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5366B1 - 칸막이를 이용한 공조시스템 - Google Patents

칸막이를 이용한 공조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5366B1
KR101425366B1 KR1020130108277A KR20130108277A KR101425366B1 KR 101425366 B1 KR101425366 B1 KR 101425366B1 KR 1020130108277 A KR1020130108277 A KR 1020130108277A KR 20130108277 A KR20130108277 A KR 20130108277A KR 101425366 B1 KR101425366 B1 KR 1014253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partition
room
target portion
out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82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주호
Original Assignee
트레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트레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트레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082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53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53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53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10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air supply, or exhaust, through perforated wall, floor or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6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purification, e.g. by filtering; by sterilisation; by ozonis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08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separate ducts for supplied and exhausted air with provisions for reversal of the input and output syste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Abstract

본 발명은 칸막이를 이용한 공조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이 공조시스템은 급기덕트와, 배기덕트와, 그 내부를 통하여 정화된 외부 공기를 실내로 유입시킬 수 있도록 그 하부에 유입구가 형성된 제1 칸막이와, 상기 제1 칸막이의 상부와 상기 급기덕트가 연결되어서 정화된 공기가 실내로 유입되도록 연결설치되어 있는 제1 연결수단과, 그 내부를 통하여 오염된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그 하부에 흡입구가 형성된 제2 칸막이와, 상기 제2 칸막이의 상부와 상기 배기덕트가 연결되어서 실내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연결설치되어 있는 제2 연결수단과, 상기 제1 칸막이와 제2 칸막이의 내측에 각각 설치되어 공기를 정화할 수 있도록 된 공기정화장치와, 온도감지센서 및,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칸막이에 공기정화장치가 설치됨으로써 실내로 유입되는 조화된 공기 또는 실내에서 배출되는 오염된 공기에 대한 살균 및 탈취가 이루어져서 정화되며, 실내에 아무도 없을 때에 온도감지센서에 의하여 가변형 댐퍼가 작동하게 함으로써 불필요한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칸막이를 이용한 공조시스템{AIR CONDITIONING SYSTEM USING A PARTITION}
본 발명은 칸막이를 이용한 공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시스템은 외부에 설치된 공기조화기에 연통되도록 연결되고 일측 내부에 급기용 팬이 설치된 급기덕트에 일정한 간격으로 연결된 지관 및 그 지관에 설치된 디퓨저(diffuser)를 통하여 공기조화공간인 실내로 공기 조화된 공기가 송풍되어 환기가 됨은 물론, 실내 환경에 요구되는 알맞은 온도의 기류가 되어 신선하고 쾌적한 실내 환경이 이루어지고, 실내의 오염된 공기는 디퓨저와 지관 및 배기덕트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공기조화시스템에 의해서 공기조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건물의 공기조화 방식은 어느 한 장소에 설치된 공기조화기에서 모든 층의 실내로 공기조화된 공기를 급기덕트를 통하여 공급하고 실내의 오염된 공기는 배기덕트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중앙공조기 방식과, 각 층별로 설치된 공기조화기에서 각 실내로 공기조화된 공기를 급기덕트를 통하여 공급하고 실내의 오염된 공기는 배기덕트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각층 공조기 방식으로 분류된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중앙공조기 방식이나 각층 공조기 방식은 외부에 설치된 공기조화기에 연결되고 일측에 급기용 팬이 설치된 급기덕트(10)와, 이 급기덕트(10)에 연결된 급기지관(11) 및, 이 급기지관(11)의 하단부에 설치된 급기용 디퓨저(11a)를 통하여 냉방 또는 난방공기를 보내고, 실내의 오염된 공기는 배기용 디퓨저(21a)와, 배기지관(21) 및 배기용 팬이 설치된 배기덕트(20)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중앙공조기 방식과 각층 공조기 방식에서 입주자가 실내를 원하는 용도에 맞게 구획되도록 칸막이(110)를 설치하여 여러 개로 나누어진 실내{R1,R2,R3,...(이하, 분실이라고 함)}로 나누어야 할 경우에는 실내전체의 공기환경을 제어하는 온도 및 습도의 제어가 불가능하게 되고, 각 분실간의 냉난방의 균형이 깨어져서 균일한 냉난방이 이루어질 수 없게 되어 에너지의 낭비 및 실내공기의 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예컨대, 도 1에서 제1분실(R1)에는 급기용 디퓨저(11a)만 있게 되고, 제3분실(R3)에서는 급기용 디퓨저(11a)나 배기용 디퓨저(21a)가 전혀 없고 제2분실(R2)에서만 급기용 디퓨저(11a) 및 배기용 디퓨저(21a)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각 급배기용 디퓨저(11a, 21a)의 배열을 수정하는 공사를 수반하게 된다.
