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1972B1 - 밸브 일체형 이중관 급배기 댐퍼 - Google Patents

밸브 일체형 이중관 급배기 댐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1972B1
KR102061972B1 KR1020180073078A KR20180073078A KR102061972B1 KR 102061972 B1 KR102061972 B1 KR 102061972B1 KR 1020180073078 A KR1020180073078 A KR 1020180073078A KR 20180073078 A KR20180073078 A KR 20180073078A KR 102061972 B1 KR102061972 B1 KR 1020619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supply
exhaust
housing
damper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30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광모
김한수
김내현
김광희
조진표
조재봉
조준하
Original Assignee
김광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모 filed Critical 김광모
Priority to KR10201800730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19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19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19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24F2013/1433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with electric mo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외공기를 공급받는 급기연결관과, 상기 급기연결관의 내부에 구성되어 실내의 공기를 배기하는 배기연결관이 일체형으로 제작되어 환기장치에 구비되는 이중관에 연결설치되는 밸브 일체형 이중관 급배기 댐퍼에 관한 것으로, 전방이 급기연결관에 연결되고 후방에는 제1플랜지를 구성하며 내부에는 제1급기홀을 형성한 제1급기하우징과, 전방이 배기연결관에 연결되도록 제1급기하우징의 내부에 제1배기홀을 형성하여 구성되는 제1배기하우징과, 상기 제1급기하우징의 내부를 급기연결관에 연결되는 제1급기홀과 배기연결관에 연결되는 제1배기홀로 이등분하도록 제1배기하우징에 일체로 구성되는 제1구획판으로 이루어진 제1댐퍼; 상기 제1댐퍼의 제1플랜지에 대응되는 제2플렌지를 전방에 구성하여 제1댐퍼와 결합되며 내부에는 제2급기홀을 형성하는 제2급기하우징과, 제1배기하우징에 대응되도록 제2급기하우징의 내부에 제2배기홀을 형성하여 구성되는 제2배기하우징과, 상기 제2배기하우징의 내부를 제1급기홀과 연통하는 제2급기홀과 제1배기홀과 연통하는 제2배기홀로 이등분하도록 제2배기하우징에 일체로 구성되는 제2구획판으로 이루어진 제2댐퍼; 회동축을 통해 상기 제2급기하우징 내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원형상의 패널을 구성한 개폐밸브; 화재 발생 여부에 따라 개폐밸브를 회동시키도록 상기 제2댐퍼에 설치되어 제2급기홀과 제2배기홀을 동시에 개폐제어하는 스텝모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밸브 일체형 이중관 급배기 댐퍼{Double-pipe type supply and exhaust damper with one body valve}
본 발명은 밸브 일체형 이중관 급배기 댐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유동하는 급기공기와 배기공기가 서로 섞이는 현상을 완전차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화재 발생 또는 미세먼지등에 의한 외부의 오염시 급, 배기공기의 흐름을 동시에 차단하여 화재에 의한 피해의 최소화는 물론, 급배기 덕트의 제조 및 유지보수에 따른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손쉽고 용이한 조립설치와 더불어, 조립에 따른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밸브 일체형 이중관 급배기 댐퍼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건물들이 고층화, 대형화되고, 외관을 중시하게 되면서, 창문 구조가 환경오염이나 안전성을 이유로 밀폐형으로 변화되게 되고, 이에 따라 건물 외벽의 창문을 통한 환기가 어려운 구조로 바뀌어 가는 대신, 건물의 천정 등에 환기장치를 설치하고, 이 환기장치를 통해 건물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기하거나,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건물 내부로 급기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환기장치는 건물의 천정 등에 배설된 환기 덕트상에 송풍팬이 설치되고, 송풍팬의 작동에 따라 급기 또는 배기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며, 덕트 내부에 공기청정필터 등이 구비되어, 급기되는 공기를 정화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온풍기 또는 냉풍기 등이 구비되어, 실내 온도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그런데 종래 환기장치는 그 특성상 급기되는 공기의 양 또는, 배기되는 공기의 양만큼의 공기가 실내로 유입되거나 유출되어야 하나, 실내가 밀폐된 공간이다 보니, 공기의 유동이 자연스럽지 못하여, 급기 또는 배기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고자, 실내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유로와 실내로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유로를 이중관으로 제작하여 토출유로로 급기가 이뤄지고 흡입유로로 배기가 이뤄지도록 함으로써, 밀폐된 실내로 급기 또는 배기되는 양만큼의 공기를 흡입시키거나 토출시키도록 한 이중관을 구비하는 환기장치가 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종래 이중관을 구비하는 환기장치는 이중관을 커버하는 케이스에 이중관이 위치될 때, 케이스와 이중관을 상호 용접시켜서 고정 위치되도록 하는바, 그 제조과정이 복잡하여 제조단가를 증가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일예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65814호에는 케이스에 이중관이 위치될 때, 용접 없이 조립식으로 수밀하게 밀착 위치되도록 하여, 제조과정이 간편해지도록 한 이중관을 이용한 환기장치가 개시된 바 있다.
