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2667B1 - 환기장치용 슬리브 어셈블리 및 그 설치방법 - Google Patents

환기장치용 슬리브 어셈블리 및 그 설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2667B1
KR101832667B1 KR1020170099785A KR20170099785A KR101832667B1 KR 101832667 B1 KR101832667 B1 KR 101832667B1 KR 1020170099785 A KR1020170099785 A KR 1020170099785A KR 20170099785 A KR20170099785 A KR 20170099785A KR 101832667 B1 KR101832667 B1 KR 1018326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sleeve assembly
wall
pipe member
ex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97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병석
김성중
최상민
Original Assignee
윤병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병석 filed Critical 윤병석
Priority to KR10201700997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26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26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26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F16L5/10Sealing by using sealing rings or sleeves only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7/00Vertical ducts; Channels, e.g. for drainage
    • E04F17/08Vertical ducts; Channels, e.g. for drainage for receiving utility lines, e.g. cables,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2/00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 F24F12/001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 F24F12/006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using an air-to-air heat exchang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uct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기장치용 슬리브 어셈블리 및 그 설치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복수 개의 실내공간으로 연장된 복수 개의 환기배관과 상기 실내공간과 벽체로 구획되는 공조실에 설치되는 환기장치를 서로 연결시키는 슬리브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 어셈블리는은 상기 벽체를 관통하여 구비되는 복수 개의 파이프 부재와, 상기 파이브부재의 양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벽체 또는 천장에 고정되는 한 쌍의 플레이트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환기장치용 슬리브 어셈블리 및 그 설치방법 {Sleelve Assembly For Ventilation Device and Install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환기장치용 슬리브 어셈블리 및 그 설치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 개의 구획된 실내 공간으로 실외의 공기를 공급하고 상기 실내의 공기를 상기 실외로 배기하도록 상기 실내 공간과 분리된 공조실에 환기장치가 설치되는 경우에 상기 환기장치에서 분기되는 복수 개의 배관이 관통하는 슬리브 어셈블리를 상기 공조실의 벽체에 설치하는 경우에 종래에 비해 작업시간을 줄일 수 있으며, 원가를 절약할 수 있는 환기장치용 슬리브 어셈블리 및 그 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실내공기 환기 기능은 사무용 공간 또는 공장 등의 대형 건물에만 제공되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나, 최근 신축되는 주거형 건물에는 냉방 또는 난방 등의 온도 조절기능 이외에도 실내공기의 오염도를 조절하기 위한 환기 기능을 제공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최근 신축되는 아파트 등의 주거용 건물에도 이와 같은 환기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환기장치가 제공되고 있다.
아파트 등에 설치되는 종래 환기장치는 각 가정별로 베란다에 환기장치 본체 하나가 구비되고, 각각의 구획된 복수 개의 실내공간으로 환기배관을 통해 오염된 실내공기를 흡입하여 배출하고 신선한 외부 공기를 공급하게 된다.
이 경우 실내공간과 벽체 등으로 구획된 공간, 예를 들어 공조실 등에 환기장치를 배치하고, 상기 벽체를 관통하여 상기 환기배관과 상기 환기장치를 연결하게 된다.
도 8은 종래 방법에 따라 상기 벽체를 관통하여 상기 환기배관과 상기 환기장치를 연결시키는 연결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상기 벽체(10)에 구비된 사각 프레임(20)의 내측에 환기장치(110)에서 연장된 연장관(24)이 배치되고, 상기 연장관(24)과 프레임(20) 사이는 우레탄(22) 등으로 매립된다.
이 경우, 상기 사각 프레임(20)의 내측에 연장관(24)을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사각 프레임(20)과 상기 연장관(24)의 외주로 우레탄(22)을 발포하게 되므로 작업공정이 매우 번거롭고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또한, 우레탄을 발포하여 매립하게 되므로 상기 우레탄을 발포하는 경우에 상기 연장관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하여 별도의 부재를 필요로 하는 등 작업자에게 매우 불편한 작업에 해당한다.
특히, 최근에는 대규모 단지의 공동주택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인데, 아파트 등과 같은 공동주택의 경우 전술한 환기장치를 집집마다 설치해야 한다. 따라서, 상기 환기장치를 실내의 배관과 연결하는 작업시간 및 작업공정을 상대적으로 줄일 수 있다면 공동주택 전체로 보면 상당한 작업시간 및 공정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천장콘크리트에서 천장마감재 사이의 거리는 매우 협소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협소한 공간에 종래와 같이 상기 프레임(20)을 설치하고 원형으로 형성된 연장관(24)을 배치하는 경우에 연장관을 수직한 방향으로 적층하지 못하고 도 8과 같이 지그재그로 배열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프레임(20)의 내측에 설치할 수 있는 연장관(24)의 개수가 상대적으로 적어지게 된다.
