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5296B1 - 일체형 급배기공급장치를 갖는 공기조화시스템 - Google Patents

일체형 급배기공급장치를 갖는 공기조화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5296B1
KR100905296B1 KR1020070113792A KR20070113792A KR100905296B1 KR 100905296 B1 KR100905296 B1 KR 100905296B1 KR 1020070113792 A KR1020070113792 A KR 1020070113792A KR 20070113792 A KR20070113792 A KR 20070113792A KR 100905296 B1 KR100905296 B1 KR 1009052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air
air supply
supply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37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47772A (ko
Inventor
권영현
Original Assignee
권영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영현 filed Critical 권영현
Priority to KR10200701137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5296B1/ko
Publication of KR200900477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77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52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52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08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separate ducts for supplied and exhausted air with provisions for reversal of the input and output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2/00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 F24F12/001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 F24F12/006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using an air-to-air heat exchang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2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users or occupants
    • F24F2120/20Feedback from us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체형 급배기공급장치를 갖는 공기조화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는 특히, 평면상에서 하나 이상의 배기구와 그 외측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급기루버가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되고,
상기 배기구와 급기루버에 연결되는 배기챔버와 급기챔버에 급기파이프와 배기파이프가 각각 연결되며,
하나 이상의 실내공간에 각각 분기되는 상태와 급기 및 배기가 가능토록 구비되면서 상기 배기파이프와 급기파이프를 개폐토록 그 연결부에 급기댐퍼 및 배기댐퍼가 각각 구비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서, 냉난방 공급 시에 급기 및 배기를 선택적으로 수행토록 하여 전체공간에서의 급기 및 배기에 따른 에너지상승의 문제점을 해소하도록 하는 것이다.
급기루버, 배기구, 급기파이프, 배기챔버

Description

일체형 급배기공급장치를 갖는 공기조화시스템{An Air Conditioning System with supply apparatus which all in one supply and exhaust}
본 발명은 배기와 급기가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단일체의 하우징에 배기구와 급기루버가 구비되고, 상기 배기구와 급기루버는 하우징에 구비되는 배기챔버와 급기챔버를 통하여 급기파이프와 배기파이프가 각각 연결되며, 상기 배기파이프와 급기파이프는 구획되는 실내공간에서 각각 선택적인 급기 및 배기가 가능토록 그 연결부에 급기댐퍼 및 배기댐퍼가 구비되는 구성으로 급기 및 배기를 선택적으로 수행토록 하여 전체공간에서의 급기 및 배기에 따른 에너지상승의 문제점을 해소하도록 하는 급배기공급장치를 갖는 공기조화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 실내를 냉난방시키는 방법중의 하나로 공기조화장치에서 발생되는 냉난방공기가 급기덕트를 통해 실내로 공급하여 냉난방을 공급하고, 또한 실내로 공급된 냉난방공기가 실내의 냉난방을 한 후 다시금 배기덕트를 통하여 공기조화장치로 회수하여 반복적으로 냉난방공기를 공급시키는 방법이 통용되고 있으며, 이를 위하여 덕트의 주관에 따라 여러 국소부에 형성되는 지관에는 냉난방기류를 실내에 확산공급, 또는 공급량 조절을 위한 디퓨져가 실내에 노출되는 상태로 고정 설치된다.