KR 제10-0965814호 (2010.06.16.) B1 "이중관을 이용한 환기장치" - 한국이찌몽(주) / (주)디모스텍
그러나, 전술한 종래 기술에 따르면, 이중관 구조의 특성상 화재 발생시 급기와 배기가 동시에 이루어지기 때문에 공기의 유입을 차단할 수 없게 됨에 따라 화재의 초기 진압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그리하여 본 출원인은 이중관 구조를 가진 환기장치에 연결설치되어 환기장치의 급, 배기 흐름을 제어할 수 있는 밸브 일체형 이중관 급배기 댐퍼를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목적은 화재 발생 또는 미세먼지등에 의한 외부의 오염시 개폐밸브를 자동으로 조작하는 스텝모터에 의해 환기장치의 급기 및 배기를 동시 차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공기의 흐름을 막아 회재의 초기 진압을 용이하게 이루어 화재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실내의 청정도 유지를 손쉽게 조절할 수 있으며, 이중관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인해 천장 내부의 배관 공사가 간편해져 급배기 덕트의 제조 및 유지보수에 따른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밸브 일체형 이중관 급배기 댐퍼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2댐퍼로 분리 구성되어 플랜지를 통해 서로 조립되게 함으로써 간편하게 제작할 수 있으며, 제1, 2댐퍼에 구성된 제1, 2구획판 및 개폐밸브에 의해 서로 반대반향으로 유동하는 급기공기와 배기공기가 섞이는 현상을 완전차단하여 환기효율을 높일 수 있는 밸브 일체형 이중관 급배기 댐퍼를 제공하려는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제2댐퍼의 제2급기하우징에 설치홀을 형성하는 것을 통해 개폐댐퍼의 설치공간이 확보되어 용이한 조립설치가 가능함은 물론, 상기 설치홀로 삽입되는 제1구획판을 제2급기하우징에 형성된 가이드돌부를 통해 위치를 가이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립에 따른 불량 발생 없이 손쉽게 조립할 수 있으며, 제1댐퍼를 환기장치에 부착되는 이중관으로만 개별적인 사용을 할 수 있게 되어 활용성이 높아지는 밸브 일체형 이중관 급배기 댐퍼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실외공기를 공급받는 급기연결관과, 상기 급기연결관의 내부에 구성되어 실내의 공기를 배기하는 배기연결관이 일체형으로 제작되어 환기장치에 구비되는 이중관에 연결설치되는 이중관 급배기 댐퍼에 있어서, 전방이 급기연결관에 연결되고 후방에는 제1플랜지를 구성하며 내부에는 제1급기홀을 형성한 제1급기하우징과, 전방이 배기연결관에 연결되도록 제1급기하우징의 내부에 제1배기홀을 형성하여 구성되는 제1배기하우징과, 상기 제1급기하우징의 내부를 급기연결관에 연결되는 제1급기홀과 배기연결관에 연결되는 제1배기홀로 이등분하도록 제1배기하우징에 일체로 구성되는 제1구획판으로 이루어진 제1댐퍼; 상기 제1댐퍼의 제1플랜지에 대응되는 제2플렌지를 전방에 구성하여 제1댐퍼와 결합되며 내부에는 제2급기홀을 형성하는 제2급기하우징과, 제1배기하우징에 대응되도록 제2급기하우징의 내부에 제2배기홀을 형성하여 구성되는 제2배기하우징과, 상기 제2배기하우징의 내부를 제1급기홀과 연통하는 제2급기홀과 제1배기홀과 연통하는 제2배기홀로 이등분하도록 제2배기하우징에 일체로 구성되는 제2구획판으로 이루어진 제2댐퍼; 회동축을 통해 상기 제2급기하우징 내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원형상의 패널을 구성한 개폐밸브; 화재 발생 여부에 따라 개폐밸브를 회동시키도록 상기 제2댐퍼에 설치되어 제2급기홀과 제2배기홀을 동시에 개폐제어하는 스텝모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일체형 이중관 급배기 댐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이용하면, 화재 발생 또는 미세먼지등에 의한 외부의 오염시 개폐밸브를 자동으로 조작하는 스텝모터에 의해 환기장치의 급기 및 배기를 동시 차단할 수 있으므로, 공기의 흐름을 막아 회재의 초기 진압을 용이하게 이루어 화재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실내의 청정도 유지를 손쉽게 조절할 수 있으며, 이중관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인해 천장 내부의 배관 공사가 간편해져 급배기 덕트의 