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9299B1 - 바닥 상치형 고효율 열교환 환기장치 - Google Patents

바닥 상치형 고효율 열교환 환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9299B1
KR100889299B1 KR1020070021061A KR20070021061A KR100889299B1 KR 100889299 B1 KR100889299 B1 KR 100889299B1 KR 1020070021061 A KR1020070021061 A KR 1020070021061A KR 20070021061 A KR20070021061 A KR 20070021061A KR 100889299 B1 KR100889299 B1 KR 1008892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door air
indoor air
outdoor
air outlet
in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10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80830A (ko
Inventor
김현숙
Original Assignee
김현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숙 filed Critical 김현숙
Priority to KR10200700210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9299B1/ko
Publication of KR200800808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08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92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92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08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separate ducts for supplied and exhausted air with provisions for reversal of the input and output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2/00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 F24F12/001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 F24F12/006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using an air-to-air heat exchang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30Arrangement or mounting of heat-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2/00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 F24F12/001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 F24F2012/007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using a by-pass for bypassing the heat-exchang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ntral Air Condition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교환기를 좌우 대칭되게 설치하고 열교환기 한면의 전체면을 통해 공기가 유입 및 유출되도록 함으로써, 열교환 효율 및 필터링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바닥 상치형 고효율 열교환 환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바닥 상치형 고효율 열교환 환기장치는 제 1면 전면으로 유입되는 실내 공기와 제 1 면과 인접한 제 2면 전면으로 유입되는 실외 공기 사이에서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한 후 제 1면으로 유입된 실내 공기를 제 1면과 상호 마주보는 제 3면으로 유출시키고 제 2면으로 유입되는 실외 공기를 제 2면과 상호 마주보는 인 제 4면으로 유출시키도록 양측에 대칭되게 설치되는 열교환기와, 상기 각 열교환기를 기준으로 실내 공기 유입 공간, 실내 공기 유출 공간, 실외 공기 유입 공간, 실외 공기 유출 공간으로 칸막이에 의해 구획되며 전면 양측에 실내 공기 흡입공이 형성되고 후면에 실내 공기 유출공 및 실외 공기 흡입공이 형성되는 하부 케이스와, 상기 하부 케이스 상부에 구비되고 상부면 실외 공기 유출공과, 저면에 상기 실외 공기 유출 공간과 연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실외 공기 흡입공과 실외 공기 유입 공간 사이를 연통시키는 실외 공기 유입 안내부가 형성된 상부 케이스와, 상기 실내 공기 유출 공간에 구비되어 실내 공기를 흡기하여 상기 실내 공기 유출공으로 배출시키는 배기팬과, 상기 실외 공기 유출 공간에 구비되며 실외 공기를 흡기하여 상기 실외 공기 유출공으로 배출시키는 실외 공기 급기팬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열교환기, 필터링, 공기 저항, 대칭

Description

바닥 상치형 고효율 열교환 환기장치{HIGH EFFICIENCY HEAT EXCHANGE VENTILATING SYSTEM FOR BOTTOM STANDING TYP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닥 상치형 고효율 열교환 환기장치의 정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닥 상치형 고효율 열교환 환기장치의 후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바닥 상치형 고효율 열교환 환기장치의 정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바닥 상치형 고효율 열교환 환기장치의 후면 사시도.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바닥 상치형 고효율 열교환 환기장치의 공기 흐름도.
도 9는 종래의 고효율 전열교환 환기장치의 정면 사시도.
