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5427B1 - 환기 시스템 - Google Patents

환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5427B1
KR102395427B1 KR1020200128096A KR20200128096A KR102395427B1 KR 102395427 B1 KR102395427 B1 KR 102395427B1 KR 1020200128096 A KR1020200128096 A KR 1020200128096A KR 20200128096 A KR20200128096 A KR 20200128096A KR 102395427 B1 KR102395427 B1 KR 1023954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exchanger
drain pan
bracket body
exchanger bracket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80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25400A (ko
Inventor
김준희
박상하
황정묵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101254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54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54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54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08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separate ducts for supplied and exhausted air with provisions for reversal of the input and output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2/00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 F24F12/001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30Arrangement or mounting of heat-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4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on the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7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in a wa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Blowing Cold Air, Devices For Blowing Warm Air, And Means For Preventing Water Condensation In Air 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 시스템은 천정형 및 벽걸이형 구조로 변환이 가능한 열교환기 장치를 포함하는 환기 시스템으로서, 열교환기 장치는, 일면을 통해 사각 박스 형상의 전열교환소자를 접촉 지지하는 소자 브라켓, 소자 브라켓의 타면을 향해 서로 교차하는 복수의 방향 중 선택된 하나의 방향으로 결합 가능하게 형성되는 열교환기 브라켓, 열교환기 브라켓에 설치되며 적어도 하나의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열교환기 조립체, 및 열교환기의 핀 방향과 수직으로 배치되도록 열교환기 브라켓에 결합되는 드레인 팬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환기 시스템{VENTILATION SYSTEM}
본 발명은 천정 및 벽걸이 설치가 가능한 열교환기 장치를 포함하는 환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동주택, 사무실 또는 백화점, 대형마트 등 건물의 오염된 실내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고, 외부의 새로운 공기를 실내공간으로 공급하기 위해 전열교환기를 포함한 환기 시스템이 사용되고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환기 시스템 및 그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 때, 도 1 및 도 2에 표현된 도면 부호들은 도 1 및 도 2의 구성 요소에만 한정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환기 시스템은 박스형 장치 몸체부(10)를 가진다. 장치 몸체부(10)의 내부의 설치 공간에 전열 교환기가 배치된다. 장치 몸체부(10)의 일측에는 제1 흡입구(11)와 제2 배출구(14)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제1 배출구(13)와 제2 흡입구(12)가 형성된다. 그리고, 제1 흡입구(11)와 제1 배출구(13)는 제1 유로를 통해 연결되고, 제2 흡입구(12)와 제2 배출구(14)는 제2 유로를 통해 연결된다. 이 때, 제1 유로와 제2 유로는 서로 엇갈리는 형상을 이루고 있다.
종래의 전열교환기는 정육면체 또는 직육면체 형상의 열교환 소자(20)를 갖는다. 열교환 소자(20)는 장치 몸체부(10)에 내장되는데, 열교환 소자(20)의 외부면은 설치공간의 내부 벽면과 45도 사이 각을 이루며 배치된다.
이러한 종래의 구성에 따르면, 실외공기는 제1 흡입구(11)로 유입된 후 열교환 소자(20)를 통과한다. 이어서, 실외공기는 열교환 소자(20)를 통과한 후 제1 배출구(13)를 통해 실내로 공급된다. 한편, 실내공기는 제2 흡입구(12)로 유입된 후 열교환 소자(20)를 통과한다. 이어서, 열교환 소자(20)를 통과한 실내공기는 제2 배출구(14)를 통해 실외로 배출된다. 이 때, 제1 유로와 제2 유로는 교차된 형태로 제공되며, 열교환 소자(20)는 제1 유료 및 제2 유로의 교차 지점에 위치한다. 그리고 열교환 소자(20)에는 필터가 배치되어 실외공기에 포함된 먼지를 걸러준다.
한편, 종래의 환기 시스템은 천정형 환기 시스템과 벽걸이형 환기 시스템으로 구분된다.
하지만, 설치 환경에 따라 각각의 환기 시스템은 구조 상 서로 개별적인 형태를 갖추고 있을 뿐이고, 천정형 및 벽걸이형으로 변환 가능한 환기 시스템은 현재까지 소개된 바가 없다. 예를 들어, 벽걸이형 환기 시스템을 실외기실의 한쪽 벽면에 설치하기에는 어려움이 따른다.
천정형 환기 시스템을 벽걸이형 환기 시스템으로 변경하거나, 또는 벽걸이형 환기 시스템을 천정형 환기 시스템으로 변경하려면, 열교환 소자 및 드레인 팬의 각도와 위치가 변경되어야 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문헌으로서, 대한민국 공개번호 제10-2018-0051139호는 전열교환기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다. 이에 개시된 종래의 전열교환기는 바이패스 유로가 열교환 유닛의 상측에 위치하여 사용자가 천장에 설치된 전열교환기의 열교환 유닛을 용이하게 설치 또는 분리할 수 있는 구조를 제시하고 있다. 다만, 종래의 전열교환기는 천정형 내지 벽걸이형으로 구조를 변경하기 위해서는 많은 제약이 따른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문헌으로서, 대한민국 공개번호 제10-2006-0098277호는 환기시스템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다. 이에 개시된 종래의 환기시스템은 본체 케이스의 바닥면에 점검 도어를 두어 내부 부품을 점검하거나 서비스할 수 있는 구조를 제시하고 있다. 다만, 종래의 환기시스템은 천정형 내지 벽걸이형으로 구조를 변경하는 것과 관련된 내용은 존재하지 않는다.
대한민국 공개번호 제10-2018-0051139호 대한민국 공개번호 제10-2006-0098277호
본 발명의 목적은 설치 환경에 따라 조립 상태를 변경하여 천정형 및 벽걸이형으로 자유롭게 설치 구조를 변환할 수 있는 열교환기 구조를 포함하는 환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환기 시스템의 열교환기 구조에 포함되는 구성요소 중 일부의 구성 요소를 공용화하여 금형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환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열교환기의 온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환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열교환기 브라켓에 맺힌 응축수를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환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열교환기 조립체 및 온도 센서 등과 연결된 하네스를 간편하게 수용 및 고정할 수 있는 환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 시스템은 설치 환경에 따라 조립 상태를 변경하여 천정형 구조 내지 벽걸이형 구조로 자유롭게 설치 형태를 변화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 시스템은 열교환기 장치에 포함되는 주요 구성요소 중에서 드레인 팬과 열교환기 브라켓 등을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어 금형 비용을 감소시키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 시스템은 온도 센서 체결부를 열교환기의 중심부의 인근에 설치함으로써 열교환기의 온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 시스템은 열교환기 조립체에서 발생되어 열교환기 브라켓에 맺힌 응축수를 드레인 팬으로 안내함으로써 응축수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 시스템은 절곡부 및 후크부를 형성함으로써 열교환기 조립체 및 온도 센서와 연결된 하네스를 간편하게 수용 및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 시스템은, 천정형 및 벽걸이형 구조로 변환이 가능한 열교환기 장치를 포함하는 환기 시스템으로서, 열교환기 장치는 열교환기 브라켓과, 열교환기 조립체, 및 드레인 팬을 포함한다. 열교환기 조립체는 열교환기 및 상기 열교환기에 연결되는 복수의 배관을 포함할 수 있다. 열교환기 브라켓은 복수의 방향 중 선택된 하나의 방향으로 배치되고, 열교환기 조립체가 설치될 수 있다. 드레인 팬은 열교환기의 핀 방향과 수직으로 배치되도록 열교환기 브라켓에 결합될 수 있다. 드레인 팬은, 드레인 팬의 제1 단부에 위치하는 제1 호스 홀, 제1 호스 홀에 인접하여 형성되며, 드레인 팬의 제1 단부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상기 복수의 배관을 지지하는 제1 배관 지지부, 드레인 팬의 제2 단부에 위치하며, 제1 호스 홀과 이격하여 형성되는 제2 호스 홀 및 제2 호스 홀에 인접하여 형성되며, 드레인 팬의 제2 단부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복수의 배관을 지지하는 제2 배관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열교환기 장치는 일면을 통해 사각 박스 형상의 전열교환소자를 접촉 지지하는 소자 브라켓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열교환기 브라켓은 소자 브라켓의 타면에서 결합 가능하게 배치되고, 복수의 방향은 소자 브라켓의 타면을 향해 서로 교차하는 방향일 수 있다.
이 때, 천정형 구조로 조립 시, 열교환기 브라켓이 소자 브라켓의 타면을 향해 제1 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고, 드레인 팬은 열교환기 브라켓의 상측에 수평으로 배치될 수 있고, 벽걸이형 구조로 조립 시, 열교환기 브라켓이 소자 브라켓의 타면을 향해 제2 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고, 드레인 팬은 열교환기 브라켓의 일측에 수직으로 기립 배치될 수 있고, 제2 방향은 제1 방향을 기준으로 90도로 회전된 방향일 수 있다.
이 때, 열교환기 브라켓은, 외측으로 설정길이만큼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체결돌기를 구비할 수 있고, 드레인 팬은, 체결돌기가 관통하여 체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장공을 구비할 수 있다.
