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3156A - 환풍기 - Google Patents

환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3156A
KR20200093156A KR1020190010296A KR20190010296A KR20200093156A KR 20200093156 A KR20200093156 A KR 20200093156A KR 1020190010296 A KR1020190010296 A KR 1020190010296A KR 20190010296 A KR20190010296 A KR 20190010296A KR 20200093156 A KR20200093156 A KR 202000931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present
suction
ventilator
in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02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대성
김종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코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코이엔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코이엔지
Priority to KR10201900102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93156A/ko
Publication of KR202000931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31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10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air supply, or exhaust, through perforated wall, floor or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2/00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 F24F12/001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 F24F12/006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using an air-to-air heat exchang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56Heat recovery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의 공기를 외부배출하며,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실내공급하는 환풍기에 대한 발명이다. 구체적으로 케이스 내부에 흡입관로(101) 및 배출관로(102)가 형성되는 실내장치(10);, 상기 흡입관로와 연결된 제1연결관로(201) 및 상기 배출관로와 연결된 제2연결관로(202)가 형성된 연결장치(20);, 상기 연결장치와 연통되며, 제1연결관로와 연통된 흡입공간(301), 상기 연결장치와 연통되며, 제2연결관로와 연통된 배출공간(302)이 형성된 실외장치(3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환풍기 {Ventilator}
본 발명은 실내의 공기를 외부배출하며,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실내공급하는 환풍기에 대한 발명이다.
특허발명 001은 열교환기용 이중관 구조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와류형성 딤플 구조를 제공한다. 특허발명 001은 증발기에서 배출된 저온/저압의 냉매와 응축기에서 배출된 고온/고압의 냉매를 상호 열교환하기 위한 내부 열교환기 이중관 구조로서, 상기 증발기에서 배출된 저온/저압의 냉매가 흐르는 유로를 갖는 내부 파이프와; 상기 내부 파이프를 감싸면서 상기 응축기에서 배출된 고온/고압의 냉매가흐르는 유로를 갖는 외부 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 파이프는 외주면을 따라 유로를 형성하도록 하는 나선형 홈을 가지도록 이루어지되, 상기 나선형 홈은 그 길이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와류형성용 오목홈 형태로서, 상기 와류형성용 오목홈 형태에 의해 유로를 흐르는 냉매에 소용돌이가 발생하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제시하고 있다.
특허발명 002는 열교환파이프에 관한 것으로, 주로 콘덴싱 보일러의 잠열부열교환기에 채용되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냉수를 잠열로 1차 가열하는데 사용된다. 서로 마주하는 면이 밀착되는 상태로 2겹으로 겹쳐지게 형성되는 전열 핀이 외주면에 연속적으로 일체 형성되는 스테인리스스틸재의 제1전열 관과, 냉수가 흐르도록 상기 제1전열관의 내부에 밀착지지 되도록 확관 설치됨과 동시에 그 내주 및 외주면으로 동 도금층이 형성된 스테인리스스틸재의 제2전열 관, 및 상기 제2전열 관의 내부에 설치되어 냉수의 유속 흐름을 방해하기 위한 난류생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스테인리스스틸재의 제1 및 제2전열 관과 난류생성부재는 브레이징 작업에 의해 상기 제2전열 관의 내 외주면으로 피막된 동 도금층에 의해 일체로 접합되도록 구성하거나, 또는 상기한 구조를 갖도록 각 단계를 거쳐 제조하는 것을 제시하고 있다.
특허발명 003은 환기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중관을 이용한 환기장치는 실내로 급기가 이루어지는 토출유로와 실외로 배기가 이루어지는 흡입유로를 하나의 이중관으로 구성되며, 케이스에 이중관이 위치될 때, 용접 없이 조립식으로 수밀하게 밀착 위치되는 것을 제시하고 있다.
특허발명 004는 파이프에 관한 것으로, 원자력 발전소 또는 화력 발전소의 냉각수로 사용된 온배수가 배출되는 수로 내부에 냉매와 상호 열교환 가능하게 설치되어 온배수의 온도를 낮춰준다. 모든 구성부재가 PP재질로 이루어지고 구성부재간의 연결 또한 PP용접에 의해 이루어진다. 발전소에서 냉각에 사용된 온배수가 배출되는 수로 내에 설치되어 온배수와 냉매간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발전소용 열교환장치에 있어서, 내부가 중공 된 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수로 내부의 후방에 다수 개가 폭 방향으로 배치되고 온배수가 흐르는 방향으로 제 1 관통구 다수 개가 관통 형성되되 상기 제 1 관통구는 전방측 직경이 후방측 직경에 비해 크게 형성되며, 상측에는 내부로 냉매가 유입되게 하는 유입구가 형성된 제 1 지주관부와, 내부가 중공 된 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수로 내부의 전방에 다수 개가 폭 방향으로 배치되고 온배수가 흐르는 방향으로 제 2 관통구 다수 개가 관통 형성되되 상기 제 2 관통구는 전방측 직경이 후방측 직경에 비해 작게 형성되며, 상측에는 외부로 냉매가 배출되게 하는 배출구가 형성된 제 2 지주관부와, 내측 관이 외측 관보다 양단으로 돌출된 이중관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내측 관의 양단부는 상기 제 1 지주관부의 후방과 상기 제 2 지주관부의 전방에 각각 연결되어 온배수가 그 내부로 유동되게 하고, 상기 외측 관의 양단부는 상기 제 1 지주관부의 전방과 상기 제 2 지주관부의 후방에 각각 연결되어 냉매가 그 내부로 유동되게하는 이중관부와, 상기 유입구로의 냉매 유입을 위해 상기 유입구에 연결되는 유입관과, 상기 배출구에서의 냉매 배출을 위해 상기 배출구에 연결되는 배출관이 포함되는 것을 제시하고 있다.
