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6843Y1 - 에어컨 배관연결용 매립박스 - Google Patents

에어컨 배관연결용 매립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6843Y1
KR200296843Y1 KR2020020025875U KR20020025875U KR200296843Y1 KR 200296843 Y1 KR200296843 Y1 KR 200296843Y1 KR 2020020025875 U KR2020020025875 U KR 2020020025875U KR 20020025875 U KR20020025875 U KR 20020025875U KR 200296843 Y1 KR200296843 Y1 KR 20029684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pipe
wall
box
air conditio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58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도영
서경현
Original Assignee
에어테크엔지니어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어테크엔지니어링(주) filed Critical 에어테크엔지니어링(주)
Priority to KR20200200258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684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68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6843Y1/ko

Links

Landscapes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정용 에어컨의 냉매선 및 전선 배선을 위한 배관연결용 매립형 분배함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배관용 동파이프를 벽체 내부에 미리 매설하는 경우에 기매설된 파이프와 에어컨 장치와의 연결을 용이하게 해주기 위한 배관연결용 벽체 매립박스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에어컨 배관연결용 매립박스는 벽체에 매립되는 케이스와 벽체에 매립되지 않는 케이스의 개방면에 체결되는 커버로 이루어지되, 상기 케이스의 저면에는 실내기로부터 연장되어 연결되는 배수관 연결구를 수용할 수 있는 연결관 수용부(25)가 상기 케이스의 저면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함몰되어 구성되며, 상기 커버의 테두리부에는 벽면과의 밀폐를 유지하기 위하여 우레탄 고무패킹이 구비되는 삽입홈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에어컨 배관연결용 매립박스{TERMINAL BOX FOR CONNECTING PIPE OF AIR CONDITIONER}
본 고안은 가정용 에어컨의 배관을 위한 배관연결 박스용 벽체 매립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배관용 동파이프를 벽체 내부에 미리 매설하는 경우에 기매설된 파이프와 에어컨 장치와의 연결을 용이하게 해주기 위한 배관연결용 벽체 매립박스에 관한 것이다.
최근 생활수준의 향상과 함께 에어컨의 설치가 보편화됨에 따라, 에어컨 설치시 배관이 외부로 노출되어 미관상의 문제와 배관의 손상이 발생하기 쉬운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건물(특히 아파트) 시공과정에서 에어컨용 배관을 벽체 내부에 미리 설치하여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노력이 시도되고 있다. 벽 내부에 에어컨 배관을 매입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시공하는 경우에 앞에서 언급한 에어컨 설치시공상의 간편함, 외관상의 우수성, 배관의 내구성 증대 등의 장점을 살릴 수 있다.
이와 같은 장점으로 인하여 벽체에 매립하여 시공하는 에어컨 배관연결용 벽체 매립박스가 종래 실용신안등록 제20-0203083호(2000년 9월 2일 등록)로 개시된 바 있다. 이 종래 고안의 구성은 파이프 접속구 및 배수 파이프 연결구, 케이스를 거푸집에 장착시키기 위한 홀 및 케이스 커버 고정용 홈이 구성된 케이스와; 파이프 통과구가 형성된 커버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매립박스는 결로현상에 의해 에어컨에서 발생하는 물을 배출하는 배수 파이프의 시공(특히 배수를 위한 구배 유지)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다수의 부품을 조립하여 사용하므로 시공상의 번거로움은 물론 제조공정의 비용 상승의 원인이 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에어컨의 실내기용 매립박스용으로 사용할 수도 있으며, 실외기용 매립박스로도 사용할 수 있도록 고안되어 제조단가의 절감이 가능하며, 또한 벽걸이용 에어컨은 물론 특히 상치형(직립형) 실내기의 경우 결로현상에 의하여 실내기에서 발생된 물이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배관의 구배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나아가, 본 고안에 의한 매립박스는 실외기용 매립박스로 사용하는 경우에도 빗물, 베란다의 청소물 등의 유입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에어컨 배관연결용 매립박스는 벽체에 매립되는 케이스와 벽체에 매립되지 않는 케이스의 개방면에 체결되는 커버로 이루어지되, 상기 케이스의 저면에는 실내기로부터 연장되어 연결되는 배수관 연결구를 수용할 수 있는 연결관 수용부(25)가 상기 케이스의 저면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함몰되어 구성되며, 상기 커버의 테두리부에는 벽면과의 밀폐를 유지하기 위하여 우레탄 고무패킹이 구비되는 삽입홈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매립박스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매립박스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매립박스가 시공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벽체 2: 철근
3: 동 파이프 5: 응축수 배수관
6: 연결관 7: 플렉시블 배관
10: 커버 11: 고무패킹
20: 케이스 21, 22: 고정홈
23: 걸림고리 24: 접속구
25: 연결관 수용부 26: 커버 체결공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에어컨 배관연결용 매립박스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매립박스의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매립박스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설치상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매립박스가 설치된 측면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도1 내지 도 4에에 도시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매립박스는 콘크리트 타설시에 벽체 내부에 매립되는 케이스(20)와, 벽체에 매립되지 않는 케이스의 개방면에 체결되는 커버(10)로 이루어진다.
