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6329B1 - 공동주택용 배수구조물 - Google Patents

공동주택용 배수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6329B1
KR100616329B1 KR1020050073691A KR20050073691A KR100616329B1 KR 100616329 B1 KR100616329 B1 KR 100616329B1 KR 1020050073691 A KR1020050073691 A KR 1020050073691A KR 20050073691 A KR20050073691 A KR 20050073691A KR 100616329 B1 KR100616329 B1 KR 1006163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outdoor unit
condensate
drip tray
drain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36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90068A (ko
Inventor
이홍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거성이엔지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거성이엔지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거성이엔지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0500736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6329B1/ko
Publication of KR200500900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00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63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63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22Pipe-line systems for waste water in build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Blowing Cold Air, Devices For Blowing Warm Air, And Means For Preventing Water Condensation In Air 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컨디셔너로부터 배출되는 응축수를 건물외벽에 설치된 배수관을 통해 배출하는데 이용되는 공동주택용 배수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난간(18) 하부에 루프형태의 집수관(30)(31)을 설치하고, 그 집수관(30)(31)의 좌우 양측에 실외기(12)의 응축수배출호스(32)와 접속하기 위한 복수의 배관소켓(40)(42)(44)(46)을 설치하며, 타이밴드(40)로 응축수배출호스(32)를 고정하기 위한 절개부(40n)를 상기 배관소켓(40)(42)(44)(46)의 중간에 형성하고, 상기 집수관(30)(31)과 배수관(20)을 플렉시블호스(48)로 연결하여 구성한다.
공동주택,아파트,배수관,집수관,물받이

