량이 공급되도록 하여 실내공간의 환기 비율을 적절하게 맞출 수 있다.
도 1은 환기장치가 설치된 주택을 도시한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2는 상기 환기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3은 상기 환기장치가 슬리브 어셈블리를 통하여 공조실의 벽체를 관통하여 환기배관과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도 3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5는 상기 슬리브 어셈블리의 결합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6은 상기 슬리브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7은 상기 슬리브 어셈블리의 측면 분해도를 도시한다.
도 8은 상기 슬리브 어셈블리의 평면 분해도를 도시한다.
도 9는 상기 슬리브 어셈블리의 파이프부재의 내측에 구비된 풍량조절댐퍼와 역류방지댐퍼를 도시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도 1은 환기장치(110)가 설치된 주택 등의 실내 공간의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환기장치(110)는 복수 개의 구획된 실내 공간으로 실외의 공기를 공급하고 상기 실내의 공기를 상기 실외로 배기하는 복수의 환기배관(200)과 연결되며, 상기 실내 공간과 분리되어 구비된 공조실(AS)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실내공간은 하나의 거주 공간, 사무공간 등을 구획하는 복수의 방, 주방, 거실, 베란다, 창고 등으로 구획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공조실(AS)은 상기 베란다에 비치될 수 있다.
상기 환기배관(200)은 상기 구획된 실내공간 중 어느 하나의 공간과 실외를 연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고, 실내공간의 천정에 구비되거나, 천정 상부에 삽입되어 구비될 수 있다.
주거공간을 기준으로 설명하면, 상기 주거 공간은 벽 등의 파티션으로 복수 개로 구획되고, 각각의 공간에는 실내 공기를 흡입하거나 실외 공기를 토출하기 위한 실내 디퓨저(210a, 210b)가 천정 또는 벽면에 구비될 수 있다.
주거용 공간의 환기 방식은 실내 공기를 실외로 배출하는 방식, 실외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는 방식 및 두 가지가 함께 적용되는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주거 공간은 실내 공기를 실외로 배출하는 방식, 실외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는 방식이 함께 사용되는 방식으로 환기 기능이 구현되는 아파트 등의 주거공간에 환기장치(110)가 적용된 예를 도시한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주거 공간은 각각 구획된 공간 별로 급기용 실내 디퓨저(210a)와 배기용 실내 디퓨저(210b)가 구비되고, 각각의 실내 디퓨저(210a, 210b)에 연결된 급기용 및 배기용 환기배관(200)이 실외 공기에 노출된 공조 공간, 예를 들면 베란다 등의 공조실(AS)로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공조실(AS)에 위치한 환기장치(110)는 슬리브 어셈블리(500)를 통해 복수 개의 환기배관(200)과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공조실(AS) 등의 공조 공간이 실외와 직접 인접한 공간이 아니어도 무방하다.
상기 급기용 실내 디퓨저(210a)와 배기용 실내 디퓨저(210b)가 구비되고, 각각의 실내 디퓨저(210a, 210b)에 연결된 급기용 및 배기용 환기배관(2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퓨저의 개수에 대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나의 환기장치(110)에 연결되는 급기용 및 배기용 환기배관(200)은 디퓨저의 개수에 대응하여 구비될 수 있다.
도 1의 실내공간을 참고하면, 상기 급기용 및 배기용 환기배관(200)은 각각 6개씩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급기용 및 배기용 환기배관(200)은 구획된 실내공간의 개수에 따라 증감 가능이 가능하다.
상기 환기장치(110)는 실내공간의 개수에 따라 상기 급기용 및 배기용 환기배관(200)이 개수가 달라지더라도 이에 대응하여 상기 급기용 및 배기용 환기배관에 모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환기장치(110)는 실내로 공급되는 실외공기(이하, '급기'라 함)가 흡입되는 흡입덕트(180a)와 실외로 배출되는 실내공기(이하, '내기'라 함)가 배출되는 배출덕트(180b)를 구비한다.
따라서, 상기 흡입덕트(180a)를 통해 상기 환기장치(110)로 흡입된 급기는 상기 급기용 환기배관(200a) 및 급기용 실내 디퓨저(210a)를 통해 실내 공간으로 공급된다. 또한, 상기 배기용 실내 디퓨저(210b) 및 배기용 환기배관(200b)를 통해 상기 환기장치(110)로 유입된 내기는 상기 배출덕트(180b)를 통해 외부로 배기된다.
도 2는 상기 환기장치(110)의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환기장치(110)는 상기 실내로 공급되는 급기가 흐르는 급기유로 상에 설치되는 제1 팬유닛(140)과, 상기 실내에서 흡입된 내기가 흐르는 배기유로 상에 설치되는 제2 팬유닛(130)과, 상기 급기유로 및 상기 배기유로의 교차점에 설치되어 상기 급기와 내기의 열교환을 위한 열교환기(120)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환기장치(110)는 상기 제1 팬유닛(140)과 상기 제2 팬유닛(130) 및 상기 열교환기(120)를 수용하고, 일면에 상기 급기가 흡입되는 흡입덕트(180a)와 상기 내기가 배출되는 배출덕트(180b)가 구비되고, 타면에 상기 급기가 배출되는 공급덕트(170a)와 상기 내기가 흡입되는 배기덕트(170b)를 구비하는 하우징(112)을 구비한다.