KR 10-2017-0109462 A (공개일자 2017년09월29일) KR 10-0867143 B1 (등록일자 2008년10월30일) KR 10-0965814 B1 (등록일자 2010년06월16일) KR 10-1663201 B1 (등록일자 2016년09월29일)
본 발명은 실내의 공기를 외부배출하며,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실내공급하는 환풍기에 대한 발명이다.
본 발명은 환풍기에 대한 발명이며, 구체적으로 케이스 내부에 흡입관로(101) 및 배출관로(102)가 형성되는 실내장치(10);, 상기 흡입관로와 연결된 제1연결관로(201) 및 상기 배출관로와 연결된 제2연결관로(202)가 형성된 연결장치(20);, 상기 연결장치와 연통되며, 제1연결관로와 연통된 흡입공간(301), 상기 연결장치와 연통되며, 제2연결관로와 연통된 배출공간(302)이 형성된 실외장치(3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환풍기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연결장치는 원통형상의 외통(210);, 상기 원통을 축방향으로 분할하는 제1분할판(22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환풍기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실외장치는 함체형상이며, 내부가 흡입공간 및 배출공간을 구획하는 판재형상의 제2분할판(31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환풍기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실내장치는 상기 케이스 내부에 위치하며, 흡입관로(101) 및 배출관로(102)를 구획하며, 복수로 형성된 내부격판(11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환풍기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발명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연결장치 및 하나의 실외장치를 병렬로 연통하는 외부연결관(41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환풍기는 벽체를 관통 형성하여 실외의 신선한 공기를 실내의 공기와 교환한다. 본 발명의 연결장치는 축방향으로 분할되며, 실외 및 실내의 공기 조건에 따라 발생되는 결로수 생성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외장치는 우수유도판을 형성하여 우수에 의한 부식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외장치는 필터를 형성하므로 실외의 공기를 공급할 때 미세먼지 및 악취 등을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내장치는 복수의 열교환기를 장착하여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환풍기는 높이 조절수단을 장착하므로 체결에 용이성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환풍기는 복수의 센서에 의해 자동 제어 되며, 상기 제어기는 사용자의 데이터 및 사용 패턴을 자동 저장 하며 사용의 편리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환풍기 전체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내장치 내부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연결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연결장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내장치의 작동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의 외부 프레임의 결합 형상.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아래의 실시예에서 인용하는 번호는 인용대상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모든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시한 구성과 동일한 목적 및 효과를 발휘하는 대상은 균등한 치환대상에 해당된다. 실시예에서 제시한 상위개념은 기재하지 않은 하위개념 대상을 포함한다.
[실시예 1-1] 본 발명은 환풍기에 대한 발명이며, 구체적으로 케이스 내부에 흡입관로(101) 및 배출관로(102)가 형성되는 실내장치(10);, 상기 흡입관로와 연결된 제1연결관로(201) 및 상기 배출관로와 연결된 제2연결관로(202)가 형성된 연결장치(20);, 상기 연결장치와 연통되며, 제1연결관로와 연통된 흡입공간(301), 상기 연결장치와 연통되며, 제2연결관로와 연통된 배출공간(302)이 형성된 실외장치(30);
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환풍기에 대한 발명이며, 구체적으로 실내의 공기를 외부배출하며,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실내공급하기 위함이다. 즉, 흡입공기 및 배출공기를 구분하기 위해, 실내장치는 흡입관로 및 배출관로를 형성한다. 또한, 건물의 내부 및 외부를 관통시키기 위해 관통구를 형성하며, 상기 관통구에는 연결장치를 장착한다. 상기 연결장치는 실내장치와 결합되어 흡입공기 및 배출공기를 통과시킨다. 상기 실외장치는 연결장치와 연결되어, 흡입공기 및 배출공기를 분리하는 역할을 한다. 후술되는 기술에 의해 상기 실외장치는 이물질 투입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져야 한다.
[실시예 2-1] 본 발명은 환풍기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연결장치는 원통형상의 외통(210);, 상기 원통을 축방향으로 분할하는 제1분할판(220);을 포함한다.
