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6678B1 - 경사각 및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공기조화용 이음관 - Google Patents

경사각 및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공기조화용 이음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6678B1
KR101036678B1 KR1020080115005A KR20080115005A KR101036678B1 KR 101036678 B1 KR101036678 B1 KR 101036678B1 KR 1020080115005 A KR1020080115005 A KR 1020080115005A KR 20080115005 A KR20080115005 A KR 20080115005A KR 101036678 B1 KR101036678 B1 KR 1010366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duct
fixed tube
inclination angle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50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56041A (ko
Inventor
허만재
신동규
Original Assignee
신동규
허만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동규, 허만재 filed Critical 신동규
Priority to KR10200801150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6678B1/ko
Publication of KR201000560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60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66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66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 F24F13/065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formed as cylindrical or spherical bodies which are rotata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09Duct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connecting means, e.g. fla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uct Arrangements (AREA)

Abstract

공기조화 시스템에 있어서 덕트(duct)와 에어디퓨저(air diffuser)를 연결하는 관으로서 경사각과 방향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공기조화용 이음관을 제공한다. 그 이음관은 고정부와 조절부를 포함하고, 조절부는 고정부의 상부에 연결되어 고정되며 다양한 형태로 경사각과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특히, 덕트와 에어디퓨저의 위치가 자연스럽게 연결될 수 없는 경우 또는 천장 내부의 공간이 좁은 경우에도 덕트의 모양을 자연스럽게 유지하고 환기의 효율을 최대화할 수 있다.
덕트, 에어디퓨저, 공기조화, 이음관

