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8229Y1 - 에어콘 실외기의 매립형 연결관 - Google Patents

에어콘 실외기의 매립형 연결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8229Y1
KR200238229Y1 KR2020010007708U KR20010007708U KR200238229Y1 KR 200238229 Y1 KR200238229 Y1 KR 200238229Y1 KR 2020010007708 U KR2020010007708 U KR 2020010007708U KR 20010007708 U KR20010007708 U KR 20010007708U KR 200238229 Y1 KR200238229 Y1 KR 20023822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air conditioner
living room
outdoor unit
buri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77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근철
Original Assignee
윤근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근철 filed Critical 윤근철
Priority to KR20200100077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822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82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8229Y1/ko

Links

Landscapes

  • Other Air-Condition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실내에 구비된 에어콘(1)과 실외에 구비된 실외기(2)를 연결하는 냉매용동관(1a)과 전선(1b)이 지나도록 하는 연결관(10)에 관한 것으로,
상기 연결관(10)은 거실측벽 콘크리트 타설시에 매설되되, 마감모르타르(FM) 작업시행전에 구비되어 거실 또는 베란다의 레벨보다 낮은 레벨을 구비한 제 1슬리브(100)와; 상기 제1슬리브(200)와 대향하도록 실외기실(OR)의 측벽에 매설되는 제 2슬리브(200)와; 상기 마감모르타르(FM) 작업이 완료되면 거실바닥의 레벨과 동일한 레벨로 구비되되, 상부로 돌출되지 않게 거실바닥에 매설되는 본체함(300)과;
상기 제 1, 2슬리브(100)(200)를 관통하고, 일단은 상기 본체함(300)의 제 1돌출관(301)에 결합하고, 타단은 실외기실(OR)로 노출되어 상기 에어콘(10)과 연결되는 냉매용동관(1a)과 연결전선(1b)이 지나기 용이하도록 하는 제 1연결관(400)과; 상기 제 1연결관(400)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제 1돌출관(301)의 일측에 형성된 제 2돌출관(302)에 결합되어 거실에서는 매설되되, 베란다의 하수관으로 에어콘(1)의 오수를 배출하는 것이 용이하도록 돌출된 제 2연결관(5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에어콘과 연결되는 실외기에 냉매용동관과 전선이 외부로 돌출되지 않고 매립됨으로써 깔끔한 베란다 환경을 조성하고, 오수와 전선이 별동의 돌출관에 의해 분리됨으로써, 단락되며 누전되는 일이 없어 안전사고를 예방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에어콘 실외기의 매립형 연결관{RECLAMATION TYPE CONNECT EQUIPMENT OF AIRCON FAN}
본 고안은 실내에 구비된 에어콘본체와 실외에 구비된 실외기를 연결해 주도록 하는 동관과 전선이 지나도록 하는 연결관에 관한 것으로, 더욱 더 상세하게는 거실의 일측에 매설된 본체함과 연결된 제 1연결관을 베란다의 표면 하부에 매설하여 상기 에어콘과 실외기간에 냉매용동관과 전선이 지나기 용이하도록 하여 베란다의 미관을 깔끔하게 하고, 상기 제 1연결관의 일측에 에어콘오수를 베란다에 구비된 하수관으로 배출이 용이하도록 하는 제 2연결관을 구비하여 상기 에어콘 오수와 상기 냉매용동관과 전선에 에어콘오수가 혼합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하여 상기오수의 수분에 의해 전선이 단락되며 누전을 방지하고, 상기 베란다의 외부로 냉매용동관과 전선이 노출되지 않아 깔끔한 베란다 환경을 제공하도록 한 에어콘 실외기의 매립형 연결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의 에어콘(1)과 실외의 실외기(2)를 연결하도록 하는 것에 대해서는 여러가지 방법이 알려져 왔다.