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1870B1 - 환기장치 - Google Patents

환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1870B1
KR101681870B1 KR1020160073010A KR20160073010A KR101681870B1 KR 101681870 B1 KR101681870 B1 KR 101681870B1 KR 1020160073010 A KR1020160073010 A KR 1020160073010A KR 20160073010 A KR20160073010 A KR 20160073010A KR 101681870 B1 KR101681870 B1 KR 1016818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ventilation
air supply
duct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30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병석
Original Assignee
(주) 쏘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쏘노 filed Critical (주) 쏘노
Priority to KR10201600730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18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18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18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2/00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 F24F12/001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45Manufacturing or assembly of air ducts; Method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08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separate ducts for supplied and exhausted air with provisions for reversal of the input and output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uct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의 환기장치를 통해 별도의 분기장치를 천정 등에 설치하지 않고도 복수 개의 분리된 실내공간의 환기를 수행할 수 있으며, 베란다 등의 공조실에 환기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설치공간의 공간적 제약이 있는 경우에도 환기장치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환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환기장치{Ventilation Device}
본 발명은 환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하나의 환기장치를 통해 별도의 분기장치를 천정 등에 설치하지 않고도 복수 개의 분리된 실내공간의 환기를 수행할 수 있으며, 베란다 등의 환기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설치공간의 공간적 제약이 있는 경우에도 환기장치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환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실내공기 환기 기능은 사무용 공간 또는 공장 등의 대형 건물에만 제공되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나, 최근 신축되는 주거형 건물에는 냉방 또는 난방 등의 온도 조절기능 이외에도 실내공기의 오염도를 조절하기 위한 환기 기능을 제공하는 경우가 많다.
실내 공기는 에어컨디셔너 등을 사용하여 온도를 조절할 수는 있다. 그러나 실내 활동이 많아지면, 실내 공기의 오염도가 증가되고 증가된 실내 오염도는 공기청정기 등에 의하여 다소 낮아질 수 있으나, 공기청정기 의한 정화 작업이 비효율적이거나 공기청정기에 의하여 제거되지 않는 오염물질의 농도가 증가될 수 있으므로, 주기적으로 신선한 실외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고 오염된 실내 공기를 실외로 배출하는 환기 과정이 필요하다. 최근에는 조리용 연소가스, 새집 증후군 또는 헌집 증후군 등의 이유로 실내 공기의 환기의 필요성이 이슈화되고 있다.
최근 신축되는 아파트 등의 주거용 건물에도 이와 같은 환기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환기장치가 제공되고 있다.
아파트 등에 설치되는 환기장치는 각 가정별로 베란다에 환기장치 본체 하나가 구비되고, 각각의 구획된 복수 개의 실내공간으로 환기배관을 통해 오염된 실내공기를 흡입하여 배출하고 신선한 외부 공기를 공급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베란다 등의 공조공간에 설치되는 환기장치는 실내공간의 천정 등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환기배관들과 연결되어야 한다.
종래 소개된 환기장치들은 하나의 환기장치와 하나의 급기용 연결배관과 배기용 연결배관을 하나씩 연결하고 급기용 연결배관과 배기용 연결배관을 특정 실내 공간의 천정에 장착된 분기장치에 연결하고, 이와 같은 분기장치에 각각 복수 개의 급기용 환기배관과 복수 개의 배기용 환기배관을 연결하는 방법으로 복수 개의 실내공간에 환기 기능을 제공하였다.
또한, 환기장치에 별도의 분기장치를 직결하는 기술이 소개된 바가 있으나, 협소한 폭을 갖는 베란다의 공간에 직결식 분기장치를 연결하는 경우 공간의 제약이 발생되며, 실내공간의 개수에 따라 비용증가를 최소화하는 방법으로 부적절하다.
본 발명은 하나의 환기장치를 통해 별도의 분기장치를 천정 등에 설치하지 않고도 복수 개의 분리된 실내공간의 환기를 수행할 수 있으며, 베란다 등의 공조실에 환기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설치공간의 공간적 제약이 있는 경우에도 환기장치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환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복수 개의 구획된 실내공간의 환기를 위하여 분리된 공조실에 설치되는 환기장치에 있어서, 실내로 공급되는 급기가 흐르는 급기유로 상에 설치되는 제1 팬유닛; 실내서 흡입된 내기가 흐르는 배기유로 상에 설치되는 위한 제2 팬유닛; 상기 급기유로 및 상기 배기유로의 교차점에 설치되어 상기 급기와 인 내기의 열교환을 위한 전열교환기; 상기 제1 팬유닛과 상기 제2 팬유닛 및 상기 전열교환기를 수용하며, 실내로 공급되는 급기의 출구덕트 및 내기의 입구덕트가 각각 적어도 하나가 구비된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급기의 출구덕트 및 적어도 하나의 내기의 입구덕트에 일단이 연결되고, 복수 개의 실내공간으로 급기를 공급하고 내기를 회수하기 위하여 실내공간의 천정에 구비되고 공조실로 연결된 환기배관과 연결되기 위한 주름관 구조의 연결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팬유닛은 상기 급기유로 중 상기 전열교환기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2 팬유닛은 상기 배기유로 중 상기 전열교환기 전방에 배치되며, 상기 급기의 출구덕트는 상기 급기유로 중 전열교환기 전방과 연통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고, 상기 내기의 입구덕트는 상기 배기유로 중 전열교환기 후방과 연통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하우징 내에서 상기 전열교환기를 중심으로 상기 급기유로 및 상기 배기유로를 구획하기 위한 복수 개의 파티션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구덕트 및 급기의 공급을 위한 상기 환기배관은 복수 개의 연결관에 의하여 각각 일대일(一對一)로 연결되고, 상기 입구덕트 및 내기의 배출을 위한 상기 환기배관은 복수 개의 연결관에 의하여 각각 일대일(一對一)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관과 상기 환기배관은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 개의 상기 출구덕트 및 상기 입구덕트 각각에 공기의 흐름을 차단하기 위한 댐퍼가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 