즉, 상기 종래의 공기조화 방식에서는 실내 레이아웃(LAY OUT)이 바뀌게 되면 구획되어서 분리된 각 분실에 급기되는 공기나 배기되는 공기의 분포와 흐름이 바뀌게 되어 초기에 설계된 공기조화 기능을 상기 각 분실(R1,R2,R3,...)마다 발휘할 수 없게 될 뿐만 아니라 별도의 추가공사인 덕트 변경공사를 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그리고, 냉난방시 더운 공기와 찬 공기가 상하로 구분되어 층이 형성됨으로써 바닥 및 대체로 사람이 거주하는 높이인 1.5m 이하에는 냉기 또는 온기가 전달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77479호(2006.04.28),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66586호(2012.07.11),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93835호(2009.04.10),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03607호(2012.11.15)에 기재되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공기조화시스템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급기되는 공기가 실내의 하부로부터 유입 또는 배기됨과 아울러 공기가 실내의 하부에서 상측으로 배출되도록 구성하여 각 분실 전체의 공기환경이 일정하도록 함으로써 온도 및 습도의 제어가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각 실내를 구획한 분실들이 모두 균일한 냉방 또는 난방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함으로써 에너지의 낭비를 방지하며 실내공기의 질이 향상될 수 있도록 된 칸막이를 이용한 공조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별도의 급배기 디퓨저의 배열을 위한 추가공사를 할 필요가 없는 칸막이를 이용한 공조시스템을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냉난방시 더운 공기와 찬 공기가 상하로 구분되어 층이 형성되지 않도록 하여 바닥 및 사람이 거주하는 높이인 1.5m 이하는 물론, 실내 전체에 골고루 냉기 또는 온기가 전달되도록 할 수 있는 칸막이를 이용한 공조시스템을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외부의 공기조화기에 의해 정화된 공기를 실내에 공급하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천정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지관들이 연결된 급기덕트와, 실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천정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지관들이 연결된 배기덕트와, 그 내부를 통하여 정화된 외부 공기를 실내로 유입시킬 수 있도록 그 하부에 유입구가 형성된 제1 칸막이와, 상기 제1 칸막이의 상부와 상기 급기덕트가 연결되어서 정화된 공기가 실내로 유입되도록 연결설치되어 있는 제1 연결수단과, 그 내부를 통하여 오염된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그 하부에 흡입구가 형성된 제2 칸막이와, 상기 제2 칸막이의 상부와 상기 배기덕트가 연결되어서 실내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연결설치되어 있는 제2 연결수단과, 상기 제1 칸막이와 제2 칸막이의 내측에 각각 설치되어 공기를 정화할 수 있도록 된 공기정화장치와, 상기 제1 칸막이와 제2 칸막이의 일측에 설치되어 실내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도록 된 온도감지센서 및, 상기 온도감지센서의 온도에 따라 상기 공기정화장치를 제어하여 온/오프시킬 수 있도록 된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제1 연결수단과 제2 연결수단은 상기 제1 칸막이와 제2 칸막이의 상단에 각각 라인 디퓨저의 하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라인 디퓨저의 상단부에 연결호스가 연결되며, 상기 연결호스의 상단부에 상기 급기덕트 및 배기덕트의 상단부가 연결된 가변형 댐퍼가 각각 연결설치되는 것이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온도감지센서는 그 감지되는 온도에 따라 상기 가변형 댐퍼를 제어하여 작동시킴으로써 가변형 댐퍼의 개폐판을 개폐시켜 상기 공기정화장치를 제어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공기정화장치는 상부 및 하부에 각각 통기공이 형성된 수납부 내에 내장된 것이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공기정화장치는 상기 수납부의 내부에 고정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측에 설치되는 자외선램프와, 상기 자외선램프의 외측에 설치됨과 아울러 자외선의 일부가 통과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표면에 복합 나노 광촉매가 코팅되어 있는 내부 타겟부 및, 상기 내부 타겟부를 감싸고 상기 베이스에 고정됨과 아울러 그 표면에 복합 나노 광촉매가 코팅되고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된 배플구조로 되어 있는 외부 타겟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공기정화장치의 베이스는 양단부에 각각 형성된 외측 격판과, 상기 양측의 외측 격판의 내측에 자외선램프가 고정 설치되도록 양측부에 형성된 내측 격판과, 상기 자외선램프의 일측부를 고정시키도록 양측의 내측 격판의 사이의 일측에 설치된 램프클립과, 전후측의 하단부에 구성된 것으로서 외부 타겟부를 설치하기 위한 다수의 체결공이 형성된 수직면과 상기 수납부의 내부의 일측면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공이 형성된 수평면으로 이루어진 체결편 및, 상기 양측의 외측 격판에 각각 설치된 커넥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공기정화장치의 내부 타겟부는 베이스의 내측의 양측부에 형성된 내측 격판사이에 설치된 자외선램프를 중심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된 다수의 핀으로 구성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공기정화장치의 외부 타겟부는 베이스의 체결공에 대응하는 위치에 외부 타겟부의 전후면의 하측에 일정한 간격으로 ㄱ자 형상의 고정홈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칸막이를 이용한 공조시스템에 의하면, 칸막이를 통하여 실내의 하부로 공기를 유도하여 유입되게 하거나, 실내의 하부에서 칸막이를 통하여 상부로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유도하여 배출하게 함으로써 추가공사인 덕트 변경공사를 할 필요가 없게 되어 비용 절감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종래의 상부인 천정에서 공급하거나 배출하는 공조방식을 실내의 하부에서 공급하거나 배출하는 공조방식으로 변경함으로써 냉난방시 각 분실 전체가 균일한 냉방 및 난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고, 에너지 절감 효과 및 천정의 디퓨저에서의 소음이 없이 운전 가능하게 된다.