이 때, 소자 브라켓은, 전열교환소자를 접촉하여 파지 가능하게 형성되는 사각 틀 형상의 제1 소자 브라켓 몸체, 제1 소자 브라켓 몸체의 타면 방향으로 돌출되며, 제1 소자 브라켓 몸체보다 축소된 크기를 갖는 제2 소자 브라켓 몸체 및 제2 소자 브라켓 몸체의 내측에서 타면 방향으로 돌출되며, 설정 크기의 가로 변과 세로 변을 갖는 제1 설치공간을 구비하는 제3 소자 브라켓 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열교환기 브라켓은, 제1 설치공간을 통해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 결합 가능한 사각 틀 형상의 외형을 갖는 제1 열교환기 브라켓 몸체 및 제1 열교환기 브라켓 몸체의 내측에서 타면 방향으로 돌출되며, 제1 열교환기 브라켓 몸체보다 축소된 크기를 가지며, 열교환기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어 설치되는 제2 설치공간을 구비하는 제2 열교환기 브라켓 몸체를 포함할 수 있되, 제2 방향은 제1 방향을 기준으로 90도로 회전된 방향일 수 있다.
이 때, 제1 배관 지지부 및 제2 배관 지지부 각각은, 드레인 팬의 몸체로부터 설정 높이로 단차지게 형성되는 단차부, 단차부의 하단에서 드레인 팬의 몸체 상부와 평행을 이루어 나란하게 연결되는 지지플레이트 및 지지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서로 간격을 두고 일직선 형상으로 절개되며, 복수의 배관을 삽입시키는 복수의 삽입 홀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열교환기 브라켓은 사각 박스 형상의 전열교환소자와 열교환기 조립체 사이에서 선택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고, 열교환기 브라켓의 일면은 전열교환소자를 접촉 지지할 수 있고, 드레인 팬은 열교환기 조립체의 하단에서 선택된 방향으로 배치되는 열교환기 브라켓의 타면과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천정형 구조로 조립 시, 열교환기 브라켓이 전열교환소자의 타면의 제1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고, 벽걸이형 구조로 조립 시, 열교환기 브라켓이 전열교환소자의 타면의 제2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2 방향은 제1 방향을 기준으로 90도로 회전된 방향일 수 있다.
이 때, 열교환기 브라켓은, 전열교환소자와 접촉하도록 형성되는 제1 열교환기 브라켓 몸체, 제1 열교환기 브라켓 몸체의 타면 방향으로 돌출되고, 제1 열교환기 브라켓 몸체보다 축소된 크기를 가지며, 내부에 드레인 팬 결합부가 형성된 제2 열교환기 브라켓 몸체 및 제2 열교환기 브라켓 몸체의 타면 방향으로 돌출되고, 제2 열교환기 브라켓 몸체보다 축소된 크기를 가지며, 열교환기의 적어도 일부 및 드레인 팬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어 설치되는 설치 공간이 구비된 제3 열교환기 브라켓 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드레인 팬 결합부는, 제2 열교환기 브라켓 몸체의 제1 측면과 나란하게 형성되고, 제2 열교환기 브라켓 몸체의 제1 측면과 수직한 제2 열교환기 브라켓 몸체의 제3 측면 및 제4 측면을 연결하는 제1 드레인 팬 결합부 및 제2 열교환기 브라켓 몸체의 제4 측면과 나란하게 형성되고, 제2 열교환기 브라켓 몸체의 제1 측면과 대향되는 제2 열교환기 브라켓 몸체의 제2 측면과 제2 열교환기 브라켓 몸체의 제1 측면을 연결하는 제2 드레인 팬 결합부를 포함하며, 제1 드레인 팬 결합부와 제2 드레인 팬 결합부는 제2 열교환기 브라켓 몸체의 내부에서 교차할 수 있다.
이 때, 제2 열교환기 브라켓 몸체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고, 온도 센서를 체결할 수 있다. 온도 센서 체결부가 형성될 수 있다. 온도 센서 체결부는, 제1 드레인 팬 결합부와 제2 드레인 팬 결합부가 교차하는 지점에서 제2 열교환기 브라켓 몸체의 중심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온도 센서 체결부는, 제1 열교환기 브라켓 몸체의 방향으로 형성되며, 온도 센서를 고정하는 클립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드레인 팬은, 드레인 팬의 제1 단부 및 제2 단부와 수직한 드레인 팬의 제3 단부의 중심부에 형성되는 열교환기 브라켓 결합부를 포함하되, 열교환기 브라켓 결합부는, 열교환기 브라켓의 제1 방향으로의 배치 시 제1 드레인 팬 결합부와 결합될 수 있고, 열교환기 브라켓의 제2 방향으로의 배치 시 제2 드레인 팬 결합부와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제2 열교환기 브라켓 몸체의 내부의 제1 측면, 제2 측면, 제3 측면 및 제4 측면 각각에 형성되고, 열교환기 조립체에서 발생되어 열교환기 브라켓에 맺힌 응축수를 드레인 팬으로 안내하는 제1 응축수 가이드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제1 응축수 가이드 중 적어도 하나는, 일단이 제2 열교환기 브라켓 몸체의 내부의 측면과 경사지게 연결되는 제1 서브 응축수 가이드 및 일단이 제1 서브 응축수 가이드의 타단과 경사지게 연결되는 제2 서브 응축수 가이드를 포함하되, 제1 서브 응축수 가이드와 제2 서브 응축수 가이드는 수직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드레인 팬은, 드레인 팬의 제1 단부 및 제2 단부와 수직한 드레인 팬의 제3 단부의 가장자리부에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 응축수 가이드 및 제3 응축수 가이드를 포함하되, 제2 응축수 가이드 및 제3 응축수 가이드는, 열교환기 브라켓의 제1 방향으로의 배치 시, 제2 열교환기 브라켓 몸체의 내부의 제1 측면 및 제2 측면에 형성된 제1 응축수 가이드와 결합할 수 있고, 열교환기 브라켓의 제2 방향으로의 배치 시, 제2 열교환기 브라켓 몸체의 내부의 제3 측면 및 제4 측면에 형성된 제1 응축수 가이드와 결합할 수 있다.
이 때, 제1 열교환기 브라켓 몸체에는 제1 열교환기 브라켓 몸체의 타면 방향으로 절곡되는 절곡부가 형성되되, 제2 열교환기 브라켓 몸체의 외부의 측면 중 하나의 측면과 절곡부 사이에 열교환기 조립체와 연결된 하네스가 수용될 수 있다.
이 때, 제2 열교환기 브라켓 몸체의 하나의 측면에 형성되는 후크부를 포함하되, 절곡부, 제2 열교환기 브라켓 몸체의 하나의 측면, 제1 열교환기 브라켓 몸체의 타면 및 후크부에 의해 하네스가 고정될 수 있다.
이 때, 드레인 팬의 내부에는 제1 호스 홀 및 제2 호스 홀 각각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적어도 하나의 이물질 거름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설치 환경에 따라 조립 상태를 자유롭게 변경하여 천정형 및 벽걸이형으로 설치 구조를 손쉽게 변환할 수 있는 열교환기 구조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환기 시스템의 열교환기 구조에 포함되는 구성요소 중에서 드레인 팬, 열교환기 브라켓 등의 공용 제작 및 사용을 통해 금형 비용을 줄이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열교환기의 온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열교환기 브라켓에 맺힌 응축수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열교환기 조립체 및 온도 센서 등과 연결된 하네스를 간편하게 수용 및 고정할 수 있다.
상술한 효과들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종래의 환기 시스템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환기 시스템의 내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천정형 환기 시스템의 열교환기 장치를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천정형 환기 시스템의 열교환기 장치를 간략히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드레인 팬을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환기 시스템의 열교환기 장치를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환기 시스템의 열교환기 장치를 간략히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환기 시스템을 간략히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환기 시스템의 일부를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 분해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환기 시스템을 간략히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환기 시스템의 점검 도어 폐쇄 및 개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천정형 환기 시스템의 점검 도어 폐쇄 및 개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7 및 1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서, 환기 시스템이 천정형 구조일 때의 열교환기 장치의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이다.
도 19 및 도 2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서, 환기 시스템이 벽걸이형 구조일 때의 열교환기 장치의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이다.
도 21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환기 시스템에 포함된 드레인 팬의 사시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 브라켓을 일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3은 도 22의 열교환기 브라켓의 일부분을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 브라켓을 타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서, 제1 방향으로 배치된 열교환기 브라켓이 드레인 팬과 결합하는 형상을 일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서, 제2 방향으로 배치된 열교환기 브라켓이 드레인 팬과 결합하는 형상을 일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 구성요소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구성요소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구성요소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상기 구성요소와 상기 구성요소 상에 (또는 하에)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이 개재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상기 구성요소들은 서로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각 구성요소는 단수일 수도 있고 복수일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되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환기 시스템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3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환기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여기서, 도 3 및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서, 환기 시스템이 천정형 구조일 때의 열교환기 장치의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환기 시스템에 포함된 드레인 팬의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서, 환기 시스템이 벽걸이형 구조일 때의 열교환기 장치의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기 시스템은 열교환기 장치(7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 장치(700)는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 환경에 따라 조립 상태를 변경하여 환기 시스템을 천정에 부착하거나(천정형), 벽에 부착할 수 있다(벽걸이형).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 장치(700)는 소자 브라켓(710), 열교환기 브라켓(730), 드레인 팬(750)을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어 금형 비용을 줄이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 장치(700)는 천정형(도 3 및 도 4 참조) 및 벽걸이형(도 6 및 도 7 참조)으로 구조 변환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열교환기 장치(700)는 소자 브라켓(710)과 열교환기 브라켓(730)과, 열교환기 조립체(720), 및 드레인 팬(750)을 포함한다.