제조 및 유지보수에 따른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2댐퍼로 분리 구성되어 플랜지를 통해 서로 조립되기 때문에 제작이 간편함은 물론, 제1, 2댐퍼에 구성된 제1, 2구획판 및 개폐밸브에 의해 서로 반대반향으로 유동하는 급기공기와 배기공기가 섞이는 현상을 완전차단할 수 있어 환기효율이 높아지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제2댐퍼의 제2급기하우징에 설치홀을 형성하는 것을 통해 개폐댐퍼의 설치공간이 확보되어 용이한 조립설치가 가능함은 물론, 상기 설치홀로 삽입되는 제1구획판을 제2급기하우징에 형성된 가이드돌부를 통해 위치를 가이드할 수 있으므로 조립에 따른 불량 발생 없이 손쉬운 조립이 가능하며, 제1댐퍼를 환기장치에 부착되는 이중관으로만 개별적인 사용을 할 수 있게 되어 활용성이 높아지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밸브 일체형 이중관 급배기 댐퍼가 환기장치에 연결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밸브 일체형 이중관 급배기 댐퍼를 도시한 사시도.
도 3, 4는 본 발명의 밸브 일체형 이중관 급배기 댐퍼를 단면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5, 6는 본 발명의 밸브 일체형 이중관 급배기 댐퍼의 작동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밸브 일체형 이중관 급배기 댐퍼의 일 부분을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댐퍼에 가이드돌부가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외공기를 공급받는 급기연결관(1)과, 상기 급기연결관(1)의 내부에 구성되어 실내의 공기를 배기하는 배기연결관(2)이 일체형으로 제작되어 환기장치(10)에 구비되는 이중관(3)에 연결설치되는 밸브 일체형 이중관 급배기 댐퍼에 관한 것으로, 전방이 급기연결관(1)에 연결되고 후방에는 제1플랜지(113)를 구성하며 내부에는 제1급기홀(111)을 형성한 제1급기하우징(110)과, 전방이 배기연결관(2)에 연결되도록 제1급기하우징(110)의 내부에 제1배기홀(121)을 형성하여 구성되는 제1배기하우징(120)과, 상기 제1급기하우징(110)의 내부를 급기연결관(1)에 연결되는 제1급기홀(111)과 배기연결관(2)에 연결되는 제1배기홀(121)로 이등분하도록 제1배기하우징(120)에 일체로 구성되는 제1구획판(130)으로 이루어진 제1댐퍼(100); 상기 제1댐퍼(100)의 제1플랜지(113)에 대응되는 제2플렌지(213)를 전방에 구성하여 제1댐퍼(100)와 결합되며 내부에는 제2급기홀(211)을 형성하는 제2급기하우징(210)과, 제1배기하우징(120)에 대응되도록 제2급기하우징(210)의 내부에 제2배기홀(221)을 형성하여 구성되는 제2배기하우징(220)과, 상기 제2급기하우징(210)의 내부를 제1급기홀(111)과 연통하는 제2급기홀(211)과 제1배기홀(121)과 연통하는 제2배기홀(221)로 이등분하도록 제2배기하우징(220)에 일체로 구성되는 제2구획판(230)으로 이루어진 제2댐퍼(200); 회동축(310)을 통해 상기 제2급기하우징(210) 내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원형상의 패널(320)을 구성한 개폐밸브(300); 화재 발생 여부에 따라 개폐밸브(300)를 회동시키도록 상기 제2댐퍼(200)에 설치되어 제2급기홀(211)과 제2배기홀(221)을 동시에 개폐제어하는 스텝모터(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환기장치(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기공기와 배기공기의 열교환을 이루게 하는 전열교환기(7)를 구성한 케이스(8)와, 상기 케이스(8)에 구성되어 공기를 순환시키는 급기팬(4)과 배기팬(5)으로 구성된 환기구동부(6)와, 상기 케이스(8)에 구성되어 급기공기의 공급 및 배기공기의 배기를 이루게 하는 이중관(3)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이중관(3)은 실외공기를 공급받는 급기연결관(1)과, 상기 급기연결관(1)의 내부에 구성되어 공기를 배기하는 배기연결관(2)이 일체형으로 제작되어 있으며, 이러한 이중관(3) 및 환기장치(10)에 대한 구성은 종래에 공지된 사항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8을 참고하여 제1댐퍼(100)와, 제2댐퍼(200)와, 개폐밸브(300)와, 스텝모터(400)로 구성된 본 발명의 밸브 일체형 이중관 급배기 