개의 상기 출구덕트 및 상기 입구덕트는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복수 개의 장착홀에 나사형 체결부재에 의하여 나사결합되는 방식으로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 개의 상기 급기의 출구덕트 및 복수 개의 상기 내기의 입구덕트는 상기 하우징의 상면, 하면 및 복수 개의 측면 중 적어도 2면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상기 출구덕트 및 복수 개의 상기 입구덕트는 상기 하우징의 상면, 하면 및 복수 개의 측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에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 개의 상기 출구덕트 및 복수 개의 상기 입구덕트가 복층으로 구비되는 경우, 층방향으로 엇갈리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상기 급기의 출구덕트 및 급기의 공급을 위한 복수 개의 상기 환기배관은 하나의 연결관에 의하여 연결되고, 적어도 하나의 상기 내기의 입구덕트 및 내기의 배출을 위한 복수 개의 상기 환기배관은 하나의 연결관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급기의 출구덕트 또는 상기 내기의 입구덕트와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공조실로 단부가 노출된 복수 개의 상기 환기배관과 연결되는 연결관의 타단은 단면적이 확장되며 복수 개의 상기 환기배관의 단부와 연결되기 위한 분기구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관의 분기구에는 선택적으로 각각의 분기구를 차단하기 위한 댐퍼가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연결관은 상기 환기장치의 하우징에 구비되는 상기 입구덕트 또는 상기 출구덕트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의 직경이 확장되는 연결튜브 및 상기 상기 연결튜브의 타단에 장착되며 각각 댐퍼를 구비하는 복수 개의 분기구가 형성된 분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환기장치는 하나의 환기장치를 통해 별도의 분기장치를 공조실 또는 실내공간의 천정 등에 설치하지 않고도 복수 개의 분리된 실내공간의 환기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환기장치에 의하면, 베란다 등의 공조실에 환기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설치공간의 공간적 제약이 있는 경우에도 주름관 구조의 연결관을 사용하여 환기장치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환기장치에 의하면, 연결관과 일대일(一對一)로 연결되며 각각 댐퍼를 구비하는 급기의 출구덕트 또는 내기의 입구덕트를 하우징에 나사결합 방식으로 체결하는 구조를 채용하여 급기의 출구덕트 또는 내기의 입구덕트가 연결관에 연결되는 경우에만 장착하도록 하여 환기장치의 가격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환기장치에 의하면, 하나의 주름관 구조의 연결관과 복수 개의 환기배관이 동시에 연결되는 구조를 채용하여 공조실 등의 배관을 단순화하여 외관 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환기장치에 의하면, 하나의 주름관 구조의 연결관과 복수 개의 환기배관이 동시에 연결되는 구조를 채용하면서도 연결관 단부에 구비되는 각각의 분기구에 댐퍼를 구비하여 복수 개의 실내공간에 선택적으로 환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환기장치의 설치상태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환기장치의 분해도, 조립된 상태의 사시도 및 내부의 유로가 표현된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각각의 실시예에 따른 환기장치의 조립된 상태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환기장치의 하우징에 장착되는 입구덕트 또는 출구덕트의 예를 도시한다.
도 6 및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환기장치의 설치 상태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환기장치의 설치상태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환기장치의 분해도와 조립된 상태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0는 본 발명에 따른 환기장치를 구성하는 연결관의 단부 구조를 도시한다.
도 11 및 도 12는 도 9에 도시된 환기장치의 설치 상태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환기장치의 설치상태의 평면도를 도시하며,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환기장치의 분해도와 조립된 상태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환기장치(1)는 복수 개의 구획된 실내공간의 환기를 위하여 분리된 공조공간에 설치되는 환기장치에 있어서, 실내로 공급되는 급기가 흐르는 급기유로(sap) 상에 설치되는 제1 팬유닛(120), 실내서 흡입된 내기가 흐르는 배기유로 상에 설치되는 위한 제2 팬유닛(130), 상기 급기유로(sap) 및 상기 배기유로의 교차점에 설치되어 상기 급기와 인 내기의 열교환을 위한 전열교환기(110), 상기 제1 팬유닛(120)과 상기 제2 팬유닛(130) 및 상기 전열교환기(110)를 수용하며, 실내로 공급되는 급기의 출구덕트(170a) 및 내기의 입구덕트(170b)가 각각 복수 개가 구비된 하우징(160), 및, 상기 하우징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급기의 출구덕트(170a) 및 적어도 하나의 내기의 입구덕트(170b)에 일단이 연결되고, 복수 개의 실내공간으로 급기를 공급하고 내기를 회수하기 위하여 실내공간의 천정에 구비되고 공조공간으로 연결된 환기배관과 연결되기 위한 주름관 구조의 연결관(300)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팬유닛(120)은 상기 급기유로(sap) 중 상기 전열교환기(110)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2 팬유닛(130)은 상기 배기유로 중 상기 전열교환기(110) 전방에 배치되며, 복수 개의 상기 급기의 출구덕트(170a)는 상기 급기유로(sap) 중 전열교환기(110) 전방과 연통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고, 복수 개의 상기 내기의 입구덕트(170b)는 상기 배기유로 중 전열교환기(110) 후방과 연통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1)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환기장치(1)는 복수 개의 구획된 실내공간의 환기를 위하여 분리된 아파트 등의 공조공간에 설치되어 각각의 실내공간의 내기를 실외로 배출하고 실외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환기장치(1)가 설치될 수 있는 주거공간을 환기장치와 함께 설명한다.
일반적인 주거 공간은 벽 등의 파티션으로 복수 개로 구획되고, 각각의 공간에는 실내 공기를 흡입하거나 외부 공기를 토출하기 위한 실내 디퓨저(440a, 440b)가 천정 또는 벽면에 구비될 수 있다.
주거용 공간의 환기 방식은 실내 공기를 실외로 배출하는 방식, 실외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는 방식 및 두 가지가 함께 적용되는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주거 공간은 실내 공기를 실외로 배출하는 방식, 실외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는 방식이 함께 사용되는 방식으로 환기 기능이 구현되는 아파트 등의 주거공간에 본 발명에 따른 환기장치(1)가 적용된 예를 도시한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주거 공간은 각각 구획된 공간 별로 급기용 실내 디퓨저(440a)와 배기용 실내 디퓨저(440b)가 구비되고, 각각의 실내 디퓨저(440a, 440b)에 연결된 급기용 및 배기용 환기배관(200)이 실외 공기에 노출된 공조 공간, 예를 들면 베란다 등의 공조실(as)로 연결될 수 있다. 물론, 상기 공조실 등의 공조 공간이 실외와 직접 인접한 공간이 아니어도 무방하다.