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것이 일반적으로 대규모의 공동주택, 즉, 아파트등에 널리 사용되어 오고 있는 연결방법으로, 그 내용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면, 거실의 일측벽에 슬리브(SL)가 매설되고, 상기 슬리브(SL)의 양측 또는 일측에는 캡(CP)을 구비하여 사용자들이 선택적으로 상기 캡(CP)을 제거하고, 도시한 바와 같이, 에어콘(1)과 외부 베란다 난간(F)에 구비된 실외기(2)에 일체로 구비된 냉매용동관(1a)과 전선(1b)을 상호 연결하여 사용하도록 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방법은 베란다 상부에 놓인 냉매용동관(1a)과 전선(1b)에 의해 아파트 베란다의 미관을 해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 캡이 파손될 경우 에어콘이 없는 가정에서는 슬리브에 의해 뻥 뚫린 거실벽에 의해 거실 미관을 해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베란다 상부에 놓인 냉매용동관과 전선에 의해 베란다 물청소를 시행할 때, 청소가 용이하지 못하여 가정주부들의 불만이 고조되는 문제가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실용신안 등록번호 20-0196658호로 '에어컨 배관 매립을 위한 슬리브 연결체 매립구조'가 개시된 바가 있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일단에 거실 내측을 향하여 수평으로 개구하는 실내기 연결용 제 1개구부(50)가 형성되고, 타단에 거실 바깥쪽을 향하여 수평 개구하는 제 2개구부(51)가 형성된 거실과 베란다를 구획하는 거실벽체 콘크리트 타설시 그 거실 벽체 내에 함께 매립 시공되는 대략 S자 형상의 실내기 연결용 중공 슬리브(52)와;
베란다의 바닥 하부에 상기 S자 중공 슬리브의 거실 바깥쪽 개구부에 수평 관이음되는 제 1수평 슬리브(53)와;
상기 제 1수평 슬리브(53)에 수평으로 연결되는 T형 슬리브(54)와;
상기 T형 슬리브(54)에 수평으로 관이음되는 제 2수평 슬리브(55)와;
일단은 실외측을 향하여 수평으로 개구하는 실외기 연결용 개구부(56)가 형성되고, 타단은 실내측을 향하여 개구하는 또 다른 개구부(57)가 형성된, 난간벽체콘크리트 타설시 그 난간 벽체 내에 함께 매립시공되는 실외기 연결용 중공 슬리브(58)와;
상기 제 2수평 슬리브(55)와 상기 실외기 연결용 중공 슬리브(58)를 연결하는 곡선 연결 슬리브(59)와; 그리고, 상기 실내기 연결용 슬리브(52) 및 실외기 연결용 슬리브(56)를 제외한 나머지 슬리브 연결체 전부를 피복하여 덮는 베란다 바닥 높임 모르타르(60)로 된 구성이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실외기 연결구조는 도시한 높이(H)만큼에 해당하는 부위에 배근(配筋)된 철근간격에 의해 S자 형상의 중공 슬리브를 구비시키는 것이 어렵고, 콘크리트 타설시의 압력에 의해 상기 중공슬리브의 위치는 더욱 더 변하여다른 연결구를 연결할 때, 상기 높이(H)만큼을 깨내고 재시공을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거실측벽이 벽돌조적인 경우에는 상술한 높이(H)만큼 벽돌을 쌓을 수 없으므로 중공슬리브를 매설하고, 벽돌을 깨서 마무리하는 과정에서 측벽의 부실을 초래화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시공이 완료된 후, 에어콘 과 실외기와 연결할 때, 상기 S자의 중공슬리브에 냉매용동관을 관통시킬 때, 상기 냉매용동관이 파열되어 환경오염의 주원인인 냉매가 누출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에어콘 오수(汚水)가 냉매용동관과 전선이 구비된 슬리브를 따라 배출되므로, 실외기와 연결된 전선이 단락될 경우, 누전되며 감전사고를 일으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술한 종래의 연결구조는 4각형 구조로 다수개의 슬리브를 연결하는 구조로써 시공하는데 어려움이 많아 시공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거실측으로 돌출된 슬리브에 의해 에어콘이 없는 가정에서는 거실측 미관을 해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 된 것으로써, 본 고안의 목적은, 에어콘 본체와 실외기를 연결하는 냉매용동관과 전선을 거실바닥과 베란다 바닥 하부에 구비시키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여 에어콘은 사용하되, 아파트베란다와 거실의 미관을 극대화하도록 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벽돌로 형성하는 벽돌벽과 콘크리트 벽등의 종류에 관계없이 간단하게 시공이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 즉, 건축시공사에 신뢰감을 주도록 하는데 있다.