댐퍼(500)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첫째, 제1댐퍼(100)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기공기와 배기공기가 서로 분리되도록 환기장치(10)에 연결설되는 구성으로, 상기 환기장치(10)에 이중관(3)을 구성하여 공지된 통상의 밸로우즈관과 같은 신축관을 통해 연결하여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환기장치(10)에 직접 연결하여 설치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제1댐퍼(100)는 전방이 이중관(3)의 급기연결관(1)에 연결되어 내부에 제1급기홀(111)을 형성하는 제1급기하우징(110)과, 전방이 이중관(3)의 배기연결관(2)에 연결되도록 상기 제1급기하우징(110)의 내부에 구성되어 내부에 제1배기홀(121)을 형성하는 제1배기하우징(120)과, 상기 제1급기하우징(110)의 내부를 급기연결관(1)에 연결되는 제1급기홀(111)과 배기연결관(2)에 연결되는 제1배기홀(121)로 이등분하도록 제1배기하우징(120)의 후방에 일체로 구성되는 제1구획판(130)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급기하우징(110)의 후방에는 제2댐퍼(200)와의 결합을 위한 제1플랜지(113)가 구성되며, 상기 제1급기하우징(110) 및 제1배기하우징(120)의 전방 외주면에는 이중관(3)과의 용이한 연결설치를 위한 결합부(115, 125)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결합부(115, 125)는 제1급기하우징(110) 및 제1배기하우징(120)의 외주면에 링 형태로 형성되는 돌기 등으로 구성할 수 있을 것이며, 이와 같은 결합부(115, 125)에 의하면, 벨로우즈관과 같은 통상의 신축관을 이용하여 본 발명을 환기장치(10)의 이중관(3)에 손쉽게 연결설치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제1배기하우징(120)은 이중관(3)의 배기연결관(2)과의 용이한 연결을 위하여, 전방에 위치하는 입구가 제1급기하우징(110)의 입구와 동심을 갖도록 형성되며, 제1구획판(130)에 의해 구획되는 제1급기홀(111)과 제1배기홀(121)이 상하로 정확히 이등분될 수 있도록 후방으로 갈수록 점차 하측방향으로 기울어지는 하향경사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구획판(13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1급기하우징(110)의 내부를 상, 하로 이등분하여 구분할 수 있도록 제1급기하우징(110)의 중심에 수평방향으로 형성함과 동시에, 제1급, 배기홀(111, 121)을 통해 순환하는 급, 배기공기가 서로 혼합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도록 제1댐퍼(100)의 후방으로 돌출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1구획판(130)은 도 3 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밸브(300)에 맞닿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구획판(130)이 개폐밸브(300)에 구성된 원형상의 패널(320)에 맞닿도록 함으로써 이를 이룰 수도 있으며, 이와 같은 구성은 제1구획판(130)의 끝단에 반원형상으로 형성되는 반원홀(131)을 더 포함하여 형성하는 것을 통해 용이하게 이룰 수 있다.
이외에도 상기 제1구획판(130)을 도 4 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밸브(300)의 회동축(310)에 맞닿도록 하는 것을 통해 위와 동일한 효과를 갖도록 할 수도 있는데, 이러한 구성은 상기 제1구획판(130)을 제1댐퍼(100)의 후방으로 돌출형성하는 것만으로 용이하게 이룰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서로 반대방향으로 순환하는 급기공기와 배기공기가 서로 혼합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작용효과를 가지게 된다.
둘째, 제2댐퍼(200)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기공기와 배기공기의 순환을 위하여 상기 제1댐퍼(100)의 제1플랜지(113)에 결합되는 구성으로, 상기 제1플랜지(113)에 대응되는 제2플렌지(213)를 전방에 구성하여 제1댐퍼(100)에 결합되며 내부에는 제1급기홀(111)과 연통하는 제2급기홀(211)을 형성하는 제2급기하우징(210)을 구성한다.