또한, 칸막이에 공기정화장치가 설치됨으로써 실내로 유입되는 조화된 공기 또는 실내에서 배출되는 오염된 공기에 대한 살균 및 탈취가 이루어져서 정화 되며, 실내에 아무도 없을 때에 온도감지센서에 의하여 가변형 댐퍼가 작동하게 함으로써 불필요한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실내를 몇 구간으로 구획하여서 사무공간이 변경되어도 기존의 덕트시설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칸막이만 이동하면 되므로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칸막이로 인한 실내공간의 변형이 기존의 공기조화설비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실내의 하부로 조화된 공기가 공급되거나 실내의 하부에서 실내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공조방식을 병행할 수 있으므로 에너지 절감 및 청정 공조를 실현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공기정화장치에 의하여 살균 및 탈취정화기능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됨으로써 급기되거나 배출되는 공기의 질을 개선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공조시스템을 나타낸 일부 종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칸막이를 이용한 공조시스템을 나타낸 일부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조시스템에 설치되는 공기정화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에서 외부 타겟부를 제거시킨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칸막이를 이용한 공조시스템에서 가변형 댐퍼 및 공기정화장치의 자동제어 상태를 나타낸 블록도.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일면", "타면",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축방향"은 도 1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상부 및 하부 방향을 지칭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칸막이를 이용한 공조시스템을 설명하면, 상기 공조시스템은 공기조화된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는 급기덕트(10), 실내공기를 실외로 배출하는 배기덕트(20), 실내의 하부를 통하여 조화된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는 제1 칸막이(30), 상기 제1 칸막이(30)와 상기 급기덕트(10)의 사이에 연결 설치되어 있는 제1 연결수단(40), 실내의 하부를 통하여 실내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제2 칸막이(50), 상기 제2 칸막이(50)와 상기 배기덕트(20)의 사이에 연결 설치되어 있는 제2 연결수단(60), 상기 제1 칸막이(30)와 제2 칸막이(50)의 일측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공기정화장치(80), 상기 공기정화장치(80) 및 가변형 댐퍼(43,63)의 작동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제어부(10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급기덕트(10)는 외부에 설치되어 있는 공기조화기(미 도시함)와 연결되어 있고, 천정마감재인 천정판(120)과 그 위의 슬래브 사이를 통과하도록 설치되어서 공기조화기에서 발생되는 신선한 조화된 공기가 실내로 유입되게 하고, 실내 환경에 요구되는 쾌적한 온도의 환경이 조성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배기덕트(20)는 천정판(120)과 그 위의 슬래브의 사이를 통과하도록 설치되어서 실내의 각종 오염된 공기를 실외로 배출되게 함으로써 실내공기의 환기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조화된 공기를 실내의 하부에서 공급하는 제1 칸막이(30)는 내부에서 공기가 소통될 수 있도록 구성된 통기 패널로서 이동할 수 있으며, 재질은 철제 또는 그 외 다른 재질로도 제작할 수 있다. 상기 제1 칸막이(30)는 실내를 입주자인 사용자가 원하는 용도에 알맞게 구획되게 하기 위하여 천정판(120)과 바닥콘크리트(130)의 사이를 건너질러서 막도록 수직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1 칸막이(30)는 저면이 바닥콘크리트(130)에 접하고 상면의 중공부가 후술하는 라인디퓨저(41)가 삽입 설치되도록 형성된 천정판(120)의 삽입공(121)과 일치되도록 천정판(120)의 저면에 밀착되게 설치되어서 인접하는 양측 분실(R1, R2, R3...)내의 공기가 소통될 수 없도록 밀폐되어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1 칸막이(30)의 중앙부에 상측방향으로 공기가 소통될 수 있도록 공간부(32)가 형성되어 있고, 그 재질은 강도를 고려하여 철재가 바람직하다.
상기 공간부(32)는 각 칸막이(30)의 중앙부 이외의 좌, 우측부분 등의 적절한 부분에 수직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할 수도 있고 그 공간부(32)의 개수에는 구애받지 않는다.