이러한 덕트 단부에 설치되는 디퓨져에는 풍향을 조절할 수 있는 다수개의 방향판이 일정간격 이격 설치되어 냉온기를 확산공급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기술과 관련되어 이중관 및 이를 이용한 환기장치가 등록특허 제602438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그 구성은 도1에서와 같이, 급기용 내관부(11)와 이를 감싸는 외관부(12)로 구성되어 내,외관부(11)(12)의 사이 공간으로 배기가 이뤄져 열교환되도록 하는 이중관(10)이 건물 내,외부를 연결하도록 설치되고, 건물의 방마다 이중관(10)의 내관부(11) 및 외관부(12)와 연결되는 급기구와 배기구를 갖는 디퓨져(40)가 연결되며, 상기 이중관(10)에는 급,배기용 팬과 모터를 갖는 송풍수단(30)이 연결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환기장치는, 급기되는 신선한 외부공기는 이중관(12)으로 이루어진 관을 통과하면서 배기는 외관부(12)에 의해 열이 회수되어 디퓨져(40)로서 각 실내에 공급되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환기장치에서 디퓨져(40)는, 실내에 설치될 때 내관이 외관의 내측에 배치되는 고정형상으로 각각 설치되어 공급되는 급기의 량 및 공급방향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없이 냉난방공급 시는 항시 급기와 배기가 동시에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방이나 거실 및 주방등에 급기를 모두 공급하여야 하거나 각 실내에서 발생되는 배기를 모두 배출하는 구성으로 공급 및 배기를 위한 팬의 용량 및 에너지 소모가 증가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급기의 량 및 방향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냉난방 공급 시에 동시에 공급되는 급기 및 배기를 선택적으로 수행토록 하여 냉난방이 불필요한 공간에서의 급기 및 배기에 따른 에너지상승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하며, 각 하우징에 열교환이 이루어져 에너지 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하고, 수동조작 및 자동화에 의해 실내의 공기를 최적의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실내를 통과하는 배기파이프 및 급기파이프에 하우징을 각각 연결하는 구성으로 그 설치 및 철거가 용이하게 이루어 지도록 하는 일체형 급배기공급장치를 갖는 공기조화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하우징의 일 평면상에서 하나 이상의 배기구와 그 외측에 위치하도록 하나 이상의 급기류버가 배치되고,
상기 배기구와 급기루버에 연결되는 배기챔버와 급기챔버에 급기파이프와 배기파이프가 각각 연결되며,
실내공간에 하나 이상의 배기파이프 및 급기파이프가 각각 분기되는 상태와 급기 및 배기가 가능토록 구비되면서 상기 배기파이프와 급기파이프를 개폐토록 그 연결부에 급기댐퍼 및 배기댐퍼가 각각 구비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일체형 급배기공급장치를 갖는 공기조화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급기댐퍼 및 배기댐퍼는, 제어부의 마이콤에 연결되어 실내에 구비되는 오염도센서 및 인체감지센서로 이루어진 센서어셈블리 및 사용자의 스위칭부 조작에 의해 자동 또는 수동동작토록 설치되고,
상기 배기파이프와 급기파이프는 폐열회수기에 연결되어 폐열을 회수하도록 설치되고, 송풍팬 및 배풍팬이 각각 연결되며,
상기 급기구에는 구동수단을 통하여 풍향조절이 가능한 스윙루버가 구비되는 일체형 급배기공급장치를 갖는 공기조화시스템을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루버와 댐퍼의 조절로 급기의 량 및 방향을 용이하게 조절하고, 댐퍼를 차단하는 동작에 의해 급기 및 배기를 선택적으로 수행토록 하여 냉난방공급 시 항시 전체공간에 급기 및 배기에 따른 에너지상승의 문제점을 해소하며, 폐열을 회수하는 이중구조로 이루어진 하우징에 의해 열교환이 이루어져 에너지 손실을 최소화하고, 수동조작 및 자동화에 의해 실내의 공기를 최적의 상태로 유지하며, 실내를 통과하는 배기파이프 및 급기파이프에 하우징을 각각 연결하는 구성으로 그 설치 및 철거가 용이하게 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냉난방공기조화시스템을 도시한 개략도 이고, 도3a,b는 각각 본 발명의 냉난방공기조화시스템에 적용되는 디퓨져를 도시한 평면도 및 측면도 이며, 도4는 본 발명의 냉난방공기조화시스템에 적용되는 디퓨져를 도시한 사시도 이고,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냉난방공기조화시스템의 제어부를 도시한 블럭도 이다.
본 발명의 디퓨져(100)는, 천정에 노출되는 평면상에 하나 이상의 배기그릴(110)과 그 일측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급기루버(130)가 구비되며, 상기 배기그릴과 급기루버에 연결되는 배기챔버(115)와 급기챔버(135)가 내측에 구분설치된다.