또한, 상기 제2댐퍼(200)에 구성되는 제2급기하우징(220)의 후방 내부에는 제1댐퍼(100)의 제1배기하우징(120)에 대응되는 제2배기하우징(220)이 구성되어 제1배기홀(121)과 연통하는 제2배기홀(221)을 내부에 형성하는데, 상기 제2배기하우징(220)은 제1배기하우징(120)과 대칭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2배기하우징(220)의 전방으로는 제2구획판(230)이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2구획판(230)은 상술한 제2급기홀(211)과 제2배기홀(221)을 구획하기 위하여 제1댐퍼(100)의 제1구획판(130)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구성으로, 제2급기하우징(210)의 내부를 상, 하로 이등분하여 구분할 수 있도록 제2급기하우징(210)의 중심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제2급, 배기홀(211, 221)을 통해 순환하는 급, 배기공기가 서로 혼합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도록 제2배기하우징(220)의 전방으로 돌출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2구획판(230)은 도 3 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밸브(300)에 맞닿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2구획판(230)이 개폐밸브(300)에 구성된 원형상의 패널(320)에 맞닿도록 함으로써 이를 이룰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은 제2구획판(230)의 끝단에 반원형상으로 형성되는 반원홀(231)을 더 포함하여 형성하는 것을 통해 용이하게 이룰 수 있는데, 상술한 제1, 2구획판(130, 230)의 반원홀(131, 231)에 의하면, 제1, 2댐퍼(100, 200)의 내부에 개폐밸브(300)에 구성된 패널의 작동을 위한 작동홀(330)이 형성되어 지며, 이로 인해 상기 개폐밸브(300)에 의한 제2급, 배기홀(211, 221)의 개방시에는 작동홀(330)의 폐쇄가 이루어지고, 상기 제2급, 배기홀(211, 221)의 폐쇄시에는 작동홀(330)의 개방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외에도 상기 제2구획판(230)을 도 4 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밸브(300)의 회동축(310)에 맞닿도록 하는 것을 통해 위와 동일한 효과를 갖도록 할 수도 있는데, 이러한 구성은 상기 제2구획판(130)을 제2댐퍼(200)의 전방으로 돌출형성하는 것만으로 용이하게 이룰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서로 반대방향으로 순환하는 급기공기와 배기공기가 서로 혼합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작용효과를 가지게 된다.
아울러, 상기와 같이 제1, 2구획판(130, 230)이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을 때에는, 개폐밸브(30)의 설치를 위하여 제2급기홀(211)과 제2배기홀(221)이 서로 연통되도록 하는 설치홀(215)이 상기 제2댐퍼(200)에 구성된 제2급기하우징(210)의 내부에 더 포함되어 구성되어야 하는데, 상기 설치홀(215)은 제2배기하우징(220)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제2구획판(230)의 길이를 조정하는 것을 통해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설치홀(215)에는 개폐밸브의 설치를 위한 통상의 설치구가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제1, 2댐퍼(100, 200)의 조립을 손쉽게 이룰 수 있음과 동시에, 조립에 따른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구성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러한 구성은 도 3, 4 또는 도 7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댐퍼(200)에 구성된 제2급기하우징(210)의 내측 전방에 제1구획판(130)의 조립 위치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돌부(217)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통해 용이하게 이룰 수 있다.
즉, 상기 제2댐퍼(200)에 구성된 제2급기하우징(210)의 내측 전방에 제1댐퍼(100)에 구성된 제1구획판(130)이 끼워지거나 조립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돌부(217)를 추가로 구성함으로써, 상기 제1댐퍼(100)의 제1구획판(130)을 제2댐퍼(200)의 가이드돌부(217)에 대응되게 위치시킨 상태로 조립을 하는 것만으로, 제1, 2댐퍼(100, 200)의 조립시 발생하는 불량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돌부(217)는 제1댐퍼(100)의 제1구획판(130)이 끼워지도록 제2급기하우징(210)의 내주 양 측면에 상, 하로 이격되어 각각 한 쌍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 경우에는 개폐밸브(300)를 이용한 급, 배기공기 제어시 상기 개폐밸브(300)의 패널(320)이 가이드돌부(217)에 간섭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해야만 하며, 이는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320)의 일단에 절곡부(321)를 형성하여 가이드돌부(217)와의 간섭을 방지하거나,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댐퍼(100)의 제1구획판(130)의 돌출길이를 길게 하여 상기 개폐밸브(300)의 패널(320)이 가이드돌부(217)에 닿지 않게 하는 것을 통해 용이하게 이룰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상기 가이드돌부(217)는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구획판(130)의 조립 위치만 가이드 할 수 있도록 상측 또는 하측에 선택적으로 형성함으로써 개폐밸브(300)의 패널(320)이 가이드돌부(217)에 간섭되는 현상을 차단할 수도 있을 것이다.
셋째, 개폐밸브(300)는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댐퍼(200)의 설치홀(215)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제2급기홀(211)을 통해 순환하는 급기공기의 흐름과, 제2배기홀(221)을 통해 순환하는 배기공기의 흐름을 동시에 제어하는 구성으로, 상기 제1, 2구획판(130, 230)의 사이에 밀착되도록 제2급기하우징(210)의 내부 즉, 설치홀(215)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축(310)과, 상기 회동축(310)의 양측으로 돌출되어 제2급기홀(211)의 내경과 동일직경으로 형성되는 원형상의 패널(320)를 구성한다.
