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2424B1 - 환기장치 - Google Patents

환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2424B1
KR101392424B1 KR1020090084112A KR20090084112A KR101392424B1 KR 101392424 B1 KR101392424 B1 KR 101392424B1 KR 1020090084112 A KR1020090084112 A KR 1020090084112A KR 20090084112 A KR20090084112 A KR 20090084112A KR 101392424 B1 KR101392424 B1 KR 1013924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supply
partition
air
exhaust
out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41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26282A (ko
Inventor
황용희
김성우
윤호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841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2424B1/ko
Priority to US12/801,311 priority patent/US20110059686A1/en
Priority to CN2010102152320A priority patent/CN102012074A/zh
Publication of KR201100262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62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24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24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2/00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 F24F12/001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 F24F12/006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using an air-to-air heat exchang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08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separate ducts for supplied and exhausted air with provisions for reversal of the input and output syste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56Heat recovery units

Abstract

실외공기가 유입되는 급기구와 실내공기가 배기되는 배기구가 형성된 케이스와, 급기구와 배기구에 연통되는 급배기덕트와, 급배기덕트의 내부에 삽입되며 급배기덕트를 급기구와 연통되는 급기영역과 배기구와 연통되는 배기영역으로 분할하며 급배기덕트에 삽입 시 급배기덕트의 양단 외측으로 일정 부분 돌출 벤딩되는 돌출부를 갖는 파티션을 구비하는 환기장치를 개시한다. 이러한 환기장치는 급배기덕트에 파티션의 삽입 시 파티션에 형성된 벤딩된 돌출부에 의해 급배기덕트의 내부에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으며, 실내공기와 실외공기가 혼합되지 않도록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환기장치{VENTILATOR}
본 발명은 실내공기와 실외공기를 전열 교환하면서 환기를 행하는 환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환기장치는 실내공기를 실외로 배출하고 신선한 실외공기를 실내로 흡입하여 실내를 환기시키되, 흡입되는 실외공기를 배출되는 실내공기와 열교환시킴으로써 실외공기의 유입에 따른 실내 온도의 변화 폭을 줄일 수 있는 장치이다.
이러한 환기장치는 흡입되는 실내공기와 흡입되는 실외공기가 서로 섞이지 않도록 내부공간이 구획된 케이스와, 흡입된 실내공기와 실외공기가 상호 열교환 할 수 있도록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전열교환소자와, 공기를 강제 송풍시키기 위해 케이스에 설치되는 복수의 송풍유닛을 포함한다.
복수의 송풍유닛이 작동하면 실내공기가 케이스 내부의 전열교환소자를 통과하여 실외로 배출되고, 실외공기가 전열교환소자를 통과하면서 실내공기와 열교환 한 후 실내로 배출된다.
이렇게 실내로 흡입되는 실외공기가 전열교환소자를 통과하면서 실내공기와 열교환하기 때문에, 실외공기가 직접 실내로 공급될 때에 비해 실내의 온도 변화 폭을 줄일 수 있고 냉난방 비용을 줄일 수 있다.
한편, 환기장치는 하나의 급배기덕트를 이용하여 실외의 공기를 케이스의 내부로 흡입하거나 흡입된 실내의 공기를 실외로 배출시킬 수 있다.
이때, 급배기덕트는 이 급배기덕트의 내부로 삽입되는 파티션으로 인해 실외공기가 흡입되는 급기영역과 실내공기가 배기되는 배기영역으로 분할된다. 이러한 급배기덕트는 파티션이 급기영역과 배기영역을 정확히 분할할 수 있도록 설치하여 실외공기와 실내공기가 혼합되어 발생되는 에너지효율 저하를 방지해야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급배기덕트의 삽입되는 파티션을 개선한 환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급배기덕트의 내부에서 실외공기와 실내공기가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는 환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기장치는 실외공기가 유입되는 급기구와 실내공기가 배기되는 배기구가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급기구와 상기 배기구에 연통되는 급배기덕트와, 상기 급배기덕트의 내부에 삽입되며, 상기 급배기덕트를 상기 급기구와 연통되는 급기영역과 상기 배기구와 연통되는 배기영역으로 분할하는 파티션을 포함하며,
상기 파티션은 상기 급배기덕트의 적어도 일측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급배기덕트의 양단 외측으로 각각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상기 파티션의 외면은 발포부재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급배기덕트는 상기 급기구와 상기 배기구가 그 일단에 모두 연통될 수 있게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급배기덕트에는 상기 급기구와 상기 배기구가 연통되는 반대편에 후드캡이 연결되며,
