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5814B1 - 이중관을 이용한 환기장치 - Google Patents

이중관을 이용한 환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5814B1
KR100965814B1 KR1020080052508A KR20080052508A KR100965814B1 KR 100965814 B1 KR100965814 B1 KR 100965814B1 KR 1020080052508 A KR1020080052508 A KR 1020080052508A KR 20080052508 A KR20080052508 A KR 20080052508A KR 100965814 B1 KR100965814 B1 KR 1009658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air supply
case
air
connection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25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26430A (ko
Inventor
조진표
분이치로 마스다
Original Assignee
한국이찌몽(주)
(주)디모스텍
조진표
분이치로 마스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이찌몽(주), (주)디모스텍, 조진표, 분이치로 마스다 filed Critical 한국이찌몽(주)
Priority to KR10200800525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5814B1/ko
Publication of KR200901264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64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58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58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08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separate ducts for supplied and exhausted air with provisions for reversal of the input and output systems

Abstract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실외공기가 급기되는 급기덕트와 연결되는 급기 연결부와, 실내공기가 배기되는 배기덕트와 연결되는 배기 연결부와, 실내의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유로와, 실내로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유로가 측부에 형성되며, 내부 중앙에 지지판이 형성되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의 지지판에 관통 설치되며, 양 단부에 회전축이 구비되는 양축모터와, 상기 양축모터의 일 회전축에 설치되는 급기팬과, 상기 양축모터의 타 회전축에 설치되는 배기팬을 포함하는 환풍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는 상기 흡입유로와 상기 배기팬 사이에 구비되는 제 1 통풍로와, 상기 배기팬과 상기 배기 연결부 사이에 구비되는 제 2 통풍로와, 상기 급기 연결부와 상기 급기팬 사이에 구비되는 제 3 통풍로와, 상기 급기팬과 상기 토출유로 사이에 구비되는 제 4 통풍로를 포함하고, 상기 배기 연결부가 상기 급기 연결부에 삽입 위치되고, 상기 배기 연결부의 단부가 상기 급기 연결부보다 상기 케이스 내부에 위치되며,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는 상기 급기 연결부의 단부가 위치되도록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의 제 2 통풍로에서 상기 배기 연결부의 단부와 대향되는 위치에는 배기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급기 연결부의 단부에는 상기 통공의 내주연이 삽입 위치되도록 제 1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배기 연결부의 단부에는 상기 배기관통공의 내주연이 삽입 위치되도록 제 2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관을 이용한 환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중관을 이용한 환기장치는 실내로 급기가 이루어지는 토출 유로와 실외로 배기가 이루어지는 흡입유로를 하나의 이중관으로 구성하도록 하여, 천장 내부의 배관공사가 간편해지도록 하며, 케이스에 이중관이 위치될 때, 용접 없이 조립식으로 수밀하게 밀착 위치되도록 하여, 시공이 간편해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중관, 환기, 케이스, 급기, 배기

Description

이중관을 이용한 환기장치{VENTILATION APPARATUS USING DOUBLE PIPE}
