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0374B1 - 냉난방장치용 급배기관 - Google Patents

냉난방장치용 급배기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0374B1
KR100840374B1 KR1020070017926A KR20070017926A KR100840374B1 KR 100840374 B1 KR100840374 B1 KR 100840374B1 KR 1020070017926 A KR1020070017926 A KR 1020070017926A KR 20070017926 A KR20070017926 A KR 20070017926A KR 100840374 B1 KR100840374 B1 KR 1008403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pipe
main pipe
exhaust pipe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79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진표
박종태
김내현
Original Assignee
조진표
주식회사프라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진표, 주식회사프라텍 filed Critical 조진표
Priority to KR10200700179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03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03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03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2/00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 F24F12/001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 F24F12/006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using an air-to-air heat exchang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05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composed of diaphragms or seg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08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separate ducts for supplied and exhausted air with provisions for reversal of the input and output syste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56Heat recovery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uct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 급배기관은 실내공기조화기로 부터 실내로 공기를 공급하도록 하는 급기관부를 이루는 메인파이프와; 상기 메인파이프의 내측으로 동심원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실내로 부터 공기를 배출하는 배기관부를 이루는 이너파이프와; 상기 메인파이프와 이너파이프를 각각 짝수개의 동일한 규격을 갖는 공간부로 구분하도록 하는 격벽으로 구성되며, 상기 메인파이프와 이너파이프의 선단부에는 상기 메인파이프 및 이너파이프와 동일하게 각각 짝수개로 공간부로 구분하는 격벽을 구비하며, 단면적이 점점 넓어지는 원추형의 취출구와; 상기 취출구의 정면에 부착되어 회전방향에 따라 메인파이프 및 이너파이프를 선택적으로 차폐시키는 커버가 구비된 것으로 냉기 및 온기의 공급경로와 오염된 실내공기의 배출경로가 일체로 이루어짐에 따라 급배기관의 구조를 단순화시켜 신속하고 용이한 설치가 가능하며, 실내로 공급되는 공기의 열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냉난방장치, 급배기관, 메인파이프, 이너파이프, 격벽, 취출구, 커버

Description

냉난방장치용 급배기관{A air inhale and exhaust pipe for air cooling and heating apparatus}
도 1은 중앙집중식 냉난방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계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4a 및 4b는 본 발명의 작용을 도시한 도면이다.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메인파이프 20: 이너파이프
30: 격벽 40: 취출구
41: 격벽 42: 중심축
50: 커버 51: 외측개구
52: 내측개구 53: 중앙홀
70: 급배기관
본 발명은 실내 공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실내의 온도를 조절하는 냉난방장치와 연결되어 냉난방과정에서 냉난방장치로부터 공급된 공기를 실내로 전달하는 한편, 오염된 실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급배기관의 내부를 격벽에 의해 구획시킴으로써 급배기관의 구조를 단순화시켜 신속하고 용이한 설치가 가능하며, 실내로 공급되는 공기의 열손실을 줄일 수 있도록 구성한 냉난방장치용 급배기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 및 단독주택과 같이 실내를 여러 개의 공간으로 구획시킨 건축물의 냉난방시에는 냉난방장치로부터 각 공간으로 분기된 덕트를 통해 냉각된 공기나 뜨거운 공기를 공급함으로써 실내에 대한 냉난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중앙집중식 냉난방 시스템은 통상적으로 증발기(110), 압축기(130), 응축기(140)와 제 1송풍팬(120) 및 제 2송풍팬(150)으로 이루어진 냉난방장치(200)와, 상기한 냉난방장치(200) 및 냉난방을 요하는 실내와 각각 연결되어 냉각된 공기나 뜨거운 공기를 구획된 각 실내로 공급시키는 덕트(160)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중앙집중식 냉난방 시스템은 냉방시 제 1송풍팬(120)의 동작에 의해 강제압송된 상온의 공기가 증발 기(110)를 경유하는 과정에서 열교환에 의해 급냉되어 덕트(160)를 통해 실내로 공급됨으로써 냉방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난방시에는 제 2송풍팬(150)의 동작에 따라 강제압송된 저온의 공기가 응축기(140)를 경유하는 과정에서 열교환에 의해 가열되는 한편, 상기한 고온의 공기가 덕트(160)를 통해 실내로 공급됨으로써 난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한편, 통상적인 실내의 냉난방시에는 열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출입구나 창문 등을 밀폐시킨 상태에서 냉난방기기를 가동시킴으로써 장시간의 냉난방시에는 실내의 이산화탄소량 및 분진과 같은 오염물의 함량이 증가하는 관계로 일정시간마다 창문을 개방하여 환기를 시켜야 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창문을 개방하여 환기를 시킬 경우에는 열손실의 발생과 함께 많은 불편이 따르며, 별도의 환기구를 마련하여 환풍기의 동작에 따라 실내의 공기를 강제로 환기시킬 경우에는 환기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는 반면, 냉각 또는 가열된 실내의 공기가 그대로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많은 열손실이 따르게 된다.