상기 후드캡에는 상기 급배기덕트의 급기영역과 연통되는 후드캡의 급기영역 과 상기 급배기덕트의 배기영역과 연통되는 후드캡의 배기영역으로 분할되는 후드캡 파티션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파티션의 각 돌출부 중 하나는 상기 급기구의 내면과 상기 배기구의 내면 중 적어도 하나와 접촉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후드캡 파티션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파티션의 각 돌출부는 벤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포부재는 상기 급기구와 상기 후드캡 파티션에 접촉되는 상기 파티션의 적어도 일면에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파티션의 각 돌출부 중 하나는 상기 급기구와 상기 배기구의 사이에 형성되는 제1홈에 삽입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후드캡의 파티션에 형성된 제2홈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스에는 실내공기가 유입되는 실내 급기구와, 실외공기가 배기되는 실내 배기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급기구를 통해 유입된 실외공기를 실내로 안내하는 급기유닛과, 상기 실내 급기구를 통해 유입된 실내공기를 실외로 안내하는 배기유닛과, 상기 급기유닛과 상기 배기유닛으로 인해 안내되는 실외공기와 실내공기를 전열 교환시키는 전열교환소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기장치는 실외공기가 유입되는 실외 급기구와 실내공기가 유입되는 실내 급기구와 실내공기가 배기되는 실내 배기구와 실외공기가 배기되는 실외 배기구가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실외 급기구를 통해 유입된 실외공 기를 상기 실내 배기구로 안내하는 급기유닛과, 상기 실내 급기구를 통해 유입된 실내공기를 상기 실외 배기구로 안내하는 배기유닛과, 상기 급기유닛과 상기 배기유닛으로 인해 안내되는 실외공기와 실내공기를 전열 교환시키는 전열교환소자와, 상기 실외 급기구와 상기 실외 배기구에 연통되는 급배기덕트와, 상기 급배기덕트의 내부에 삽입되며, 상기 급배기덕트의 내부를 상기 실외 급기구와 연통되는 급기영역과 상기 실외 배기구와 연통되는 배기영역으로 분할하는 파티션과, 상기 급배기덕트의 급기영역과 배기영역에 연통되도록 상기 급배기덕트와 연결되는 후드캡을 포함하며,
상기 파티션은 상기 급배기덕트에 삽입 시 상기 급배기덕트의 양단 외측으로 각각 돌출되어 상기 실외 급기구와 상기 후드캡에 각각 접촉되도록 벤딩되는 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파티션의 외면에는 발포부재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기장치는 실외공기가 유입되는 실외 급기구와 실내공기가 배기되는 실외 배기구가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실외 급기구와 상기 실외 배기구에 연통되며, 내부에 삽입되는 제1파티션에 의해 상기 실외 급기구와 연통되는 제1급기영역과 상기 실외 배기구와 연통되는 제1배기영역으로 분할된 급배기덕트와, 상기 급배기덕트에 연결되어 실외에 배치되며, 제2파티션에 의해 상기 제1급기영역과 연통되는 제2급기영역과 상기 제1배기영역과 연통되는 제2배기영역으로 분할되는 후드캡을 포함하며,
상기 제1파티션은 상기 급배기덕트의 양 단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실외 급 기구 및 상기 제2파티션과 접촉되는 돌출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파티션의 각 돌출부는 벤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파티션의 각 돌출부는 상기 실외 급기구의 내면 및 상기 제2파티션의 하면에 각각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파티션의 외면에는 발포부재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포부재는 상기 실외 급기구와 상기 제2파티션에 접촉되는 상기 제1파티션의 적어도 일면에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환기장치는 급배기덕트의 양 단 외측으로 돌출되는 파티션으로 인해 급배기덕트의 내부로 파티션의 삽입 시 급기영역과 배기영역을 정확히 분할 할 수 있게 된다.
또, 환기장치는 파티션에 발포부재가 부착되고 파티션의 돌출부가 벤딩되게 형성됨으로써, 급배기덕트의 내부에서 실외공기 및 실내공기가 상호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여 환기장치의 에너지효율이 저하되는 막을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기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환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환기장치의 전면을 개방하여 내부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환기장치의 전면을 개방하여 내부 구성을 보인 전면도이고, 도 4는 환기장치의 후방을 모습을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기장치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10) 와, 케이스(10)의 내부에 마련되어 실외공기를 실내로 안내하는 급기유닛(40)과, 실내공기를 실외로 안내하는 배기유닛(50)과, 케이스(10)의 내부로 유입되는 실내공기와 실외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전열교환소자(30)를 포함한다.
케이스(10)에는 실내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실내 급기구(11)와, 실외공기를 실내로 배출하기 위한 실내 배기구(13)가 형성된다. 이때, 실내 급기구(11)는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0)의 양 측면 하부에 형성되며, 실내 배기구(13)는 케이스(10)의 상면 전방에 분할되어 형성된다.