도 10은 종래의 고효율 전열교환 환기장치의 후면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 하부 케이스
11 : 열교환기
111 : 제 1면 112 : 제 2면
113 : 제 3면 114 : 제 4면
115 : 필터
12 : 실내 공기 흡입공
13 : 배기팬
14 : 급기팬
15 : 실내 공기 유출공
16 : 실외 공기 흡입공
17 : 흡수 부재
2 : 상부 케이스
21 : 실외 공기 유출공
22 : 관통홀
23 : 실외 공기 유입 안내부
24 : 실외 공기 안내부
25 : 바이패스 댐퍼
3 : 바이패스 댐퍼
4 : 인쇄 회로 기판
A : 실내 공기 유입 공간
B : 실외 공기 유입 공간
C : 실내 공기 유출 공간
D : 실외 공기 유출 공간
본 발명은 환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열교환기를 좌우 대칭되게 설치하고 열교환기 한면의 전체면을 통해 공기가 유입 및 유출되도록 함으로써, 열교환 효율 및 필터링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바닥 상치형 고효율 열교환 환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환기장치는 가정이나 사무실 또는 식당 등에서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외부로 유출시키고 실외의 신선한 공기를 실내로 유입시켜 실내의 공기를 환기시키기 위한 장치이다.
이러한, 환기장치를 이용하여 실내 공기를 실외로 유출하고, 실외 공기를 실내로 흡입하는 과정에서 실내와 실외의 온도나 습도 차이에 의한 열 손실이 발생하여 에너지 낭비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다시 말해, 여름철에는 에어컨과 같은 공조기에 의해 냉방된 실내 오염 공기가 실외로 유출되고 실외의 뜨겁고 신선한 공기가 실내로 유입되어 환기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외부의 뜨거운 공기 유입으로 인해 실내 공기의 온도가 올라가 냉방 효율을 저하시키는 바, 냉방 효율을 높이기 위한 에너지 사용 증가를 야기한다.
또한, 겨울철에는 보일러와 같은 난방 장치에 의해 난방된 실내 오염 공기가 실외로 유출되고 실외의 차갑고 신선한 공기가 실내로 유입되어 환기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외부의 차가운 공기 유입으로 인해 실내의 공기 온도가 떨어져 난방 효율이 저하되므로, 난방을 위한 에너지 사용량이 증가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환기 과정에서 온도나 습도차에 의해 발생하는 열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유출되는 실내 공기와 흡입되는 실외 공기 사이에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열교환기가 구비된 환기장치 제안된 바 있다.
이러한 열교환기가 구비된 환기장치가 대한민국특허 출원 제2005-119854호에 "고효율 전열교환 환기장치"라는 제목으로 개시된 바 있다.
여기서, 종래의 고효율 전열교환 환기장치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공기흡입공(110)과, 실내공기유출공(120)과, 실외공기흡입공(130)과, 실외공기유출공(140)으로 구성된 케이싱(100)과; 배기팬(210)과, 흡기팬(220)과, 제 1실외공기샤프트(230)과, 제 2실외공기샤프트(240)와, 제 3실외공기샤프트(250)와, 실내공기샤프트(260)로 구성되는 흡배기실(200)과, 상기 흡배기실(20)의 양측으로 각각의 실내외공기샤프트(230,240,250,260)와 연결되어 공기가 관통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홀(310a)이 형성된 칸막이(310)와, 상기 칸막이(310)와 상호 일정간격 이격 설치되어 실내측공기와 실외측공기의 상호 교차되어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다단식 열교환기(320)와, 상기 다단식 열교환기(320)의 중심부와 칸막이(310) 사이에 설치되어 공기의 흐름을 유도하는 가이드판(330)으로 구성된 열교환실(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대한민국특허 출원 제2005-119854호에 따르면 오염된 실내 공기를 실 외의 신선한 공기와 상호 열교환시켜 실내에 쾌적하고 신선한 공기를 제공하되, 다단식의 열교환기 다수의 열교환기실을 형성하고, 각각의 열교환기실은 실외측 공기와 실내측 공기가 교차되어 여러번의 열교환이 이루어짐으로써, 온도 및 습도의 열교환 효율을 증가시키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이 기술에 따르면 각각의 열교환기가 열교환실 내부에서 45ㅀ 각도로 배치되기 때문에 열교환실 내부에서 길이 방향으로 많은 공간을 차지하게 되므로, 열교환기 본체 사이즈가 큰 단점이 있다.