상기 제1 칸막이(30)의 하단부에는 외부에 설치된 공기조화기에서 발생되는 신선한 조화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유입구(31)가 형성되어 있고, 그 유입구(31)에는 통풍루버(louver)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 칸막이(30)의 유입구(31)의 상측에는 공기정화장치(80)가 설치되어서 유입되는 상기 조화된 공기를 정화시켜서 실내로 공급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제1 칸막이(30)는 구획되는 각 분실(R1, R2, R3...)의 수에 따라 실내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고, 일측의 외부에 가변형댐퍼(43)를 자동으로 작동시키도록 실내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90)가 설치되어 있고, 타측의 내부에 후술하는 공기정화장치(80)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칸막이(30)는 각 필요한 장소로 간편하게 이동시켜서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1 연결수단(40)은 제1 칸막이(30)와 급기덕트(10)가 서로 연결되게 하기 위하여 설치된 것으로서, 라인디퓨저(41), 연결호스(42), 가변형댐퍼(43)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라인디퓨저(41)는 그 하단부가 상기 천정판(120)의 삽입공(121)을 관통하여 상기 제1 칸막이(30)의 상단 중공부에 틈새가 없이 밀착되게 삽입 고정되어 있다.
상기 연결호스(42)는 그 하단부의 중공부내에 상기 라인디퓨저(41)의 상단부가 밀착되게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구인 클립을 사용하여 라인디퓨저(41)와 연결호스(42)가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다. 연결호스(42)는 플랙시블한 호스가 바람직하다.
상기 가변형댐퍼(43)는 상기 연결호스(42)의 상단 중공부에 밀착되게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구인 클립을 사용하여 연결호스(42)와 가변형댐퍼(43)가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고, 그 상단부가 상기 급기덕트(10)에 형성된 삽입공에 관통하여 삽입된 상태로 고정 설치되어 있다.
가변형 댐퍼(43)는 후술하는 제어부(100)의 제어에 의해서 내부에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된 개폐판의 개폐가 자동으로 이루어지거나, 수동으로 제어부(100)를 온, 오프시킴으로써 상기 개폐판의 개폐가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실내의 하부에서 실내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제2 칸막이(50)는 공기가 소통될 수 있도록 구성된 통기패널이며 실내를 입주자인 사용자가 원하는 용도에 알맞게 구획되게 하기 위하여 천정판(120)과 바닥콘크리트(130)의 사이를 건너질러서 막도록 수직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2 칸막이(50)는 저면이 바닥콘크리트(130)에 접하고 상면의 중공부가 후술하는 라인디퓨저(61)가 삽입 설치되도록 형성된 천정판(120)의 삽입공(121)과 일치되도록 천정판(120)의 저면에 밀착되게 설치되어서 인접하는 양측 분실(R1, R2, R3...)내의 공기가 소통될 수 없도록 밀폐되어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2 칸막이(50)의 중앙부에 상측방향으로 공기가 소통될 수 있도록 공간부(5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칸막이(50)의 재질은 철제가 바람직하다.
상기 공간부(52)는 제2 칸막이(50)의 중앙부 이외의 좌, 우측부분 등의 적절한 부분에 수직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할 수도 있고 그 공간부(52)의 개수에는 구애받지 않는다.
상기 제2 칸막이(50)의 하단부에는 오염된 실내공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배출구(51)가 형성되어 있고, 그 배출구(51)에는 통풍루버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2 칸막이(50)의 배출구(51)의 상측에는 상기 공기정화장치(80)가 설치되어서 배출되는 오염된 실내공기를 정화시켜서 실외로 배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제2 칸막이(50)는 구획되는 각 분실(R1, R2, R3...)의 수에 따라 실내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고, 일측의 외부에 가변형댐퍼(63)를 자동으로 작동시키도록 실내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90)가 설치되어 있고, 타측의 내부에 후술하는 공기정화장치(80)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칸막이(50)는 각 필요한 장소로 간편하게 이동시켜서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2 연결수단(60)은 제2 칸막이(50)와 배기덕트(20)를 연결되게 하기 위하여 설치된 것으로서, 라인디퓨저(61), 연결호스(62), 가변형댐퍼(63)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라인디퓨저(61)는 그 하단부가 상기 천정판(120)의 삽입공(121)을 관통하여 상기 제2 칸막이(50)의 상단 중공부에 틈새가 없이 밀착되게 삽입 고정되어 있다.
상기 연결호스(62)는 그 하단부의 중공부내에 상기 라인디퓨저(61)의 상단부가 밀착되게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구인 클립을 사용하여 라인디퓨저(61)와 연결호스(62)가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다. 연결호스(62)는 플랙시블한 호스가 바람직하다.
