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0447B1 - 창호용 환기장치의 급배기부 구조 - Google Patents

창호용 환기장치의 급배기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0447B1
KR101330447B1 KR1020100030902A KR20100030902A KR101330447B1 KR 101330447 B1 KR101330447 B1 KR 101330447B1 KR 1020100030902 A KR1020100030902 A KR 1020100030902A KR 20100030902 A KR20100030902 A KR 20100030902A KR 101330447 B1 KR101330447 B1 KR 1013304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side air
window
window frame
air inlet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09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11697A (ko
Inventor
서송원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1000309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0447B1/ko
Publication of KR201101116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16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04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04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08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separate ducts for supplied and exhausted air with provisions for reversal of the input and output syste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0Drying or keeping dry, e.g. by air vents
    • E04B1/7069Drying or keeping dry, e.g. by air vents by ventil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호용 환기장치의 급배기부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창호용 환기 장치에서의 급배기부 구조에 있어서, 외기 유입구와 내기 배출구가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내기 배출구를 통해서 배출된 오염된 실내 내부 공기가 외기 유입구를 통해서 유입되는 외부 공기와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는 창호용 환기 장치의 급배기부 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창호용 환기장치의 급배기부 구조{Ventilation module for window}
본 발명은 창호용 환기장치의 급배기부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외기 유입구와 내기 배출구 및 공기 공급부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공간의 공기에 포함된 이산화탄소의 함량은 생명체의 호흡에 의해 시간이 경과하면서 점차적으로 증가하게 된다. 그리고, 증가한 이산화탄소의 함량은 생명체의 호흡에 지장을 주기 때문에 실내공간의 공기는 실외공간의 신선한 공기로 수시로 대체되어야 한다. 통상적으로, 실내공간의 공기는 송풍기 등과 같은 환기 장치에 의해 강제로 실외공간으로 배출되고, 실외공간의 공기는 창문의 개방을 통해 자연스럽게 실내공간으로 유입된다. 그러나, 실내공간의 공기가 이와 같은 방식으로 교체되면 실내공간의 공기와 실외공간의 공기 간에 전열(全熱)교환이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실내공간의 난방 또는 냉방에 불필요한 경비가 소요되는 문제, 실내공간의 급격한 온도변화로 인해 그 내부에 존재하는 사람이 불쾌감을 느낄 수 있는 문제 등이 발생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전열(全熱)교환은 온도교환을 의미하는 현열교환 및 습도교환을 의미하는 잠열교환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실내공간으로부터 실외공간으로 배출되는 공기와 실외공간으로부터 실내공간으로 유입되는 공기 간 열교환을 가능케 함과 동시에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창호형 환기 장치와 상이한 구조로 이루어진 창호용 환기 장치를 개발하였다. 상기와 같은 출원인의 발명은 입면 분할된 창호의 창호틀에 장착되는 열교환 모듈(본 발명에서의 기구부) 및 상기 열교환 모듈과 이웃하여 위치하도록 상기 창호틀에 장착되는 배기 모듈(본 발명에서의 공기 공급부)을 포함하되, 상기 열교환 모듈은 실외공간으로부터 상기 창호틀로 유입된 외기를 상기 창호틀로부터 전달받아 상기 배기 모듈로 전달하고, 상기 창호틀로부터 상기 실외공간으로 배출될 내기를 실내공간으로부터 전달받아 상기 창호틀로 전달하며, 외기와 내기 간 열교환을 외기와 내기의 혼합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수행하고, 상기 배기 모듈은 상기 열교환 모듈로부터 전달받은 외기를 상기 실내공간으로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환기 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외기가 유입되어 실내로 유입되고, 실내의 오염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급배기부에 있어서 실내에서 배출된 오염된 공기가 다시 실내로 유입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내기 배출구에서 배출되는 오염된 실내 공기가 다시 