또한, 공기가 꺾여서 들어오기 때문에 저항이 많이 걸리는 단점이 있으며 도면상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PCB(이하, 인쇄 회로 기판이라 함)가 유로 상에 배치되는바, 인쇄 회로 기판으로 인해 유로 상에 저항이 발생하게 되며, 인쇄 회로 기판에 이물질 흡착 및 습기가 발생하게 되어 인쇄 회로 기판의 손상으로 인해 오작동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다단식의 열교환기의 일면의 상,하부가 각각 실외 공기 유입면과 실내 공기 유입면으로 분할되어 이용되므로, 공기 흐름을 위한 표면적이 좁아져 풍속이 강해지고, 그에 따라 팬 및 모터에 걸리는 저항이 커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다단식의 열교환기의 일면의 상,하부가 각각 실외 공기 유입면과 실내 공기 유입면으로 분할되어 이용되므로, 필터링 표면적이 좁아져 오염 물질의 흡착이 많아지고 그에 따라 팬 및 포터에 걸리는 저항이 커지며 필터를 자주 청소 및 교체해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열교환기의 한 면 전체가 실내 공기를 유입한 후 그 타면 전체로 실내 공기를 유출시키고, 한 면 전체가 실외 공기를 유입한 후 그 타면 전체로 실외 공기를 유출시킴에 따라 필터링 면적을 높임으로써, 필터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어느 한면 전체를 통해 공기가 흐르도록 함으로써 공기 흐름을 위한 표면적을 넓혀 충속 저하를 통해 팬 및 모터에 걸리는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바닥 상치형 고효율 열교환 환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실내 공기 및 실외 공기의 급기와 배기를 역교류시켜 열교환 면적을 균등하게 하며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바닥 상치형 고효율 열교환 환기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은 바이패스 댐퍼를 선택적으로 폐쇄 또는 개방하여 실내 공기와 실외 공기와의 열교환을 선택적으로 제어함에 따라 열교환이 필요하지 않은 시기에는 자연 환기를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바닥 상치형 고효율 열교환 환기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은 열교환기의 표면에서 발생한 결로수를 흡수 부재를 이용하여 실내 공기 유출 공으로 배출하되 실내 공기 유출공을 실외 공기 흡입공의 하부에 배치하여, 외부로 배출된 결로수가 재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바닥 상치형 고효율 열교환 환기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인쇄 회로 기판을 유로 상에서 벗어난 실외 공기 흡입공 사이 공간에 배치함에 따라 이물질 흡착이나 습기 발생을 방지하며, 인쇄 회로 기판에 의한 공기 저항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바닥 상치형 고효율 열교환 환기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닥 상치형 고효율 열교환 환기장치는 제 1면 전면으로 유입되는 실내 공기와 제 1 면과 인접한 제 2면 전면으로 유입되는 실외 공기 사이에서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한 후 제 1면으로 유입된 실내 공기를 제 1면과 상호 마주보는 인 제 3면으로 유출시키고 제 2면으로 유입되는 실외 공기를 제 2면과 상호 마주보는 인 제 4면으로 유출시키도록 양측에 대칭되게 설치되는 열교환기와, 상기 각 열교환기를 기준으로 실내 공기 유입 공간, 실내 공기 유출 공간, 실외 공기 유입 공간, 실외 공기 유출 공간으로 칸막이에 의해 구획되며 전면 양측에 실내 공기 흡입공이 형성되고 후면에 실내 공기 유출공 및 실외 공기 흡입공이 형성되는 하부 케이스와, 상기 하부 케이스 상부에 구비되고 상부면 실외 공기 유출공과, 저면에 상기 실외 공기 유출 공간과 연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실외 공기 흡입공과 실외 공기 유입 공간 사이를 연통시키는 실외 공기 유입 안내부가 형성된 상부 케이스와, 상기 실내 공기 유출 공간에 구비되어 실내 공기를 흡기하여 상기 실내 공기 유출공으로 배출시키는 배기팬과, 상기 실외 공기 유출 공간에 구비되며 실외 공기를 흡기하여 상기 실외 공기 유출공으로 배출시키는 실외 공기 급기팬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열교환기는 