또, 케이스(10)에는 실외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실외 급기구(15)와, 실내공기를 실외로 배출하기 위한 실외 배기구(17)가 형성된다. 실외 급기구(15)와 실외 배기구(17)는 케이스(10)의 후면에 형성되어 후술할 급배기덕트(60)에 의해 연통된다.
급배기덕트(60)에 연통되는 실외 급기구(15)와 실외 배기구(17)는 급배기덕트(60)의 직경의 범위 내에서 마련된다. 여기서, 실외 급기구(15)와 실외 배기구(17)가 급배기덕트(60)의 직경의 범위 내에서 마련되는 것은 실외 급기구(15)와 실외 배기구(17)가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급배기덕트(60)에 의해 연통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 케이스(10)의 내부에서 전열교환소자(30)의 후방에는 실외 급기구(15)를 통해 흡입되는 실외공기가 전열교환소자(30)에 도달할 수 있도록 실내 급기덕트(21)가 마련된다. 이러한 실내 급기덕트(21)를 통해 흡입되는 실외공기는 전열교환소자(30)를 통과하여 급기유닛(40)에 의해 실내로 배출된다.
예를 들면, 실내 급기덕트(21)를 통해 흡입되는 실외공기는 케이스(10)의 우측에 설치된 전열교환소자(30a)를 통과할 경우 우측 전열교환소자(30a)의 우상변에 의해 구획된 공간(S1)을 통해 유입되어 급기유닛(40)이 설치된 전열교환소자(30a)의 좌하변에 의해 구획된 공간(S3)으로 유출된다.
또, 실내 급기덕트(21)를 통해 흡입되는 실외공기는 케이스(10)의 좌측에 설치된 전열교환소자(30b)를 통과할 경우 좌측 전열교환소자(30b)의 좌상변에 의해 구획된 공간(S1)을 통해 유입되어 급기유닛(40)이 설치된 전열교환소자(30b)의 우하변에 의해 구획된 공간(S3)으로 유출된다.
이를 위해 실내 급기덕트(21)는 각 전열교환소자(30a,30b)의 우상변 또는 좌상변에 의해 구획된 공간(S1)과 연통되어 실외공기가 구획된 공간(S1)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구조를 갖는다.
급기유닛(40)은 실외 급기구(15)를 통해 흡입되어 전열교환소자(30a,30b)에서 전열 교환된 실외공기를 실내로 유입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급기유닛(40)은 케이스(10)의 중앙에서 전방 하부에 배치되는 급기 팬케이스(41)와, 급기 팬케이스(41)의 내부에 마려된 급기팬(43)과, 급기팬(43)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모터(미도시)를 포함한다.
여기서, 급기 팬케이스(41)는 급기팬(43)의 동작 시 전열 교환되어 각 전열교환소자(30a,30b)의 좌하변 또는 우하변에 의해 구획된 공간(S3)으로 유출된 실외공기가 이 급기 팬케이스(41)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유입구와,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실외공기를 상면으로 유출시키는 유출구를 갖는다.
급기 팬케이스(41)의 유출구는 실내 배기덕트(23)와 연결되는데, 이러한 실내 배기덕트(23)는 케이스(10)의 상면 전방에 분할되어 형성된 실내 배기구(13)와 연통된다. 즉, 실내 배기덕트(23)는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0)의 상면 전방에 각각 분할된 실내 배기구(13)와 연통될 수 있도록, 상측으로 갈수록 외측으로 경사진 부채꼴형상으로 마련된다.
배기유닛(50)은 실내 급기구(11)를 통해 흡입되어 각 전열교환소자(30a,30b)에서 전열 교환된 실내공기를 실외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배기유닛(50)은 케이스(10)의 중앙에서 후방 상부에 배치되는 배기 팬케이스(51)와, 배기 팬케이스(51)의 내부에 마려된 배기팬(53)과, 배기팬(53)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모터(미도시)를 포함한다.
배기 팬케이스(51)는 배기팬(53)의 동작 시 각 전열교환소자(30a,30b)의 좌상변 또는 우상변에 의해 구획된 공간(S4)으로 유출되는 실내공기가 이 배기 팬케이스(51)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유입구와,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실내공기를 후면으로 유출시키는 유출구를 갖는다. 이때의 배기 팬케이스(51)의 유출구는 케이스(10)의 후면에 연결되는 급배기덕트(60)와 연통된다.
즉, 실내공기는 배기팬(53)의 동작 시 실내 급기구(11)를 통해 케이스(10)의 각 전열교환소자(30a,30b)의 우하변 또는 좌하변에 의해 구획된 공간(S2)로 유입되어 배기유닛(50)이 설치된 전열교환소자(30a,30b)의 좌상변 또는 우상변에 의해 구획된 공간(S4)로 유출된다.