본 발명은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 등에 환기장치를 설치하는 경우에 상기 환기장치와 환기배관을 종래에 비해 간편하고 빠르게 연결시킬 수 있는 환기장치용 슬리브 어셈블리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복수 개의 실내공간으로 연장된 복수 개의 환기배관과 상기 실내공간과 벽체로 구획되는 공조실에 설치되는 환기장치를 서로 연결시키는 슬리브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 어셈블리는 상기 벽체를 관통하여 구비되는 복수 개의 파이프 부재; 상기 파이브부재의 양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벽체 또는 천장콘크리트에 고정되는 한 쌍의 플레이트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용 슬리브 어셈블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리브 어셈블리는 상기 파이프 부재를 중심으로 상기 한 쌍의 플레이트 부재가 대칭적으로 구비되며, 상기 한 쌍의 플레이트 부재 사이의 빈공간은 시멘트 또는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벽체와 일체가 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파이프 부재의 길이는 상기 벽체의 두께에 대응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 부재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서 일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파이프 부재의 단부가 미리 결정된 길이만큼 삽입되어 연결되는 연장부; 및 상기 몸체부에서 타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벽체 또는 천장콘크리트에 고정되는 고정부;를 각각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파이프 부재의 단면은 세로길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가로길이가 더 긴 타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파이프 부재의 단면은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장부의 일단은 타원 또는 다각형으로 구성되어 상기 파이프 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연장부의 타단은 원형으로 구성되어 환기장치에서 연결되는 연장관과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연장부의 타단은 상기 환기장치 방향으로 미리 결정된 길이만큼 전개된 상태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파이프 부재는 수직방향으로 2층 이상으로 적층되어 상기 플레이트 부재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환기장치는 공급덕트 또는 배기덕트를 복수 개로 분기하기 위한 복수 개의 분기덕트를 구비하는 분배기를 포함하고, 상기 슬리브 어샘블리를 구성하는 각각의 파이프 부재는 상기 분배기를 구성하는 분기덕트에 각각 연장관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분배기의 복수 개의 분기덕트에는 각각의 분기덕트 내부를 흐르는 공기의 유량을 조절하는 전동식 댐퍼가 구비되고,
복수 개의 상기 분기덕트에 구비된 각각의 전동식 댐퍼의 개방정도는 공급덕트 또는 배기덕트의 유로 중심으로부터의 편심 정도와 비례하게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복수 개의 실내공간으로 연장된 복수 개의 환기배관과 상기 실내공간과 벽체로 구획되는 공조실에 설치되는 환기장치를 서로 연결시키는 슬리브 어셈블리를 상기 벽체에 설치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벽체의 두께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지는 파이프 부재의 양단부에 플레이트 부재를 서로 연결시켜 상기 슬리브 어셈블리를 완성시키는 단계; 상기 슬리브 어셈블리를 상기 벽체의 개구부에 안착시키는 단계; 및 상기 한 쌍의 플레이트 부재 사이에 공간에 시멘트 또는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용 슬리브 어셈블리의 설치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슬리브 어셈블리를 완성시키는 단계는 상기 슬리브 어셈블리가 설치되는 현장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환기장치용 슬리브 어셈블리에 따르면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 등에 환기장치를 설치하는 경우에 상기 환기장치와 환기배관을 종래에 비해 간편하고 빠르게 연결시킬 수 있다.
도 1은 환기장치가 설치된 주택을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상기 환기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상기 환기장치가 슬리브 어셈블리를 통하여 공조실의 벽체를 관통하여 환기배관과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도 3의 평면도,
도 5는 상기 슬리브 어셈블리가 상기 벽체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상기 슬리브 어셈블리의 평면도,
도 7은 상기 슬리브 어셈블리의 측면도,
도 8은 종래 환기배관이 벽체를 관통하여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도 1은 환기장치(110)가 설치된 주거 공간의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환기장치(110)는 복수 개의 구획된 실내 공간으로 실외의 공기를 공급하고 상기 실내의 공기를 상기 실외로 배기하는 복수의 환기배관(200)과 연결되며, 상기 실내 공간과 분리되어 구비된 공조실(AS)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실내공간은 하나의 거주 공간, 사무공간 등을 구획하는 복수의 방, 주방, 거실, 베란다, 창고 등으로 구획될 수 있다. 상기 공조실(AS)은 상기 베란다에 비치될 수 있다.