넷째, 스텝모터(400)는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댐퍼(200)에 구성된 제2급기하우징(210)에 설치되어 화재 발생 여부에 따라 개폐밸브(300)를 회동시켜, 제2급기홀(211)과 제2배기홀(221)을 동시에 개폐제어하는 구성으로, 상기 제2급기하우징(210)의 외측에 설치되는 통상의 브라켓(410)을 통해 제2급기하우징(210)에 결합고정되며, 스텝모터(400)의 축이 제2급기하우징(210)을 관통하여 설치됨으로써 개폐밸브(300)와의 결합을 이룬다.
그리고 상기 스텝모터(400)에 의해 회동하는 개폐밸브(300)는 제2급, 배기홀(211, 221)을 동시에 폐쇄할 수 있도록 90°의 각도로만 회동제어되어야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상기 제2댐퍼(200)에 구성되는 제2급기하우징(210)의 내주면에 통상의 스토퍼(240)를 구성시키를 것을 통해 용이하게 이룰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화재발생시 스텝모터(400)의 자동구동을 통해 개폐밸브(300)의 회전 작동을 제어하기 위하여, 실내의 화재를 감지하기 위한 구성이 구비되어야 하는데, 이는, 상기 제2댐퍼(200)의 내부에 실내의 화재 여부를 감지하여 스텝모터(40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센서부(25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통해 용이하게 이룰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센서부(250)는 위 스토퍼(240) 또는 제2급기하우징(210)의 내주면에 구성시키는 것을 통해 용이한 설치가 가능할 수 있을 것이며, 이 외에도 상기 제어센서부(250)에 미세먼지를 감지하는 구성을 추가로 구비함으로써 미세먼지가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에 따른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2댐퍼(200)의 설치홀(215)에 개폐밸브(300)를 설치하여 상기 개폐밸브(300)의 회전축(310)이 제2댐퍼(200)의 제2구획판(230)에 밀착되게 한 다음, 상기 제2댐퍼(200)의 외측에 형성된 브라켓(410)에 스텝모터(400)를 장착하여 상기 스텝모터(400)의 축과 개폐밸브(300)를 결합한다.
그 후에는 제1댐퍼(100)의 제1구획판(130)을 제2댐퍼(200)에 구성된 가이드돌부(217)에 대응되게 위치시킨 상태로 맞댐으로써, 상기 개폐밸브(300)가 제1, 2구획판(130, 230) 사이에 밀착되게 함과 동시에, 통상의 볼트 및 너트 결합을 통해 제1, 2플랜지(113, 213)를 체결하며, 이를 통해 제1, 2댐퍼(100)의 조립을 불량없이 손쉽게 이룬다.
상기와 같이 조립을 완료한 다음에는, 본 발명의 밸브 일체형 이중관 급배기 댐퍼(500)를 외벽에 설치한 상태로, 하나의 신축관을 이중관(3)의 급기연결관(1)과 제1댐퍼(100)의 제1급기하우징(110) 사이에 연결함과 동시에, 다른 하나의 신축관을 이중관(3)의 배기연결관(2)과 제1댐퍼(100)의 제1배기하우징(120) 사이에 연결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설치를 완료할 수 있다.
따라서 위와 같이 설치된 본 발명의 밸브 일체형 이중관 급배기 댐퍼(500)를 이용하면, 개폐밸브(300)의 개방시 제1, 2구획판(130, 230)이 상기 개폐밸브(300)에 맞닿아 있는 것으로 인해, 제1, 2급기홀(111, 211) 및 제1, 2배기홀(121, 221)을 통해 서로 반대방향으로 유동하는 급, 배기공기가 섞이는 현상을 완전 차단할 수 있게 되며, 이는 공기의 원활한 순환에 도움이 되는 작용을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을 이용한 냉, 난방 및 환기 작동 중, 화재 발생 또는 미세먼지 등에 의한 외부의 오염이 발생하였을 시에는, 제어센서부(250)의 감지에 따른 스텝모터(400)의 구동을 통해 개폐밸브(300)를 자동 제어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상기 개폐밸브(300)에 의한 제2급, 배기홀(211, 221)이 차폐가 이루어져 환기장치(10)의 급기 및 배기를 동시에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즉, 화재 및 미세먼지에 의한 오염과 같은 특정사항 발생시 개폐밸브(300)를 자동으로 조작하는 스텝모터(300)에 의해 환기장치(10)의 급기 및 배기를 동시 차단함으로써, 공기의 흐름을 막아 회재의 초기 진압을 용이하게 이루어 화재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실내의 청정도 유지를 손쉽게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이중관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인해 천장 내부의 배관 공가가 간편해질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급배기 덕트의 제조 및 유지보수에 따른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제1댐퍼(100)를 환기장치(10)에 부착되는 이중관으로만 개별적인 사용을 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활용성이 높아지는 장점도 가지게 된다.