이때, 상기 급기챔버(135)는 배기챔버(115)를 감싸는 형상으로 공용되는 일면을 구비하는 구성으로 그 일면에는 요철부(S-1)가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급기챔버(135) 및 배기챔버(115)에는 급기파이프(210)와 배기파이프(230)가 각각 연결된다.
또한, 상기 디퓨져(100)에 연결되는 배기파이프(230)와 급기파이프(210)에는 이를 개폐토록 그 연결부에 급기댐퍼(215) 및 배기댐퍼(235)가 각각 구비된다.
더하여, 본 발명의 급기댐퍼 및 배기댐퍼는, 제어부(300)의 마이콤(310)에 연결되어 실내에 구비되는 오염도센서(333) 및 인체감지센서(335)로 이루어진 센서어셈블리(330) 및 사용자의 스위칭부(350) 조작에 의해 자동 또는 수동 동작토록 된다.
또한, 상기 배기파이프(230)와 급기파이프(210)는 배기와 급기가 교차통과하면서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폐열회수기(500)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급기루버(130)는 구동수단(410)을 통하여 스윙이 가능토록 연 결되며, 상기 구동수단(410)은, 루버에 연결되는 구동기어(413)와 이에 치합되면서 구동모터(415)를 통하여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기어(417)로서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배기파이프(230)와 급기파이프(210)에 각각 구비되는 배기팬(239) 및 급기팬(219)에 의해 강재 순환토록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2 내지 도5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각 실내에 하나의 배기파이프(230) 및 급기파이프(210)가 각각 통과하도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배기파이프(230) 및 급기파이프(210)는, 각 실내에 하나 이상의 배기분기관(237) 및 급기분기관(217)이 구비되어 필요에 따라 실내에 노출되는 하나 이상의 디퓨져(100)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급기분기관(217) 및 배기분기관(237)에는 급기댐퍼(215) 및 배기댐퍼(235)가 각각 설치되어 유로를 차단 및 개방토록 함으로써 상기 급기파이프 및 배기파이프에 연결되는 디퓨져(100)에 전달되는 외기공급 및 디퓨져에서 전달되는 오염된 실내공기의 유동을 차단하게 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상기 급기파이프 및 배기파이프에 연결되는 각각의 급기댐퍼 및 배기댐퍼를 차단하는 동작으로 각 실내에 신선한 외기 및 오염된 배기를 선택적으로 배출토록 함으로써 강재송풍시 급기의 량 및 배기의 량을 최소화 할수 있에 이를 위한 송풍팬의 에너지 소비를 줄일 수 있게 된다.
계속하여, 상기 디퓨져(100)는, 실내공간에 노출토록 되는 배기그릴(110)및 그 외측 둘레에 위치토록 분리 설치되는 복수의 급기루버(130)에 의해 신선한 외부 공기를 공급하면서 오염된 실내공기를 배출토록 되어 저온의 신선한 외부공기 공급영역과 상대적으로 고온인 오염 실내공기의 배출영역의 구분에 의한 성층화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디퓨져(100)는, 배기그릴과 급기루버에 연결되는 급기챔버(135)가 배기챔버(115)의 외측을 감싸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그 공용되는 일면에서 열전달이 이루어져 별도의 폐열회수장치를 구비하지 않아도 급기 및 배기시 열전달이 이루어 지게 된다.
이때, 상기 일면에는 요철부(S-1)가 일체로 형성되어 상대적으로 고온이 실내공기가 배기챔버(115)에 유입될 때 상대적으로 저온인 급기챔버(135)내의 외부공기와 최대한 넓은 면적에서 접촉토록 되어 열전달효율을 증가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급기댐퍼 및 배기댐퍼는, 제어부(300)의 마이콤(310)에 연결되어 실내에 구비되는 오염도센서(333) 및 인체감지센서(335)로 이루어진 센서어셈블리(330) 및 사용자의 스위칭부(350) 조작에 의해 자동 또는 수동동작토록 되어 각 실내의 오염상태에 따라 자동동작하거나 사용자가 스위치를 온/오프하는 동작에 의해 구동토록 된다.