이때, 상기 공급덕트(170a)와 배기덕트(170b)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공급덕트(170a)와 배기덕트(170b)는 플렉서블한(flexible)한 연결호스(190)를 통해 후술하는 슬리브 어셈블리(500)(도 3 참조)와 연결된다. 상기 슬리브 어셈브리(500)에 대해서는 이후에 상세히 살펴본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우징(112) 내에서 상기 열교환기(120)를 중심으로 상기 급기유로(sap) 및 상기 배기유로(iap)를 구획하기 위한 복수 개의 파티션 부재(142)를 구비하여 하우징 내부의 열교환기(120)를 제외한 공간을 구획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120)는 내기와 급기의 열교환을 위한 장치로서, 환기 과정에서 실내 공기의 급격한 변화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급기유로(sap) 및 상기 배기유로(iap)는 상기 하우징(112) 내에서 파티션 부재(142)에 의하여 분리되나, 환기 과정에서 열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상기 열교환기(120)가 구비되고, 상기 열교환기(120) 영역에서는 상기 급기유로(sap)와 상기 배기유로(iap)가 교차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열교환기(120)는 상기 급기유로(sap) 및 상기 배기유로(iap)를 복수 층으로 이격시켜 분할하고 각각의 층 사이에 상대 유로를 배치하여 내기와 급기가 유동하는 과정에서 열교환을 통해 온도 편차를 줄이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제1 팬유닛(140)과 제2 팬유닛(130)은 실내에서 흡입된 내기와 실내로 공급되는 급기의 압력차를 발생시켜 송풍 구동력을 제공한다.
상기 환기장치(110)를 구성하는 하우징(112) 내에 급기가 유동하는 급기유로(sap)와 내기가 배출되는 배기유로(iap)가 구비되고 각각의 급기유로(sap)와 배기유로(iap) 상에 각각 급기팬유닛으로 동작하는 제1 팬유닛(140)과 배기팬유닛으로 동작하는 제2 팬유닛(130)이 구비된다.
한편, 상기 환기장치(110)의 공급덕트(170a)와 배기덕트(170b)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연결호스(190)를 통해 슬리브 어셈블리(500)와 연결되며, 상기 슬리브 어셈블리(500)를 통해 복수 개의 환기배관(200a, 200b)과 연결된다.
만약, 상기 복수 개의 환기배관(200a, 200b)을 상기 환기장치(110)에 연결하는 경우 상기 환기장치(110)에 복수 개의 환기배관(200a, 200b)이 직접 연결된다면, 상기 복수 개의 환기배관(200a, 200b)과 환기장치(110)를 연결하는 연결작업이 매우 복잡할 뿐만 아니라 작업에 걸리는 시간이 많이 소요될 수 있다.
특히, 전술한 환기장치(110)는 일반적으로 실내공간과 벽체(10)(도 3 참조)로 구획되는 공조실(AS)에 주로 설치되므로, 상기 복수 개의 환기배관(200a, 200b)은 상기 벽체(10)를 관통하여 설치되어야 한다. 이때 상기 복수 개의 환기배관(200a, 200b)의 각각을 상기 벽체(10)를 관통하도록 설치하는 작업은 매우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각 환기배관의 유지보수가 필요한 경우에 상기 벽체를 뜯어내서 작업을 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급기용 환기배관(200a)과 배기용 환기배관(200b)이 복수 개로 구비되더라도, 상기 슬리브 어셈블리(500)에 의해 상기 환기배관(200a, 200b)들을 상기 하나의 공급덕트(170a)와 하나의 배기덕트(170b)에 연결 또는 연통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환기장치(110)는 상기 환기배관(200a, 200b)들의 수가 복수 개로 구비되거나 그 수가 증감하는 것에 상관 없이 항상 하나의 공급덕트(170a)와 하나의 배기덕트(170b)만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슬리브 어셈블리(5000가 상기 하우징(112)과 상기 환기배관(200a, 200b)을 연결하는 커넥터(connector)의 역할을 수행한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환기장치(110)의 크기가 커지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으므로, 환기장치(110)는 각각 하나의 공급덕트(170a) 또는 배기덕트(170b)를 구비하고 전술한 슬리브 어셈블리(500)를 통해 복수 개의 분리된 공간의 환기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슬리브 어셈블리(500)는 상기 공급덕트(170a) 또는 배기덕트(170b)의 유로 중심 위치와 편심된 다수개의 파이프부재(800)(도 5 참조)를 구비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유량 조절수단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환기량의 편차가 발생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슬리브 어셈블리(500)의 복수 개의 파이프부재(800)에는 유동하는 공기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는 전동식 댐퍼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파이프부재(800)에 구비되는 댐퍼의 개도를 조절하여 각각의 환기배관(200) 공급되는 공기 유량의 편차를 제거하거나, 특정 공간에 대한 환기 기능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슬리브 어셈블리(500)의 복수 개의 상기 파이프부재(800)에 구비된 각각의 전동식 댐퍼의 개방정도는 공급덕트(170a) 또는 배기덕트(170b)의 유로 중심으로부터의 편심 정도와 비례하게 제어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각각의 파이프부재(800)를 통해 각각의 실내공간의 환기량의 편차를 최소화하거나 선택적 환기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댐퍼의 구성 및 기능에 대해서는 이후에 상세히 살펴본다.
도 3은 상기 환기장치(110)가 슬리브 어셈블리(500)를 통해 공조실(AS)의 벽체(10)를 관통하여 환기배관(200)과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이고, 도 4는 도 3의 평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슬리브 어셈블리(500)는 공조실(AS)을 실내공간과 구획하는 벽체(10)를 관통하여 설치되며, 천장콘크리트(12)에 인접하여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슬리브 어셈블리(500)의 일면은 상기 연결호스(190a, 190b)를 통해 전술한 상기 환기장치(110)의 상기 공급덕트(170a)와 상기 배기덕트(170b)와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환기장치(110)의 상기 공급덕트(170a)는 공급용 연결호스(190a)를 통해 제1 슬리브 어셈블리(500a)와 연결되고, 상기 환기장치(110)의 상기 배기덕트(170b)는 배기용 연결호스(190b)를 통해 제2 슬리브 어셈블리(500b)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환기장치용 슬리브 어셈블리(500)는 상기 복수 개의 급기용 환기배관(200a)을 상기 단일 공급덕트(170a)와 연결하는 제1 슬리브 어셈블리(500a)와, 상기 복수 개의 배기용 환기배관(200b)을 상기 단일 배기덕트(170b)와 연결시키는 제2 슬리브 어셈블리(500b)를 구비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슬리브 어셈블리(500)는 상기 환기장치(110)를 통해 공급된 급기를 복수 개의 실내공간으로 분기하여 공급해주는 제1 슬리브 어셈블리(500a)와, 상기 복수 개의 실내공간에서 배기되는 내기를 상기 환기장치(110)로 배기해주는 제2 슬리브 어셈블리(500b)로 구성된다.