또한, 에어콘 오수와 냉매용동관과 전선의 흐름을 달리하여 누전에 의한 안전사고 또는 정전사고를 예방하도록 하는데 있다.
또한, 냉매용동관과 전선이 관통하는 연결관을 공지의 플렉시블 호스를 사용하여 실외기실의 위치에 따라 시공하는 것이 가능하여 시공 생산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데 있다.
도 1의 가)는 종래 에어콘과 실외기를 연결하던 통상의 방법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나)는 가)의 'A'-'A'선의 단면도이고,
도 2는 종래의 다른 방법으로 베란다의 마감모르타르 하부에 연결관을 구비한 것을 도시한 단면도로서, 가)는 평면도, 나)는 일측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3의 가)와 나)는 본 고안 연결관의 구성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것으로, 가)는 본체함과 제 1, 2연결관의 결합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사시도이고, 나)는 가) 'B'-'B'선의 단면도로서, 본 고안의 제 1, 2연결관으로 사용되는 공지의 플렉시블관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의 가) 내지 다)는 본 고안 에어콘과 실외기를 연결하도록 하는 연결관의 시공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순차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의 가)는 본 고안 연결관의 시공이 완료된 사용상태도이고, 나)는 가) 'C'선의 상세도로서, 외부에 구비된 하수관으로 에어콘오수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한 제 2연결관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것이고,
도 6의 가)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나)는 가) 'D'선의 단면도로서 고정하는 방법에 대해서 도시한 단면도와 일측의 정투상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에어콘 1a;냉매용동관
1b;전선 2;실외기
10;연결관 100,200;제 1, 2슬리브
300;본체함 300a;덮개
301,302;제 1, 2돌출관 400,500;제 1, 2연결관
OR;실외기실 IR;거실
FM;마감모르타르
본 고안은 실내에 구비된 에어콘과 실외에 구비된 실외기를 연결하는 냉매용동관과 전선이 지나도록 하는 연결관에 관한 것으로,
상기 연결관은 일측벽 콘크리트 타설시에 매설되되, 마감모르타르 작업시행전에 구비되어 거실 또는 베란다의 레벨보다 낮은 레벨을 구비한 제 1슬리브와;
상기 제1슬리브와 대향하도록 실외기실 측벽에 매설되는 제 2슬리브와;
상기 마감모르타르 작업이 완료되면 거실바닥의 레벨과 동일한 레벨로 구비되되, 상부로 돌출되지 않게 거실바닥에 매설되는 본체함과;
상기 제 1, 2슬리브를 관통하고, 일단은 상기 본체함의 제 1돌출관에 결합하고, 타단은 실외기실로 노출되어 상기 에어콘과 연결되는 냉매용동관과 연결전선이지나기 용이하도록 하는 제 1연결관과;
상기 제 1연결관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제 1돌출관의 일측에 형성된 제 2돌출관에 결합되어 거실에서는 매설되되, 베란다의 하수관으로 에어콘의 오수를 배출하는 것이 용이하도록 돌출된 제 2연결관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첨부한 예시도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이하, 종래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은 동일부호 동일명칭으로 설명한다.)
도 3의 가)와 나)는 본 고안 연결관의 구성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것으로, 가)는 본체함과 제 1, 2연결관의 결합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사시도이고, 나)는 가) 'B'-'B'선의 단면도로서, 본 고안의 제 1, 2연결관으로 사용되는 공지의 플렉시블관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의 가) 내지 다)는 본 고안 에어콘과 실외기를 연결하도록 하는 연결관의 시공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순차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의 가)는 본 고안 연결관의 시공이 완료된 사용상태도이고, 나)는 가) 'C'선의 상세도로서, 외부에 구비된 하수관으로 에어콘오수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한 제 2연결관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것이고, 도 6의 가)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나)는 가) 'D'선의 단면도로서 고정하는 방법에 대해서 도시한 단면도와 일측의 정투상도이다.