소자 브라켓(710)은 일면을 통해 사각 박스 형상의 전열교환소자를 접촉 지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열교환기 브라켓(730)은 소자 브라켓(710)의 타면을 향해 서로 교차하는 복수의 방향 중 선택된 하나의 방향으로 결합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열교환기 조립체(720)는 열교환기 브라켓(730)에 설치된다. 열교환기 조립체(720)는 적어도 하나의 열교환기(721)를 포함한다.
드레인 팬(750)은 열교환기 브라켓(730)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드레인 팬(750)은 열교환기(721)의 핀 방향과 수직으로 배치될 수 있는데, 이를 통해 드레인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다.
여기서, 열교환기 조립체(720)는 천정형 및 벽걸이형에 따라 배관(723) 부품 및 구조가 서로 다르다. 하지만, 소자 브라켓(710), 열교환기 브라켓(730), 드레인 팬(750), 즉 3개의 주요 구성요소에 해당되는 부품은 공용으로 사용이 가능하여 금형 비용을 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열교환기 장치(700)는 천정형 설치 구조로 조립되어 있다. 천정형 설치 구조로 조립되는 경우, 열교환기 브라켓(730)은 소자 브라켓(710)의 타면에서 제1 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다. 드레인 팬(750)은 열교환기 브라켓(730)의 상측에 수평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열교환기 장치(700)는 전술한 도 3 및 도 4의 천정형 설치 구조와 달리 벽걸이형 설치 구조로 조립되어 있다. 벽걸이형 구조로 조립되는 경우, 열교환기 브라켓(730)은 소자 브라켓(710)의 타면에서 제2 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방향은 제1 방향으로부터 반 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된 방향을 의미한다. 드레인 팬(750)은 열교환기 브라켓(730)의 일측에 수직으로 세워진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드레인 팬(750)은 열교환기 브라켓(730)의 설정된 위치로만 안내되어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열교환기 브라켓(730)은 외측으로 미리 설정된 길이만큼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체결돌기(735)를 구비할 수 있고, 드레인 팬(750)은 체결장공(755)을 구비할 수 있다. 열교환기 브라켓(730)의 체결돌기(735)에 드레인 팬(750)의 체결장공(755)이 삽입되어 열교환기 브라켓(730)과 드레인 팬(750)이 설정된 위치에서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소자 브라켓(710)은 제1 소자 브라켓 몸체(711)와, 제2 소자 브라켓 몸체(713)와, 제3 소자 브라켓 몸체(715)를 포함한다.
제1 소자 브라켓 몸체(711)는 전열교환소자(210, 도 9 참조)를 접촉하여 잡아줄 수 있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소자 브라켓 몸체(713)는 제1 소자 브라켓 몸체(711)의 타면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2 소자 브라켓 몸체(713)는 제1 소자 브라켓 몸체(711)보다 축소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제3 소자 브라켓 몸체(715)는 제2 소자 브라켓 몸체(713)의 내측에서 타면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3 소자 브라켓 몸체(715)에는 가로 변(7151)과 세로 변(7152)을 갖는 제1 설치 공간(716)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열교환기 브라켓(730)은 제1 열교환기 브라켓 몸체(731)와, 제2 열교환기 브라켓 몸체(733)를 포함한다.
제1 열교환기 브라켓 몸체(731)는 열교환기 조립체(720)를 고정하는 브라켓 부재를 의미한다.
제1 열교환기 브라켓 몸체(731)는 사각 틀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열교환기 브라켓 몸체(731)는 제1 설치 공간(716)에서 제1 방향으로 결합되거나(도 3 및 도 4 참조), 또는 제2 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다(도 6 및 도 7 참조). 즉, 제1 열교환기 브라켓 몸체(731)는 제1 설치 공간(716)에서 제1 방향 및 제2 방향 중 어느 방향으로도 설치가 가능하다. 이를 위해 제1 열교환기 브라켓 몸체(731)는 제1 설치 공간(716)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열교환기 브라켓 몸체(733)는 제1 열교환기 브라켓 몸체(731)의 내측에서 타면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2 열교환기 브라켓 몸체(733)는 제1 열교환기 브라켓 몸체(731)보다 축소된 크기를 가지며, 제2 열교환기 브라켓 몸체(733)에는 열교환기(721)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어 설치되는 제2 설치 공간(736)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열교환기 조립체(720)는 열교환기(721)와, 열교환기(721)에 연결되는 복수의 배관(723)을 포함한다. 복수의 배관(723)은 천정형 및 벽걸이형에 따라 구조 및 형태가 상이할 수 있으며, 반드시 도시된 형상에 한정되지 않으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열교환기 조립체(720)는 복수의 배관(723)에 연결되는 전자식 팽창밸브(725)와, 복수의 배관(723) 각각에 배치되어 각각의 배관(723)을 유동하는 냉매를 필터링하는 스트레이너(727)를 포함한다. 그리고 열교환기 조립체(720)의 복수의 배관(723) 각각의 말단에는 연결소켓(729)이 더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드레인 팬(750)은 복수의 호스 홀(751, 753)과, 복수의 배관 지지부(756, 758)를 구비할 수 있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복수의 호스 홀(751, 753)과, 복수의 배관 지지부(756, 758)를 설명한다
제1 호스 홀(751)은 드레인 팬(750)의 제1 단부에 위치할 수 있고, 제2 호스 홀(753)은 드레인 팬(750)의 제2 단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 때, 제1 단부와 제2 단부는 대향하며, 제2 호스 홀(753)은 제1 호스 홀(751)과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2 호스 홀(753)은 제1 호스 홀(751)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유로가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호스 홀(751)이 드레인 팬(750)의 길이 방향으로 뚫린 유로를 갖는 경우, 제2 호스 홀(753)은 드레인 팬(750)의 두께 방향으로 뚫린 유로를 가질 수 있다. 이로써, 제1 호스 홀(751) 및 제2 호스 홀(753)은 드레인 팬(750)의 결합 방향에 무관하게 배치 방향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열교환기 장치(700)가 천정형 및 벽걸이형 중 어느 하나로 설치되는 경우, 제1 및 제2 호스 홀(751, 753) 중 하나의 호스 홀은 개방되어 사용되고, 나머지 호스 홀은 마개 등을 통해 밀폐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천정형 구조로 환기 시스템이 설치되는 경우(도 3 및 도 4 참조), 드레인 팬(750)은 열교환기 장치(700)의 상부에 수평으로 배치되며, 제1 호스 홀(751)은 개방되고, 제2 호스 홀(753)은 밀폐될 수 있다. 반대로, 벽걸이형 구조로 환기 시스템이 설치되는 경우(도 6 및 도 7 참조), 드레인 팬(750)은 열교환기 장치(700)의 일측에 수직으로 배치되며, 제1 호스 홀(751)은 밀폐되고, 제2 호스 홀(753)은 개방된다.
복수의 배관 지지부(756, 758)는 드레인 팬(750)의 길이 방향 양단부에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배관 지지부(756, 758)는 제1 배관 지지부(756)와 제2 배관 지지부(758)를 포함한다. 제2 배관 지지부(758)는 제1 배관 지지부(756)의 반대 편에 위치한다.
제1 배관 지지부(756)는 제1 호스 홀(751)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천정형 구조로 환기 시스템이 설치되는 경우, 제1 배관 지지부(756)에는 열교환기 조립체(720)에 연결된 복수의 배관(723)이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배관 지지부(756)는 드레인 팬(750)의 제1 단부를 드레인 팬(750)의 몸체(752)로부터 미리 설정된 높이로 단차지게 형성되는 단차부(7561)와, 단차부(756)에 연결된 지지플레이트(7562)를 포함한다. 지지플레이트(7562)는 단차부(7561)의 하단에서 드레인 팬의 몸체(752) 상부 면과 평행을 이루도록 외측으로 나란히 연결될 수 있다.
제1 배관 지지부(756)는 지지플레이트(7562)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1 삽입 홀(757)을 더 포함한다. 제1 삽입 홀(757)은 지지플레이트(7562)를 관통하여 서로 간격을 두고 일직선 형상으로 이루어진 2개의 직선 홀을 의미한다. 천정형 구조로 환기 시스템이 설치되는 경우 복수의 배관(723)이 제1 삽입 홀(757)에 삽입된다.
제1 삽입 홀(757)은 제1 개방부(7571)을 구비한다. 제1 개방부(7571)는 복수의 배관(723)이 제1 삽입 홀(757)에 손쉽게 삽입될 수 있도록 제1 삽입 홀(757)의 일부를 외부와 연통시킨 부분을 의미한다. 제1 개방부(7571)에 의해 배관(723)의 사이드 방향 삽입이 가능해 질 수 있다.