케이스(10) 내부의 우측 하단에는 콘트롤박스(37)가 설치된다. 이러한 콘트 롤박스(37)는 환기장치의 운전조건을 제어한다. 즉, 콘트롤박스(37)는 전원을 단속하여 환기장치를 온/오프시키고 급기팬(43)과 배기팬(53)의 회전수를 제어하여 풍량을 조절한다.
전열교환소자(30)는 스페이서와 라이너가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때, 각각의 스페이서와 라이너에는 급기와 배기를 위한 다수의 유로가 형성되는데, 이러한 유로들은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위치하도록 적층하여 설치된다.
즉, 전열교환소자(30)는 온도차가 있는 실내공기 및 실외공기를 서로 다른 유로로 통하게 하여 전열교환을 일으키도록 한다.
또, 전열교환소자(30)는 케이스(10) 내부의 하단에 장착된 브라켓(35)을 통해 케이스(10)에 지지된다. 이러한 브라켓(35)은 전열교환소자(30)의 하중을 지지하는 동시에 전열교환소자(30)의 착탈 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전열교환소자(30)의 전면에는 이 전열교환소자(30)의 착탈 시 전후방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손잡이(33)가 장착된다. 전열교환소자(30)의 외면에는 실내공기 및 실외공기가 전열교환될 때 먼지나 이물질 등을 제거하는 프리필터(31)가 착탈 가능하게 마련된다.
케이스(10)의 후방에는 실외 급기구(15)와 실외 배기구(17)를 급배기덕트(60)와 연통시키기 위하여 급배기덕트(60)가 연결되는 플랜지(25)가 장착된다. 이러한 플랜지(25)는 환형으로 형성되어 케이스(10)의 후면에 장착되는데, 플랜지(25)에 연결되는 급배기덕트(60)의 직경의 범위 내에 실외 급기구(15)와 실외 배 기구(17)가 배치될 수 있도록 충분한 직경을 갖는다.
급배기덕트(6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플랜지(25)에 연결되어 실외 급기구(15)와 실외 배기구(17)와 연통되며, 실외 급기구(15)와 실외 배기구(17)를 모두 포함하는 직경을 갖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급배기덕트(60)의 일단은 상술한 바와 같이 케이스(10)의 후면에 장착된 플랜지(25)에 연결되고, 타단은 실외에 배치되는 후드캡(70)에 연결된다. 즉, 급배기덕트(60)는 실내의 케이스(10)와 실외의 후드캡(70)을 연결할 수 있도록 실내의 벽을 관통하도록 설치된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의 환기장치는 실외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실외 급기구(15)와 실내공기를 실외로 배출하기 위한 실외 배기구(17)와 연통되는 하나의 급배기덕트(60)로 구성되기 때문에, 실내의 벽에 홀을 1개소만 천공하면 되므로 환기장치의 설치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따른 환기장치의 후방 모습을 보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환기장치의 측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환기장치의 급배기덕트의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급배기덕트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배기덕트(60)에는 이 급배기덕트(60)의 내부를 실외공기가 흡입되는 급기영역(61)과 실내공기가 배기되는 배기영역(63)으로 분할하는 파티션(65)이 삽입된다.
이러한 파티션(65)은 그 단면이 플랫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두께가 얇은 패널 로 이루어진다. 파티션(65)에는 급배기덕트(60)의 적어도 일측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마련된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급배기덕트(60)의 양 단 외측으로 일정 부분 돌출되는 돌출부(66a,66b)가 각각 마련된다.
상기와 같이 급배기덕트(60)의 양 단 외측으로 일정 부분 돌출되는 파티션(65)의 돌출부(66a,66b) 중 하나의 돌출부(66a)는 케이스(10)에 형성된 실외 급기구(15)와 실외 배기구(17) 중 적어도 하나에 접촉된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파티션(65)의 돌출부(66a)는 실외 급기구에 접촉된다. 또, 다른 하나의 돌출부(66b)는 후드캡(70)의 급기영역(71)과 배기영역(73)을 분할하는 후드캡(70)의 파티션(75)에 접촉된다.
따라서, 상기의 급배기덕트(60)는 파티션(65)의 각 돌출부(66a,66b)가 케이스(10)에 형성된 실외 급기구(15)와 후드캡(70)의 파티션(75)에 접촉됨에 따라 파티션(65)이 급배기덕트(60)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급배기덕트(60)의 급기영역(61)과 배기영역(63)을 분할하는 정확한 위치에 삽입될 수 있다.