본 발명은 이중관을 이용한 환기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실내로 급기가 이루어지는 토출유로와 실외로 배기가 이루어지는 흡입유로를 하나의 이중관으로 구성하도록 한 이중관을 이용한 환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건물들이 고층화, 대형화되고, 외관을 중시하게 되면서, 창문 구조가 환경오염이나 안전성을 이유로 밀폐형으로 변화되게 되고, 이에 따라, 건물 외벽의 창문을 통한 환기가 어려운 구조로 바뀌어 가는 대신, 건물의 천정 등에 환기장치를 설치하고, 이 환기장치를 통해 건물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기하거나,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건물 내부로 급기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환기장치는 건물의 천정 등에 배설된 환기 덕트상에 송풍팬이 설치되고, 송풍팬의 작동에 따라 급기 또는 배기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며, 덕트 내부에 공기청정필터 등이 구비되어, 급기되는 공기를 정화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온풍기 또는 냉풍기 등이 구비되어, 실내 온도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그런데 종래 환기장치는 그 특성상 급기되는 공기의 양 또는, 배기되는 공기의 양만큼의 공기가 실내로 유입되거나 유출되어야 하나, 실내가 밀폐된 공간이다 보니, 공기의 유동이 자연스럽지 못하여, 급기 또는 배기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고자, 실내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유로와 실내로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유로를 이중관으로 제작하여 토출유로로 급기가 이뤄지고 흡입유로로 배기가 이뤄지도록 함으로써, 밀폐된 실내로 급기 또는 배기되는 양만큼의 공기를 흡입시키거나 토출시키도록 한 이중관을 구비하는 환기장치가 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종래 이중관을 구비하는 환기장치는 이중관을 커버하는 케이스에 이중관이 위치될 때, 케이스와 이중관을 상호 용접시켜서 고정 위치되도록 하는바, 그 제조과정이 복잡하여 제조단가를 증가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의 목적은 케이스에 이중관이 위치될 때, 용접 없이 조립식으로 수밀하게 밀착 위치되도록 하여, 제조과정이 간편해지도록 한 이중관을 이용한 환기장치를 제공하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실외공기가 급기되는 급기덕트와 연결되는 급기 연결부와, 실내공기가 배기되는 배기덕트와 연결되는 배기 연결부와, 실내의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유로와, 실내로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유로가 측부에 형성되며, 내부 중앙에 지지판이 형성되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의 지지판에 관통 설치되며, 양 단부에 회전축이 구비되는 양축모터와, 상기 양축모터의 일 회전축에 설치되는 급기팬과, 상기 양축모터의 타 회전축에 설치되는 배기팬을 포함하는 환풍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는 상기 흡입유로와 상기 배기팬 사이에 구비되는 제 1 통풍로와, 상기 배기팬과 상기 배기 연결부 사이에 구비되는 제 2 통풍로와, 상기 급기 연결부와 상기 급기팬 사이에 구비되는 제 3 통풍로와, 상기 급기팬과 상기 토출유로 사이에 구비되는 제 4 통풍로를 포함하고, 상기 배기 연결부가 상기 급기 연결부에 삽입 위치되고, 상기 배기 연결부의 단부가 상기 급기 연결부보다 상기 케이스 내부에 위치되며,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는 상기 급기 연결부의 단부가 위치되도록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의 제 2 통풍로에서 상 기 배기 연결부의 단부와 대향되는 위치에는 배기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급기 연결부의 단부에는 상기 통공의 내주연이 삽입 위치되도록 제 1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배기 연결부의 단부에는 상기 배기관통공의 내주연이 삽입 위치되도록 제 2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관을 이용한 환기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1 가이드홈 및 상기 제 2 가이드홈 저면에는 오링이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관을 이용한 환기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토출유로는 유체가 유동되는 관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관을 이용한 환기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토출유로는 상기 제 4 통풍로와 연결되도록 중공부를 갖는 토출가이드부와, 상기 토출가이드부의 일면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토출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관을 이용한 환기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중관을 이용한 환기장치는 실내로 급기가 이루어지는 토출유로와 실외로 배기가 이루어지는 흡입유로를 하나의 이중관으로 구성하도록 하여, 천장 내부의 배관공사가 간편해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중관을 이용한 환기장치는 케이스에 이중관이 위치될 때, 용접 없이 조립식으로 수밀하게 밀착 위치되도록 하여, 제조과정이 간편해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중관을 이용한 환기장치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중관을 이용한 환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중관을 이용한 환기장치는 깨끗하게 정화한 공기를 실내로 들여보내고, 실내의 오염된 공기는 빼내거나 순환시키기 위한 공기 조화를 목적으로 천정 등에 설치되는 케이스(10)와, 공기가 순환되도록 하는 환풍부재(40)를 포함한다.
