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7326B1 - 공조 기능을 구비한 건축용 천정 몰딩 조립체. - Google Patents

공조 기능을 구비한 건축용 천정 몰딩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7326B1
KR100867326B1 KR1020080041154A KR20080041154A KR100867326B1 KR 100867326 B1 KR100867326 B1 KR 100867326B1 KR 1020080041154 A KR1020080041154 A KR 1020080041154A KR 20080041154 A KR20080041154 A KR 20080041154A KR 100867326 B1 KR100867326 B1 KR 1008673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molding
cover
ceiling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11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정환
Original Assignee
(주)신한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한종합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신한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0800411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73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73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73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2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 E04F19/04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for use between floor or ceiling and wall, e.g. skirtings
    • E04F19/0436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for use between floor or ceiling and wall, e.g. skirtings between ceiling and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2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 E04F19/04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for use between floor or ceiling and wall, e.g. skirtings
    • E04F2019/044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for use between floor or ceiling and wall, e.g. skirtings with conduits
    • E04F2019/0445Ventilating plinth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uct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용 천정 몰딩 조립체에 공기 통로 부위가 형성되어 공조 기능을 가지며, 배전 전선 설치부위를 이용하여 공조 장치나 실내 조명 장치 등을 위한 배선을 해줄 수 있고, 조립부재로 형성되므로 손상된 부재가 있는 경우에는 해당 부재만 교체해 주면 지속적인 사용이 가능한 공조 기능을 구비한 건축용 천정 몰딩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건물 벽체 콘크리트(1200) 타설시 천정 몰딩 부재가 설치되는 부분에 매립되는 블럭 부재로 형성되며, 외부로 노출되는 표면 부위에 길이방향을 따라 오목하고 기다란 복수 개의 공간 부위가 형성되는 벽체 매립 블럭부(200), 상기 벽체 매립 블럭부(200)의 상기 오목하고 기다란 복수 개의 공간 부위에 끼워져서 설치되는 천정 몰딩 부재로 형성되며, 실내 공기조화를 위한 공기 통로 부위인 공기 통로부(520)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몰딩 블럭부(500), 상기 몰딩 블럭부(500)의 밑면을 덮어주는 덮개 부재로 형성되는 덮개부(700), 상기 벽체 매립 블럭부(200)에 상기 몰딩 블럭부(500)를 체결시켜 주도록 형성되는 볼트 부재로 형성되는 고정 볼트부(900)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공조 기능을 구비한 건축용 천정 몰딩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천정 몰딩

Description

공조 기능을 구비한 건축용 천정 몰딩 조립체.{Ceiling moulding assembly for building work with air conditioning function}
본 발명은 공조 기능을 구비한 건축용 천정 몰딩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몰딩 부분에 관련된 기술로, 본 발명 관련 종래의 기술로는 일반적인 천정 몰딩이 있다.
본 발명은 건축용 천정 몰딩 조립체에 공기 통로 부위가 형성되어 공조 기능을 구비한 건축용 천정 몰딩 조립체를 제공하려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배전 전선 설치부위를 이용하여 공조 장치나 실내 조명 장치 등을 위한 배선을 해줄 수 있는 공조 기능을 구비한 건축용 천정 몰딩 조립체를 제공하려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조립부재로 형성되므로 손상된 부재가 있는 경우에는 해당 부재만 교체해 주면 지속적인 사용이 가능한 공조 기능을 구비한 건축용 천정 몰딩 조립체를 제공하려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건물 벽체 콘크리트(1200) 타설시 천정 몰딩 부재가 설치되는 부분에 매립되는 블럭 부재로 형성되며, 외부로 노출되는 표면 부위에 길이방향을 따라 오목하고 기다란 복수 개의 공간 부위가 형성되는 벽체 매립 블럭부(200), 상기 벽체 매립 블럭부(200)의 상기 오목하고 기다란 복수 개의 공간 부위에 끼워져서 설치되는 천정 몰딩 부재로 형성되며, 실내 공기조화를 위한 공기 통로 부위인 공기 통로부(520)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몰딩 블럭부(500), 상기 몰딩 블럭부(500)의 밑면을 덮어주는 덮개 부재로 형성되는 덮개부(700), 상기 벽체 매립 블럭부(200)에 상기 몰딩 블럭부(500)를 체결시켜 주도록 형성되는 볼트 부재로 형성되는 고정 볼트부(900)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공조 기능을 구비한 건축용 천정 몰딩 조립체를 제시한다.