실내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창호용 환기장치의 급배기부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창호용 환기 장치에서의 급배기부 구조에 있어서, 외기 유입구와 내기 배출구가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내기 배출구를 통해서 배출된 오염된 실내 내부 공기가 외기 유입구를 통해서 유입되는 외부 공기와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는 창호용 환기 장치의 급배기부 구조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외기 유입구는 트랜섬 상에서 상기 내기 배출구와 최대한 이격되어 설치되되, 상기 외기 유입구는 상기 창호틀의 상부를 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내기 배출구는 상기 창호틀의 하부를 향하도록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내기 배출구와 상기 외기 유입구는 창호틀 상에서 최대한 멀리 이격되되, 상기 내기 배출구는 상기 창호틀의 상부를 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외기 유입구는 상기 창호틀의 하부를 향하도록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외기 유입구는 트랜섬 상에서 상기 내기 배출구와 최대한 이격되어 설치되되, 상기 내기 배출구는 상기 외기 유입구의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외기 유입구는 상기 내기 배출구가 설치된 방향과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창호용 환기 장치의 기구부가 좌,우 트랜섬에 각각 설치되고 중앙 트랜섬에는 공기 공급부가 설치되어 상기 좌,우 트랜섬에 설치된 기구부에서 유입된 외기가 상기 중앙 트랜섬에 설치된 공기 공급부를 통해서 실내로 공급되되, 상기 공기 공급부 중앙에는 좌,우측을 분리하는 격벽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창호용 환기 장치의 급배기 구조는, 상기 창호용 환기 장치가 입면 분할된 창호의 창호틀에 장착되는 기구부 및 상기 기구부와 이웃하여 위치하도록 상기 창호틀에 장착되는 공기 공급부를 포함하되, 상기 기구부는 실외공간으로부터 상기 창호틀로 유입된 외기를 상기 창호틀로부터 전달받아 상기 공기 공급부로 전달하고, 상기 창호틀로부터 상기 실외공간으로 배출될 내기를 실내공간으로부터 전달받아 상기 창호틀로 전달하며, 외기와 내기 간 열교환을 외기와 내기의 혼합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수행하고, 상기 공기 공급부는 상기 기구부로부터 전달받은 외기를 상기 실내공간으로 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내기가 배출되어 나가는 방향과 외기가 유입되는 방향을 다르게 함으로써 내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된 오염된 실내 공기가 외기 유입구를 통해 실내로 유입되는 외부 공기와 혼합되어 다시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외기 유입구와 내기 배출구 사이의 구간을 충분히 확보하여 내기를 배출된 오염된 실내 공기가 외부 공기와 혼합되어 다시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장치가 건물의 저층에 설치되는 경우에 먼지 등에 의한 오염이 적은 상부 공기가 유입되어 더욱 효과적인 환기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외기 유입구와 내기 배출구 사이의 구간을 충분히 확보하면서 배출된 실내 공기가 외부의 공기와 혼합되어 다시 외기 유입구를 통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실내의 따뜻한 공기를 배출시키는 내기 유출구가 상부를 향하고 있으므로 하부를 향하고 있는 외기 유입구를 통해서 상기 오염된 실내 공기가 혼합되어 실내로 유입될 가능성을 더욱 낮출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격벽에 의해 공기 공급부를 분리함으로써, 좌우에 설치된 기구부 중 어느 하나만 가동되는 경우에 가동되는 기구부에서 유입된 외기가 실내로 공급되지 않고 가동되고 있지 않은 기구부의 외기 유입구를 통해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급배기부 구조가 제공된 신개념의 창호 환기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창문을 개방하지 않고도 실내 환기를 시킬 수 있는 창호를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창호용 환기장치가 설치되는 입면 분할 창호를 실내공간에서 바라본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입면 분할 창호에 설치되는 창호용 환기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창호용 환기 장치가 장착된 입면 분할 창호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창호용 환기 장치의 공기 공급부를 하부에서 바라본 부분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창호용 환기장치의 급배기부의 구조 중 기구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다른 실시예이다.
도 7은 도 5의 다른 실시예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창호용 환기장치의 급배기부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창호용 환기장치의 급배기부 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창호용 환기 장치는 기구부(100), 입면 분할된 창호의 중앙 트랜섬(140)에 장착되는 공기 공급부(200)를 포함하고, 상기 기구부(100)는 외기 유입구(110), 외기 유출구(112) 및 내기 배출구(120)를 포함한다.