파티션(65)의 외면에는 발포부재(67)가 부착된다. 발포부재(67)가 부착된 파티션(65)의 각 돌출부(66a,66b)는 파티션(65)과 실외 급기구(15)의 내면의 사이 및 파티션(65)과 후드캡(70)의 파티션(75)의 하면의 사이에서 실외공기 및 실내공기가 누설되는 것을 더욱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발포부재(67)는 실외 급기구(15) 및 후드캡(70)의 파티션(75)과 접촉되는 파티션(65)의 적어도 일면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급배기덕트(60)를 급기영역(61)과 배기영역(63)으로 분할하는 파티 션(65)은 급배기덕트(60)를 통해 이동되는 실외공기 및 실내공기가 누설되지 않게 하여 혼합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환기장치의 에너지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막을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이 실시예의 환기장치의 측단면도이고, 도 9는 도 8에 도시된 급배기덕트의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급배기덕트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때, 본 발명의 이 실시예는 일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배기덕트(60)에는 이 급배기덕트(60)의 내부를 실외공기가 흡입되는 급기영역(61)과 실내공기가 배기되는 배기영역(63)으로 분할하는 파티션(165)이 삽입된다.
파티션(165)에는 급배기덕트(60)의 적어도 일측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166a,166b)가 마련된다. 이러한 파티션의 파티션(165)의 각 돌출부(166a,166b)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으로 벤딩된 형상을 갖는다.
돌출부(166a,166b) 중 하나의 돌출부(166a)는 케이스(10)에 형성된 실외 급기구(15)와 실외 배기구(17) 중 적어도 하나에 접촉된다. 즉, 파티션(165)의 돌출부(166a)는 도시된 바와 같이 벤딩된 부분이 케이스(10)에 형성된 실외 급기구(15)의 내면에 직접적으로 접촉되어 파티션(165)과 실외 급기구(15)의 사이에서 실외공기와 실내공기의 누설을 방지한다.
파티션(165)의 돌출부(166b)는 벤딩된 부분이 후드캡(70)의 파티션(75)의 하 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직접적으로 접촉되어 파티션(165)과 후드캡의 파티션(75)의 사이에서 실외공기와 실내공기의 누설을 방지한다.
따라서, 벤딩된 형상을 갖는 파티션(165)의 각 돌출부(166a,166b)는 케이스(10)에 형성된 실외 급기구(15)의 내면 및 후드캡(70)의 파티션(75)의 하면과 접촉될 때 급배기덕트(60)의 급기영역(61)과 배기영역(63)을 분할하는 정확한 위치에 삽입되는 동시에 파티션(165)과 실외 급기구(15)의 사이 및 파티션(165)과 후드캡(70)의 파티션(75)의 사이에서 실외공기 및 실내공기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한다.
파티션(165)의 외면에는 발포부재(167)가 부착된다. 발포부재(167)가 부착된 파티션(165)의 각 돌출부(166a,166b)는 파티션(65)과 실외 급기구(15)의 내면의 사이 및 파티션(165)과 후드캡(70)의 파티션(75)의 하면의 사이에서 실외공기 및 실내공기가 누설되는 것을 더욱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발포부재(167)는 실외 급기구(15) 및 후드캡(70)의 파티션(75)과 접촉되는 파티션(65)의 적어도 일면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파티션(165)의 각 돌출부(166a,166b)는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측으로 벤딩된 형상을 갖을 수 있다. 이러한 파티션(165)의 돌출부(166a)는 케이스(10)에 형성된 실외 배기구(17)의 내면에 직접적으로 접촉되고, 다른 돌출부(166b)는 후드캡의 파티션(75)의 상면에 직접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삼 실시예의 환기장치의 후방 모습을 보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환기장치의 측단면도이고,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환기장치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배기덕트(60)에는 이 급배기덕트(60)의 내부를 실외공기가 흡입되는 급기영역(61)과 실내공기가 배기되는 배기영역(63)으로 분할하는 파티션(265)이 삽입된다. 이러한 파티션(265)에는 급배기덕트(60)의 적어도 일측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266a,266b)가 마련된다.
돌출부(266a,266b) 중 하나의 돌출부(266a)는 케이스(10)의 실외 급기구(15)와 실외 배기구(17)의 사이에 형성된 제1홈(16)에 삽입된다. 또, 다른 돌출부(266b)는 후드캡(70)의 급기영역(71)과 배기영역(73)을 분할하는 파티션에 형성된 제2홈(76)에 삽입된다.
따라서, 파티션(265)은 급배기덕트(60)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급배기덕트(60)의 급기영역(61)과 배기영역(63)을 분할하는 정확한 위치에 삽입될 수 있다.
파티션(265)의 외면에는 발포부재(267)가 부착된다. 발포부재(267)가 부착된 파티션(65)의 각 돌출부(266a,266b)는 실외 급기구(15)와 실외 배기구(17)의 사이 또는 파티션(265)과 후드캡(70)의 급기영역(71)과 배기영역(73)의 사이에서 실외공기 및 실내공기가 누설되는 것을 더욱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기장치의 동작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환기장치는 컨트롤박스(37)에 의해 전원이 공급되어 급기유닛(40) 및 배기유닛(50)이 동시에 작동된다.