본 발명으로 건축용 천정 몰딩 조립체에 공기 통로 부위가 형성되어 공조 기능을 구비한 건축용 천정 몰딩 조립체를 제공하게 되었다.
또한 본 발명으로 배전 전선 설치부위를 이용하여 공조 장치나 실내 조명 장치 등을 위한 배선을 해줄 수 있는 공조 기능을 구비한 건축용 천정 몰딩 조립체를 제공하게 되었다.
또한 본 발명으로 조립부재로 형성되므로 손상된 부재가 있는 경우에는 해당 부재만 교체해 주면 지속적인 사용이 가능한 공조 기능을 구비한 건축용 천정 몰딩 조립체를 제공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공조 기능을 구비한 건축용 천정 몰딩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벽체 매립 블럭부(200), 몰딩 블럭부(500), 덮개부(700), 고정 볼트부(900)를 포함한다.
첨부한 실시예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공조 기능을 구비한 건축용 천정 몰딩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건물 벽체 콘크리트(1200) 타설시 천정 몰딩 부재가 설치되는 부분에 매립되는 블럭 부재로 형성되며, 외부로 노출되는 표면 부위에 길이방향을 따라 오목하고 기다란 복수 개의 공간 부위가 형성되는 벽체 매립 블럭부(200), 상기 벽체 매립 블럭부(200)의 상기 오목하고 기다란 복수 개의 공간 부위에 끼워져서 설치되는 천정 몰딩 부재로 형성되며, 실내 공기조화를 위한 공기 통로 부위인 공기 통로부(520)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몰딩 블럭부(500), 상기 몰딩 블럭부(500)의 밑면을 덮어주는 덮개 부재로 형성되는 덮개부(700), 상기 벽체 매립 블럭부(200)에 상기 몰딩 블럭부(500)를 체결시켜 주도록 형성되는 볼트 부재로 형성되는 고정 볼트부(900)를 포함한다.
상기 도 1에서는 상기 벽체 콘크리트(1200)에 매립된 상기 벽체 매립 블럭부(200)에 상기 몰딩 블럭부(500)가 결합되어 있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실내 설계에 따라 상기 공기 통로부(520)는 도 1에 도시된 것보다 더 크게 다양한 크기와 단면 모양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기 통로부(520)가 실외로 개방되는 부위에 흡기팬 또는 배기팬을 설치하여 실내에 공기조화를 해줄 수도 있고, 상기 공기 통로부(520)에 수직 방향의 연장 부위를 결합해서 건물의 옥상까지 연결하고 베르누이식 벤틸레이터를 설치하여 실내 환기가 되도록 해줄 수 있다.
상기 내용과 같이, 건축용 천정 몰딩 조립체에 공기 통로 부위인 상기 공기 통로부(520)가 형성되므로 공조기능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건축용 천정 몰딩 조립체에 공기 통로 부위가 형성되어 공조 기능을 구비한 건축용 천정 몰딩 조립체를 제공하는 목적을 달성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 공조 기능을 구비한 건축용 천정 몰딩 조립체의 구성요소인 벽체 매립 블럭부(200)의 사시단면도이다.