그리고 케이스(10)는 제 1 케이스(11) 및 제 2 케이스(12)로 구성되며, 제 1 케이스(11) 및 제 2 케이스(12)가 상호 결합되면서 내부가 빈 중공부를 갖는 사각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케이스(10)의 측부에는 실외공기가 급기되는 급기덕트(미도시)와 연결되는 급기 연결부(29) 및 실내공기가 배기되는 배기덕트(미도시)와 연결되는 배기 연결부(31: 도 2 도시)를 포함하는 이중관(28: 도 2 도시)과, 실내의 공기가 흡입되는 관 형상의 흡입유로(26)와, 실내로 공기가 토출되도록 유체가 유동되는 관 형상의 토출유로(27)가 구비된다. 여기서 흡입유로(26) 또는 토출유로(27)는 하나 또는 그 이상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급기덕트 및 상기 배기덕트는 급기 연결부(29) 및 배기 연결부(31)에 구비될 수도,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상기 급기덕트 및 상기 배기덕트가 구비되지 않는 경우에는 급기 연결부(29) 및 배기 연결부(31)가 실외에 위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환풍부재(40)는 송풍력을 이용하여 흡입유로(26)에서 흡입되는 실내 공기가 배기덕트를 통하여 실외로 배기되도록 하고, 급기 연결부(29)에서 급기되는 실외 공기가 토출유로(27)를 통하여 실내로 토출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케이스(10)의 내부에 위치되며, 하기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제 1 케이스(11)의 상면에는 케이스(10)의 내부에 위치되는 환풍부재(40)의 청소를 용이하게 하도록 개폐부(14)가 구비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중관을 이용한 환기장치를 분해 도시한 분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중관을 이용한 환기장치를 절개 도시한 절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중관을 이용한 환기장치는 케이스(10) 및 환풍부재(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케이스(10)는 내부 중앙에 지지판(15)이 형성되어, 지지판(15)을 중심으로 상부 공간과 하부 공간으로 구획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판(15)의 중앙에는 관통공(17)이 천공되어 후술하는 환풍부재(40)의 양축모터(42)가 위치되도록 구성된다.
케이스(10)의 측부에는 토출유로(27), 흡입유로(26) 및 이중관(28)이 위치된다. 이를 위하여 제 1 케이스(11) 또는 제 2 케이스(12)의 좌측부(20), 전측부(22) 및 우측부(24)에 제 1, 2, 3 통공(21, 23, 25)이 천공되는바, 좌측부(20)의 제 1 통공(21)에 토출유로(27)가 위치되고, 전측부(22)의 제 2 통공(23)에 흡입유로(26)가 위치되며, 우측부(24)의 제 3 통공(25)에 이중관(28)이 위치된다.
이중관(28)은 실외공기가 급기되는 급기 연결부(29)와, 실내공기가 배기되는 배기 연결부(31)를 포함하며, 급기 연결부(29)가 배기 연결부(31)에 삽입 되도록 급기 연결부(29)의 반경이 배기 연결부(31)보다 크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배기 연결부(31)의 단부가 급기 연결부(29)보다 케이스(10) 내부에 위치되며, 이때, 급기 연결부(29)의 단부가 제 3 통공(25)에 위치되고, 배기 연결부(31)의 단부는 케이스(10)의 내부에 형성되는 후술하는 배기관통공(13)에 위치된다.
환풍부재(40)는 케이스(10)의 지지판(15)의 관통공(17)에 관통 설치되며 양 단부에 회전축이 형성되는 양축모터(42)와, 상기 양축모터(42)의 상단 회전축(43)에 설치되는 배기팬(45)과, 상기 양축모터(42)의 하단 회전축(44)에 설치되는 급기팬(4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배기팬(45) 또는 급기팬(46)에는 냉방 또는 난방을 위한 열교환기(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케이스(10)의 내부에는 각각 칸막이가 형성되면서 4 개의 통풍로가 구비되는데, 상세하게는 흡입유로(26)와 배기팬(45) 사이에 구비되는 제 1 통풍로(34)와, 배기팬(45)과 배기 연결부(31) 사이에 구비되는 제 2 통풍로(35)와, 급기 연결부(29)와 급기팬(46) 사이에 구비되는 제 3 통풍로(36)와, 급기팬(46)과 토출유로(27) 사이에 구비되는 제 4 통풍로(37)가 케이스(10)의 내부에 구비된다. 그리고 제 2 통풍로(35)에서 배기 연결부(31)의 단부와 대향되는 위치에는 배기관통공(13)이 형성되어, 배기관통공(13)에 배기 연결부(31)가 위치된다.