급기용 실내 디퓨저(440a)와 배기용 실내 디퓨저(440b)가 구비되고, 각각의 실내 디퓨저(440a, 440b)에 연결된 급기용 및 배기용 환기배관(2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퓨저의 개수에 대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하나의 환기장치에 연결되는 급기용 및 배기용 환기배관(200)은 디퓨저의 개수에 대응하여 각각 6개씩 구성됨이 도시되나 그 개수는 구획된 실내공간의 개수에 따라 증감 가능하고, 대형 주거 공간의 경우에는 상기 환기장치 자체가 복수 개가 구비될 수도 있다.
종래의 환기장치는 각각의 환기배관이 환기장치에 직접 연결되지 못하고 한 쌍의 분기배관이 공조공간과 근접한 실내공간의 천정 등에서 분기장치와 연결되고, 분기장치에서 다시 각각의 실내공간의 디퓨저와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환기장치(1)는 환기장치를 구성하는 하우징에 실외공기를 실내로 공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급기의 출구덕트(170a) 및 실내공기를 실외로 배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내기의 입구덕트(170b)를 구비하고, 상기 출구덕트(170a) 및 상기 입구덕트(170b)를 복수 개의 환기배관들과 연결하는 주름관 형태의 연결관(300)을 구비한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환기장치(1)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구체적으로,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환기장치(1)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하며,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환기장치(1)의 조립된 상태의 사시도를 도시하며,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환기장치(1)의 내부유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2(c)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환기장치(1)는 실내로 공급되는 급기가 흐르는 급기유로(sap) 상에 설치되는 제1 팬유닛(120), 실내서 흡입된 내기가 흐르는 배기유로(iap) 상에 설치되는 위한 제2 팬유닛(130); 상기 급기유로(sap) 및 상기 배기유로(iap)의 교차점에 설치되어 상기 급기와 내기의 열교환을 위한 전열교환기(110), 상기 제1 팬유닛(120), 상기 제2 팬유닛(130) 및 상기 전열교환기(110)를 수용하는 하우징(16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60)은 커버(160c) 및 본체(160m) 등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열 교환기(410)는 실외로 배출되는 실내공기(이하, '내기'라 함)와 실내로 공급되는 실외공기(이하, '급기'라 함)의 열교환을 위한 장치로서, 환기 과정에서 실내 공기의 급격한 변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60) 내에서 상기 전열교환기(110)를 중심으로 상기 급기유로(sap) 및 상기 배기유로(iap)를 구획하기 위한 복수 개의 파티션 부재(140)를 구비하여 하우징 내부의 전열교환기(110)를 제외한 공간을 구획할 수 있다.
상기 급기유로(sap) 및 상기 배기유로(iap)는 상기 하우징(110) 내에서 파티션 부재(140)에 의하여 분리되나, 환기 과정에서 열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전열교환기(110)가 구비되고, 상기 전열교환기(110) 영역에서는 상기 급기유로(sap)와 상기 배기유로(iap)가 교차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전열교환기(110)는 상기 급기유로(sap) 및 상기 배기유로(iap)를 복수 층으로 이격시켜 분할하고 각각의 층 사이에 상대 유로를 배치하여 내기와 급기가 유동하는 과정에서 열교환을 통해 온도 편차를 줄이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제1 팬유닛(120)과 제2 팬유닛(130)은 실내에서 흡입된 내기와 실내로 공급되는 급기의 압력차를 발생시켜 송풍 구동력을 제공한다. 상기 환기유닛(100)을 구성하는 하우징(110) 내에 급기가 유동하는 급기유로(sap)와 내기가 배출되는 배기유로(iap)가 구비되고 각각의 급기유로(sap)와 배기유로(iap) 상에 각각 제1 팬유닛(120)과 제2 팬유닛(130)이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팬유닛(120)은 상기 급기유로(sap) 중 상기 전열교환기(110)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2 팬유닛(130)은 상기 배기유로(iap) 중 상기 전열교환기(110)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팬유닛(120)을 상기 급기유로(sap) 중 상기 전열교환기(110)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2 팬유닛(130)은 상기 배기유로 중 상기 전열교환기(110) 전방에 배치하는 이유는 환기장치에 연결되는 연결관(300)이 복수 개가 구비되는 경우의 기구적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제1 팬유닛(120)을 상기 급기유로(sap) 중 상기 전열교환기(110)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2 팬유닛(130)은 상기 배기유로 중 상기 전열교환기(110) 전방에 배치하면, 상기 급기유로(sap) 중 상기 전열교환기(110) 전방 공간(s1)과 상기 배기유로 중 상기 전열교환기(110) 후방 공간(s2)은 별도의 구조물로 방해받지 않으므로, 급기의 출구덕트(170a) 및 내기의 입구덕트(170b)의 설치 위치와 무관하게 균일한 내부압으로 외기를 공급하거나 내기를 흡입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환기장치(1)의 전열교환기(110), 제1 팬유닛(120) 및 제2 팬유닛(130)은 하우징 내부에 장착되며, 상기 하우징에 실내로 공급되는 급기의 출구덕트(170a) 및 내기의 입구덕트(170b)가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실시예는 각각 5개의 급기의 출구덕트(170a) 및 내기의 입구덕트(170b)가 환기장치의 일측면에 구비되는 예를 도시한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5개의 급기의 출구덕트(170a) 및 5개의 내기의 입구덕트(170b)에 각각 5개의 주름관 구조의 연결관(300)을 연결하면 5개의 실내 공간에 배기와 흡기를 포함하는 환기기능을 독립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주름관 구조의 연결관(300)은 환기대상 실내공간에 구비된 디퓨져와 연결되어 실내공기를 배기하거나 실외공기를 급기하기 위한 환기배관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환기배관들(200)은 일단이 각각의 실내공간의 디퓨저(440)에 연결되고 타단은 공조실로 노출되어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연결관(300)들은 환기장치의 각각의 급기의 출구덕트(170a) 또는 내기의 입구덕트(170b)와 각각의 환기배관(200)을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는 상기 출구덕트(170a) 및 급기의 공급을 위한 상기 환기배관은 복수 개의 연결관(300)에 의하여 각각 일대일(一對一)로 연결되고, 상기 입구덕트(170b) 및 내기의 배출을 위한 상기 환기배관은 복수 개의 연결관(300)에 의하여 각각 일대일(一對一)로 연결하여 하나의 연결관(300)이 하나의 공조공간의 급기 또는 배기를 담당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종래의 아파트 등과 달리 최근 건축되는 아파트 등은 부족한 실내공간을 확장하기 위하여 일부 베란다를 확장하여 실내공간으로 편입하고, 축소된 크기의 하나의 베란다 공간을 공조실로 사용하며, 구체적으로 이와 같은 공조실은 화재 대피공간, 에어컨의 실외기와 환기장치의 설치공간 또는 세탁물의 건조공간으로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환경에서 환기장치가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은 공조실 천정 등의 일부공간이며, 충분한 열교환 능력을 가진 전열교환기(110)와 모든 실내공간으로 송풍하기 위한 풍량을 확보하는 팬유닛을 설치하고 유로를 구획하여 환기장치를 구성하는 경우 환기장치의 폭이 베란다의 폭에 근접하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환기장치 근방에 분기장치를 배관 사이에 설치하거나, 환기장치와 직결식으로 장착 것은 불가능하거나 공조실의 공간적인 제약이 크게 따른다.