이러한 급기유닛(40)의 구동으로 실외공기가 후드캡(70)과 급배기덕트(60)의 급기영역(61)을 경유하여 케이스(10)의 실외 급기구(15)를 통해 케이스(10)의 내부로 유입된다. 케이스(10)의 내부로 유입된 실외공기는 실내 급기덕트(21)를 통해 전열교환소자(30)에 의해 구획된 공간(S1)으로 안내되어 전열교환소자(30)를 통과한 후 급기유닛(40)의 급기 팬케이스(41)로 유입된다. 급기 팬케이스(41)로 유입된 실외공기는 실내 급기덕트(21)를 통해 케이스(10)의 상면 전방에 형성된 실내 배기구(13)에 의해 실내로 배출된다.
이와 동시에 배기유닛(50)의 구동으로 실내공기가 케이스(10)의 양 측면에 형성된 실내 급기구(11)를 통해 케이스(10)의 내부로 유입된다. 케이스(10)의 내부의 공간(S2)으로 유입된 실내공기는 전열교환소자(30)를 통과한 후 이 전열교환소자(30)에 의해 구획된 공간(S4)로 안내되어 배기유닛(50)의 배기 팬케이스(51)로 유입된다. 배기 팬케이스(51)로 유입된 실내공기는 실외 배기구(17)를 통해 급배기덕트(60)의 배기영역(63)과 후드캡(70)을 경우하여 실외로 배출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급배기덕트(60)를 경유하여 실외공기와 실내공기가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호 혼합되지 않도록 파티션(65,165,265)에 의해 급배기덕트(60)의 내부를 급기영역(61)과 배기영역(63)으로 분할하게 된다.
상기의 파티션(65,165,265)은 급배기덕트(60)의 양 단 외측으로 일정 부분 돌출된 돌출부(66a,66b,166a,166b,266a,266b)를 갖는다. 이러한 돌출부(66a,166a,266a)는 케이스(10)에 형성된 실외 급기구(15)의 내면 또는 실외 배기구(17)의 내면 또는 실외 급기구(15)와 실외 배기구(17) 사이의 제1홈(16)에 접촉된다. 또, 돌출부(66b,166b,266b)는 후드캡(70)의 파티션(75) 또는 파티션에 형성 된 제2홈(76)에 접촉된다.
이에 따라 상기의 파티션(65,165,265)은 급배기덕트(60)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급배기덕트(60)의 급기영역(61)과 배기영역(63)을 분할하는 정확한 위치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또, 상기의 파티션(65,165,265)은 그 외면에 발포부재(67,167,267)가 부착된다. 이와 더불어 파티션(165)의 돌출부(166a,166b)는 일정 부분 벤딩된 형상을 갖는다.
이에 따라 파티션(65,165,265)은 외면에 부착된 발포부재(67,167,267) 및 돌출부(166a,166b)가 벤딩된 형상으로 인해 급배기덕트(60)의 내부에서 실외공기 및 실내공기가 상호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여 환기장치의 에너지효율이 저하되는 막을 수 있게 된다.