건축물의 실내 및 실외를 연통하기 위해 관통구를 형성해야 된다. 상기 관통구는 통상의 작업공구 편의성에 의해 원형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필요에 따라 다각형의 형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앞에서 제시한 다각형은 원형에 대해 목적 및 효과가 동일하며, 동일한 기술적 목적을 가지므로 균등대상에 해당된다. 일체의 원통관에서 흡입관로 및 배출관로를 구분하기 위해, 외통은 분할되어야 한다.
상기 분할을 위해, 외통의 내부에 판재(제1분할판)를 삽입하며, 상기 판재에 의해 내부공기 및 외부공기의 유동방향이 분리된다. 상기 분활판은 수평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나, 필요에 따라 수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 2-2] 본 발명은 환풍기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제1분할판 내부에 형성된 내부단열층(221);을 포함한다.
실내공기 및 실외공기는 상기 분할판에 의해 접촉된다. 여름철 실내공기는 냉방상태이므로 저온의 공기가 배출되나, 외부공기는 고온 다습한 조건이 형성된다. 따라서, 제1분할판은 진입되는 공기의 응축에 의해 결로수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결로수 발생은 실내장치에 물이 진입되는 문제를 야기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열교환이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제1분할판은 단열층을 형성해야 된다.
[실시예 2-3] 본 발명은 환풍기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외통의 외부에 형성된 외부단열층(211);을 포함한다.
실내공기 및 실외공기의 교환과정에서,냉난방된 공기가 배출되며, 외부의 대기온도가 공급된다. 따라서 제1분할판은 열을 전도시키는 목적을 가지며, 열전도에 의해 외부공기는 실내공기의 온도에 따라 변화된다. 따라서, 실내 냉난방 효율을 높이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관통구는 콘크리트로 이루어지며, 외부와 접촉된 온도에 의해 상기 외통에 불필요한 열을 전도시킬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외통은 단열층(외부단열층)을 형성해야 된다. 상기 외부단열층은 부직포로 형성되거나, 알루미늄 포일로 형성되거나, 진공층이 형성된 진공패드로 형성 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PU발포폼 또는 PE발포폼이 외부단열층을 형성되거나 앞에서 제시된 부직포 등과 함께 2중으로 발포폼을 형성할 수 있다.
[실시예 2-4] 본 발명은 환풍기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외통의 양단에 형성되며, 판재형상의 플랜지(230);를 포함한다.
건물의 관통구와 상기 연결장치의 완전한 결합을 위해 적절한 마감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 원통형상의 연결장치 양단에는 플랜지를 장착한다. 상기 플랜지는 원판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관통구멍을 형성하며, 관통구멍으로부터 돌출된 돌기를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돌기는 상기 외통과 결합된다. 돌기의 내주면은 외통의 외주연과 밀착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돌기 내주연 및 외통 외주연 사이에는 제1실링(231)을 형성하여 공기유출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돌기는 충분한 길이를 가지므로 벽체두께 및 외통길이가 일치되지 않아도 충분히 제1, 2연결관로를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원판의 일면은 벽체와 접촉된다. 벽체와 접촉되는 일면은 가스켓 또는 제2실링(232)을 형성하여 벽체와 완전한 밀착을 형성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파스너(233)를 이용하여, 원판이 벽체와 고정될 수 있다.
[실시예 2-5] 본 발명은 환풍기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제1분할판을 대신하며 축방향으로 삽입된 내통(240);을 포함한다.
앞에서 제시한 발명은 평판이 외통 내부에 삽입됨을 특정하였다. 그러나, 판재를 결합하는 것보다 작은 원통을 삽입함이 바람직하다. 이는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외통 내부에 별도의 내통을 삽입하여 제1연결관로 및 제2연결관로를 구분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내통을 복수로 형성하여, 복수의 내통이 각각의 제1, 2연결관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내통은 복수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반원형 관의 조합으로 원통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실시예 2-6] 본 발명은 환풍기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외통 내주연에 형성되며, 상기 제1분할판을 고정하는 고정수단(25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제1분할판을 외통내부에 고정하는 발명이다. 따라서, 외통내부 및 제1분할판 양면은 고정수단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외통 및 제1분할판은 핀 또는 볼트에 의해 체결가능하며, 또는 외통내부에 가이드레일을 형성하여, 상기 가이드레일에 제1분할판 양단면을 삽입하여 결합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외통내부에 반원형 구조물로 형성된 지지대를 삽입하여, 상기 반원형 구조물에 제1분할판을 안착시킬 수 있다. 이는 생산 효율을 향상시킨다. 제1분할판은 제1, 2연결관을 구분해야 되므로 기밀성이 유지되어야 한다. 기밀성 활보를 위해, 균일단면형상의 길이방향 제3실링(234)을 형성한다. 따라서, 제1, 2연결관을 구분할 수 있으며, 단열효과를 얻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3실링을 고무로 형성함이 좋다.