그러나, 도 2에 도시된 실시예는 환기장치에 급기의 출구덕트(170a) 및 내기의 입구덕트(170b)를 각각 복수 개를 구비하여, 별도의 분기장치를 요하지 않으므로, 베란다 등의 공조실의 폭이 작은 경우에도 환기장치를 설치할 공간만 존재하는 경우라면 설치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환기장치(1)는 별도의 분기장치 없이, 상기 제1 팬유닛(120)은 상기 급기유로(sap) 중 상기 전열교환기(110)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2 팬유닛(130)은 상기 배기유로 중 상기 전열교환기(110) 전방에 배치하고, 상기 급기의 출구덕트(170a)는 상기 급기유로(sap) 중 전열교환기(110) 전방과 연통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고, 상기 내기의 입구덕트(170b)는 상기 배기유로 중 전열교환기(110) 후방과 연통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장착한 뒤 각각의 급기의 출구덕트(170a) 및 내기의 입구덕트(170b)를 주름관 구조의 연결관(300)으로 환기배관(200) 등과 연결하여 환기장치의 폭을 키우지 않으면서도 하나의 환기장치를 통해 복수 개의 실내공간에 환기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상기 급기의 출구덕트(170a)는 상기 급기유로(sap) 중 전열교환기(110) 전방과 연통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고, 상기 내기의 입구덕트(170b)는 상기 배기유로 중 전열교환기(110) 후방과 연통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장착하면 팬유닛 등에 의한 간섭이 제거되어 복수 개의 입구덕트(170b) 또는 출구덕트(170a)에서 발생되는 풍압이 균일해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주름관 구조의 연결관(300)을 적용하여, 주름관 자체의 유연성을 가지므로 공조실의 장애물 또는 또는 환기장치의 설치위치에 따른 높이차 등을 쉽게 보상하고 설치의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열 교환기(410) 근방에 오염물질을 필터링하기 위한 필터(미도시) 등이 추가로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실시예는 실내의 디퓨저에 연결되는 환기배관이 공조실에서 각각의 연결관(300)과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 것으로 도시되고 설명되었으나, 환기배관 자체가 주름관 구조를 가지며 상기 환기장치의 하우징에 구비된 각각의 출구덕트(170a) 또는 입구덕트(170b)로 바로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즉, 연결관(300)과 환기배관이 일체형으로 주름관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이는, 설치 환경에 따라 선택가능한 방법이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환기장치의 복수 개의 상기 출구덕트(170a) 및 상기 입구덕트(170b)에 각각의 연결관(300)으로 공급되는 급기 또는 연결관(300)을 통해 회수되는 배기의 흐름을 차단하기 위한 댐퍼가 구비될 수 있다.
즉, 환기가 필요하지 않은 실내공간에는 급기 또는 배기될 필요가 없으므로, 이를 차단하기 위하여 실내의 디퓨저 자체에 차단 댐퍼가 구비될 수도 있으나, 환기장치의 소비전력 자체를 효과적으로 낮추기 위하여 풍압을 생성하는 환기장치 자체의 복수 개의 상기 출구덕트(170a) 및 상기 입구덕트(170b) 자체에 댐퍼를 구비하여 불필요한 풍압 손실을 차단하는 방법으로 효율적으로 소비전력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각각의 상기 출구덕트(170a) 및 상기 입구덕트(170b)에 설치되는 댐퍼는 각각 독립적으로 실내에 설치된 컨트롤러 등으로 개폐 제어될 수 있으므로, 사용하지 않는 공간 등의 환기 기능을 환기장치 레벨에서 차단하여 전력 소비량을 낮출 수 있다.
복수 개의 상기 출구덕트(170a) 및 상기 입구덕트(170b)를 하우징에 설치하는 방법은 도 7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환기장치의 조립된 상태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는 상기 환기장치의 하우징의 일측면, 즉 실내공간 방향 측면에만 각각 5개의 출구덕트(170a) 및 입구덕트(170b)가 구비되는 예를 도시하였으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의 실내공간 방향 측면 이외에도 하우징의 상면과 도 2에서 출구덕트(170a) 및 입구덕트(170b)가 설치된 측면과 인접한 다른 측면에 출구덕트(170a) 및 상기 입구덕트(170b)가 구비되는 예를 도시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환기장치(1)는 복수 개의 상기 급기의 출구덕트(170a) 및 복수 개의 상기 내기의 입구덕트(170b)는 상기 하우징의 상면, 하면 및 복수 개의 측면 중 적어도 2면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조실의 폭이 충분치 않고 환기장치의 위치와 환기배관의 위치의 높이차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하우징의 실내공간 방향 측면에 구비되는 출구덕트(170a) 또는 입구덕트(170b)와 환기배관의 단부를 연결관(300)으로 연결하기 어렵거나 연결관(300)의 길이가 길어져야 하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출구덕트(170a) 또는 상기 입구덕트(170b)를 실내공간 방향 측면이 아닌 하우징의 상면 또는 하면, 또는 실내공간 방향 측면과 이웃한 측면에 구비하면 연결관(300) 설치시 공간적인 제약이 최소화되거나, 연결관(300)의 길이를 최소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4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환기장치에 구비된 내기의 입구덕트(170b) 또는 급기의 출구덕트(170a)가 하우징의 상면, 하면 그리고 3개의 측면에 구비되는 예를 도시한다.
