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5026B1 - 대형 공간용 열회수 환기장치 - Google Patents

대형 공간용 열회수 환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5026B1
KR102105026B1 KR1020190162966A KR20190162966A KR102105026B1 KR 102105026 B1 KR102105026 B1 KR 102105026B1 KR 1020190162966 A KR1020190162966 A KR 1020190162966A KR 20190162966 A KR20190162966 A KR 20190162966A KR 102105026 B1 KR102105026 B1 KR 1021050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large space
duct
processing unit
air circu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29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충록
Original Assignee
오충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충록 filed Critical 오충록
Priority to KR10201901629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50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50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50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2/00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 F24F12/001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 F24F12/006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using an air-to-air heat exchang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72Modules for easy installation or transpor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08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separate ducts for supplied and exhausted air with provisions for reversal of the input and output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36Modules, e.g. for an easy mounting or transpor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56Heat recovery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ntral Air Condition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공기를 실외로 배출하는 동시에 실외공기를 실내로 유입하는 공기 열회수 환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체육관과 같이 건물 내부의 활용 공간이 대형인 건물의 외측으로 전열교환기를 다층으로 적층한 공기 순환용 중앙처리부(공기순환처리부)를 설치하고 상기 중앙처리부에 대형공간으로 공기를 공급 및 배출하는 공기 순환덕트를 연결하여, 대형 공간의 내부 공기와 외부 공기를 순환덕트를 통해 중앙처리부에 다열 및 다층으로 적층된 다수의 전열교환기를 동시에 통과하면서 순환 환기시키도록 하여, 하나의 중앙처리부를 통해 대형공간의 내부 공기를 외부 공기와 신속하게 순환시켜 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설치비용의 절감과 운용 관리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키는 대형 공간용 열회수 환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대형 공간용 열회수 환기장치{A Ventilator}
본 발명은 실내공기를 실외로 배출하는 동시에 실외공기를 실내로 유입하는 열회수 공기 환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체육관과 같이 건물 내부의 활용 공간이 대형인 건물의 외측으로 전열교환기를 다층으로 적층한 공기 순환용 중앙처리부(공기순환처리부)를 설치하고 상기 중앙처리부에 대형공간으로 공기를 공급 및 배출하는 공기 순환덕트를 연결하여, 대형 공간의 내부 공기와 외부 공기를 순환덕트를 통해 중앙처리부에 다열 및 다층으로 적층된 다수의 전열교환기를 동시에 통과하면서 순환 환기시키도록 하여, 하나의 중앙처리부를 통해 대형공간의 내부 공기를 외부 공기와 신속하게 순환시켜 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설치비용의 절감과 운용 관리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키는 대형 공간용 열회수 환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내부에 구비되는 밀폐된 공간의 공기는 거주자의 호흡이나 활동에 의해 시간이 지나면서 이산화탄소의 함량이 증가하거나 오염되어 거주자의 내부 활동에 많은 지장을 주게 된다.
따라서, 사무실이나 차량과 같이 많은 사람이 협소한 공간에 머물게 되는 경우,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실외의 신선한 공기로 자주 환기시켜 주어야 한다. 이때,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 환기장치이다.
종래에 알려진 대부분의 환기장치는 하나의 송풍기(일명 환풍기)를 이용하여 실내의 공기만을 외부로 강제 배출시키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그런데 하나의 송풍기를 이용하여 실내의 공기만을 강제로 배출시킬 경우, 실내의 냉기 또는 열기가 여과없이 외부로 배출됨과 더불어 실외의 공기가 문이나 창틈 등을 통해 열교환 없이 유입됨으로 인해 실내를 난방 및 냉방시키는데 드는 경비가 불필요하게 많이 들게 되었다.
또한, 갑작스런 냉기 및 열기가 외부에서 내부로 유입됨으로 인해 실내공기의 급격한 온도변화로 그 내부에 있는 사람들이 불쾌감을 느끼게 되고, 특히 실내의 창문이나 문이 닫혀진 상태에서 실내공기만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경우 외부의 신선한 공기의 유입이 차단되어 산소결핍현상이 발생될 수 있음은 물론, 실내공기의 습도조절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환기장치가 구비되어 있는데도 불구하고 쾌적한 실내환경을 유지시키지 못하는 문제점 등이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실내공기를 실외로 배출시킬 때 그 배출되는 실내공기와 먼저 열교환시킨 다음 실외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는 전열교환 방식의 환기장치가 제시되었다
상기와 같은 전열교환 방식의 환기장치는 실내 공기를 실외로 배출함과 동시에 실외 공기를 흡입하여 실내로 토출하는 과정에서, 실외로 배출하는 실내 공기와 실내로 유입하는 실외 공기를 교차시키는 과정을 통해 서로 열교환되도록 함으로써, 실내로 유입시키는 실외 공기의 온도를 조절하여 실내 공기에 가깝게 한다.