도 3의 가)와 나)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연결관(10)은 거실측벽에 매설되는 제 1슬리브(100)와, 실외기실(OR)에 매설되는 제 2슬리브(200)가 구비되고, 상기 제 1슬리브(100)의 일측으로 본체함(300)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본체함(300)의 일측에 형성된 제 1돌출관(301)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은 실외기실(OR)의 내부로 돌출되는 제 1연결관(400)과, 상기 제 1돌출관(301)의 일측에 형성된 제 2돌출관(302)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은 베란다에 형성된 하수관으로 에어콘에서 발생하는 오수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돌출된 제 2연결관(500)으로 대별된다.
상기 본체함(300)은 통상의 금속판으로 사각형태의 박스를 절곡한 것으로써, 상기 본체함(300)의 일측에는 제 1, 2돌출관(301)(302)이 관통으로 장착되어 있는데, 제 1돌출관(301)의 외경은 크고, 제 2돌출관(302)의 외경은 작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1, 2돌출관(301)(302)이 돌출되게 장착된 이유로는 후술하는 제 1, 2연결관(400)(500)과 결합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제 1돌출관(301)이 구비된 높이는 상기 제 2돌출관(302)이 구비된 높이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데. 그 이유로는 상기 제 1돌출관(301)은 후술하는 에어콘(1)의 냉매용동관(1a)과 전선(1b)이 관통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고, 제 2돌출관(302)은 에어콘(1)에서 발생하여 상기 본체함(300)내부의 바닥에 고이는 에어콘 오수의 배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이다. 즉, 에어콘 오수가 발생하여도 상기 본체함(300)의 내부에 오수가 남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 1돌출관(301)은 정수평으로 된 것을 도시하였으나, 그것은 당업계의 제조기술로서 얼마든지 용이하게 변형하여 실시가 가능하다. 예를 들면, 거실바닥에 매설된 본체함(300)에 냉매용동관(1a)과 전선(1b)의 삽입이 용이하도록내측에서 볼 때 상향하도록 경사로 구비시켜 상기 냉매용동관(1a)과 전선(1b)을 삽입하기 용이하도록 하는 방법도 있다.
상기 본체함(300)의 상부에는 4변으로 플랜지(300b)가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300b)의 각기 대향하는 플랜지(300b)변에는 체결공(30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체결공(303)은 도시한 덮개(300a)의 유동을 방지하도록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덮개(300a)를 덮고 각기 형성된 체결공(303)에 통상의 체결수단인 피스볼트(PB)를 체결함으로써, 상기 덮개(300a)의 유동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덮개(300a)는 일반적으로 에어콘(1)이 구비되지 않은 가정에서 사용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거실(IR) 바닥과 베란다 바닥에 매설되는 본체함(300)과 제 1연결관(400)을 통해 에어콘(1)과 실외기(2)가 연결되지 않을 경우, 덮도록 하여 거실바닥의 미관을 해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고, 건축시공업체에서는 상기 덮개(300a)의 상부로 장판마감을 하면 본체함(300)이 은폐되어 종래의 개구부가 노출되어 미관을 해치는 일이 없도록 한 것이다.
또한, 나)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 2연결관(400)(500)은 통상의 현장에서는 '주름관'이라 칭하는 플렉시블 관을 사용하여 실외기(2)가 구비되는 실외기실(OR)의 위치에 구애받지 않고 평면상으로 자유롭게 시공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즉, 상기 플렉시블 관은 상부에 덮이게 될 마감모르타르(FM)의 하중에 의해 변형이 되지 않도록 외주연 단면상으로 다수의 돌기를 형성하여 압축강도를 높이되, 좌, 우로 방향을 전환하기 용이한 구조이다.
따라서, 에어콘(1)은 고정적인 위치에 구비되고, 상기 실외기실(OR)의 위치에 따라 평면상으로 좌 우로 용이하게 방향을 전환하여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제 1, 2연결관(400)(500)의 상부로 마감모르타르(FM)를 시행하여도 단면상으로 변형이 생기지 않도록 압축강도는 큰 것이다.