즉, 오염도센서(333)가 일정 실내의 오염을 감지할 경우 천정에 설치되는 디퓨져(100)의 배기댐퍼와 급기댐퍼를 자동개방하여 오염공기를 배출한 후 신선한 외부공기를 유입토록 하고, 오염이 제거되면 배기댐퍼와 급기댐퍼를 자동 차단토록 하며, 상기와 같은 동작은 사용자가 스위칭부(350)를 조작할 때 동일한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배기파이프(230)와 급기파이프(210)는 배기와 급기가 교차통과하면서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폐열회수기(500)에 연결되어 그 온도차를 최소화하게 함으로써 쾌적한 실내환경을 조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급기루버(130)는 구동수단(410)을 통하여 스윙이 가능토록 연결되어 실내에 공급되는 신선한 외기에 일정한 방향성을 제공하거나 반복적으로 스윙하는 동작에 의해 전체적인 공급이 가능하게 되고, 이때 상기 댐퍼의 개폐량을 조절함으로써 공급되는 외기의 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1은 종래의 환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냉난방공기조화시스템을 도시한 개략도 이다.
도3a,b는 각각 본 발명의 냉난방공기조화시스템에 적용되는 디퓨져를 도시한 평면도 및 측면도 이다.
도4는 본 발명의 냉난방공기조화시스템에 적용되는 디퓨져를 도시한 사시도 이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냉난방공기조화시스템의 제어부를 도시한 블럭도 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디퓨져 135...급기챔버
230...배기파이프 300...제어부
350...스위칭부 417...동력전달기어
450...루버

Claims (6)

  1. 급기팬과 배기팬에 의해 냉난방공기 또는 외기를 실내에 공급하거나 오염된 실내공기를 배출토록 설치되는 급기파이프(210)와 배기파이프(230)가 각 실내에 하나씩 통과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급기파이프(210)와 배기파이프(230)에는 구획되는 각 실내의 천정에 설치되면서 배기 및 급기를 동시에 수행토록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디퓨져(100)가 연결되며, 상기 급기댐퍼 및 배기댐퍼와 급기팬 및 배기팬의 동작을 제어토록 제어부가 구비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일체형 급배기공급장치를 갖는 공기조화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급기파이프(210)와 배기파이프(230)의 디퓨져 연결부에 급기 및 배기를 선택적으로 수행토록 급기댐퍼(215) 및 배기댐퍼(235)가 구비되고,
    상기 디퓨져(100)는, 배기파이프(230)에 연결되면서 실내 천정의 평면상에 노출되도록 하나 이상의 배기그릴(110)을 구비하는 배기챔버(115)와
    급기파이프(210)에 연결되면서 실내 천정의 평면상에 노출되도록 하나 이상의 급기루버(130)를 구비하는 급기챔버(135)가 구분되어 설치되면서
    상기 급기챔버가 배기챔버의 외측을 감싸는 형상으로 공용되는 일면에 요철부(S-1)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급배기공급장치를 갖는 공기조화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기루버는, 구동수단을 통하여 풍향을 조절하는 스윙이 가능토록 설치되며,
    상기 구동수단은, 루버에 연결되는 구동기어와 이에 치합되면서 구동모터를 통하여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기어로서 이루어져 배출되는 급기에 방향성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급배기공급장치를 갖는 공기조화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내측에 구비되는 마이콤이 실내에 구비되는 오염도센서 및 인체감지센서로 이루어진 센서어셈블리 및 스위칭부에 연결되어 자동 또는 수동 동작토록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급배기공급장치를 갖는 공기조화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파이프와 급기파이프는 배기와 급기가 교차통과하면서 열교환이 이루어 지는 폐열회수기에 연결되어 배출되는 실내공기로 부터 폐열을 회수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급배기공급장치를 갖는 환기시스템
KR1020070113792A 2007-11-08 2007-11-08 일체형 급배기공급장치를 갖는 공기조화시스템 KR1009052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3792A KR100905296B1 (ko) 2007-11-08 2007-11-08 일체형 급배기공급장치를 갖는 공기조화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3792A KR100905296B1 (ko) 2007-11-08 2007-11-08 일체형 급배기공급장치를 갖는 공기조화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7772A KR20090047772A (ko) 2009-05-13
KR100905296B1 true KR100905296B1 (ko) 2009-07-02

Family