실내공간의 개수가 많아지는 경우에도 의미가 있으나, 다양한 설치환경에서 연결관(300)의 길이를 최소화하며, 공조실 등에 공간 제약이 있는 경우 다양한 설치 옵션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기술적 의의가 있다.
그리고,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환기장치에서, 환기장치를 구성하는 하우징의 측면, 상면 또는 하면 중 어느 하나에 출구덕트(170a) 또는 입구덕트(170b)가 복수 개가 구비되고, 복수 개의 출구덕트(170a) 또는 입구덕트(170b)가 복층으로 구성되는 경우, 복수 개의 상기 출구덕트(170a) 및 복수 개의 상기 입구덕트(170b)는 층방향으로 엇갈리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일반적으로 환기장치는 공조실 천정에 수평하게 배치되고 주름관 구조의 연결관(300)으로 어느 정도의 높이차를 보정하며 환기배관과 연결되는 경우, 복수 개의 상기 출구덕트(170a) 및 복수 개의 상기 입구덕트(170b)를 층방향으로 엇갈리게 구비해야 연결관(300)의 연결작업의 작업성이 향상되고 작업공간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내기의 입구덕트(170b) 또는 급기의 출구덕트(170a)는 각각 공기의 흐름을 차단하기 위한 댐퍼 등을 구비하므로, 설치의 용이성을 위하여 내기의 입구덕트(170b) 또는 급기의 출구덕트(170a)의 개수가 늘어나는 경우 환기장치의 비용 증가를 초래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환기장치(1)의 하우징에 구비되는 상기 내기의 입구덕트(170b) 또는 급기의 출구덕트(170a)는 환기장치에 하우징에 형성된 장착홀에 장착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환기장치의 하우징에 내기의 입구덕트(170b) 또는 급기의 출구덕트(170a)의 설치가 가능한 복수 개의 장착홀을 구비하고, 환기를 위한 연결관(300)의 연결이 필요한 위치에 내기의 입구덕트(170b) 또는 급기의 출구덕트(170a)를 설치하고, 내기의 입구덕트(170b) 또는 급기의 출구덕트(170a)가 설치되지 않는 장착홀은 홀커버 (미도시)등을 이용하여 차단하는 방법으로 공압 손실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면, 환기장치의 비용을 최소화하면서도 공간적인 제약으로부터 자유롭고 연결관(300)의 길이도 최소화하여 환기장치를 공조실에 장착할 수 있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환기장치의 하우징에 내기의 입구덕트(170b) 또는 급기의 출구덕트(170a)의 구조를 검토한다.
도 5은 본 발명에 따른 환기장치(1)를 구성하는 출구덕트(170a) 또는 입구덕트(170b)의 구조를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환기장치(1)의 하우징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상기 출구덕트(170a) 및 상기 입구덕트(170b) 각각에 공기의 흐름을 차단하기 위한 댐퍼(1702)가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출구덕트(170a) 또는 상기 입구덕트(170b)는 각각 내부에 유로 차단을 위한 회전 구동축(173) 등에 의하여 개폐될 수 있는 댐퍼(1702)가 설치되고 외주면에 단턱(174)이 구비되는 덕트부재(171), 상기 덕트부재(171)가 하우징의 관통홀(160h)에 장착된 상태로 덕트부재(171)의 단부에 구비된 나사 결합부(175)와 나사 결합이 가능한 체결부재(177) 및 상기 하우징의 내면과 상기 체결부재 사이에 개재되는 실링부재(176) 등을 구비하여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덕트부재(171)는 그 내부에 선택적 개방이 가능한 댐퍼(예를 들면, 회전형 댐퍼)가 구비되고, 상기 덕트부재는 환기장치의 하우징에 형성되는 장착홀(160h)의 전방 또는 후방에서 그 외주에 형성된 단턱 등에 의하여 삽입 깊이가 제한되고, 체결부재와 나사 결합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으며, 관통홀과 덕트부재 사이의 유격 등을 통한 공압 유실은 실링부재(176) 등에 의하여 방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환기장치의 하우징 등에 복수 개의 장착홀을 형성하고, 상기 출구덕트(170a) 또는 상기 입구덕트(170b)가 필요한 곳에만 덕트부재(171), 실링부재(176) 및 체결부재(177)를 사용하여 상기 출구덕트(170a) 또는 상기 입구덕트(170b)를 형성하고, 설치가 불필요한 장착홀은 홀커버 등으로 차단하여 환기장치의 가격 경쟁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도 4에 도시된 환기장치의 설치 상태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도 6은 공조실의 폭이 충분한 크기를 가지며, 환기장치와 환기배관의 높이가 다른 설치상태를 도시하며, 도 7은 공조실의 폭이 충분하지 않은 크기를 가지며, 환기장치와 환기배관의 높이가 다른 설치상태를 도시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조실의 폭(W)이 충분한 크기를 가지며 실외 디퓨저의 높이와 환기배관의 높이가 다른 경우, 환기장치가 실외 디퓨저 높이에 설치될 수 있으며, 환기장치의 하우징 상면 또는 하면과 실내공간 방향 측면에 구비된 입구덕트(170b) 및 출구덕트(170a)에 연결관(300)의 일단을 연결하고, 연결관(300)의 타단을 환기배관 측에 연결하는 방법으로 작업의 연결구조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조실의 폭(w)이 충분한 크기를 갖지 못하고 실외 디퓨저(430)와 환기배관의 높이가 서로 다른 경우에는 환기장치 하우징의 상면 또는 하면에 구비된 입구덕트(170b) 및 출구덕트(170a)에 연결관(300)의 일단을 연결하고, 연결관(300)의 타단을 환기배관(200) 측에 연결하는 방법으로 좁은 공조실 내부에서 실외 디퓨저의 높이가 환기배관의 높이와 다른 경우라도 환기장치를 설치하여 환기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실시예는 환기장치(1)는 실내 환기를 위한 환기배관(200)과 높이가 다른 경우에 주름관 구조의 연결관(300)을 통해 환기장치(1)의 하우징에 직접 구비된 급기의 출구덕트들 또는 배기의 입구덕트들과 환기배관들(200)을 일대일(一對一)로 연결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환기장치(1)와 실내 환기를 위한 환기배관(200)의 높이가 다른 경우 이외에도 수평방향 위치가 다른 경우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즉, 환기배관들(200)과 실외 디퓨저(430)의 위치가 정방향으로 마주보지 않는 경우에도 주름관 구조의 연결관을 사용하여 공간적인 제약에서 자유롭게 환기장치를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실외 디퓨져(430)과 환기장치(1)가 직접 연결되지 않고 이격된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환기장치와 실외 디퓨저(430)를 주름관 등으로 연결하여 실외 디퓨저(430)와 환기장치(1) 사이의 설치 위치 상의 제약도 