요컨대, 복수의 배관(723)은 천정형 구조로 환기 시스템이 설치되는 경우 제1 개방부(7571)를 통해 제1 삽입 홀(757)의 내부로 삽입되어, 제1 배관 지지부(756)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제2 배관 지지부(758)는 제2 호스 홀(753)에 인접하여 위치한다. 제2 배관 지지부(758)는 제1 배관 지지부(756)와 달리 벽걸이 구조로 환기 시스템이 설치되는 경우 복수의 배관(723)을 삽입시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제2 배관 지지부(758)는 드레인 팬(750)의 제2 단부를 통해 단차지게 형성된 단차부와, 지지플레이트를 포함한다. 단차부와 지지플레이트에 관한 설명은 제1 배관 지지부(756)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제2 배관 지지부(758)는 제2 삽입 홀(759)를 더 포함한다. 제2 삽입 홀(759)은 제1 삽입 홀(757)과 동일하게 서로 간격을 두고 일직선 형상으로 이루어진 2개의 직선 홀일 수 있다. 다만, 제2 삽입 홀(759)은 제1 삽입 홀(757)과 달리 벽걸이 구조로 환기 시스템이 설치되는 경우 복수의 배관(723)이 삽입되는 설치 홀로 이용될 수 있다.
제2 삽입 홀(759)에도 제2 개방부(7591)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제2 개방부(7591)은 복수의 배관(723)이 제2 삽입 홀(759)에 손쉽게 삽입될 수 있도록 제2 삽입 홀(759)의 일부를 외부와 연통시킨 부분을 의미한다. 제2 개방부(7591)에 의해 배관(723)의 사이드 방향 삽입이 가능해 질 수 있다.
요컨대, 복수의 배관(723)은 벽걸이형 구조로 환기 시스템이 설치되는 경우, 제2 개방부(7591)를 통해 제2 삽입 홀(759)의 내부로 손쉽게 삽입되어 제2 배관 지지부(758)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제1 및 제2 배관 지지부(756, 758)는 배관(723)으로부터 낙하하는 물(즉, 응축수)이 드레인 팬(750)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하여 물의 외부 유출을 차단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 설명될 환기 시스템은 전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천정형 및 벽걸이형으로 구조 변환이 가능한 열교환기 장치(700)를 포함하는 환기 시스템으로서, 반드시 도시된 형태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8 내지 도 12에 도시된 환기 시스템은 벽걸이형 환기 시스템을 예시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환기 시스템의 평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환기 시스템은 장치 몸체부(100)를 포함한다. 장치 몸체부(100)는 사각 박스 형상을 가지며, 내부에는 소정의 설치 공간(100a)이 형성된다.
장치 몸체부(100)에는 제1 흡입구(110), 제2 흡입구(120), 제1 배출구(130), 제2 배출구(140)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제1 및 제2 배출구(130, 140)는 제1 및 제2 흡입구(110, 12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흡입구(110), 제2 배출구(140), 제1 배출구(130), 제2 흡입구(120)가 장치 몸체부(100)의 일측에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장치 몸체부(100)의 내부에 마련된 설치 공간(100a)은 전열교환기(200)의 외형에 대응하는 크기 및 형상을 갖는 홈일 수 있다.
장치 몸체부(100)에는 제1 유로(300)가 형성된다. 제1 유로(300)는 제1 흡입 유로(310), 제1 열교환 유로(320), 제1 배출 유로(330)를 포함한다.
제1 흡입 유로(310)는 제1 흡입구(110)와 설치 공간(100a)의 일단부를 연결하여 형성되는 유로일 수 있다. 제1 열교환 유로(320)는 설치 공간(100a)에 배치되는 전열교환기(200)를 통과하는 유로일 수 있다. 제1 배출 유로(330)는 전열교환기(200)의 후단과 제1 배출구(130)를 연결하는 유로이다.
또한, 장치 몸체부(100)에는 제2 유로(400)가 형성된다. 제2 유로(400)는 제2 흡입 유로(410), 제2 열교환 유로(420), 제2 배출 유로(430)를 포함한다.
제2 흡입 유로(410)는 제2 흡입구(120)와 설치 공간(100a)의 하단을 연결하는 유로일 수 있다. 제2 흡입 유로(410)는 L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실내 공기를 유입시킨다. 제2 열교환 유로(420)는 설치 공간(100a)에 배치되는 전열교환기(200)를 통과하는 유로일 수 있다. 제2 배출 유로(430)는 전열교환기(200)와 제2 배출구(140)를 연결하는 유료일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환기 시스템의 일부인 전열교환기 구성을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 분해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
전열교환기(200)는 전열교환소자(210) 및 필터 설치부(220)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전열교환소자(210)는 정육면체 또는 직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전열교환소자(210)는 4개의 면을 구비할 수 있고, 각각을 제1 면부(S1), 제2 면부(S2), 제3 면부(S3) 및 제4 면부(S4)로 호칭한다. 그리고 필터 설치부(220)는 전열교환소자(210)의 제1 면부(S1)에 설치될 수 있다.
필터 설치부(220)는 브라켓(221)과 필터 고정 프레임(222)을 포함한다.
브라켓(221)의 상단에는 상하로 뚫린 슬라이딩 홀(221a)이 구비된다. 또한, 슬라이딩 홀(221a)에는 삽입홈(221b)이 더 구비된다.
필터 고정 프레임(222)은 사각 틀 형상의 부재이다. 구체적으로, 필터 고정 프레임(222)은 슬라이딩 홀(221a)에 슬라이딩 결합 가능한 형상을 가진다. 예컨대, 브라켓(221)의 내부에는 필터 고정 프레임(222)이 슬라이딩 수납 가능하게 삽입을 가능하게 해주는 레일이 더 구비될 수 있다.
필터부(230)는 필터 고정 프레임(222)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필터부(230)는 프리 필터(231)와 헤파 필터(232)를 포함할 수 있다. 프리 필터(231)와 헤파 필터(232)는 서로 밀착 배치되며, 필터 고정 프레임(222)의 내측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다.
필터 고정 프레임(222)의 상단에는 연장 부재(223)가 더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연장 부재(223)는 브라켓(221)의 상단에 구비된 삽입홈(221a)에 삽입될 수 있으며, 손잡이 역할을 할 수 있다.
필터 설치부(200)는 전열교환소자(210)의 제1 면부(S1)에 설치될 수 있다. 이 때,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술한 본 발명의 열교환기 장치(700)는 전열교환소자(210)의 제2 면부(S2)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면부(S1, S2)는 제1 열교환 유로(320, 도 8 참조)를 따른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환기 시스템에서, 전열교환기(200)는 필터 설치부(220), 전열교환소자(210), 열교환기 장치(700)가 서로 연결되며, 일체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열교환 장치(700)는 소자 브라켓(710), 열교환기 조립체(720), 열교환기 브라켓(730), 드레인 팬(750)을 포함하는데, 이에 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전열교환소자(210)의 제3 면부(S3)에는 프리 필터(233)가 배치될 수 있다. 프리 필터(233)는 필터 설치부(220)와 열교환기 장치(700) 사이에 양단이 고정될 수 있다.
요컨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열교환기 장치(700)가 전열교환소자(210)의 제2 면부(S2)에 설치되며, 장치 몸체부(100)의 외부에 배관을 연결하는 종래기술에 비해 환기 시스템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아울러, 모듈 방식으로 장치 몸체부(100)에 설치될 수 있어 유지 보수를 위해 모듈의 해체 및 재설치가 손쉬운 장점이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환기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조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장치 몸체부(100)는 제1 몸체(101), 제2 몸체(102), 제3 몸체(103)를 포함한다.
제1 몸체(101)는 장치 몸체부(100)의 하단부의 몸체와 대응된다. 제1 몸체(101)의 내부에는 제1 및 제2 유로(300, 400)가 형성된다. 제1 몸체(101)의 내부 바닥에는 설치 공간(100a)의 하단부를 형성하는 하단부 설치부재(100b)가 위치한다.
제2 몸체(102)는 제1 몸체(101)의 상부에 조립된다.
제3 몸체(103)는 제2 몸체(102)의 절개부(102b)의 상부에서 결합된다.
한편, 전열교환소자(210), 필터 설치부(220), 및 열교환기 장치(700)를 포함하여 모듈 형태로 마련된 전열교환기(200)는 장치 몸체부(100)의 내부에 마련된 설치 공간(102a)을 통해 수납되어 위치 고정될 수 있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환기 시스템을 나타낸 것이고, 도 15 및 도 16은 천정형 환기 시스템을 나타낸 것이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벽걸이형 환기 시스템은 외기구 플렌지(510), 배기구 플렌지(520), 급기구 플렌지(530), 및 환기구 플렌지(540)가 위를 향하여 상향 배치된다. 이 때, 제1 몸체(101)는 벽면에 설치될 수 있다.
벽걸이형 환기 시스템에서, 모듈 형태로 마련된 전열교환기(200)의 설치 수납 및 내부 점검을 위한 점검 도어(108)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점검 도어(108)는 제2 몸체(102)에 힌지로 연결되어 개폐 가능하게 회동 조작될 수 있다.
도 14에서는 벽걸이형 환기 시스템에서 점검 도어(108)의 개방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제1 몸체(101)가 벽면에 고정될 경우, 점검 도어(108)는 고정 면의 반대 방향으로 회동하여 개방되는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다만, 반드시 도시된 개방 구조에 한정되지 않으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다양한 구조로 변경되어도 무방하다.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천정형 환기 시스템은 외기구 플렌지(510), 배기구 플렌지(520), 급기구 플렌지(530), 및 환기구 플렌지(540)가 사이드 방향으로 배치된다. 이 때, 제1 몸체(101)는 천정에 설치될 수 있다.