이에, 실외 공기로 실내를 유입시켜 환기시키더라도 실내 온도의 변화를 낮추어서, 냉방 또는 난방에 소요되는 부하의 증가를 최소화한다.
일반적인 전열교환 방식 환기장치의 구성을 대략적으로 살펴보면, 건물 내부의 천장에 설치되며 중공형상의 몸체 내부에 실외공기가 실내로 안내되는 급기덕트가 구비되고, 상기 급기덕트와 소정 위치에서 교차하며 실내공기가 실외로 안내되는 배기덕트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급기덕트와 배기덕트가 교차하는 지점에 급기되는 실외공기와 배기되는 실내공기가 열교환하는 전열교환기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급기덕트와 배기덕트는 건물 외부에서 열교환기까지 건물 내부에서 길게 연결하여 건물 끝단에서 외부에 노출되고 덕트의 나머지 부분은 건물 내측에 배치되며, 몸체의 내부를 상하로 구획하는 격벽에 의해 서로 평행하게 설치되어 상호 간섭을 받지 않게 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환기장치는 실내 공간의 규모에 따라 다수 개를 설치함으로써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즉, 체육관이나 대형의 종합 공공도서관 등과 같이 환기 규모가 큰 건물에는 천장이나 벽체 등에 다수개의 환기장치를 설치하고 이들이 각각 개별적으로 운용되는 경우가 많아 과다한 설치 비용뿐만 아니라 정비 및 운용 관리의 어려움이 있다.
KR 10-1272674 (등록번호) 2013.07.03. KR 10-2008-0024379 (공개번호) 2008.03.18. KR 10-0532188 (등록번호) 2005.11.23.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환기 공간이 대형인 건물의 외측으로 전열교환기를 설치하되, 다층으로 적층한 공기 순환용 중앙처리부를 설치하고 상기 중앙처리부에 공기를 공급 및 배출하는 공기 순환덕트를 연결하여, 대형 공간의 내부 공기와 외부공기를 순환덕트를 통해 중앙처리부에 적층된 다수의 전열교환기를 동시에 통과하면서 순환 환기시키도록 하여, 하나의 환기 중앙처리부를 통해 대형공간의 내부 공기를 외부 공기와 신속하게 순환시켜 줄 수 있도록 함으로써 대형 공간의 내부 공기 환기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열회수 공기 환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대형공간의 내부 공기 환기를 위해 다수개의 환기장치를 설치하는 대신에 전열교환기를 다층으로 적층한 단일의 공기 순환용 중앙처리부를 설치하여 공기를 순환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설치 비용 절감을 통한 경제성을 향상시키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중앙처리부에 다층의 서랍식으로 전열교환기를 설치 구성하고 고장 및 정비시 해당 전열전열기만을 탈착하여 수리 또는 교환할 수 있도록 내부에 수리공간을 제공하고, 이러한 수리공간에서 양쪽의 서랍식으로 설치된 각각의 전열교환기를 수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정비 및 관리의 효율성을 배가시키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배기 덕트와 급기 덕트를 건물의 외부에 서로 반대 방향으로 길게 설치하고, 전열교환기의 반대편 끝단에서 건물 내부로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급기와 배기되는 공기가 겹치지 않도록 하여 공기 순환의 효율성이 높아진 대형 공간용 열회수 환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건물의 내측 대형 공간(S)과 연통되면서 내외부로 공기가 출입하도록 설치되는 공기순환덕트부(110)와; 건물의 외부에 설치되고 중공의 몸체부(120a)로 되면서 그 내부에 상기 공기순환덕트(110)의 일측 끝단과 연통되는 전열교환기(R)가 다열 및 다층으로 장착되어, 대형 공간(S)의 내부공기가 상기 공기순환덕트(110)를 거쳐 상기 전열교환기(R)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동시에 외부공기가 상기 전열교환기(R)를 거쳐 상기 공기순환덕트(110)를 통해 대형 공간(S)의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순환처리부(120);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순환덕트부(110)는 대형 공간(S)의 내부공기가 상기 공기순환처리부(120)까지 빠져나가는 배출덕트부(111)와, 외부공기가 상기 공기순환처리부(120)에서 대형 공간(S)의 내부로 들어가는 공급덕트부(112), 및 이들과 연결되고 배출되는 내부공기와 공급되는 외부공기가 각각 격리되는 배출공기챔버(113a)와 유입공기챔버(113b)를 형성하여 상기 공기순환처리부(120)에 연통 설치되는 연결덕트부(113)로 