상기 환기배관(200)은 상기 구획된 실내공간 중 어느 하나의 공간과 실외를 연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고, 실내공간의 천정에 구비되거나, 천정 상부에 삽입되어 구비될 수 있다.
주거공간을 기준으로 설명하면, 상기 주거 공간은 벽 등의 파티션으로 복수개로 구획되고, 각각의 공간에는 실내 공기를 흡입하거나 실외 공기를 토출하기 위한 실내 디퓨저(210a, 210b)가 천정 또는 벽면에 구비될 수 있다.
주거용 공간의 환기 방식은 실내 공기를 실외로 배출하는 방식, 실외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는 방식 및 두 가지 가 함께 적용되는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주거 공간은 실내 공기를 실외로 배출하는 방식, 실외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는 방식이 함께 사용되는 방식으로 환기 기능이 구현되는 아파트 등의 주거공간에 환기장치(110)가 적용된 예를 도시한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주거 공간은 각각 구획된 공간 별로 급기용 실내 디퓨저(210a)와 배기용 실내 디퓨저(210b)가 구비되고, 각각의 실내 디퓨저(210a, 210b)에 연결된 급기용 및 배기용 환기배관(200)이 실외 공기에 노출된 공조 공간, 예를 들면 베란다 등의 공조실(AS)로 연결될 수 있다. 물론, 상기 공조실(AS) 등의 공조 공간이 실외와 직접 인접한 공간이 아니어도 무방하다.
급기용 실내 디퓨저(210a)와 배기용 실내 디퓨저(210b)가 구비되고, 각각의 실내 디퓨저(210a, 210b)에 연결된 급기용 및 배기용 환기배관(2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퓨저의 개수에 대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나의 환기장치(110)에 연결되는 급기용 및 배기용 환기배관(200)은 디퓨저의 개수에 대응하여 구비될 수 있다.
도 1의 실내공간을 참고하면, 상기 급기용 및 배기용 환기배관(200)은 각각 6개씩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급기용 및 배기용 환기배관(200)은 구획된 실내공간의 개수에 따라 증감 가능이 가능하다.
상기 환기장치(110)는 실내공간의 개수에 따라 상기 급기용 및 배기용 환기 배관(200)이 개수가 달라지더라도 이에 대응하여 상기 급기용 및 배기용 환기배관에 모두 결합될 수 있다.
도 2는 상기 환기장치(110)의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환기장치(110)는 상기 실내로 공급되는 급기가 흐르는 급기유로 상에 설치되는 제1 팬유닛(140)과, 상기 실내에서 흡입된 내기가 흐르는 배기유로 상에 설치되는 제2 팬유닛(130)과, 상기 급기유로 및 상기 배기유로의 교차점에 설치되어 상기 급기와 내기의 열교환을 위한 열교환기(120)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환기장치(110)는 상기 제1 팬유닛(140)과 상기 제2 팬유닛(130) 및 상기 열교환기(120)를 수용하고, 일면에 상기 급기가 흡입되는 흡입덕트(180a)와 상기 내기가 배출되는 배출덕트(180b)가 구비되고, 타면에 상기 급기가 배출되는 공급덕트(170a)와 상기 내기가 흡입되는 배기덕트(170b)를 구비하는 하우징(112)을 구비한다.
이때, 상기 환기장치(110)는 그 일면이 상기 공급덕트(170a) 또는 상기 배기덕트(170b)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장착되고, 타면이 상기 환기배관(200)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환기배관들과 결합되는 분배기(30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우징(112) 내에서 상기 열교환기(120)를 중심으로 상기 급기유로(sap) 및 상기 배기유로(iap)를 구획하기 위한 복수 개의 파티션 부재(142)를 구비하여 하우징 내부의 열교환기(120)를 제외한 공간을 구획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120)는 실외로 배출되는 실내공기(이하, '내기'라 함)와 실내로 공급되는 실외공기(이하, '급기'라 함)의 열교환을 위한 장치로서, 환기 과정에서 실내 공기의 급격한 변화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급기유로(sap) 및 상기 배기유로(iap)는 상기 하우징(112) 내에서 파티션 부재(142)에 의하여 분리되나, 환기 과정에서 열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상기 열교환기(120)가 구비되고, 상기 열교환기(120) 영역에서는 상기 급기유로(sap)와 상기 배기유로(iap)가 교차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열교환기(120)는 상기 급기유로(sap) 및 상기 배기유로(iap)를 복수 층으로 이격시켜 분할하고 각각의 층 사이에 상대 유로를 배치하여 내기와 급기가 유동하는 과정에서 열교환을 통해 온도 편차를 줄이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제1 팬유닛(140)과 제2 팬유닛(130)은 실내에서 흡입된 내기와 실내로 공급되는 급기의 압력차를 발생시켜 송풍 구동력을 제공한다.