상기 가변형댐퍼(63)는 상기 연결호스(62)의 상단 중공부에 밀착되게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구인 클립을 사용하여 연결호스(62)와 가변형댐퍼(63)가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고, 그 상단부가 상기 배기덕트(20)에 형성된 삽입공에 관통하여 삽입된 상태로 고정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가변형댐퍼(63)는 후술하는 제어부(100)의 제어에 의해서 내부에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된 개폐판의 개폐가 이루어지거나 수동으로 제어부(100)를 온, 오프시킴으로써 상기 개폐판의 개폐가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공기정화장치(80)의 구조를 도 3과 도 4를 참조로 설명하면, 상면 및 하면에 통기공(71)이 형성된 직육면체형상의 공기정화장치 수납부(70)내에 공기정화장치(80)가 내장되어 있는 것으로서, 상기 공기정화장치 수납부(70)의 내부의 일측면에 고정되는 베이스(81), 상기 베이스(81)의 상측에 설치되는 자외선램프(82), 상기 자외선램프(82)의 외측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자외선의 일부가 통과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표면에 복합 나노 광촉매가 코팅되어 있는 내부 타겟부(83), 그리고 상기 내부 타겟부(83)를 감싸고 상기 베이스(81)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표면에 복합 나노 광촉매가 코팅되고 다수의 관통공(84a)이 형성된 배플구조로 되어 있는 외부 타겟부(84)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81)는 양단부에 각각 형성된 외측 격판(81a), 상기 양측의 외측 격판(81a)의 내측에 자외선램프(82)가 고정 설치되도록 양측부에 형성된 내측 격판(81b), 상기 자외선램프(82)의 일측부를 고정시키도록 양측의 내측 격판(81b)의 사이의 일측에 설치된 램프클립(81c), 전 후측의 하단부에 구성된 것으로서 외부 타겟부(84)를 설치하기 위한 다수의 체결공(81d)이 형성된 수직면과 공기정화장치 수납부(70)의 내부의 일측면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공(81e)이 형성된 수평면으로 이루어진 체결편(81f), 상기 양측의 외측 격판(81a)에 각각 설치된 커넥터(81g)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내부 타겟부(83)는 베이스(81)의 내측의 양측부에 형성된 내측 격판(81b)사이에 설치된 자외선램프(82)를 중심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된 다수의 핀(83a)이다.
그리고, 상기 외부 타겟부(84)는 베이스(81)의 체결공(81d)에 대응하는 위치에 외부 타겟부(84)의 전후면의 하측에 일정한 간격으로 ㄱ자 형상의 고정홈(84b)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공기정화장치(80)는 베이스(81)의 양측의 내측 격판(81b)의 사이에 자외선램프(82)를 중심으로 다수의 핀(83a)들이 일정한 간격으로 각각 고정되고 상기 외부 타겟부(84)를 베이스(81)에 씌워서 외부 타겟부(84)의 각 고정홈(84b)을 베이스(81)의 각 체결공(81d)에 각각 일치되게 한 후 볼트 등 고정수단에 의하여 외부 타겟부(84)가 베이스(81)에 고정된다.
그 다음에 상기 공기정화장치(80)가 공기정화장치 수납부(70)의 내부의 각 측면 중 적절한 측면에 설치되며, 베이스(81)의 각 체결공(81e)을 통하여 체결볼트 등의 체결수단에 의하여 고정 설치된다.
상기 공기정화장치(80)는 후술하는 제어부(100)의 제어에 의해서 자동으로 온(ON) 또는 오프(OFF)됨으로써 그 작동이 이루어지거나 작동이 중지되고, 수동으로 제어부를 온 또는 오프시킴에 따라 상기 공기정화장치(80)가 온 또는 오프됨으로써 그 작동이 이루어지거나 작동이 중지되게 된다.
도 2의 중간의 제2분실(R2)에는 천정판(120)에 설치된 기존의 급배기용 디퓨저(11a,21a)를 통하여 조화된 공기가 유입 또는 실내의 공기가 배출되는 상태로만 나타나 있고, 상기 제1 칸막이(30)와 제2 칸막이(50)에 후술하는 온도감지센서(90)도 설치되어 있지 않고, 조화된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31) 또는 실내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51)가 구비되어 있지 않은 상태로 나타나 있지만 이 중간의 분실(R2)쪽으로도 상기 유입구(31) 또는 배출구(51)가 구성될 수 있고, 온도감지센서(90)도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제1 칸막이(30)와 제2 칸막이(50)는 각각의 가변형댐퍼(43,63)를 작동시키도록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90)가 일측의 외부에 각각 설치되어 있고 온도감지센서(90)로부터의 전기적 신호를 제어부(100)로 보내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 칸막이(30)와 제2 칸막이(50)의 타측의 내부에 공기정화장치(80)가 각각 설치되어 여서 제어부(100)의 제어에 의해서 온 또는 오프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온도감지센서(90)는 각각의 가변형댐퍼(43,63)를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실내의 온도를 자동으로 감지한다.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제1 칸막이(30)와 제2 칸막이(50)에 설치되어 있는 온도감지센서(90)로부터의 신호를 전달받아서 실내의 온도를 판독하여 가변형 댐퍼(43,63)가 자동으로 개폐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상기 가변형댐퍼(43,63) 및 공기정화장치(80)는 수동으로 제어부(100)를 온 또는 오프시킴으로써 가변형댐퍼(43,63)를 개폐시킬 수가 있고 또한, 공기정화장치(80)도 온 또는 오프시킬 수 있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85는 음이온발생기, 86은 안정기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칸막이를 이용한 공조시스템은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외부의 공기조화기로부터 급기되는 신선한 조화된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외부에 설치된 공기조화기에 연결된 급기덕트(10)로 유입되는 조화된 공기는 급기덕트(10)의 일측에 설치된 급기용 팬(미 도시함)의 작동에 의해서 급기덕트(10), 지관(11), 가변형댐퍼(43), 연결호스(42), 라인디퓨저(41), 제1 칸막이(30), 이 제1 칸막이(30)내에 구비된 공기정화장치 수납부(70)의 상측 통기공(71), 공기정화장치(80), 공기정화장치 수납부(70)의 하측 통기공(71) 및 제1 칸막이(30)의 하단부에 구비된 유입구(31)를 통해 공기조화공간인 실내의 하측으로 원활하게 유입되어 공급된다.