Description

경사각 및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공기조화용 이음관 {Connecting pipe for air conditioning with tilt angle and direction control function}
본 발명은 공기조화용 덕트(duct)와 에어디퓨저(air diffuser)를 연결하는 이음관에 관한 것으로, 특히 경사각 및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공기조화용 이음관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건설되는 건축물은 실내의 온도, 습도 및 청정도를 사용목적에 따라 알맞은 상태로 유지하기 위하여 공기조화를 위한 설비를 천장에 구비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건축물의 외부와 통하는 공기 흡입구, 배출구를 두고 이와 연결되는 천장 내부의 공간에 공기의 통로가 되는 덕트를 배치한다. 덕트는 실내의 천장에 배치되어 있는 에어디퓨저에 연결되며 덕트를 통해 흘러 들어온 공기는 에어디퓨저를 통하여 실내로 분배된다.
이때, 덕트와 에어디퓨저간에 공기의 흐름을 이어주고 외부로 공기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이음관이 필요하다. 그러나 종래의 이음관의 형태는 직선형의 원통관 또는 원통관이 필요에 따라 만곡되어 경사를 이루고 있는 형태이고, 일체형으로서 형태를 변형할 수 없게 되어 있다. 따라서 천장 내부의 공간이 덕트 의 직경에 비하여 좁은 경우 이음관과 덕트를 무리하게 연결해야 하므로 덕트의 연결 부위에 만곡이 심하게 일어날 수 있다. 이에 따라 덕트의 만곡 부위에 손상을 일으키고, 손상 부위에서 공기가 샐 수 있다. 또한, 손상에 되지 않은 경우라도 심하게 만곡된 형태로 인하여 공기의 흐름이 원활하지 못하거나 그 부위에 먼지 등의 오염물질이 쌓여 공기조화 기능을 저하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환기 덕트의 연결을 용이하게 하고 손상이나 오염물질의 침착을 방지하는 공기조화용 이음관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공기조화용 이음관은 상단과 하단이 개방된 반구형으로 이루어진 고정관과, 상기 고정관의 하단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에어디퓨저(air diffuser) 고정부로 형성된 고정부 및 상기 고정관의 상단에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고정관의 내면에 정합되는 반구형으로 이루어진 조절관과, 상기 조절관의 일측에 형성되어 덕트와 연결되는 덕트 연결부로 구성된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관의 상단은 상기 고정관의 하단의 둘레와 비스듬한 경사각을 이루는 원형으로 개방되어 상기 고정관의 내면에 정합된 상기 조절관의 일부와 경계부를 형성하며, 상기 경계부의 범위 내에서 상기 고정관에 대한 상기 조절관의 상기 경사각을 조정할 수 있고, 상기 덕트 연결부의 방향은 원형으로 개방된 상기 고정관의 상단 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가변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와 상기 조절부에 걸쳐 부착되며, 상기 고정관에 대한 상기 조절관의 상기 경사각을 상기 경계부의 범위 내에서 조절할 수 있는 결합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음관에 있어서, 상기 고정관의 상단은 상기 고정관의 하단과 평행하게 원형으로 개방되어, 상기 고정관의 내면에 정합된 상기 조절관의 일부와 경계부를 형성하며, 상기 경계부의 범위 내에서 상기 고정관에 대한 상기 조절관의 상기 경사각을 조정할 수 있고, 상기 덕트 연결부의 방향은 원형으로 개방된 상기 고정관의 상단 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가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절관은 힘에 의해 구부러질 수 있는 유연한 소재의 관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조절관의 일측은 상기 고정관의 상단에 연결되며, 타측은 상기 덕트 연결부가 배치되어, 상기 고정관에 대한 상기 조절관의 경사각과 상기 덕트 연결부의 방향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경사각 및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공기조화용 이음관은 이음관을 조절부와 고정부로 구성되어 조절부를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 이러한 이음관을 이용하면 덕트의 위치와 내벽과 천장 사이의 공간의 크기에 따라 가장 환기가 효율적으로 이루어 질 수 있는 모양으로 에어디퓨저와 연결 할 수 있다. 따라서 환기의 효율을 높이는 동시에 덕트의 손상이나 이물질의 침착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하에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다. 다음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며, 본 발명의 범 위가 이하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 분야에서 통 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완전한 설명을 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공기조화용 이음관을 포함한 공기조화를 위한 설비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에 의하면 공기의 통로가 되는 덕트(40)는 외부와 통하는 흡입구나 배출구와 연결되어 있고, 건축물 내벽(50)의 소정부분에 위치하며, 천장벽(10)에 배치되고 공기를 분배하는 에어디퓨저(20)와 연결된다. 