상기 환기유닛(100)을 구성하는 하우징(112) 내에 급기가 유동하는 급기유로(sap)와 내기가 배출되는 배기유로(iap)가 구비되고 각각의 급기유로(sap)와 배기유로(iap) 상에 각각 급기팬유닛으로 동작하는 제1 팬유닛(140)과 배기팬유닛으로 동작하는 제2 팬유닛(130)이 구비된다.
상기 분배기(300)는 급기 환기배관(200a)(도 1 참조)과 배기 환기배관(200b)(도 1 참조)이 복수개로 구비되더라도, 상기 환기배관(200a, 200b)들을 상기 하나의 공급덕트(170a)와 하나의 배기덕트(170b)에 연결 또는 연통시킬 수 있다.
다시말해, 상기 환기장치(110)는 상기 환기배관(200a, 200b)들의 수가 복수개로 구비되거나 그 수가 증감하는 것에 상관 없이 항상 하나의 공급덕트(170a)와 하나의 배기덕트(170b)만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분배기(300)는 상기 하우징(112)과 상기 환기배관(200a, 200b)을 연결하는 브라켓의 역할을 수행한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환기장치(110)의 크기가 커지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으므로, 환기장치(110)는 각각 하나의 공급덕트(170a) 또는 배기덕트(170b)를 구비하고 복수 개의 분기덕트를 구비하는 분배기(300)를 통해 복수 개의 분리된 공간의 환기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분배기(300)는 공급덕트(170a) 또는 배기덕트(170b)의 유로 중심 위치와 편심된 다수개의 분기덕트를 포함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유량 조절수단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환기량의 편차가 발생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분배기의 복수 개의 분기덕트에는 각각의 분기덕트로 유동하는 공기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는 전동식 댐퍼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분기덕트에 구비되는 댐퍼의 개도를 조절하여 각각의 분기덕트 및 후술하는 연장관(410)으로 공급되는 공기 유량의 편차를 제거하거나, 특정 공간에 대한 환기 기능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분배기(300)의 복수 개의 상기 분기덕트에 구비된 각각의 전동식 댐퍼의 개방정도는 공급덕트(170a) 또는 배기덕트(170b)의 유로 중심으로부터의 편심 정도와 비례하게 제어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각각의 분기덕트 또는 연장관을 통해 각각의 실내공간의 환기량의 편차를 최소화하거나 선택적 환기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3은 상기 환기장치(110)가 슬리브 어셈블리(500)를 통해 공조실(AS)의 벽체(10)를 관통하여 환기배관(200)과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이고, 도 4는 도 3의 평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분배기(300)는 상기 환기배관(200)과 결합되도록 구비되는 연장관(410)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연장관(410)은 신축성 있는 주름관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분배기(300)는 일면에 상기 공급덕트(170a)와 상기 배기덕트(170b)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장착되고, 타면에 상기 환기배관(200)과 결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분배기(300)는 일면에 상기 공급덕트(170a)와 상기 배기덕트(170b) 모두와 결합될 수도 있다. 이로써, 상기 분배기(300)가 하나의 바디로 구성되어 구조의 단순성 및 설치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배기(300)는 상기 공급덕트(170a)와 상기 배기덕트(170b)와 각각 결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분배기(300)는 상기 공급덕트(170a)와 배기덕트(170b)를 유동하는 공기가 서로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분배기(300)가 상기 공급덕트(170a)와 상기 배기덕트(170b)에 각각 결합되는 경우, 상기 분배기(300)는 상기 공급덕트(170a)와 상기 공급덕트와 연통하는 급기 환기배관(200a)들을 연통하는 급기분배기(300a)와, 상기 배기덕트(170b)와 상기 배기덕트(170b)와 연통하는 배기 환기배관(200b)들을 연통하는 배기분배기(300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급기분배기(300a)와 상기 배기분배기(300b)는 서로 대칭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급기분배기(300a)와 상기 배기분배기(300b)가 각각 통과하는 공기의 양을 동일하게 할 수 있고, 설치편의성 및 균형안정성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상기 공급덕트(170a)와 배기덕트(170b)가 상기 하우징(112)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으로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급기분배기(300a)와 상기 배기분배기(300b)가 대칭으로 구비되어 상기 급기 환기배관(200a)와 상기 배기 환기배관(200b)의 결합공간을 동일하게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슬리브 어셈블리(500)는 상기 공조실(AS)에 배치된 상기 환기장치(110)와 상기 실내공간으로 연장된 환기배관(200)을 서로 연결하도록 상기 공조실(AS)의 벽체(10)를 관통하여 설치된다.