[실시예 2-7] 본 발명은 환풍기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제1분할판은 골 또는 산이 지그재그로 이루어진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1분할판은 2차 열교환 역할을 한다. 열접촉면적을 향상시키기 위해, 판재형상은 복수의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그 형태는 지그재그로 반복 연속형성된다. 또한, 형태가 골과 산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며, 그 형상은 물결형, 단차형, 산형을 형성한다.
[실시예 2-8] 본 발명은 환풍기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외통은 복수로 이루어지며, 축방향 결합으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연결장치는 다양한 길이로 형성되어야 한다. 이는 벽체의 두께가 다양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시공효율성 향상을 위해 길이방향 가변형태를 취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복수의 개별관이 일렬로 결합되어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하였다. 각각의 개별관은 단차를 형성하여 양측의 직경이 상이하다. 따라서, 인접 조립되는 개별관과 끼워맞춤 결합이 가능하다. 또한, 내부 제1분할판이 일체로 외통과 형성되며, 제1분할판의 조립간섭을 회피하기 위해 일측은 홈을 형성하며, 타측은 돌기를 형성한다. 따라서, 개별관들의 결합시 제1분할판의 간섭이 발생되지 않는다. 상기 단차는 크게 형성되는바, 끼움량에 따라 전체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실시예 2-9] 본 발명은 환풍기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연결장치 일측 하부에 위치하며, 연결장치 하부를 부분 폐쇄하는 부분폐쇄판(21);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실내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며, 배출과정 중, 투입되는 실외공기와 열교환한다. 열교환과정은 실외장치에서 1차로 이루어지며, 연결장치에서 2차로 이루어지며, 실내장치에서 3차로 이루어진다. 상기 2차과정에서 결로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결로현상으로 발생되는 습증기는 액상상태로 변환되며, 건물 외부로 배출되어야 한다. 따라서, 연결장치 일측(실내측) 하부 일부분을 폐쇄한다. 이는 공기만 투입되고, 중력에 의해 하부에 모여진 액체는 실외장치로 배출유도하기 위함이다.
[실시예 3-1] 본 발명은 환풍기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실외장치는 함체형상이며, 내부가 흡입공간 및 배출공간을 구획하는 판재형상의 제2분할판(31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실외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실외장치는 연결장치와 연통된다. 함체형상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제1,2연결관로와 연결된 흡입공간 및 배출공간을 형성한다. 외부의 공기가 직접 진입되지 않고, 함체형상으로 형성된 이유는 진입공기 및 배출공기의 유동방향을 분리하며, 배출공기의 재진입을 차단하기 위함이다. 또한 함체 내부에서 1차 열교환을 이루기 위함이다. 즉, 연결관로에서 2차열교환을 하며, 실내장치에서 3차열교환을 한다. 따라서 열교환 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다.
[실시예 3-2] 본 발명은 환풍기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흡입공간 및 외부를 연통하며, 복수로 형성되며, 관통 형성된 실외흡입밴트(321);, 상기 배출공간 및 외부를 연통하며, 복수로 형성되며, 관통 형성된 실외배출밴트(322);를 포함한다.
[실시예 3-3] 본 발명은 환풍기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3-2에 있어서, 상기 실외배출밴트 위치는 실외흡입밴트 하부에 형성되는 것; 또는 상기 실외배출밴트 위치는 실외흡입밴트 상부에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외장치의 함체는 공기가 진입되는 실외흡입밴트를 가지며, 반대로 실내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실외배출밴트를 형성한다. 상기 실외흡입밴트 및 실외배출밴트는 복수의 구멍을 형성하여, 흡입 및 배출효율을 높이며, 외부 이물질의 진입을 1차로 차단하는 효과를 가진다. 상기 실외배출밴트 및 실외흡입밴트의 유동방향각도는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도록 한다. 이는 배출된 공기가 재흡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실시예 3-4] 본 발명은 환풍기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실외장치 하부에 형성되며, 경사판으로 형성된 우수유도판(330);을 포함한다.
[실시예 3-5] 본 발명은 환풍기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3-4에 있어서, 상기 우수유도판의 경사방향은 설치벽면으로부터 일정각도 경사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3-6] 본 발명은 환풍기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3-3에 있어서, 상기 우수유도판 상측에 형성되며, 홈형상의 제1우수유도홈(331);을 포함한다.
실외에 위치하는 실외장치는 외부환경에 노출된다. 즉, 비가 오는 경우, 빗물은 실외장치와 접촉되며, 실외장치를 따라 하부로 흐르게 된다. 하부로 흐르는 빗물은 건물의 벽체를 따라 흐를 수 있으며, 이는 벽체에 오염을 유발하는 원인이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우수유도판이 함체의 하부 및 벽체사이에 경사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빗물이 상기 우수유도판을 따라 벽체로 흐르지 않고 낙하하게 된다. 평판형태의 우수유도판에는 제1우수유도홈을 형성한다. 상기 제1우수유도홈은 우수유도판에 흐르는 빗물을 포집하는 역할을 하며, 일방향으로 빗물의 낙하를 유도할 수 있다.