일측 모서리 부위가 상기 하부 케이의 내부에서 어 느 한 방향으로 치우치게 배치되어, 길이 방향으로 많은 공간을 차지하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실내 공기 유입 공간과 실내 공기 유출 공간은 바이패스 댐퍼에 의해 분리되고, 상기 실외 공기 유입 안내부의 전방에는 상기 실외 공기 유출 공간과 실외 공기 유입 안내부 사이를 연통시키는 실외 공기 안내부가 더 형성되며, 상기 실외 공기 유입 안내부와 실외 공기 안내부의 경계부에는 바이패스 댐퍼가 구비되어, 상기 각각의 바이패스 댐퍼의 개방에 의해 실내 공기와 실외 공기가 열교환 없이 실내 또는 실외로 직접 배기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하부 케이스에는 결로 현상에 의해 상기 열교환기의 표면에서 발생하는 결로수를 모세관 작용으로 흡수하여, 상기 실내 공기 유출공으로 배출하는 흡수 부재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흡수 부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결로수가 내부로 재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실내 공기 유출공은 상기 실외 공기 흡입공의 하부에 구비됨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 상기 실외 공기 유출공 사이의 상기 상부 케이스 저면에 인쇄 회로 기판이 설치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닥 상치형 고효율 열교환 환기장치의 정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닥 상치형 고효율 열교환 환기장치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열교환기(11)와, 열교환기(11)가 그 내부의 양측에 대칭되게 구비되는 하부 케이스(1) 및 하부 케이스(1)의 상부에 구비되는 상부 케이스(2)로 구성된다.
열교환기(11)는 제 1면(111) 전면으로 유입되는 실내 공기와 제 1면(111)과 인접한 제 2면(112) 전면으로 유입되는 실외 공기 사이에서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한 후, 제 1면(111)으로 유입된 실내 공기를 제 1면(111)과 상호 마주보는 인 제 3면(113)으로 유출시키고 제 2면(112)으로 유입되는 실외 공기를 제 2면과 상호 마주보는 인 제 4면(114)으로 유출시킨다.
여기서, 본 발명의 특징적인 양상에 따라 열교환기(11)가 하부 케이스(1)의 내부에 좌,우 양측에 상호 대칭되게 설치됨으로써, 하부 케이스(1)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가 양측의 열교환기로 분할되어 유입된다.
이에 따라, 열교환기에 걸리는 공기 저항이 감소하고 그에 따라 열교환 효율이 높아질 뿐만 아니라, 공기 내부에 포함된 오염물질에 대한 필터링 표면적이 넓어져 팬 및 모터에 걸리는 저항이 감소된다. 이로써, 팬 및 모터 구동을 위한 에너지 소비를 감소시킬 수 있고 필터의 청소 및 교체 주기를 늘릴 수 있게 된다.
이때, 실내 공기가 유입되는 제 1 면 및 실외 공기가 유입되는 제 2면에는 공기 내에 포함된 오염 물질 및 이물질을 필터링 하기 위한 필터(115)가 구비된다.
여기서, 열교환기(11)는 종래 기술에서는 45ㅀ 각도로 배치되기 때문에 많은 공간을 차지하는 반면에, 본 발명에서는 모서리 부위가 일측으로 치우치게 배치되 어 하부 케이스(1) 내부에서 길이 방향으로 차지하는 면적이 좁기 때문에, 환기장치 전체 사이즈를 줄일 수 있어 환기장치가 차지하는 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다.
하부 케이스(1)는 열교환기(11)를 기준으로 실내 공기 유입 공간(A), 실내 공기 유출 공간(C), 실외 공기 유입 공간(B), 실외 공기 유출 공간(D)으로 칸막이에 의해 구획된다.
또한, 하부 케이스(1)의 전면 양측에는 실내 공기 흡입공(12)이 형성되고, 후면에는 실내 공기 유출공(15) 및 실외 공기 흡입공(16)이 형성된다.
이때, 실내 공기 흡입공(12)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하부 케이스(1)의 실내 공기 유입 공간(A)의 전방 일부면에 형성되도록 도시하였으나, 실내 공기 유입 공간(A)에 해당하는 하부 케이스(1)의 전방 전체면 또는 하부 케이스(1)의 측면 전체면 또는 모서리 양측면 일부 구간 또는 모서리 양측면 전체 구간에 형성되도록 할 수 있는 것으로, 이는 다양한 변형예를 통해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다.