종래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벽체(10)에 구비된 사각 프레임(20)의 내측에 환기장치(110)에서 연장된 연장관(24)이 배치되고, 상기 연장관(24)과 프레임(20) 사이는 우레탄(22) 등으로 매립된다.
이 경우, 상기 사각 프레임(20)의 내측에 연장관(24)을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사각 프레임(20)과 상기 연장관(24)의 외주로 우레탄(22)을 발포하게 되므로 작업공정이 매우 번거롭고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또한, 우레탄을 발포하여 매립하게 되므로 상기 우레탄을 발포하는 경우에 상기 연장관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하여 별도의 부재를 필요로 하는 등 작업자에게 매우 불편한 작업에 해당한다.
특히, 최근에는 대규모 단지의 공동주택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인데, 아파트 등과 같은 공동주택의 경우 전술한 환기장치를 집집마다 설치해야 한다. 따라서, 상기 환기장치를 실내의 배관과 연결하는 작업시간 및 작업공정을 상대적으로 줄일 수 있다면 공동주택 전체로 보면 상당한 작업시간 및 공정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일반적으로 천장콘크리트(12)(도 3 참조)에서 천장마감재(14)(도 3 참조) 사이의 거리는 매우 협소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협소한 공간에 종래와 같이 상기 프레임(20)을 설치하고 원형으로 형성된 연장관(24)을 배치하는 경우에 연장관을 수직한 방향으로 적층하지 못하고 지그재그로 배열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프레임(20)의 내측에 설치할 수 있는 연장관(24)의 개수가 상대적으로 적어지게 된다.
이하,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슬리브 어셈블리(500)의 구성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도 5는 상기 슬리브 어셈블리(500)의 사시도, 도 6은 상기 슬리브 어셈블리(500)의 평면도, 도 7은 상기 슬리브 어셈블리(500)의 측면도이다. 도 6의 (a)와 도 7의 (a)는 상기 슬리브 어셈블리(500)의 분해도이고, 도 6의 (b)와 도 7의 (b)는 상기 슬리브 어셈블리(500)의 결합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슬리브 어셈블리(500)는 복수 개의 실내공간으로 연장된 복수 개의 환기배관(200)과 상기 환기장치(110)를 서로 연결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환기장치(110)는 전술한 실내공간과 벽체(10)(도 3 참조)로 구획되는 공조실(AS)에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슬리브 어셈블리(500)는 상기 벽체(10)를 관통하여 구비되는 복수 개의 파이프 부재(510)와, 상기 파이브부재(510)의 양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벽체(10) 또는 천장콘크리트(12)(도 3 참조)에 고정되는 한 쌍의 플레이트 부재(520A, 520B)를 구비한다.
이때, 상기 슬리브 어셈블리(500)는 상기 파이프 부재(510)를 중심으로 상기 한 쌍의 플레이트 부재(520A, 520B)가 대칭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슬리브 어셈블리(500)는 상기 파이프 부재(5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앞뒤 구별 없이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작업자가 설치하는 경우에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이프 부재(510)의 길이는 상기 벽체(10)의 두께에 대응하도록 결정될 수 있다. 이 경우, 공동주택의 경우 상기 환기장치(110)가 설치되는 공조실(AS)의 벽체(10)의 두께가 미리 결정될 수 있으므로, 상기 파이프 부재(510)의 길이는 상기 벽체(10)의 두께에 대응하도록 미리 제작되어 현장으로 이송될 수 있다.