[실시예 3-7] 본 발명은 환풍기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실외장치 상부판(303)은 경사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3-8] 본 발명은 환풍기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3-7에 있어서, 상기 상부판에 홈형상으로 형성된 제2우수유도홈(303a);을 포함한다.
함체형상의 실외장치 최상면(상부판)은 빗물과 접촉하는 부분이다. 상부판이 수평상태인 경우, 빗물과 접촉하여 소음을 유발하며, 발생된 소음은 공간상태의 흡입공간 및 배출공간에서 울림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울림은 연결장치를 통해 실내장치로 유도되어 실내에 빗물충돌에 따른 울림소음이 발생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부판은 경사면을 형성하여, 빗물과 충돌시 경사충돌을 유도하여, 소음을 감소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앞서서 제시한 바와 같이 제2우수유도홈을 형성하여, 빗물을 포집할 수 있게 한다.
[실시예 3-9] 본 발명은 환풍기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실외장치 흡입공간 및 배출공간에 형성된 외부필터(340);를 포함한다.
[실시예 3-10] 본 발명은 환풍기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실외장치 외부에 형성되며 하나 또는 복수로 형성되며, 설치벽에 고정되는 제1브라켓(350);을 포함한다.
함체형상의 실외장치는 복수의 실외흡입밴트 및 실외배출밴트를 형성하며, 상기 밴트를 통해 외부이물질이 진입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함체의 흡입공간 및 배출공간 내부에는 외부필터를 장착한다. 상기 외부필터는 이물질의 실내진입을 차단하며, 먼지의 공급을 1차로 차단할 수 있다. 실외장치는 건물외벽에 부착되므로 안전적인 부착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 제1브라켓을 형성하며, 브라켓에 의해 건물외벽과 체결될 수 있다.
[실시예 4-1] 본 발명은 환풍기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실내장치는 상기 케이스 내부에 위치하며, 흡입관로(101) 및 배출관로(102)를 구획하며, 복수로 형성된 내부격판(110);을 포함한다.
[실시예 4-2] 본 발명은 환풍기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흡입관로에 위치하는 흡입송풍기(121);, 상기 배출관로에 위치하는 배출송풍기(122);를 포함한다.
[실시예 4-3] 본 발명은 환풍기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실내장치에 수용되며, 상기 흡입관로 및 상기 배출관로 교차부에 형성된 열교환기(130);를 포함한다.
외부에서 진입된 실외공기가 내부진입 전 배출공기와 열전달 하여 진입공기의 온도를 조절(상승 또는 하강)하며, 이는 실내의 냉난방 에너지 절감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를 위해 열교환기가 실내장치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열교환기를 기준으로 복수의 내부격판이 케이스 내부에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내부격판은 공기흐름방향을 유도하고 흡입 또는 배출공기의 혼합을 방지할 수 있다. 공기의 흡입 및 배출의 효율 향상을 위해 흡입송풍기 및 배출송풍기를 장착하며, 이는 공기유동에너지를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원활한 공기유동을 구현가능하다. 즉 흡입송풍기 및 배출송풍기는 흡입관로 및 배출관로 상에 각각 위치된다.
[실시예 4-4] 본 발명은 환풍기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내부격판에 형성되는 댐퍼(111);를 포함한다.
[실시예 4-5] 본 발명은 환풍기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 형성되며, 상기 흡입송풍기, 배출송풍기, 댐퍼 작동을 제어하는 개별제어기(123);를 포함한다.
필요에 따라 실내공기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다시 실내로 진입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격판 중 일부에는 댐퍼를 장착하며, 상기 댐퍼는 외부신호에 의해 배출공기 및 진입공기의 유도방향을 변경시킬 수 있다. 또한, 송풍기의 회전속도 제어 및 댐퍼의 작동을 제어하여, 공기의 흐름량 및 흐름방향을 필요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
[실시예 4-6] 본 발명은 환풍기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일면에 형성되며, 상기 흡입관로와 연통되며, 관통 형성되는 실내흡입구(103);,상기 케이스 일면에 형성되며, 상기 배출관로와 연통되며, 상기 흡입관로와 인접위치에 형성되며, 관통 형성되는 실내배출구(104);를 포함한다.
실내장치 케이스는 실내의 공기를 흡입 또는 배출해야 된다. 공기 흡입 및 배출을 위해 복수의 실내흡입구 및 실내배출구를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실내 흡입구는 케이스 하부에 형성됨이 좋으며, 실내 배출구는 상부에 형성됨이 좋다. 앞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흡입 및 배출 위치를 이격시키는 것은 재흡입 및 재배출을 방지하여 공기교환효율을 높이는 취지이다. 상기 실내흡입구 및 실내배출구는 유동방향 제어를 위해 복수의 판재가 조합된 갤러리형태를 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판재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방향을 변환 할 수 있으며, 또는 흡입구 및 배출구를 차단할 수 있다.