그리고, 하부 케이스(1)의 내부에는 열교환기(11) 표면에서 온도 차에 의해 발생하는 결로수를 모세관 현상을 이용하여 흡수한 후 실내 공기 유출공(15)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흡수 부재(17)가 구비된다. 여기서, 흡수 부재(17)는 수분을 흡수하면 망상 가교로 구성된 고분자 구조에 수분이 이온 작용으로 결합되어 분말 상태에서 겔화되는 고분자 흡수제와, 고분자 흡수제의 일측에 모세관 작용을 통해 수분을 흡수하는 미세 섬유 다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실내 공기 유출공(15)은 실외 공기 흡입공(16)의 하부에 형성되어 실내 공기 유출공(15)을 통해 배출되는 결로수가, 실외 공기의 흡입시에 환기장치 내 부로 재유입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 상부 케이스(2)의 상부면에는 실외 공기 유출공(21)이 형성되며, 그 저면에는 실외 공기 유출 공간(D)과 연통되어, 실외 공기를 상부 케이스(2)로 배출하는 관통홀(22)이 형성되며, 실외 공기 흡입공(16)과 실외 공기 유입 공간(B) 사이를 연통시키는 실외 공기 유입 안내부(23)가 형성된다.
한편, 실내 공기 유출 공간(C)에는 모터(미도시함) 구동에 의해 실내 공기를 흡기하여 상기 실내 공기 유출공(15)으로 배출시키는 실내 공기 배기팬(13)이, 실외 공기 유출 공간(D)에는 모터(미도시함) 구동에 의해 실외 공기를 흡기하여 실외 공기 유출공(21)으로 배출시키는 실외 공기 급기팬(14)이 설치된다.
그리고, 실외 공기 유출 공간(D)에는 실외 공기 급기팬(14)을 구동시켜 실외 공기를 상부 케이스(2)의 관통홀(22)로 안내한 후, 실외 공기 유출공(21)으로 토출되도록 하는 수직 공간부(D')가 형성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바닥 상치형 고효율 열교환 환기장치의 정면 내부 사시도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실내 공기 유입 공간(A)과 실내 공기 유출 공간(C)은 바이패스 댐퍼(3)에 의해 분리되고, 실외 공기 유입 안내부(23)의 전방에는 상기 실외 공기 유출 공간(D)과 실외 공기 유입 안내부(23) 사이를 연통시키는 실외 공기 안내부(24)가 형성되며, 실외 공기 유입 안내부(23)와 실외 공기 안내부(24)의 경계부에는 바이패스 댐퍼(25)가 구비된다.
이에 따라, 각각의 바이패스 댐퍼(3, 24)의 개방에 의해 실내 공기와 실외 공기 사이의 열교환 없이 실내 공기 및 실외 공기가 외부로 직접 배출된다.
즉, 여름이나 겨울과 같이 실외와 실내의 기온 차이가 많은 나는 경우에는 바이패스 댐퍼(3)를 폐쇄하여, 실내 공기가 열교환기를 거치면서 실외 공기와의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한 후, 실내 공기를 실외로 유출시킴으로써 실내의 난방이나 냉방 효율을 향상시킨다.
반면에, 봄이나 가을과 같이 실외와 실내의 기온 차이가 많이 나지 않을 경우에는 바이패스 댐퍼를 개방하여, 실내 공기가 열교환기를 거치지 않고 실외로 바로 배기되도록 함으로써 열교환기 구동 부하를 줄여 에너지 소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라, 실외 공기 유출공(21) 사이의 상부 케이스(2) 저면에는 인쇄 회로 기판(4)이 설치되어, 인쇄 회로 기판(4)에 의한 공기 저항을 방지하게 되며, 인쇄 회로 기판(4)에 이물질이 흡착하거나 습기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하,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바닥 상치형 고효율 열교환 환기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실외 공기 급기팬(14)과 실내 공기 배기팬(13)을 구동시키면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외의 신선한 공기가 실외 공기 흡입공(16)을 통해 흡입된 후 실외 공기 유입 안내부(23)을 통해 실외 공기 유입 공간(A)으로 유입된다.