상기 외기 유입구(110)와 상기 내기 배출구(120)가 서로 인접해 있거나, 같은 방향으로 설치된 경우에는 상기 내기 배출구(120)에서 배출된 실내의 오염된 공기가 외부 공기와 혼합되어 다시 외기 유입구(110)로 유입될 수 있으므로 상기 외기 유입구(110)와 상기 내기 배출구(120)의 방향을 서로 다르게 설치하여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외기 유입구(1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호틀의 상부를 향하게 하고, 상기 내기 배출구(120)는 창호틀의 하부를 향하게 제조될 수 있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반대도 가능하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부 유입구(110)와 상기 내기 배출구(120)가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설치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외기 유입구(110)와 상기 내기 배출구(120)는 상기 트랜섬(140) 상에서 최대한 이격되도록 설치되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기 유입구(110)는 상기 기구부(100)가 설치되는 창호틀의 상부를 향하도록 하고, 상기 내기 배출구(120)는 상기 창호틀의 하부를 향하도록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이 구비되는 입면 분할 창호를 도시한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입면 분할 창호는 가로로 구비된 트랜섬(10,12)과 세로로 구비된 멀리언(14)으로 이루어졌는데, 상기 외기 유입구(110)는 상기 멀리언(14)과 평행하도록 구비되되, 외곽 창틀의 상부(16)를 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내기 유출구(120)도 또한 상기 멀리언(14)과 평행하도록 구비되되, 외곽 창틀의 하부(18)를 향하도록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외기 유입구(110)와 내기 배출구(120)가 1.5m 이상 이격됨으로써 내기와 외기가 혼합되지 않는 충분한 거리를 확보하게 되고, 이에 더하여 상기 외기 유입구(110)와 내기 배출구(120)의 방향을 상기와 같이 상기 외기 유입구(110)가 창틀의 상부(16), 상기 내기 배출구(120)가 창틀의 하부(18)를 향하도록 구비됨으로써 내기, 외기의 혼합 가능성은 더욱 낮아진다. 또한, 상기 외기 유입구(110)가 창틀의 상부(16)를 향하도록 구비되어 비교적 높은 위치에 있는 공기를 유입시키게 되므로, 특히 저층에 상기 창호형 환기장치가 설치된 경우에 상기 외기 유입구(110)가 창틀의 하부(18)를 향하도록 구비되는 것보다 먼지 등의 이물질의 유입을 줄일 수 있다.
반대로, 상기 내기 배출구(120)와 상기 외기 유입구(110)는 상기 트랜섬(140) 상에서 최대한 이격되어 설치되되, 상기 내기 배출구(120)는 상기 창호틀의 상부를 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외기 유입구(110)는 상기 창호틀의 하부를 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기 외기 유입구(110)는 상기 멀리언(14)과 평행하도록 구비되되, 외곽 창틀의 하부(18)를 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내기 유출구(120)도 또한 상기 멀리언(14)과 평행하도록 구비되되, 외곽 창틀의 상부(16)를 향하도록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외기 유입구(110)와 내기 배출구(120)가 1.5m 이상 이격됨으로써 내기와 외기가 혼합되지 않는 충분한 거리를 확보하게 되고, 이에 더하여 상기 외기 유입구(110)와 내기 배출구(120)의 방향을 상기와 같이 상기 외기 유입구(110)가 창틀의 하부(18), 상기 내기 배출구(120)가 창틀의 상부(16)를 향하도록 구비됨으로써 내기, 외기의 혼합 가능성은 더욱 낮아진다. 상기 내기 배출구(120)가 창호틀의 상부를 향함으로써 실내에서 배출된 따뜻한 공기가 상공으로 확산되어 가고, 상기 외기 배출구(110)가 창호틀의 하부를 향함으로써 상기 오염된 실내 공기가 혼합되지 않은 신선한 공기만이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창호용 환기장치의 중앙 트랜섬(12)에 설치된 공기 공급부(200)의 내측에는 상기 공기 공급부(200)를 좌,우로 분리하는 격벽(210)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창호용 환기 장치의 기구부(100)가 좌,우 트랜섬(10)에 설치되는 경우로서 상기 기구부(100)를 가동시키는 경우 상기 공기 공급부(200)를 공유하게 될 때 적용된다. 상기 좌,우 트랜섬(10)에 구비된 기구부(100) 중 어느 하나만을 가동시킬 경우에는 상기 외기 유입구(110)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기구부(100)의 열교환 유닛을 통과하여 상기 공기 공급부(200)의 하면에 구비된 공기 배출구(202)를 통해서 실내로 유입되기 되는데, 이때 상기 격벽(210)이 구비되지 않는다면 상기 공기 공급부(200)로 유입된 공기 중 일부는 다시 가동되고 있지 않은 기구부(100)의 외기 유출구(112)를 통해서 열교환 유닛을 통과한 후 외기 유입구(110)를 통해 유출될 수 있다. 