그리고 양축모터(42)의 상단 회전축(43)의 회전에 의하여 배기팬(45)이 작동될 때, 흡입유로에서 흡입되는 실내공기가 송풍력에 의하여 제 1 통풍로(34)를 통 하여 배기팬(45)으로 이동되고, 이렇게 이동된 실내공기는 제 2 통풍로(35)를 통하여 배기 연결부(31)로 이동되어 실외로 배기된다. 그리고 양축모터(42)의 하단 회전축(44)의 회전에 의하여 급기팬(46)이 작동될 때, 급기 연결부(29)에서 급기된 실외 공기가 송풍력에 의하여 제 3 통풍로(36)를 통하여 급기팬(46)으로 이동되고, 이렇게 이동된 실외공기는 제 4 통풍로(37) 및 토출유로(27)를 통하여 실내로 토출된다.
한편, 급기 연결부(29) 및 배기 연결부(31)는 하나의 이중관(28)으로 형성되는바, 케이스(10)와 수밀하게 밀착 위치되지 않으면, 실외에서 실내로 급기되는 공기와 실내에서 실외로 배기되는 공기가 혼합될 우려가 있으므로, 제 3 통공(25)과 급기 연결부(29) 및 배기관통공(13)과 배기 연결부(31)를 용접하여 상호 긴밀하게 위치시킬 수 있으나, 이렇게 하게 되면, 제조과정에서 따로 용접 작업을 해야되는바, 제조 비용 및 기간을 늘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제 3 통공(25)과 급기 연결부(29) 및 배기관통공(13)과 배기 연결부(31)가 용접 작업 없이 조립식으로 수밀하게 밀착 결합되도록 하기 위하여, 급기 연결부(29)의 외주연 단부에 제 1 가이드홈(30)이 형성되도록 하고, 배기 연결부(31)의 외주연 단부에 제 2 가이드홈(32)이 형성되도록 한다. 그리고 이렇게 형성된 제 1 가이드홈(30)이 제 3 통공(25)에 위치되도록 하고, 제 2 가이드홈(32)이 배기관통공(13)에 위치되도록 하며, 이들이 상호 수밀하게 밀착되도록 제 1 가이드홈(30) 및 제 2 가이드홈(32)의 저면에 고무 재질의 오링(O-Ring)(33)이 끼워지도록 한다.
이처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중관을 이용한 환기장치는 케이스(10)에 이중관(28)이 위치될 때, 용접 없이 조립식으로 수밀하게 밀착 위치되도록 하여, 제조과정이 간편해지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중관을 이용한 환기장치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중관을 이용한 환기장치에서 공기가 순환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중관을 이용한 환기장치에서 공기가 순환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중관을 이용한 환기장치는 혼탁한 실내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하여 실내 천정 등에 설치되며, 미리 매설된 급기덕트 및 배기덕트에 케이스(10)의 급기 연결부(29) 및 배기 연결부(31)가 연결되도록 하고, 상기 급기덕트 및 상기 배기덕트가 구비되지 않을 경우, 급기 연결부(29) 및 배기 연결부(31)의 단부가 실외를 향하도록 한다.
그리고 환풍부재(40)의 급기팬(46)을 작동시켜서 급기 연결부(29)에서 급기되는 실외 공기가 케이스(10)의 제 3 통풍로(36) 및 제 4 통풍로(37)를 통하여 실내로 급기되도록 한다. 그리고 환풍부재(40)의 배기팬(45)을 작동시켜서 흡입유로(26)에서 흡입되는 실내공기가 케이스(10)의 제 1 통풍로(34), 제 2 통풍로(35) 및 배기 연결부(31)를 통해 실외로 배기되도록 한다
이처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중관을 이용한 환기장치는 실외로 배기가 이루어지는 배기 연결부(31)와 실내로 급기가 이루어지는 급기 연결부(29)를 하나의 이중관(28)으로 구성하도록 하여, 천장 내부의 배관공사가 간편해지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하나의 앙축모터로 배기팬(45)과 급기팬(46)을 작동시키도록 구성되므로, 보수 점검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케이스(10)에 이중관(28)이 위치될 때, 용접 없이 조립식으로 수밀하게 밀착 위치되도록 하므로, 시공이 간편해지는 장점이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이중관을 이용한 환기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이중관을 이용한 환기장치는 상기 제 1 실시예의 이중관을 이용한 환기장치에서 케이스(10)의 좌측부(20)의 제 1 통공(21: 도 2 도시)에 위치되는 토출유로(27: 도 2 도시)가 제 2 케이스(12)의 하측부(38)에 위치되는 토출유로(39)로 구성된다.