급기 및 배기를 위한 슬리브 어셈블리를 별도로 구비하게 되어, 상기 환기장치(110)와 상기 복수 개의 환기배관(200)을 연결하는 경우에 보다 빠른 시간 내에 용이하게 작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급기 및 배기를 위한 슬리브 어셈블리를 별도로 구비함으로써, 상기 공급덕트(170a)와 배기덕트(170b)를 유동하는 공기가 서로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1 슬리브 어셈블리(500a)와 제2 슬리브 어셈블리(500b)는 동일한 구성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급기 및 배기를 위한 별개의 슬리브 어셈블리를 준비할 필요가 없이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경제적이고 효과적인 연결작업이 가능해진다.
이때, 상기 환기장치(110)와 슬리브 어셈블리(500)를 연결하는 연결호스(190)는 플렉서블하고 신축성 있는 주름관으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환기장치(110)의 위치 및 높이와 상기 슬리브 어셈블리(500)의 위치 및 높이가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도 신축성 있는 연결호스(190)에 의해 용이하게 연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일반적으로 상기 공급덕트(170a)와 배기덕트(170b)가 상기 하우징(112)의 일면에 구비되므로, 상기 공급덕트(170a) 및 배기덕트(170b)와 각각 연결되는 상기 제1 슬리브 어셈블리(500a)와 제2 슬리브 어셈블리(500b)를 벽체(10)에 인접하여 설치할 수 있게 되어 작업 공간을 동일하게 유지할 수 있어서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실내 공간의 천장마감재(14)는 상기 천장콘크리트(12)와 소정 거리 이격되어 설치되더 복수 개의 환기배관(200)이 분기되어 연장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즉, 상기 슬리브 어셈블리(500)와 연결되어 복수 개의 실내공간으로 분기되는 복수 개의 환기배관(200)은 상기 천장마감재(14)에 의해 가려지게 되어, 실내 공간의 내부에서 보이지 않게 되어 쾌적하고 미려한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전술한 슬리브 어셈블리(500)에서 상기 제1 슬리브 어셈블리(500a)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6은 상기 제1 슬리브 어셈블리(500a)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상기 제1 슬리브 어셈블리(500a)의 측면 분해도이고, 도 8은 상기 제1 슬리브 어셈블리(500a)의 평면 분해도이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환기장치용 슬리브 어셈블리(5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실내공간으로 연장된 복수 개의 급기용 환기배관(200a) 및 배기용 환기배관(200b)과 상기 실내공간과 벽체(10)로 구획되는 공조실(AS)에 설치되는 상기 환기장치(110)를 서로 연결시키게 된다. 이 때, 상기 환기장치용 슬리브 어셈블리(500)는 상기 복수 개의 급기용 환기배관(200a) 또는 배기용 환기배관(200b)을 상기 환기장치(110)에 구비되어 급기가 공급되는 단일 공급덕트(170a) 또는 내기가 배기되는 단일 배기덕트(170b)와 연결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환기장치용 슬리브 어셈블리(500)는 상기 복수 개의 급기용 환기배관(200a)을 상기 단일 공급덕트(170a)와 연결하는 제1 슬리브 어셈블리(500a)와, 상기 복수 개의 배기용 환기배관(200b)을 상기 단일 배기덕트(170b)와 연결시키는 제2 슬리브 어셈블리(500b)를 구비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슬리브 어셈블리(500a)와 제2 슬리브 어셈블리(500b)는 동일한 구성을 가지게 되므로 이하에서는 상기 제1 슬리브 어셈블리(500a)를 중심으로 살펴본다.
상기 제1 슬리브 어셈블리(500a)는 상기 벽체(10)를 관통하여 구비되며 상기 벽체(10) 또는 천장콘크리트(12)에 고정되는 하우징(300)과, 상기 하우징(300)의 일측에서 상기 복수 개의 급기용 환기배관(200a) 또는 배기용 환기배관(200b)과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300)의 내측으로 소정길이 삽입되는 복수 개의 파이프부재(800)와, 상기 파이프부재(800)와 상기 단일 공급덕트(170a) 또는 단일 배기덕트(170b)를 연결시키도록 상기 하우징(300) 내부에 구비되는 연결프레임(400)을 구비한다.
상기 하우징(300)은 상기 제1 슬리브 어셈블리(500a)의 외관을 형성하며 내측에 연결프레임(400), 파이프부재(800) 등을 구비하게 된다.