[실시예 4-7] 본 발명은 환풍기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4-2에 있어서, 상기 흡입관로 및 상기 배출관로는 복수로 형성되며, 상기 각각의 흡입관로 교합위치에 하나의 흡입송풍기가 형성되며, 상기 각각의 배출관로 교합위치에 하나의 배출송풍기가 형성되며, 각각의 흡입관로 및 배출관로의 교차관로에 각각의 열교환기가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복수의 열교환기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열교환기는 공기흐름을 직렬 또는 병렬로 배치할 수 있다. 즉, 직렬로 배치되는 경우, 열교환이 2회 진행되어 열교환 효과를 높일 수 있으며, 병렬로 배치되는 경우, 급속한 열교환 효과를 이를 수 있다. 반면, 에너지 절감효과를 높이기 위해 각각의 흡입관로에는 하나의 흡입송풍기를 설치하며, 배출관로에는 배출송풍기를 장착한다.
또한 제어효율을 높이기 위해 복수의 송풍기를 장착하여 연동시킬 수 있다.
[실시예 4-8] 본 발명은 환풍기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실내장치 내부에 형성되며, 각관 또는 형강으로 형성되는 메인프레임(14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케이스는 6면으로 형성된다. 생산성 향상을 위해, 플라스틱 또는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금속으로 제조되는 경우, 복수의 판재가 조립되어 하나의 케이스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내부에는 복수의 장비(열교환기, 송풍기 등)가 안착되므로 일정한 강성을 유지해야 된다. 또한 케이스를 고정하기 위한 장치가 요구된다. 이를 위해, 메인프레임을 형성한다. 상기 메인프레임은 각관 또는 형강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나, 절곡된 보강판재를 치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4-9] 본 발명은 환풍기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과 선택적으로 탈착되며 케이스의 전면에 결합되는 전면외판(141);, 상기 메인프레임과 선택적으로 탈착되며 케이스의 상면에 결합되는 상면외판(142);, 상기 메인프레임과 고정되며 케이스의 후면에 위치하는 후면외판(143);, 상기 메인프레임과 고정되며 케이스의 양측면에 위치하는 측면외판(144);, 상기 메인프레임과 고정되며 케이스의 하면에 위치되는 하면외판(145);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케이스가 복수의 판재로 이루어지는 경우, 6개의 판재로 구성된다. 그 중, 양측면 후면, 하면은 판재를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반면, 전면 및 상면은 선택적으로 탈착되어야 한다. 이는 내부 시설물(송풍기, 열교환기 등)의 수리 및 교체를 위해 개방되어야 되기 때문이다.
[실시예 4-10] 본 발명은 환풍기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4-1에 있어서, 일측이 상기 메인프레임에 형성되며, 타측이 지면에 지지되는 받침대(151);,를 포함한다. 상기 받침대에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수단(152);,을 포함한다. 상기 받침대에 형성되며, 고무재질로 형성된 방진부(153);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케이스는 실내 장착되며, 벽체의 관통구와 연통되어야 한다. 따라서, 케이스 하부에는 복수의 받침대를 장착한다. 상기 받침대는 케이스를 지지하며,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받침대는 높이조절이 가능하다. 이는 벽체의 관통구 및 케이스의 관통구멍을 일치시키기 위함이다. 상기 높이 조절수단은 숫나사로 이루어진 볼트 및 상기 볼트와 나사 체결되는 암나사(케이스 고정)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방진부는 지면과 고정되는 받침대의 재질을 고무로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고무가 진동을 제진하는 효과를 가진다.
[실시예 4-11] 본 발명은 환풍기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외측 일면에 형성되며, 복수의 구멍을 형성하며, 설치벽체와 고정된 제2브라켓(160)의 돌기와 결합되는 설치홀(161);을 포함한다.
앞에서 제시된 케이스는 지면에 안착되며, 벽에 고정될 필요가 있다. 이는 지면에 안착된 케이스는 외부하중에 의해 위치가 변동될 수 있으며, 위치변동에 의해 연결장치와 결합이탈이 발생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케이스와 벽체를 직접 고정하기 위함이다. 고정을 위해 케이스에 형성된 브라켓을 이용하여 벽체와 고정할 수 있다. 또는 실시예 4-11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벽체에 제2브라켓을 우선 장착한 후, 케이스를 상기 제2브라켓에 걸치는 구성을 채택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브라켓은 돌기를 형성하며, 케이스는 상기 돌기와 결합되는 설치홈을 형성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정확한 위치확정이 가능하며, 설치효율이 향상되며, 외부변동에 따른 변형이 발생되지 않는다.
[실시예 4-12] 본 발명은 환풍기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흡입관로에 형성된 내부필터(170);를 포함한다.