이때, 덕트(40)와 에어디퓨저(20) 사이는 본 발명의 이음관(30)에 의해 밀폐되어 연결된다. 덕트(40)의 재질과 모양은 공기조화의 요구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이음관(30)과의 연결부분은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져 이음관(30)과 자연스럽게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이음관(30)은 내벽(50)과 천장판(10)으로 이루어진 공간(S)에 설치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이음관에 대한 다양한 사례를 제공할 것이다. 이때, 이음관의 주변부분은 도 1을 참조하기로 한다.
(제1 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의한 제1 공기조화용 이음관(30a)의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이음관(30a)은 크게 고정부(100)와 조절부(150)을 포함하고 전체적으로 튜브형태로 되어 있다.
고정부(100)는 고정관(102)과 에어디퓨저 고정부(104)로 구성된다. 고정 관(102)은 반구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하단이 개방되어 있고, 하단의 둘레를 따라서 에어디퓨저 고정부(104)가 배치된다. 또한 고정관(102)의 일측면은 하단의 둘레와 비스듬한 경사각를 이루는 원형으로 개방되어 조절부와의 경계부(106)를 형성한다. 이때, 경계부(106)는 제1 이음관(30a)의 경사각과 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영역으로, 도면에서는 경사각(θ1)에 의해 도출되는 부분이다.
한편, 조절부(150)는 조절관(152)과 덕트 연결부(154)로 구성된다. 조절관(152)은 고정관(102)의 내부에 끼워질 수 있도록 고정관(102)과 정합되는 반구형을 이루고 있으며, 고정관(102)의 경계부(106)에 끼워져 있는 형태이다. 즉, 고정관(102)에 끼워지는 조절관(152)는 고정관(102)의 내면에 일치하도록 결합한다. 따라서, 덕트(40)로부터 흘러 들어온 공기는 자연스럽게 이음관(30a)의 조절부(150)에서 고정부(100)로 흐르며 에어디퓨저(20)에 이를 수 있다.
나아가, 결합장치(160)는 고정부(100)와 조절부(150)에 걸쳐 부착될 수 있으며, 고정부(100)와 조절부(150)가 서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결합장치(160)를 축으로 하여 고정관(100)에 대한 조절부(150)의 경사각을 θ1의 범위에서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즉, 결합장치(160)가 펴지면 조절부(150)는 고정부(100)에서 빠져나와 고정부(100)와 일정한 경사각(θ1)을 이루게 되고, 결합장치(106)가 굽어지면 빠져나와 있던 조절부(150)는 고정부(100)에 끼워지며 고정부(100)와 이루는 경사각이 작아진다. 따라서 경계부(106)의 경사각(θ1)은 결합장치(106)의 굽어지는 정도에 의해 결정된다.
공기조화 시스템의 시공시 건축물 내벽(50)과 천장판(10) 사이의 공간(S)의 크기에 구애받지 않고 환기의 효율을 최대화할 수 있는 형태로 경사각(θ1)을 조절한 제1 이음관(30a)을 설치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제2 공기조화용 이음관(30b)에 관한 사시도이다. 이때, 제2 이음관(30b)은 결합장치(도 2의 160)가 없는 것을 제외하고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제1 이음관(30a)과 동일하다.
도 3을 참조하면, 조절부(150)는 고정부(100)의 개방된 부분으로 끼워져 경계부(106)를 형성하며, 경계부(106)에 의해 고정부(100)와 조절부(150)가 연결되어 고정된다. 왜냐하면 경계부(106)는 끼워지는 조절관(152)의 외면과 조절관(152)의 일부를 포함하는 고정관(102)의 내면이 일치되어 결합되는 구조이기 때문이다.
또한 결합장치(도 2의 160)를 부착하지 않음으로써 고정부(100)에 대한 조절부(150)의 경사각을 θ2의 범위에서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방향을 ΔR1의 가변범위에서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경사각(θ2)은 덕트 연결부(154)에 의해 제한되는 범위에서 도출될 수 있으므로, 덕트 연결부(154)와 경계부(106) 사이의 간격에 따라 그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가변범위(ΔR1)는 최대 360ㅀ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현되며, 고정부(100)에 대한 조절부(150)의 경사각(θ2) 및 방향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공기조화 시스템의 시공시 건축물 내벽(50)과 천장(10) 사이의 공간(S)의 크기, 덕트(40)의 위치 및 에어디퓨저(20)의 위치에 구애받지 않고 환기의 효율을 최대화할 수 있는 형태로 제2 이음관(30b)을 설치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제2 이음관(30b)이 덕트(40)와 결합할 때 경사각(θ2)과 방향을 자유롭게 조절함으로써, 이음관 부위의 손상을 막을 수 있다. 나아가, 공기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여 이음관 내부에 오염물질이 침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3 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제3 공기조화용 이음관(30c)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제3 이음관(30c)의 구조는 제1 이음관(30a) 및 제2 이음관(30b)과 동일하게 고정부(200)와 조절부(250)로 크게 나누어 볼 수 있다. 고정부(200)는 고정관(202)과 에어디퓨저 고정부(204)로 구성된다. 고정관(202)은 반구형의 형태이고, 개방된 하단의 둘레를 따라 에어디퓨저 고정부(204)가 배치된다. 고정관(202)의 상단은 하단의 에어디퓨저 고정부(204)와 평행하게 원형으로 개방되어 조절부(250)와의 경계부(206)를 형성한다.