상기 케이스의 배관 연결구에는 소켓 및 니플에 의하여 플렉시블 배관(7)이 연결되며, 상기 플렉시블 배관 내부에는 실내기 및 실외기를 연결하는 동파이프(3) 및 난연 보온재 등이 충진된다. 이와 같이 실내기 측의 매립박스와 실외기 측의 매립박스 상호간에 플렉스블 배관과 그 내부에 구비되는 동파이프 및 보온재가 충진된 상태에서 케이스를 소정의 위치에 설치하되 거푸집 면에 상기 케이스의 개방면이 밀착되도록 고정한다. 이 때, 상기 케이스의 양 측면에 형성된 고정홈(21)에 수직 철근을 끼우고, 상기 케이스의 후면에 상하로 수평으로 형성된 고정홈(22)에는수평철근을 끼울 수 있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의 네 모서리에 형성된 걸림고리(23)는 큰크리트 타설 시에 상기 케이스가 움직이지 않고 정확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도록 와이어에 의하여 철근과 체결할 수 있는 연결고리 역할을 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매립박스의 케이스 상부 및 하부에는 선택적으로 배관 연결공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다수 개의 접속구(24)가 천공이 용이한 구조로 형성되어, 거푸집 시공과정에서 소정의 접속구(24)를 뚫어 난연 보온재 및 동관이 삽입된 플렉시블관을 연결하여 시공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매립박스는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컨을 설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커버(10)를 체결한 상태로 유지되어 건물의 미관을 최대한 깨끗하게 유지하도록 하며, 에어컨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커버를 떼어내고 냉매배관, 전선 및 실내기에서 발생된 응축수(결로현상에 의하여 발생된 물)가 유입되는 배수배관을 연결공의 인입구(6a)에 연결하여 시공하게 된다. 이 때, 상기 매립박스는 에어컨에 가려지게 되므로 커버를 씌울 필요가 없으므로 커버를 제거한 상태로 시공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에어컨 배관연결용 매립박스에 있어서 시공상에 있어서는 다음 사항을 특히 주의해야 한다. 즉, 실내기의 설치높이와 매립박스의 설치높이와의 차이가 적거나, 실내기의 설치위치가 상기한 매립박스보다 낮은 경우에는, 실내기에서 발생되는 응축수(결로현상에 의하여 응결된 물)가 상기한 매립박스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고 매립박스와 실내기 사이의 배관에 고이게 되거나, 또는 실내기로 역류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특히 본 고안과 같이 매립박스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응축수 배수관(5)을 매립박스에 연결된 플렉시블 배관과 결합시키기 위한 연결관(6)을 설치해야 하므로, 상기 연결구가 매립박스 저면에 밀착시켜 설치하더라도 연결관(6)의 인입구(6a) 자체 높이로 인하여 자칫 응축수 배수관(5)이 역구배로 시공되어 응축수가 역류할 우려가 크다.
본 고안은 이러한 점을 특히 고려하여 상기 매립박스에 상기한 응축수 배수관 연결을 위한 연결관(6)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25)를 케이스의 저면보다 낮게 되어 하부로 돌출되도록 구성하였다. 일반적으로 상기 연결관(6)은 T자형을 주로 이용하게 되는데, 도 3 및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부는 응축수가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에어벤트(6b)로서의 기능을 하며, 측면의 연결구는 에어컨으로부터 나오는 응축수가 유입되는 인입구(6a)로서 작용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기의 설치위치에 대한 매립박스의 설치높이 차이가 적거나 동일한 경우에도, 상기 연결관의 인입구 위치를 최대한 낮출 수 있기 때문에, 응축수 배관의 구배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므로 응축수를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수용부(25)는 상기 매립박스 내부에서의 배관 연결부위의 누수가 있는 경우, 집수공간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어, 플렉시블 배관(7)을 통하여 바깥으로 배출시킬 수도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매립박스는 실내기와 연결할 수 있는 실내 설치용 매립박스의 기능은 물론 실외기 측의 벽면에 매립되어 실외기와 연결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실외기용 매립박스의 경우에는 빗물이나, 베란다 청소과정에서 사용하는 물이 매립박스의 커버 틈새로 유입되어 누전 또는 배관의 부식, 심지어 벽체 내부로 물이 스며들어가게 되어 아래 층 천장으로 누수되는 경우가 있으므로, 수밀성이 요구된다.
본 고안은 이러한 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 내부에 매립된 케이스(20)의 개방면에 커버가 밀착되도록 케이스 좌우의 커버 체결공(26)을 구성함과 아울러, 상기 커버(10)의 테두리 부분에는 벽면과의 밀폐를 유지하기 위하여 우레탄 고무패킹이 구비되는 삽입홈을 형성하여 내구성이 우수한 우레탄 재질의 고무패킹(11)이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벽면(1)과 커버(10) 사이에 밀폐성이 향상되어 물이 상기 매립박스의 내부로 유입되지 못하도록 차단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본원 명세서의 첨부도면에 기재된 도면부호중 미설명된 도면부호 27은 전선에 연결 설치하는 콘센트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한 나사 체결공이며, 도면부호 12는 케이스(20)와 커버를 결합하는 나사이며, 도면부호 13은 커버에 형성된 나사 삽입공을 막는 캡이다. 이 캡은 에어컨이 설치되지 않은 상태에서 커버(10)의 표면이 누출될 때, 나사머리가 시야에 띄게 되어 미려함을 해칠 수가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고안의 상세한 설명은 본 고안의 특정 실시예를 예로 들어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개념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 또는 변경 실시하는 것 또한 본 고안의 개념에 포함되는 것은 물론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아파트, 주상복합건물을 포함한 각종 시설물의 시공단계에서 에어컨 연결배관을 벽체 내부에 미리 매설하여 콘크리트를 타설, 시공함에 있어서, 에어컨용 배관을 연결할 수 있는 매립형 박스로서, 종래의 매립박스에 비하여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단가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실내기와 매립박스 사이를 연결하는 배수관의 구배 유지를 보다 효과적으로 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매립박스의 커버의 테두리 부분에는 우레탄 고무패킹을 구비하여 벽체에 커버가 더욱 잘 밀착될 수 있도록 하여 수밀성을 향상하였다.