도 1은 환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환기장치의 전면을 개방하여 내부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환기장치의 전면을 개방하여 내부 구성을 보인 전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환기장치의 후방 모습을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환기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환기장치의 급배기덕트의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급배기덕트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이 실시예의 환기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급배기덕트의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급배기덕트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삼 실시예의 환기장치의 후방 모습을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환기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환기장치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케이스 11 : 실내 급기구
13 : 실내 배기구 15 : 실외 급기구
16 : 제1홈 17 : 실외 배기구
21 : 실내 급기덕트 23 : 실내 배기덕트
25 : 플랜지 30 : 전열교환소자
40 : 급기유닛 50 : 배기유닛
60 : 급배기덕트 61 : 급배기덕트의 급기영역
63 : 급배기덕트의 배기영역 65,165,265 : 급배기덕트의 파티션
66,166,266 : 돌출부 67,167,267 : 발포부재
70 : 후드캡 71 : 후드캡의 급기영역
73 : 후드캡의 배기영역 75 : 후드캡의 파티션
76 : 제2홈

Claims (18)

  1. 실외공기가 유입되는 급기구와 실내공기가 배기되는 배기구가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급기구와 상기 배기구에 연통되는 급배기덕트와,
    상기 급배기덕트의 내부에 삽입되며, 상기 급배기덕트를 상기 급기구와 연통되는 급기영역과 상기 배기구와 연통되는 배기영역으로 분할하는 파티션을 포함하며,
    상기 파티션은 상기 급배기덕트의 적어도 일측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급배기덕트의 양단 외측으로 각각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파티션의 외면은 발포부재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급배기덕트는 상기 급기구와 상기 배기구가 그 일단에 모두 연통될 수 있게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급배기덕트에는 상기 급기구와 상기 배기구가 연통되는 반대편에 후드캡이 연결되며,
    상기 후드캡에는 상기 급배기덕트의 급기영역과 연통되는 후드캡의 급기영역과 상기 급배기덕트의 배기영역과 연통되는 후드캡의 배기영역으로 분할되는 후드캡 파티션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파티션의 각 돌출부 중 하나는 상기 급기구의 내면과 상기 배기구의 내면 중 적어도 하나와 접촉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후드캡 파티션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파티션의 각 돌출부는 벤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부재는 상기 급기구와 상기 후드캡 파티션에 접촉되는 상기 파티션의 적어도 일면에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
  9.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파티션의 각 돌출부 중 하나는 상기 급기구와 상기 배기구의 사이에 형성되는 제1홈에 삽입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후드캡의 파티션에 형성된 제2홈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
  10.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는 실내공기가 유입되는 실내 급기구와, 실외공기가 배기되는 실내 배기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급기구를 통해 유입된 실외공기를 실내로 안내하는 급기유닛과, 상기 실내 급기구를 통해 유입된 실내공기를 실외로 안내하는 배기유닛과, 상기 급기유닛과 상기 배기유닛으로 인해 안내되는 실외공기와 실내공기를 전열 교환시키는 전열교환소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
  12. 실외공기가 유입되는 실외 급기구와, 실내공기가 유입되는 실내 급기구와, 실내공기가 배기되는 실내 배기구와, 실외공기가 배기되는 실외 배기구가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실외 급기구를 통해 유입된 실외공기를 상기 실내 배기구로 안내하는 급기유닛과,
    상기 실내 급기구를 통해 유입된 실내공기를 상기 실외 배기구로 안내하는 배기유닛과,
    상기 급기유닛과 상기 배기유닛으로 인해 안내되는 실외공기와 실내공기를 전열 교환시키는 전열교환소자와,
    상기 실외 급기구와 상기 실외 배기구에 연통되는 급배기덕트와,
    상기 급배기덕트의 내부에 삽입되며, 상기 급배기덕트의 내부를 상기 실외 급기구와 연통되는 급기영역과 상기 실외 배기구와 연통되는 배기영역으로 분할하는 파티션과,
    상기 급배기덕트의 급기영역과 배기영역에 연통되도록 상기 급배기덕트와 연결되는 후드캡을 포함하며,
    상기 파티션은 상기 급배기덕트에 삽입 시 상기 급배기덕트의 양단 외측으로 각각 돌출되어 상기 실외 급기구와 상기 후드캡에 각각 접촉되도록 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파티션의 외면에는 발포부재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
  14. 실외공기가 유입되는 실외 급기구와 실내공기가 배기되는 실외 배기구가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실외 급기구와 상기 실외 배기구에 연통되며, 내부에 삽입되는 제1파티션에 의해 상기 실외 급기구와 연통되는 제1급기영역과 상기 실외 배기구와 연통되는 제1배기영역으로 분할된 급배기덕트와,
    상기 급배기덕트에 연결되어 실외에 배치되며, 제2파티션에 의해 상기 제1급기영역과 연통되는 제2급기영역과 상기 제1배기영역과 연통되는 제2배기영역으로 분할되는 후드캡을 포함하며,
    상기 제1파티션은 상기 급배기덕트의 양단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실외 급기구 및 상기 제2파티션과 접촉되는 돌출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파티션의 각 돌출부는 벤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파티션의 각 돌출부는 상기 실외 급기구의 내면 및 상기 제2파티션의 하면에 각각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