천정형 환기 시스템에서, 모듈 형태로 마련된 전열교환기(200)의 설치 수납 및 내부 점검을 위한 점검 도어(108)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점검 도어(108)는 제2 몸체(102)에 힌지로 연결되어 개폐 가능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도 16에서는 천정형 환기 시스템에서 점검 도어(108)의 개방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제1 몸체(101)가 천정에 고정될 경우, 점검 도어(108)는 천정의 반대 방향으로 회동하여 개방될 수 있다. 한편, 점검 도어(108)가 사용자의 의도와 달리 자중에 의해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점검 도어(108)의 닫힘 상태에서 개방동작을 구속하는 잠금 장치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정리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환기 시스템은 설치 환경에 따라 조립 상태를 자유롭게 변경하여 천정형 내지 벽걸이형 환기 시스템으로 설치 구조를 손쉽게 변환할 수 있는 유리한 기술적 효과가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환기 시스템은 열교환기 장치에 필수적으로 포함되는 드레인 팬, 소자 브라켓, 열교환기 브라켓, 즉 3개의 부품을 공용화하여 사용할 수 있어 제작 비용을 줄이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리한 기술적 효과가 있다.
도 17 내지 도 2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환기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여기서, 도 17 및 1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서, 환기 시스템이 천정형 구조일 때의 열교환기 장치의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이다. 도 19 및 도 2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서, 환기 시스템이 벽걸이형 구조일 때의 열교환기 장치의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이다. 도 21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환기 시스템에 포함된 드레인 팬의 사시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 브라켓을 일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23은 도 22의 열교환기 브라켓의 일부분을 확대한 사시도이고, 도 2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 브라켓을 타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서, 제1 방향으로 배치된 열교환기 브라켓이 드레인 팬과 결합하는 형상을 일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2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서, 제2 방향으로 배치된 열교환기 브라켓이 드레인 팬과 결합하는 형상을 일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한편, 상기에서 설명한 도 8 내지 도 16에서 설명한 내용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환기 시스템에도 동일 또는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환기 시스템의 구조 및 형상에 대해서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7 내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 장치(800) 역시 천정형(도 17 및 도 18 참조) 및 벽걸이형(도 19 및 도 20 참조)으로 구조 변환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열교환기 장치(800)는 열교환기 조립체(820), 열교환기 브라켓(830) 및 드레인 팬(850)을 포함한다. 이 때,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포함된 소자 브라켓(710)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포함되지 않는다.
열교환기 브라켓(830)은 전열교환소자(210, 도 9 참조)를 접촉 지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열교환기 브라켓(830)은 전열교환소자(210)와 열교환기 조립체(820) 사이에서 복수의 방향 중 선택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선택된 방향은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일 수 있다. 제1 방향은 천정형 구조로 열교환기 장치(800)를 조립할 때의 방향이다. 즉, 천정형 구조로 조립 시, 열교환기 브라켓(830)은 전열교환소자(210)의 타면의 제1 방향으로 배치된다. 제2 방향은 벽걸이형 구조로 열교환기 장치(800)를 조립할 때의 방향이다. 즉, 벽걸이형 구조로 조립 시, 열교환기 브라켓(830)은 전열교환소자(210)의 타면의 제2 방향으로 배치된다. 이 때, 제2 방향은 제1 방향을 기준으로 90도로 회전된 방향일 수 있다.
열교환기 조립체(820)는 열교환기 브라켓(830)에 설치될 수 있다. 즉, 열교환기 브라켓(830)의 일면에는 전열교환소자(200)가 접촉하고, 열교환기 브라켓(830)의 타면에는 열교환기 조립체(820)가 설치될 수 있다. 열교환기 조립체(820)는 적어도 하나의 열교환기(821)를 포함한다.
드레인 팬(850)은 열교환기 브라켓(830)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드레인 팬(850)은 열교환기(821)의 핀 방향과 수직으로 배치될 수 있는데, 이를 통해 드레인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다.
여기서, 열교환기 조립체(820)는 상기에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천정형 및 벽걸이형에 따라 배관(823) 부품 및 구조가 서로 다르다. 하지만, 열교환기 브라켓(830) 및 드레인 팬(850), 즉 2개의 주요 구성요소에 해당되는 부품은 공용으로 사용이 가능하여 금형 비용을 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면, 열교환기 장치(800)는 천정형 설치 구조로 조립되어 있다. 천정형 설치 구조로 조립되는 경우, 열교환기 브라켓(830)은 전열교환소자(200)의 타면에서 제1 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다. 드레인 팬(850)은 열교환기 조립체(820)의 하단에서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방향으로 배치된 열교환기 브라켓(830)의 타면의 하단과 결합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하면, 열교환기 장치(800)는 도 17 및 도 18의 천정형 설치 구조와 달리 벽걸이형 설치 구조로 조립되어 있다. 벽걸이형 구조로 조립되는 경우, 열교환기 브라켓(830)은 전열교환소자(200)의 타면에서 제2 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다. 드레인 팬(850)은 열교환기 조립체(820)의 하단에서 배치될 수 있으며, 제2 방향으로 배치된 열교환기 브라켓(830)의 타면의 하단과 결합할 수 있다.
한편, 드레인 팬(850)과 열교환기 브라켓(830)의 결합의 상세한 내용은 후술하기로 한다.
열교환기 브라켓(830)은 제1 방향(도 17 및 도 18 참조) 또는 제2 방향(도 19 및 도 20 참조)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제1 열교환기 브라켓 몸체(831), 제2 열교환기 브라켓 몸체(833) 및 제3 열교환기 브라켓 몸체(835)를 포함한다.
제1 열교환기 브라켓 몸체(831)는 사각 틀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열교환기 브라켓 몸체(831)의 일면은 사각 박스 형상의 전열교환소자(200)의 타면과 접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열교환기 브라켓 몸체(833)는 제1 열교환기 브라켓 몸체(831)의 내측에서 타면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2 열교환기 브라켓 몸체(833)는 제1 열교환기 브라켓 몸체(831)보다 축소된 크기를 가질 수 있으며, 내부에 드레인 팬 결합부(833a), 온도 센서 체결부(833b) 및 제1 응축수 가이드(833c)가 형성될 수 있다.
제3 열교환기 브라켓 몸체(835)는 제2 열교환기 브라켓 몸체(833)의 내측에서 타면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3 열교환기 브라켓 몸체(835)는 제2 열교환기 브라켓 몸체(833)보다 축소된 크기를 가질 수 있으며, 열교환기(821)의 적어도 일부 및 드레인 팬(850)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어 설치되는 설치 공간이 구비될 수 있다.
열교환기 브라켓(830)의 구조 및 형상은 아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열교환기 조립체(820)는 열교환기(821)와, 열교환기(821)에 연결되는 복수의 배관(823)을 포함한다. 복수의 배관(823)은 천정형 및 벽걸이형에 따라 구조 및 형태가 상이할 수 있으며, 반드시 도시된 형상에 한정되지 않으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열교환기 조립체(820)는 복수의 배관(823)에 연결되는 전자식 팽창밸브(825)와, 복수의 배관(823) 각각에 배치되어 각각의 배관(823)을 유동하는 냉매를 필터링하는 스트레이너(827)를 포함한다. 그리고 열교환기 조립체(820)의 복수의 배관(823) 각각의 말단에는 연결소켓(829)이 더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 21을 참조하면, 드레인 팬(850)은 복수의 호스 홀(851, 852)과, 복수의 배관 지지부(853, 854)와, 이물질 거름부(855, 856)를 구비할 수 있다.
복수의 호스 홀(851, 852)는 열교환기 조립체(820)에서 발생되는 물(응축수)를 드레인 팬(850)의 외부로 빠져나가게 한다. 제1 호스 홀(851)은 드레인 팬(850)의 제1 단부에 위치할 수 있고, 제2 호스 홀(852)은 드레인 팬(850)의 제2 단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 때, 제1 단부와 제2 단부는 대향하며, 제2 호스 홀(852)은 제1 호스 홀(851)과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2 호스 홀(852)은 제1 호스 홀(851)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유로가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호스 홀(851)이 드레인 팬(850)의 길이 방향으로 뚫린 유로를 갖는 경우, 제2 호스 홀(852)은 드레인 팬(850)의 두께 방향으로 뚫린 유로를 가질 수 있다. 이로써, 제1 호스 홀(851) 및 제2 호스 홀(852)은 드레인 팬(850)의 결합 방향에 무관하게 배치 방향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열교환기 장치(800)가 천정형 및 벽걸이형 중 어느 하나로 설치되는 경우, 제1 및 제2 호스 홀(851, 852) 중 하나의 호스 홀은 개방되어 사용되고, 나머지 호스 홀은 마개 등을 통해 밀폐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천정형 구조로 환기 시스템이 설치되는 경우(도 17 및 도 18 참조), 제1 호스 홀(851)은 개방되고, 제2 호스 홀(852)은 밀폐될 수 있다. 반대로, 벽걸이형 구조로 환기 시스템이 설치되는 경우(도 19 및 도 20 참조), 드레인 팬(850)은 제1 호스 홀(851)은 밀폐되고, 제2 호스 홀(852)은 개방될 수 있다.
이물질 거름부(855, 856)는 드레인 팬(850)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돌기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이물질 거름부(855)는 제1 호스 홀(851)과 인접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일례로, 제1 이물질 거름부(855)는 제1 호스 홀(851)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이물질 거름부(856)는 제2 호스 홀(852)과 인접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이물질 거름부(855, 856)는 제1 호스 홀(851) 및 제2 호스 홀(852) 각각으로 빠져나가는 이물질을 걸러내는 기능을 수행한다.