또한, 냉난방 덕트(160)와 별도로 배기덕트를 설치할 경우에는 흡기 및 배기의 균형있는 제어가 가능하고, 급기 및 배기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는 반면, 많은 설치공간을 필요로 하는 동시에 고가의 설치 비용이 소요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냉난방장치와 연결되어 냉난방과정에서 냉난방장치로부터 공급된 공기를 실내로 전달하고, 오염된 실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급배기관의 내부를 격벽에 의해 다수개의 공간으로 구획시킴으로써 급배기관을 하나로 통합하되 외관구조를 단순화시킴과 아울러 실내로 공급되는 공기의 열손실을 줄일 수 있도록 한 냉난방장치용 급배기관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중앙집중식 냉난방시스템의 실내공기조화기에 의해 실내공기의 온도와 습도 및 신선도조건을 조절하도록 실내와 실내공기조화기의 사이를 연결하여 공기를 순환시키도록 하는 급배기관에 있어서, 상기 급배기관은 실내공기조화기로 부터 실내로 공기를 공급하도록 하는 급기관부를 이루는 메인파이프와; 상기 메인파이프의 내측으로 동심원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실내로 부터 공기를 배출하는 배기관부를 이루는 이너파이프와; 상기 메인파이프와 이너파이프를 각각 짝수개의 동일한 규격을 갖는 공간부로 구분하도록 하는 격벽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메인파이프와 이너파이프의 선단부에는 상기 메인파이프 및 이너파이프와 동일하게 각각 짝수개로 공간부로 구분하는 격벽을 구비하며, 단면적이 점점 넓어지는 원추형으로서 끝단 중앙에 중심축이 구비된 취출구와; 상기 취출구의 중심축에 의해 중앙홀이 결합되어 회전방향에 따라 메인파이프 및 이너파이프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커버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로서, 본 발명에 의한 냉난방장치용 급배기관(70)은 선단 일측이 냉난방장치와 연결되어 상기한 냉난방장치의 동작과정에서 냉기 또는 온기를 실내로 공급하며, 또한 상기 급배기관(70)을 통하여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킨다.
상기 급배기관(70)은 메인파이프(10)와 이너파이프(20)가 동심원상으로 구성되며, 격벽(30)에 의해 다수개의 공간부로 구획되어 있다.
상기 메인파이프(10)는 냉난방장치로 부터 실내로 공기를 공급하도록 하는 급기관부를 이루는 것이며, 상기 이너파이프(20)는 상기 메인파이프(10)의 내측으로 동심원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실내로 부터 공기를 배출하는 배기관부를 이루는 것이다.
상기 메인파이프(10)와 이너파이프(20)를 각각 짝수개의 동일한 규격을 갖는 공간부로 구분하도록 하는 격벽(30)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메인파이프(10)와 이너파이프(20)의 선단부에는 상기 메인파이프(10)와 이너파이프(20)와 동일하게 각각 짝수개로 공간부로 구분하는 격벽(41)을 구비하며, 단면적이 점점 넓어지는 원추형으로서 끝단 중앙에 중심축(42)이 구비된 취출구(40)가 결합된다.
상기 취출구(40)는 메인파이프(10)의 외측을 끼워 고정하도록 하는 끼움부(43)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취출구(40)의 중심축(42)에 의해 중앙홀(53)이 결합되어 회전방향에 따라 메인파이프(10) 및 이너파이프(20)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커버(5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커버(50)는 상기 메인파이프(10)의 인접하는 공간부를 회전각도에 따라 교대로 연통하도록 하는 외측개구(51)와; 상기 이너파이프(20)의 인접하는 공간부를 회전각도에 따라 교대로 연통하도록 하는 내측개구(52)가 각각 천공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 실시예는 급배기관(70)의 메인파이프(10)와 이너파이프(20)가 격벽(30)에 의해 각각 8개의 공간부로 구분되게 구성한 것이다.
상기 메인파이프(10)와 이너파이프(20)로 구분된 급배기관(70)의 끝단부에는 상기 메인파이프(10) 및 이너파이프(20)와 동일하게 8개의 공간으로 구획되어 있으며 점점 확장시키는 원추형의 취출구(40) 및 상기 취출구(40)을 개폐하는 커버(50)로 이루어진다.