이때, 상기 공기조화기에 의해서 유입되는 냉방 또는 난방을 하기 위한 조화된 신선한 공기는 상기 공기정화장치(80)의 작동에 의해서 살균 및 탈취작용 등 정화작용이 이루어지면서 실내로 유입됨으로써 공기의 질이 양호하게 됨은 물론, 실내 환기가 되고 실내 환경에 요구되는 쾌적한 온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공조시스템은 다음과 같이 자동으로 가변형 댐퍼(43,63)의 개폐판의 개폐 및 공기정화장치(80)의 온(ON) 또는 오프(OFF)가 이루어진다.
실내에 냉방 또는 난방이 이루어지고 있는 상태에서 실내에 아무도 남아 있지 않고 비어 있게 될 경우에는 실내온도조절기(미 도시함)의 온도를 냉방 또는 난방이 되지 않는 온도로 조절해 놓고 나가면 실내온도가 상기 맞추어 놓은 온도가 될 때, 온도감지센서(90)가 그 온도를 감지하여 제어부(100)로 전기적 신호를 보내고 온도감지센서(90)로부터 전달되는 전기적 신호가 상기 제어부에 입력 된다.
제어부(100)에서는 상기 온도감지센서(90)로부터의 전기적 신호에 의하여 가변형 댐퍼(43,63)를 제어하여 작동시킴으로써 가변형 댐퍼(43,63)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개폐판이 회전되어서 닫히게 되고 또한 공기정화장치(80)도 제어부(100)의 제어에 의하여 오프(off)되어서 작동이 중지되도록 함으로써 실내에 냉방 또는 난방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고 또한, 공기정화도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실내에 사람들이 들어와서 다시 실내를 냉방 또는 난방온도로 되게 하기위해서는 제어부(100)의 스위치를 온시켜서 가변형 댐퍼(43,63)의 개폐판이 열리게 한 후, 상기 실내온도조절기의 온도를 다시 냉방 또는 난방온도로 조절해 놓으면 실내온도가 상기 맞추어놓은 온도가 될 때, 온도감지센서(90)가 그 온도를 감지하여 제어부(100)로 전기적 신호를 보내고 온도감지센서(90)로부터 전달되는 전기적 신호가 상기 제어부(100)에 입력된다.
상기 제어부(100)에서는 상기 온도감지센서(90)로부터의 전기적 신호에 의하여 가변형 댐퍼(43,63)를 제어하여 작동시킴으로써 가변형 댐퍼(43,63)의 개폐판이 회전되어서 열리게 되고 또한, 공기정화장치(80)도 온(ON) 상태가 되어서 작동되도록 함으로써 실내에 냉방 또는 난방이 이루어지게 되고 또한 공기정화도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의 공조시스템은 다음과 같이 수동으로 가변형 댐퍼(43,63)의 개페판의 개폐 및 공기정화장치(80)의 온 또는 오프가 이루어진다.
실내에 냉방 또는 난방이 이루어지고 있는 상태에서 실내에 아무도 남아 있지 않고 비어있게 될 경우에는 제어부(100)의 스위치를 오프시키면 가변형 댐퍼(43,63)의 개폐판이 회전하여 닫히게 되고, 또한 공기정화장치(80)도 오프되면서 작동이 중지되게 됨으로써 실내에 냉방 또는 난방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고 또한, 공기정화도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그리고, 실내에 다시 사람들이 들어와서 실내를 냉방 또는 난방온도로 되게 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어부(100)의 스위치를 온 시키면 가변형 댐퍼(43,63)의 개폐판이 회전하여 열리게 되고, 또한 공기정화장치(80)도 온 상태가 되면서 작동되게 됨으로써 실내에 냉방 또는 난방이 이루어지게 되고 또한, 공기정화도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가변형 댐퍼(43,63)와 공기정화장치(80)는 제어부(100)의 제어에 의해서 작동되게 된다.
본 발명의 공조시스템에서와 같이, 상기 냉방이나 난방이 이루어지지 않게 하거나 또는 냉방이나 난방이 이루어지게 하는 동안에도 종래의 천정에 디퓨저(11a,21a)가 구비되어 있는 분실 내에서는 디퓨저(11a,21a)를 통하여 항상 급기 및 배기작용이 이루어지게 된다.