이루어지며; 상기 배출덕트부(111)와 상기 공급덕트부(112)는 상기 공기순환처리부(120)를 중심으로 건물 외부에서 각기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공기순환처리부(120)는 내부에 설치되는 다열의 전열교환기(R)는 서로 이격된 간격을 갖는 이격공간부(121)가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공기순환처리부(120)의 내부에는 각 전열교환기(R)의 전면부에 구비되는 내기토출구(c)와 상기 몸체부(120a)에 구비되는 상기 내기배출부(122)를 상호 연통하여 설치되는 내기유동부(124)가 구비되고, 상기 내기유동부(124)는 일측에 절곡부(124a)가 형성되는 중공의 수직몸통부(124b)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직몸통부(124b)는 상기 내기토출구(c)와 연통되고 상기 절곡부(124a)는 상기 내기배출부(122)와 연통되도록 연결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공기순환처리부(120)를 형성하는 상기 몸체부(120a)의 내부 후면부에는 일단부가 다열 다층의 전열교환기(R) 각각의 내기유입구(a)와 연통되고 타단부는 상기 연결덕트부(113)에 구비되는 상기 배출공기챔버(113a)와 연통되는 내기유동통로(125)와, 일단부가 다열 다층의 전열교환기(R) 각각의 외기유입구(b)와 연통되고 타단부는 상기 연결덕트부(113)에 구비되는 상기 유입공기챔버(113b)와 연통되는 외기유동통로(126)가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배출덕트부(111)와 상기 공급덕트부(112)는 상기 공기순환처리부(120)와 연결되는 반대편 끝단이 건물 내부로 삽입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연결덕트부(113)에는 그 내부를 상기 배출공기챔버(113a)와 상기 유입공기챔버(113b)로 구획되는 U자 형상의 칸막이격벽(130)가 구비되어, 상기 배출공기챔버(113a)는 상기 칸막이격벽(130)의 U자 형상 양측에 형성되는 외측공간과 하면측으로 형성되는 하부공간이 서로 연통되어 형성되고, 상기 유입공기챔버(113b)는 상기 칸막이격벽(130)의 U자 형상 내측으로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칸막이격벽(130)은 제1수직부(131)와, 상기 제1수직부(131)의 맞은 편에 구비되어 서로 대향되는 제2수직부(132), 및 상기 제1수직부(131)와 상기 제2수직부(132)의 하부면을 연결하는 하부수평부(133)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2수직부(132)의 높이는 상기 제1수직부(131)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고 그 상단부에는 절곡수평부(134)가 형성되며 상기 절곡수평부(134)의 단부에는 하향경사부(135)가 상기 공급덕트부(112)와 연결되어 상기 절곡수평부(134)와 상기 하향경사부(135)의 상부면으로 상기 유입공기챔버(113b)와 상기 공급덕트부(112)가 연통되는 외기유동통로부(136)가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공기순환처리부(120)의 내부에는 각 전열교환기(R)의 전면부에 구비되는 내기토출구(c)와 상기 몸체부(120a)에 구비되는 상기 내기배출부(122)가 직접 연결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대형 공간용 열회수 환기장치는 환기 공간이 대형인 건물의 외측으로 전열교환기를 설치하되, 건물의 상부 외측으로 전열교환기를 다층으로 적층한 공기 순환용 중앙처리부를 설치하고 상기 중앙처리부에 공기를 공급 및 배출하는 공기 순환덕트를 연결하여, 대형 공간의 내부 공기와 외부공기를 순환덕트를 통해 중앙처리부에 적층된 다수의 전열교환기를 동시에 통과하면서 순환 환기시키도록 하여, 하나의 환기 중앙처리부를 통해 대형공간의 내부 공기를 외부 공기와 신속하게 순환시켜 줄 수 있도록 함으로써 대형 공간의 내부 공기 환기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대형 공간용 열회수 환기장치는 대형공간의 내부 공기 환기를 위해 다수개의 환기장치를 설치하는 대신에 전열교환기를 다층으로 적층한 단일의 공기 순환용 중앙처리부를 설치하여 공기를 순환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설치 비용 절감을 통한 경제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중앙처리부에 다층의 서랍식으로 전열교환기를 설치 구성하고 고장 및 정비시 해당 전열전열기만을 탈착하여 수리 또는 교환할 수 있도록 내부에 수리공간을 제공하고, 이러한 수리공간에서 양쪽의 서랍식으로 설치된 각각의 전열교환기를 수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정비 및 관리의 효율성을 배가시킨다.