상기 벽체 매립 블럭부(200)는 몸체 부위로 형성되며, 상기 몰딩 블럭부(50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기다랗게 형성되는 벽체 매립 블럭부 몸체부(201), 상기 벽체 매립 블럭부 몸체부(201)의 중앙 부위에 상기 몰딩 블럭부(5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오목하고 기다란 공간 부위로 형성되어 상기 몰딩 블럭부(500)의 돌출부위와 결합하도록 형성되는 복수 개의 매립 블럭부 오목부(202), 상기 벽체 매립 블럭부 몸체부(201)의 노출 표면 부위 중 윗부분에 상기 몰딩 블럭부(50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복수 개의 원형 홈으로 형성되며, 상기 원형 홈 내부로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몰딩 블럭부(500)의 상부 부위와 함께 상기 고정 볼트부(900)에 의해 체결 결합 되도록 형성되는 상부 암나사부(205), 상기 벽체 매립 블럭부 몸체부(201)의 노출 표면 부위 중 아랫부분에 상기 몰딩 블럭부(50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복수 개의 원형 홈으로 형성되며, 상기 원형 홈 내부로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몰딩 블럭부(500)의 하부 부위와 함께 상기 고정 볼트부(900)에 의해 체결 결합 되도록 형성되는 하부 암나사부(206)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 2에서는 상기 벽체 콘크리트(1200) 타설 후, 상기 벽체 매립 블럭부(200)가 거푸집으로부터 분리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벽체 콘크리트(1200) 타설 시, 상기 상부 암나사부(205), 상기 하부 암나사부(206)가 거푸집과 함께 볼트 체결되었다가 상기 벽체 콘크리트(1200) 경화후 상기 볼트를 해체하여 상기 거푸집을 분리해 낸다.
도 3은 본 발명 공조 기능을 구비한 건축용 천정 몰딩 조립체의 구성요소인 몰딩 블럭부(500)의 사시도이다.
상기 몰딩 블럭부(500)는 몸체 부위로 형성되는 몰딩 블럭부 몸체부(501) 내부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속되는 공간부위로 형성되며, 실내 공기조화를 위한 공기 통로 부위로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위의 밑면에 흡기 또는 배기를 위한 관통구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흡배기 관통구(521)를 포함하는 공기 통로부(520), 상기 몰딩 블럭부 몸체부(501)의 측면 중에 상기 벽체 매립 블럭부(200)에 접촉하는 면으로부터 상기 벽체 매립 블럭부(200) 측으로 돌출되되 상기 몰딩 블럭부(50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기다랗게 돌출되는 복수 개의 돌출부로 형성되며, 상기 벽체 매립 블럭부(200)의 복수 개의 상기 매립 블럭부 오목부(202)와 결합하도록 형성되는 매립부 삽입부(530), 상기 몰딩 블럭부 몸체부(501)의 상부와 하부면으로 부터 돌출하되 상기 몰딩 블럭부(50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기다랗게 돌출되면서 상기 벽체 매립 블럭부(200)에 접촉하도록 형성되는 돌출부분으로 형성되며, 상기 몰딩 블럭부(50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복수 개의 원형 홈으로 형성되되 상기 원형 홈 내부로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벽체 매립 블럭부(200)의 상기 상부 암나사부(205)와 상기 하부 암나사부(206)와 함께 상기 고정 볼트부(900)에 의해 체결 결합 되도록 형성되는 고정부 상부 암나사부(515)와 고정부 하부 암나사부(516)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매립부 고정부(510), 상기 공기 통로부(520) 밑에 형성되는 빈 공간 부위로 형성되되 아랫면이 실내 쪽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되며, 통과하는 배전 전선(1500)이 얹혀지도록 형성되는 기다란 수평 돌출부위인 배전 전선 설치부(552)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하부 통로부(550), 상기 공기 통로부(520) 밑이면서 상기 하부 통로부(550)의 전면에 형성되며, 천정 마감재(1100)가 얹혀지도록 형성되는 기다란 걸림턱 부위인 천정 마감재 걸림턱부(572)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천정 마감재 걸침부(570), 상기 배전 전선 설치부(552) 밑에 기다란 오목부위로 형성되며, 상기 덮개부(700)의 한 쪽 단부가 끼워지도록 형성되는 덮개부 삽입홈부(592), 상기 천정 마감재 걸침부(570) 밑에 형성되며, 상기 덮개부(700)의 다른 쪽 단부가 얹혀지도록 형성되는 기다란 걸림턱 부분으로 형성되는 덮개부 걸침부(595)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 3은 상기 몰딩 블럭부(500)의 사시도로, 상기 배전 전선(1500)이 상기 배전 전선 설치부(552)에 설치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내용과 같이, 배전 전선 설치부위인 상기 배전 전선 설치부(552)를 이 용하여 공조 장치나 실내 조명 장치 등을 위한 배선을 해줄 수 있다.