다음에 실내의 오염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실내에 있는 구성원들이 배출하는 이산화탄소, 먼지와 음식물 등의 냄새 등으로 오염된 실내의 공기는 배기덕트(20)에 설치된 배기용 팬의 작동에 의해 제2 칸막이(50)를 통하여 배기덕트(20)로 흡입되어 외부로 배출되게 되는 데, 상기 배기용 팬이 작동하면 제2 칸막이(50)의 하측에 구비된 배출구(51), 상기 제2 칸막이(50) 내에 구비된 공기정화장치 수납부(70)의 하측 통기공(71), 공기정화장치(80), 공기정화장치 수납부(70)의 상측 통기공(71) 및 제2 칸막이(50)를 통하여 상측으로 실내공기가 유출되어 라인디퓨저(61), 연결호스(62), 가변형댐퍼(63) 및 배기덕트(20))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와 같이 외부로부터 급기덕트(10)를 통하여 유입되는 조화된 공기 및 실내로부터 배기덕트(20)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오염된 공기는 제1 칸막이(30) 및 제2 칸막이(50)에 설치되어 있는 상기 공기정화장치(80)를 통과하면서 정화되어서 실내로 유입되거나 외부로 배출되게 되는 데, 그 공기정화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공기정화장치(80)가 공기정화장치 수납부(70)의 내부의 측면에 설치된 상태에서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온(ON) 상태가 되고 자외선램프(82)가 온(ON) 상태가 되면 자외선램프(82)로부터 방사된 자외선이 내부 타겟부(83)의 표면에 코팅된 복합 나노 광촉매와 1차로 산화반응을 하여 공기정화가스를 생성하고, 계속해서 외부 타겟부(84)로 자외선이 조사되어 외부 타겟부(84)의 표면에 코팅된 복합 나노 광촉매와 2차로 산화반응을 하여 공기정화가스를 생성한다.
상기 공기정화장치(80)는 내부 타겟부(83)가 다수의 핀(fin) 형태로 되어 양측면에 자외선이 조사되고 또한 자외선이 외부 타겟부(84)에 조사되어 자외선 조사에 의해 생성된 공기정화가스는 각각 관통공(84a)을 통하여 빠져나오고 공기정화장치 수납부(70)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정화한다.
상기 타겟부가 2중으로 구성되어 자외선이 조사되는 타겟부의 표면적이 넓기 때문에 그 만큼 많은 양의 공기정화가스가 생성되고 살균 및 탈취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급기되는 공기가 실내의 하부로부터 제1 칸막이(30)의 유입구(31)를 통하여 유입 또는 배기되는 실내공기가 실내의 하부에서 제2 칸막이(50)의 배출구(51)를 통하여 배출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모든 분실(R1,R2,R3,...) 전체의 공기환경을 제어하는 온도 및 습도의 제어가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실내를 구획한 각 분실(R1, R2, R3...)들이 모두 균일한 냉방 또는 난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고 에너지의 낭비를 방지하며 실내공기의 질이 향상될 수 있게 되고, 별도의 추가공사를 할 필요가 없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용 바닥 시공재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 : 급기덕트 11, 21 : 지관
20 : 배기덕트 21a : 디퓨저
30 : 제1 칸막이 31 : 유입구
40 : 제1 연결수단 41, 61 : 라인 디퓨저
42, 62 : 연결호스 43, 63 : 가변형 댐퍼
50 : 제2 칸막이 51 : 배출구
60 : 제2 연결수단 70 : 공기정화장치 수납부
80 : 공기정화장치 90 : 온도감지센서
100 : 제어부 110 : 칸막이
120 : 천정판 130 : 바닥콘크리트

Claims (8)

  1.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외부의 공기조화기에 의해 정화된 공기를 실내에 공급하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천정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지관들이 연결된 급기덕트와,
    실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천정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지관들이 연결된 배기덕트와,
    그 내부를 통하여 정화된 외부 공기를 실내로 유입시킬 수 있도록 그 하부에 유입구가 형성된 제1 칸막이와,
    상기 제1 칸막이의 상부와 상기 급기덕트가 연결되어서 정화된 공기가 실내로 유입되도록 연결설치되어 있는 제1 연결수단과,
    그 내부를 통하여 오염된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그 하부에 흡입구가 형성된 제2 칸막이와,
    상기 제2 칸막이의 상부와 상기 배기덕트가 연결되어서 실내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연결설치되어 있는 제2 연결수단과,
    상기 제1 칸막이와 제2 칸막이의 내측에 각각 설치되어 공기를 정화할 수 있도록 된 공기정화장치와,
    상기 제1 칸막이와 제2 칸막이의 일측에 설치되어 실내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도록 된 온도감지센서 및,
    상기 온도감지센서의 온도에 따라 상기 공기정화장치를 제어하여 온/오프시킬 수 있도록 된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칸막이를 이용한 공조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수단과 제2 연결수단은 상기 제1 칸막이와 제2 칸막이의 상단에 각각 라인 디퓨저의 하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라인 디퓨저의 상단부에 연결호스가 연결되며, 상기 연결호스의 상단부에 상기 급기덕트 및 배기덕트의 상단부가 연결된 가변형 댐퍼가 각각 연결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칸막이를 이용한 공조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온도감지센서는 그 감지되는 온도에 따라 상기 가변형 댐퍼를 제어하여 작동시킴으로써 가변형 댐퍼의 개폐판을 개폐시켜 상기 공기정화장치를 제어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칸막이를 이용한 공조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기정화장치는 상부 및 하부에 각각 통기공이 형성된 수납부 내에 내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칸막이를 이용한 공조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공기정화장치는 상기 수납부의 내부에 고정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측에 설치되는 자외선램프와, 상기 자외선램프의 외측에 설치됨과 아울러 자외선의 일부가 통과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표면에 복합 나노 