제거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환기장치의 설치상태의 평면도를 도시하며,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환기장치의 분해도와 조립된 상태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실시예는 상기 환기장치의 하우징에 구비된 복수 개의 입구덕트(170b)와 출구덕트(170a)와 복수 개의 환기배관을 연결하는 연결관(300)의 대응관계가 일대일(一對一)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그러나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실시예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급기의 출구덕트(170a) 및 급기의 공급을 위한 복수 개의 상기 환기배관(200)은 하나의 연결관(300)에 의하여 연결되고, 적어도 하나의 상기 내기의 입구덕트(170b) 및 내기의 배출을 위한 복수 개의 상기 환기배관은 하나의 연결관(300)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실시예는 상기 급기의 출구덕트(170a) 또는 상기 내기의 입구덕트(170b)와 각각의 환기배관은 일대일(一對一) 연결되어 다양한 환경에서 설치 자유도를 제공할 수 있다. 즉, 환기장치의 하우징의 상면, 하면 또는 다양한 측면에 출구덕트(170a) 또는 입구덕트(170b)를 구비하고 설치환경에 따라 각각 개별 연결관(300)을 이용하여 환기배관을 일대일(一對一)로 연결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설치 자유도를 극대화할 수 있다.
그러나,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실시예는 하나의 연결관(300)이 하나의 입구덕트(170b) 또는 출구덕트(170a)와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에서 복수 개의 환기배관과 연결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즉, 상기 연결관(300)은 일대일(一對一) 연결이 아닌 일대다(一對多) 연결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관(300) 역시 주름관 형태로 구성되어 공조실 등의 공간적 제약으로부터 자유로운 설치를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환기장치(1)는 내기의 입구덕트(170b)와 외기의 출구덕트(170a)가 팬유닛 등과의 간섭을 최소화하고 균일한 풍압이 발생되도록 하기 위하여, 급기유로(sap) 상에 설치되는 상기 제1 팬유닛(120)은 상기 급기유로(sap) 중 상기 전열교환기(110) 후방에 배치되고, 배기유로 상에 배치되는 상기 제2 팬유닛(130)은 상기 배기유로 중 상기 전열교환기(110) 전방에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급기의 출구덕트(170a)는 상기 급기유로(sap) 중 전열교환기(110) 전방과 연통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고, 상기 내기의 입구덕트(170b)는 상기 배기유로 중 전열교환기(110) 후방과 연통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장착할 수 있음은 도 9에 도시된 실시예 역시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다.
그리고 도 9에 도시된 실시예 역시 상기 내기의 입구덕트(170b)와 상기 배기의 출구덕트(170a)가 적어도 하나 구비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도 9에 도시된 실시예는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환기장치 하우징의 상면, 하면 그리고 3개의 측면에 상기 내기의 입구덕트(170b)와 상기 배기의 출구덕트(170a)가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급기의 출구덕트(170a)는 상기 급기유로(sap) 중 전열교환기(110) 전방의 공간과 연통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고, 상기 내기의 입구덕트(170b)는 상기 배기유로 중 전열교환기(110) 후방의 공간과 연통되도도록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므로, 각각의 출구덕트(170a)는 전열교환기(110) 전방의 공간을 에서 4개, 각각의 입구덕트(170b)는 상기 전열교환기(110) 후방의 공간에서 4개가 연결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실시예 역시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하우징에 장착되는 출구덕트(170a) 또는 입구덕트(170b)는 하우징에 구비된 복수 개의 장착홀에 선택적으로 설치 가능한 구조일 수 있다. 즉, 각각 덕트부재, 실링부재 및 체결부재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출구덕트(170a) 또는 상기 입구덕트(170b)와 각각 복수 개의 환기배관을 연결하는 연결관(300)은 그 일단이 상기 급기의 출구덕트(170a) 또는 상기 내기의 입구덕트(170b)와 연결되고, 그 타단은 상기 공조실으로 단부가 노출된 복수 개의 상기 환기배관과 동시에 연결되는 구조를 가지므로, 상기 연결관(300)의 타단은 단면적이 확장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연결관(300)의 단부에는 복수 개의 상기 환기배관의 단부와 연결되기 위한 분기구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분기구에는 각각의 분기구를 통한 공기의 흐름을 선택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댐퍼가 구비될 수 있다.
도 4 등에 도시된 전술한 실시예는 환기장치의 하우징에 구비된 출구덕트(170a) 또는 입구덕트(170b) 자체에 댐퍼를 구비하여 특정 연결관(300) 또는 환기배관으로 외기 또는 내기의 유출입을 방지하는 구조를 가지나 도 9에 도시된 실시예는 연결관(300)의 직경이 확장된 후단에 구비된 복수 개의 분기구 각각에 댐퍼가 구비된다.
도 10는 본 발명에 따른 환기장치(1)의 하우징에 장착되는 연결관(300)의 단부의 정면도와 단면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환기장치(1)는 복수 개의 구획된 실내공간에 선택적으로 환기기능을 제공하기 위하여 도 9에 도시된 실시예는 환기장치를 구성하는 출구덕트(170a) 또는 입구덕트(170b)와 환기배관을 연결하는 연결관(300)에 댐퍼(323)를 구비한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와 달리 도 9에 도시된 실시예는 하나의 입구덕트(170b) 또는 출구덕트(170a)에 연결되는 하나의 연결관(300)과 복수 개의 환기배관이 연결되는 구조를 가지므로, 입구덕트(170b) 또는 출구덕트(170a)에 댐퍼(323)를 구비하지 않고 연결관(300) 자체에 댐퍼를 구비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관(300)의 단부에 복수 개의 분기구(321)가 구비되고, 각각의 분기구(321)에 댐퍼(323)가 구비되는 구조를 갖는다.