또한, 상기 제 1, 2돌출관(301)(302)을 상기 제 1, 2연결관(400)(500)의 내부로 단순히 삽입으로 결합하는 것에 대해서만 도시하였으나, 그것은 당업계의 제조기술로서 얼마든지 용이하게 변형하여 실시가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제 1, 2연결관(400)(500)의 내측으로 제 1, 2돌출관(301)(302)을 끼운뒤 통상의 호스밴드(Hose Bend)를 체결하여 견고하게 고정하는 것이다.
도 4에 도시한 것은 본 고안 연결관(10)을 시공하는 방법에 대해서 순차적으로 도시한 것으로써, 가)에 도시한 바에 의하면, 거실벽(IRW)과 실외기실벽(ORW)에 본 고안의 제 1, 2슬리브(100)(200)를 바닥(Slab) 레벨과 동일한 레벨로 구비시키고, 양측벽의 콘크리트 타설을 시행한다.
이때, 상기 제 1, 2슬리브(100)(200)의 양단으로는 도시한 바와 같이 거푸집(CF)이 구비됨으로 경화되기전 점상(粘狀)의 콘크리트 침입은 자연스럽게 방지되는 것이다.
나)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상 4주(28일)가 경과한 후, 측벽 콘크리트의 경화가 완료되면, 거푸집(CF)을 제거하고, 상기 제 1, 2슬리브(100)(200)를 관통하여 제 1연결관(400)과 제 2연결관(미도시)을 구비하고, 거실쪽으로 구비된 본체함(300) 일측에 제 1, 2돌출관(301)(302)과 상기 제 1, 2연결관(400)(500)을 결합하여 매설준비를 완료한다.
이때, 상기 연결관(10)의 시공과 동시에 온수파이프(HWP)의 시공도 동시에 진행한다.
다)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온수파이프(HWP)와 연결관(10)의 시공이 완료되면, 거실과 베란다의 바닥에 마감모르타르를 시행하여 마감하고, 그 상부에는 타일 또는 장판마감을 하여 실내 공사는 완료된다.
이때, 장판마감을 시행하기전에 상기 본체함(300)의 상부에는 덮개(300a)를 덮어 이물질의 침투를 방지하도록 하고, 상기 덮개(300a)의 주변으로 장판을 덮어 마감을 완료한다.
또한, 에어콘(1)을 구비한 주민이 입주하여 상기 에어콘(1)을 설치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덮개(300a)를 해체하고, 에어콘(1)의 냉매용동관(1a)과 전선(1b)의 각 선단을 상술한 본체함(300)의 일측에 형성된 제 1돌출관(301)으로 삽입하여 실외기실(OR)에 미리 매설된 제 2슬리브(200)를 관통하고 있는 제 1연결관(400)을 통해 실외기실(OR)에 구비된 실외기(2)와 결합하도록 함으로써, 1차적인 연결은 완료되고, 상기 제 1돌출관(301)의 측부에 형성된 제 2돌출관(302)으로 에어콘(1)의 오수배출구(미도시)를 삽입시킴으로써, 에어콘에서 발생하는 오수의 배출을 용이하도록 하여 설치공사는 완료된다.
또한, 상기 덮개(300a)는 상부가 전부막힌 구조로 도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당 업계의 제조기술로써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냉매용동관(1a)과 전선(1b)의 설치가 완료된 후, 상기 덮개(300a)에는 일측에 개구부를 형성하여 상기 냉매용동관(1a)과 전선(1b)이 구비되어도 상기 본체함(300)을 덮을 수 있도록 하는방법등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5에 도시한 것은 에어콘(1)과 실외기실(OR)에 구비된 실외기(2)와 연결이 완료된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로서, 상기 냉매용동관(1a)과 전선(1b)이 구비된 제 1연결관(400)은 베란다의 하부에 매설되어 실외기실(OR)의 내측으로 관통되도록 한 것이고, 에어콘에서 발생하는 오수를 배출하도록 하는 제 2연결관(500)은 나)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베란다의 바닥에 형성된 하수관(WW)의 상부로 돌출되어 배출이 용이하도록 하였다.