이때, 상기 하우징(300)은 상기 환기장치(110)가 설치된 공조실(AS)로 노출되며 전후방이 개방된 제1 하우징(310)과, 상기 제1 하우징(310)과 결합되어 실내 공간으로 노출되고 전후방이 개방된 제2 하우징(33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300)을 설치하는 경우에 상기 공조실(AS)을 실내공간과 구획하는 벽체(10)를 관통하여 설치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하우징(300)이 일체형 바디로 형성된다면 상기 벽체(10)를 관통하여 설치하는 경우에 상기 벽체(10)에 상대적으로 큰 관통홀을 형성하고 상기 관통홀에 하우징(300)을 설치해야 하며, 또한 상기 관통홀와 하우징 사이의 간격을 메우는 마무리 작업이 필요하게 된다. 이러한 작업은 상대적으로 많은 고정을 필요로 하게 되어 설치 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하우징(300)을 제1 하우징(310)과 제2 하우징(330)의 2개로 분할하여 준비하며, 상기 제1 하우징(310)은 상기 공조실(AS)에서 상기 벽체(10)의 관통홀(미도시)에 삽입되고, 상기 제2 하우징(330)은 실내공간의 천장에서 상기 벽체(10)의 관통홀에 삽입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벽체(10)에 형성된 관통홀은 상기 하우징(300)의 단면에 대응하는 크기로 마련되면 충분하며, 더 큰 크기로 준비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작업 공정이 단순하고 용이하여 빠른 시간 내에 작업이 완료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하우징(310)은 전후방이 개방되어 내부에 연결공간(318)이 제공되는 제1 몸체부(314)를 구비한다. 상기 제1 몸체부(314)는 대략 단면이 사각형인 육면체의 형상을 가지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적절하게 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제1 하우징(310)에서 상기 공조실(AS)로 노출되는 전방쪽에는 가장자리를 따라 제1 연결플랜지(316)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플랜지(316)는 상기 제1 몸체부(314)의 전방측 단부의 가장자리에서 바깥쪽을 향해 수직하게 절곡되고, 소정거리 연장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 하우징(310)을 상기 벽체(10)의 관통홀에 삽입하여 설치하는 경우에 상기 제1 연결플랜지(316)가 상기 관통홀의 가장자리에 간섭되어 상기 제1 하우징(310)이 상기 관통홀로 더 이상 삽입되지 않도록 한다. 이에 의해, 상기 제1 하우징(310)을 설치하는 경우에 상기 제1 하우징(310)이 상기 관통홀로 완전히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하우징(310)에는 천장콘크리트(12)에 고정되는 제1 고정부(31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고정부(312)는 예를 들어 상기 제1 연결플랜지(316)에서 소정길이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고정부(312)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연결플랜지(316)를 따라 소정거리 이격된 한 쌍의 제1 고정부(31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고정부(312)에 결합공(313)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공(313)을 관통한 볼트 등의 체결수단이 천장콘크리트(12)에 연결되어, 상기 제1 하우징(310)을 천장콘크리트(12)에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하우징(330)은 전술한 제1 하우징(310)과 상이한 형태 또는 형상을 가질 수 있지만, 이 경우 제작이 어려우며 범용적으로 사용하기 어렵게 된다. 따라서, 제작의 용이성 및 범용성을 고려하여 상기 제2 하우징(330)은 전술한 제1 하우징(310)과 동일한 형태 또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하우징(330)의 연결공간(338)이 제공되는 제2 몸체부(334), 제2 연결플랜지(336) 및 제2 고정부(332)의 구성은 전술한 제1 하우징(310)의 설명과 유사하므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전술한 하우징(300)에는 상기 복수 개의 급기용 환기배관(200a) 또는 배기용 환기배관(200b)과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300)의 내측으로 소정길이 삽입되는 복수 개의 파이프부재(800)와, 상기 파이프부재(800)와 상기 단일 공급덕트(170a) 또는 단일 배기덕트(170b)를 연결시키도록 상기 하우징(300) 내부에 구비되는 연결프레임(400)이 제공된다.
한편, 상기 연결프레임(400)은 상기 하우징(300)의 내측의 연결공간에 제공되어 전술한 파이프부재(800)와 상기 단일 공급덕트(170a) 또는 단일 배기덕트(170b)를 연결시키게 된다. 이 경우, 상기 파이프부재(800)는 일단부가 상기 연결프레임(400)의 내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단일 공급덕트(170a) 또는 단일 배기덕트(170b)와 연통되고, 타단부는 상기 하우징(300)의 일면에서 소정 길이 돌출 형성되어 상기 복수 개의 급기용 환기배관(200a) 또는 배기용 환기배관(200b)과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결프레임(400)은 상기 제1 하우징(310)의 개방된 전방을 통해 상기 단일 공급덕트(170a) 또는 단일 배기덕트(170b)와 연결호스(190)를 통해 연결되도록 돌출 형성되는 연결부(412)를 구비한 제1 연결프레임(410)과, 상기 제1 연결프레임(410)과 결합되어 상기 제2 하우징(330)의 개방된 전방을 통해 상기 복수 개의 파이프부재(800)가 돌출되도록 상기 파이프부재(800)가 결합되는 복수 개의 결합공(438)이 형성된 제2 연결프레임(43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프레임(410)은 전술한 제1 하우징(310)의 내부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제1 프레임몸체부(414)를 구비할 수 있으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프레임몸체부(414)는 후방이 개방된 대략 직육면체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제1 연결프레임(410)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적절하게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제1 연결프레임(410)의 전방측에는 전술한 연결부(412)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연결부(412)는 전술한 제1 하우징(310)의 개방된 전방을 통해 상기 공조실(AS)을 향해 소정 거리 돌출 형성되어, 상기 환기장치(110)의 단일 공급덕트(170a) 또는 단일 배기덕트(170b)와 연결호스(190)를 통해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슬리브 어셈블리(500a)에 대해서 살펴보고 있으므로, 상기 연결부(412)는 단일 공급덕트(170a)와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슬리브 어셈블리(500b)의 연결부는 단일 배기덕트(170b)와 연결된다.