복수의 배관 지지부(853, 854)는 드레인 팬(850)의 길이 방향 양단부에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배관 지지부(853, 854)는 제1 배관 지지부(853)와 제2 배관 지지부(854)를 포함한다. 제2 배관 지지부(854)는 제1 배관 지지부(853)와 대향하여 배치된다.
제1 배관 지지부(853)는 제1 호스 홀(851)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천정형 구조로 환기 시스템이 설치되는 경우(즉, 열교환기 브라켓(830)이 제1 방향으로 배치되는 경우), 제1 배관 지지부(853)에는 열교환기 조립체(820)에 연결된 복수의 배관(823)이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배관 지지부(853)는 드레인 팬(850)의 제1 단부에서, 몸체(852)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1 삽입 홀(8531)을 포함한다. 제1 삽입 홀(8531)은 서로 간격을 두고 일직선 형상으로 이루어진 2개의 직선 홀일 수 있다. 천정형 구조로 환기 시스템이 설치되는 경우 복수의 배관(823)이 제1 삽입 홀(8531)에 삽입된다.
제1 삽입 홀(8531)은 제1 개방부(8532)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개방부(8532)는 복수의 배관(823)이 제1 삽입 홀(8531)에 손쉽게 삽입될 수 있도록 제1 삽입 홀(8531)의 일부를 외부와 연통시킨 부분을 의미한다. 제1 개방부(8532)에 의해 배관(823)의 사이드 방향 삽입이 가능해 질 수 있다.
요컨대, 복수의 배관(823)은 천정형 구조로 환기 시스템이 설치되는 경우 제1 개방부(8532)를 통해 제1 삽입 홀(8531)의 내부로 삽입되어, 제1 배관 지지부(853)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제2 배관 지지부(854)는 제2 호스 홀(852)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제2 배관 지지부(854)는 제1 배관 지지부(853)와 달리 벽걸이 구조로 환기 시스템이 설치되는 경우 복수의 배관(823)을 삽입시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제2 배관 지지부(854)는 드레인 팬(850)의 제2 단부에서, 몸체(852)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2 삽입 홀(8541)를 포함한다. 제2 삽입 홀(8541)은 서로 간격을 두고 일직선 형상으로 이루어진 2개의 직선 홀일 수 있다. 벽걸이 구조로 환기 시스템이 설치되는 경우 복수의 배관(823)이 제2 삽입 홀(8541)에 삽입된다.
제2 삽입 홀(8541)은 제2 개방부(8542)를 구비할 수 있다. 제2 개방부(8542)은 복수의 배관(823)이 제2 삽입 홀(8541)에 손쉽게 삽입될 수 있도록 제2 삽입 홀(8541)의 일부를 외부와 연통시킨 부분을 의미한다. 제2 개방부(8542)에 의해 배관(823)의 사이드 방향 삽입이 가능해 질 수 있다.
요컨대, 복수의 배관(823)은 벽걸이형 구조로 환기 시스템이 설치되는 경우, 제2 개방부(8581a)를 통해 제2 삽입 홀(8541)의 내부로 손쉽게 삽입되어 제2 배관 지지부(854)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제1 및 제2 배관 지지부(853, 854)는 배관(823)으로부터 낙하하는 물(즉, 응축수)이 드레인 팬(850)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하여 물의 외부 유출을 차단할 수 있다.
한편, 드레인 팬(850)은 열교환기 브라켓 결합부(857), 제2 응축수 가이드(858) 및 제3 응축수 가이드(859)를 더 포함한다.
열교환기 브라켓 결합부(857)는 드레인 팬(850)의 제3 단부의 중심부에 형성될 수 있고, 제2 응축수 가이드(858) 및 제3 응축수 가이드(859)는 드레인 팬(850)의 제3 단부의 양 가장자리부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드레인 팬(850)의 제3 단부는 드레인 팬(850)의 제1 및 제2 단부와 수직한 단부이다.
열교환기 브라켓 결합부(857), 제2 응축수 가이드(858) 및 제3 응축수 가이드(859)의 구조 및 형상은 아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이하에서 설명될 환기 시스템은 전술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천정형 및 벽걸이형으로 구조 변환이 가능한 열교환기 장치(800)를 포함하는 환기 시스템으로서, 반드시 도시된 형태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하, 도 22 내지 도 26을 참조하여 열교환기 브라켓(830)의 구조 및 형상과, 드레인 팬(850)이 열교환기 브라켓(830)에 결합되는 구조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22 내지 도 24에서는 제2 방향으로 배치되는 열교환기 브라켓(830)의 형상을 도시하고 있다.
제1 열교환기 브라켓 몸체(831)의 일면은 전열교환소자(200)의 타면과 접촉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제1 열교환기 브라켓 몸체(831)의 타면으로 제2 열교환기 브라켓 몸체(833)가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 열교환기 브라켓 몸체(833)는 제1 열교환기 브라켓 몸체(831)의 내측에서 타면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으며, 제2 열교환기 브라켓 몸체(833)의 내부에는 드레인 팬 결합부(833a), 온도 센서 체결부(833b) 및 제1 응축수 가이드(833c)가 형성되는 설치 공간이 구비된다.
드레인 팬 결합부(833a)는 열교환기 브라켓(830)과 드레인 팬(850)이 체결되는 경우, 체결 위치를 가이드하고, 체결을 보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열교환기 브라켓(830)과 드레인 팬(850)은 스크류(S)를 통해 일차적으로 체결되고, 드레인 팬 결합부(833a)을 통해 보조적으로 체결된다.
드레인 팬 결합부(833a)는 제1 드레인 팬 결합부(8331a), 제2 드레인 팬 결합부(8332a), 제3 드레인 팬 결합부(8333a) 및 제4 드레인 팬 결합부(8334a)를 포함한다.
제1 드레인 팬 결합부(8331a)는 제2 열교환기 브라켓 몸체(833)의 내부의 제1 측면(SS1)과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1 측면(SS1)과 수직한 제2 열교환기 브라켓 몸체(833)의 내부의 제3 측면(SS3) 및 제4 측면(SS4)을 연결할 수 있다. 제1 드레인 팬 결합부(8331a)는 육면체 형상일 수 있다.
제2 드레인 팬 결합부(8332a)는 상기 제4 측면(SS4)과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1 측면(SS1)과 대향되는 제2 열교환기 브라켓 몸체(833)의 내부의 제2 측면(SS2)과 상기 제1 측면(SS1)을 연결할 수 있다. 제2 드레인 팬 결합부(8332a)는 육면체 형상일 수 있다.
이 때, 제1 드레인 팬 결합부(8331a)와 제2 드레인 팬 결합부(8332a)는 제2 열교환기 브라켓 몸체(833)의 내부에서 교차할 수 있다.
제3 드레인 팬 결합부(8333a)는 제1 드레인 팬 결합부(8331a)와 상기 제1 측면(SS1)을 연결할 수 있다. 제3 드레인 팬 결합부(8333a)는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3 드레인 팬 결합부(8333a)는 육면체 형상일 수 있다. 제3 드레인 팬 결합부(8333a)는 제1 드레인 팬 결합부(8331a)의 강성을 보완할 수 있다.
제4 드레인 팬 결합부(8334a)는 제2 드레인 팬 결합부(8332a)와 상기 제4 측면(SS4)을 연결할 수 있다. 제4 드레인 팬 결합부(8334a)는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4 드레인 팬 결합부(8334a)는 육면체 형상일 수 있다. 제4 드레인 팬 결합부(8334a)는 제2 드레인 팬 결합부(8332a)의 강성을 보완할 수 있다.
또한, 제2 열교환기 브라켓 몸체(833)의 내부에는 온도 센서 체결부(833b)가 형성될 수 있다. 온도 센서 체결부(833b)는 온도 센서(8331b)를 체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온도 센서 체결부(833b)는 온도 센서(8331b)를 고정하는 클립 구조물(8332b)을 포함한다.
특히, 온도 센서 체결부(833b)는, 제1 드레인 팬 결합부(8331a)와 제2 드레인 팬 결합부(8332a)가 교차하는 지점에서 제2 열교환기 브라켓 몸체(833)의 중심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온도 센서(8331b)가 열교환기(821)의 중심부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으며, 정확한 온도의 측정이 가능하다. 그리고, 제1 열교환기 브라켓 몸체(831)의 방향으로 클립 구조물(8332b)이 형성됨으로, 열교환기(821)가 온도 센서(8331b)와 간섭되지 않는다.
또한, 제2 열교환기 브라켓 몸체(833)의 내부의 제1 측면(SS1), 제2 측면(SS2), 제3 측면(SS3) 및 제4 측면(SS4) 각각에는 제1 응축수 가이드(833c)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응축수 가이드(833c)는 열교환기 조립체(820)에서 발생되어 열교환기 브라켓(833)에 맺힌 물(응축수)를 드레인 팬(850)으로 안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때, 제1 응축수 가이드(833c) 중 적어도 하나는,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례로, 제2 열교환기 브라켓 몸체(833)의 제1, 제2, 제3 측면(SS1, SS2, SS3)에 형성된 제1 응축수 가이드(8331c, 8332c, 8333c)가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열교환기 브라켓 몸체(833)의 제1, 제2, 제3 측면(SS1, SS2, SS3) 각각에 형성된 제1 응축수 가이드(8331c, 8332c, 8333c) 각각은, 제1 서브 응축수 가이드(8335c) 및 제2 서브 응축수 가이드(8336c)를 포함한다.