그리고, 이 실외 공기는 제 2면(112)에 설치된 필터(115)에 의해 필터링 된 후 제 2 면 전체면을 통해 열교환기(11) 내부로 유입되고, 실내 공기 흡입공(12)을 통해 흡입된 실내의 오염된 공기가 제 1면(111)에 설치된 필터(115)에 의해 필터링 된 후 제 1면(111) 전체면을 통해 열교환기 내부로 유입된다.
그리고, 이렇게 각각 유입된 실내 공기와 실외 공기 사이에서 열교환이 이루어진 후 실외 공기는 제 4면(114)을 통해 실외 공기 유출 공간(D)으로, 실내 공기는 제 3면(113)을 통해 실내 공기 유출 공간(C)으로 유출된다.
이때, 여름과 겨울에는 실내외 온도차가 많이 나므로 상술한 바와 같이 열교환기를 통해 상호 열교환이 필요하지만, 봄이나 가을과 같이 실내외 온도차가 많이 나지 않을 경우 열교환이 불필요하다.
따라서, 실내 공기와 실외 공기 사이의 열교환이 필요하지 않은 시기에는 도 7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바이패스 댐퍼(3, 25)를 개방하여 실내 공기가 열교환기를 거치지 않고 바로 실내 공기 유출 공간으로 유출되도록 하고, 실외 공기가 실외 공기 안내부(24)를 통해 실외 공기 유출 공간(D)으로 유출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실외 공기 유출 공간(D)으로 유출된 신선한 공기는 실외 공기 급기팬(14)의 구동에 의해 상부 케이스(2)로 유출된 후 실외 공기 유출공(21)을 통해 실내로 급기되고, 실내 공기 유출 공간(C)으로 유출된 공기는 실내 공기 배기팬(13)의 구동에 의해 실내 공기 유출공(15)을 통해 실외로 배기된다.
이때, 실내 공기 유출공(15)으로 흡수 부재(17)를 통해 흡수된 결로수가 외부로 배출되며, 실내 공기 유출공(15)이 실내 공기 흡입공(12)의 하부에 위치하는 바, 결로수가 하부 케이스(1)의 내부로 재유입 되지 않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열교환기의 한 면 전체가 실내 공기를 유입한 후 그 타면 전체로 실내 공기를 유출시키고, 한 면 전체가 실외 공기를 유입한 후 그 타면 전체로 실외 공기를 유출시킴에 따라 필터링 면적을 높임으로써, 필터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 본 발명은 어느 한면 전체를 통해 공기가 흐르도록 함으로써 공기 흐름을 위한 표면적을 넓혀 풍속 저하를 통해 팬 및 모터에 걸리는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어 팬 및 모터 구동에 소비되는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실내 공기 및 실외 공기의 급기와 배기를 역교류시켜 열교환 면적을 균등하게 하며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 본 발명은 바이패스 댐퍼를 선택적으로 폐쇄 또는 개방하여 실내 공기와 실외 공기와의 열교환을 선택적으로 제어함에 따라 열교환이 필요하지 않은 시기에는 자연 환기를 실시할 수 있도록 하여, 열교환기의 구동 부하를 감소시켜 에너지 소비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열교환기의 표면에서 발생한 결로수를 흡수 부재를 이용하여 실내 공기 유출 공으로 배출하되 실내 공기 유출공을 실외 공기 흡입공의 하부에 배치하여, 외부로 배출된 결로수가 재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인쇄 회로 기판을 케이스 내부에 배치하되 공기 흐름의 유로 상에서 벗어난 실외 공기 흡입공 사이 공간에 배치함에 따라 이물질 흡착이나 습기 발생을 방지하며, 인쇄 회로 기판에 의한 공기 저항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바닥 상치형 고효율 열교환 환기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하고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져야 한다.