한편, 조절부(250)는 조절관(252)과 덕트 연결부(254)로 구성된다. 조절관(252)은 고정관(202)의 형태와 부합되어 반구형으로 이루어져 있고, 하부의 일부는 고정관(202)의 내부에 끼워져 고정부(200)와의 경계부(206)를 형성한다. 이때, 별도의 고정부(200)과 조절부(250)를 결합하는 장치는 없으며, 도 3에서 도시한 제 2 이음관(30b)과 같이 조절관(252)의 외면과 고정관(202)의 내면이 일치하여 접촉함으로써 빈틈없이 기밀 되면서 고정된다. 또한, 조절관(252)의 상단은 덕트 연결부(254)가 배치되어 있다.
조절부(250)는 경사각(θ3)을 조절할 수 있고, ΔR2의 가변범위에서 방향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고정부(200)와 이루는 경사각(θ3) 및 덕트 연결부(254)가 향하는 방향을 자유롭게 정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제 3이음관(30c)은 상기 제 1이음관(30a) 및 제 2이음관(30b)에 비하여 조절부(250)의 방향을 변화시킬 수 있는 범위가 넓다. 또한 고정관(202)의 직경이 상대적으로 큰 경우, 내벽(50)과 천장벽(10) 사이의 공간(S)가 커도 이를 활용하기에 편리하다.
따라서, 공기조화 시스템의 시공시 건축물의 내벽(50)과 천장(10) 사이의 공간(S), 덕트(40)의 위치 및 에어디퓨저(20)의 위치에 따라 조절부(250)의 경사각 및 방향을 조절하여 환기의 효율을 최대화할 수 있는 형태로 시공할 수 있다.
(제4 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제4 공기조화용 이음관(30d)의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이음관(30d)의 구조는 앞서 제시한 제1 이음관 내지 제3 이음관과 같이 고정부(300)와 조절부(350)로 구성된다.
고정부(300)는 고정관(302) 및 에어디퓨저 고정부(304)로 구성된다. 이때, 고정관(302)은 반구형일 수 있으나, 제1 이음관 내지 제3 이음관과는 달리 고정관(302)의 내부에 조절관(352)의 일부를 삽입할 필요가 없으므로 상부가 절단된 원뿔 형태 등 부피를 줄일 수 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할 수 있다. 한편, 에어디퓨저 고정부(304)는 상기 제1 이음관 내지 제3 이음관과 마찬가지로 고정관(302) 하단의 둘레를 따라 배치된다.
조절부(350)는 조절관(352) 및 덕트 연결부(354)로 구성된다. 이때, 조절관(352)은 고정관(302)의 상단과 연결되어 있고, 조절관(352)의 상단에는 덕트 연결부(354)를 배치한다. 또한, 도시한 바와 같이, 조절관(352)은 유연한 재질을 이용한 주름이 잡힌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고정부(300)와 이루는 경사각 및 덕트 연결부(354)가 향하는 방향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상기 경사각 및 방향의 조절 기능은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공기조화 시스템의 시공을 편리하게 함은 물론 환기의 효율을 최대화할 수 있다. 다만, 조절관(352)은 주름이 없는 구조라도 재질이 유연하여 쉽게 구부러질 수 있는 것이라면 다른 형태도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즉, 상기 조절부를 고정부에 부착한 상태로 경사각과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구조라면 상기 실시예 들에서 제시한 형태 외에도 본 발명에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고정관은 반구형으로 제시 하였으나 그 외에도 조절부의 경사각과 방향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모든 형태를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공기조화 설비의 구조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이음관에 대한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이음관에 대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이음관에 대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이음관에 대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0: 천장판 20: 에어디퓨저
30: 이음관 30a: 제1 이음관
30b: 제2 이음관 30c: 제3 이음관
30d: 제4 이음관 40: 덕트
50: 내벽 100: 고정부
102: 고정관 104: 에어디퓨저 고정부
106: 경계부 150: 조절부
152: 조절관 154: 덕트 연결부
160: 결합장치 200: 고정부
202: 고정관 204: 에어디퓨저 고정부
206: 경계부 250: 조절부
252: 조절관 254: 덕트 연결부
300: 고정부 302: 고정관
304: 에어디퓨저 고정부 350: 조절부
352: 조절관 354: 덕트 연결