물론, 대단위 공동주택이 아닌 단독주택 등의 경우에는 현장에서 상기 파이프 부재(510)를 절단하여 상기 벽체의 두께에 대응하도록 제작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플레이트 부재(520A, 520B)는 몸체부(526A, 526B)와, 상기 몸체부(526A, 526B)에서 일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파이프 부재(510)의 단부가 삽입되어 연결되는 연장부(524A, 524B) 및 상기 몸체부(526A, 526B)에서 타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벽체(10) 또는 천장콘크리트(12)에 고정되는 고정부(522A, 522B)를 각각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몸체부(526A, 526B)는 상기 벽체(10)에 형성된 개구부를 막으며, 한 쌍의 몸체부(526A, 526B)가 상기 파이프 부재(510)의 양단부에 연결되어 제공된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몸체부(526A, 526B)가 소위 거푸집의 기능을 하게 되어, 상기 한 쌍의 몸체부(526A, 526B) 사이의 공간에 시멘트 또는 콘크리트를 타설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몸체부(526A, 526B)의 일측에는 상기 파이프 부재(510)와 연결되는 복수 개의 연장부(524A, 524B)가 형성된다. 상기 연장부(524A, 524B)는 상기 파이프 부재(510)의 개수에 대응하여 연장 형성된다. 상기 연장부(524A, 524B)는 미리 정해진 길이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파이프 부재(510)의 단부가 미리 결정된 길이만큼 상기 연장부(524A, 524B)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서로 연결된다.
한편, 상기 몸체부(526A, 526B)의 타측, 즉 상기 연장부(524A, 524B)가 형성된 면의 반대쪽에는 고정부(522A, 522B)가 연장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522A, 522B)는 상기 몸체부(526A, 526B)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슬리브 어셈블리(500)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도면과 같이 상기 고정부(522A, 522B)가 상기 몸체부(526A, 526B)에서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경우에 상기 고정부(522A, 522B)는 천장콘크리트(12)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고정부(522A, 522B)가 상기 몸체부(526A, 526B)와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경우에 벽체(10)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파이프 부재(510)의 단면은 세로길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가로길이가 더 긴 타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천장콘크리트(12)에서 천장마감재(14) 사이의 거리는 매우 협소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과 같이 상기 파이프 부재(510)의 단면을 가로방향으로 긴 타원형으로 형성하게 되면, 상기 파이프 부재(510)를 수직한 방향으로 2층 이상으로 적층하여 배치할 수 있다. 이 경우, 단위 면적당 배치할 수 있는 파이프 부재(510)의 개수가 증가하여 설치면적에 따른 배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파이프 부재(510)의 단면은 가로 방향의 길이가 세로방향의 길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길도록 형성된 다른 형태, 예를 들어 다각형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한다.
따라서, 상기 파이프 부재(510)의 단면을 타원 또는 다각형으로 구성하여 설치 면적의 높이를 최소화하는 경우, 파이프 부재(510)와 연결되는 복수 개의 연장부(524A, 524B)의 일단은 타원 또는 다각형으로 구성되고, 환기장치와 슬리브 어셈블리(500)를 연결하는 연장관(410)이 연결되는 타단은 원형으로 구성되어 연장부(524A, 524B)가 어댑터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연결의 편의성을 위하여 연장부(524A, 524B)는 연장관 방향으로 일정 길이를 가지는 파이프 형태로 전개(벌어진 상태)된 상태로 연장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이하, 전술한 구성을 가지는 슬리브 어셈블리(500)를 설치하는 과정을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작업자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리브 어셈블리(500)를 조립하게 된다.
이때 상기 파이프 부재(510)의 길이가 먼저 상기 벽체(10)의 두께에 대응하는지 확인하게 된다.
이 경우, 공동주택의 경우 상기 환기장치(110)가 설치되는 공조실(AS)의 벽체(10)의 두께가 미리 결정될 수 있으므로, 상기 파이프 부재(510)의 길이는 상기 벽체(10)의 두께에 대응하도록 미리 제작되어 현장으로 이송될 수 있다. 물론, 대단위 공동주택이 아닌 단독주택 등의 경우에는 현장에서 상기 파이프 부재(510)를 절단하여 상기 벽체의 두께에 대응하도록 제작할 수도 있다.
이어서, 작업자는 상기 파이프 부재(510)의 양단부에 상기 플레이트 부재(520A, 520B)를 서로 연결시켜 상기 슬리브 어셈블리(500)를 완성시키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파이프 부재(510)를 양단부를 상기 플레이트 부재(520A, 520B)의 연장부(524A, 524B)에 미리 결정된 길이만큼 삽입하여 연결하게 된다.