실외에서 공급된 공기는 미세먼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세먼지의 실내진입 차단을 위해 상기 흡입관로에는 내부필터를 장착한다. 상기 내부필터는 기능성 필터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즉, 외부의 냄새 및 먼지를 제거하거나, 유해가스 진입의 차단이 가능해야 한다. 또한 상기 필터는 소모성 재품이므로 주기적인 교체가 요구된다. 교체효율성 향상을 위해, 필터는 카트리지타입으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며,
상기 케이스 내부에는 상기 카트리지가 삽입되는 장치를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즉, 케이스 내부에 카트리지 가이드를 형성하며, 상기 카트리지 가이드내부로 필터카트리지가 삽입 또는 배출되기 위함이다.
[실시예 4-13] 본 발명은 환풍기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4-6에 있어서, 상기 후면외판의 실내흡입구 및 실내배출구가 장착된 위치에 부착되며, 실시예 2-3의 플랜지와 결합되는 아답터(181);를 포함한다.
[실시예 4-14] 본 발명은 환풍기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4-13에 있어서, 상기 아답터는 상하좌우 위치가변을 허용하는 가이드(182);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케이스 및 벽체의 관통구는 일치되어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치되지 않을 경우, 연통을 이어주는 아답터가 요구된다. 본 발명의 아답터는 케이스 후면에 위치하며, 가이드를 통해 상하좌우 위치변동이 가능하다. 또한, 위치변동과 동시에 흡입관로 및 배출관로의 연통은 연속적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케이스의 위치가 벽면에서 이탈되거나, 경사되거나 또는 관통구의 중심축과 케이스의 연통구따라서 (흡입관로, 배출관로)의 중심이 불일치 되어도 중심을 일치시킬 수 있다.
[실시예 5-1] 본 발명은 환풍기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연결장치 및 하나의 실외장치를 병렬로 연통하는 외부연결관(410);을 포함한다.
[실시예 5-2] 본 발명은 환풍기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5-1에 있어서, 상기 외부연결관 및/또는 실외장치에 삽입되며, 상기 흡입송풍기 및 상기 배출송풍기와 연동으로 작동되는 연결송풍기(42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하나의 실외장치에 복수의 실내장치를 결합하기 위함이다. 이는 설치효율성 및 관리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비용절감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외부에 독립적으로 설치되는 실외장치가 요구되며, 각각의 실내장치 및 연결장치는 외부연결관에 의해 연통된다. 상기 외부연결관은 복수로 형성되어, 각각의 실내장치 및 실외장치를 연결한다. 추가되는 외부연결관은 공기흐름의 유동저항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저항에 의해 감소된 에너지를 보충시키기 위해, 외부연결관에는 연결송풍기를 추가 장착한다. 따라서, 상기 연결송풍기는 송풍에너지를 보충하여, 충분한 공기흐름을 얻을 수 있다.
[실시예 5-3] 본 발명은 환풍기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5-1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개별제어기의 유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메인제어기(4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개별제어기는 각각의 실내 장치를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제어의 효율성 향상을 위해 하나의 통합시스템에 의해 전체를 일괄제어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메인제어기를 설치한다. 상기 메인제어기는 앞서서 제시한 각각의 개별제어기를 통합제어할 수 있다. 이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가능하며, 관리자가 외부단말기를 통해 모니터링 하거나 작동 할 수 있다. 또한, 작동상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저장하여, 빅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으며, 외부 기상정보 등을 연계하여 사용자의 사용패턴을 학습할 수 있다. 사용자의 사용패턴학습으로 얻어진 결과를 이용하여, 작동프로그램을 제작 및 수정하며, 개선할 수 있는 인공지능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패턴 학습을 위해, 복수의 센서가 메인제어기와 결합된다. 상기 복수의 센서는 인지센서(실내장치가 장착된 위치의 사람 존재 여부를 감지), 실내 및 실외의 온습도센서, 미세먼지 감지센서, 화재감지센서 CO2 감지센서 등으로 구성된다.