더하여 위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을 통하여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하여 실시할 수도 있을 것이다.
1 : 급기연결관 2 : 배기연결관 3 : 이중관 4 : 급기팬 5 : 배기팬 6 : 환기구동부 7 : 전열교환기 8 : 케이스 10 : 환기장치
100 : 제1댐퍼
110 : 제1급기하우징 111 : 제1급기홀 113 : 제1플랜지 115 : 결합부
120 : 제1배기하우징 121 : 제1배기홀 125 : 결합부
130 : 제1구획판 131 : 반원홀
200 : 제2댐퍼
210 : 제2급기하우징 211 : 제2급기홀 213 : 제2플랜지 215 : 설치홀 217 : 가이드돌부
220 : 제2배기하우징 221 : 제2배기홀
230 : 제2구획판 231 : 반원홀
240 : 스토퍼 250 : 제어센서부
300 : 개폐밸브 310 : 회동축 320 : 패널 330 : 작동홀
400 : 스탭모터 410 : 브라켓
500 : 밸브 일체형 이중관 급배기 댐퍼

Claims (6)

  1. 실외공기를 공급받는 급기연결관(1)과, 상기 급기연결관(1)의 내부에 구성되어 실내의 공기를 배기하는 배기연결관(2)이 일체형으로 제작되어 환기장치(10)에 연결설치되는 이중관 급배기 댐퍼에 있어서,
    전방이 급기연결관(1)에 연결되고 후방에는 제1플랜지(113)를 구성하며 내부에는 제1급기홀(111)을 형성한 제1급기하우징(110)과, 전방이 배기연결관(2)에 연결되도록 제1급기하우징(110)의 내부에 제1배기홀(121)을 형성하여 구성되는 제1배기하우징(120)과, 상기 제1급기하우징(110)의 내부를 급기연결관(1)에 연결되는 제1급기홀(111)과 배기연결관(2)에 연결되는 제1배기홀(121)로 이등분하도록 제1배기하우징(120)에 일체로 구성되는 제1구획판(130)으로 이루어진 제1댐퍼(100);
    상기 제1댐퍼(100)의 제1플랜지(113)에 대응되는 제2플렌지(213)를 전방에 구성하여 제1댐퍼(100)와 결합되며 내부에는 제2급기홀(211)을 형성하는 제2급기하우징(210)과, 제1배기하우징(120)에 대응되도록 제2급기하우징(210)의 내부에 제2배기홀(221)을 형성하여 구성되는 제2배기하우징(220)과, 상기 제2급기하우징(210)의 내부를 제1급기홀(111)과 연통하는 제2급기홀(211)과 제1배기홀(121)과 연통하는 제2배기홀(221)로 이등분하도록 제2배기하우징(220)에 일체로 구성되는 제2구획판(230)으로 이루어진 제2댐퍼(200);
    회동축(310)을 통해 상기 제2급기하우징(210) 내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원형상의 패널(320)을 구성한 개폐밸브(300);
    화재 발생 여부에 따라 개폐밸브(300)를 회동시키도록 상기 제2댐퍼(200)에 설치되어 제2급기홀(211)과 제2배기홀(221)을 동시에 개폐제어하는 스텝모터(400);를 포함하되,
    상기 제1댐퍼(100) 및 제2댐퍼(200)는
    상기 제1구획판(130) 및 제2구획판(230)에 서로 마주하는 반원홀(131, 231)을 각각 포함하고,
    상기 제2댐퍼(200)에 구성된 제2급기하우징(210)의 내측 전방에는
    상기 제1구획판(130)의 조립 위치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돌부(217)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돌부(217)는
    상기 제1구획판(130)이 끼워지도록 상기 제2급기하우징(210)의 내주 양 측면에 서로 이격된 한쌍으로 구성되고,
    상기 개폐밸브(300)에 구성된 패널(320)은
    상기 패널(320)의 회동 시 상기 가이드돌부(217)에 의한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절곡부(32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일체형 이중관 급배기 댐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댐퍼(100)의 제1급기하우징(110) 및 제1배기하우징(120)에는 이중관(3)과 연결설치되도록 하는 결합부(115, 125)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일체형 이중관 급배기 댐퍼.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획판(130)은 제1급기하우징(110)의 내부를 상, 하로 이등분하여 구분하도록 제1급기하우징(100)의 중심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2급기홀(111, 211)을 통과하는 급기공기와 제1, 2배기홀(121, 221)을 통과하는 배기공기가 혼합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도록 제1구획판(130)이 제1댐퍼(100)의 후방으로 돌출형성됨으로써,
    상기 제1구획판(130)이 제2댐퍼(200)의 제2급기하우징(210)에 결합되는 개폐밸브(300)의 회동축(310)에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일체형 이중관 급배기 댐퍼.