즉, 도 10(a)에 도시된 정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분기구(321)에 회전형 댐퍼(323)가 구비되고, 각각의 댐퍼는 각각의 분기구(321)의 개방 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장착된다. 구체적으로, 5개의 댐퍼 중 우측 상단 및 좌측 하단의 댐퍼는 분기구를 전폐한 상태를 도시하며 좌측 상단의 댐퍼는 분기구를 전개한 상태를 도시하며 중앙 상단 및 우측 하단의 댐퍼는 각각 분기구의 일부를 개방한 상태를 도시한다.
이는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회전형 댐퍼(323)는 회전축(325)에 회전 가능하게 각각의 분기구(321)에 설치될 수 있으며, 선태적으로 각각의 유로를 개방 또는 차단하도록 하여 복수 개의 실내공간의 선택적 환기를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관(300)읜 단부에 복수 개의 분기구가 설치되며, 상기 분기구는 주름관 자체에 구비되는 것이 아니라 주름관 구조의 연결관(300)의 단부에 복수 개의 분기구(321)와 각각의 댐퍼(323)가 구비된 분기부재(320)가 장착되는 방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주름관 구조의 연결관(300)은 결국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확대되는 주름관 형태의 연결튜브(310)와 상기 연결튜브(310)의 타단에 장착되며 각각 댐퍼(323)를 구비하는 복수 개의 분기구(321)가 형성된 분기부재(3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고 볼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분기부재(320)에 형성된 분기구(321) 역시 하우징에 구비된 입구덕트(170b) 또는 출구덕트(170a)와 마찬가지로 상기 분기구(321)가 복층으로 구비되는 경우, 층방향으로 엇갈리게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환기배관이 수평하게 일렬로 공조실로 도입되는 경우에는 상기 분기부재에 형성된 분기구 역시 수평방향으로 일렬로 구비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1 및 도 12은 도 9에 환기장치의 설치상태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9에 도시된 환기장치 역시 환기장치와 환기배관을 연결하는 연결관(300)이 주름진 주름관 구조를 가지므로 유연성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도 11은 공조실의 폭(W)이 충분한 크기를 가지며, 환기장치와 환기배관의 높이가 다른 설치상태를 도시하며, 도 12는 공조실의 폭(w)이 충분하지 않은 크기를 가지며, 환기장치와 환기배관의 높이가 다른 설치상태를 도시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조실의 폭(W)이 충분한 크기를 가지며 실외 디퓨저(430)의 높이와 환기배관의 높이가 다른 경우, 환기장치가 실외 디퓨저(430) 높이에 설치될 수 있으며, 환기장치의 하우징 상면 또는 하면과 실내공간 방향 측면에 구비된 입구덕트(170b) 및 출구덕트(170a)에 연결관(300)의 일단을 연결하고, 연결관(300)의 타단의 타단에 복수 개의 환기배관(200)을 방법으로 복수 개의 구획된 실내공간에 독립적 환기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작업의 연결구조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조실의 폭(w)이 충분한 크기를 갖지 못하고 실외 디퓨저와 환기배관의 높이가 서로 다른 경우에는 환기장치 하우징의 상면 또는 하면에 구비된 입구덕트(170b) 및 출구덕트(170a)에 연결관(300)의 일단을 연결하고, 연결관(300)의 타단에 복수 개의 환기배관을 연결하는 방법으로 좁은 공조실 내부에서 실외 디퓨저의 높이가 환기배관의 높이와 다른 경우라도 환기장치를 설치하여 환기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2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환기장치(1)는 그 연결관(300)와 환기배관이 일대일(一對一) 방식으로 연결되지 않고 하나의 연결관(300)과 복수 개의 환기배관이 일대다(一對多) 방식으로 연결되는 구조를 가지므로, 공조실 등의 공간에 설치되는 경우에도 미관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장점도 존재한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실시예는 환기장치(1)는 실내 환기를 위한 환기배관(200)과 높이가 다른 경우에 주름관 구조의 연결관(300)을 통해 환기장치(1)의 하우징에 직접 구비된 급기의 출구덕트들 또는 배기의 입구덕트들과 환기배관들(200)을 일대다(一對多) 방식으로 연결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환기장치(1)와 실내 환기를 위한 환기배관(200)의 높이가 다른 경우 이외에도 수평방향 위치가 다른 경우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즉, 환기배관들(200)과 실외 디퓨저(430)의 위치가 정방향으로 마주보지 않는 경우에도 주름관 구조의 연결관을 사용하여 공간적인 제약에서 자유롭게 환기장치를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실외 디퓨져(430)과 환기장치(1)가 직접 연결되지 않고 이격된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환기장치와 실외 디퓨저(430)를 주름관 등으로 연결하여 실외 디퓨저(430)와 환기장치(1) 사이의 설치 위치 상의 제약도 제거할 수 있음은 도 6 및 도 7을 참조한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다.
본 명세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이하에서 서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변형된 실시가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면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한다.