따라서, 배전 전선 설치부위를 이용하여 공조 장치나 실내 조명 장치 등을 위한 배선을 해줄 수 있는 공조 기능을 구비한 건축용 천정 몰딩 조립체를 제공하는 목적을 달성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 공조 기능을 구비한 건축용 천정 몰딩 조립체의 구성요소인 덮개부(700)의 사시도이다.
상기 덮개부(700)는 몸체 부위로 형성되며, 상기 하부 통로부(550)의 개방된 아랫면을 덮어 주도록 형성되는 덮개부 몸체부(701), 상기 덮개부 몸체부(701)의 한 쪽 단부로 형성되며, 상기 몰딩 블럭부(500)의 상기 덮개부 삽입홈부(592)에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삽입단부(702), 상기 덮개부 몸체부(701)의 다른 쪽 단부로 형성되며, 상기 몰딩 블럭부(500)의 상기 덮개부 걸침부(595)에 걸쳐지도록 형성되는 걸침단부(705), 상기 삽입단부(702) 측의 상기 덮개부 몸체부(701)가 하향으로 돌출된 기다란 돌출부로 형성되며, 상기 몰딩 블럭부(500)의 하단부의 길이와 같게 돌출 되도록 형성되는 하향 돌출부(707), 상기 덮개부 몸체부(701)를 관통하는 복수 개의 관통구로 형성되며, 흡기 또는 배기를 위한 관통구로 형성되는 덮개부 관통구(709)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 4에서는 상기 덮개부 관통구(709)가 도시되어 있는데, 상기 덮개부 관통구(709)는 상기 흡배기 관통구(521)와 일치하는 위치 또는 근처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공조기능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덮개부 관통구(709)가 없는 상기 덮개부(700)가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덮개부(700)가 덮여지면서 천정 몰딩의 전체적인 장식이 완성된다.
상기 몰딩 블럭부(500)는 상기 공기 통로부(520)의 측면에 흡기 또는 배기를 위한 복수 개의 관통구로 형성되며, 상기 천정 마감재(1100) 쪽으로 연결되는 배관부(1700)와 연결되는 배관부 연결 관통부(525)를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 3은 상기 몰딩 블럭부(500)의 사시도로, 상기 배관부(1700)가 상기 배관부 연결 관통부(525)에 결합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내용과 같이, 상기 몰딩 블럭부(500), 상기 덮개부(700), 상기 고정 볼트부(900)는 조립부재이므로 손상된 부재가 있는 경우에는 해당 부재만 교체해 주면 지속적인 사용이 가능하다.