전술한 조립과정은 현장에서 직접 이루어지거나, 또는 조립이 완성된 상태로 현장으로 이송될 수도 있다. 상기 슬리브어셈브리(500)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를 고려할 때, 상기 구성요소를 각각 이송한 다음 현장에서 슬리브 어셈블리를 조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과정을 거쳐 조립된 슬리브 어셈블리(500)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벽체(10)의 개구부에 안착시키게 된다. 상기 벽체(10)에는 미리 상기 슬리브 어셈블리(500)에 대응하는 크기를 가지는 개구부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슬리브 어셈블리(500)의 플레이트 부재(520A, 520B)가 상기 벽체(10)에 형성된 개구부를 막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한 쌍의 플레이트 부재(520A, 520B)가 소위 거푸집의 기능을 하게 되어, 상기 한 쌍의 플레이트 부재(520A, 520B) 사이의 공간에 시멘트 또는 콘크리트를 타설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립된 슬리브 어셈블리(500)를 벽체(10)에 설치하고 상기 슬리브 어셈블리(500)의 플레이트 부재(520A, 520B) 사이에 시멘트 또는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플레이트 부재(520A, 520B) 사이 공간에 시공된 시멘트 또는 콘크리트와 벽체가 일체화되어 단열 등에 영향을 주지 않고, 슬리브 어셈블리 설치를 위하여 형성된 개구부를 마감할 수 있다.
전술한 과정을 거쳐 설치된 슬리브 어셈블리(500)에 전술한 환기장치(110)의 연장관(410)과 상기 환기배관(200)을 서로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10 : 환기장치
112 : 하우징
200 : 환기배관
300 : 분배기
500 : 환기장치용 슬리브 어셈블리
510 : 파이프 부재
520 : 플레이트 부재

Claims (13)

  1. 복수 개의 실내공간으로 연장된 복수 개의 환기배관과 상기 실내공간과 벽체로 구획되는 공조실에 설치되는 환기장치를 서로 연결시키는 슬리브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 어셈블리는 상기 벽체를 관통하여 구비되는 복수 개의 파이프 부재; 상기 파이프부재의 양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벽체 또는 천장콘크리트에 고정되는 한 쌍의 플레이트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플레이트 부재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서 일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파이프 부재의 단부가 미리 결정된 길이만큼 삽입되어 연결되는 연장부; 및 상기 몸체부에서 타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벽체 또는 천장콘크리트에 고정되는 고정부;를 각각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용 슬리브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 어셈블리는 상기 파이프 부재를 중심으로 상기 한 쌍의 플레이트 부재가 대칭적으로 구비되며, 상기 한 쌍의 플레이트 부재 사이의 빈공간은 시멘트 또는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벽체와 일체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용 슬리브 어셈블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부재의 길이는 상기 벽체의 두께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용 슬리브 어셈블리.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부재의 단면은 세로길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가로길이가 더 긴 타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용 슬리브 어셈블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부재의 단면은 다각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용 슬리브 어셈블리.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의 일단은 타원 또는 다각형으로 구성되어 상기 파이프 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연장부의 타단은 원형으로 구성되어 환기장치에서 연결되는 연장관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용 슬리브 어셈블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의 타단은 상기 환기장치 방향으로 미리 결정된 길이만큼 전개된 상태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용 슬리브 어셈블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부재는 수직방향으로 2층 이상으로 적층되어 상기 플레이트 부재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용 슬리브 어셈블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장치는 공급덕트 또는 배기덕트를 복수 개로 분기하기 위한 복수 개의 분기덕트를 구비하는 분배기를 포함하고,
    상기 슬리브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각각의 파이프 부재는 상기 분배기를 구성하는 분기덕트에 각각 연장관에 의하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용 슬리브 어셈블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기의 복수 개의 분기덕트에는 각각의 분기덕트 내부를 흐르는 공기의 유량을 조절하는 전동식 댐퍼가 구비되고,
    복수 개의 상기 분기덕트에 구비된 각각의 전동식 댐퍼의 개방정도는 공급덕트 또는 배기덕트의 유로 중심으로부터의 편심 정도와 비례하게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용 슬리브 어셈블리.