Description

공동주택용 배수구조물{Water Supply Structure for Apartment Hous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용 배수구조물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용 배수구조물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도2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관소켓에 응축수배출호스를 접속한 상태를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2 : 실외기 14 : 건물외벽
16 : 실외기거치대 18 : 난간
20 : 배수관 30,31 : 집수관
32 : 응축수배출호스 40,42,44,46 : 배관소켓
40n : 절개부 48 : 플렉시블호스
W : 응축수 50 : 물받이
52 : 그레이팅 54 : 배수구
56 : 연결관
본 발명은 주로 공동주택에 적용되는 배수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에어컨디셔너로부터 배출되는 응축수를 배출하는데 이용되고, 응축수배출호스의 접속을 용이하게 한 공동주택용 배수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동주택(아파트)의 외벽에는 우천시 건축물의 지붕이나 옥상으로부터 배수되는 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외벽에 배수관을 설치하고 있다.
한편, 에어컨디셔너의 실외기는 냉매가 갖고 있는 열을 외부로 방출해야 하기 때문에 실외에 설치하고 있으며, 특히 공동주택의 경우 각 세대의 발코니 외벽에 설치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공동주택용 배수구조물은 에어컨디셔너의 실외기와 연결할 수 있는 구조를 갖추고 있지 않았기 때문에 실외기로부터 발생된 응축수를 벽을 관통하여 발코니 바닥으로 흘려버렸으나 이를 위해 벽면에 관통된 구멍을 천공하여야 하며, 실외기가 놓이는 실외기 거치대의 높이가 통상 발코니 바닥면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에 위치하기 때문에 응축수배출호스를 연결하더라도 물이 자연스럽게 흐르지 못하고 역류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별도의 펌프를 설치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벽면에 관통구멍을 천공하지 않고 응축수배출호스를 아래쪽으로 늘어뜨려 응축수를 건축물 아래쪽으로 흘려버리는 경우도 있는데, 이 경우 응축수가 건물의 벽면을 타고 흘러내리면서 건물 외벽에 얼룩이 발생되거나 아래층의 발코니 창문을 더럽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실외기로부터 인출되는 응축수배출호스가 벽면에 천공된 구멍 반대편에 위치하는 경우 응축수배출호스를 실외기 뒤편으로 돌려서 배관하여야 하나 외부로 길게 노출된 응축수배출호스에 의해 주변이 지저분하게 되고 응축수배출호스 중간이 자중에 의해 아래쪽으로 처지면서 응축수가 자연스럽게 흐르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또, 실외기에서 응축수가 누수되는 경우 종래 실외기 거치대는 응축수를 집수할 수 있는 구조를 갖추고 있지 않았기 때문에 실외기 주변이 응축수에 의해 오염되고 실외기가 놓인 바닥에 물이 고여 곰팡이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건축물의 외벽에 설치되는 배수관을 이용해서 에어컨디셔너의 실외기로부터 배출되는 응축수를 배수할 수 있고, 실외기로부터 인출되어 있는 응축수배출호스와 배수관의 접속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응축수배출호스의 배관 길이를 보다 짧게 할 수 있는 주택용 배수구조물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난간 하부에 루프형태의 집수관을 설치하고, 그 집수관의 좌우 양측에 실외기의 응축수배출호스와 접속하기 위한 복수의 배관소켓을 설치하며, 타이밴드로 응축수배출호스를 고정하기 위한 절개부를 상기 배관소켓의 중간에 형성하고, 상기 집수관과 배수관을 플렉시블호스로 연결하여 공동주택용 배수구조물이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1 내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의 공동주택용 배수구조물과 같이 배수관(20)이 건물외벽(14)에 수직으로 설치되며, 에어컨디셔너(10)의 실외기(12)를 지지하기 위해 건물외벽(14)에 실외기거치대(16)가 타설되고, 그 실외기거치대(16)의 가장자리를 따라 난간(18)이 설치된다.
상기 난간(18) 하부에 루프형태의 집수관(30)(31)을 설치하고, 그 집수관(30)(31)의 좌우 양측에 실외기(12)의 응축수배출호스(32)와 접속하기 위한 복수의 배관소켓(40)(42)(44)(46)을 설치하며, 타이밴드(40)로 응축수배출호스(32)를 배관소켓(40)(42)(44)(46)에 고정하기 위한 절개부(40n)를 상기 배관소켓(40)(42)(44)(46)의 중간에 형성하고, 상기 집수관(30)(31)과 배수관(20)을 플렉시블호스(48)로 연결한다.
또한, 상기 집수관(30)(31)은 "U"자 형으로 절곡된 2개의 관을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맞대어 붙인 것이며, 그 이음부분의 일측에는 접속부(30k)를 두어 연결이 견고하게 되도록 하였다.
또, 난간(18)의 지주 중앙에는 좌우방향으로 중심이 일치하는 복수의 관통구멍(18g)(18h)을 형성한 다음 이 관통구멍(18g)(18h)으로 양측의 집수관(30)(31)을 삽입하고 집수관(30)(31)의 접속부(30k)를 용접한다.
한편, 상기 실외기거치대(16)의 바닥에 실외기(12)로부터 떨어지는 응축수(W)를 집수하기 위한 물받이(50)를 형성하고, 그 물받이(50) 위에 실외기(12)를 지지하기 위한 그레이팅(52)을 설치하며, 물받이(50)의 배수구(54)와 상기 배수관 (20)을 연결관(56)으로 접속한다.
그리고, 상기 물받이(50)는 그 바닥면이 배수구(54)쪽으로 약간 경사지게 형성되어 응축수(W)가 배수구(54)쪽으로 자연스럽게 흐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작용을 첨부도면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1 내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외기(12)를 실외기거치대(16) 위에 설치된 그레이팅(52)에 올려놓고 실외기(12)로부터 인출된 응축수배출호스(32)를 집수관(30)(31)의 좌우측에 설치된 배관소켓(40)(42)(44)(46) 중 가까운 위치에 있는 배관소켓(40)(42)(44)(46)에 깊게 삽입한 다음 배관소켓(40)(42)(44)(46)에 형성되어 있는 절개부(40n)에 타이밴드(40)를 감아서 조이게 되면, 타이밴드(40)에 의해 응축수배출호스(32)가 배관소켓(40)(42)(44)(46)에 고정되어 빠지지 않게 된다.
이후 에어컨디셔너(10) 가동에 의해 실외기(12)의 응축수배출호스(32)로부터 응축수(W)가 배출되면, 집수관(30)(31)으로 모인 다음 플렉시블호스(48)를 통해 건물외벽(14)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는 배수관(20)으로 흘러 배출된다.
이때 집수관(30)(31)에 설치되어 있는 배관소켓(40)(42)(44)(46)은 좌우양측에 위치되어 있으므로, 응축수배출호스(32)의 인출부분과 가까운 쪽을 응축수배출호스(32)의 연결에 이용하게 되면, 응축수배출호스(32)을 보다 짧게 배설할 수 있어 호스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응축수(W)가 보다 자연스럽게 흘러내릴 수 있게 된다.
한편, 실외기(12) 고장이나 누수에 의해 실외기(12)로부터 직접 응축수(W)가 배출되는 경우 실외기거치대(16) 바닥에 형성되어 있는 물받이(50)로 모이게 되며, 배수구(54)와 연결관(56)을 통해 건물외벽(14)에 설치되어 있는 배수관(20)으로 배출된다.
또한, 물받이(50)에 설치되어 있는 그레이팅(52)은 물받이(50)로 유입되는 낙엽이나 기타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에어컨디셔너로부터 배출되는 응축수를 건물외벽에 설치된 배수관으로 흘려버리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실외기로부터 배출되는 응축수에 의한 벽면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실외기거치대에 설치되어 있는 난간을 이용해서 응축수를 모으기 위한 집수관을 설치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배관을 보다 깔끔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집수관이 난간의 기능도 겸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실외기로부터 직접 배출되는 응축수를 받아서 배수관으로 안내하는 물받이가 실외기거치대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실외기로부터 누수되는 응축수에 의해 건물외벽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더욱이 물받이 위에 설치되어 있는 그레이팅에 의해 물받이 안쪽으로 유입될 수 있는 낙엽과 같은 이물질의 유입을 막을 수 있기 때문에 이물질에 의해 물받이의 배수구가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에어컨디셔너(10)의 실외기(12)를 지지하기 위해 건물외벽(14)에 실외기거치대(16)가 타설되고, 그 실외기거치대(16)의 가장자리를 따라 난간(18)이 형성되며, 건물외벽(14)에 수직으로 설치된 배수관(20)을 갖는 공동주택용 배수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난간(18) 하부에 루프형태의 집수관(30)(31)을 설치하고, 그 집수관(30)(31)의 좌우 양측에 실외기(12)의 응축수배출호스(32)와 접속하기 위한 복수의 배관소켓(40)(42)(44)(46)을 설치하며, 타이밴드(40)로 응축수배출호스(32)를 고정하기 위한 절개부(40n)를 상기 배관소켓(40)(42)(44)(46)의 중간에 형성하고, 상기 집수관(30)(31)과 배수관(20)을 플렉시블호스(48)로 연결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용 배수구조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기거치대(16)의 바닥에 실외기(12)로부터 떨어지는 응축수(W)를 집수하기 위한 물받이(50)를 형성하고, 그 물받이(50) 위에 실외기(12)를 지지하기 위한 그레이팅(52)을 설치하며, 물받이(50)의 배수구(54)와 상기 배수관(20)을 연결관(56)으로 접속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용 배수구조물.
KR1020050073691A 2005-08-11 2005-08-11 공동주택용 배수구조물 KR1006163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3691A KR100616329B1 (ko) 2005-08-11 2005-08-11 공동주택용 배수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3691A KR100616329B1 (ko) 2005-08-11 2005-08-11 공동주택용 배수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0068A KR20050090068A (ko) 2005-09-12
KR100616329B1 true KR100616329B1 (ko) 2006-08-28