또한, 본 발명은 배기 덕트와 급기 덕트를 건물의 외부에 서로 반대 방향으로 길게 설치하고, 전열교환기의 반대편 끝단에서 건물 내부로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급기와 배기되는 공기가 겹치지 않도록 하여 공기 순환의 효율성이 높아지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대형 공간용 열회수 환기장치가 대형공간의 외부에 설치된 개략적인 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대형 공간용 열회수 환기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 상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대형 공간용 열회수 환기장치에 대한 평면상태도와 단면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대형 공간용 열회수 환기장치의 개략적인 분리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대형 공간용 열회수 환기장치의 요부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대형 공간용 열회수 환기장치의 공기순환덕트부를 구성하는 연결덕트부의 세부 단면상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대형 공간용 열회수 환기장치를 통해 대형의 환기 공간으로 외기가 공급되는 순환상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대형 공간용 열회수 환기장치를 통해 대형의 환기 공간 내부공기가 외브로 배출되는 순환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건물의 내부 공간의 내부 공기 순환장치는 도 1 내지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공연장이나 체육관과 같은 건물의 대형 공간(S)과 연통되면서 내외부로 공기가 출입하도록 설치되는 공기순환덕트부(110)와;
건물의 외부에 설치되고 중공의 몸체부(120a)로 되면서 그 내부에 상기 공기순환덕트(110)와 연통되는 전열교환기(R)가 다열 및 다층(M×N)으로 장착되어, 대형 공간(S)의 내부공기가 상기 공기순환덕트(110)를 거쳐 상기 전열교환기(R)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동시에 외부공기가 상기 전열교환기(R)를 거쳐 상기 공기순환덕트(110)를 통해 대형 공간(S)의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순환처리부(120);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순환덕트부(110)는 대형 공간(S)의 내부공기가 상기 공기순환처리부(120)까지 빠져나가는 배출덕트부(111)와 외부공기가 상기 공기순환처리부(120)에서 대형 공간(S)의 내부로 들어가는 공급덕트부(112) 및 이들과 연결되고 배출되는 내부공기와 공급되는 외부공기가 각각 격리되는 배출공기챔버(113a)와 유입공기챔버(113b)를 형성하여 상기 공기순환처리부(120)에 연통 설치되는 연결덕트부(113)로 이루어지고,
상기 배출덕트부(111)와 상기 공급덕트부(112)는 상기 공기순환처리부(120)를 중심으로 건물 외부에서 각기 반대방향으로 연장되어 그 끝단이 건물 내부로 삽입되며;
상기 공기순환처리부(120)는 한 쌍으로 설치되되 이들 사이에는 출입구(121a)를 통해 상기 공기순환처리부(120) 내부를 정비하는 이격공간부(121)가 구비되며, 다열의 전열교환기(R)는 상기 이격공간부(121)를 중심으로 사람이 지나갈 정도로 이격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대형 건물은 각종 운동 경기를 할 수 있는 체육관이나 모임이나 공연을 하는 공연장 등을 의미하며, 이러한 대형 건물에 의하여 내부에 생기는 거대 공간을 대형 공간이라 지칭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열회수 내부 공기 환기장치는 건물의 외부에 설치되며, 바람직하게는 건물 옥상에 설치된다.
본 발명의 대형 공간용 열회수 환기장치(100)에는 상기 공기순환덕트부(110)를 통해 대형공간의 내부공기를 강제로 상기 공기순환처리부(120)를 거쳐 외부로 강제 배출하는 배기팬(미도시)과 외기를 상기 공기순환처리부(120)와 상기 공기순환덕트부(110)를 통해 대형공간의 내부로 강제 공급하는 공급팬(미도시)이 구비되어 있거나 또는 각 전열교환기(R)에 구비되는 팬으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공기순환덕트부(110) 내부에 다열 및 다층(M×N)으로 설치되는 각 전열교환기(R)에는 내기의 배출 및 외기의 유입을 제어하는 뎀퍼(미도시)도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각 뎀퍼 및 팬들은 각 전열교환기(R)에서 동일하게 동작하고 제어된다.
일반적으로 실내 야구장, 배구장 등과 같은 체육관 또는 공연장은 내부 공간이 상하와 좌우로 넓고 사용인원이 많아 내부 공기가 빠르게 오염된다. 이와 같이 많은 사람들이 모이는 외부와 밀폐된 대형 건물의 내부 공간은 사람들의 호흡을 통해 이산화탄소가 배출되기 때문에 내기를 지속적으로 순환 및 정화시켜야 한다.
따라서 체육관과 같이 내부 공간이 대형으로 형성되는 공간은 실내 공기를 환기시키기 위해 환기 장치를 일정 높이와 간격으로 다수개 설치해야 하는데 그렇게 되면 설치비용이 과다하게 들고 이들을 개별적으로 관리 운영하다 보면 통합적인 제어가 어렵고, 수리 및 관리 비용도 많이 소요되어 경제성이 떨어진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상기 공기순환처리부(120)를 설치하고 그 내부에 다열 및 다층(M×N)으로 다수개의 전열교환기를 적층하여 하나의 단일 환기장치를 이루도록 하여 설치 및 관리 운용함으로써 적은 비용으로 관리 및 운용의 효율화를 이루도록 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서의 상기 공기순환처리부(120)는 공기순환을 위한 중앙처리장치라고도 한다.