Claims (6)

  1. 제 1면 전면으로 유입되는 실내 공기와 제 1 면과 인접한 제 2면 전면으로 유입되는 실외 공기 사이에서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한 후 제 1면으로 유입된 실내 공기를 제 1면과 상호 마주보는 인 제 3면으로 유출시키고 제 2면으로 유입되는 실외 공기를 제 2면과 상호 마주보는 으로 유출시키도록 좌,우 양측에 대칭되게 설치되는 열교환기(11)와,
    상기 각각의 열교환기(11)를 기준으로 실내 공기 유입 공간(A), 실내 공기 유출 공간(C), 실외 공기 유입 공간(B), 실외 공기 유출 공간(D)으로 칸막이에 의해 구획되며 전면 양측에 실내 공기 흡입공(12)이 형성되고 후면에 실내 공기 유출공(15) 및 실외 공기 흡입공(16)이 형성되는 하부 케이스(1)와,
    상기 하부 케이스(1) 상부에 구비되고 상부면 실외 공기 유출공(21)과, 저면에 상기 실외 공기 유출 공간(D)과 연통되는 관통홀(22)이 형성되며, 상기 실외 공기 흡입공(16)과 실외 공기 유입 공간(B) 사이를 연통시키는 실외 공기 유입 안내부(23)가 형성된 상부 케이스(2)와,
    상기 실내 공기 유출 공간(C)에 구비되어 실내 공기를 흡기하여 상기 실내 공기 유출공(15)으로 배출시키는 배기팬(13)과,
    상기 실외 공기 유출 공간(D)에 구비되며 실외 공기를 흡기하여 상기 실외 공기 유출공(21)으로 배출시키는 실외 공기 급기팬(14)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상치형 고효율 열교환 환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열교환기(11)는 일측 모서리 부위가 상기 하부 케이스(1)의 내부에서 어느 한 방향으로 치우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상치형 고효율 열교환 환기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 공기 유입 공간(A)과 실내 공기 유출 공간(C)은 바이패스 댐퍼(3)에 의해 분리되고,
    상기 실외 공기 유입 안내부(23)의 전방에는 상기 실외 공기 유출 공간(D)과 실외 공기 유입 안내부(23) 사이를 연통시키는 실외 공기 안내부(24)가 더 형성되며,
    상기 실외 공기 유입 안내부(23)와 실외 공기 안내부(24)의 경계부에는 바이패스 댐퍼(25)가 구비되어,
    상기 각각의 바이패스 댐퍼(3, 25)의 개방에 의해 실내 공기와 실외 공기가 열교환 없이 실내 또는 실외로 직접 배기됨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상치형 고효율 열교환 환기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케이스(1)에는 결로 현상에 의해 상기 열교환기(11)의 표면에서 발생하는 결로수를 모세관 작용으로 흡수하여 상기 실내 공기 유출공(15)으로 배출하는 흡수 부재(17)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상치형 고효율 열교환 환기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 부재(17)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결로수가 내부로 재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실내 공기 유출공(15)은 상기 실외 공기 흡입공(16)의 하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상치형 고효율 열교환 환기장치.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 공기 유출공(21) 사이의 상기 상부 케이스(2) 저면에 인쇄 회로 기판(4)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상치형 고효율 열교환 환기장치.