토출유로(39)는 제 2 통풍로(35)와 연결되도록 중공부(39b)를 갖는 토출가이드부(39a)와, 토출가이드부(39a)의 일면에 형성되는 다수 개의 토출공(39c)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토출공(39c)은 실내에 위치되어, 제 4 통풍로(37)를 통하여 급기되는 실외의 신선한 공기가 토출공(39c)을 통하여 실내로 토출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케이스(10)의 하측부(38)에서 제 4 통풍로(37)와 대응되는 위치에는 제 1 통공(21a)이 형성되어, 제 4 통풍로(37)의 신선한 공기가 제 1 통공(21a)을 통하여 토출유로(39)로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이중관을 이용한 환기장치는 급기팬(46)을 작동시켜서 급기 연결부(29)에서 급기되는 실외 공기가 케이스(10)의 제 3 통풍로(36), 제 4 통풍로(37) 및 토출유로(39)를 통하여 실내로 급기되도록 한다. 그리고 환풍부재(40)의 배기팬(45)을 작동시켜서 흡입유로(26)에서 흡입되는 실내공기는 케이스(10)의 제 1 통풍로(34), 제 2 통풍로(35) 및 배기 연결부(31)를 통해 실외로 배기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중관을 이용한 환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중관을 이용한 환기장치를 분해 도시한 분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중관을 이용한 환기장치를 절개 도시한 절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중관을 이용한 환기장치에서 공기가 순환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중관을 이용한 환기장치에서 공기가 순환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이중관을 이용한 환기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케이스 11: 제 1 케이스
12: 제 2 케이스 13: 배기관통공
14: 개폐부 15: 지지판
17: 관통공 20: 좌측부
21, 21a: 제 1 통공 22: 전측부
23: 제 2 통공 24: 우측부
25: 제 3 통공 26: 흡입유로
27: 토출유로 28: 이중관
29: 급기 연결부 30: 제 1 가이드홈
31: 배기 연결부 32: 제 2 가이드홈
33: 오링 34: 제 1 통풍로
35: 제 2 통풍로 36: 제 3 통풍로
37: 제 4 통풍로 38: 하측부
39: 토출유로 39a: 토출가이드부
39b: 중공부 39c: 토출공
40: 환풍부재 42: 양축모터
43: 상단 회전축 44: 하단 회전축
45: 배기팬 46: 급기팬

Claims (4)

  1. 실외공기가 급기되는 급기덕트와 연결되는 급기 연결부와, 실내공기가 배기되는 배기덕트와 연결되는 배기 연결부와, 실내의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유로와, 실내로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유로가 측부에 형성되며, 내부 중앙에 지지판이 형성되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의 지지판에 관통 설치되며, 양 단부에 회전축이 구비되는 양축모터와, 상기 양축모터의 일 회전축에 설치되는 급기팬과, 상기 양축모터의 타 회전축에 설치되는 배기팬을 포함하는 환풍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는 상기 흡입유로와 상기 배기팬 사이에 구비되는 제 1 통풍로와, 상기 배기팬과 상기 배기 연결부 사이에 구비되는 제 2 통풍로와, 상기 급기 연결부와 상기 급기팬 사이에 구비되는 제 3 통풍로와, 상기 급기팬과 상기 토출유로 사이에 구비되는 제 4 통풍로를 포함하고,
    상기 배기 연결부가 상기 급기 연결부에 삽입 위치되고,
    상기 배기 연결부의 단부가 상기 급기 연결부보다 상기 케이스 내부에 위치되며,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는 상기 급기 연결부의 단부가 위치되도록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의 제 2 통풍로에서 상기 배기 연결부의 단부와 대향되는 위치에는 배기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급기 연결부의 단부에는 상기 통공의 내주연이 삽입 위치되도록 제 1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배기 연결부의 단부에는 상기 배기관통공의 내주연이 삽입 위치되도록 제 2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관을 이용한 환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이드홈 및 상기 제 2 가이드홈 저면에는 오링이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관을 이용한 환기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유로는 유체가 유동되는 관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관을 이용한 환기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유로는 상기 제 4 통풍로와 연결되도록 중공부를 갖는 토출가이드부와, 상기 토출가이드부의 일면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토출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관을 이용한 환기장치.