상기 공기순환처리부(120)의 몸체부(120a)에는 상기 전열교환기(R)를 통해 배출되는 내부공기가 외부로 빠져나가는 내기배출구(122)와 외기가 상기 전열교환기(R)로 공급되는 외기흡입구(123)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공기순환처리부(120)에 설치되는 상기 이격공간부(121)는 한 쌍으로 설치되어 다열이 되는 각 전열교환기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이격공간부(121)에서 양쪽의 전열교환기(R)를 수리 또는 교환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이격공간부(121)는 사용자가 이동할 수 있는 정도의 간격이 마련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각 전열교환기(R)는 상기 이격공간부(121)를 중심으로 양쪽이 같은 거리에 동일 구성으로 대향되게 구비된다. 따라서, 이격공간부(121)에서 근접되게 내기배출구(122)와 외기공급부(b)가 배치되고, 외기유입구(d)와 내기유입구(a)는 멀리 배치된다.
도 3 내지 5에서 알 수 있듯이, 각 전열교환기(R)는 이격공간부(121)의 측면에 사각형의 수리교환부(e)가 구비되어 이격공간부(121)에서 수리교환부(e)를 개방하여 필터를 교체하거나 고장난 부품을 수리한다. 본 발명은 다열 및 다층으로 전열교환기를 배치하기에, 이와 같이 한 곳에서 수리할 수 있도록 수리교환부(e)를 구비하여 수리의 신속성을 추구한다. 이와 같은 이유로, 본 발명에 따른 다열은 짝수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상기 전열교환기(R)는 교환기몸체 내부에 열교환소자가 구비되어 있고 이러한 전열교환기 내부의 열교환소자를 구비하는 구성은 일반 공지 기술에 의거 누구나 설치할 수 있어 상세 구성의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전열교환기(R)는 다열 및 다층의 전열교환기(R1 내지 Rn)가 적층되며, 이들 다열 및 다층의 전열교환기(R1 내지 Rn)의 후면부에는 내기가 유입되는 내기유입구(a)와 외기가 공급되는 다열 및 다층의 외기공급구(b)가 구비되고, 전면부에는 내기가 토출되는 내기토출구(c)와 외기가 유입되는 외기유입구(d)가 각각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대형 공간의 내기는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비와 같이, 상기 공기순환덕트부(110)의 상기 배출덕트부(111)와 상기 연결덕트부(113)의 상기 배출공기챔버(113a)를 통해 상기 내기유입구(a)로 유입되고 열교환소자(H)를 지나면서 열교환 된 후 상기 내기토출구(c)와 상기 내기배출구(122)를 통해 외부로 배출 처리된다.
동시에 외부 공기는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비와 같이, 상기 몸체부(120a)에 구비되는 상기 외기흡입구(123)를 통해 상기 외기유입구(d)로 유입된 후 열교환소자(H)를 지나면서 열교환 된 후 상기 외기공급구(b)를 통해 상기 연결덕트부(113)의 상기 유입공기챔버(113b)로 들어간 다음 상기 공급덕트부(112)를 통해 대형 공간의 내부로 공급되면서 환기된다.
본 발명의 상기 공기순환처리부(120)의 내부에는 상기 전열교환기(R)의 전면부에 구비되는 다층의 상기 내기토출구(c)와 상기 몸체부(120a)에 구비되는 상기 내기배출부(122)를 연통하여 설치되는 내기유동부(124)가 더 구비되어 있다.
상기 내기유동부(124)는 상부측으로 절곡부(124a)가 형성되는 중공의 수직몸통부(124b)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직몸통부(124b)는 상기 내기토출구(c)와 연통되고 상기 절곡부(124a)는 상기 내기배출부(122)와 연통된다.
각 도면에 도시된 내기유동부(124)는 절곡부가 상부에 형성된 수직몸통부(124b)로 되어 있으나, 다층의 내기토출구(c)를 상호 연통하는 구조면 충분하여 절곡부(124a)가 상부가 아닌 내기유동부(124)의 중간 또는 하부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내기배출부(122)는 절곡부(124a)의 위치에 대응하여 형성된다.
한편, 내기유출부(122)와 다층의 내기토출구(c)를 직접 결합하여 내부의 오염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킬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조는 몸체부(120a)의 부피를 줄여주는 장점이 있으나, 몸체부(120a) 내부의 공간이 적어 유지보수 작업이 어려워지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전열교환기(R)의 내부로 유입된 내기는 상기 내기유동부(124)로 들어간 후 상기 내기배출부(12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또한 상기 공기순환처리부(120)를 형성하는 상기 몸체부(120a)의 내부 후면벽에는 일단부가 상기 전열교환기(R)의 상기 내기유입구(a)와 연통되고 타단부는 상기 연결덕트부(113)에 구비되는 상기 배출공기챔버(113a)와 연통되는 다수의 내기유동통로(125)와, 일단부가 상기 전열교환기(R)의 상기 외기유입구(b)와 연통되고 타단부는 상기 연결덕트부(113)에 구비되는 상기 유입공기챔버(113b)와 연통되는 다수의 외기유동통로(126)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공기순환덕트부(110)의 상기 배출덕트부(111)를 통해 상기 배출공기챔버(113a)로 들어오는 내기는 상기 내기유동통로(125)를 통해 상기 전열교환기(R)의 내부로 유입되고, 상기 외기흡입구(123)를 통해 상기 전열교환기(R)의 내부로 유입된 외기는 상기 외기유동통로(126)를 통해 상기 유입공기챔버(113b)로 들어가 상기 공급덕트부(112)로 공급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기 공기순환처리부(120)의 후면부에 구비되는 상기 공기순환덕트부(110)의 상기 연결덕트부(113)는 배출되는 내기를 상기 전열교환기(R)로 공급하는 상기 배출공기챔버(113a)와, 상기 전열교환기(R)로 유입된 외기를 상기 공급덕트부(112)로 공급하여 실내로 토출할 수 있도록 하는 상기 유입공기챔버(113b)로 구획된다.