따라서, 조립부재로 형성되므로 손상된 부재가 있는 경우에는 해당 부재만 교체해 주면 지속적인 사용이 가능한 공조 기능을 구비한 건축용 천정 몰딩 조립체를 제공하는 목적을 달성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 공조 기능을 구비한 건축용 천정 몰딩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 공조 기능을 구비한 건축용 천정 몰딩 조립체의 구성요소인 벽체 매립 블럭부(200)의 사시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 공조 기능을 구비한 건축용 천정 몰딩 조립체의 구성요소인 몰딩 블럭부(500)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 공조 기능을 구비한 건축용 천정 몰딩 조립체의 구성요소인 덮개부(700)의 사시도이다.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 벽체 매립 블럭부 201 : 벽체 매립 블럭부 몸체부
202 : 매립 블럭부 오목부 205 : 상부 암나사부
206 : 하부 암나사부 500 : 몰딩 블럭부
501 : 몰딩 블럭부 몸체부 510 : 매립부 고정부
515 : 고정부 상부 암나사부 516 : 고정부 하부 암나사부
520 : 공기 통로부 521 : 흡배기 관통구
525 : 배관부 연결 관통부 530 : 매립부 삽입부
550 : 하부 통로부 552 : 배전 전선 설치부
570 : 천정 마감재 걸침부 572 : 배전 전선 설치천정 마감재 걸림턱부
592 : 덮개부 삽입홈부 595 : 덮개부 걸침부
700 : 덮개부 701 : 덮개부 몸체부
702 : 삽입단부 705 : 걸침단부
707 : 하향 돌출부 709 : 덮개부 관통구
900 : 고정 볼트부 1100 : 천정 마감재
1200 : 벽체 콘크리트 1500 : 배전 전선
1700 : 배관부

Claims (5)

  1. 건물 벽체 콘크리트(1200) 타설시 천정 몰딩 부재가 설치되는 부분에 매립되는 블럭 부재로 형성되며, 외부로 노출되는 표면 부위에 길이방향을 따라 오목하고 기다란 복수 개의 공간 부위가 형성되는 벽체 매립 블럭부(200);
    상기 벽체 매립 블럭부(200)의 상기 오목하고 기다란 복수 개의 공간 부위에 끼워져서 설치되는 천정 몰딩 부재로 형성되며, 실내 공기조화를 위한 공기 통로 부위인 공기 통로부(520)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몰딩 블럭부(500);
    상기 몰딩 블럭부(500)의 밑면을 덮어주는 덮개 부재로 형성되는 덮개부(700);
    상기 벽체 매립 블럭부(200)에 상기 몰딩 블럭부(500)를 체결시켜 주도록 형성되는 볼트 부재로 형성되는 고정 볼트부(900);
    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공조 기능을 구비한 건축용 천정 몰딩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 매립 블럭부(200)는
    몸체 부위로 형성되며, 상기 몰딩 블럭부(50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기다랗게 형성되는 벽체 매립 블럭부 몸체부(201);
    상기 벽체 매립 블럭부 몸체부(201)의 중앙 부위에 상기 몰딩 블럭부(5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오목하고 기다란 공간 부위로 형성되어 상기 몰딩 블럭부(500)의 돌출부위와 결합하도록 형성되는 복수 개의 매립 블럭부 오목부(202);
    상기 벽체 매립 블럭부 몸체부(201)의 노출 표면 부위 중 윗부분에 상기 몰딩 블럭부(50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복수 개의 원형 홈으로 형성되며, 상기 원형 홈 내부로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몰딩 블럭부(500)의 상부 부위와 함께 상기 고정 볼트부(900)에 의해 체결 결합 되도록 형성되는 상부 암나사부(205);
    상기 벽체 매립 블럭부 몸체부(201)의 노출 표면 부위 중 아랫부분에 상기 몰딩 블럭부(50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복수 개의 원형 홈으로 형성되며, 상기 원형 홈 내부로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몰딩 블럭부(500)의 하부 부위와 함께 상기 고정 볼트부(900)에 의해 체결 결합 되도록 형성되는 하부 암나사부(206);
    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벽체 매립 블럭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 기능을 구비한 건축용 천정 몰딩 조립체.