광촉매가 코팅되어 있는 내부 타겟부 및, 상기 내부 타겟부를 감싸고 상기 베이스에 고정됨과 아울러 그 표면에 복합 나노 광촉매가 코팅되고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된 배플구조로 되어 있는 외부 타겟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칸막이를 이용한 공조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공기정화장치의 베이스는 양단부에 각각 형성된 외측 격판과, 상기 외측 격판의 내측에 자외선램프가 고정 설치되도록 양측부에 형성된 내측 격판과, 상기 자외선램프의 일측부를 고정시키도록 양측의 내측 격판의 사이의 일측에 설치된 램프클립과, 전후측의 하단부에 구성된 것으로서 외부 타겟부를 설치하기 위한 다수의 체결공이 형성된 수직면과 상기 수납부의 내부의 일측면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공이 형성된 수평면으로 이루어진 체결편 및, 상기 외측 격판에 각각 설치된 커넥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칸막이를 이용한 공조시스템.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공기정화장치의 내부 타겟부는 베이스의 내측의 양측부에 형성된 내측 격판사이에 설치된 자외선램프를 중심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된 다수의 핀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칸막이를 이용한 공조시스템.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공기정화장치의 외부 타겟부는 베이스의 체결공에 대응하는 위치에 외부 타겟부의 전후면의 하측에 일정한 간격으로 ㄱ자 형상의 고정홈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칸막이를 이용한 공조시스템.
KR1020130108277A 2013-09-10 2013-09-10 칸막이를 이용한 공조시스템 KR1014253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8277A KR101425366B1 (ko) 2013-09-10 2013-09-10 칸막이를 이용한 공조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8277A KR101425366B1 (ko) 2013-09-10 2013-09-10 칸막이를 이용한 공조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5366B1 true KR101425366B1 (ko) 2014-08-01

Family

ID=517491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8277A KR101425366B1 (ko) 2013-09-10 2013-09-10 칸막이를 이용한 공조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536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46716A1 (en) * 2020-12-31 2022-07-07 Armstrong World Industries, Inc. Air purification and surface sterilization systems integratable into building structures and furniture system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63637U (ko) * 1985-10-14 1987-04-20
JPH07243678A (ja) * 1994-03-01 1995-09-19 Toyota Auto Body Co Ltd 脱臭装置付パーティション
JP2007239236A (ja) 2006-03-07 2007-09-20 Okamura Corp 空気処理装置を備える間仕切壁構造
KR20120025714A (ko) * 2010-09-08 2012-03-16 트레코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용 공기정화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63637U (ko) * 1985-10-14 1987-04-20
JPH07243678A (ja) * 1994-03-01 1995-09-19 Toyota Auto Body Co Ltd 脱臭装置付パーティション
JP2007239236A (ja) 2006-03-07 2007-09-20 Okamura Corp 空気処理装置を備える間仕切壁構造
KR20120025714A (ko) * 2010-09-08 2012-03-16 트레코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용 공기정화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46716A1 (en) * 2020-12-31 2022-07-07 Armstrong World Industries, Inc. Air purification and surface sterilization systems integratable into building structures and furniture system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81168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nditioning air in an enclosed environment with distributed air circulation systems
US629582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emperature and humidity of a conditioned space
KR100519310B1 (ko) 급배기 직결형 환기겸용 공조시스템
JP2006105423A (ja) 換気装置及び建物
JPH04174227A (ja) 空気調和機
KR102317245B1 (ko) 원통형 광촉매 장치가 구비된 전열교환기
KR20070054228A (ko) 환기 장치, 공조 시스템, 환기 시스템 및 건물
JP5913151B2 (ja) 冷暖房換気システム
KR101425366B1 (ko) 칸막이를 이용한 공조시스템
JP4466306B2 (ja) 換気装置及び建物
JP2021173473A (ja) 全館空調システム
JP4228279B2 (ja) 床吹出し空調システム
JP2020526733A (ja) 空気処理システム
US20120088445A1 (en) Air distribution unit
JP2007139336A (ja) 換気装置及び建物
JP2531083B2 (ja) 層階室内の空調方法とその装置
KR102570303B1 (ko) 소음 저감구조를 갖는 스탠드형 환기장치
KR20070100434A (ko) 공조 시스템
KR102317242B1 (ko) 원통형 광촉매 정화장치가 구비된 전열교환기
KR200406146Y1 (ko) 전열교환기를 이용한 실내 환기장치
KR102067232B1 (ko) 벽부형 전열교환기
US20230243527A1 (en) Protective air supply system in a clean room and a method for supplying protective air flow
JP2021196133A (ja) セントラル空調システム
KR100532351B1 (ko) 환기장치
JP2010101600A (ja) 空調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