  17.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파티션의 외면에는 발포부재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부재는 상기 실외 급기구와 상기 제2파티션에 접촉되는 상기 제1파티션의 적어도 일면에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
KR1020090084112A 2009-09-07 2009-09-07 환기장치 KR1013924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4112A KR101392424B1 (ko) 2009-09-07 2009-09-07 환기장치
US12/801,311 US20110059686A1 (en) 2009-09-07 2010-06-02 Ventilator
CN2010102152320A CN102012074A (zh) 2009-09-07 2010-06-25 通风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4112A KR101392424B1 (ko) 2009-09-07 2009-09-07 환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6282A KR20110026282A (ko) 2011-03-15
KR101392424B1 true KR101392424B1 (ko) 2014-05-09

Family

ID=43648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4112A KR101392424B1 (ko) 2009-09-07 2009-09-07 환기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10059686A1 (ko)
KR (1) KR101392424B1 (ko)
CN (1) CN10201207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1002605B4 (de) * 2011-01-13 2015-06-18 Blumartin Gmbh Dezentrale Raumlüftungsvorrichtung mit Wärmerückgewinnung
CN105180296A (zh) * 2014-06-13 2015-12-23 美国创新研究公司 用于降低空气传播污染物的系统和方法
KR101554722B1 (ko) * 2015-01-23 2015-09-21 황용희 풍량 가변장치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
US20160305379A1 (en) * 2015-04-16 2016-10-20 Behrooz Bruce Entezam Combination Exhaust and Supply Duct
TWI571604B (zh) * 2015-05-28 2017-02-21 建準電機工業股份有限公司 氣流交換裝置及其阻隔件
CN106482239A (zh) * 2016-12-26 2017-03-08 广州华凌制冷设备有限公司 一种超静音空调
TWI653421B (zh) * 2017-11-01 2019-03-11 建準電機工業股份有限公司 氣流交換裝置
KR102079495B1 (ko) * 2018-02-21 2020-02-20 동서콘트롤(주) 벽걸이형 환기장치
JP7112822B2 (ja) * 2018-03-29 2022-08-04 株式会社ガスター 外気導入ユニットおよび外気導入システム
CN108426336B (zh) * 2018-05-31 2023-09-29 深圳市万居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两用排风帽
CN108626834B (zh) * 2018-05-31 2023-09-29 深圳市万居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多用排风帽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29646A (ja) 2004-07-14 2006-02-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2層ダクト
KR100889299B1 (ko) 2007-03-02 2009-03-18 김현숙 바닥 상치형 고효율 열교환 환기장치
KR200446716Y1 (ko) 2007-12-17 2009-11-24 주식회사 이피아 환기장치용 통풍연결구조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58082A (en) * 1961-05-10 1964-11-24 Theodore L Dillingham Air conditioning system and ventilator therefor
DE2318007A1 (de) * 1973-03-30 1974-10-17 Munters Ab Carl Apparat zur klimatisierung der luft in einem raum
US4513809A (en) * 1983-01-03 1985-04-30 Wehr Corporation Energy recovery ventilator
US5335721A (en) * 1990-02-12 1994-08-09 Inter-City Products Corporation (Usa) Air conditioner modular unit with dual cross flow blowers
JP2879869B2 (ja) * 1992-06-01 1999-04-05 株式会社クボタ 排気管路および逆流防止ダンパ
JPH06234319A (ja) * 1993-02-12 1994-08-23 Suzuki Motor Corp サイドベンチレーターのダクト接続構造
US6024164A (en) * 1997-02-07 2000-02-15 Caterpillar Inc. Heat exchanger assembly
CA2349332A1 (en) * 2001-05-31 2002-11-30 Martin Gamelin Exterior inlet/exhaust por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29646A (ja) 2004-07-14 2006-02-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2層ダクト
KR100889299B1 (ko) 2007-03-02 2009-03-18 김현숙 바닥 상치형 고효율 열교환 환기장치
KR200446716Y1 (ko) 2007-12-17 2009-11-24 주식회사 이피아 환기장치용 통풍연결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059686A1 (en) 2011-03-10
CN102012074A (zh) 2011-04-13
KR20110026282A (ko) 2011-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2424B1 (ko) 환기장치
KR100665999B1 (ko) 환기겸용 덕트형 공기조화기
US9410716B2 (en) Ventilation apparatus
KR100650164B1 (ko) 폐열회수 환기장치
KR100693989B1 (ko) 공기 조화기
CN212511503U (zh) 窗式空调器
KR20180012957A (ko) 상치형 열회수형환기장치
KR100601220B1 (ko) 폐열회수 환기장치를 이용한 멀티시스템
KR100965814B1 (ko) 이중관을 이용한 환기장치
WO2022165999A1 (zh) 空气调节装置
KR100734362B1 (ko) 공기조화 시스템
JP2006078159A (ja) 空気調和機
KR100748138B1 (ko) 모듈형 공기조화시스템
KR100696716B1 (ko) 폐열회수 환기장치를 이용한 멀티시스템
KR20060037585A (ko) 환기장치
KR100672602B1 (ko) 공기조화장치의 실내 열교환유닛
CN114508787A (zh) 空调室内机、空调器和空调室内机的控制方法
KR20030063868A (ko) 환기장치
KR200440722Y1 (ko) 천장형 에어컨의 토출장치
JP2006078160A (ja) 空気調和機
CN216591967U (zh) 空调器
CN217715165U (zh) 空调器室内机
CN212108700U (zh) 空调室内机
CN215260435U (zh) 空气调节设备
CN217653984U (zh) 空调室内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