본 발명에 따른 대형 공간용 열회수 환기장치는 전열교환기(R)가 다열 및 다층(M×N)으로 장착되고, 유지 보수의 편리를 위하여 이격공간부(121)를 중심으로 서로 대향되게 설치된다. 이러한 구조에서 배출덕트부(111)와 공급덕트부(112)로 일괄되게 공기를 배기 및 공급하기 위해서는 배출되는 공기만 모여지는 배출공기챔버(113a)와 공급되는 공기만 모여지는 유입공기챔버(113b)가 형성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배출공기챔버(113a)와 유입공기챔버(113b)는 서로 공간적인 분리가 되어야 하면서도, 이격공간부(121)를 사이에 두고 형성된 다열의 전열교환기(R)로의 공기 공급과 배출이 다층으로 연통되도록 하여야 한다. 즉, 도 7과 같이 대형 공간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하여 전열교환기에 삽입하고, 도 8과 같이 외부에서 유입된 공기를 대형 공간 내부로 공급하여야 하며, 이때 분리되어 다열이 되는 전열교환기를 한번에 모은 챔버가 요구된다.
이러한 구성의 배출공기챔버(113a)와 유입공기챔버(113b)는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가능한 예를 도면(도 9)으로 도시하였고, 그중 하나의 형태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나머지 형태는 이에 준하여 내부 공간을 분리하여 동작한다.
상기 연결덕트부(113)에는 그 내부를 상기 배출공기챔버(113a)와 상기 유입공기챔버(113b)로 구획되는 U자 형상의 칸막이격벽(130)가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배출공기챔버(113a)는 상기 칸막이격벽(130)의 U자 형상 양측 외측으로 형성되는 측면공간과 하면측으로 형성되는 하면공간이 연통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유입공기챔버(113b)는 상기 칸막이격벽(130)의 U자 형상 내측으로 형성된다.
상기 칸막이격벽(130)은 제1수직부(131)와, 상기 제1수직부(131)의 맞은 편에 구비되어 서로 대향되는 제2수직부(132), 및 상기 제1수직부(131)와 상기 제2수직부(132)의 하부면을 연결하는 하부수평부(133)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2수직부(132)의 높이는 상기 제1수직부(131)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고 그 상단부에는 절곡수평부(134)가 형성되며 상기 절곡수평부(134)의 단부에는 하향경사부(135)가 상기 공급덕트부(112)와 연결되어 상기 절곡수평부(134)와 상기 하향경사부(135)의 상부면으로 상기 유입공기챔버(113b)와 상기 공급덕트부(112)가 연통되는 외기유동통로부(136)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U자 형상의 상기 칸막이격벽(130)에 의해 상기 배출공기챔버(113a)는 상기 칸막이격벽(130)의 U자 형상 양측에 형성되는 외측공간과 하면측으로 형성되는 하부공간이 서로 연통되어 형성되고, 상기 유입공기챔버(113b)는 상기 칸막이격벽(130)의 U자 형상 내측으로 형성되되, 내측에 형성되는 상기 유입공기챔버(113b)가 상기 외기유동통로부(136)에 의해 상기 공급덕트부(112)와 연통되어 외기가 공급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전열교환기(R)가 다수로 적층되어 이들이 각각 상기 내기유동통로(125) 및 외기유동통로(126)에 의해 상기 연결덕트부(113)와 병렬로 연통되어 있어, 다수로 적층되는 전열교환기(R1 내지 Rn) 중 어느 하나가 고장이나 정비 또는 교환 등이 필요한 경우 해당 전열교환기만 수리 교체하면 되고 해당 전열교환기의 수리 및 교체 중에도 나머지 전열교환기는 정상이기 때문에 상기 공기순환처리부(120)는 정지되지 않고 작동이 이루어짐으로써 공간 내부의 환기 운용 효율이 향상될 수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대형 공간용 열회수 환기장치는 체육관과 같이 건물 내부의 활용 공간이 대형인 건물의 상부 외측으로 전열교환기를 다층으로 적층한 공기 순환용 중앙처리부(공기순환처리부)를 설치하고 상기 중앙처리부에 대형공간으로 공기를 공급 및 배출하는 공기 순환덕트를 연결하여, 대형 공간의 내부 공기와 외부공기를 순환덕트를 통해 중앙처리부에 적층된 다수의 전열교환기를 동시에 통과하면서 순환 환기시키도록 하여, 하나의 중앙처리부를 통해 대형공간의 내부 공기를 외부 공기와 신속하게 순환시켜 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설치비용의 절감과 운용 관리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100:대형 공간용 열회수 환기장치
110:공기순환덕트부
111:배출덕트부 112:공급덕트부 113a:연결덕트부
113a:배출공기챔버 113b:유입공기챔버
120:공기순환처리부 120a:몸체부
121:이격공간부 121a:출입구 122:내기배출구
123:외기흡입구 124:내기유동부 125:내기유동통로
126:외기유동통로
130:칸막이격벽
131:제1수직부 132:제2수직부 133:하부수평부