  3. 청구항 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몰딩 블럭부(500)는
    몸체 부위로 형성되는 몰딩 블럭부 몸체부(501) 내부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속되는 공간부위로 형성되며, 실내 공기조화를 위한 공기 통로 부위로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위의 밑면에 흡기 또는 배기를 위한 관통구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흡배기 관통구(521)를 포함하는 공기 통로부(520);
    상기 몰딩 블럭부 몸체부(501)의 측면 중에 상기 벽체 매립 블럭부(200)에 접촉하는 면으로부터 상기 벽체 매립 블럭부(200) 측으로 돌출되되 상기 몰딩 블럭부(50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기다랗게 돌출되는 복수 개의 돌출부로 형성되며, 상기 벽체 매립 블럭부(200)의 복수 개의 상기 매립 블럭부 오목부(202)와 결합하도록 형성되는 매립부 삽입부(530);
    상기 몰딩 블럭부 몸체부(501)의 상부와 하부면으로 부터 돌출하되 상기 몰딩 블럭부(50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기다랗게 돌출되면서 상기 벽체 매립 블럭부(200)에 접촉하도록 형성되는 돌출부분으로 형성되며, 상기 몰딩 블럭부(50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복수 개의 원형 홈으로 형성되되 상기 원형 홈 내부로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벽체 매립 블럭부(200)의 상기 상부 암나사부(205)와 상기 하부 암나사부(206)와 함께 상기 고정 볼트부(900)에 의해 체결 결합 되도록 형성되는 고정부 상부 암나사부(515)와 고정부 하부 암나사부(516)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매립부 고정부(510);
    상기 공기 통로부(520) 밑에 형성되는 빈 공간 부위로 형성되되 아랫면이 실내 쪽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되며, 통과하는 배전 전선(1500)이 얹혀지도록 형성되는 기다란 수평 돌출부위인 배전 전선 설치부(552)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하부 통로부(550);
    상기 공기 통로부(520) 밑이면서 상기 하부 통로부(550)의 전면에 형성되며, 천정 마감재(1100)가 얹혀지도록 형성되는 기다란 걸림턱 부위인 천정 마감재 걸림턱부(572)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천정 마감재 걸침부(570);
    상기 배전 전선 설치부(552) 밑에 기다란 오목부위로 형성되며, 상기 덮개부(700)의 한 쪽 단부가 끼워지도록 형성되는 덮개부 삽입홈부(592);
    상기 천정 마감재 걸침부(570) 밑에 형성되며, 상기 덮개부(700)의 다른 쪽 단부가 얹혀지도록 형성되는 기다란 걸림턱 부분으로 형성되는 덮개부 걸침부(595);
    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몰딩 블럭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 기능을 구비한 건축용 천정 몰딩 조립체.
  4. 청구항 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700)는
    몸체 부위로 형성되며, 상기 하부 통로부(550)의 개방된 아랫면을 덮어 주도록 형성되는 덮개부 몸체부(701);
    상기 덮개부 몸체부(701)의 한 쪽 단부로 형성되며, 상기 몰딩 블럭부(500)의 상기 덮개부 삽입홈부(592)에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삽입단부(702);
    상기 덮개부 몸체부(701)의 다른 쪽 단부로 형성되며, 상기 몰딩 블럭부(500)의 상기 덮개부 걸침부(595)에 걸쳐지도록 형성되는 걸침단부(705);
    상기 삽입단부(702) 측의 상기 덮개부 몸체부(701)가 하향으로 돌출된 기다란 돌출부로 형성되며, 상기 몰딩 블럭부(500)의 하단부의 길이와 같게 돌출 되도록 형성되는 하향 돌출부(707);
    상기 덮개부 몸체부(701)를 관통하는 복수 개의 관통구로 형성되며, 흡기 또는 배기를 위한 관통구로 형성되는 덮개부 관통구(709);
    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덮개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 기능을 구비한 건축용 천정 몰딩 조립체.
  5. 청구항 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몰딩 블럭부(500)는
    상기 공기 통로부(520)의 측면에 흡기 또는 배기를 위한 복수 개의 관통구로 형성되며, 상기 천정 마감재(1100) 쪽으로 연결되는 배관부(1700)와 연결되는 배관부 연결 관통부(525)를 더 포함하는 몰딩 블럭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 기능을 구비한 건축용 천정 몰딩 조립체.