KR1020070021061A 2007-03-02 2007-03-02 바닥 상치형 고효율 열교환 환기장치 KR1008892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1061A KR100889299B1 (ko) 2007-03-02 2007-03-02 바닥 상치형 고효율 열교환 환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1061A KR100889299B1 (ko) 2007-03-02 2007-03-02 바닥 상치형 고효율 열교환 환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0830A KR20080080830A (ko) 2008-09-05
KR100889299B1 true KR100889299B1 (ko) 2009-03-18

Family

ID=400209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1061A KR100889299B1 (ko) 2007-03-02 2007-03-02 바닥 상치형 고효율 열교환 환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9299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5987B1 (ko) * 2007-04-04 2008-11-21 한유시스템 주식회사 조립식 의자용 이동장치의 인출장치
KR101117229B1 (ko) * 2009-04-14 2012-03-15 은성화학(주) 상치형 환기유니트
KR101392424B1 (ko) 2009-09-07 2014-05-09 삼성전자주식회사 환기장치
KR101834347B1 (ko) 2011-09-14 2018-03-05 엘지전자 주식회사 환기장치
KR101892871B1 (ko) 2017-10-31 2018-08-28 나인선 위생적 유지관리가 가능하고 이물질 유입차단으로 고장을 예방하는 고효율 바닥상치형 환기장치
KR101949639B1 (ko) 2018-04-18 2019-03-14 나인선 공기청정 기능을 구비한 고효율 바닥상치형 환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2872B1 (ko) * 2017-10-31 2018-08-28 나인선 유지관리가 간편하고 이물질 유입 차단으로 오동작을 예방하는 고효율 천장설치형 환기장치
KR101892873B1 (ko) * 2017-10-31 2018-08-28 나인선 특수필터 유닛을 구비하여 유지관리가 편리하고 이물질 유입이 차단된 고효율 천장설치형 환기장치
KR102356237B1 (ko) * 2021-06-11 2022-02-08 임만순 입형 듀얼 환기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3170B1 (ko) 2005-04-20 2005-09-08 이지음테크주식회사 바닥상치형 환기장치
JP3709815B2 (ja) 2001-07-18 2005-10-26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KR100684257B1 (ko) 2005-12-08 2007-02-16 주식회사 이피아 고효율 전열교환 환기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09815B2 (ja) 2001-07-18 2005-10-26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KR100513170B1 (ko) 2005-04-20 2005-09-08 이지음테크주식회사 바닥상치형 환기장치
KR100684257B1 (ko) 2005-12-08 2007-02-16 주식회사 이피아 고효율 전열교환 환기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5987B1 (ko) * 2007-04-04 2008-11-21 한유시스템 주식회사 조립식 의자용 이동장치의 인출장치
KR101117229B1 (ko) * 2009-04-14 2012-03-15 은성화학(주) 상치형 환기유니트
KR101392424B1 (ko) 2009-09-07 2014-05-09 삼성전자주식회사 환기장치
KR101834347B1 (ko) 2011-09-14 2018-03-05 엘지전자 주식회사 환기장치
KR101892871B1 (ko) 2017-10-31 2018-08-28 나인선 위생적 유지관리가 가능하고 이물질 유입차단으로 고장을 예방하는 고효율 바닥상치형 환기장치
KR101949639B1 (ko) 2018-04-18 2019-03-14 나인선 공기청정 기능을 구비한 고효율 바닥상치형 환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0830A (ko) 2008-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9299B1 (ko) 바닥 상치형 고효율 열교환 환기장치
KR101790696B1 (ko) 바이패스 및 재순환 기능을 겸비한 열교환형 환기장치
KR101841954B1 (ko) 다기능 전열교환기를 구비한 환기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228748B1 (ko) 드레인리스 공기 조화 장치
US20070158049A1 (en) Ventilation system
KR100707448B1 (ko) 공기조화기
KR100907604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및 에너지 절감형 공조시스템
KR20180001140U (ko) 복합열교환 환기장치
KR101275160B1 (ko) 환기통합형 하이브리드 세대공조기
KR20180029305A (ko) 복합열교환 환기장치
KR100587359B1 (ko) 공기청정장치 일체형 환기시스템
KR100700191B1 (ko) 환기장치
KR102434462B1 (ko) 창문형 열교환 환기장치
KR100657808B1 (ko) 환기장치
CN102777984A (zh) 一种毛细管网空调房间用换风、除湿机
CN211476094U (zh) 空调室内机和空调器
KR100747802B1 (ko) 환기장치 및 환기장치의 제어방법
KR100816925B1 (ko) 환기 겸용 공기조화기
CN106949586B (zh) 一种无水加湿装置及空调器
KR101692240B1 (ko) 제습 냉방기
JP3534314B2 (ja) 床置形ヒートポンプ式空調機
JPH07101113B2 (ja) 空調用床置形換気ユニット
CN215175462U (zh) 一种室内机及空气处理装置
KR100688209B1 (ko) 공기조화기
JPH0332899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6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