  12. 삭제
  13. 삭제
KR1020170099785A 2017-08-07 2017-08-07 환기장치용 슬리브 어셈블리 및 그 설치방법 KR1018326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9785A KR101832667B1 (ko) 2017-08-07 2017-08-07 환기장치용 슬리브 어셈블리 및 그 설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9785A KR101832667B1 (ko) 2017-08-07 2017-08-07 환기장치용 슬리브 어셈블리 및 그 설치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2667B1 true KR101832667B1 (ko) 2018-04-13

Family

ID=61974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9785A KR101832667B1 (ko) 2017-08-07 2017-08-07 환기장치용 슬리브 어셈블리 및 그 설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266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5026B1 (ko) * 2019-12-09 2020-05-29 오충록 대형 공간용 열회수 환기장치
JP2020201015A (ja) * 2019-06-12 2020-12-17 三菱電機株式会社 排気用ダクト分岐継ぎ手
WO2022209977A1 (ja) * 2021-03-31 2022-10-06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送風システム
KR20230046019A (ko) * 2021-09-29 2023-04-05 주식회사 정우에이앤씨 환기용 소음저감소켓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83598A (ja) * 2003-09-04 2005-03-31 Densho:Kk 屋根裏・床下・居室収納部等の同時換気システム
KR100516787B1 (ko) * 2003-06-09 2005-09-26 김대현 욕실 벽 통과용 배관보호 슬리브 시공방법 및 그 슬리브
JP2009036398A (ja) * 2007-07-31 2009-02-19 Hrd Singapore Pte Ltd 住宅用換気システム
KR101651985B1 (ko) * 2014-11-04 2016-08-30 (주)화용씨티에스 장비 부착형 분배기 슬리브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6787B1 (ko) * 2003-06-09 2005-09-26 김대현 욕실 벽 통과용 배관보호 슬리브 시공방법 및 그 슬리브
JP2005083598A (ja) * 2003-09-04 2005-03-31 Densho:Kk 屋根裏・床下・居室収納部等の同時換気システム
JP2009036398A (ja) * 2007-07-31 2009-02-19 Hrd Singapore Pte Ltd 住宅用換気システム
KR101651985B1 (ko) * 2014-11-04 2016-08-30 (주)화용씨티에스 장비 부착형 분배기 슬리브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201015A (ja) * 2019-06-12 2020-12-17 三菱電機株式会社 排気用ダクト分岐継ぎ手
KR102105026B1 (ko) * 2019-12-09 2020-05-29 오충록 대형 공간용 열회수 환기장치
WO2022209977A1 (ja) * 2021-03-31 2022-10-06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送風システム
JP2022157725A (ja) * 2021-03-31 2022-10-14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送風システム
JP7157352B1 (ja) 2021-03-31 2022-10-20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送風システム
KR20230046019A (ko) * 2021-09-29 2023-04-05 주식회사 정우에이앤씨 환기용 소음저감소켓
KR102591488B1 (ko) * 2021-09-29 2023-10-19 주식회사 정우에이앤씨 환기용 소음저감소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2667B1 (ko) 환기장치용 슬리브 어셈블리 및 그 설치방법
KR101812447B1 (ko) 환기장치
US20170122580A1 (en) Modular building utilities systems and methods
US3516347A (en) Double plenum air distribution system
US20110155354A1 (en) Hvac system and zone control unit
KR101681870B1 (ko) 환기장치
CN107109851B (zh) 用于多层建筑物的建筑结构
KR101251221B1 (ko) 창호 환기시스템
LT3350B (en) Radiant or radiant-ventilating airconditioning prefabricated elements and air conditioning installation including said elements
JP3667908B2 (ja) 空気調和システム
JP6635846B2 (ja) 建物の空調設備
JP2015094500A (ja) 放熱器及びこれを用いた空調システム
CA2772766A1 (en) Modular building utilities systems and methods
JP5186172B2 (ja) 建物の空調設備
JP5809434B2 (ja) 建物
KR20100008106A (ko) 단열성능을 갖는 냉난방용 공기순환장치
JP2009216339A (ja) 建物の空調設備及びそれを備えた建物
KR20210098073A (ko) 공기조화 시스템의 덕트
JPH07180898A (ja) セントラル空調方法および空調装置
US20220390140A1 (en) Makeup air cross-flow energy recovery system atop air conditioner
JPH06300350A (ja) 床構造および空調装置および床暖房装置
JP2023005595A (ja) 換気装置
JP2023092050A (ja) 吹き出しユニット、風量制御方法、制御装置及びシステム天井
KR100565513B1 (ko)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밸브서포트
JPH11218342A (ja) 家屋の空調システム及び空調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