이는 창호형 환기장치의 효율을 떨어뜨리는 요인이 되므로, 상기 공기 공급부(200)의 내측에 격벽(210)을 설치하여, 상기 공기 배출구(202)를 통해 배출될 공기가 가동되고 있지 않은 기구부(100) 쪽으로 흘러들어가지 못하도록 한다. 상기 격벽(210)은 상기 공기 공급부(200)의 내측 어느 부분에 구비되어도 상관없으나, 좌,우측의 기구부(100)를 어느 것을 가동하더라도 동일한 환기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상기 공기 공급부(200)의 중앙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창호용 환기장치는 입면 분할된 창호의 창틀에 장착되어 상기 외기 유입구(110)를 통해서 유입된 공기는 기구부(100) 내의 열교환 유닛을 통과한 후 상기 외기 유출구(112)를 통해서 상기 공기 공급부(200)로 유입되고, 상기 공기 공급부(200)의 하면에 구비된 외기 유출구(112)를 통해서 실내로 유입된다. 실내의 오염된 내부 공기는 상기 기구부의 하면에 구비된 내기 유입구(미도시)를 통해서 유입되어 상기 기구부(100) 내의 열교환 유닛을 통과한 후 상기 내기 배출구(12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기구부(100) 내의 열교환 유닛에서는 외기와 내기 간의 열교환이 이루어지되 서로 혼합이 이루어지지는 않는다. 상기 외기 유입구(110)는 외부 공기가 상기 기구부(100)로 유입되는 통로가 되고, 상기 내기 배출구(120)는 실내의 오염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통로가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 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0 : 기구부
110 : 외기 유입구
112 : 외기 유출구
120 : 내기 배출구
200 : 공기 공급부
202 : 공기 배출구
210 : 격벽

Claims (6)

  1. 창호용 환기 장치에서의 급배기부 구조에 있어서,
    외기 유입구와 내기 배출구가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내기 배출구를 통해서 배출된 오염된 실내 내부 공기가 외기 유입구를 통해서 유입되는 외부 공기와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되,
    상기 창호용 환기 장치의 기구부가 좌,우 트랜섬에 각각 설치되고 중앙 트랜섬에는 공기 공급부가 설치되어 상기 좌,우 트랜섬에 설치된 기구부에서 유입된 외기가 상기 중앙 트랜섬에 설치된 공기 공급부를 통해서 실내로 공급되되, 상기 공기 공급부 내측 중앙에는 좌,우측을 분리하는 격벽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환기 장치의 급배기부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기 유입구는 트랜섬 상에서 상기 내기 배출구와 최대한 이격되어 설치되되, 상기 외기 유입구는 창호틀의 상부를 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내기 배출구는 상기 창호틀의 하부를 향하도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환기 장치의 급배기부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기 배출구는 트랜섬 상에서 상기 외기 유입구와 최대한 이격되어 설치되되, 상기 내기 배출구는 창호틀의 상부를 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외기 유입구는 상기 창호틀의 하부를 향하도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환기 장치의 급배기부 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기 유입구는 트랜섬 상에서 상기 내기 배출구와 최대한 이격되어 설치되되, 상기 내기 배출구는 상기 외기 유입구의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외기 유입구는 상기 내기 배출구가 설치된 방향과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환기 장치의 급배기부 구조.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창호용 환기 장치의 급배기 구조는,
    상기 창호용 환기 장치가 입면 분할된 창호의 창호틀에 장착되는 기구부 및 상기 기구부와 이웃하여 위치하도록 상기 창호틀에 장착되는 공기 공급부를 포함하되, 상기 기구부는 실외공간으로부터 상기 창호틀로 유입된 외기를 상기 창호틀로부터 전달받아 상기 공기 공급부로 전달하고, 상기 창호틀로부터 상기 실외공간으로 배출될 내기를 실내공간으로부터 전달받아 상기 창호틀로 전달하며, 외기와 내기 간 열교환을 외기와 내기의 혼합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수행하고, 상기 공기 공급부는 상기 기구부로부터 전달받은 외기를 상기 실내공간으로 배출하는 것인 창호형 환기 장치의 급배기부 구조.