한편, 상기 제1 연결프레임(410)의 연결부(412)가 상기 공조실(AS)을 향해 돌출하여 배치되는 경우에 상기 공조실(AS)에서 바라보는 경우에 외관이 미려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공조실(AS)에 노출된 상기 제1 하우징(310)의 일면을 차폐하는 커버(81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커버(810)는 상기 공조실(AS)에 노출된 상기 제1 하우징(310)의 단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커버(810)는 상기 공조실(AS)의 벽면과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공조실(AS)의 벽면에 굴곡부를 최대한 줄이고, 상기 슬리브 어셈블리(500)를 설치하는 경우에 내부 구성요소를 가려서 외관상 미려함을 더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커버(810)에는 상기 제1 연결프레임(410)의 연결부(412)가 돌출되는 관통공(81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공(812)은 상기 연결부(412)에 대응한 형상 및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연결프레임(410)의 연결부(412)가 상기 커버(810)의 관통공(812)을 관통하여 돌출됨으로써 상기 연결호스(190a)를 통해 단일 공급덕트(170a)와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연결프레임(430)은 전술한 제1 연결프레임(410)에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300)의 내측에 구비된다. 이 경우, 상기 제2 연결프레임(430)은 상기 제1 연결프레임(410)을 향한 후방이 개방된 제2 프레임몸체부(434)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프레임몸체부(434)는 상기 제1 연결프레임(410)과 유사하게 대략 후방이 개방된 직육면체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연결프레임(430)에는 복수 개의 제2 체결공(436)이 제공되고, 마찬가지로 상기 제1 연결프레임(410)에도 제1 체결공(416)이 제공되어, 상기 제1 체결공(416)과 제2 체결공(436)을 관통하여 체결시키는 볼트 등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연결프레임(430)의 전방은 전술한 제2 하우징(330)의 개방된 전방을 통해 실내공간의 천장영역으로 노출된다.
상기 제2 연결프레임(430)의 전방측에는 전술한 복수 개의 파이프부재(800)가 구비된다. 상기 파이프부재(800)는 전술한 복수 개의 환기배관(200a, 200b)과 연결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급기를 위한 제1 슬리브 어셈블리(500a)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으므로, 상기 파이프부재(800)의 개수는 상기 급기용 환기배관(200a)의 개수에 대응하도록 마련된다. 이때, 상기 복수 개의 파이프부재(800)는 상기 제2 연결프레임(430)에 설치되어 상기 급기용 환기배관(200a)과 각각 일대일로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환기장치(110)에서 급기용 연결호스(190a)를 통해 공급덕트(170a)에서 공급된 급기는 상기 제1 슬리브 어셈블리(500a)의 상기 연결프레임(400)에서 상기 파이프부재(800)를 통해 분기되어 복수 개의 급기용 환기배관(200a)으로 제공된다.
반면에, 배기를 위한 제2 슬리브 어셈블리(500b)의 경우에는 복수 개의 실내공간에서 배기된 내기가 복수 개의 배기용 환기배관(200b)을 통해 배기되고, 이러한 배기는 상기 연결프레임에서 하나로 합기되어 배기용 연결호스(190b) 및 배기덕트(170b)를 통해 상기 환기장치(110)로 배기된다.
한편, 상기 제2 연결프레임(430)의 일면에는 상기 파이프부재(800)가 결합되는 복수 개의 결합공(438)이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파이프부재(800)는 상기 제2 연결프레임(430)에 상하로 적층되어 복수 개가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결합공(438)은 상기 연결프레임(430)의 일면에 상하로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결합공(438)은 상기 파이프부재(800)의 개수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파이프부재(800)는 다양한 방식으로 상기 결합공(438)에 체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공(438)의 내주면을 따라 나사산(439)이 형성되고, 상기 파이프부재(800)의 외주면에도 나사산(810)이 형성되어, 상기 파이프부재(800)를 상기 결합공(438)에 나사산 결합에 의해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이프부재(800)를 상기 결합공(438)에 연결하는 경우에 연결너트(70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연결너트(700)는 그 내주며에 나사산(710)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파이프부재(800)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810)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파이프부재(800)를 상기 제2 연결프레임(430)의 결합공(438)에 나사결합시키는 경우에 상기 연결너트(700)에 의해 상기 파이프부재(800)가 상기 결합공(438)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 개의 파이프부재(800)를 구비하는 경우에도 상기 연결너트(700)에 의해 상기 파이프부재(800)가 상기 제2 연결프레임(430)에서 돌출되는 길이를 모두 동일하게 맞출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상기 파이프부재(800)와 상기 급기용 환기배관(200a)을 연결하는 작업이 매우 효과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제1 슬리브 어셈블리(500a)는 상기 급기 또는 배기의 유량을 조절하는 풍량조절댐퍼(1400)와 역류를 방지하는 역류방지댐퍼(1500) 중에 적어도 하나를 상기 복수의 파이프부재(800)의 적어도 하나의 내측에 구비할 수 있다.
도 9는 상기 복수 개의 파이프부재(800) 중에 어느 하나의 내측에 제공된 풍량조절댐퍼(1400)와 역류방지댐퍼(1500)를 도시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풍량조절댐퍼(1400)는 상기 각각의 파이프부재(800)의 내주면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파이프부재(800)의 개폐도를 조절하는 풍량조절셔터(1410)와, 상기 파이프부재(800)의 일면에 고정되고 상기 풍량조절셔터(1410)의 일단에 결합되어 상기 풍량조절셔터를 회전시킬 수 있는 풍량조절레버(1420)와, 상기 풍량조절레버(1420)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셔터고정볼트(14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풍량조절셔터(1410)는 회전중심을 형성하는 회전축(1440)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회전축(1440)의 일단은 상기 풍량조절래버(142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회전핀(145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1440)이 상기 풍량조설셔터(1410)에 일체로 구비되는 경우, 상기 풍량조절셔터(1410)의 양단이 상기 회전핀(1450)과 상기 퐁량조절레버(142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풍량조절셔터(1410)는 상기 풍량조절레버(1420)의 회전에 의해 함께 회전하며 상기 파이프부재(800)의 개방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셔터고정볼트(1430)는 상기 풍량조절셔터(1410)가 임의로 회전하는 것이 방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파이프부재(800)가 상기 연결호스(190a, 190b)에서 편심된 정도에 따라 상기 풍량조절댐퍼(1400)의 개방도가 조절되며, 또한 상기 파이프부재(800)를 통과하는 유량이 동일하도록 상기 풍량조절댐퍼(1400)의 개방도가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환기장치(110)의 공급덕트(170a)를 통해 급기를 공급하는 경우에 상기 제1 슬리브어셈블리(500a)의 내측에서 상기 급기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파이프부재(800)를 통해 분기되어 공급된다.