도 23을 참조하면, 제1 서브 응축수 가이드(8335c)의 일단은 제2 열교환기 브라켓 몸체(833)의 내부의 측면과 경사지게 연결될 수 있다. 제2 서브 응축수 가이드(8336c)의 일단은 제1 서브 응축수 가이드(8335c)의 타단과 경사지게 연결될 수 있다. 제2 서브 응축수 가이드(8336c)의 타단은 제3 열교환기 브라켓 몸체(835)의 방향으로 향할 수 있다. 제1 서브 응축수 가이드(8335c)의 경사 방향과 제2 서브 응축수 가이드(8336c)의 경사 방향은 서로 수직할 수 있다.
한편, 제2 열교환기 브라켓 몸체(833)의 제4 측면(SS4)에 형성된 제1 응축수 가이드(8334c)는 제2 서브 응축수 가이드(8336c)만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4를 참조하면, 제1 열교환기 브라켓 몸체(831)에는 제1 열교환기 브라켓 몸체(831)의 타면 방향으로 절곡되는 절곡부(8311)가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제2 열교환기 브라켓 몸체(833)의 외부의 측면 중 하나의 측면과 절곡부(8311) 사이에는 공간(8312)이 형성되고, 상기 형성된 공간에 열교환기 조립체(820) 및 온도 센서(8331b)와 연결된 하네스가 수용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열교환기 브라켓 몸체(833)의 하나의 측면의 상부에는 후크부(8313)가 형성될 수 있다. 후크부(8313)는 제2 열교환기 브라켓 몸체(833)의 하나의 측면의 상부에서 절곡된 형상일 수 있다. 이 때, 절곡부(8311), 제2 열교환기 브라켓 몸체(822)의 하나의 측면, 제1 열교환기 브라켓 몸체(831)의 타면 및 후크부(8313)에 의해 하네스가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도 21, 도 25 및 도 26을 참조하면, 드레인 팬(850)의 제3 단부의 중심부에 형성된 열교환기 브라켓 결합부(857)는 드레인 팬(850)의 제3 단부에서 절곡된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열교환기 브라켓 결합부(857)는, 열교환기 브라켓(830)의 제1 방향으로의 배치 시(천정형 구조), 제1 드레인 팬 결합부(831)와 결합될 수 있고, 열교환기 브라켓(830)의 제2 방향으로의 배치 시(벽걸이형 구조), 제2 드레인 팬 결합부(832)와 결합될 수 있다. 일례로, 열교환기 브라켓 결합부(857)의 하면이 제1 드레인 팬 결합부(831) 또는 제2 드레인 팬 결합부(832)의 상면 상에 안착될 수 있다.
도 21, 도 25 및 도 26을 참조하면, 드레인 팬(850)의 제3 단부의 양 가장자리부에 형성된 제2 및 제3 응축수 가이드(857, 858) 각각은 경사지게 형성된다. 즉, 제2 및 제3 응축수 가이드(857, 858) 각각의 일단은 드레인 팬(850)의 제3 단부와 연결되고, 제2 및 제3 응축수 가이드(857, 858) 각각의 타단에서 일단의 방향으로 경사질 수 있다. 제2 및 제3 응축수 가이드(857, 858)는 제1 응축수 가이드(833c)와 결합하여 열교환기 조립체(820)에서 발생되어 열교환기 브라켓(833)에 맺힌 물(응축수)를 드레인 팬(850)으로 안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2 및 제3 응축수 가이드(857, 858)는, 열교환기 브라켓(830)의 제1 방향으로의 배치 시(천정형 구조), 제2 열교환기 브라켓 몸체(831)의 내부의 제3 측면(SS3) 및 제4 측면(SS4)에 형성된 제1 응축수 가이드(8333c, 8334c)와 결합할 수 있고, 열교환기 브라켓(830)의 제2 방향으로의 배치 시(벽걸이형 구조), 제2 열교환기 브라켓 몸체(831)의 내부의 제1 측면(SS1) 및 제2 측면(SS2)에 형성된 제1 응축수 가이드(8331c, 8332c)와 결합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결합은 제2 및 제3 응축수 가이드(857, 858)의 상부에 제1 응축수 가이드(8331c, 8332c, 8333c, 8334c)가 안착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정리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환기 시스템 역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환기 시스템과 동일하게, 설치 환경에 따라 조립 상태를 자유롭게 변경하여 천정형 내지 벽걸이형 환기 시스템으로 설치 구조를 손쉽게 변환할 수 있고, 열교환기 장치에 필수적으로 포함되는 드레인 팬 및 열교환기 브라켓을 공용화하여 사용할 수 있어 제작 비용을 줄이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리한 기술적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환기 시스템은 온도 센서 체결부(833b)을 열교환기(821)의 중심부의 인근에 설치함으로써 열교환기(821)의 온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환기 시스템은 열교환기 조립체(820)에서 발생되어 열교환기 브라켓(830)에 맺힌 응축수를 드레인 팬(850)으로 안내함으로써 응축수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환기 시스템은 절곡부(8311) 및 후크부(8313)를 형성함으로써 열교환기 조립체(820) 및 온도 센서(8331b)와 연결된 하네스를 간편하게 수용 및 고정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Claims (20)

  1. 천정형 및 벽걸이형 구조로 변환이 가능한 열교환기 장치를 포함하는 환기 시스템으로서,
    상기 열교환기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열교환기 및 상기 열교환기에 연결되는 복수의 배관을 포함하는 열교환기 조립체;
    복수의 방향 중 선택된 하나의 방향으로 배치되고, 타면에 상기 열교환기 조립체가 설치되는 열교환기 브라켓;
    상기 열교환기의 핀 방향과 수직으로 배치되도록 상기 열교환기 브라켓에 결합되는 드레인 팬;을 포함하되,
    상기 드레인 팬은,
    상기 드레인 팬의 제1 단부에 위치하는 제1 호스 홀;
    상기 제1 호스 홀에 인접하여 형성되며, 상기 드레인 팬의 제1 단부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상기 복수의 배관을 지지하는 제1 배관 지지부;
    상기 드레인 팬의 제2 단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1 호스 홀과 이격하여 형성되는 제2 호스 홀; 및
    상기 제2 호스 홀에 인접하여 형성되며, 상기 드레인 팬의 제2 단부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상기 복수의 배관을 지지하는 제2 배관 지지부;
    를 포함하는 환기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일면을 통해 사각 박스 형상의 전열교환소자를 접촉 지지하는 소자 브라켓;을 더 포함하되,
    상기 열교환기 브라켓은 상기 소자 브라켓의 타면에서 결합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방향은 상기 소자 브라켓의 타면을 향해 서로 교차하는 방향인, 환기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 장치는,
    천정형 구조로 조립 시, 상기 열교환기 브라켓이 상기 소자 브라켓의 타면을 향해 제1 방향으로 결합되고, 상기 드레인 팬은 상기 열교환기 브라켓의 상측에 수평으로 배치되고,
    벽걸이형 구조로 조립 시, 상기 열교환기 브라켓이 상기 소자 브라켓의 타면을 향해 제2 방향으로 결합되고, 상기 드레인 팬은 상기 열교환기 브라켓의 일측에 수직으로 기립 배치되고,
    상기 제2 방향은 상기 제1 방향을 기준으로 90도로 회전된 방향인, 환기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 브라켓은, 외측으로 설정길이만큼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체결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드레인 팬은, 상기 체결돌기가 관통하여 체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장공을 구비하는, 환기 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자 브라켓은,
    상기 전열교환소자를 접촉하여 파지 가능하게 형성되는 사각 틀 형상의 제1 소자 브라켓 몸체;
    상기 제1 소자 브라켓 몸체의 타면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제1 소자 브라켓 몸체보다 축소된 크기를 갖는 제2 소자 브라켓 몸체; 및
    상기 제2 소자 브라켓 몸체의 내측에서 타면 방향으로 돌출되며, 설정 크기의 가로 변과 세로 변을 갖는 제1 설치공간을 구비하는 제3 소자 브라켓 몸체;를 포함하는, 환기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 브라켓은,
    상기 제1 설치공간을 통해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 결합 가능한 사각 틀 형상의 외형을 갖는 제1 열교환기 브라켓 몸체; 및
    상기 제1 열교환기 브라켓 몸체의 내측에서 타면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제1 열교환기 브라켓 몸체보다 축소된 크기를 가지며, 상기 열교환기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어 설치되는 제2 설치공간을 구비하는 제2 열교환기 브라켓 몸체;를 포함하되,
    상기 제2 방향은 상기 제1 방향을 기준으로 90도로 회전된 방향인, 환기 시스템.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관 지지부 및 상기 제2 배관 지지부 각각은,
    상기 드레인 팬의 몸체로부터 설정 높이로 단차지게 형성되는 단차부;
    상기 단차부의 하단에서 상기 드레인 팬의 몸체 상부와 평행을 이루어 나란하게 연결되는 지지플레이트; 및
    상기 지지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서로 간격을 두고 일직선 형상으로 절개되며, 복수의 배관을 삽입시키는 복수의 삽입 홀;을 포함하는, 환기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 브라켓은 사각 박스 형상의 전열교환소자와 상기 열교환기 조립체 사이에서 상기 선택된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열교환기 브라켓의 일면은 상기 전열교환소자를 접촉 지지하고
    상기 드레인 팬은 상기 열교환기 브라켓의 타면과 결합되고, 상기 열교환기 조립체의 하단에 배치되는, 환기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천정형 구조로 조립 시, 상기 열교환기 브라켓이 상기 전열교환소자의 타면의 제1 방향으로 배치되고,