ID=408570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3792A KR100905296B1 (ko) 2007-11-08 2007-11-08 일체형 급배기공급장치를 갖는 공기조화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529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8574B1 (ko) 2009-11-30 2012-03-23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실내환기장치
KR20150138678A (ko) * 2014-06-02 2015-12-10 (주)정민 전열교환기를 이용한 환기장치와 그 환기장치를 이용한 환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0206B1 (ko) 2015-11-17 2017-03-27 한국지역난방공사 팬부착 급배기 일체형 디퓨져
KR102660731B1 (ko) * 2019-09-02 2024-04-25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환기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417873B1 (ko) * 2022-01-18 2022-07-05 권형진 급배기 일체형 조절구조를 갖는 전열 교환기용 양방향 환기구
KR102485369B1 (ko) * 2022-06-28 2023-01-06 권형진 전열 교환기용 양방향 환기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67374A (ja) * 1997-03-28 1998-10-09 Kuken Kogyo Kk 吸込口一体型吹出口装置
JPH11148704A (ja) * 1997-11-20 1999-06-02 Fujitsu General Ltd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KR100696716B1 (ko) * 2005-12-09 2007-03-20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폐열회수 환기장치를 이용한 멀티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67374A (ja) * 1997-03-28 1998-10-09 Kuken Kogyo Kk 吸込口一体型吹出口装置
JPH11148704A (ja) * 1997-11-20 1999-06-02 Fujitsu General Ltd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KR100696716B1 (ko) * 2005-12-09 2007-03-20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폐열회수 환기장치를 이용한 멀티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8574B1 (ko) 2009-11-30 2012-03-23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실내환기장치
KR20150138678A (ko) * 2014-06-02 2015-12-10 (주)정민 전열교환기를 이용한 환기장치와 그 환기장치를 이용한 환기방법
KR101613569B1 (ko) 2014-06-02 2016-04-29 (주)정민 전열교환기를 이용한 환기장치와 그 환기장치를 이용한 환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7772A (ko) 2009-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5296B1 (ko) 일체형 급배기공급장치를 갖는 공기조화시스템
KR101628317B1 (ko) 열회수형환기장치
KR100928047B1 (ko) 에너지 절약형 전자동 공기조화기
KR100810594B1 (ko) 제연기능을 갖는 공기살균순환장치
KR20110032104A (ko) 주방 후드 연동 환기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WO2018153085A1 (zh) 空气调节系统
KR101613569B1 (ko) 전열교환기를 이용한 환기장치와 그 환기장치를 이용한 환기방법
KR101241529B1 (ko) 이중관 구조를 이용한 다기능 공기순환장치
JPH11125450A (ja) 熱交換式換気扇及び換気方法
KR100965814B1 (ko) 이중관을 이용한 환기장치
JP4328942B2 (ja) 空気調和機
US4497362A (en) Regenerative room air exchanger
KR200437608Y1 (ko) 덕트 겸용 천장형 에어컨
KR101900489B1 (ko) 공조시스템 및 공조방법
KR200186491Y1 (ko) 천장 설치용 공기혼합장치
KR100566804B1 (ko) 환기장치
KR101004640B1 (ko) 실내환기용 전열교환장치
KR100495232B1 (ko) 난방수를 이용한 건축물의 환기시스템
KR101243227B1 (ko) 환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2491181B1 (ko) 환기 시스템 및 제어방법
KR100907606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및 에너지 절감형 공조시스템
KR200388991Y1 (ko) 다세대 건물용 환기 열회수장치
JP2005337634A (ja) 空調装置
KR100621658B1 (ko) 난방수를 이용한 건축물의 실내 환기용 열교환장치
US20230160603A1 (en) Multi-modes air handling system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