KR1020100030902A 2010-04-05 2010-04-05 창호용 환기장치의 급배기부 구조 KR1013304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0902A KR101330447B1 (ko) 2010-04-05 2010-04-05 창호용 환기장치의 급배기부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0902A KR101330447B1 (ko) 2010-04-05 2010-04-05 창호용 환기장치의 급배기부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1697A KR20110111697A (ko) 2011-10-12
KR101330447B1 true KR101330447B1 (ko) 2013-11-15

Family

ID=450276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0902A KR101330447B1 (ko) 2010-04-05 2010-04-05 창호용 환기장치의 급배기부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044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12016002220T5 (de) 2015-08-11 2018-04-19 Lg Hausys, Ltd. Fenster mit Funktion zur Wohnumfeldverbesserung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559551C1 (ru) * 2011-09-21 2015-08-10 ЭлДжи ХАУСИС, ЛТД. Вентиляци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кн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7212Y1 (ko) 2004-08-02 2005-03-11 주식회사 라이다텍 선택적 환기 기능이 구비된 창
KR20080026423A (ko) * 2006-09-20 2008-03-25 오광복 조립식 환기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7212Y1 (ko) 2004-08-02 2005-03-11 주식회사 라이다텍 선택적 환기 기능이 구비된 창
KR20080026423A (ko) * 2006-09-20 2008-03-25 오광복 조립식 환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12016002220T5 (de) 2015-08-11 2018-04-19 Lg Hausys, Ltd. Fenster mit Funktion zur Wohnumfeldverbesser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1697A (ko) 2011-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45896A (ko) 공기 정화 및 열교환 기능을 구비한 창문 환기장치
KR20060105295A (ko) 건축물용 자연환기장치
KR102105127B1 (ko) 스탠드형 전열교환장치
JP5472669B2 (ja) 横ばり及び縦仕切り埋立型窓戸用の換気装置
JP5741880B2 (ja) 窓戸用の換気装置
KR101330447B1 (ko) 창호용 환기장치의 급배기부 구조
JP2007100437A (ja) 二重窓の通気システム
KR20110118347A (ko) 창틀프레임의 레일 일체형 창호용 환기장치
KR100819732B1 (ko) 전열교환기
KR101233415B1 (ko) 창호 부착형 하이브리드 환기장치
KR20110118343A (ko) 창틀프레임 일체형 창호용 환기장치
KR101292365B1 (ko) 창짝프레임 일체형 창호용 환기장치
KR102105026B1 (ko) 대형 공간용 열회수 환기장치
KR100753976B1 (ko) 하부 흡입 구조를 갖는 스탠드형 열교환 환기 장치
KR102202404B1 (ko) 환기장치
KR20060098281A (ko) 환기시스템
KR20070100434A (ko) 공조 시스템
KR101253304B1 (ko) 천정 부착형 하이브리드 환기장치
KR200391419Y1 (ko) 건축물용 자연환기장치
KR20060121053A (ko) 폐열회수 환기장치의 설치방법
KR101293846B1 (ko) 창호용 환기장치
KR102067232B1 (ko) 벽부형 전열교환기
KR102235582B1 (ko) 환기장치
KR102538501B1 (ko) 공기 정화 및 살균 기능을 가지는 전열 교환기
KR20110118344A (ko) 창에 장착된 창호용 환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