    벽걸이형 구조로 조립 시, 상기 열교환기 브라켓이 상기 전열교환소자의 타면의 제2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2 방향은 상기 제1 방향을 기준으로 90도로 회전된 방향인, 환기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 브라켓은,
    상기 전열교환소자와 접촉하도록 형성되는 제1 열교환기 브라켓 몸체;
    상기 제1 열교환기 브라켓 몸체의 타면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1 열교환기 브라켓 몸체보다 축소된 크기를 가지며, 내부에 드레인 팬 결합부가 형성된 제2 열교환기 브라켓 몸체; 및
    상기 제2 열교환기 브라켓 몸체의 타면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2 열교환기 브라켓 몸체보다 축소된 크기를 가지며, 상기 열교환기의 적어도 일부 및 상기 드레인 팬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어 설치되는 설치 공간이 구비된 제3 열교환기 브라켓 몸체;를 포함하는, 환기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 팬 결합부는,
    상기 제2 열교환기 브라켓 몸체의 제1 측면과 나란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2 열교환기 브라켓 몸체의 제1 측면과 수직한 상기 제2 열교환기 브라켓 몸체의 제3 측면 및 제4 측면을 연결하는 제1 드레인 팬 결합부; 및
    상기 제2 열교환기 브라켓 몸체의 제4 측면과 나란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2 열교환기 브라켓 몸체의 제1 측면과 대향되는 상기 제2 열교환기 브라켓 몸체의 제2 측면과 상기 제2 열교환기 브라켓 몸체의 제1 측면을 연결하는 제2 드레인 팬 결합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드레인 팬 결합부와 상기 제2 드레인 팬 결합부는 상기 제2 열교환기 브라켓 몸체의 내부에서 교차하는, 환기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열교환기 브라켓 몸체의 내부에는 온도 센서를 체결하는 온도 센서 체결부가 형성되되,
    상기 온도 센서 체결부는, 상기 제1 드레인 팬 결합부와 상기 제2 드레인 팬 결합부가 교차하는 지점에서 상기 제2 열교환기 브라켓 몸체의 중심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환기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센서 체결부는, 상기 제1 열교환기 브라켓 몸체의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온도 센서를 고정하는 클립 구조물을 포함하는, 환기 시스템.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 팬은, 상기 드레인 팬의 제1 단부 및 제2 단부와 수직한 상기 드레인 팬의 제3 단부의 중심부에 형성되는 상기 열교환기 브라켓 결합부;를 포함하되,
    상기 열교환기 브라켓 결합부는, 상기 열교환기 브라켓의 상기 제1 방향으로의 배치 시 상기 제1 드레인 팬 결합부와 결합되고, 상기 열교환기 브라켓의 상기 제2 방향으로의 배치 시 상기 제2 드레인 팬 결합부와 결합되는, 환기 시스템.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열교환기 브라켓 몸체의 내부의 제1 측면, 제2 측면, 제3 측면 및 제4 측면 각각에 형성되고, 상기 열교환기 조립체에서 발생되어 상기 열교환기 브라켓에 맺힌 응축수를 상기 드레인 팬으로 안내하는 제1 응축수 가이드가 더 형성되는, 환기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응축수 가이드 중 적어도 하나는,
    일단이 상기 제2 열교환기 브라켓 몸체의 내부의 측면과 경사지게 연결되는 제1 서브 응축수 가이드; 및
    일단이 상기 제1 서브 응축수 가이드의 타단과 경사지게 연결되는 제2 서브 응축수 가이드;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서브 응축수 가이드와 상기 제2 서브 응축수 가이드는 수직하게 연결되는, 환기 시스템.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 팬은, 상기 드레인 팬의 제1 단부 및 제2 단부와 수직한 상기 드레인 팬의 제3 단부의 가장자리부에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 응축수 가이드 및 제3 응축수 가이드를 포함하되,
    상기 제2 응축수 가이드 및 제3 응축수 가이드는, 상기 열교환기 브라켓의 상기 제1 방향으로의 배치 시, 상기 제2 열교환기 브라켓 몸체의 내부의 제1 측면 및 제2 측면에 형성된 제1 응축수 가이드와 결합하고, 상기 열교환기 브라켓의 상기 제2 방향으로의 배치 시, 상기 제2 열교환기 브라켓 몸체의 내부의 제3 측면 및 제4 측면에 형성된 제1 응축수 가이드와 결합하는, 환기 시스템.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열교환기 브라켓 몸체에는 상기 제1 열교환기 브라켓 몸체의 타면 방향으로 절곡되는 절곡부가 형성되되,
    상기 제2 열교환기 브라켓 몸체의 외부의 측면 중 하나의 측면과 상기 절곡부 사이에 하네스가 수용되는, 환기 시스템.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열교환기 브라켓 몸체의 상기 하나의 측면에 형성되는 후크부를 포함하되,
    상기 절곡부, 상기 제2 열교환기 브라켓 몸체의 상기 하나의 측면, 상기 제1 열교환기 브라켓 몸체의 타면 및 상기 후크부에 의해 상기 하네스가 고정되는, 환기 시스템.
  2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 팬의 내부에는 상기 제1 호스 홀 및 상기 제2 호스 홀 각각과 인접하게 형성되며, 상기 제1 호스 홀 및 상기 제2 호스 홀 각각으로 빠져나가는 이물질을 걸러내는 적어도 하나의 이물질 거름부가 구비되는, 환기시스템.
KR1020200128096A 2020-04-08 2020-10-05 환기 시스템 KR1023954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42867 2020-04-08
KR1020200042867 2020-04-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5400A KR20210125400A (ko) 2021-10-18
KR102395427B1 true KR102395427B1 (ko) 2022-05-10

Family

ID=78271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8096A KR102395427B1 (ko) 2020-04-08 2020-10-05 환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5427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85213A (ja) 2001-12-14 2003-07-03 Mitsubishi Electric Corp 換気装置
JP2005106443A (ja) 2003-10-02 2005-04-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熱交換形換気装置
JP2009204170A (ja) 2008-02-26 2009-09-10 Panasonic Corp 空気調和機の温度センサ固定装置
WO2010125632A1 (ja) 2009-04-27 2010-11-04 三菱電機株式会社 熱交換換気装置
WO2011007541A1 (ja) 2009-07-14 2011-01-2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換気空調装置
KR101201876B1 (ko) 2012-04-27 2012-11-15 주식회사 그렉스전자 설치공간 확보를 위한 열교환기의 결합구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47570B2 (ja) * 1997-06-05 2006-02-22 三菱電機株式会社 換気装置
KR101129751B1 (ko) 2005-03-11 2012-03-26 엘지전자 주식회사 환기시스템
KR20180051139A (ko) 2016-11-08 2018-05-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열교환기
KR102332412B1 (ko) * 2020-04-08 2021-1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환기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85213A (ja) 2001-12-14 2003-07-03 Mitsubishi Electric Corp 換気装置
JP2005106443A (ja) 2003-10-02 2005-04-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熱交換形換気装置
JP2009204170A (ja) 2008-02-26 2009-09-10 Panasonic Corp 空気調和機の温度センサ固定装置
WO2010125632A1 (ja) 2009-04-27 2010-11-04 三菱電機株式会社 熱交換換気装置
WO2011007541A1 (ja) 2009-07-14 2011-01-2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換気空調装置
KR101201876B1 (ko) 2012-04-27 2012-11-15 주식회사 그렉스전자 설치공간 확보를 위한 열교환기의 결합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5400A (ko) 2021-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95107B2 (ja) ビルトイン型空気調和装置
KR101970319B1 (ko) 전열교환기
JP4918902B2 (ja) 空気調和機の室外機
KR102395427B1 (ko) 환기 시스템
KR102439300B1 (ko) 환기 시스템
WO2018036217A1 (zh) 用于多联机空调的切换装置及具有其的多联机空调
JP4814170B2 (ja) 住宅用換気システム
KR102332412B1 (ko) 환기시스템
JP2007327703A (ja) 空気調和装置の室内ユニット
KR100616329B1 (ko) 공동주택용 배수구조물
JP4845557B2 (ja) 天井カセット形空気調和機
KR20050064963A (ko) 덕트형 공기조화기의 배관 지지구조
JP3011826U (ja) 集合住宅用メーターボックス構造
KR102439302B1 (ko) 환기 시스템
KR20210125306A (ko) 전열 교환기 및 이를 갖는 환기 시스템
JP2012032035A (ja) 空気調和装置
JP4922643B2 (ja) 天井カセット形空気調和機
JP4817904B2 (ja) 天井カセット形空気調和機
JPS627934Y2 (ko)
KR20230085492A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KR20220045406A (ko) 환기 시스템
JPH0213868Y2 (ko)
JP6285646B2 (ja) 建物の排水構造
JP2020197317A (ja) 熱交換換気装置
JP2009013614A (ja) 貯水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