이때, 상기 파이프부재(80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파이프부재(800a), 제2 파이프부재(800b) 및 제3 파이프부재(800c)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파이프부재(800) 중에 가운데에 배치된 제2 파이프부재(800b)를 살펴보면, 상기 제2 파이프부재(800b)는 상기 급기용 연결호스(190a)의 중심과 대략 일치하도록 배치된 것을 알 수 있으며, 상기 급기용 연결호스(190a)의 중심에서 거의 편심되지 않을 것을 알 수 있다.
반면에 제1 파이프부재(800a) 및 제3 파이프부재(800c)를 살펴보면, 상기 급기용 연결호스(190a)의 중심과 일치하지 않으며 상기 제2 파이프부재(800b)에 비해 상기 급기용 연결호스(190a)의 중심에서 많이 편심된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풍량조절댐퍼(1400)를 파이프부재(800)의 내측에 구비하지 않는다면, 상기 파이프부재(800)를 통해 공급되는 급기의 양은 상이할 수 있다. 즉, 상기 제2 파이프부재(800b)를 통해 공급되는 급기(B)의 양이 제1 파이프부재(800a) 및 제3 파이프부재(800c)를 통해 공급되는 급기(A, C)의 양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많게 된다.
따라서, 상기 파이프부재(800)의 내측에 배치된 풍량조절댐퍼(1400)의 개방도를 조절하여 상기 파이프부재(800)를 통과하는 유량이 동일하도록 하며, 이 경우 상기 파이프부재(800)가 상기 연결호스(190a, 190b)에서 편심된 정도에 따라 상기 풍량조절댐퍼(1400)의 개방도가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서 가운데 배치된 제2 파이프부재(800b)의 풍량조절댐퍼(1400)의 개방도는 제1 파이프부재(800a) 및 제3 파이프부재(800c)의 풍량조절댐퍼(1400)의 개방도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게 된다. 즉, 상기 연결호스(190a, 190b)의 중심과 상대적으로 편심량이 큰 제1 파이프부재(800a) 및 제3 파이프부재(800c)의 풍량조절댐퍼(1400)의 개방도가 크게 결정되며, 상기 연결호스(190a, 190b)의 중심과 상대적으로 편심량이 작은 제2 파이프부재(800b)의 풍량조절댐퍼(1400)의 개방도가 작게 결정된다.
한편, 역류방지댐퍼(1500)는 상기 파이프부재(800)의 내측에 상기 풍량조절댐퍼(1400)와 나란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역류방지댐퍼(1500)는 상기 파이프부재(800)의 내측에서 상기 풍량조절댐퍼(1400)에 비해 상기 환기장치(110)에서 멀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역류방지댐퍼(1500)도 상기 파이프부재(800)의 개방도를 조절하되, 급기 또는 배기가 역류할 경우에만 상기 파이프부재(800)를 폐쇄하도록 작동할 수 있다.
상기 역류방지댐퍼(1500)는 파이프부재(800)를 개폐가능하게 구비되는 역류방지셔터(1510)와, 상기 역류방지셔터(1510)를 회전하여 상기 파이프부재(800)의 개방도를 조절하는 정역회전모터(15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파이프부재(800)에 흐르는 공기가 역류하는 것이 감지되면 상기 정역회전모터(1520)를 제어하여 상기 파이프부재(800)를 폐쇄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환기장치(110)의 환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역류의 감지는 유량센서(미도시)를 통해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파이프부재(8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2 연결프레임(430)에 결합공(438)에 체결될 수 있으며, 이때 연결너트(700)에 의해 연결되는 구성은 전술한 설명과 유사하므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파이프부재(800) 내부에 풍량조절댐퍼(1400)와 역류방지댐퍼(1500)가 모두 구비되는 경우에 각각의 파이프부재(800)에 흐르는 급기 및 배기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리브 어셈블리(500)는 사용되지 않는 제2 연결프레임(430)의 결합공을 차폐하도록 구비되는 차폐막 또는 차폐부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환기가 필요하지 않은 실내공간에는 급기 또는 배기될 필요가 없으므로, 이를 차단하기 위하여 실내의 디퓨저 자체에 차단 댐퍼가 구비될 수도 있다.
그러나, 환기장치의 소비전력 자체를 효과적으로 낮추기 위하여 풍압을 생성하는 환기장치 자체의 풍량조절댐퍼(1400) 또는 역류방지댐퍼(1500)로 불필요한 풍압 손실을 차단하는 방법으로 효율적으로 소비전력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각각의 상기 파이프부재(800)에 설치되는 풍량조절댐퍼(1400) 또는 역류방지댐퍼(1500)는 각각 독립적으로 실내에 설치된 컨트롤러 등으로 개폐 제어될 수 있으므로, 사용하지 않는 공간 등의 환기 기능을 환기장치 레벨에서 차단하여 전력 소비량을 낮출 수 있다.