또한, 도 6에 도시한 것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한 바에 의하면, 상술한 일실시예와는 달리 본체함(300)의 하부에 높낮이조절판(310)과 상부에 슬라이드플랜지(SF)를 추가한 것이다.
상기 높낮이조절판(310)은 마감모르타르(FM)의 높이가 달라지는 현장에 적용하기 위한 목적이 있고, 다른 하나는 대체적으로 바닥콘크리트, 즉, 슬라브(Slab)콘크리트의 표면이 고르지 못한 것을 감안해 안출된 것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높낮이조절판(310)의 각 모서리에 구비된 조절볼트(311)를 돌려서 본 고안 본체함(300)의 레벨을 조절한 후, 높낮이조절판(310)의 상, 하에 구비된 너트(312)를 견고하게 조이면 바닥 콘크리트에 관계없이 정확한 레벨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부에 구비된 슬라이드 플랜지(SF)는 통상적으로 장판 대신 목재의 마루(FL)가 구비되는 현장에 적용하기 위한 것으로, 마감 모르타르(FM)가 완료되면, 상기 슬라이드플랜지(SF)의 레벨은 상기한 마감 모르타르(FM)의 레벨과 동일하게 맞출 수 있으나, 마루(FL)가 깔리게 되면 마루(FL)의 두께에 의해 상기 본체함(300)과 마루(FL)에 단차가 발생한다.
이때, 상기 슬라이드 플랜지(SF)를 상부로 슬라이딩하여 마루(FL)의 레벨과 동일하게 조절이 되면, 나)에 도시한 바와 같은 통상의 피스볼트를 견고하게 조임으로써, 조절된 레벨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본체함(300)의 상단에는 통상의 탭(Tap.)이 형성되고, 상기 탭과 대향하는 위치에는 장공(LH)이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드 플랜지(SF)의 조절이 용이하도록 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이 조절이 완료되면, 일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덮개(300a)를 덮으면 에어콘(1)이 구비되지 않은 가정에서도 미관을 해치지 않고 용이하게 마감이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같은 변경은 청구항의 청구범위 기재내에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에어콘 본체와 실외기를 연결하는 냉매용동관과 전선을 거실바닥과 베란다 바닥 하부에 구비시키는 것이 가능하여 정상적으로 에어콘을 사용하되, 아파트 베란다와 거실의 미관을 극대화 한 효과가 있다.
또한, 벽돌로 형성하는 벽돌벽과 콘크리트 벽등의 종류에 관계없이 간단하게 시공이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 즉, 건축시공사에 신뢰감을 준 효과가 있다.
또한, 에어콘 오수와 냉매용동관과 전선의 흐름을 달리하여 누전에 의한 안전사고 또는 정전사고를 예방한 효과가 있다.
또한, 냉매용동관과 전선이 관통하는 연결관을 공지의 플렉시블 호스를 사용하여 실외기실의 위치에 따라 시공하는 것이 가능하여 시공 생산성을 향상시킨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실내에 구비된 에어콘(1)과 실외에 구비된 실외기(2)를 연결하는 냉매용동관(1a)과 전선(1b)이 지나도록 하는 연결관(10)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10)은 거실측벽 콘크리트 타설시에 매설되되, 마감모르타르(FM) 작업시행전에 구비되어 거실 또는 베란다의 레벨보다 낮은 레벨을 구비한 제 1슬리브(100)와;
    상기 제1슬리브(200)와 대향하도록 실외기실(OR)의 측벽에 매설되는 제 2슬리브(200)와;
    상기 마감모르타르(FM) 작업이 완료되면 거실바닥의 레벨과 동일한 레벨로 구비되되, 상부로 돌출되지 않게 거실바닥에 매설되는 본체함(300)과;
    상기 제 1, 2슬리브(100)(200)를 관통하고, 일단은 상기 본체함(300)의 제 1돌출관(301)에 결합하고, 타단은 실외기실(OR)로 노출되어 상기 에어콘(10)과 연결되는 냉매용동관(1a)과 연결전선(1b)이 지나기 용이하도록 하는 제 1연결관(400)과;
    상기 제 1연결관(400)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제 1돌출관(301)의 일측에 형성된 제 2돌출관(302)에 결합되어 거실에서는 매설되되, 베란다의 하수관으로 에어콘(1)의 오수를 배출하는 것이 용이하도록 돌출된 제 2연결관(50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콘 실외기의 매립형 연결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매설이 완료된 본체함(300)은 에어콘(1)이 구비되지 않은 가정에서 상기 에어콘(1)의 연결이 필요치 않을 경우 덮도록 하는 덮개(300a)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콘 실외기의 매립형 연결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함(300)의 제 1돌출관(301)은 내측으로 상향하도록 구비되어 냉매용동관(1a)과 전선(1b)의 삽입이 용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콘 실외기의 매립형 연결관.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함(300)의 제 2돌출관(302)은 상기 제 1돌출관(301)의 일측에 구비되되, 본체함(300)의 저면에 구비되어 에어콘오수의 배출이 용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콘 실외기의 매립형 연결관.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10)의 각 구성은 거실과 베란다 바닥의 하부에 매설되어 상부로 돌출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콘 실외기의 매립형 연결관.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함(300)의 상부에는 슬라이드플랜지(SF)를 구비하여 목재 마루(FL)의 두께에 의한 단차를 없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콘 실외기의 매립형 연결관.