10 : 실내장치 20 : 연결장치
21 : 부분폐쇄판 30 : 실외장치
101 : 흡입관로 102 : 배출관로
103 : 실내흡입구 104 : 실내배출구
110 : 내부격판 111 : 댐퍼
121 : 흡입송풍기 122 : 배출송풍기
123 : 개별제어기 130 : 열교환기
140 : 메인프레임 141 : 전면외판
142 : 상면외판 143 : 후면외판
144 : 측면외판 145 : 하면외판
151 : 받침대 152 : 높이조절수단
153 : 방진부 160 : 제2브라켓
161 : 설치홀 170 : 내부필터
181 : 아답터 182 : 가이드
201 : 제1연결관로 202 : 제2연결관로
210 : 외통 211 : 외부단열층
220 : 제1분할판 221 : 내부단열층
230 : 플랜지 231 : 제1실링
232 : 제2실링 233 : 파스너
234 : 제3실링 240 : 내통
250 : 고정수단 301 : 흡입공간
302 : 배출공간 303 : 상부판
303a : 제2우수유도홈 310 : 제2분할판
321 : 실외흡입밴트 322 : 실외배출밴트
330 : 우수유도판 331 : 제1우수유도홈
340 : 외부필터 350 : 제1브라켓
410 : 외부연결관 420 : 연결송풍기
430 : 메인제어기

Claims (5)

  1. 환풍기에 있어서,
    케이스 내부에 흡입관로(101) 및 배출관로(102)가 형성되는 실내장치(10);,
    상기 흡입관로와 연결된 제1연결관로(201) 및 상기 배출관로와 연결된 제2연결관로(202)가 형성된 연결장치(20);,
    상기 연결장치와 연통되며, 제1연결관로와 연통된 흡입공간(301), 상기 연결장치와 연통되며, 제2연결관로와 연통된 배출공간(302)이 형성된 실외장치(30);를 포함하는 환풍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장치는 원통형상의 외통(210);,
    상기 원통을 축방향으로 분할하는 제1분할판(220);을 포함하는 환풍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실외장치는 함체형상이며, 내부가 흡입공간 및 배출공간을 구획하는 판재형상의 제2분할판(310);을 포함하는 환풍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실내장치는 상기 케이스 내부에 위치하며, 흡입관로(101) 및 배출관로(102)를 구획하며, 복수로 형성된 내부격판(110);을 포함하는 환풍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연결장치 및 하나의 실외장치를 병렬로 연통하는 외부연결관(410);을 포함하는 환풍기.

KR1020190010296A 2019-01-28 2019-01-28 환풍기 KR202000931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0296A KR20200093156A (ko) 2019-01-28 2019-01-28 환풍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0296A KR20200093156A (ko) 2019-01-28 2019-01-28 환풍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4824A Division KR20210010596A (ko) 2021-01-13 2021-01-13 환풍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3156A true KR20200093156A (ko) 2020-08-05

Family

ID=72041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0296A KR20200093156A (ko) 2019-01-28 2019-01-28 환풍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9315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6375A (ko) * 2020-12-31 2022-07-07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공기의 수분과 온도를 조절하는 공기조화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7143B1 (ko) 2008-04-10 2008-11-06 동서메탈주식회사 이중관 구조를 갖는 스테인리스스틸재의 열교환 파이프 및그 제조방법
KR100965814B1 (ko) 2008-06-04 2010-06-24 한국이찌몽(주) 이중관을 이용한 환기장치
KR101663201B1 (ko) 2015-10-21 2016-10-07 권영목 이중관을 이용한 발전소용 열교환장치
KR20170109462A (ko) 2016-03-21 2017-09-29 주식회사 평산 대체냉매적용 공조시스템의 내부 열교환기 이중관 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7143B1 (ko) 2008-04-10 2008-11-06 동서메탈주식회사 이중관 구조를 갖는 스테인리스스틸재의 열교환 파이프 및그 제조방법
KR100965814B1 (ko) 2008-06-04 2010-06-24 한국이찌몽(주) 이중관을 이용한 환기장치
KR101663201B1 (ko) 2015-10-21 2016-10-07 권영목 이중관을 이용한 발전소용 열교환장치
KR20170109462A (ko) 2016-03-21 2017-09-29 주식회사 평산 대체냉매적용 공조시스템의 내부 열교환기 이중관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6375A (ko) * 2020-12-31 2022-07-07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공기의 수분과 온도를 조절하는 공기조화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59015B2 (en) HVAC system and zone control unit
US9677777B2 (en) HVAC system and zone control unit
US20170122580A1 (en) Modular building utilities systems and methods
KR200342074Y1 (ko) 공기조화기용 벽 매입형 실외기
US20130052936A1 (en) Heating and cooling ventilation system
US11035586B2 (en) Energy recovery ventilator
KR20200093156A (ko) 환풍기
JP5431760B2 (ja) 冷暖房システム
RU2008103455A (ru) Оборудование для охлаждения и нагрева помещений в зданиях
JP6590983B2 (ja) 熱源一体型システム空気調和装置
KR20210010596A (ko) 환풍기
JP2003294269A (ja) 室外機の配置システム
CN211119680U (zh) 空调室内机
CN212108739U (zh) 空调器
JP6626550B1 (ja) 住宅用空気調和装置
JP6626554B1 (ja) 住宅用空気調和装置
CN209857200U (zh) 风管机及空调系统
CA2772766A1 (en) Modular building utilities systems and methods
CN100498105C (zh) 全热交换空调装置
JP2001173991A (ja) 温度成層冷房システム
CN213713330U (zh) 诱导式地板送风冷梁
EP3851749A1 (en) Induction air conditioning panel
KR20190108742A (ko) 환기용 열교환기
US11713901B2 (en) Makeup air cross-flow energy recovery system atop air conditioner
US11604006B2 (en) Makeup air parallel flow energy recovery system atop air conditio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