Claims (5)

  1. 상단과 하단이 개방된 반구형으로 이루어진 고정관과, 상기 고정관의 하단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에어디퓨저(air diffuser) 고정부로 형성된 고정부; 및
    상기 고정관의 상단에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고정관의 내면에 정합되는 반구형으로 이루어진 조절관과, 상기 조절관의 일측에 형성되어 덕트와 연결되는 덕트 연결부로 구성된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관의 상단은 상기 고정관의 하단의 둘레와 비스듬한 경사각을 이루는 원형으로 개방되어 상기 고정관의 내면에 정합된 상기 조절관의 일부와 경계부를 형성하며, 상기 경계부의 범위 내에서 상기 고정관에 대한 상기 조절관의 상기 경사각을 조정할 수 있고, 상기 덕트 연결부의 방향은 원형으로 개방된 상기 고정관의 상단 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가변할 수 있는 공기조화용 이음관.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와 상기 조절부에 걸쳐 부착되며, 상기 고정관에 대한 상기 조절관의 상기 경사각을 상기 경계부의 범위 내에서 조절할 수 있는 결합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용 이음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관의 상단은 상기 고정관의 하단과 평행하게 원형으로 개방되어, 상기 고정관의 내면에 정합된 상기 조절관의 일부와 경계부를 형성하며, 상기 경계부의 범위 내에서 상기 고정관에 대한 상기 조절관의 상기 경사각을 조정할 수 있고, 상기 덕트 연결부의 방향은 원형으로 개방된 상기 고정관의 상단 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가변할 수 있는 공기조화용 이음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관은 힘에 의해 구부러질 수 있는 유연한 소재의 관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조절관의 일측은 상기 고정관의 상단에 연결되며, 타측은 상기 덕트 연결부가 배치되어, 상기 고정관에 대한 상기 조절관의 경사각과 상기 덕트 연결부의 방향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용 이음관.
KR1020080115005A 2008-11-19 2008-11-19 경사각 및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공기조화용 이음관 KR1010366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5005A KR101036678B1 (ko) 2008-11-19 2008-11-19 경사각 및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공기조화용 이음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5005A KR101036678B1 (ko) 2008-11-19 2008-11-19 경사각 및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공기조화용 이음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6041A KR20100056041A (ko) 2010-05-27
KR101036678B1 true KR101036678B1 (ko) 2011-05-23

Family

ID=42280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5005A KR101036678B1 (ko) 2008-11-19 2008-11-19 경사각 및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공기조화용 이음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667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4853Y1 (ko) 2013-06-21 2014-10-17 주식회사원일 공기조화시스템의 디퓨저
JP2021135028A (ja) * 2020-02-28 2021-09-13 株式会社シバテック 空調システムにおけるノズル吹出口構造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81137A (ja) 1998-03-31 1999-10-15 Matsushita Seiko Co Ltd 空調用吹出口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81137A (ja) 1998-03-31 1999-10-15 Matsushita Seiko Co Ltd 空調用吹出口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4853Y1 (ko) 2013-06-21 2014-10-17 주식회사원일 공기조화시스템의 디퓨저
JP2021135028A (ja) * 2020-02-28 2021-09-13 株式会社シバテック 空調システムにおけるノズル吹出口構造
JP6994741B2 (ja) 2020-02-28 2022-01-14 株式会社シバテック 空調システムにおけるノズル吹出口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6041A (ko) 2010-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13639B2 (ja) 気体流れ調整機構及び空調装置
KR100767022B1 (ko) 공기조화용 디퓨져
US9709193B2 (en) Pliable air ducts with anti-condensation nozzles
US8038175B2 (en) HVAC duct assembly and support
EP3546845A1 (en) Air diffuser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KR100957122B1 (ko) 환기덕트의 디퓨저
EP2228607B1 (en) Controlled mechanical ventilation box with changeable direction inlet ports and outlet ports
US7022010B1 (en) Air conditioner with a circular air diffuser system
CN107366978A (zh) 天花机
CN105783118A (zh) 空调
KR101036678B1 (ko) 경사각 및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공기조화용 이음관
KR100910615B1 (ko) 공기조화용 디퓨져
US20090253366A1 (en) Ceiling vent diffuser
KR102235819B1 (ko) 편류 저감형 디퓨져
US20070167127A1 (en) Ventilation air distribution box
JP5660060B2 (ja) 室内機
KR200459987Y1 (ko) 공기 조화 장치
US20090079184A1 (en) Support for flexible duct bend
JP4251049B2 (ja) 加湿通路の接続用ジョイント
JP7478586B2 (ja) 給気制御装置及び空調システム
JP3510153B2 (ja) 空調用チャンバ
KR102219113B1 (ko) 투시창 구비형 실외기-갤러리창 연결조립체
US20200080295A1 (en) Wall sleeve system for a ventilation system
JP2021179262A5 (ko)
US10591179B2 (en) Flexible register boot for heated and cooled ai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