Claims (2)

  1. 내부에 파이프 및 보온재가 구비된 플렉시블 배관과 연결된 상태에서 벽체 내부에 매립되는 케이스(20)와, 큰크리트 벽체에 매립되지 않은 케이스 개방면에 결합 체결되는 커버(10)로 이루어지는 에어컨 배관연결용 매립박스에 있어서,
    거푸집 내부의 수직 철근이 삽입되도록 상기 케이스의 양 측면에 수직으로 길게 형성되는 고정홈(21)과, 상기 케이스의 후면에 상하로 수평으로 길게 형성된 고정홈(22)과, 큰크리트 타설 시에 상기 케이스가 움직이지 않고 정확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도록 와이어를 걸어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의 네 모서리에 형성되는 걸림고리(23)가 구비되며,
    상기 케이스 상부 및 하부에는 선택적으로 배관 연결공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천공이 용이한 구조로 형성되는 다수 개의 접속구(24)가 구비되며,
    상기 케이스의 저면에는 실내기로부터 연장되어 연결되는 배수관 연결구를 수용할 수 있는 연결관 수용부(25)가 상기 케이스의 저면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함몰되면서 케이스 하부로 돌출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배관연결용 매립박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10)는 그 테두리 부분에 수용홈이 구비되고, 그 홈 내에 벽체(1)와의 밀착성을 유지하도록 하는 고무패킹(11)이 삽입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배관연결용 매립박스.
KR2020020025875U 2002-08-30 2002-08-30 에어컨 배관연결용 매립박스 KR20029684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5875U KR200296843Y1 (ko) 2002-08-30 2002-08-30 에어컨 배관연결용 매립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5875U KR200296843Y1 (ko) 2002-08-30 2002-08-30 에어컨 배관연결용 매립박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6843Y1 true KR200296843Y1 (ko) 2002-11-30