상기 메인파이프(10)는 냉난방장치와 실내의 천정 사이에 연결되어 냉기 및 온기의 이동경로와 이너파이프(20) 및 격벽(30)의 결합공간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메인파이프(10)는 통상적으로 스틸이나 플라스틱 등을 소재로 구성하게 되는데, 특히 외부에는 단열재가 피복됨으로써 냉난방과정에서 열손실을 방지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메인파이프(10)의 중심에 결합되는 이너파이프(20)는 실내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것으로, 메인파이프(10)와 동일한 중심축선을 갖도록 하여 일정한 규격의 공간부를 형성하도록 한다.
즉, 상기한 메인파이프(10) 및 이너파이프(20)는 내부에 격벽(30)이 방사상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각각 결합됨으로써 내부 공간이 상기 격벽(30)에 의해 수개의 균일한 공간부로 구획된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방사상으로 구획된 메인파이프(10) 및 이너파이프(20)의 내부 공간부는 냉기 및 온기의 유통과 실내공기의 배출과정에서 인접한 공간에 대해 각각 교호의 공간을 사용함으로써 냉기 및 온기의 선택적인 공급이 가능하도록 하는 동시에 실내로 공급되는 공기와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간에 열교환을 방지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파이프(10)의 A공간을 통해 냉기를 공급시킬 경우에는 이너파이프(20)의 D공간을 통해 실내의 공기가 배출되도록 하고, B공간을 통해 온기를 배출시킬 경우에는 이너파이프(20)의 C공간을 통해 공기가 배출되도록 한다.
상기 메인파이프(10) 및 이너파이프(20)의 선단으로는 냉기 및 온기의 원활한 배출과 실내공기의 원활한 흡입이 가능하도록 선단을 원추형상으로 확장시킨 취출구(40)가 형성되며, 상기한 취출구(40)의 정면으로는 커버(50)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커버(50)는 회전방향에 따라 A공간 또는 B공간과, C공간 또는 D공간을 선택적으로 차폐시킴으로써 냉기나 온기의 공급을 차단시키는 한편, 실내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메인파이프(10) 및 이너파이프(20)를 격벽(30)에 의해 8개의 공간으로 분할 한 것을 예로 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냉난방을 요하는 공간이나 냉난방장치의 사양에 따라 격벽(30)의 수량을 가감하여 분할되는 공간의 수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작용을 도 4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냉난방장치용 급배기관(70)은, 냉난방장치와 실내 사이에 연결되어 냉방시 냉난방장치의 동작에 따라 발생한 냉기를 실내로 공급시키고,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며, 난방시에는 냉난방장치를 통해 공급된 온기를 실내로 전달하는 한편, 실내를 순환한 오염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킨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예로써 도 4a와 같이 메인파이프(10) 및 이너파이프(20) 사이에 형성된 공간 중 A공간을 미도시된 냉난방장치의 냉기토출구와 연결시키고 커버(50)의 외측개구(51)가 상기 A공간과 일치되도록 하면, 상기 A공간을 통해 실내에 냉기를 공급시키며, 동시에 이너파이프(20)의 D공간을 통해 환기장치와 연결시켜 실내의 공기를 D공간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시킨다.
상기한 바와 같이 냉기가 A공간을 통해 실내로 공급되고, 실내의 공기가 D공간을 통해 실외로 배출될 경우에는 A공간과 B공간이 선접촉하는 한편, 각 A공간 사이 및 C공간 사이에는 공기의 유통이 정지된 관계로 A공간과 D공간 사이에서는 열교환이 억제된다.
또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파이프(10) 및 이너파이프(20) 사이에 형성된 공간중 B공간을 냉난방장치의 온기토출구와 연결시키고 커버(50)의 외측개구(51)를 B공간과 일치되도록 하면, 상기 B공간을 통해 실내에 온기를 공급하게 되며, 아울러 C공간을 통해 실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켜 B공간 및 C공간간의 접촉면적을 최소화하는 한편, 이에 따라 열손실을 방지한다.
한편, 냉방과정에서 취출구(40)를 통해 토출되는 냉기의 공급을 줄이거나 차단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취출구(40)의 선단에 결합된 커버(50)를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시켜 냉기가 토출되는 A공간을 일부분, 또는 전부를 밀폐시키는 동시에 실내의 공기가 흡입되는 D공간을 밀폐시킨다.