  5.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댐퍼(200)의 제2급기하우징(210) 내부 전방에는 제2급기홀(211)과 제2배기홀(221)이 서로 연통되도록 하는 설치홀(215)이 더 포함되어 구성되고,
    상기 설치홀(215)에는 개폐밸브(300)의 회동축(310)이 제2구획판(230)에 밀착된 상태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1댐퍼(100)의 제1구획판(130)이 제2급기하우징(210)의 제1설치홀(215)로 삽입되어 개폐밸브(300)의 회동축(310)에 밀착됨으로써, 제1, 2플랜지(113, 213)를 이용한 제1, 2댐퍼(100, 200)의 조립시 제2급기홀(211)과 제2배기홀(221)의 구획이 이루어지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일체형 이중관 급배기 댐퍼.
  6. 삭제
KR1020180073078A 2018-06-26 2018-06-26 밸브 일체형 이중관 급배기 댐퍼 KR1020619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3078A KR102061972B1 (ko) 2018-06-26 2018-06-26 밸브 일체형 이중관 급배기 댐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3078A KR102061972B1 (ko) 2018-06-26 2018-06-26 밸브 일체형 이중관 급배기 댐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1972B1 true KR102061972B1 (ko) 2020-01-02

Family

ID=69154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3078A KR102061972B1 (ko) 2018-06-26 2018-06-26 밸브 일체형 이중관 급배기 댐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197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76880A (ja) * 2001-03-16 2002-09-25 Ichimon Kiko Kk 二重管と二管路管との継手管、二重管用ベントキャップ及び二重管用防火ダンパー付きベントキャップ
JP2003166747A (ja) * 2001-11-29 2003-06-13 Dairitsu:Kk 二重ダクト用ダンパー装置及びダンパー組立体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76880A (ja) * 2001-03-16 2002-09-25 Ichimon Kiko Kk 二重管と二管路管との継手管、二重管用ベントキャップ及び二重管用防火ダンパー付きベントキャップ
JP2003166747A (ja) * 2001-11-29 2003-06-13 Dairitsu:Kk 二重ダクト用ダンパー装置及びダンパー組立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6570B1 (ko) 기상정보를 연동한 공기청정형 환기시스템
KR100826688B1 (ko) 실내 공기순환 제어구조를 갖는 환기장치
KR101628317B1 (ko) 열회수형환기장치
KR102055298B1 (ko) 화장실 및 욕실 배기를 이용한 공기 순환 시스템
CN105042706A (zh) 吸顶嵌入式集成空调
KR101681870B1 (ko) 환기장치
KR102075130B1 (ko) 신속 배연기능을 구비한 열회수형 환기장치
CN204757169U (zh) 吸顶嵌入式集成空调
WO2019184506A1 (zh) 室外接管结构及具有其的空调室内机
CN113357801B (zh) 进风结构、新风装置及空调
KR102061972B1 (ko) 밸브 일체형 이중관 급배기 댐퍼
KR102093936B1 (ko) 벽면설치가 가능한 열회수형 환기장치
KR100533413B1 (ko) 주택 내부 환기 시스템
KR100965814B1 (ko) 이중관을 이용한 환기장치
KR101843856B1 (ko) 환기시스템의 바이패스장치
KR20160049185A (ko) 힌지형 전동댐퍼
KR101167864B1 (ko) 실내공기 순환용 급배기 장치
KR101882629B1 (ko) 환기장치용 슬리브 어셈블리 및 그 설치방법
KR20000030555A (ko) 공기의 흡배출에 의한 공기정화 환풍기
KR101443631B1 (ko) 덕트형 공기조화기
KR101900489B1 (ko) 공조시스템 및 공조방법
KR101507794B1 (ko) 덕트형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KR101737305B1 (ko) 환기시스템의 바이패스장치
KR20160087407A (ko) 환기시스템의 바이패스장치
WO2020037756A1 (zh) 新风组件及空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