이하, 전술한 구성을 가지는 환기장치용 슬리브 어셈블리(500)를 설치하는 과정을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환기장치용 슬리브 어셈블리(500)를 상기 벽체(10)에 설치하는 방법은 상기 벽체(10)의 관통홀에 상기 하우징(300)을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하우징(300)의 내측에 연결프레임(400)을 설치하여 복수 개의 급기용 환기배관(200a) 또는 배기용 환기배관(200b)과 상기 환기장치(110)의 단일 공급덕트(170a) 또는 단일 배기덕트(170b)를 서로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먼저, 작업자는 도 8에 도시된 상기 하우징(300)을 상기 벽체(10)의 관통공에 삽입하여 설치한다.
이 경우, 상기 제1 하우징(310)은 상기 공조실(AS)에서 상기 벽체(10)의 관통홀(미도시)에 삽입되고, 상기 제2 하우징(330)은 실내공간의 천장에서 상기 벽체(10)의 관통홀에 삽입되어 설치된다.
상기 제1 하우징(310) 및 제2 하우징(330)을 상기 관통홀에 삽입하여 설치한 다음, 상기 제1 하우징(310) 및 제2 하우징(330)의 고정부(312, 332)를 볼트 등에 의해 천장콘크리트(12)에 연결하여 고정한다.
이어서, 작업자는 도 8에 도시된 상기 연결프레임(400)을 설치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제1 연결프레임(410)을 상기 제1 하우징(310)의 내측으로 삽입하고 상기 제1 연결프레임(410)의 연결부(412)를 상기 환기장치(110)의 단일 공급덕트(170a) 또는 단일 배기덕트(170b)와 연결호스(190)를 통해 연결시킨다.
이때, 상기 연결호스(190)는 플렉서블하고 신축성있는 주름관 형태로 제공되어 상기 환기장치(110)와 제1 연결프레임(410)을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제2 연결프레임(430)에 상기 복수 개의 파이프부재(800)를 결합하고, 상기 제2 연결프레임(430)을 상기 제2 하우징(330)의 내측으로 삽입하여 설치한다. 상기 파이프부재(800)는 상기 제2 연결프레임(430)의 결합공(438)에 나사결합방식 등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연결프레임(430)을 상기 제2 하우징(330)의 내측에 삽입하여 설치하는 경우에, 상기 제2 연결프레임(430)의 제2 체결공(436)과 상기 제1 연결프레임(410)의 상기 제1 체결공(416)을 관통하여 체결하는 볼트 등에 의해 서로 연결시킨다.
이어서, 작업자는 복수 개의 급기용 환기배관(200a) 또는 배기용 환기배관(200b)을 상기 파이프부재(800)의 단부에 연결하고, 천장마감재(14)를 설치하여 실내 공간에서 상기 복수 개의 급기용 환기배관(200a) 또는 배기용 환기배관(200b)이 보이지 않게 차폐한다.
한편, 작업자는 상기 제1 연결프레임(410)의 연결부(412)를 상기 환기장치(110)의 단일 공급덕트(170a) 또는 단일 배기덕트(170b)와 연결된 연결호스(190)와 연결시킨 다음, 상기 제1 연결프레임(410)의 노출된 면에 상기 커버(810)를 설치하여 차폐할 수 있다.
이 경우, 작업자는 상기 커버(810)를 상기 제1 하우징(310)의 개방된 단부에 설치하며, 상기 커버(810)가 상기 공조실(AS)의 벽면과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되도록 설치한다.
따라서, 상기 슬리브 어셈블리(500)를 벽체(10)에 설치하는 경우에 실내 공간으로 노출된 부분은 전술한 바와 같이 실내공간의 천장마감재(14)로 마감하여 보이지 않도록 하며, 상기 공조실(AS)에 노출된 부분은 커버(810)로 마감하여 최대한 깔끔하게 마무리하게 된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10 : 환기장치
200 : 환기배관
300 : 하우징
400 : 연결프레임
500 : 환기장치용 슬리브 어셈블리
800 : 파이프부재
700 : 연결너트

Claims (15)

  1. 복수 개의 실내공간으로 연장된 복수 개의 급기용 환기배관 또는 배기용 환기배관과 상기 실내공간과 벽체로 구획되는 공조실에 설치되며, 급기가 공급되는 단일 공급덕트 또는 내기가 배기되는 단일 배기덕트를 구비한 환기장치를 서로 연결시키기 위하여 공조실과 실내공간을 구획하는 벽체 내부에 설치되는 환기장치용 슬리브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환기장치용 슬리브 어셈블리는 상기 복수 개의 급기용 환기배관 또는 배기용 환기배관을 상기 환기장치의 상기 단일 공급덕트 또는 상기 단일 배기덕트와 연결하고,
    상기 환기장치용 슬리브 어셈블리는
    상기 벽체 또는 천장콘크리트에 고정되고, 상기 벽체 내측으로 후방이 삽입되어 장착되며, 전방은 상기 공조실에 노출되며 전후방이 개방된 제1 하우징;
    상기 벽체 또는 천장콘크리트에 고정되고, 상기 벽체 내측으로 후방이 삽입되어 장착되며, 상기 제1 하우징의 후방에 그 후방이 연결되며, 전방은 상기 실내공간으로 노출되고 전후방이 개방된 제2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의 개방된 후방을 통해 삽입되어 상기 단일 공급덕트 또는 단일 배기덕트와 연결호스를 통해 연결되도록 전방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연결부를 구비하고 후방이 개방된 제1 연결프레임; 및,
    상기 제2 하우징의 개방된 후방을 통해 삽입되며, 복수 개의 급기용 또는 배기용 환기배관과 연결되며, 내주면에 나사산이 구비된 결합공이 형성되는 제2 연결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용 슬리브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장치용 슬리브 어셈블리는
    상기 제2 하우징의 전방에서 상기 복수 개의 급기용 환기배관 또는 배기용 환기배관과 연결되며, 상기 제2 하우징에 삽입된 상기 제2 연결 프레임의 내측으로 소정길이 삽입되어 장착되고 상기 결합공 내주면의 나사산에 체결되도록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복수 개의 파이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용 슬리브 어셈블리.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 중에 적어도 하나는 공조실 또는 실내공간의 천장콘크리트에 고정되는 고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용 슬리브 어셈블리.