이와 반대로 난방과정에서 온기의 공급을 차단할 경우에는 전술한 위치로부터 커버(50)를 회전시켜 온기가 토출되는 B공간을 밀폐시키는 한편, 실내의 공기가 흡입되는 C공간을 밀폐시킴으로써 불필요한 에너지의 낭비를 방지하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냉난방장치용 급배기관(70)은, 냉난방장치와 연결되어 냉기 및 온기의 공급경로와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배출시키는 배출경로가 일체로 이루어짐으로써 급배기관의 설치가 신속하게 이루어지며, 이와 함께 공간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고, 설치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냉난방장치용 급배기관(70)은, 실내로 공급되는 냉기 및 온기의 열손실을 줄일 수 있으며, 이와 함께 실내로 공급되는 냉기 및 온기의 조절이 가능하여 냉난방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등의 많은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4)

  1. 중앙집중식 냉난방시스템의 실내공기조화기에 의해 실내공기의 온도와 습도 및 신선도조건을 조절하기 위하여 실내와 실내공기조화기의 사이를 연결하여 공기를 순환시키도록 실내공기조화기로 부터 실내로 공기를 공급하도록 하는 급기관부를 이루는 메인파이프(10)와; 상기 메인파이프(10)의 내측으로 동심원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실내로 부터 공기를 배출하는 배기관부를 이루는 이너파이프(20)와; 상기 메인파이프(10)와 이너파이프(20)를 각각 짝수개의 동일한 규격을 갖는 공간부로 구분하도록 하는 격벽(30)으로 구성된 급배기관에 있어서,
    상기 메인파이프(10)와 이너파이프(20)의 선단부에는
    상기 메인파이프(10)와 이너파이프(20)와 동일하게 각각 짝수개로 공간부로 구분하는 격벽(41)을 구비하며, 단면적이 점점 넓어지는 원추형으로서 끝단 중앙에 중심축(42)이 구비된 취출구(40)와;
    상기 취출구(40)의 중심축(42)에 의해 중앙홀(53)이 결합되어 회전방향에 따라 메인파이프(10) 및 이너파이프(20)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커버(50)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장치용 급배기관.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50)는 상기 메인파이프(10)의 인접하는 공간부를 회전각도에 따라 교대로 연통하도록 하는 외측개구(51)와; 상기 이너파이프(20)의 인접하는 공간부를 회전각도에 따라 교대로 연통하도록 하는 내측개구(52)가 각각 천공되되, 상기 외측개구(51)와 내측개구(52)는 서로 중심방향으로 일치되지 않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장치용 급배기관.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30)은 메인파이프(10) 및 이너파이프(20)를 8개의 공간으로 구획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장치용 급배기관.
KR1020070017926A 2007-02-22 2007-02-22 냉난방장치용 급배기관 KR1008403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7926A KR100840374B1 (ko) 2007-02-22 2007-02-22 냉난방장치용 급배기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7926A KR100840374B1 (ko) 2007-02-22 2007-02-22 냉난방장치용 급배기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40374B1 true KR100840374B1 (ko) 2008-06-23

Family

ID=39772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7926A KR100840374B1 (ko) 2007-02-22 2007-02-22 냉난방장치용 급배기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037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7873B1 (ko) * 2022-01-18 2022-07-05 권형진 급배기 일체형 조절구조를 갖는 전열 교환기용 양방향 환기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2161A (ko) * 2004-04-20 2005-10-25 한라공조주식회사 히트 펌프 시스템의 수액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2161A (ko) * 2004-04-20 2005-10-25 한라공조주식회사 히트 펌프 시스템의 수액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7873B1 (ko) * 2022-01-18 2022-07-05 권형진 급배기 일체형 조절구조를 갖는 전열 교환기용 양방향 환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85510B2 (en) Air conditioning and ventilating system
KR100665999B1 (ko) 환기겸용 덕트형 공기조화기
KR100519306B1 (ko) 환기일체형 공조시스템
KR101628317B1 (ko) 열회수형환기장치
WO2018180607A1 (ja) 送風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室内空気搬送システム
US20090277619A1 (en) Air conditioning unit and air conditioning system comprising the same
KR20150111721A (ko) 일체형 환기 및 냉난방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환기 및 냉난방방법
KR101628558B1 (ko) 차량의 공조 장치
RU2666456C2 (ru) Вентиляци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его эксплуатации
JP2018100791A (ja) 空気調和システム
KR101251221B1 (ko) 창호 환기시스템
KR20090115257A (ko) 환기장치
JP2730351B2 (ja) 空気調和機
JP5530282B2 (ja) 換気空調システム及び建物
KR100840374B1 (ko) 냉난방장치용 급배기관
KR100601220B1 (ko) 폐열회수 환기장치를 이용한 멀티시스템
KR100791919B1 (ko) 환기와 냉난방 및 제습기능을 갖는 욕실용 건조장치
KR100965814B1 (ko) 이중관을 이용한 환기장치
KR20050120593A (ko) 냉난방기기용 급배기 장치
KR100696716B1 (ko) 폐열회수 환기장치를 이용한 멀티시스템
JPH1078245A (ja) 空気調和装置
KR200437608Y1 (ko) 덕트 겸용 천장형 에어컨
KR100672602B1 (ko) 공기조화장치의 실내 열교환유닛
KR20060037585A (ko) 환기장치
JP2015227743A (ja) サプライチャン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