KR1020080052508A 2008-06-04 2008-06-04 이중관을 이용한 환기장치 KR1009658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2508A KR100965814B1 (ko) 2008-06-04 2008-06-04 이중관을 이용한 환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2508A KR100965814B1 (ko) 2008-06-04 2008-06-04 이중관을 이용한 환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6430A KR20090126430A (ko) 2009-12-09
KR100965814B1 true KR100965814B1 (ko) 2010-06-24

Family

ID=41687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2508A KR100965814B1 (ko) 2008-06-04 2008-06-04 이중관을 이용한 환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581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3156A (ko) 2019-01-28 2020-08-05 주식회사 에코이엔지 환풍기
KR20210010596A (ko) 2021-01-13 2021-01-27 주식회사 에코이엔지 환풍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4355B1 (ko) * 2009-12-31 2012-04-09 손호달 이중관을 구비한 환기시스템
KR101031788B1 (ko) * 2010-04-30 2011-04-27 주식회사 제일테크 이중관을 이용한 급/배기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68936A (ja) 1986-05-16 1987-11-21 Matsushita Seiko Co Ltd ダンパ
JPH05280779A (ja) * 1992-03-31 1993-10-26 Daikin Ind Ltd 熱交換換気装置
KR200428326Y1 (ko) 2006-07-28 2006-10-12 김송이 다층 공동주택의 주방 환기설비용 이중관덕트의 연결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68936A (ja) 1986-05-16 1987-11-21 Matsushita Seiko Co Ltd ダンパ
JPH05280779A (ja) * 1992-03-31 1993-10-26 Daikin Ind Ltd 熱交換換気装置
KR200428326Y1 (ko) 2006-07-28 2006-10-12 김송이 다층 공동주택의 주방 환기설비용 이중관덕트의 연결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3156A (ko) 2019-01-28 2020-08-05 주식회사 에코이엔지 환풍기
KR20210010596A (ko) 2021-01-13 2021-01-27 주식회사 에코이엔지 환풍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6430A (ko) 2009-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6688B1 (ko) 실내 공기순환 제어구조를 갖는 환기장치
KR101392424B1 (ko) 환기장치
KR101628317B1 (ko) 열회수형환기장치
KR100965814B1 (ko) 이중관을 이용한 환기장치
KR101681870B1 (ko) 환기장치
KR20170129484A (ko) 욕실 환기팬을 이용한 환기시스템
JP2005003345A (ja) 換気兼熱交換装置および空調システム
KR101261322B1 (ko) 독립된 공간의 개별환기를 위한 환기제어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환기방법
KR101251221B1 (ko) 창호 환기시스템
JP2009002641A (ja) デシカント空調システム
KR100747802B1 (ko) 환기장치 및 환기장치의 제어방법
KR100950180B1 (ko) 실내 환기시스템
JP5530282B2 (ja) 換気空調システム及び建物
KR100905296B1 (ko) 일체형 급배기공급장치를 갖는 공기조화시스템
KR20210064778A (ko) 공기 조화기 및 이에 구비되는 배관 설치 장치
KR20110001753A (ko) 건물용 환기시스템
KR100700192B1 (ko) 환기장치
KR101167864B1 (ko) 실내공기 순환용 급배기 장치
KR100617104B1 (ko) 환기겸용 열교환 유닛
JPH11257724A (ja) 換気装置
KR102485951B1 (ko) 창호용 환기 시스템
KR20090005186U (ko) 환기장치
KR100532351B1 (ko) 환기장치
KR20030063868A (ko) 환기장치
KR100840374B1 (ko) 냉난방장치용 급배기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