  5. 삭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부재는 상기 제2 연결프레임의 결합공에 결합너트에 의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용 슬리브 어셈블리.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부재는 상기 제2 연결프레임에 상하로 적층되어 복수 개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용 슬리브 어셈블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조실에 노출된 상기 제1 하우징의 일면을 차폐하는 커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용 슬리브 어셈블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공조실의 벽면과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용 슬리브 어셈블리.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에는 상기 제1 연결프레임의 연결부가 돌출되는 관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용 슬리브 어셈블리.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급기 또는 배기의 유량을 조절하는 풍량조절댐퍼와 역류를 방지하는 역류방지댐퍼 중에 적어도 하나를 상기 복수의 파이프부재의 적어도 하나의 내측에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용 슬리브 어셈블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풍량조절댐퍼는
    상기 파이프부재가 상기 연결호스에서 편심된 정도에 따라 개방도가 조절되며, 상기 파이프부재를 통과하는 유량이 동일하도록 상기 개방도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용 슬리브 어셈블리.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역류방지댐퍼는 상기 파이프부재의 내측에서 상기 풍량조절댐퍼에 비해 상기 환기장치에서 멀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용 슬리브 어셈블리.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장치용 슬리브 어셈블리는 상기 복수 개의 급기용 환기배관을 상기 단일 공급덕트와 연결하는 제1 슬리브 어셈블리와, 상기 복수 개의 배기용 환기배관을 상기 단일 배기덕트와 연결시키는 제2 슬리브 어셈블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용 슬리브 어셈블리.
  15. 삭제
KR1020170172540A 2017-12-14 2017-12-14 환기장치용 슬리브 어셈블리 및 그 설치방법 KR1018826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2540A KR101882629B1 (ko) 2017-12-14 2017-12-14 환기장치용 슬리브 어셈블리 및 그 설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2540A KR101882629B1 (ko) 2017-12-14 2017-12-14 환기장치용 슬리브 어셈블리 및 그 설치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2629B1 true KR101882629B1 (ko) 2018-07-26

Family

ID=630480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2540A KR101882629B1 (ko) 2017-12-14 2017-12-14 환기장치용 슬리브 어셈블리 및 그 설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262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623715A3 (de) * 2018-09-11 2020-06-24 Bruckbauer, Wilhelm Mauerkasten-system für ein lüftungssystem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0924B1 (ko) * 2007-07-13 2008-11-28 (주)무한 환기시스템용 분배장치
KR20100132168A (ko) * 2009-06-09 2010-12-17 이성재 공조기용 슬리브
KR200454399Y1 (ko) * 2008-09-11 2011-06-30 권태봉 공기조화용 분배기
KR101651985B1 (ko) * 2014-11-04 2016-08-30 (주)화용씨티에스 장비 부착형 분배기 슬리브
KR101681870B1 (ko) * 2016-06-13 2016-12-01 (주) 쏘노 환기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0924B1 (ko) * 2007-07-13 2008-11-28 (주)무한 환기시스템용 분배장치
KR200454399Y1 (ko) * 2008-09-11 2011-06-30 권태봉 공기조화용 분배기
KR20100132168A (ko) * 2009-06-09 2010-12-17 이성재 공조기용 슬리브
KR101651985B1 (ko) * 2014-11-04 2016-08-30 (주)화용씨티에스 장비 부착형 분배기 슬리브
KR101681870B1 (ko) * 2016-06-13 2016-12-01 (주) 쏘노 환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623715A3 (de) * 2018-09-11 2020-06-24 Bruckbauer, Wilhelm Mauerkasten-system für ein lüftungs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2447B1 (ko) 환기장치
KR101681870B1 (ko) 환기장치
KR102055298B1 (ko) 화장실 및 욕실 배기를 이용한 공기 순환 시스템
KR101832667B1 (ko) 환기장치용 슬리브 어셈블리 및 그 설치방법
KR101882629B1 (ko) 환기장치용 슬리브 어셈블리 및 그 설치방법
KR20180012957A (ko) 상치형 열회수형환기장치
JP6211675B1 (ja) 全館空調システム
KR20210064778A (ko) 공기 조화기 및 이에 구비되는 배관 설치 장치
KR20190107784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1167864B1 (ko) 실내공기 순환용 급배기 장치
KR101443631B1 (ko) 덕트형 공기조화기
KR20040061689A (ko) 천정 카세트형 공기조화기의 송풍조절장치
JP2001027428A (ja) 空気調和装置
US11774133B2 (en) Air conditioning appliance having a plenum for make-up air
KR20090115256A (ko) 환기장치
JPH07208797A (ja) 空気調和機
JP2005337634A (ja) 空調装置
KR20160087407A (ko) 환기시스템의 바이패스장치
US11859852B2 (en) Air conditioner with modular makeup air assembly
US11739953B2 (en) Air conditioning appliance and make-up air assembly
JPH08278038A (ja) 空気調和機の室内ユニット及びその組立方法
US20220333790A1 (en) Air conditioning appliance and make-up air assembly
KR102061972B1 (ko) 밸브 일체형 이중관 급배기 댐퍼
JP2007107726A (ja) 天吊型空気調和装置
US11480347B2 (en) Air conditioning appliance with make-up air modu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