134:적곡수평부 135:하향경사부 136:외기유동통로부
R;전열교환기(R1 R2....Rn)
a:내기유입구 b:외기공급구 c:내기토출구 d:외기유입구
H:열교환소자

Claims (8)

  1. 건물의 내측 대형 공간(S)과 연통되면서 내외부로 공기가 출입하도록 설치되는 공기순환덕트부(110)와;
    건물의 외부에 설치되고 중공의 몸체부(120a)로 되면서 그 내부에 상기 공기순환덕트부(110)의 일측 끝단과 연통되는 전열교환기(R)가 다열 및 다층으로 장착되어, 대형 공간(S)의 내부공기가 상기 공기순환덕트부(110)를 거쳐 상기 전열교환기(R)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동시에 외부공기가 상기 전열교환기(R)를 거쳐 상기 공기순환덕트부(110)를 통해 대형 공간(S)의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순환처리부(120);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순환덕트부(110)는 대형 공간(S)의 내부공기가 상기 공기순환처리부(120)까지 빠져나가는 배출덕트부(111)와, 외부공기가 상기 공기순환처리부(120)에서 대형 공간(S)의 내부로 들어가는 공급덕트부(112), 및 이들과 연결되고 배출되는 내부공기와 공급되는 외부공기가 각각 격리되는 배출공기챔버(113a)와 유입공기챔버(113b)를 형성하여 상기 공기순환처리부(120)에 연통 설치되는 연결덕트부(113)로 이루어지며;
    상기 배출덕트부(111)와 상기 공급덕트부(112)는 상기 공기순환처리부(120)를 중심으로 건물 외부에서 각기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는 대형 공간용 열회수 환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순환처리부(120)는 내부에 설치되는 다열의 전열교환기(R)는 서로 이격된 간격을 갖는 이격공간부(121)가 구비되는 대형 공간용 열회수 환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순환처리부(120)의 내부에는 각 전열교환기(R)의 전면부에 구비되는 내기토출구(c)와 상기 몸체부(120a)에 구비되는 내기배출부(122)를 상호 연통하여 설치되는 내기유동부(124)가 구비되고,
    상기 내기유동부(124)는 일측에 절곡부(124a)가 형성되는 중공의 수직몸통부(124b)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직몸통부(124b)는 상기 내기토출구(c)와 연통되고 상기 절곡부(124a)는 내기배출부(122)와 연통되도록 연결되는 대형 공간용 열회수 환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순환처리부(120)를 형성하는 상기 몸체부(120a)의 내부 후면부에는 일단부가 다열 다층의 전열교환기(R) 각각의 내기유입구(a)와 연통되고 타단부는 상기 연결덕트부(113)에 구비되는 상기 배출공기챔버(113a)와 연통되는 내기유동통로(125)와, 일단부가 다열 다층의 전열교환기(R) 각각의 외기유입구(b)와 연통되고 타단부는 상기 연결덕트부(113)에 구비되는 상기 유입공기챔버(113b)와 연통되는 외기유동통로(126)가 구비되는 대형 공간용 열회수 환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덕트부(111)와 상기 공급덕트부(112)는 상기 공기순환처리부(120)와 연결되는 반대편 끝단이 건물 내부로 삽입되는 대형 공간용 열회수 환기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덕트부(113)에는 그 내부를 상기 배출공기챔버(113a)와 상기 유입공기챔버(113b)로 구획되는 U자 형상의 칸막이격벽(130)가 구비되어,
    상기 배출공기챔버(113a)는 상기 칸막이격벽(130)의 U자 형상 양측에 형성되는 외측공간과 하면측으로 형성되는 하부공간이 서로 연통되어 형성되고,
    상기 유입공기챔버(113b)는 상기 칸막이격벽(130)의 U자 형상 내측으로 형성되는 대형 공간용 열회수 환기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격벽(130)은 제1수직부(131)와, 상기 제1수직부(131)의 맞은 편에 구비되어 서로 대향되는 제2수직부(132), 및 상기 제1수직부(131)와 상기 제2수직부(132)의 하부면을 연결하는 하부수평부(133)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2수직부(132)의 높이는 상기 제1수직부(131)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고 그 상단부에는 절곡수평부(134)가 형성되며 상기 절곡수평부(134)의 단부에는 하향경사부(135)가 상기 공급덕트부(112)와 연결되어 상기 절곡수평부(134)와 상기 하향경사부(135)의 상부면으로 상기 유입공기챔버(113b)와 상기 공급덕트부(112)가 연통되는 외기유동통로부(136)가 형성되는 대형 공간용 열회수 환기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순환처리부(120)의 내부에는 각 전열교환기(R)의 전면부에 구비되는 내기토출구(c)와 상기 몸체부(120a)에 구비되는 내기배출부(122)가 직접 연결되어 있는 대형 공간용 열회수 환기장치.