Family

ID=731285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5875U KR200296843Y1 (ko) 2002-08-30 2002-08-30 에어컨 배관연결용 매립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6843Y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0381B1 (ko) 2007-03-19 2007-11-28 (주) 청마씨스텍 공조설비의 배관결합장치
KR100816865B1 (ko) 2007-03-28 2008-03-26 황성수 에어컨 배관 조인트박스
KR100972986B1 (ko) * 2007-10-25 2010-07-29 주식회사 뉴영이시티 가변 벽체용 배선박스
KR101051335B1 (ko) * 2008-10-31 2011-07-22 그린공조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에어컨 배관 연결박스
KR101151687B1 (ko) 2010-08-26 2012-06-14 주식회사 신성냉동공조 에어컨 배관 연결용 멀티박스
KR101593167B1 (ko) 2013-02-21 2016-02-15 주식회사 에어컨이엔지 벽체 매립형 에어컨 배관박스
KR20160124496A (ko) * 2015-04-20 2016-10-28 주식회사 신우전자 매립형 가스 차단기
KR20220133657A (ko) * 2021-03-25 2022-10-05 박세준 에어컨 응축수 드레인 구조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0381B1 (ko) 2007-03-19 2007-11-28 (주) 청마씨스텍 공조설비의 배관결합장치
KR100816865B1 (ko) 2007-03-28 2008-03-26 황성수 에어컨 배관 조인트박스
KR100972986B1 (ko) * 2007-10-25 2010-07-29 주식회사 뉴영이시티 가변 벽체용 배선박스
KR101051335B1 (ko) * 2008-10-31 2011-07-22 그린공조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에어컨 배관 연결박스
KR101151687B1 (ko) 2010-08-26 2012-06-14 주식회사 신성냉동공조 에어컨 배관 연결용 멀티박스
KR101593167B1 (ko) 2013-02-21 2016-02-15 주식회사 에어컨이엔지 벽체 매립형 에어컨 배관박스
KR20160124496A (ko) * 2015-04-20 2016-10-28 주식회사 신우전자 매립형 가스 차단기
KR101697722B1 (ko) 2015-04-20 2017-01-23 주식회사 신우전자 매립형 가스 차단기
KR20220133657A (ko) * 2021-03-25 2022-10-05 박세준 에어컨 응축수 드레인 구조
KR102655657B1 (ko) * 2021-03-25 2024-04-09 박세준 에어컨 응축수 드레인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15761B1 (ko) 냉온수배관 시스템의 시공방법
KR200296843Y1 (ko) 에어컨 배관연결용 매립박스
CN212104356U (zh) 一种建筑给排水用汇集器及给排水系统
KR200415779Y1 (ko) 배관 연결용 벽체 매립박스
KR100592115B1 (ko) 주택의 화장실 누수방지를 위한 배수구 및 그 시공방법
KR100906762B1 (ko) 배관 연결용 슬리브조립체
CN208545802U (zh) 基于高层建筑排水管道的预埋止水节
US8272082B1 (en) Tub box apparatus, systems and installation methods
KR100860128B1 (ko) 급배수 통합 기능을 갖는 육가 하우징 및 그 육가 하우징을이용한 급배수 통합 배관 시스템
KR100742403B1 (ko) 배수가 용이한 분배기
KR102058117B1 (ko) 벽체 매립형 수전장치
KR200344690Y1 (ko) 에어컨 배관 매립박스
KR20170002282U (ko) 층상배관용 바닥배수장치
KR101095926B1 (ko) 열전도율을 개선한 저심도 지중 열교환기
KR100455113B1 (ko) 에어컨 배관용 슬리브와 그 슬리브에 체결되는 실내노출구 커버 및 이를 이용한 에어컨 배관 설치방법
CN115822097B (zh) 一种装配式建筑管道预埋件及其预埋方法
JP2001227021A (ja) 住宅用排水システム
CN210459492U (zh) 一种装配式成品集水坑
CN213173991U (zh) 一种嵌入式给排水管道及别墅给排水系统
WO2023231232A1 (zh) 排水装置
KR200274962Y1 (ko) 아파트 에어컨 냉매배관용 슬리브 설치구조
KR200238229Y1 (ko) 에어콘 실외기의 매립형 연결관
EP0243424A1 (en) A floor mounted pipe installation in buildings and a method of providing such an installation
WO199101483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water damages due to leaks in plumbing in buildings
KR200254715Y1 (ko) 에어컨의 응축수 배수를 위한 장치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21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