KR1020080041154A 2008-05-02 2008-05-02 공조 기능을 구비한 건축용 천정 몰딩 조립체. KR1008673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1154A KR100867326B1 (ko) 2008-05-02 2008-05-02 공조 기능을 구비한 건축용 천정 몰딩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1154A KR100867326B1 (ko) 2008-05-02 2008-05-02 공조 기능을 구비한 건축용 천정 몰딩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7326B1 true KR100867326B1 (ko) 2008-11-06

Family

ID=40283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1154A KR100867326B1 (ko) 2008-05-02 2008-05-02 공조 기능을 구비한 건축용 천정 몰딩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732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0718U (ko) * 2013-08-08 2015-02-24 주식회사 케이씨씨 통기성 몰딩을 포함하는 천장 구조물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4533Y1 (ko) 2000-12-12 2001-05-15 이춘길 전선이 매입 가능한 천장 모서리 장식구
KR20010058144A (ko) * 1999-12-24 2001-07-05 이명섭 건축 내장용 다기능성 몰딩
KR200238760Y1 (ko) 2001-04-04 2001-10-10 이동규 전선보호용 몰딩부재
JP2004187968A (ja) 2002-12-12 2004-07-08 Sugatsune Ind Co Ltd 棚受け金具
KR200408468Y1 (ko) 2005-11-15 2006-02-09 임경옥 건물용 열교환식 공기순환몰딩
KR100616814B1 (ko) 2006-01-26 2006-08-29 주식회사 종합건축사사무소금성 건축용 천정 몰딩
KR100634821B1 (ko) 2006-07-01 2006-10-16 주식회사 현신종합건축사사무소 벽체 속에 삽입되는 건축물 천정 몰딩 조립체.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8144A (ko) * 1999-12-24 2001-07-05 이명섭 건축 내장용 다기능성 몰딩
KR200224533Y1 (ko) 2000-12-12 2001-05-15 이춘길 전선이 매입 가능한 천장 모서리 장식구
KR200238760Y1 (ko) 2001-04-04 2001-10-10 이동규 전선보호용 몰딩부재
JP2004187968A (ja) 2002-12-12 2004-07-08 Sugatsune Ind Co Ltd 棚受け金具
KR200408468Y1 (ko) 2005-11-15 2006-02-09 임경옥 건물용 열교환식 공기순환몰딩
KR100616814B1 (ko) 2006-01-26 2006-08-29 주식회사 종합건축사사무소금성 건축용 천정 몰딩
KR100634821B1 (ko) 2006-07-01 2006-10-16 주식회사 현신종합건축사사무소 벽체 속에 삽입되는 건축물 천정 몰딩 조립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0718U (ko) * 2013-08-08 2015-02-24 주식회사 케이씨씨 통기성 몰딩을 포함하는 천장 구조물
KR200488126Y1 (ko) 2013-08-08 2018-12-17 주식회사 케이씨씨 통기성 몰딩을 포함하는 천장 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1047B1 (ko) 공동주택 천정 전기 케이블 설치구조
KR100867326B1 (ko) 공조 기능을 구비한 건축용 천정 몰딩 조립체.
US20100084185A1 (en) Means for connecting a light fixture to a wall
KR100655881B1 (ko) 건축물 전기 단자함 고정구 구조
KR100609817B1 (ko) 공동주택용 천장 전기 단자함
US2665147A (en) Wire distributing floor structure
KR20090010869U (ko) 전선관 고정용 클램프
KR100616814B1 (ko) 건축용 천정 몰딩
KR200415779Y1 (ko) 배관 연결용 벽체 매립박스
KR200334688Y1 (ko) 천장 매입형 배선함
KR200289587Y1 (ko) 건축물의 슬래브용 앵커 볼트 고정구
KR101100872B1 (ko) 천장 매입형 접속함의 고정장치
KR20130000744U (ko) 전선관 접속용 아웃렛 박스
KR200436104Y1 (ko) 거푸집의 인서트 고정구
KR101638934B1 (ko) 공동주택용 전선단자함 고정구조
KR200402541Y1 (ko) 도관 설치구
KR200351231Y1 (ko) 콘크리트 실링박스
KR200254715Y1 (ko) 에어컨의 응축수 배수를 위한 장치함
KR200286055Y1 (ko) 건축물의 철근 배치용 스페이서 겸 앵커 볼트 고정구
KR200381012Y1 (ko) 덕트 고정부재
KR200345877Y1 (ko) 옥내배선용 접속함
KR101047311B1 (ko) 천정등용 접속함의 고정장치
KR200348839Y1 (ko) 4각 콘크리트 박스
CN213390829U (zh) 一种建筑作业内嵌式吊顶板
KR101180922B1 (ko) 공동주택용 전기분전함 고정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1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