KR1020190162966A 2019-12-09 2019-12-09 대형 공간용 열회수 환기장치 KR1021050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2966A KR102105026B1 (ko) 2019-12-09 2019-12-09 대형 공간용 열회수 환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2966A KR102105026B1 (ko) 2019-12-09 2019-12-09 대형 공간용 열회수 환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5026B1 true KR102105026B1 (ko) 2020-05-29

Family

ID=709114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2966A KR102105026B1 (ko) 2019-12-09 2019-12-09 대형 공간용 열회수 환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502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1184B1 (ko) 2021-02-19 2021-08-18 한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초미세먼지의 집진율과 공기 분배 기능이 향상된 고효율 열회수 환기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2188B1 (ko) 2004-05-19 2005-12-05 서번산업엔지니어링주식회사 환기장치
KR20080024379A (ko) 2006-09-13 2008-03-18 삼성전자주식회사 환기장치
KR101272674B1 (ko) 2010-11-29 2013-06-10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열교환 환기장치
WO2013114474A1 (ja) * 2012-01-30 2013-08-08 三菱電機株式会社 積層型熱交換器及びそれを搭載したヒートポンプシステム、並びに積層型熱交換器の製造方法
KR101681870B1 (ko) * 2016-06-13 2016-12-01 (주) 쏘노 환기장치
KR101832667B1 (ko) * 2017-08-07 2018-04-13 윤병석 환기장치용 슬리브 어셈블리 및 그 설치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2188B1 (ko) 2004-05-19 2005-12-05 서번산업엔지니어링주식회사 환기장치
KR20080024379A (ko) 2006-09-13 2008-03-18 삼성전자주식회사 환기장치
KR101272674B1 (ko) 2010-11-29 2013-06-10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열교환 환기장치
WO2013114474A1 (ja) * 2012-01-30 2013-08-08 三菱電機株式会社 積層型熱交換器及びそれを搭載したヒートポンプシステム、並びに積層型熱交換器の製造方法
KR101681870B1 (ko) * 2016-06-13 2016-12-01 (주) 쏘노 환기장치
KR101832667B1 (ko) * 2017-08-07 2018-04-13 윤병석 환기장치용 슬리브 어셈블리 및 그 설치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1184B1 (ko) 2021-02-19 2021-08-18 한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초미세먼지의 집진율과 공기 분배 기능이 향상된 고효율 열회수 환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1879B1 (ko) 환기시스템
KR100519306B1 (ko) 환기일체형 공조시스템
KR102105127B1 (ko) 스탠드형 전열교환장치
KR101931723B1 (ko) 필터장치를 이용한 컨버전스 전열교환기
KR101819046B1 (ko) 컨버전스 전열교환기
KR101295311B1 (ko) 빌트업 항온기
JP2006125826A (ja) 換気装置
KR102052348B1 (ko) 환기장치
KR102105026B1 (ko) 대형 공간용 열회수 환기장치
CN212511503U (zh) 窗式空调器
KR100747802B1 (ko) 환기장치 및 환기장치의 제어방법
KR100601220B1 (ko) 폐열회수 환기장치를 이용한 멀티시스템
KR102225598B1 (ko) 대용량 필터를 포함하는 전열교환기
KR100748138B1 (ko) 모듈형 공기조화시스템
KR102557333B1 (ko) 대용량 전열교환 청정장치
KR20070100434A (ko) 공조 시스템
KR101330447B1 (ko) 창호용 환기장치의 급배기부 구조
KR102225624B1 (ko) 대형필터를 포함하는 전열교환기
KR20200143829A (ko) 환기장치
JP2020148386A (ja) 加圧型熱交換換気式建屋
KR102563224B1 (ko) 열회수 환기장치 환기캡
KR100627878B1 (ko) 창문형 폐열회수 환기장치
KR102235582B1 (ko) 환기장치
KR102445933B1 (ko) 배기바이패스 무덕트 환기장치
KR102282099B1 (ko) 바이패스 챔버가 구비된 전열교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