KR2020010007708U 2001-03-21 2001-03-21 에어콘 실외기의 매립형 연결관 KR20023822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7708U KR200238229Y1 (ko) 2001-03-21 2001-03-21 에어콘 실외기의 매립형 연결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7708U KR200238229Y1 (ko) 2001-03-21 2001-03-21 에어콘 실외기의 매립형 연결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8229Y1 true KR200238229Y1 (ko) 2001-10-08

Family

ID=73081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7708U KR200238229Y1 (ko) 2001-03-21 2001-03-21 에어콘 실외기의 매립형 연결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822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8065A (ko) * 2019-10-23 2021-05-03 심하운 에어컨배관용 후배관 설치공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8065A (ko) * 2019-10-23 2021-05-03 심하운 에어컨배관용 후배관 설치공법
KR102292271B1 (ko) * 2019-10-23 2021-08-20 심하운 에어컨배관용 후배관 설치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41052A (en) Building utility core
US20070130841A1 (en) Construction module system and method
US7418803B2 (en) Self-contained modular home
CN108824648A (zh) 空间模块化房屋
KR20160142459A (ko) 조립식 발코니 및 이의 조립 방법
KR200238229Y1 (ko) 에어콘 실외기의 매립형 연결관
KR100906762B1 (ko) 배관 연결용 슬리브조립체
EP1636446A1 (en) Ready-to-use containerised house
KR100742403B1 (ko) 배수가 용이한 분배기
KR102263174B1 (ko) 모듈식 배수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3차원 배수 육가 위치 조정 배수 연결구 시공방법
KR100455113B1 (ko) 에어컨 배관용 슬리브와 그 슬리브에 체결되는 실내노출구 커버 및 이를 이용한 에어컨 배관 설치방법
KR200338297Y1 (ko) 배수가 용이한 분배기
KR100516787B1 (ko) 욕실 벽 통과용 배관보호 슬리브 시공방법 및 그 슬리브
JP3140229B2 (ja) 住戸可変ハウジングシステム
KR200321072Y1 (ko) 에어컨 배관용 슬리브 및 이에 체결되는 실내 노출구 커버
US20230065534A1 (en) Device to elevate a base plate
KR100567270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의 구조 및 그 체결방법
KR102296730B1 (ko) 높이 조절 배수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배수 육가 위치 조정 배수 연결구 시공방법
KR200254715Y1 (ko) 에어컨의 응축수 배수를 위한 장치함
CN217439151U (zh) 预制空调龛
KR100378964B1 (ko) 에어컨 배관 매립을 위한 슬리브 연결체 매립구조
JP2520816Y2 (ja) 構築用パネル
KR200321004Y1 (ko) 편심 상향구
KR200322179Y1 (ko) 와이자형 플렉시블 이음관
KR200325930Y1 (ko) 욕실 벽 통과용 배관보호 슬리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30515

Effective date: 20040503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30515

Effective date: 20040503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40623

Effective date: 2005042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70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