Family

ID=37272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3691A KR100616329B1 (ko) 2005-08-11 2005-08-11 공동주택용 배수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632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594905B (zh) * 2016-12-02 2021-11-19 宁波奥克斯电气股份有限公司 带有导风结构的空调及其控制方法
JP7426914B2 (ja) 2020-08-06 2024-02-02 未来工業株式会社 排水路用の継手装置、およびドレン配管の満水試験方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56857U (ko) 1980-09-16 1982-04-03
JPS59131437U (ja) 1983-02-23 1984-09-03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竪樋
JPH07138997A (ja) * 1993-11-19 1995-05-30 Nec Eng Ltd 雨水再利用供給システム
KR200307395Y1 (ko) 2002-12-17 2003-03-15 박미애 에어컨 실외기용 받침대
KR20040003676A (ko) * 2002-07-03 2004-0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에어컨의 실외기 응축수 배출장치
KR200353206Y1 (ko) 2004-04-01 2004-06-16 이상봉 에어컨 실외기 설치대
KR200391096Y1 (ko) 2005-03-04 2005-08-01 박미애 에어컨디셔너의 실외기용 받침대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56857U (ko) 1980-09-16 1982-04-03
JPS59131437U (ja) 1983-02-23 1984-09-03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竪樋
JPH07138997A (ja) * 1993-11-19 1995-05-30 Nec Eng Ltd 雨水再利用供給システム
KR20040003676A (ko) * 2002-07-03 2004-0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에어컨의 실외기 응축수 배출장치
KR200307395Y1 (ko) 2002-12-17 2003-03-15 박미애 에어컨 실외기용 받침대
KR200353206Y1 (ko) 2004-04-01 2004-06-16 이상봉 에어컨 실외기 설치대
KR200391096Y1 (ko) 2005-03-04 2005-08-01 박미애 에어컨디셔너의 실외기용 받침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0068A (ko) 2005-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31357B2 (en) Leak diverter
KR100616329B1 (ko) 공동주택용 배수구조물
KR100947165B1 (ko) 증발기 유닛을 위한 응축액 배수 호스 배열체
JP2007132641A (ja) ドレンパン
KR200296843Y1 (ko) 에어컨 배관연결용 매립박스
JP4871688B2 (ja) 竪型給排気システム
JP7136643B2 (ja) オーバーフロー樋用ソケット、軒樋構造、および、建物
KR20090078080A (ko) 빗물받이 일체형 오수받이
JPH0422176Y2 (ko)
CN215723906U (zh) 空气处理装置
CN217274533U (zh) 一种便携空调
KR200163726Y1 (ko) 건물의 하수역류방지 및 통기용 배관구조
KR20090027354A (ko) 공기조화기의 드레인호스 연결부 누수방지구조
CN214884268U (zh) 新型不锈钢方地漏
JPH0510162Y2 (ko)
JP2877576B2 (ja) 汚水ますユニットの構造
JP6956217B2 (ja) 換気装置
KR100746732B1 (ko) 공동주택의 우수 이용 가능한 배수관
KR20010108662A (ko) 천정매립형 공기 조화기의 응축수 배출장치
KR20070005172A (ko) 공기조화기의 디스챠지 그릴
JP2007063944A (ja) ポンプ装置
KR101824459B1 (ko) 처마용 우수받이 홈통의 덮개 장치
JPH04113138A (ja) 地中埋込形室外機
JP3970059B2 (ja) 排水管と排水桝との接続構造
JPH0325078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