1 : 환기장치
110 : 전열교환기
170a : 외기의 출구덕트
170b : 내기의 입구덕트
300 : 연결관

Claims (13)

  1. 복수 개의 구획된 실내공간의 환기를 위하여 분리된 공조실에 설치되는 환기장치에 있어서,
    실내로 공급되는 급기가 흐르는 급기유로 상에 설치되는 제1 팬유닛;
    실내서 흡입된 내기가 흐르는 배기유로 상에 설치되는 위한 제2 팬유닛;
    상기 급기유로 및 상기 배기유로의 교차점에 설치되어 상기 급기와 인 내기의 열교환을 위한 전열교환기;
    상기 제1 팬유닛과 상기 제2 팬유닛 및 상기 전열교환기를 수용하며, 실내로 공급되는 급기의 출구덕트 및 내기의 입구덕트가 각각 적어도 하나가 구비된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급기의 출구덕트 및 적어도 하나의 내기의 입구덕트에 일단이 연결되고, 복수 개의 실내공간으로 급기를 공급하고 내기를 회수하기 위하여 실내공간의 천정에 구비되고 공조실로 연결된 환기배관과 타단이 연결된 연결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팬유닛은 상기 급기유로 중 상기 전열교환기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2 팬유닛은 상기 배기유로 중 상기 전열교환기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제1 팬유닛 및 상기 제2 팬유닛은 상기 하우징 내에서 상기 전열교환기를 경계로 실외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급기의 출구덕트는 상기 급기유로 중 전열교환기 전방과 연통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고, 상기 내기의 입구덕트는 상기 배기유로 중 전열교환기 후방과 연통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며,
    상기 급기의 출구덕트 및 급기의 공급을 위한 복수 개의 상기 환기배관은 하나의 연결관에 의하여 일대다(一對多)로 연결되고, 상기 내기의 입구덕트 및 내기의 배출을 위한 복수 개의 상기 환기배관은 하나의 연결관에 의하여 일대다(一對多)로 연결되며,
    상기 연결관은 상기 환기장치의 하우징에 구비되는 상기 입구덕트 또는 상기 출구덕트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의 직경이 확장되는 주름관 구조의 연결튜브 및 상기 연결튜브의 타단에 장착되며 각각 댐퍼를 구비하여 복수 개의 환기배관과 각각 연결되는 복수 개의 분기구가 형성된 분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에서 상기 전열교환기를 중심으로 상기 급기유로 및 상기 배기유로를 구획하기 위한 복수 개의 파티션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구덕트 및 상기 입구덕트는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복수 개의 장착홀에 나사형 체결부재에 의하여 나사결합되는 방식으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구덕트 및 상기 입구덕트는 상기 하우징의 상면, 하면 및 복수 개의 측면 중 적어도 2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1020160073010A 2016-06-13 2016-06-13 환기장치 KR1016818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3010A KR101681870B1 (ko) 2016-06-13 2016-06-13 환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3010A KR101681870B1 (ko) 2016-06-13 2016-06-13 환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1870B1 true KR101681870B1 (ko) 2016-12-01

Family

ID=575773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3010A KR101681870B1 (ko) 2016-06-13 2016-06-13 환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1870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65824A (zh) * 2017-03-28 2017-05-31 上海境舒环境科技有限公司 一种多功能进风方式的进风双仓
KR101812447B1 (ko) * 2017-04-14 2017-12-26 윤병석 환기장치
KR101882629B1 (ko) * 2017-12-14 2018-07-26 윤병석 환기장치용 슬리브 어셈블리 및 그 설치방법
KR102105026B1 (ko) * 2019-12-09 2020-05-29 오충록 대형 공간용 열회수 환기장치
CN111263871A (zh) * 2017-07-28 2020-06-09 欧洲冷水机组有限公司 空气冷凝器
KR20220116652A (ko) * 2021-02-15 2022-08-23 김재환 실내공기 환기시스템의 클린덕트 연결구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83598A (ja) * 2003-09-04 2005-03-31 Densho:Kk 屋根裏・床下・居室収納部等の同時換気システム
JP2009036398A (ja) * 2007-07-31 2009-02-19 Hrd Singapore Pte Ltd 住宅用換気システム
KR101013727B1 (ko) * 2010-09-13 2011-02-14 (주)진성이알브이 분배기 일체형 전열교환기
JP2013134041A (ja) * 2011-12-27 2013-07-08 Mitsubishi Electric Corp 熱交換換気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83598A (ja) * 2003-09-04 2005-03-31 Densho:Kk 屋根裏・床下・居室収納部等の同時換気システム
JP2009036398A (ja) * 2007-07-31 2009-02-19 Hrd Singapore Pte Ltd 住宅用換気システム
KR101013727B1 (ko) * 2010-09-13 2011-02-14 (주)진성이알브이 분배기 일체형 전열교환기
JP2013134041A (ja) * 2011-12-27 2013-07-08 Mitsubishi Electric Corp 熱交換換気装置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65824A (zh) * 2017-03-28 2017-05-31 上海境舒环境科技有限公司 一种多功能进风方式的进风双仓
KR101812447B1 (ko) * 2017-04-14 2017-12-26 윤병석 환기장치
CN111263871A (zh) * 2017-07-28 2020-06-09 欧洲冷水机组有限公司 空气冷凝器
KR101882629B1 (ko) * 2017-12-14 2018-07-26 윤병석 환기장치용 슬리브 어셈블리 및 그 설치방법
KR102105026B1 (ko) * 2019-12-09 2020-05-29 오충록 대형 공간용 열회수 환기장치
KR20220116652A (ko) * 2021-02-15 2022-08-23 김재환 실내공기 환기시스템의 클린덕트 연결구조
KR102621113B1 (ko) * 2021-02-15 2024-01-03 김재환 클린덕트 연결구조를 갖는 실내공기 환기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1870B1 (ko) 환기장치
KR101812447B1 (ko) 환기장치
KR100838881B1 (ko) 공기조화기
KR100688606B1 (ko) 열교환장치를 이용한 통합 환기 시스템
RU2358203C1 (ru) Теплообменник
US20070113527A1 (en) Air conditioning system
KR100629342B1 (ko) 공기조화기
JPH10332181A (ja) 換気装置
KR20160031657A (ko) 열회수형 환기장치용 분배박스 및 이를 구비한 열회수형 환기장치
JP2003227642A (ja) 換気装置
JP5530282B2 (ja) 換気空調システム及び建物
KR20080019357A (ko) 공기조화기
KR20100109666A (ko) 일체형 급배기 후드
KR101882629B1 (ko) 환기장치용 슬리브 어셈블리 및 그 설치방법
JP7478586B2 (ja) 給気制御装置及び空調システム
JP2001027428A (ja) 空気調和装置
JP5247610B2 (ja) 熱交換換気装置
KR20210098073A (ko) 공기조화 시스템의 덕트
JP2020148386A (ja) 加圧型熱交換換気式建屋
KR100851589B1 (ko) 공기 조화 시스템
US11713901B2 (en) Makeup air cross-flow energy recovery system atop air conditioner
JPH07208797A (ja) 空気調和機
US11774133B2 (en) Air conditioning appliance having a plenum for make-up air
KR20050064963A (ko) 덕트형 공기조화기의 배관 지지구조
KR101425366B1 (ko) 칸막이를 이용한 공조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